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16150B1 -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16150B1
KR101516150B1 KR1020130065022A KR20130065022A KR101516150B1 KR 101516150 B1 KR101516150 B1 KR 101516150B1 KR 1020130065022 A KR1020130065022 A KR 1020130065022A KR 20130065022 A KR20130065022 A KR 20130065022A KR 101516150 B1 KR101516150 B1 KR 10151615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welding
unit
sensing
ray gener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43296A (ko
Inventor
최병기
박정우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한솔검사엔지니어링(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한솔검사엔지니어링(주)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3006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6150B1/ko
Publication of KR201401432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432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615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615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1/00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1/12Processes relevant to this subclas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purposes, but not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relating to investigating the properties, e.g. the weldability, of materials
    • B23K31/125Weld quality monitor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 G01N23/0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 G01N23/04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wave or particle radiation, e.g. X-rays or neutrons, not covered by groups G01N3/00 – G01N17/00, G01N21/00 or G01N22/00 by transmitting the radiation through the material and forming images of the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7/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 G01N27/7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 G01N27/82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 G01N27/9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electric, electrochemical, or magnetic means by investigating magnetic variables for 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using eddy currents
    • G01N27/9093Arrangements for supporting the sensor; Combinations of eddy-current sensors and auxiliary arrangements for marking or for rejec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4Probes
    • G01N29/2412Probes using the magnetostrictive properties of the material to be examined, e.g. electromagnetic acoustic transducers [EMA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1/00Uses or applications of pigs or moles
    • F16L2101/30Inspecting, measuring or test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Pathology (AREA)
  • Immunolog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Radi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포지셔너 없이 와전류를 이용하여 관과 관 사이의 용접부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종래 사용된 방사능포지셔너 또는 자력포지셔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안전성과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의 구성은 관로(P1)의 용접부(A)에 엑스선을 발산하는 엑스선발산부(210)를 갖는 엑스선발생기(200); 상기 엑스선발생기(200)와 연결되고, 모터(330)의 구동에 의해 관로(P1) 내부를 주행 및 정지하여 상기 엑스선발생기(200)를 이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체(300); 상기 엑스선발생기(200)의 전방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410)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를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용접부(A)를 맴돌 때 코일(410)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4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A)를 감지하는 감지부(400); 상기 감지부(400)가 용접부(A)를 감지한 후 용접부(A)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210)에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감지부(400)를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하고, 용접부(A) 검사 후 감지부(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수단(500); 및 상기 구동체(3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부품을 용접부(A) 검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Nondestructive ultrasonic inspector for inspecting weldzone of pipe}
본 발명은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외부 포지셔너 없이 와전류를 이용하여 관과 관 사이의 용접부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종래 사용된 방사능포지셔너 또는 자력포지셔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용접부를 감지할 때 안전성과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로(管路)는 지하에 매설된 상, 하수도관 따위를 통칭하는 것으로, 여러 개의 관이 서로 연통되게 일렬로 용접되어 연결된다.
상기와 같이 용접에 의해 연결된 배관은 관과 관 사이에 용접부가 형성되는데, 이 용접부는 이웃하는 관의 연결부분을 녹여서 용접하기 때문에 용융 후 냉각되어 조직이 재결정되므로 배관의 다른 부분에 비해 강도가 취약하게 된다.
특히, 용접부는 작업자의 숙련도에 따라 용접상태가 달라지게 되는데, 예컨대 용접시간이 너무 길거나 짧아 용접부가 견고하지 않게 되거나, 또는 용접부 내부에 기공이나 불순물이 많이 존재하게 되면 강도는 현저히 더 취약하게 된다. 자체만으로도 다른 부분에 비해 강도가 취약한 용접부가 미숙련자의 작업으로 인하여, 또는 기공이나 불순물 등이 존재하는 등 외부 영향에 의해 더 취약해지면 사용시 단시간에 크랙이 발생하여 내부를 흐르는 물질이 유출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러한 크랙이 장시간 진행되면 용접부는 결국 파손되므로 사용 중인 배관은 그 기능을 상실하게 된다.
그러므로, 용접된 배관은 매설하여 사용하기 전에 검사장치를 이용하여 강도를 포함한 여러 가지 안전도를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도 1 내지 2는 종래 용접부 검사장치를 보이고 있다. 도 1의 용접부 검사장치(1)는 용접부를 검사할 때 배관(P) 외부 용접부(A) 근처에 방사능포지셔너(C1)를 놓아 용접부(A) 위치를 감지하게 된다. 즉, 구동체(2) 전방에 방사능포지셔너(C1)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1)와 용접부(A)에 엑스선을 투과시키는 엑스선발생기(3)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구동체(2)에는 상기 감지센서(S1)의 신호를 받아 엑스선발생기(3)를 구동하는 제어부(4)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1의 용접부 검사장치(1)를 사용하기 전에 용접부(A)의 외부 둘레를 따라 필름(F)을 도포시킨 후, 용접부(A)가 형성된 배관(P) 외부 적당 위치에 방사능포지셔너(C1)를 위치시킨다. 이때 용접부(A)와 방사능포지셔너(C1)와의 거리는 엑스선발생기(3)의 엑스선발산부(31)와 감지센서(S1)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가 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모터(22)를 구동시켜 구동체(2)가 관로(P1)를 주행하게 하고, 이 과정에서 구동체(2)의 주행에 따라 이동하는 감지센서(S1)가 방사능포지셔너(C1)의 방사능을 가장 크게 센싱할 때, 제어부(4)는 구동체(2)의 주행을 정지시켜 엑스선발산부(31)를 용접부(A)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게 한다.
이후, 제어부(4)는 엑스선발생기(3)를 구동시켜 엑스선발산부(31)에서 엑스선이 방사상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이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하여 외부에 도포된 필름(F)에 영상이 표시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필름(F)에 표시된 영상을 판독하여 용접부(A)의 결함여부 또는 조직의 강도 등 여러 가지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검사장치는 방사능포지셔너(C1)를 사용하게 되는데, 이 방사능포지셔너(C1)는 휴대시 원자력안전법에 따라 허가를 받아야 하므로 사용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 방사능포지셔너(C1)는 안전하게 보관해야 하므로 법규에 맞게 설계된 별도의 저장실을 마련해야 하므로 이에 따른 비용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방사능포지셔너(C1)를 잘못 사용할 경우 방사능에 사용자가 피폭될 수 있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고, 더 나아가 방사능포지셔너(C1)를 분실할 경우 안전사고의 중대한 문제점이 있는 등 방사능포지셔너(C1)는 사용에 따른 제반 많은 문제점이 있어 용점부 검사가 너무 불편하였다.
또한, 용접부(A)마다 반복적으로 방사능포지셔너(C1)를 정확한 위치에 세팅해야 하므로 이의 공정이 매우 번거로운 단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방사능포지셔너(C1) 대신에 자력을 이용한 자력포지셔너(C2)를 사용하였다. 즉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종래의 검사장치(1)는 구동체(2) 전방에 자력포지셔너(C2)를 감지하는 감지센서(S2)와 용접부(A)에 엑스선을 투과시키는 엑스선발생기(3)가 각각 장착되고, 상기 구동체(2)에는 상기 감지센서(S2)의 신호를 받아 엑스선발생기(3)를 구동하는 제어부(4)가 장착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도 2의 용접부 검사장치를 사용하기 전에 용접부(A)의 외부 둘레를 따라 필름(F)을 도포시킨 후, 용접부(A)가 형성된 배관 외부 적당 위치에 자력포지셔너(C2)를 위치시킨다. 이때 용접부(A)와 자력포지셔너(C2)와의 거리는 엑스선발생기(3)의 엑스선발산부(31)와 감지센서(S2)와의 거리와 동일한 거리가 되게 한다.
이 상태에서 모터(22)를 구동시켜 구동체(2)가 관로(P1) 내부를 주행하게 하고, 이 과정에서 구동체(2)의 주행에 따라 이동하는 감지센서(S2)가 자력포지셔너(C2)의 자력을 가장 크게 센싱할 때, 제어부(4)는 구동체(2)의 주행을 정지시켜 엑스선발산부(31)가 용접부(A)와 동일 선상에 위치되게 한다.
이후, 제어부(4)는 엑스선발생기(3)를 구동시켜 엑스선발산부(31)에서 엑스선이 방사상으로 발산되도록 하여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하여 외부에 도포된 필름(F)에 엑스선 영상이 표시되도록 하여 용접부(A)의 결함여부 또는 조직의 강도 등 여러 가지 검사를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검사장치(1)는 자력포지셔너(C2)에서 발생되는 자력이 배관(P)을 투과하여야 하기 때문에, 자력의 세기(힘)가 떨어져, 감지센서(S2)가 자력을 잘 감지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엑스선발산부(31)가 용접부(A)와 동일 선상에 정확하게 위치되지 못하여 용접부 검사에 오류를 발생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2000년 06월 12일자 출원번호 제10-2000-0032085호(발명의 명칭 : 와전류를 이용한 관 결함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가 특허청에 출원된바 있고, 청구의 범위는 " 청구항 1. 관의 결함을 검출하고자 관의 내부에 투입되어 와전류를 발생시키는 탐촉코일과 상기 탐촉코일에서 발생한 신호를 기초로 하여, 상기 관의 길이방향의 위치에 따라 상기 관의 결함신호를 발생하는 결함신호 발생장치를 포함하는 관 결함 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탐촉코일이 상기 관 입구의 끝단에 도달하면 상기 탐촉코일이 상기 관의 입구의 끝단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관입구끝단펄스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탐촉코일이 상기 관 출구의 끝단에 도달하면 상기 탐촉코일이 상기 관 출구의 끝단에 위치함을 나타내는 관출구끝단펄스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상기 관의 입구 및 출구의 끝단위치를 자동으로 결정하여 상기 관의 길이방향으로 상기 관이 차지하는 구간을 결정하는 관 위치 결정신호 발생장치와; 상기 관 위치 결정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관 위치 결정신호와, 상기 결함신호 발생장치로부터 입력받은 관 결함신호를 디지털신호로 변환하는 A/D 변환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된 와전류를 이용한 관 결함 검사장치. " 이다.
그러나, 상기한 와전류를 이용한 관 결함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은 와전류를 이용한 관 결함 검사장치에 엑스선발산부(31)가 없기 때문에 관로(P1)의 용접부(A)를 정확하게 검사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용접부 검사장치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은 외부 포지셔너 없이 와전류를 이용하여 관과 관 사이의 용접부를 정확하게 감지하여 종래 사용된 방사능포지셔너 또는 자력포지셔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용접부를 감지할 때 안전성과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구성은, 관로의 용접부에 엑스선을 발산하는 엑스선발산부를 갖는 엑스선발생기;
상기 엑스선발생기와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관로 내부를 주행 및 정지하여 상기 엑스선발생기를 이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체;
상기 엑스선발생기의 전방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를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용접부를 맴돌 때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용접부를 감지한 후 용접부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에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를 투과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감지부를 용접부 영역에서 벗어나게 하고, 용접부 검사 후 감지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구동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부품을 용접부 검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구동체가 관로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감지부가 와전류를 발생하여 돌출된 용접부를 감지하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이동수단이 구동하여 감지부를 용접부 영역에서 벗어나게 한 다음 엑스선발생기의 엑스선발산부가 엑스선을 방사상으로 발산하여 용접부에 투과시켜 용접부 외측에 도포된 필름에 영상을 표시하여 용접부 검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실시예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구성은, 관로의 용접부에 엑스선을 발산하는 엑스선발산부를 갖는 엑스선발생기;
상기 엑스선발생기와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관로 내부를 주행 및 정지하여 상기 엑스선발생기를 이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체;
상기 엑스선발생기의 전방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를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용접부를 맴돌 때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용접부를 감지한 후 용접부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에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를 투과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감지부를 용접부 영역에서 벗어나게 하고, 용접부 검사 후 감지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구동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부품을 용접부 검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왕복 이동수단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코일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돌출된 용접부를 통과할 때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이고,
상기 구동체가 관로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감지부가 와전류를 발생하여 돌출된 용접부를 감지하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이동수단이 구동하여 제1감지센서를 용접부 영역에서 벗어나게 한 다음 엑스선발생기의 엑스선발산부에서 방사상으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를 투과하여 용접부 외측에 도포된 필름에 영상을 표시하여 용접부 검사를 수행한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는, 관로의 용접부에 엑스선을 발산하는 엑스선발산부를 갖는 엑스선발생기;
상기 엑스선발생기와 연결되고, 모터의 구동에 의해 관로 내부를 주행 및 정지하여 상기 엑스선발생기를 이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체;
상기 엑스선발생기의 전방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를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용접부를 맴돌 때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를 감지하는 감지부;
상기 감지부가 용접부를 감지한 후 용접부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에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를 투과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감지부를 용접부 영역에서 벗어나게 하고, 용접부 검사 후 감지부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수단; 및
상기 구동체의 일측에 설치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부품을 용접부 검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감지부는 왕복 이동수단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코일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돌출된 용접부를 통과할 때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 및
상기 제1감지센서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왕복 이동수단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코일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돌출된 용접부를 통과할 때 코일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체가 관로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제1감지센서가 와전류를 발생하여 돌출된 용접부를 감지하면, 제어부의 신호에 의해 모터의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구동체는 서행하고, 제2감지센서가 돌출된 용접부를 감지할 때 구동체는 정지되고 이동수단이 상기 제2감지센서를 용접부 영역에서 벗어나게 한 다음 엑스선발생기의 엑스선발산부에서 방사상으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를 투과하여 용접부 외측에 도포된 필름에 영상을 표시하여 용접부 검사를 수행한다.
본 발명의 구동체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프레임을 이동시키는 바퀴;
상기 바퀴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
상기 프레임에 탑재되고, 모터, 엑스선발생기, 이동수단, 및 제어부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엑스선발생기 전방에 브래킷이 장착되고, 이 브래킷에 이동수단이 탑재된다. 상기 이동수단은 로드가 왕복 이동하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한다.
본 발명은 엑스선발생기 하부에 보조바퀴가 장착된다.
본 발명의 제1감지센서는 용접부 검사시 엑스선발산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용접부를 감지할 때 엑스선발산부가 용접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하고, 이후 용접부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에서 엑스선이 발산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동수단에 의해 용접부 영역에서 벗어난다.
본 발명의 제2감지센서는 용접부 검사시 엑스선발산부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용접부를 감지할 때 엑스선발산부가 용접부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하고, 이후 용접부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에서 엑스선이 발산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동수단에 의해 용접부 영역에서 벗어난다.
본 발명의 전원공급부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 또는 프레임에 탑재되는 배터리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사용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는 외부 포지셔너가 필요없이 2개의 센서에서 와전류를 용접부에 보냄으로써 유도되는 값을 이용하여 용접부 위치를 정확하게 감지하게 되므로 종래 사용된 외부포지셔너, 즉 방사능포지셔너 또는 자력포지셔너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용접부 검사를 편리하면서도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외부 포지셔너가 필요 없기 때문에 보관 및 이동이 간단한 효과가 있을 뿐만 아니라 용접부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으므로 종래에 비해 방사능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안정성 및 정확성을 담보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도 1은 종래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종래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 내지 도 5는 도 3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제1감지센서 또는 제2감지센서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6은 도 3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왕복 이동수단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8은 도 3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제1감지센서 또는 제2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도 3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도 3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3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제1감지센서 또는 제2감지센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9는 도 3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제1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0은 도 3의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의 제2실시예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도 8,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100)는, 크게 관로(P1)의 용접부(A)에 엑스선을 발산하는 엑스선발생기(200), 상기 엑스선발생기(200)를 이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체(300), 와전류를 이용하여 돌출된 용접부(A)를 감지하는 감지부(400), 엑스선발생기(200)가 용접부(A)에 엑스선을 발산할 때 상기 감지부(400)를 이동시키는 이동수단(500), 및 용접부(A) 검사를 위해 구성요소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엑스선발생기(200)는 용접부(A)에 엑스선을 투과시켜 용접부(A) 외부에 도포된 필름(F)에 용접부(A)의 영상을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엑스선발기는 공지의 것으로, 대략 선단부 둘레에 엑스선이 발산되는 엑스선발산부(210)가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엑스선발산부(210)는 엑스선발생기(200) 둘레를 따라 형성되므로 엑스선을 방사상으로 발산하여 용접부(A) 전체를 투과하여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또한, 상기 엑스선발생기(200)는 비교적 길게 형성되므로 선단부가 구동체(300)에서 멀리 떨어져 있으므로 처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으므로 선단부 하부에 보조바퀴(220)가 장착되어 관로(P1) 내부를 안정되게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구동체(300)는 상기 엑스선발생기(200)와 연결되고, 모터(330)(22)의 구동에 의해 관로(P1) 내부를 주행 및 정지하여 상기 엑스선발생기(200)를 이동 및 정지시키는 기능을 한다. 따라서 상기 구동체(300)에 의해 이동된 엑스선발생기(200)는 용접부(A)에 엑스선을 투과시켜 용접부(A) 검사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같이 엑스선발생기(200)를 이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체(300)의 구성은,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310);
상기 프레임(310)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프레임(310)을 이동시키는 바퀴(320);
상기 바퀴(32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30);
상기 프레임(310)에 탑재되고, 모터(330), 엑스선발생기(200), 이동수단(500), 및 제어부(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4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310)은 구성요소를 탑재하는 적재함 기능을 하게 되므로, 구성요소를 편리하게 탑재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310)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부에 상기 바퀴(320)가 장착되고, 상기 바퀴(320)는 모터(330)의 구동에 의해 회전하여 구동체(300)를 이동시키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부(340)는 구동되는 모든 구성요소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엑스선발생기(200), 바퀴(320)를 회전시키는 모터(330), 이동수단(500), 제어부(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 또는 프레임(310)에 탑재되는 배터리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전원공급부(340)의 전원 공급에 의해 모터(330)가 구동하여 바퀴(320)를 회전시키고, 엑스선발생기(200)는 엑스선발산부(210)를 통해 용접부(A)에 엑스선을 투과시키며, 이동수단(500)은 감지부(400)를 왕복이동시키고, 또한 제어부(600)는 용접부(A) 검사에 필요한 구성요소들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감지부(400)는 종래 발명에서 사용된 외부포지셔너를 사용하지 않고 와전류를 이용하여 돌출된 용접부(A) 위치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는 종래 발명과 대비된다. 즉, 감지부(400)는 도 5 내지 도 6과 같이 상기 엑스선발생기(200)의 전방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도 8과 같이 코일(410)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를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돌출된 용접부(A) 표면을 맴돌 때 코일(410)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A)를 감지토록 한다.
이와 같이 와전류를 이용한 표면 검사는 비파괴검사 분야에서 종래에도 널리 사용된 공지 기술이고, 이를 본 발명에 적용한 것이다. 이 기술의 원리는 발생된 와전류가 검사표면을 맴돌 때 표면이 평탄하여 거칠기가 없다면 인덕턴스가 거의 발생하지 않아 임피던스 변화량이 적고, 용접부(A)와 같이 표면이 볼록하여 심한 표면 거칠기가 있는 부분에서는 인덕턴스가 심하게 발생하여 임피던스 변화량이 커지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감지부(400)가 구동체(300)에 의해 관로(P1) 내부를 이동하면서 관로(P1) 내부 표면에 와전류를 발생하여 표면 거칠기를 측정하게 되는데, 용접부(A)가 아닌 평탄부분에서는 와전류에 의해 측정된 인덕턴스 값이 균일하여 용접부(A)가 아니라는 것을 알 수 있고, 진행과정에서 볼록한 표면의 용접부(A)가 나타나면 측정된 인덕턴스 값이 크게 변하게 되는데, 이때 와전류는 맴돌이 전류이므로 용접부(A) 간격이 크지 않아 용접부(A) 폭 전체를 맴돌면서 표면 거칠기를 검사하게 된다.
이와 같이 와전류에 의해 측정된 최대 인덕턴스 값은 용접부(A)의 최대 볼록한 부분에 의해 발생 되므로, 복수 개의 용접부(A) 검사를 할 때마다 인덕턴스 값이 최대가 될 때 제어부(600)가 모터(330)의 구동을 정지시키도록 미리 제어부(600)를 세팅한다. 이렇게 되면 감지부(400)는 와전류에 의해 용접부(A)의 최대 볼록점을 쉽게 감지하여 용접부(A) 위치을 정확하게 찾아낸다.
여기서, 상기 감지부(400)의 일 실시예는 제1감지센서(420)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1감지센서(420)는 이동수단(500)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코일(410)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돌출된 용접부(A)를 통과할 때 코일(410)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4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한다.
이의 사용은 상기 구동체(300)가 관로(P1)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제1감지센서(420)가 와전류를 발생하여 돌출된 용접부(A)를 감지하면,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이동수단(500)이 구동하여 제1감지센서(420)를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한 다음 엑스선발생기(200)의 엑스선발산부(210)에서 방사상으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하여 용접부(A) 외측에 도포된 필름(F)에 영상을 표시하여 용접부(A)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1감지센서(420)는 용접부(A) 검사시 엑스선발산부(2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용접부(A)를 감지할 때 엑스선발산부(210)가 용접부(A)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하고, 이후 용접부(A)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210)(31)에서 엑스선이 발산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동수단(500)에 의해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된다.
상기 감지부(400)의 다른 실시예는 2개의 감지센서, 즉 제1,2감지센서(420)(430)를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제1감지센서(420)는 이미 설명하였고, 제2감지센서(430)는 상기 제1감지센서(4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왕복 이동수단(500)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코일(410)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돌출된 용접부(A)를 통과할 때 코일(410)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4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A)를 감지하게 된다.
상기 제1,2감지센서(420)(430)의 사용은, 상기 구동체(300)가 관로(P1)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제1감지센서(420)가 와전류를 발생하여 돌출된 용접부(A)를 감지하면,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모터(330)의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구동체(300)는 서행하고, 제2감지센서(430)가 돌출된 용접부(A)를 감지할 때 구동체(300)는 정지되고 이동수단(500)이 상기 제2감지센서(430)를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한 다음 엑스선발생기(200)의 엑스선발산부(210)에서 방사상으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하여 용접부(A) 외측에 도포된 필름(F)에 영상을 표시하여 용접부(A) 검사를 수행하게 된다.
상기 제2감지센서(430)는 용접부(A) 검사시 엑스선발산부(2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용접부(A)를 감지할 때 엑스선발산부(210)가 용접부(A)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하고, 이후 용접부(A)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210)에서 엑스선이 발산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동수단(500)에 의해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된다.
상기 이동수단(500)은 감지부(400)가 용접부(A)를 감지한 후 용접부(A)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210)에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감지부(400)를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하고, 용접부(A) 검사 후 감지부(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기능을 한다.
상기 이동수단(500)은 엑스선발생기(200) 전방에 장착된 브래킷에 탑재되는데, 구입이 쉽게 비용이 저렴한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를 사용한다. 상기 실린더는 작동유체의 공급 및 토출에 따라 로드가 왕복 이동하게 되므로 상기 로드에 검사부를 탑재하게 되면, 엑스선발생기(200)가 용접부(A)에 엑스선을 투과시킬 때 상기 검사부를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0)는 구동체(3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부품들, 즉 모터(330), 엑스선발생기(200), 이동수단(500)을 용접부(A) 검사가 가능하도록 제어한다. 이의 제어에 관한 내용은 후술된다.
다음은 본 발명이 배관 용접부를 감지하고 이 용접부에 엑스선을 투과시켜 용접부를 검사하는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엑스선발생기(200) 전방에 설치된 브래킷에 이동수단(500)이 설치되고, 상기 이동수단(500)에 감지부(400)가 탑재되는데, 상기 감지부(400)는 제1감지센서(420) 하나이거나 또는 제1감지센서(420)와 제2감지센서(430) 모두를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감지부(400)가 제1,2감지센서(420)(430)로 이루어질 경우, 제1감지센서(420)(322)를 이동수단(500)의 상면 일측에 설치한 후, 제1감지센서(4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제2감지센서(430)를 설치한다.
상기 감지부(400)의 위치는, 제1감지센서(420)만 사용할 경우에는 제1감지센서(420)를 엑스선발생기(200)의 엑스선발산부(210)와 동일선상에 일치되게 하고, 제1,2감지센서(420)(430)를 모두 사용할 경우에는 제2감지센서(430)가 엑스선발산부(210)와 동일선상에 일치되게 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에 전원공급부(340), 모터(330), 엑스선발생기(200), 감지부(400), 이동수단(5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100)를 복수 개의 관이 용접된 관로(P1) 내부에 투입하고, 상기 관로(P1)의 외부 용접부(A) 둘레에 엑스선의 영상을 기록하는 공지의 필름(F)을 도포하여 용접부(A) 검사 준비를 완료된다.
이 상태에서, 전원공급부(340)를 통해 전원을 공급하면 제어부(60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모터(330)에 제어신호를 보내어 바퀴(320)를 회전시킴으로써 구동체(300)와 함께 엑스선발생기(200)는 관로(P1) 내부를 주행하여 용접부(A) 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엑스선발생기(200)의 이동시, 상기 제어부(60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하나의 감지센서(제1감지센서(420))로 이루어진 감지부(400) 또는 두 개의 감지센서(제1감지센서(420) 및 제2감지센서(430))로 이루어진 감지부(400)로 제어신호를 보낸다.
따라서, 상기 제1감지센서(420)의 코일(410) 또는 제1감지센서(420)의 코일(410) 및 제2감지센서(430)의 코일(410)에 전압이 인가되면, 와전류가 발생하고, 발생된 와전류는 관로(P1) 내부 표면에 전달되어 표면을 맴돌면서 이동하여 용접부(A)에 이르게 된다. 이 과정에서 와전류가 평탄한 관로(P1) 내부 표면을 맴돌 때는 코일(410)의 인덕턴스가 일정하게 된다.
와전류가 용접부(A)에 이르게 되면 갑자기 코일(410)의 인덕턴스 값이 불규하게 변화되는데, 맴돌이 전류가 용접부(A) 폭 전체에 걸쳐 맴돌게 되므로 이 과정에서 용접부(A)의 최대 볼록점에서 코일(410)의 인덕턴스의 값이 최대가 되므로, 인덕턴스 값이 최대가 되어 임피던스 변화량이 가장클 때 제어부(600)는 모터(330)의 구동을 정지시켜 용접부(A), 감지부(400), 엑스선발산부(210)가 일치되게 한다.
여기서, 감지부(400)는 제1감지센서(420)만을 사용할 경우 제어부(600)는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제1감지센서(420)의 코일(410)에 가장 큰 코일(410)의 인덕턴스 값이 인가될 때 모터(330)가 정지되어 용접부(A), 감지부(400), 엑스선발산부(210)가 동일선상에 정확하게 위치되게 한다.
이후, 상기 제어부(600)는 이동수단(500)을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감지센서(420)를 용접부(A)와 엑스선발산부(210)와의 동일선상에서 벗어나게 하여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할 때 방해되지 않도록 한다.
계속해서, 상기 제1감지센서(420)가 이동한 후에는 제어부(600)가 엑스선발생기(200)에 신호를 보내면 엑스선발산부(210)는 엑스선이 방사선 발산하여 용접부(A)를 투과시켜 용접부(A) 외부에 도포된 필름(F)에 용접부(A)의 영상이 표시되게 하여 용접부(A)를 검사할 수 있도록 한다.
예컨대, 상기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함에 따라 용접부(A)에 크랙이 발생된 경우에는 필름(F)에 표시된 이미지는 크랙부분은 밝은 색으로 보이고, 나머지 부분은 어두운 색으로 보이도록 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한다면, 용접부(A)에 크랙이 발생했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한편,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감지센서, 즉 제1,2감지센서(420)(430)를 모두 사용할 경우에는 제어부(600)는 제1감지센서(420)의 코일(410)의 인덕턴스 값을 최대가 될 때 용접부(A)에 근접되었다는 것을 감지하여 모터(330)의 회전속도를 미리 세팅된 속도로 줄여 엑스선발생기(200)가 용접부(A) 측으로 천천히 이동토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감지센서(430)의 코일(410)의 인덕턴스 값이 최대가 되면 제어부(600)의 명령에 따라 모터(330)의 구동이 정지되어 엑스선발산부(210)와 용접부(A)가 동일 선상에 정확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엑스선발산부(210)는 정지된다. 이후 제어부(600)는 이동수단(500)에 신호를 보내 이동수단(500)을 도 6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우측으로 움직이게 하여 그가 탑재하고 있는 제2감지센서(430)를 엑스선발산부(210)와 동일선상에서 벗어나게 한다.
상기 이동수단(500)의 이동에 따라 상기 제어부(600)는 엑스선발생기(200)를 구동시켜 엑스선발산부(210)에서 발산되는 엑스선이 용접부(A)에 투과하고 필름(F)에 표시되도록 하여 동일한 방법으로 용접부(A)를 검사하게 된다.
일단의 용접부(A) 검사가 완료되면, 또 다른 용접부(A) 검사를 위해 제어부(600)는 모터(330)를 구동시켜 구동체(300)가 관로(P1)를 주행하게 한다. 이 과정에서 제1감지센서(420) 또는 제1,2감지센서(420)(430)는 원래의 위치로 복귀된다. 즉 제1감지센서(420)만을 사용할 경우에 제1감지센서(420)는 다시 엑스선발산부(210)(31)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고, 제1,2감지센서(420)(430)를 모두 사용할 경우에는 제2감지센서(430)가 엑스선발산부(2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단지 본 발명의 예시적인 것으로서,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검사장치 200 : 엑스선발생기
300 : 구동체 400 : 감지부
500 : 이동수단 600 : 제어부
410 : 코일 420 : 제1감지센서
430 : 제2감지센서

Claims (10)

  1. 관로(P1)의 용접부(A)에 엑스선을 발산하는 엑스선발산부(210)를 갖는 엑스선발생기(200);
    상기 엑스선발생기(200)와 연결되고, 모터(330)의 구동에 의해 관로(P1) 내부를 주행 및 정지하여 상기 엑스선발생기(200)를 이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체(300);
    상기 엑스선발생기(200)의 전방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410)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를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용접부(A)를 맴돌 때 코일(410)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4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A)를 감지하는 감지부(400);
    상기 감지부(400)가 용접부(A)를 감지한 후 용접부(A)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210)에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감지부(400)를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하고, 용접부(A) 검사 후 감지부(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수단(500); 및
    상기 구동체(3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부품을 용접부(A) 검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구동체(300)가 관로(P1)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감지부(400)가 와전류를 발생하여 돌출된 용접부(A)를 감지하면,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이동수단(500)이 구동하여 감지부(400)를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한 다음 엑스선발생기(200)의 엑스선발산부(210)가 엑스선을 방사상으로 발산하여 용접부(A)에 투과시켜 용접부(A) 외측에 도포된 필름(F)에 영상을 표시하여 용접부(A)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2. 관로(P1)의 용접부(A)에 엑스선을 발산하는 엑스선발산부(210)를 갖는 엑스선발생기(200);
    상기 엑스선발생기(200)와 연결되고, 모터(330)의 구동에 의해 관로(P1) 내부를 주행 및 정지하여 상기 엑스선발생기(200)를 이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체(300);
    상기 엑스선발생기(200)의 전방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410)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를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용접부(A)를 맴돌 때 코일(410)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4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A)를 감지하는 감지부(400);
    상기 감지부(400)가 용접부(A)를 감지한 후 용접부(A)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210)에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감지부(400)를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하고, 용접부(A) 검사 후 감지부(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수단(500); 및
    상기 구동체(3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부품을 용접부(A) 검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감지부(400)는 왕복 이동수단(500)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코일(410)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돌출된 용접부(A)를 통과할 때 코일(410)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4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A)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420)이고,

    상기 구동체(300)가 관로(P1)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감지부(400)가 와전류를 발생하여 돌출된 용접부(A)를 감지하면,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이동수단(500)이 구동하여 제1감지센서(420)를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한 다음 엑스선발생기(200)의 엑스선발산부(210)에서 방사상으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하여 용접부(A) 외측에 도포된 필름(F)에 영상을 표시하여 용접부(A)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3. 관로(P1)의 용접부(A)에 엑스선을 발산하는 엑스선발산부(210)를 갖는 엑스선발생기(200);
    상기 엑스선발생기(200)와 연결되고, 모터(330)의 구동에 의해 관로(P1) 내부를 주행 및 정지하여 상기 엑스선발생기(200)를 이동 및 정지시키는 구동체(300);
    상기 엑스선발생기(200)의 전방에 왕복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코일(410)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를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용접부(A)를 맴돌 때 코일(410)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4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A)를 감지하는 감지부(400);
    상기 감지부(400)가 용접부(A)를 감지한 후 용접부(A)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210)에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상기 감지부(400)를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하고, 용접부(A) 검사 후 감지부(400)를 원위치로 복귀시키는 이동수단(500); 및
    상기 구동체(300)의 일측에 설치되고 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 각종 부품을 용접부(A) 검사가 가능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600);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감지부(400)는 이동수단(500)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코일(410)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돌출된 용접부(A)를 통과할 때 코일(410)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4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A)를 감지하는 제1감지센서(420); 및
    상기 제1감지센서(420)로부터 일정간격을 두고 상기 왕복 이동수단(500)에 탑재되고, 상기 제어부(60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코일(410)에 전압을 인가시킬 때 와전류가 발생하고, 이 와전류가 돌출된 용접부(A)를 통과할 때 코일(410)의 인덕턴스 변화에 따른 코일(410)의 임피던스를 측정하여 용접부(A)를 감지하는 제2감지센서(430);로 구성되고,

    상기 구동체(300)가 관로(P1)를 주행하는 과정에서 제1감지센서(420)가 와전류를 발생하여 돌출된 용접부(A)를 감지하면, 제어부(600)의 신호에 의해 모터(330)의 회전속도가 감속되어 구동체(300)는 서행하고, 제2감지센서(430)가 돌출된 용접부(A)를 감지할 때 구동체(300)는 정지되고 이동수단(500)이 상기 제2감지센서(430)를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게 한 다음 엑스선발생기(200)의 엑스선발산부(210)에서 방사상으로 발산된 엑스선이 용접부(A)를 투과하여 용접부(A) 외측에 도포된 필름(F)에 영상을 표시하여 용접부(A) 검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체(300)는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310);
    상기 프레임(310) 하부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프레임(310)을 이동시키는 바퀴(320);
    상기 바퀴(320)를 회전시키는 동력을 제공하는 모터(330);
    상기 프레임(310)에 탑재되고, 모터(330), 엑스선발생기(200), 이동수단(500), 및 제어부(6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부(3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엑스선발생기(200) 전방에 브래킷이 장착되고, 이 브래킷에 이동수단(500)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수단(500)은 로드가 왕복 이동하는 공압 또는 유압 실린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7.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엑스선발생기(200)는 하부에 보조바퀴(220)가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8.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1감지센서(420)는 용접부(A) 검사시 엑스선발산부(2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용접부(A)를 감지할 때 엑스선발산부(210)가 용접부(A)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하고, 이후 용접부(A)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210)에서 엑스선이 발산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동수단(500)에 의해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2감지센서(430)는 용접부(A) 검사시 엑스선발산부(210)와 동일선상에 위치하여 용접부(A)를 감지할 때 엑스선발산부(210)가 용접부(A)와 동일선상에 위치되게 하고, 이후 용접부(A) 검사를 위해 엑스선발산부(210)에서 엑스선이 발산될 때 방해가 되지 않도록 이동수단(500)에 의해 용접부(A) 영역에서 벗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10.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340)는 외부에서 공급되는 상용전원 또는 프레임(310)에 탑재되는 배터리 중에서 선택되거나 또는 이들 모두를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KR1020130065022A 2013-06-06 2013-06-06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KR10151615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022A KR101516150B1 (ko) 2013-06-06 2013-06-06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65022A KR101516150B1 (ko) 2013-06-06 2013-06-06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296A KR20140143296A (ko) 2014-12-16
KR101516150B1 true KR101516150B1 (ko) 2015-05-04

Family

ID=526741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5022A KR101516150B1 (ko) 2013-06-06 2013-06-06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615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565B1 (ko) 2021-01-22 2022-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금속배관 용접부 검사를 위한 중력보상형 비파괴검사장치
US11860113B2 (en) 2021-03-30 2024-01-02 Digiray Corp. Tube weld X-ray inspection device comprising an X-ray source, an X-ray source support, and an image plate fixing part for fixing an image plate
US11874236B2 (en) 2021-03-30 2024-01-16 Digiray Corp. Tube weld x-ray inspection device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8253B1 (ko) * 2015-12-23 2016-06-09 나우 주식회사 초음파 탐지 장치
KR101658190B1 (ko) * 2016-04-27 2016-09-22 주식회사 지스콥 이동성이 향상된 비파괴 검사용 방사성 동위원소 방사선 노출 제한 장치
KR101674667B1 (ko) * 2016-09-02 2016-11-09 주식회사 지스콥 이동성이 향상된 비파괴 검사용 방사성 동위원소 방사선 노출 제한 장치
KR101674668B1 (ko) * 2016-09-02 2016-11-09 주식회사 지스콥 이동성이 향상된 비파괴 검사용 방사성 동위원소 방사선 노출 제한 장치
CN107091903B (zh) * 2017-05-28 2020-11-24 南昌理工学院 一种自动检测设备
KR102597901B1 (ko) * 2023-06-16 2023-11-03 세일검사기술 주식회사 협소공간에서 주행 가능한 방사선투과검사용 자동 스캐너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7565B1 (ko) 2021-01-22 2022-06-10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금속배관 용접부 검사를 위한 중력보상형 비파괴검사장치
US11860113B2 (en) 2021-03-30 2024-01-02 Digiray Corp. Tube weld X-ray inspection device comprising an X-ray source, an X-ray source support, and an image plate fixing part for fixing an image plate
US11874236B2 (en) 2021-03-30 2024-01-16 Digiray Corp. Tube weld x-ray inspec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43296A (ko) 2014-1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16150B1 (ko) 배관 용접부 검사장치
US917609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metallic constructions assessment
KR200436664Y1 (ko) 비파괴검사에서의 방사선사고방지를 위한 방사선방출부 정위치구동장치
US20160033425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Digital Radiographic Inspection of Pipes
JP3220170B2 (ja) 管漏れ検出器
KR101239944B1 (ko) 방사선원의 조사 방향을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비파괴 검사 장비용 콜리메이터 장치
JP2015001501A (ja) 非破壊検査システム及び非破壊検査用移動体
US4055989A (en) Weld inspection system with dual flaw detection
JP2010534846A (ja) 手動式プローブのための位置決定システムを備えた漏れ検出器
KR20180040939A (ko) 배관 방사선 투과 검사 방법
TWI317013B (ko)
CN104155318A (zh) 车载x射线管道实时成像检测系统
KR101286576B1 (ko) 피검체에 직접 부착되며, 회전 개폐에 의한 방사선 조사 장치
KR101226465B1 (ko) 퇴적 산화스케일 검출용 비파괴검사 장치 및 그 방법
CN105301018A (zh) 一种小径管环向焊缝射线检测定位装置及其操作方法
KR101250801B1 (ko) 알람 기능을 갖는 방사선 조사기
KR20190023606A (ko) 배관 용접부 자동 검사장치
KR100531515B1 (ko) 초음파 용접 검사장치
JPS6037398B2 (ja) 熱交換器の伝熱管の検査装置
JP2000249783A (ja) 炉内配管溶接部の位置検出方法およびその装置
CN204101483U (zh) 一种车载x射线管道实时成像检测系统
AU2015333544B2 (en) Method of inspecting a degraded area of a metal structure covered by a composite repair and method of measuring a remaining wall thickness of a composite structure
CN108982659B (zh) 一种基于低频电磁的全自动缺陷检测装置
KR101510003B1 (ko) 압력용기 노즐 용접부 결함 위치 측정장치
CN219758051U (zh) 高检测精度的管道焊缝无损检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6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