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8745B1 -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8745B1
KR102138745B1 KR1020180074879A KR20180074879A KR102138745B1 KR 102138745 B1 KR102138745 B1 KR 102138745B1 KR 1020180074879 A KR1020180074879 A KR 1020180074879A KR 20180074879 A KR20180074879 A KR 20180074879A KR 102138745 B1 KR102138745 B1 KR 102138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radiation
pipe
folding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48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1848A (ko
Inventor
강병권
권혁
이호중
박상동
박순욱
이준성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48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38745B1/ko
Publication of KR202000018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18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8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8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01N23/043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using fluoroscopic examination, with visual observation or video transmission of fluoroscopic ima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23/00Investigating materials by wave or particle radiation
    • G01N2223/60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 G01N2223/628Specific applications or type of materials tubes, pi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Apparatus For Radiation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사선 투과 검사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배관 용접부에 대한 검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으로서, 배관의 표면에 놓여지고, 상기 배관을 향해 조사된 방사선을 검출하도록, 각각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방사선 영상 장치용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센서가 탑재되어 있는 복수개의 접철모듈; 및 상기 접철모듈이 상기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게 밀착되게 배치되도록, 일측의 접철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의 접철모듈의 연결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DIGITAL RADIOGRAPHY APPARATUS FOR PIPES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선박의 배관 또는 배관 용접부와 같이 곡면 부위를 갖는 검사대상물의 결함을 방사선을 이용하여 검출하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조선소에서 선박, 해양구조물은 용접관련 기술에 의해 건조되고 있다.
선박건조에서의 용접기술은 조선산업의 주된 기술로서 선박의 건조과정의 전반에 걸쳐 널리 이용되고 있다.
선박건조에 있어서 용접기술은 단순한 용접 이음 작업의 기술뿐만 아니라, 용접기술에 의존한 설계공정에서의 구조배치, 용접이음부의 변형량, 생산공정에서는 블록단위, 작업방법, 검사방법, 용접자세, 조건값을 포함하여 생산성 향상에 가장 중요한 인자 일 수 있다.
특히, 파이프 등과 같은 용접대상물은 용접 이후 파이프 내부의 결함을 파악하여야 하는 품질 관리 대상이다.
이러한 용접대상물의 결함 탐지 방법에는 방사선 투과 검사, 초음파 탐상 검사, 침투 탐상 검사, 자분 탕상 검사, 와전류 탐상 검사, 육안 검사, 누설 탐상 검사 등이 있다.
특히, 방사선 투과 검사는 투과성 방사선인 감마선 또는 엑스선을 시험체인 용접대상물에 조사하였을 때 투과 방사선의 강도의 변화 즉, 건전부와 결함부의 투과선량의 차에 의한 AR(Analog Radiography)필름상의 농도차로부터 결함을 검출할 수 있다.
즉, 방사선은 대부분의 재료를 투과할 수 있는 특정을 가지고 있고, 재료의 두께에 따라 방사선의 투과량이 상이하다.
용접 내부의 불연속이 존재하는 경우, 방사선 투과선량의 차이로 인해 필름의 감광 정도가 다르다.
종래 기술에 따른 선박 기술 분야의 방사선 투과 검사는 AR필름 내 감광 정도의 차이를 육안으로 확인하여 용접 내부의 결함을 검출하고 있으므로, 방사선 노출 시간이 많이 걸리는 문제와, 상대적으로 큰 운영비를 요구하는 단점을 가지고 있다.
종래 다른 기술에는 카세트라고 불리는 이미지 플레이트를 이용해 방사선 투과에 관련된 영상을 이미지 플레이트에 저장한 후 컴퓨터에 연결하여 확인하는 CR(Computed Radiography)과, 방사선 탐지용 디텍터를 통해 방사선 투과에 따른 디지털 검출 신호를 실시간으로 전송받아 컴퓨터 등의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화 할 수 있는 DR(Digital Radiography)이 있다.
종래의 CR용 이미지 플레이트를 이용한 방사선 투과 검사에 따르면, 방사선 노출 시간은 단축시킬 수 있지만, 인화 품질이 AR필름 방식에 비해 낮고, 조선소의 용접 현장에서 사용하다 보니 CR용 이미지 플레이트의 오염이 심하여, CR용 이미지 플레이트의 재사용률이 현저하게 낮은 단점을 갖는다. 실험실 등과 같이 오염이 덜한 환경에서 이론적으로 CR용 이미지 플레이트는 10,000회 정도 사용 가능하나, 실제 용접 현장에서는 50회 이내 사용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종래 또 다른 기술로서 DR(Digital Radiography)디텍터는 일반적인 흉부 검사 등과 같은 의료용으로서, 플랫한 패널 형태로 제작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DR디텍터는 곡면을 갖는 배관에 적용하기 매우 어렵다. 여기서, 배관은 선박용 또는 산업용으로 사용되는 튜브, 덕트, 파이프를 포함한 관부재, 혹은 관부재끼리 용접된 부위인 배관 용접부를 통칭할 수 있다.
평판형의 DR디텍터는 곡면기울기를 갖는 배관 용접부에 부분적으로 접촉되고, 그 결과 DR디텍터와 접촉하지 않는 배관 용접부에 대한 검사 영상 품질이 매우 떨어지는 단점을 갖는다.
예컨대, 방사선을 조사하는 시간은 방사선원과 배관 용접부 사이의 거리에 따라 결정되고, 그 시간 차이로 인하여 검사 영상 품질이 달라지게 된다.
예컨대, 조선소에서 용접에 의해 연결되는 배관에는 직경이 20㎜ 소구경으로부터 300㎜ 이상 대구경 혹은 최대 64인치(약 1.6m)와 같이 다양한 사이즈가 있다. 또한, 배관 용접부에 대한 방사선 조사 시간은 배관의 직경 또는 반지름의 제곱에 비례할 수 있다. 이때 DR디텍터는 평판 형상으로서 공장 제작 당시에 정해진 평면적만을 가지고 있고, 곡면 형상의 배관 또는 배관 용접부에 밀착되어 사용된다.
그 결과, DR디텍터와 배관 용접부를 서로 대면시킬 때, DR디텍터 및 배관 용접부간 상호 직접 접촉하는 위치와, DR디텍터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는 방사선 조사 시간 차이가 매우 크게 발생된다.
아울러, DR디텍터 및 배관 용접부간 상호 직접 접촉하는 위치를 기준으로 방사선 조사 시간 및 거리를 대략적으로 맞춘다 하더라도, 방사선 투과 검사 횟수가 크게 증가해서, 현장에서의 방사선 누출 시간이 증대되고, 방사선 안전 관리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DR디텍터는 해당 배관의 사이즈별로 필요하기 때문에, DR디텍터의 장비 사용 효율이 매우 떨어지고, 많은 투자비 및 운용비가 필요한 단점을 갖는다.
따라서, 곡면을 갖는 배관 용접부에 대하여 검사 영상 품질 문제를 일으키지 않으면서, 검사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DR 방사선 투과 검사의 확장성을 증대시켜서 서로 다른 직경을 갖는 배관 용접부의 사이즈 변화에도 적극 대응할 수 있는 매우 경제적이고 안전한 검사 수단의 개발이 시급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본 발명에서는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는 복수개의 접철모듈이 배관 용접부에 대응하여 밀착될 수 있어서, 방사선 투과 검사 횟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배관 용접부에 대한 검사 효율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배관을 향하는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방사선 영상 장치용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센서가 탑재된 접철모듈을 연결부로 서로 연결하고, 접철모듈의 표면이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게 밀착되도록, 배관의 중심을 향하여 접철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접철모듈의 센서에 접속된 방사선 영상 장치에 의해, 접철모듈의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을 세팅하는 단계; 배관 또는 배관 용접부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하여, 방사선 영상 장치에서 방사선을 조사하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단계; 방사선 조사에 따라 센서에서 생성된 촬영 데이터가 접철모듈에 접속된 통신모듈을 통해 방사선 영상 장치에 전송되는 단계; 및 방사선 영상 장치가 촬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켜서, 실시간 확인이 이루어지고, 촬영 데이터가 방사선 영상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을 세팅하는 단계는, 접철모듈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 및 접철모듈의 센서 배치 구간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접철모듈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은, 방사선 영상 장치가 접철모듈별 모듈구동부의 모듈식별자를 기준으로 배관을 감싸고 있는 접철모듈들의 모듈 배열 위치와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모듈 배열 위치별 접철모듈의 검출 타이밍을 정하기 위하여,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선 조사 시점으로부터 지연되는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이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방사선 영상 장치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접철모듈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은, 접철모듈이 배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방사선 영상 장치의 방사선 조사기가 배관의 중심에 배치되는 경우,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이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모두 동일하게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접철모듈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은, 접철모듈이 배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방사선 영상 장치의 방사선 조사기가 배관을 사이에 두고 접철모듈의 반대쪽인 배관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이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조사기와 접철모듈간 조사거리 비율에 대응하게 차등 입력될 수 있다.
또한, 접철모듈의 센서 배치 구간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은, 방사선 영상 장치가 접철모듈별 모듈구동부의 센서식별자를 기준으로 센서 배치 구간과 센서 배치 구간별 시간 입력란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센서 배치 구간별 센서의 검출 타이밍을 정하기 위하여,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선 조사 시점으로부터 지연되는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이 센서 배치 구간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차등적으로 방사선 영상 장치에 입력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배관의 표면에 놓여지고, 상기 배관을 향해 조사된 방사선을 검출하도록, 각각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방사선 영상 장치용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센서가 탑재되어 있는 복수개의 접철모듈; 및 접철모듈이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게 밀착되게 배치되도록, 일측의 접철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의 접철모듈의 연결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접철모듈은, 배관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케이싱본체부와, 접철모듈 사이의 갭을 덮을 수 있도록 케이싱본체부의 끝단에서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된 케이싱단차부를 갖는 모듈케이싱;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고, 모듈식별자와 센서식별자를 가지고 있는 모듈구동부; 및 모듈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케이싱본체부의 외측면에 표출되어 있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센서가 케이싱본체부의 내부와 케이싱단차부의 내부에 분산 탑재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접철모듈은, 모듈케이싱에서 케이싱본체부의 저면과 케이싱단차부의 저면에 각각 구비되는 충격 흡수용 적층부재; 상기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싱본체부의 양쪽 끝단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부; 및 상기 케이싱본체부의 양쪽 끝단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연결핀;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에 의하면,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를 갖는 복수개의 접철모듈이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배관 용접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은 접철모듈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통신모듈을 통해서 접철모듈의 센서의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방사선 영상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배관 용접부에 대한 실시간 방사선 투과 검사를 실현할 수 있고,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거리적인 제약을 벗어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은 접철모듈별 또는 접철모듈 내부의 센서별로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을 동일하게 또는 차등적으로 정함으로써, 접철모듈과 배관 용접부를 서로 대면시킬 때, 접철모듈 및 배관 용접부간 상호 직접 접촉하는 위치나, 접철모듈에 직접 접촉하지 않는 위치 사이에서의 방사선 조사 시간 차이가 상대적으로 줄여서, 결과적으로 배관 용접부에 대한 검사 영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를 펼친 상태의 장치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철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용 방사선 조사기를 배관의 내부에 배치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용 방사선 조사기를 배관의 외부에 배치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접철모듈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철모듈의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 세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접철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접철모듈을 복수개로 연결하여 배관 용접부에 배열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과 함께 이하에 개시될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형태를 설명하고자 하는 것이며,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유일한 실시형태를 나타내고자 하는 것이 아니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할 수 있고,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또는", "적어도 하나"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단어들 중 하나를 나타내거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서, 배관은 후술되는 접철모듈과 접촉 또는 비접촉되는 튜브, 덕트, 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 관부재이거나, 또는 관부재끼리 용접된 부위인 배관 용접부를 의미할 수 있다.
[제 1 실시 예]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를 펼친 상태의 장치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10)는 접철모듈(100, 100a), 연결부(200), 방사선 조사기(300), 통신모듈(400) 및 방사선 영상 장치(500)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조사기(300)는 접철모듈(100, 100a)의 내부 공간 또는 외부 공간에 배치되어 사용될 수 있다.
방사선 조사기(3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방사선 영상 장치(500)에 접속되어서, 방사선 영상 장치(500)에 의해 원격 제어될 수 있다. 한편, 방사선 조사기(300)는 방사선 영상 장치(500)와 연동되도록 방사선 조사기(300)에 접속된 별도의 컨트롤러(미도시)에 의해 제어되어서, 배관(1) 또는 배관 용접부(2) 혹은 접철모듈(100, 100a)을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통신모듈(400)은 접철모듈(100, 100a)과 방사선 영상 장치(500)의 사이를 통신으로 상호 접속시키는 일반적인 통신 수단일 수 있다.
방사선 영상 장치(500)는 실시간 검사를 위한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미지 저장을 위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방사선 영상 장치(500)에는 후술되어질 바와 같은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 입력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프로그램이 기록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사용자 인터페이스는 방사선 영상 장치(500)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화면상에서 펼쳐진 상태의 접철모듈 이미지를 표출하고, 또한 화면상에서 접철모듈 이미지별로 입력 수단(예: 시간 입력란)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접철모듈(100, 100a)은 배관(1) 또는 배관 용접부(2)의 표면에 놓여지고, 배관(1)을 향해 조사된 방사선을 검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접철모듈(100, 100a)은 단독적으로 사용되거나 복수개로 연결 사용될 수 있다.
연결부(200)는 접철모듈(100, 100a)을 한 세트로 만들기 위한 기계적 또는 물리적 연결 수단일 수 있다.
예컨대, 접철모듈(100, 100a)은 연결부(200)를 통해서 두루마리 형태로 연결되거나 또는 체인 형식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그 결과 접철모듈(100, 100a)은 연결부(200)를 통해 배관(1) 또는 배관 용접부(2)의 곡면에 대응하게 밀착되도록 접거나 또는 펼쳐질 수 있다.
여기서, 곡면에 대응하게 밀착된다는 의미는 각 접철모듈(100, 100a)의 일부가 배관(1) 또는 배관 용접부(2)을 향하여 부분적으로 밀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를 위한 연결부(200)는 접철모듈(100, 100a)별로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예컨대, 각 연결부(200)는 쌍을 이루어서 접철모듈(100, 100a)에 각각 구비되어 있다.
또한, 접철모듈(100, 100a)은 배관 용접부(2) 또는 배관(1)의 곡면에 대응하게 밀착되도록, 배관(1)의 외측에 배치된다.
접철모듈(100, 100a)의 연결 개수는 배관(1) 또는 배관 용접부(2)의 사이즈 또는 용접선 길이에 대응하게 확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접철모듈(100, 100a)은 방사선 투과 검사의 활용도를 증대시킬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이때, 각 연결부(200)는 일측의 접철모듈(1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의 접철모듈(100a)의 연결핀(111)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배관 용접부(2)는 배관(1)들이 서로 용접에 의해 연결된 부위로서, 용접선 및 그 주변의 배관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각 접철모듈(100, 100a)은 각각 모듈케이싱(110), 센서(120), 모듈구동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접철모듈(100, 100a)은 도 1의 배관(1)의 직경에 비해 상대적으로 좁은 몸체폭(W)을 가지고 있고, 배관 용접부(2)의 폭(T)에 비해 상대적으로 긴 몸체길이(L)를 가질 수 있다.
각 접철모듈(100, 100a)의 몸체폭(W)은 종래의 DR(Digital Radiography)디텍터에 비해 물리적으로 작다.
이런 연유로, 방사선 조사 시간은 기존의 DR디텍터 대비 10% 이내로 줄어들 수 있고, 아울러 검사 시간도 짧아지고, 기존의 DR(Digital Radiography)디텍터를 이용한 검사에 비해서 검사 안정도도 확보될 수 있다.
센서(120)는 수천개 또는 수만개로서, 각 접철모듈(100, 100a)의 내부에서 평면 방향을 따라 배열 또는 배치되어 있다.
예컨대, 센서(120)는 방사선을 직접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는 직접 감지 수단과, 간접적으로 변환시키는 간접 감지 수단일 수 있다.
즉, 센서(120)는 방사선 광자를 직접적으로 전하로 변환하는 물질인 광전도체(예: 비정질 셀레늄)층과 박막 트랜지스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세슘과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섬광층과 CCD(Charge Coupled Device)로 만들어져 있거나, 섬광층과 비정질 실리콘 포토 다이오드 및 박막 트랜지스터를 적층한 결합체일 수 있다.
이런 센서(120)는 전기적 신호에 따라 통신이 가능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시킬 수 있는 범위 내에서 특정 감지 수단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이렇게 복수개의 센서(120)는 각 모듈케이싱(110)의 내부에 복수개로 배치되고,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방사선 영상 장치용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모듈구동부(130)는 센서(12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센서(120)의 작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모듈구동부(130)는 센서(120)로부터 출력되는 전기적 신호를 통신모듈(400) 쪽으로 입력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때, 모듈구동부(130)는 모듈케이싱(110)용 모듈식별자(예: 모듈번호 또는 모듈이름)와 센서(120)용 센서식별자(예: 센서위치정보)를 가지고 있고, 모듈식별자 및 센서식별자와 함께 전기적 신호를 통신모듈(40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센서식별자는 모듈구동부(130) 또는 각 센서(120)에 마련될 수 있다.
방사선 영상 장치(500)는 통신모듈(400)과 통신하여 모듈식별자 또는 센서식별자와 함께 전송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반으로 방사선 투과 검사에 대응한 이미지를 방사선 영상 장치(500)의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실시간 표출할 수 있다.
따라서, 선주, 품질관리부 등과 같이 판독을 실시하는 부서의 사용자는 통신모듈(400)과 방사선 영상 장치(500)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방사선 투과 검사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접철모듈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각 접철모듈(100)은 앞서 설명한 배관에 밀착되기 위한 모듈케이싱(110)의 표면에 구비되는 충격 흡수용 적층부재(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 흡수용 적층부재(140)는 고무판, 실리콘판 등이 될 수 있고, 탄성을 가지고 있거나 충격 감쇄 역할을 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특정 재질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
충격 흡수용 적층부재(140)는 배관 또는 배관 용접부에 접촉하는 표면, 예컨대 모듈케이싱(110)의 저면에 부착되어 있을 수 있고, 접촉에 의한 스크레치 또는 크랙 등이 모듈케이싱(110)에 발생되지 않게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각 접철모듈(100)은 입력 포트(150)와 출력 포트(151)를 포함하고, 또한 해당 포트(150, 151)에 각각 접속될 수 있는 도 2의 연결 케이블(160)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포트(150)와 출력 포트(151)는 앞서 설명한 각 접철모듈(100)별 모듈구동부(130)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모듈케이싱(110)의 외측면에 표출되어 있다.
또한, 연결 케이블(160)은 입력 포트(150) 또는 출력 포트(151)에 적기적으로 접속(예: 직렬 링크 또는 병렬 링크)되어서, 접철모듈(100, 100a)들을 상호 접속시키거나, 접철모듈(100, 100a)과 통신모듈(400)을 서로 접속시키는 역할을 담당한다.
즉, 제 1 실시 예의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10)에 포함되고, 앞서 설명한 통신모듈(400)은 연결 케이블(160)을 통해 접철모듈(100, 100a)에 마련된 모듈구동부(130)와 접속된다.
따라서, 통신모듈(400)은 방사선 영상 장치(500)와 통신하고, 그 결과 모든 접철모듈(100, 100a)의 센서(120)의 촬영 데이터는 방사선 영상 장치(500)로 실시간 전송될 수 있다.
또한, 연결 케이블(160)은 접철모듈(100, 100a)의 개수 및 통신모듈(400)의 개수에 대응하게 구비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연결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연결부(200)는 접철모듈(100)의 사이 간격에 대응하게 연장된 판상의 몸체부(210)를 포함한다.
또한, 연결부(200)는 접철모듈(100)의 힌지부(11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힌지홀(211)을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홀(211)은 몸체부(21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210)의 일측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200)는 연결하려는 접철모듈의 연결핀(111)에 체결되기 위한 체결홀(212)을 포함한다.
여기서, 체결홀(212)은 몸체부(210)의 두께 방향을 기준으로, 몸체부(210)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특히, 체결홀(212)은 장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연결부(200)를 기준으로 접철모듈(100)들간의 상호 회전시 발생 가능한 간섭이 일어나지 않게 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또한, 체결홀(212)의 한쪽 부위에는 연결하려는 접철모듈의 연결핀(111)에 끼워지도록 개구부(213)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부(200)는 연결핀(111)과 연결부(200)간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하는 스토퍼(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20)는 가변 돌출턱 역할을 하는 돌출부(221)를 갖는다. 또한, 스토퍼(220)는 돌출부(221)의 이동을 위한 스프링이거나, 탄성재질로 이루어진 탄성지지부(222)를 갖는다.
또한, 스토퍼(220)는 리세스부(223)를 갖는다. 여기서, 리세스부(223)는 연결핀(111)이 체결홀(212)을 향하여 진입하는 방향에 수직한 방향을 기준으로 체결홀(212)의 개구부(213)의 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탄성지지부(222)는 리세스부(223)의 내부에서 돌출부(221)를 탄성 지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이런 스토퍼(220)는 연결핀(111)과의 접촉에 따라 리세스부(223)에서 탄성지지부(222)에 의해 돌출부(221)를 출몰시키는 역할을 담당하므로써, 일단 체결홀(212)에 들어간 연결핀(111)이 체결홀(212) 밖으로 쉽게 빠지지 않게 하고, 그 결과 사용중인 접철모듈(100)들간의 회전 가능한 연결상태는 비교적 안정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을 발휘할 수 있다.
각 연결부(200)는 도 3에 보이듯이, 접철모듈(100)의 길이 방향에 대응한 양측 끝단을 기준으로 쌍을 이루어 구비될 수 있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용 방사선 조사기를 배관의 내부에 배치한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용 방사선 조사기를 배관의 외부에 배치한 단면도이다.
도 5 또는 도 6을 참조하면, 접철모듈(100, 100a)들은 연결부(200)에 의해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접철모듈(100, 100a)들은 연결 케이블(160)을 통해 전기적으로 서로 접속됨과 함께 통신모듈(400)에도 접속될 수 있다.
접철모듈(100, 100a)들은 검사하려는 배관(1) 또는 배관 용접부의 외측을 감싸게 되고, 그 결과, 각각 배관(1)의 중심을 향하여 자연스럽게 각각의 접철모듈(100, 100a)의 배치 각도가 조정될 수 있다.
충격 흡수용 적층부재(140)는 배관(1) 또는 배관 용접부의 외주면과 접철모듈(100, 100a)의 모듈케이싱 사이에 개재되어 있어서, 반복 사용에 따른 접철모듈(100, 100a)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담당할 수 있다.
도 5에서 보이듯이 방사선 조사기(300)는 배관(1)의 내부, 또는 배관(1)의 중심을 기준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접철모듈(100, 100a)을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각 접철모듈(100, 100a)과 방사선 조사기(300) 사이에서 방사선의 조사거리(R)는 모두 동일할 수 있으므로, 접철모듈(100, 100a)에서 획득한 방사선 영상 장치용 이미지의 품질이 모두 양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각 접철모듈(100) 사이의 틈새 또는 간격으로 인해 생기는 미촬영 영역은 모든 접철모듈(100, 100a)을 배관(1)의 원주 방향을 따라 이동한 후 재촬영함에 따라 제거될 수 있다.
도 6에서 보이듯이 방사선 조사기(300)는 배관(1)의 외부에 배치될 수 있고, 접철모듈(100, 100a)을 향하여 방사선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각 접철모듈(100, 100a)과 방사선 조사기(300) 사이에서 방사선의 조사거리(R1, R2)는 서로 상이할 수 있으므로, 접철모듈(100, 100a)별 센서가 방사선 조사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간을 조정 또는 세팅하여 방사선 영상 장치용 이미지의 품질을 개선할 수 있다. 후술되는 제어방법에서와 같이 센서가 방사선 조사에 따라 데이터를 저장하는 시간은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을 의미할 수 있고,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을 세팅하는 과정에서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방사선 조사기(300)로부터 조사된 방사선은 방사선 조사기(300)로부터 가까운 위치의 접철모듈(100a)에 먼저 도달하고, 배관(1)의 곡면 기울기에 대응하여 상기 접철모듈(100a)보다 더 멀리 떨어진 차이거리(M)를 갖는 다른 접철모듈(100)에 늦게 도착한다.
이때, 차이거리(M)는 사용하려는 배관(1)의 직경 또는 반지름과 접철모듈(100, 100a)의 형상 사이즈를 고려하여 미리 파악할 수 있으므로, 상기 차이거리(M)에 대응한 접철모듈(100)의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도 실험을 통해 미리 알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방사선 영상 장치(500)에 접철모듈(100, 100a)별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을 검사 전에 설정함으로써, 방사선 영상 장치용 이미지에 대한 품질을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도 3에 도시된 접철모듈의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방사선 조사기(300)는 배관(1)의 중심을 통과하는 기준선(CL)을 기준으로 접철모듈(100)을 향하여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방사선 조사기(300)로부터 방사선을 받는 각각의 접철모듈(100)은 수천개 또는 수만개의 센서(120, 121, 122)를 가지고 있다.
이러한 센서(120, 121, 122)는 접철모듈(100)의 내부에서 평면 방향을 따라 배열 또는 배치되어 있다.
이때, 센서(120, 121, 122) 각각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센서식별자(예: 1번 ~ 2만번)를 가지고 있는 모듈구동부(130)에 의해 인식 가능하거나 미리 결정되어 있는 센서 배치 구간(W1, W2, W3, W4)별로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센서 배치 구간(W1, W2, W3, W4)은 (120, 121, 122)들의 배치 간격 또는 위치를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각 센서(120, 121, 122)의 센서 배치 구간(W1, W2, W3, W4)별 검출 타이밍은 동일하거나 서로 동일하게 설정되어서 방사선을 검출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각 단위 모듈인 접철모듈(100)의 방사선 검출 시간이 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20, 121, 122)의 센서 배치 구간(W1, W2, W3, W4) 내에서 앞서 센서식별자를 통해 각 센서(120, 121, 122)의 위치가 결정될 수 있다.
즉, 3구간 및 4구간(W3, W4)에 배치된 1번에서 1만번까지의 센서(121, 122)는 1.5초때의 데이터를 검출 및 저장하고, 1만1번에서 20만번까지의 센서(120, 123)는 1초 때의 데이터를 검출 및 저장할 수 있다.
즉, 접철모듈(100)의 중앙쪽의 센서 배치 구간(W1, W2)과 외곽쪽의 센서 배치 구간(W3, W4)에 도달하는 방사선의 중앙쪽 조사거리(R3)와 외곽쪽 조사거리(R4)간 거리 차이로 인하여 방사선의 조사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품질에 발생될 문제도 해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에 대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9는 도 8에 도시된 접철모듈의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 세팅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에 따르면, 배관을 향하는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방사선 영상 장치용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센서가 탑재된 접철모듈을 연결부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접철모듈의 표면이 배관의 곡면에 대응하게 밀착되도록, 상기 배관의 중심을 향하여 상기 접철모듈을 배치하는 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이후, 접철모듈의 상기 센서에 접속된 방사선 영상 장치에 의해, 상기 접철모듈의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을 세팅하는 단계(S120)가 진행될 수 있다.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을 세팅하는 단계(S120)는 도 9를 통해서 상세히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이렇게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이 세팅된 이후에는 배관 또는 배관 용접부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 장치에서 상기 방사선을 조사하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단계(S130)가 이루어질 수 있다.
이후, 방사선 조사에 따라 상기 센서에서 생성된 촬영 데이터가 상기 접철모듈에 접속된 통신모듈을 통해 상기 방사선 영상 장치에 전송되는 단계(S140)가 이루어진다.
그리고, 방사선 영상 장치가 상기 촬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시켜서, 실시간 확인이 이루어지고, 상기 촬영 데이터가 방사선 영상 장치의 메모리에 저장되는 단계(S150)가 이루어진다.
도 9를 참조하면,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을 세팅하는 단계(S120)는 접철모듈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S201)(도 5 또는 도 6 참조)과, 접철모듈의 센서 배치 구간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S202)(도 7)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접철모듈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S201)에 따르면, 방사선 영상 장치는 접철모듈별 모듈구동부의 모듈식별자를 기준으로 상기 배관을 감싸고 있는 접철모듈들의 모듈 배열 위치와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한다.
그리고, 모듈 배열 위치별 접철모듈의 검출 타이밍을 정하기 위하여,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선 조사 시점으로부터 지연되는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은 상기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방사선 영상 장치에 입력될 수 있다.
한편, 접철모듈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S201)에서, 접철모듈은 배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방사선 영상 장치의 방사선 조사기가 상기 배관의 중심에 배치되는 경우(도 5 참조),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은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모두 동일하게 입력될 수 있다.
그리고, 접철모듈이 배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방사선 영상 장치의 방사선 조사기가 상기 배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접철모듈의 반대쪽인 상기 배관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6 참조),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은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상기 조사기와 상기 접철모듈간 조사거리 비율에 대응하게 차등 입력될 수 있다.
아울러, 도 7을 참조하면, 접철모듈의 센서 배치 구간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S202)의 경우, 방사선 영상 장치는 접철모듈별 모듈구동부의 센서식별자를 기준으로 센서 배치 구간과 센서 배치 구간별 시간 입력란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센서 배치 구간별 센서의 검출 타이밍을 정하기 위하여,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선 조사 시점으로부터 지연되는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이 상기 센서 배치 구간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차등적으로 방사선 영상 장치에 입력될 수 있다.
[제 2 실시 예]
이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본 고발명의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는 케이싱단차부를 갖는 모듈케이싱을 제외하고, 제 1 실시 예와 동일하거나 매우 유사할 수 있다.
그러하므로, 도 1 내지 도 11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것이며, 이것들에 대한 설명은 여기에서 생략될 것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접철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접철모듈을 복수개로 연결하여 배관 용접부에 배열한 단면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 2 실시 예에 따른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배관(1)의 표면에 놓여지고, 배관(1)을 향해 조사된 방사선을 검출하도록, 각각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방사선 영상 장치용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센서(120, 124)가 탑재되어 있는 복수개의 접철모듈(100b)과, 그 접철모듈(100b)이 배관(1)의 곡면에 대응하게 밀착되게 배치되도록, 일측의 접철모듈(100b)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의 접철모듈(미도시)의 연결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접철모듈(100b)은 배관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케이싱본체부(101)와, 도 11에 표시한 바와 같은 접철모듈(100b) 사이의 갭(G)을 덮을 수 있도록 케이싱본체부(101)의 끝단에서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된 케이싱단차부(102)를 갖는 모듈케이싱(110)을 포함한다.
이때, 접철모듈(100b)도 앞서 제 1 실시 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접철모듈(100b)의 내부에 마련될 수 있는 모듈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모듈구동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센서(120, 124)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센서(120, 124)의 작동을 제어하고, 모듈식별자와 센서식별자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제 2 실시 예에 따른 접철모듈(100b)도 모듈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케이싱본체부(101)의 외측면에 표출되어 있는 입력 포트(150)와 출력 포트(151)를 가지고 있을 수 있다.
또한, 접철모듈(100b)의 센서(120, 124)도 케이싱본체부(101)의 내부와 케이싱단차부(102)의 내부에 분산 탑재되어 있다.
특히, 갭(G)의 위쪽의 케이싱단차부(102)에 배치된 센서(124)는 케이싱본체부(101)에 배치된 센서(120)에 비해 상대적으로 딜레이된 시간차를 두고 방사선을 검출하고 그에 대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갭(G) 쪽의 조사거리(RG)와 케이싱본체부(101) 쪽의 조사거리(R)간 거리 차이로 인하여 방사선의 조사시간이 다르기 때문에 품질에 발생될 문제도 해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접철모듈(100b)은 충격 흡수용 적층부재(140, 141), 힌지부(112), 연결핀(111)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충격 흡수용 적층부재(140, 141)는 모듈케이싱(110)에서 상기 케이싱본체부(101)의 저면과 케이싱단차부(102)의 저면에 각각 구비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힌지부(112)는 연결부(200)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케이싱본체부(101)의 양쪽 끝단의 일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연결핀(111)은 케이싱본체부(101)의 양쪽 끝단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처럼 본 실시 예들에 따른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는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복수개의 센서를 갖는 복수개의 접철모듈이 연결부를 통해 상호 연결 또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이즈를 갖는 배관 용접부에 용이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는 통신모듈을 통해서 접철모듈의 센서의 디지털 이미지 정보를 실시간으로 방사선 영상 장치에 전송함으로써, 배관 용접부에 대한 실시간 방사선 투과 검사를 실현할 수 있고, 검사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거리적인 제약을 벗어나 안정성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는 접철모듈 사이의 갭에 대하여, 케이싱단차부의 센서로 방사선을 검출함으로써, 방사선 재촬영을 줄여 검사시간을 대폭 단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결과적으로 배관 용접부에 대한 검사 영상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여기에 개시된 실시 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바탕으로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100a, 100b: 접철모듈 101 : 케이싱본체부
102 : 케이싱단차부 110 : 모듈케이싱
111 : 연결핀 112 : 힌지부
120, 121, 122, 123, 124 : 센서 130 : 모듈구동부
140, 141 : 적층부재 150 : 입력 포트
151 : 출력 포트 160 : 연결 케이블
200 : 연결부 300 : 방사선 조사기
400 : 통신모듈 500 : 방사선 영상 장치

Claims (9)

  1. 배관을 향하는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방사선 영상 장치용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센서가 탑재된 접철모듈을 연결부로 서로 연결하고, 상기 접철모듈의 표면 중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배관의 곡면에 밀착되도록, 상기 배관의 중심을 향하여 상기 접철모듈을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접철모듈의 상기 센서에 접속된 방사선 영상 장치에 의해, 상기 배관의 곡률에 따른 상기 방사선의 도달시간 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접철모듈의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을 세팅하는 단계; 및
    상기 배관 또는 배관 용접부의 결함을 검출하기 위하여, 상기 방사선 영상 장치에서 상기 방사선을 조사하는 디지털 방사선 촬영 단계를 포함하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을 세팅하는 단계는,
    상기 접철모듈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 및
    상기 접철모듈의 센서 배치 구간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모듈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은,
    상기 방사선 영상 장치가 접철모듈별 모듈구동부의 모듈식별자를 기준으로 상기 배관을 감싸고 있는 접철모듈들의 모듈 배열 위치와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모듈 배열 위치별 접철모듈의 검출 타이밍을 정하기 위하여,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선 조사 시점으로부터 지연되는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이 상기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방사선 영상 장치에 입력되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모듈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은,
    상기 접철모듈이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방사선 영상 장치의 방사선 조사기가 상기 배관의 중심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이 상기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모두 동일하게 입력되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모듈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은,
    상기 접철모듈이 상기 배관의 외주면에 배치되고, 상기 방사선 영상 장치의 방사선 조사기가 상기 배관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접철모듈의 반대쪽인 상기 배관의 외부에 배치되는 경우,
    상기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이 상기 모듈 배열 위치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상기 조사기와 상기 접철모듈간 조사거리 비율에 대응하게 차등 입력되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모듈의 센서 배치 구간별 검출 타이밍을 세팅하는 과정은,
    상기 방사선 영상 장치가 접철모듈별 모듈구동부의 센서식별자를 기준으로 센서 배치 구간과 센서 배치 구간별 시간 입력란을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하고,
    상기 센서 배치 구간별 센서의 검출 타이밍을 정하기 위하여, 방사선 조사기의 방사선 조사 시점으로부터 지연되는 센서 데이터 저장 시간이 상기 센서 배치 구간별 시간 입력란을 통해 차등적으로 방사선 영상 장치에 입력되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의 제어방법.
  7. 배관의 표면에 놓여지고, 상기 배관을 향해 조사된 방사선을 검출하도록, 각각 방사선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해 방사선 영상 장치용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한 촬영 데이터를 생성하는 복수개의 센서가 탑재되어 있는 복수개의 접철모듈;
    상기 접철모듈의 표면 중 적어도 일 영역이 상기 배관의 곡면에 밀착되게 배치되도록, 일측의 접철모듈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타측의 접철모듈의 연결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부; 및
    상기 복수개의 센서에 접속되고, 상기 배관의 곡률에 따른 상기 방사선의 도달시간 오차를 고려하여 상기 복수개의 접철모듈 각각의 방사선 검출 지연시간을 세팅하는 방사선 영상 장치를 포함하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모듈은,
    상기 배관에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케이싱본체부와, 상기 접철모듈 사이의 갭을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케이싱본체부의 끝단에서 계단 형상을 가지도록 일체형으로 형성된 케이싱단차부를 갖는 모듈케이싱;
    상기 센서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상기 센서의 작동을 제어하고, 모듈식별자와 센서식별자를 가지고 있는 모듈구동부; 및
    상기 모듈구동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상기 케이싱본체부의 외측면에 표출되어 있는 입력 포트와 출력 포트;를 포함하고,
    상기 센서가 상기 케이싱본체부의 내부와 상기 케이싱단차부의 내부에 분산 탑재되어 있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접철모듈은,
    상기 모듈케이싱에서 상기 케이싱본체부의 저면과 상기 케이싱단차부의 저면에 각각 구비되는 충격 흡수용 적층부재;
    상기 연결부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케이싱본체부의 양쪽 끝단의 일측에 각각 형성된 힌지부; 및
    상기 케이싱본체부의 양쪽 끝단의 타측에 각각 형성되어 있는 연결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KR1020180074879A 2018-06-28 2018-06-28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KR102138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79A KR102138745B1 (ko) 2018-06-28 2018-06-28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4879A KR102138745B1 (ko) 2018-06-28 2018-06-28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48A KR20200001848A (ko) 2020-01-07
KR102138745B1 true KR102138745B1 (ko) 2020-07-28

Family

ID=691536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4879A KR102138745B1 (ko) 2018-06-28 2018-06-28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387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295647A (zh) * 2021-12-17 2022-04-08 仑勤技术(上海)有限公司 异型面物体x射线dr数字化成像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065B1 (ko) 2005-10-31 2007-04-13 한국전력공사 자동화된 방사선투과장치
JP2013061154A (ja) * 2011-09-12 2013-04-04 Hitachi Ltd 放射線断層撮影方法および放射線断層撮影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17770B1 (ko) * 2006-09-14 2008-04-07 나우기연주식회사 비파괴검사용 자동 초음파 스캐너장치
KR20090091971A (ko) * 2008-02-26 2009-08-31 고려공업검사 주식회사 감마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트랙형 검사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07065B1 (ko) 2005-10-31 2007-04-13 한국전력공사 자동화된 방사선투과장치
JP2013061154A (ja) * 2011-09-12 2013-04-04 Hitachi Ltd 放射線断層撮影方法および放射線断層撮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1848A (ko) 2020-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Halmshaw Introduction to the non-destructive testing of welded joints
KR100884524B1 (ko) 자동 초음파 탐상장치
KR102138745B1 (ko)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7454709B2 (ja) 放射線デテクター及びこれを備える放射線検査装置
CN104698015A (zh) 电站锅炉膜式壁管焊缝盲区x射线检测方法
CN106338529A (zh) 一种钎焊管焊缝焊接质量的射线检测方法
CN105301020A (zh) 基于Mecanum轮的数字平板射线检测的射线源端机器人
KR102150398B1 (ko) 배관용 디지털 방사선 촬영 장치
CN104181179A (zh) 一种管子-管板对接焊缝的射线照相方法
KR101661908B1 (ko) 방사선 투과 검사 장치
KR102420923B1 (ko) 배관 용접부 자동 검사장치
KR101825654B1 (ko) 배관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CN107782752B (zh) 一种焊缝射线检测设备及其检测方法
JP6204892B2 (ja) 乗客コンベア用移動手摺劣化診断装置
JP2023544304A (ja) パイプ及びその他の構造の放射線検査システムと材料損失の推定
CN201215549Y (zh) 一种定向x射线探伤机角度指示装置
KR102457912B1 (ko) 이동식 디지털 방사선 검사 장치
KR20090091971A (ko) 감마선 동위원소를 이용한 트랙형 검사장치
KR101674667B1 (ko) 이동성이 향상된 비파괴 검사용 방사성 동위원소 방사선 노출 제한 장치
US4542520A (en) X-ray determination of parts alignment
JP2006138781A (ja) 光透過検査装置
KR102498409B1 (ko) 선박의 용접선 검사 장치
JP2007240253A (ja) 亀裂検出装置および亀裂検出方法
Pardikar Digital radiography and Computed radiography for Enhancing the Quality and Productivity of Weldments in Boiler components
Sood et al. NDE Welds Inspection Qualifications for Pipework and Pipelin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