KR20150145568A -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 Google Patents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145568A
KR20150145568A KR1020140075705A KR20140075705A KR20150145568A KR 20150145568 A KR20150145568 A KR 20150145568A KR 1020140075705 A KR1020140075705 A KR 1020140075705A KR 20140075705 A KR20140075705 A KR 20140075705A KR 20150145568 A KR20150145568 A KR 201501455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radiation source
coupled
mast
radi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57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61908B1 (ko
Inventor
지창열
김병만
이정환
조기수
홍순기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757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1908B1/ko
Publication of KR201501455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55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1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1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는, 검사대상물에 대해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 방사선원이 안착되는 방사선원안착유닛; 및 방사선원안착유닛에 결합되며, 방사선원안착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APPARATUS FOR RADIOGRAPHIC INSPECTION}
본 발명은,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방사선원을 사용하여 검사대상물의 결함 등을 검사하는 경우, 검사대상물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포지션에 방사선원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품이나 구조물을 파괴하지 않으면서 제품이나 구조물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이나 상태를 조사하기 위해 비파괴검사가 적용되고 있다.
비파괴검사에는 방사선 투과 검사, 초음파 검사, 전자기적 검사 등 여러 가지 방식이 있는데, 이러한 비파괴검사 중 하나인 방사선 투과 검사는 선원(線源)으로 방사성동위원소를 이용한다.
여기서, 방사선 투과 검사에 대해 설명하면, 방사선원(放射線源)으로부터 방출된 방사선이 소정의 시간 동안 검사대상물을 투과하게 되며, 검사대상물을 투과한 방사선이 필름을 감광시킨다.
그리고, 검사대상물을 투과한 방사선에 의해 감광된 필름은 검사대상물로부터 분리되어 암실에서 현상 처리된 후, 방사선이 투과된 현상 사진을 얻게 되며, 이러한 현상 된 사진을 통해 검사대상물 내부에 존재하는 결함을 식별하게 된다.
여기서, 종래, 방사선 투과 검사의 경우, 방사선 투과 검사 전용 차폐시설에서 검사대상물에 방사선원을 세팅 후 다양한 검사를 실시하고 있다.
이때, 방사선원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이 검사대상물의 검사위치로 정확하게 조사될 수 있도록, 작업자는 다양한 지그 등을 이용하여 방사선원을 정확한 검사위치에서 세팅하게 된다.
하지만, 작업자가 지그 등을 이용하여 방사선원을 세팅하는 것은 방사선원을 정확한 위치로의 위치조절 및 정확한 조사방향으로의 각도조절이 용이하지 않아 작업효율이 현저히 감소될 뿐만 아니라 이에 따라 작업시간이 증가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등록번호:제20-0318806호(공고일자:2003년07월04일)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방사선원을 사용하여 검사대상물의 결함 등을 검사하는 경우, 검사대상물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포지션에 방사선원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업효율이 증가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검사대상물에 대해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 상기 방사선원이 안착되는 방사선원안착유닛; 및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매니퓰레이터는, 받침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스트유닛; 상기 마스트유닛에 결합되며, 상하로 구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에 결합되며,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가로암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가로암유닛에 결합되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세로암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에 결합되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세로암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을 상기 회전세로암유닛에 연결시키는 가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이 상기 가로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이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은, 상기 가로부재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에 타측이 결합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은 상기 측면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은, 상기 마스트유닛에 결합되어 상하로 구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측연결바; 및 상기 하측연결바의 상측에서 상기 마스트유닛에 결합되어 상하로 구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상측연결바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측연결바 및 상기 상측연결바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회전세로암유닛에 결합되는 조작용핸들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실린더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방사선원과 상기 검사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거리감지센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방사선원을 사용하여 검사대상물의 결함 등을 검사하는 경우, 검사대상물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포지션에 방사선원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업효율이 증가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마스트유닛의 회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의 상하구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회전가로암유닛의 회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회전세로암유닛의 회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방사선원안착유닛이 가로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방사선원안착유닛은 측면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일측'과 '타측'의 용어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할 수도 있고, 또는, 특정된 측면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측면 중 임의의 측면을 일측이라 지칭하면, 이에 대응되는 다른 측면을 타측이라 지칭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결합' 또는 '연결'이라는 용어는, 하나의 부재와 다른 부재가 직접 결합되거나, 직접 연결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의 부재가 이음부재를 통해 다른 부재에 간접적으로 결합되거나,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경우도 포함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 의해 검사되는 검사대상물은 다양한 종류의 강관, 파이프를 포함하며, 예를 들어, 선박 등의 조선업에서 사용되는 강관 또는 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100)는, 검사대상물(700)에 대해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200)과, 방사선원(200)이 안착되는 방사선원안착유닛(300)과, 방사선원안착유닛(300)에 결합되며,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을 구동시키는 구동매니퓰레이터(400)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100)는, 방사선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을 검사대상물(700)에 투과하여 필름(미도시)을 감광시킨 후 감광된 필름(미도시)을 현상하고, 이렇게 현상된 사진을 통해 검사대상물(700)의 결함 등을 검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100)에 의한 방사선 투과 검사는, 검사대상물(700)인 파이프 등의 다양한 결함에 따른 파이프 내의 불연속을 검출할 수 있다.
이에 대해 설명하면, 방사선원(200)의 에너지 및 검사대상물(700)의 밀도와 두께에 따라 방사선의 투과량이 달라지는데, 이때 투과된 방사선의 투과량에 따라 필름(미도시)의 감광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즉, 검사대상물(700)의 방사선 투과 검사시, 검사대상물(700) 내부에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이물질의 밀도가 검사대상물(700)의 밀도보다 작아서 이물질부분을 투과한 방사선의 투과량이 검사대상물(700)을 투과한 방사선의 투과량에 비해 많기 때문에, 현상된 사진상에서 검게 나타난다.
이에 따라, 검사대상물(700)을 투과하는 방사선의 투과량에 의해 현상된 사진에는 명암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이렇게 현상된 사진에 나타난 밝고 어두운 정도를 비교하여 검사대상물(700) 내부의 결함 등을 검사할 수 있다.
그러나, 방사선 투과 검사를 위해서는 방사선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이 검사대상물(700)에 정확하게 조사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100)는, 방사선원(200)이 안착되어 있는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이 구동매니퓰레이터(400)에 결합되어 작업자가 방사선원(200)을 정확한 위치로 용이하게 이동시킬 수 있는 바, 이하,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사선원(200)은 파이프 등의 검사대상물(700)에 대해 방사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된다. 여기서, 방사선원(200)은 X선(엑스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또는, γ선(감마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방사선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이 검사대상물(700)의 결함 부위를 투과할 수 있도록 검사대상물(700)을 향해 방사선이 조사된다.
도 1을 참조하면,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은 방사선원(200)이 안착되도록 마련된다. 즉,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의 내부에 방사선원(200)이 삽입된 후 안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선원(200)으로부터는 방사선이 방출되므로, 방사선이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의 외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의 내부는 납 등을 사용하여 차폐될 수 있다.
다만,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의 내부 중 검사대상물(700)을 향해 방사선이 조사되는 부분에는 차폐되지 않도록 마련되어, 검사대상물(700)을 향해 방사선이 조사되는 부분을 통해서는 방사선이 유출될 수 있다.
그리고,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은 원통형으로 마련될 수 있는데, 다만,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의 형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을 참조하면, 구동매니퓰레이터(400)는 방사선원안착유닛(300)에 결합되며, 방사선이 검사대상물(700)을 향해 정확하게 조사될 수 있는 포지션으로 방사선원(200)을 위치시키기 위해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을 구동시킨다.
여기서, 구동매니퓰레이터(400)는 마스트유닛(410)과,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2(a) 내지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마스트유닛의 회전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를 참조하면, 마스트유닛(410)은 받침유닛(600)에 회전(도 1 및 도 2(a) 내지 도 2(c)의 화살표 A 참조)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받침유닛(600)은 바닥에 놓여져 마스트유닛(410)에 결합되며 마스트유닛(410)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마스트유닛(410)은 상하방향의 가상의 수직축(도 2(a)의 Z 참조)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받침유닛(6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트유닛(410)의 회전각도는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모두에 대해 360°이상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3(a) 내지 도 3(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의 상하구동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은 마스트유닛(410)에 결합되며, 상하로 구동(도 1 및 도 3(a) 내지 도 3(c)의 화살표 B 참조)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구동매니퓰레이터(400)에 결합되어 있는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이 정확한 포지션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마스트유닛(410)은 회전가능하게 마련되고,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은 상하로 움직이게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은 하측연결바(422)와, 상측연결바(42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데, 하측연결바(422)는 마스트유닛(410)에 결합되어 상하로 구동가능하게 마련되고, 상측연결바(421)는 하측연결바(422)의 상측에서 마스트유닛(410)에 결합되어 상하로 구동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무게추(423)는 하측연결바(422)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무게추(423)는 상측연결바(421)에 결합될 수도 있으며, 하측연결바(422)와 상측연결바(421) 모두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 중에서 하측연결바(422)에는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을 지지하는 지지실린더(48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구동매니퓰레이터(400)를 작동시키는 경우 무게추(423)와, 무게추(423)로부터 대향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있는 지지실린더(480)에 의해, 작은 힘으로도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을 상하로 용이하게 구동시킬 수 있게 된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회전가로암유닛의 회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4(a) 내지 도 4(c)를 참조하면, 회전가로암유닛(430)은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에 결합되며,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도 1 및 도 4(a) 내지 도 4(c)의 화살표 C 참조)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가로암유닛(430)은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의 단부에 결합되어 회전할 수 있게 마련된다.
그리고, 회전가로암유닛(430)의 회전각도는, 마스트유닛(410)과 마찬가지로,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모두에 대해 360°이상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5(a) 내지 도 5(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회전세로암유닛의 회전을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회전세로암유닛(440)은 회전가로암유닛(430)에 결합되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도 1 및 도 5(a) 내지 도 5(c)의 화살표 D 참조)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회전세로암유닛(440)은 회전가로암유닛(430)의 단부에 결합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회전세로암유닛(440)의 회전각도 역시 필요에 따라 정해질 수 있으며,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모두에 대해 360°이상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세로암유닛(440)이 회전하게 되면, 회전세로암유닛(440)에 연결되어 있는 방사선원안착유닛(300)도 회전하게 된다.
한편, 회전세로암유닛(440)은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에 결합되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도 있다. 이 경우, 회전가로암유닛(430)은 생략될 수 있다.
즉, 마스트유닛(410)에 결합된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의 단부에 회전세로암유닛(440)이 직접 결합되어 회전하며, 회전세로암유닛(440)에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이 연결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여기서, 도 1 및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면, 회전세로암유닛(440)에는 조작용핸들유닛(470)이 결합될 수 있다.
즉, 작업자가 조작용핸들유닛(470)을 작동하는 경우, 마스트유닛(410)의 회전과,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의 상하구동과, 회전가로암유닛(430)의 회전과, 회전세로암유닛(440)의 회전을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방사선원(200)을 검사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작업자가 조작용핸들유닛(470)을 작동하는 경우, 가로부재(450)를 회전축으로 하여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을 회전시킬 수 있고, 결합축(463)을 기준으로 방사선원안착유닛(300) 자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조작용핸들유닛(470)이 반드시 회전세로암유닛(440)에 결합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조작용핸들유닛(470)의 결합부분은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방사선원안착유닛이 가로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회전세로암유닛(440)에는 가로부재(450)가 결합될 수 있는데, 여기서,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은 가로부재(450)에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460)을 통해 가로부재(450)에 연결될 수 있다.
즉,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이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460)에 결합되고,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460)이 가로부재(450)에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은 가로부재(45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도 1 및 도 6(a) 내지 도 6(c)의 화살표 E 참조)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가로부재(450)에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460)이 회전가능하게 결합되고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이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46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경우,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460)이 가로부재(45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면,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460)에 결합되어 있는 방사선원안착유닛(300)도 연동되어 회전하게 된다.
여기서,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460)은 메인프레임(461)과, 측면프레임(462)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메인프레임(461)은 가로부재(450)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메인프레임(461)이 가로부재(450)에 결합 후 가로부재(45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되는데, 여기서, 메인프레임은 필요에 따라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 모두에 대해 360°이상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측면프레임(462)은 메인프레임(461)에 일측이 결합되고, 방사선원안착유닛(300)에 타측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이 측면프레임(462)을 통해 메인프레임(461)에 연결되므로, 메인프레임(461)이 회전하게 되면 방사선원안착유닛(300)도 가로부재(450)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하게 된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에서 방사선원안착유닛은 측면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는 모습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7(a) 내지 도 7(c)를 참조하면,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은 측면프레임(462)에 결합되는 결합축(463)을 기준으로 회전(도 1 및 도 7(a) 내지 도 7(c)의 화살표 F 참조)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은 결합축(463)을 기준으로 방사선원안착유닛(300) 자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방사선원안착유닛(300)에는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의 회전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회전각도조절플레이트(미도시)가 결합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은 다양한 방향으로 구동 및 회전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검사대상물(700)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포지션에 방사선원(200)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검사대상물(700)을 투과한 방사선에 의해 현상된 사진의 감도는 방사선원(200)의 종류, 필름(미도시)의 종류, 방사선원(200)과 필름(미도시)간 거리 또는 방사선원(200)과 검사대상물(700)간 거리, 노출조건 등에 따라 영향을 받게 된다.
여기서, 현상된 사진의 감도를 높게하기 위한 일반적인 촬영원칙은, 방사선원(200)과 필름(미도시)간 거리 또는 방사선원(200)과 검사대상물(700)간 거리를 길게하는 것이다.
즉, 방사선원(200)과 필름(미도시)간 거리 또는 방사선원(200)과 검사대상물(700)간 거리가 길수록 기하학적 불선명도가 작아져 현상된 사진의 감도가 좋아진다.
다만, 방사선원(200)과 필름(미도시)간 거리 또는 방사선원(200)과 검사대상물(700)간 거리가 길수록 검사시간은 증가하게 되므로, 현상된 사진의 감도가 좋으면서 검사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적정거리에 방사선원(200)을 위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100)는, 방사선원(200)과 검사대상물(700) 사이의 거리를 감지할 수 있는 거리감지센서(500)가 방사선원안착유닛(300)에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거리감지센서(500)는 하나의 제1지점과, 제1지점으로부터 이격되어 있는 다른 제2지점 사이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로, 적외선 센서, 자연광 이용 센서 및 초음파 센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리감지센서(500)는 레이저를 이용하여 거리를 측정하는 레이저센서로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거리감지센서(500)는 방사선원안착유닛(300)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거리감지센서(500)가 방사선원안착유닛(300)에 결합되는 경우 방사선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에 의해 나쁜 영향을 받아서 수명이 단축될 수 있다.
따라서, 거리감지센서(500)를 통해 방사선원(200)과 검사대상물(700)간 거리가 세팅되면, 즉, 검사대상물(700)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포지션에 방사선원(200)이 위치하게 되면, 거리감지센서(500)를 방사선원안착유닛(300)으로부터 분리시켜 방사선의 영향을 제거하며, 이에 의해, 거리감지센서(500)의 사용수명이 연장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100)에서, 방사선원(200)을 사용하여 검사대상물(700)의 결함 등을 검사하는 경우, 검사대상물(700)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포지션에 방사선원(200)을 용이하게 위치시킬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작업효율이 증가하고 작업시간이 단축될 수 있는 것에 관한 작용 및 효과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검사대상물(700)의 결함 등을 검사하기 위해 검사대상물지지대(800) 상측에 검사대상물(700)을 올려놓는다.
그리고, 작업자는 조작용핸들유닛(470)을 사용하여, 방사선원(200)으로부터 방출되는 방사선이 검사대상물(700)의 검사부분으로 정확하게 조사될 수 있는 위치로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을 이동시킨다.
여기서,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마스트유닛(410)은 받침유닛(600)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은 마스트유닛(410)에 대해 상하로 구동가능하며, 회전가로암유닛(430)은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420)에 대해 회전가능하고, 회전세로암유닛(440)은 회전가로암유닛(430)에 대해 회전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도 6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이 결합되는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460)은 회전세로암유닛(440)의 가로부재(450)에 결합되어 회전하고, 방사선원안착유닛(300)은 측면프레임(462)에 결합되는 결합축(463)을 기준으로 방사선원안착유닛(300) 자체의 회전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100)의 경우 다양한 자유도를 가지는 구동 및 회전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검사대상물(700)을 정확하게 검사할 수 있는 포지션에 방사선원(200)을 위치시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200 : 방사선원
300 : 방사선원안착유닛 400 : 구동매니퓰레이터
410 : 마스트유닛 420 :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
421 : 상측연결바 422 : 하측연결바
423 : 무게추 430 : 회전가로암유닛
440 : 회전세로암유닛 450 : 가로부재
460 :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 461 : 메인프레임
462 : 측면프레임 470 : 조작용핸들유닛
480 : 지지실린더 500 : 거리감지센서
600 : 받침유닛 700 : 검사대상물

Claims (13)

  1. 검사대상물에 대해 방사선을 조사하는 방사선원;
    상기 방사선원이 안착되는 방사선원안착유닛; 및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에 결합되며,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을 구동시키는 구동매니퓰레이터를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매니퓰레이터는,
    받침유닛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마스트유닛;
    상기 마스트유닛에 결합되며, 상하로 구동가능하게 마련되는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을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에 결합되며, 가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가로암유닛을 더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가로암유닛에 결합되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세로암유닛을 더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에 결합되며, 세로방향으로 배치되어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회전세로암유닛을 더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을 상기 회전세로암유닛에 연결시키는 가로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이 상기 가로부재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부재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을 더 포함하며,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이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에 결합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결합프레임은,
    상기 가로부재에 결합되는 메인프레임; 및
    상기 메인프레임에 일측이 결합되고,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에 타측이 결합되는 측면프레임을 포함하되,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은 상기 측면프레임에 결합되는 결합축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마련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은,
    상기 마스트유닛에 결합되어 상하로 구동가능하게 마련되는 하측연결바; 및
    상기 하측연결바의 상측에서 상기 마스트유닛에 결합되어 상하로 구동가능하게 마련되는 상측연결바를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하측연결바 및 상기 상측연결바 중 적어도 하나에 결합되는 무게추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11.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세로암유닛에 결합되는 조작용핸들유닛을 더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12.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마스트연결구동암유닛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지지실린더를 더 포함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원안착유닛에 결합되어 상기 방사선원과 상기 검사대상물 사이의 거리를 감지하도록 마련되는 거리감지센서가 더 포함되는,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KR1020140075705A 2014-06-20 2014-06-20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KR101661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05A KR101661908B1 (ko) 2014-06-20 2014-06-20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5705A KR101661908B1 (ko) 2014-06-20 2014-06-20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5568A true KR20150145568A (ko) 2015-12-30
KR101661908B1 KR101661908B1 (ko) 2016-10-04

Family

ID=550879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5705A KR101661908B1 (ko) 2014-06-20 2014-06-20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190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00Y1 (ko) * 2018-03-20 2019-09-2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정밀한 각도측정이 가능한 거치장치
KR102400244B1 (ko) * 2021-11-23 2022-05-20 주식회사 삼영검사엔지니어링 휴대용 디지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
KR20220098479A (ko) * 2021-01-04 2022-07-12 김윤진 이동식 다관절 로봇 시스템 너트 러너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1678A (ja) * 1991-01-28 1992-09-08 Nissan Motor Co Ltd 多軸ロボットの手首駆動装置
KR200318806Y1 (ko) 2003-03-18 2003-07-04 주식회사 한국공업엔지니어링 방사선 투과 검사장치
KR20120022318A (ko) * 2010-09-02 2012-03-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축 수직 다관절 로봇
KR101341957B1 (ko) * 2013-08-26 2013-12-16 주식회사 에이피엔 콜리메이터 고정 장치
KR20140033735A (ko) * 2012-09-10 2014-03-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경량화 구조의 포터블 용접로봇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1678A (ja) * 1991-01-28 1992-09-08 Nissan Motor Co Ltd 多軸ロボットの手首駆動装置
KR200318806Y1 (ko) 2003-03-18 2003-07-04 주식회사 한국공업엔지니어링 방사선 투과 검사장치
KR20120022318A (ko) * 2010-09-02 2012-03-12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다축 수직 다관절 로봇
KR20140033735A (ko) * 2012-09-10 2014-03-19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경량화 구조의 포터블 용접로봇
KR101341957B1 (ko) * 2013-08-26 2013-12-16 주식회사 에이피엔 콜리메이터 고정 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100Y1 (ko) * 2018-03-20 2019-09-25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정밀한 각도측정이 가능한 거치장치
KR20220098479A (ko) * 2021-01-04 2022-07-12 김윤진 이동식 다관절 로봇 시스템 너트 러너
KR102400244B1 (ko) * 2021-11-23 2022-05-20 주식회사 삼영검사엔지니어링 휴대용 디지털 방사선 투과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1908B1 (ko) 2016-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711759B2 (ja) X線検査装置
KR100975417B1 (ko) 디지털 방사선 투과 검사 시스템 및 방법
KR102539899B1 (ko) 인라인 x-선 측정 장치 및 방법
KR101661908B1 (ko)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KR20160125548A (ko) 피검사물 상에서 원격 제어로 이동 가능한 방사선 비파괴 검사장치
KR20200130961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KR20200130960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KR200472414Y1 (ko) 수직 용접부의 방사선 촬영장치
KR101286576B1 (ko) 피검체에 직접 부착되며, 회전 개폐에 의한 방사선 조사 장치
JP5056284B2 (ja) X線断層撮像装置およびx線断層撮像方法
JP2007003400A (ja) 制御棒貫通孔部材検査装置
KR20210035586A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제어방법
KR101825654B1 (ko) 배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KR102420923B1 (ko) 배관 용접부 자동 검사장치
US20210172886A1 (en) Image distortion correction for x-ray detector
KR101749276B1 (ko) 탄성 부재가 구비된 비파괴 검사용 콜리메이터 고정 장치
CN107782752B (zh) 一种焊缝射线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KR102131615B1 (ko) 방사선투과영상생성장치 및 방사선투과영상생성방법
KR102457912B1 (ko)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KR20090091971A (ko) 감마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트랙형 검사장치
KR101985386B1 (ko) 방사선원장치
KR100923624B1 (ko) Cmos 센서를 이용한 방사선 투과 영상장치
JP4676300B2 (ja) Rt3次元サイジング装置
KR102487732B1 (ko) 위상배열 초음파검사용 자동스캐너 테스트장치
KR102667220B1 (ko) 위상배열 초음파검사용 자동스캐너 테스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