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428B1 - 광산화반응장치 - Google Patents

광산화반응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428B1
KR101660428B1 KR1020150164939A KR20150164939A KR101660428B1 KR 101660428 B1 KR101660428 B1 KR 101660428B1 KR 1020150164939 A KR1020150164939 A KR 1020150164939A KR 20150164939 A KR20150164939 A KR 20150164939A KR 101660428 B1 KR101660428 B1 KR 1016604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reactor
hydrogen peroxide
hollow
inl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49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종섭
Original Assignee
에스앤피환경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앤피환경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앤피환경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49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4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4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428B1/ko
Priority to US15/348,526 priority patent/US20170144907A1/en
Priority to CN201611024283.9A priority patent/CN106745478B/zh
Priority to JP2016227771A priority patent/JP6305499B2/ja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22Oxidation by per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3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 C02F1/3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rradiation with ultraviolet light
    • C02F1/325Irradiation devices or lamp construc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6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neutralisation; pH adjus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3Single elongated lamp located on the central axis of a turbular reacto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2Lamp arrangement
    • C02F2201/3227Units with two or more lamp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32Details relating to UV-irradiation devices
    • C02F2201/326Lamp control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2Tempera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06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pH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02Specific form of oxid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 C02F2305/02Specific form of oxidant
    • C02F2305/026Fenton's reagent

Abstract

광산화반응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는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중공(中孔) 및 중공을 외부로 개방하도록 길이 방향에 따른 양 단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開口)를 포함하는 하우징, 오폐수를 중공으로 유입시키도록 중공과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를 커버하도록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하는 유입구헤더, 및 중공을 통과한 오폐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중공과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된 개구를 커버하도록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하는 유출구헤더를 포함하는 반응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반응기에 설치되는 석영관, 중공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석영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외선램프 및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중공으로 과산화수소를 분산하여 공급하도록 반응기에 설치되는 과산화수소공급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광산화반응장치{PHOTO OXIDATION REACTOR}
본 발명은 광산화반응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란 오폐수 등에 함유된 유해 물질을 제거하거나 회수하고, 소정의 허용 한계 수질로 처리하는 것을 일컫는다. 수처리 방법은 보통 침전, 응집 침전, 부상 분리, 여과 등의 물리적 방법, 산화, 환원, 중화, 이온 교환법 등의 화학적 방법 및 활성오니법, 살수 여상법, 소화 등의 미생물을 사용하는 생물학적 방법으로 대별될 수 있다.
상기 열거한 방법 중 고도산화수처리방법은 강력한 산화력을 지닌 OH-라디칼을 생성하여 오폐수 등에 함유된 오염 물질을 산화 분해하는 처리 방법으로, 일반적인 생물학적 방법에 의하여 잘 분해되지 않는 합성세제, 농약 등과 같은 난분해성 물질을 단시간 내에 처리할 수 있는 방법 중 하나로 주목 받고 있다.
고도산화수처리방법은 오존을 이용하여 OH-라디칼을 생성하는 방식과 과산화수소를 이용하여 OH-라디칼을 생성하는 방식을 예로 들 수 있으며, 오존을 이용한 고도산화수처리방법은 공정 제어가 어렵고 대형 설비를 필요로 하며 폐오존을 분해하는 추가 설비를 설치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과산화수소와 자외선을 이용하여 OH-라디칼을 생성하는 고도산화수처리방법은 장치의 구성이 간단하고 공정 제어가 단순하여 자동으로 운전이 가능하나, OH-라디칼 생성을 위하여 투입되는 과산화수소가 OH-라디칼과 반응하여 OH-라디칼을 소모하는 부반응이 일어나 장치의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1545878호 (2015. 08. 20. 공고)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산화반응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중공(中孔) 및 중공을 외부로 개방하도록 길이 방향에 따른 양 단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開口)를 포함하는 하우징, 오폐수를 중공으로 유입시키도록 중공과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를 커버하도록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하는 유입구헤더, 및 중공을 통과한 오폐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중공과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된 개구를 커버하도록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하는 유출구헤더를 포함하는 반응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반응기에 설치되는 석영관, 중공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석영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외선램프 및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중공으로 과산화수소를 분산하여 공급하도록 반응기에 설치되는 과산화수소공급부를 포함하는 광산화반응장치가 제공된다.
여기서, 하우징은 복수로 설치되고, 유입구헤더는 복수의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복수의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하며, 유출구헤더는 복수의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복수의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공급부는 중공과 연통되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과산화수소공급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공급구는 유입구헤더에 형성된 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공급부는 반응기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개방된 일단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과산화수소를 중공으로 분산 공급하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중공에 설치되는 과산화수소공급관을 포함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공급관은 석영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과산화수소공급관은 석영관의 외주면을 적어도 1회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길이 방향에 따른 각각의 일단에 유입구헤더 및 유출구헤더가 결합되는 제1 분할하우징과 제2 분할하우징으로 분할 형성되고, 제1 분할하우징은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과 연통되도록 타단에 형성되는 보조유출구를 포함하며, 제2 분할하우징은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과 연통되도록 타단에 형성되는 보조유입구를 포함하고, 제1 분할하우징과 제2 분할하우징은 각각의 중공이 분리되도록 연결되며, 과산화수소공급부는 유입구헤더의 유입구 및 제2 분할하우징의 보조유입구를 포함할 수 있다.
반응기는 복수로 설치되고, 복수의 반응기는 각각의 유입구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응기의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오폐수를 재(再)처리하도록 설치되는 추가 반응기를 더 포함하고, 추가 반응기는 반응기의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오폐수가 추가 반응기의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반응기 및/또는 추가 반응기는 복수로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반응기의 유출구로부터 배출된 오폐수의 온도 및 pH를 조절하여 추가 반응기의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반응기의 유출구와 추가 반응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조절기 및 pH조절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하우징의 길이 방향에 따른 과산화수소의 농도 분포를 균일하게 유지하여 과산화수소에 의한 OH-라디칼 소모 반응을 제한하도록 과산화수소를 분산하여 공급하는 과산화수소공급부를 포함하므로,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광산화반응장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의 반응기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에서 과산화수소공급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에서 과산화수소공급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에서 하우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상에"라 함은 대상 부분의 위 또는 아래에 위치함을 의미하는 것이며, 반드시 중력 방향을 기준으로 상 측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다.
또한, 결합이라 함은, 각 구성 요소 간의 접촉 관계에 있어, 각 구성 요소 간에 물리적으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만을 뜻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이 각 구성 요소 사이에 개재되어, 그 다른 구성에 구성 요소가 각각 접촉되어 있는 경우까지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하도록 한다.
또한, 이하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은 용어는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을 구별하기 위한 식별 기호에 불과하며, 동일 또는 상응하는 구성 요소들이 제1, 제2 등의 용어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반응기(100), 석영관(200), 자외선램프(300) 및 과산화수소공급부(400)를 포함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의 반응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1000)의 반응기(100)는 장치의 전체적인 외관을 이루는 부분으로, 하우징(110), 유입구헤더(120) 및 유출구헤더(130)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내부에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중공(111), 및 중공(111)을 외부로 개방하도록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L)에 따른 양 단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112, 113)를 포함한다.
하우징(110)은 길이 방향(L)과 반경 방향(R)을 가지는 원주(圓柱)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111)은 원형의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중공(111)의 단면 형상이 원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후술할 자외선램프(300, 도 2참조)로부터 방사상으로 조사되는 자외선 광이 중공(111)의 내주면까지 균일하게 도달할 수 있으므로, 자외선 광이 도달하지 않는 사각영역을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중공(111) 단면의 직경은 자외선램프(300)의 출력 또는 자외선램프(30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광의 파장 등에 대응하여 설계될 수 있다.
유입구헤더(120)는 오폐수를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111)으로 유입시키도록 하우징(110)의 중공(111)과 연통되는 유입구(122)가 형성되는 부분이며, 하우징(110)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112)를 커버하도록 하우징(110)의 일단에 결합한다. 이때, 하우징(110)의 일단과 결합하는 유입구헤더(120)의 결합면에는 하우징(110)의 개구(112)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유출구헤더(13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된 중공(111)을 통과한 오폐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하우징(110)의 중공(111)과 연통되는 유출구(132)가 형성되는 부분이며, 하우징(110)의 타단에 형성되는 개구(113)를 커버하도록 하우징(110)의 타단에 결합한다. 이때, 하우징(110)의 타단과 결합하는 유출구헤더(130)의 결합면에는 하우징(110)의 개구(113)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유입구헤더(120)는 유입구(122)와 연통되는 동시에 하우징(110)의 중공(111)과 연통되는 제1 헤더공간(124)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유출구헤더(130)는 유출구(132)와 연통되는 동시에 하우징(110)의 중공(111)과 연통되는 제2 헤더공간(134)을 포함할 수 있다.
유입구헤더(120)의 유입구(122)와 유출구헤더(130)의 유출구(132)는 각각 일단에서 외부로 개방되게 형성되고, 타단에서 각각 제1 헤더공간(124) 및 제2 헤더공간(134)과 연통되며, 제1 헤더공간(124)과 제2 헤더공간(134)은 하우징(110)의 중공(111)과 연통되므로, 유입구(122)를 통하여 외부로부터 유입된 오폐수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중공(111)을 지나 유출구(132)를 통하여 다시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한편, 반응기(100)에 포함되는 하우징(110), 유입구헤더(120) 및 유출구헤더(130)는 모두 일체로 형성되어 단일의 바디를 이룰 수도 있으나,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 별개의 바디로 형성되어 용접 또는 볼트와 너트 등의 기계적 체결 방식을 통하여 결합될 수도 있다. 이때, 유입구헤더(120)와 하우징(110)의 사이 및 유출구헤더(130)와 하우징(110)의 사이에는 결합을 위한 플랜지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석영관(200)은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반응기(100)에 설치된다. 석영관(200)은 중공(111)의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배치되도록 중공(111)의 연장 길이와 상응하거나 중공(111)의 연장 길이 보다 약간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석영관(200)은 반응기(100)의 내부 특히, 중공(111)에 배치되며, 반응기(100)의 내부에서 석영관(200)의 이동을 제한하도록 석영관(200)의 일단은 길이 방향(L)에 따른 반응기(100)의 일 단부와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석영관(200)의 일단은 유출구헤더(130)를 관통하여 반응기(100)의 외부로 돌출되게 결합될 수 있으며, 반응기(100)의 외부로 돌출된 석영관(200)의 일단을 커버하는 동시에 석영관(200)을 고정하도록 석영관고정부(210)가 반응기(100)의 외부에 결합될 수 있다.
자외선램프(300)는 석영관(200)의 내부에 삽입되어 중공(150)에 자외선 광을 조사한다. 자외선램프(300)는 긴 막대 형상의 램프로 구성될 수 있고, 석영관(200)의 내부에는 자외선램프(300)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공간이 마련되며, 자외선램프(300)는 석영관(200)의 수용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석영관(200) 및 이에 삽입되는 자외선램프(300)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게 형성되어 중공(111)의 대부분의 영역에 걸쳐 설치되므로, 자외선램프(30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광은 길이 방향(L)에 따른 중공(150)의 전체 영역에 도달할 수 있다.
석영관(200)은 중공(111)으로 유입되는 오폐수(및 후술할 과산화수소)로부터 자외선램프(300)를 보호하기 위하여 자외선램프(300)가 삽입되는 내부 수용 공간을 밀폐하도록 형성되고, 자외선램프(30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광을 투과시켜 중공(111)으로 자외선 광이 도달하도록 자외선 투과율이 높은 재질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자외선램프(300)는 수은램프, 아말감램프 또는 제논램프 중 하나일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자외선램프(300)에 의해서 조사되는 광량의 범위에 따라 중공(111)의 단면 직경이 결정될 수 있다.
과산화수소공급부(400)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L)으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중공(111)으로 과산화수소를 분산하여 공급하도록 반응기(100)에 설치된다. 과산화수소공급부(400)는 반응기(100)의 내부 즉, 중공(111) 및/또는 제1 헤더공간(124, 도 3참조)으로 과산화수소를 공급하되, 서로 다른 위치에서 과산화수소를 분산하여 공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반응기(100)의 내부 즉, 중공(111)으로 유입된 오폐수에 포함된 각종 오염물질을 산화 분해하는 수처리 장치이다. 즉, 유입구헤더(120)의 유입구(122)를 통하여 중공(111)으로 유입된 오폐수는 하우징(100)의 길이 방향(L)과 나란한 유동 방향을 가지고, 유동 방향을 따라 중공(111)을 통과하면서 수처리되어 유출구헤더(130)의 유출구(132)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된다.
구체적으로, 과산화수소공급부(400)에 의해서 하우징(110)의 중공(111)으로 공급된 과산화수소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된 자외선램프(300)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 광에 의하여 분해되어 강력한 산화력을 가지는 OH-라디칼(hydroxyl radical)을 생성한다. 과산화수소가 분해되어 생성된 OH-라디칼은 하우징(110)의 중공(111)에서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L)으로 유동하는 오폐수와 반응하고, 이러한 반응의 결과 오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은 산화 분해될 수 있다.
한편, 자외선 광에 의하여 분해되지 않은 채 미 반응 상태로 중공(111)에 잔류하는 과산화수소는 생성된 OH-라디칼과 반응하여 OH-라디칼을 소모하는 부반응을 일으킬 수 있고, 이에 따라 과산화수소가 분해되어 생성된 OH-라디칼의 일부는 오염물질을 산화 분해하는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게 되므로, 장치의 수처리 효율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현상 즉, 미 반응 과산화수소에 의하여 OH-라디칼이 소모되는 현상은 중공(111)에 분포되는 과산화수소의 길이 방향(L)에 따른 농도 차이가 클수록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즉, 반응기(100)의 유입구(122)로만 과산화수소가 공급되는 경우, 반응기(100)의 유입구(122) 근처의 중공(111) 내부에는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높게 나타나는 반면, 반응기(100)의 유입구(122)로부터 멀리 떨어진 중공(111) 내부에는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낮게 나타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L)으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중공(111)으로 과산화수소를 분산하여 공급하는 과산화수소공급부(400)를 포함하므로, 중공(111)에 분포되는 과산화수소의 길이 방향(L)에 따른 농도를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미반응 과산화수소에 의한 OH-라디칼의 소모 반응을 제한할 수 있어 수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공급부(400)는 하우징(110)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111)과 연통되며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과산화수소공급구(410, 411, 4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세 개의 과산화수소공급구(410, 411, 412)가 설치된 광산화반응장치(1000)를 도시하고 있으나, 과산화수소공급구(410, 411, 412)의 개수, 형성 위치 및 이격 간격은 반응기(100) 또는 하우징(110)의 전체 길이, 중공(111)에 유입되는 오폐수의 유량, 오폐수의 유속 또는 자외선램프(300)의 출력 등에 따라 적절하게 가감될 수 있다.
한편, 과산화수소공급부(400)가 복수의 과산화수소공급구(410, 411, 412)를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과산화수소공급구(410, 411, 412)는 반응기(100)의 유입구헤더(120)에 형성된 유입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유입구헤더(120)에 형성된 유입구(122)는 오폐수를 유입시키기 위한 입구로써 이용됨과 동시에 과산화수소공급구(410)로써도 이용될 수 있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과산화수소와 오폐수를 혼합하여 유입구헤더(120)의 유입구(122)로 토출하는 혼합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혼합기(500)는 오폐수유입펌프(10) 및 과산화수소공급펌프(20)와 연결되어 각 펌프로부터 오폐수 및 과산화수소를 공급받아 혼합시킨 뒤 유입구(122)로 토출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복수의 과산화수소공급구(410, 411, 412)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L)을 따라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반응기(100)의 내부 즉, 하우징(110)의 중공(111)으로 과산화수소를 공급할 수 있으며, 복수의 과산화수소공급구(410, 411, 412)에는 과산화수소공급펌프(20)와 연결된 복수의 배관이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오폐수 및/또는 과산화수소는 유입구헤더(120)의 유입구(122)를 통하여 하우징(110)의 중공(111)으로 유입 및/또는 공급되어 중공(111) 내부를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L)으로 유동하고,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복수의 위치에서 과산화수소를 분산하여 공급하므로, 오폐수의 유동 방향에 따라 과산화수소의 농도가 균일하게 유지되는 상태에서 오폐수에 함유된 오염물질이 산화 분해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에서 과산화수소공급부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1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에서 과산화수소공급부의 다른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과산화수소공급부(400)를 제외하고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광산화반응장치와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을 포함한다. 즉, 반응기(100), 석영관(200) 및 자외선램프(300)를 포함하고, 이는 앞서 설명한 광산화반응장치의 구성과 유사하므로, 이하에서는 과산화수소공급부(400)의 구성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과산화수소공급부(400)는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하우징(110)의 중공(111)으로 과산화수소를 분산하여 공급하도록 반응기(100)에 설치되면 충분하므로, 과산화수소공급부(400)의 구체적인 구조 및 배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과산화수소공급부(400)는 반응기(100)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개방된 일단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과산화수소를 하우징(110)의 중공(111)으로 분산 공급하도록 다수의 관통홀(425, 435)이 형성되어 중공(111)에 설치되는 과산화수소공급관(420, 430)을 포함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공급관(420, 430)은 반응기(100)의 외부에 배치되는 개방된 일단을 통하여 유입된 과산화수소의 유로를 제공하고, 과산화수소의 유동 방향을 따라 내외부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425, 435)을 포함한다. 과산화수소공급관(420, 430)의 내부를 흐르는 과산화수소는 다수의 관통홀(425, 435)을 통하여 과산화수소공급관(420, 430)의 내부에서 하우징(110)의 중공(111)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과산화수소공급관(420, 430)에 형성되는 다수의 관통홀(425, 435)은 과산화수소의 유동 방향을 따라 이격되게 형성되고, 과산화수소공급관(420, 430)은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중공(111)에 배치되므로, 하우징(110)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중공(111)으로 과산화수소를 분산하여 공급할 수 있다.
과산화수소공급관(420, 430)은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공급관(420)은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되는 석영관(20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나선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과산화수소공급관(430)은 석영관(200)의 외주면을 적어도 1회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에 도시된 과산화수소공급관(430)은 석영관(200)의 연장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는 직선부와 석영관(200)을 중심으로 석영관(200) 외주면의 둘레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고리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관통홀(435)은 고리부에 형성될 수 있다. 직선부와 고리부는 복수로 형성되어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에서 하우징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의 내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광산화반응장치와 유사하게, 반응기(100), 석영관(200), 자외선램프(300) 및 과산화수소공급부(400)를 포함한다. 다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의 구성 중 하우징(110)의 변형예를 도시하고 있으므로, 이러한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1000)의 하우징은 길이 방향(L)에 따른 각각의 일단에 유입구헤더(120) 및 유출구헤더(130)가 결합되는 제1 분할하우징(116)과 제2 분할하우징(117)으로 분할 형성되고, 제1 분할하우징(116)과 제2 분할하우징(117)은 각각의 중공(114, 115)이 분리되도록 연결되며, 각각의 타단에는 보조유출구(118) 및 보조유입구(119)가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분할하우징(116)은 길이 방향에 따른 일단에 유입구헤더(12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보조유출구(118)가 형성되며, 유입구헤더(120)의 유입구(122) 및 보조유출구(118)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1 중공(114)을 포함한다.
또한, 제2 분할하우징(117)은 길이 방향에 따른 일단에 유출구헤더(130)가 결합되고, 타단에는 보조유입구(119)가 형성되며, 유출구헤더(130)의 유출구(132) 및 보조유입구(119)와 연통되도록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제2 중공(115)을 포함한다.
제1 분할하우징(116)과 제2 분할하우징(117)은 내부에 형성된 각각의 중공(114, 115)이 분리되도록 연결된다. 즉, 제1 분할하우징(116)의 제1 중공(114)과 제2 분할하우징(117)의 제2 중공(115)은 서로 분리되어 각각 별개의 공간을 이루며, 제1 분할하우징(116)의 제1 중공(114)에 수용된 오폐수는 제2 분할하우징(117)의 제2 중공(115)으로 유입될 수 없다.
제1 분할하우징(116)의 일단에 결합된 유입구헤더(120)의 유입구(122)를 통하여 제1 분할하우징(116)의 제1 중공(114)으로 유입된 오폐수는 제1 분할하우징(116)에 형성된 보조유출구(118)를 통하여 제1 분할하우징(116)의 외부로 배출되며, 제2 분할하우징(117)에 형성된 보조유입구(119)를 통하여 제2 분할하우징(117)의 제2 중공(115)으로 유입된 오폐수는 제2 분할하우징(117)의 일단에 결합된 유출구헤더(130)의 유출구(132)를 통하여 제2 분할하우징(117)의 외부로 배출된다.
여기서, 과산화수소공급부(400)는 유입구헤더(120)의 유입구(122)와 제2 분할하우징(117)의 보조유입구(119)를 포함한다. 즉, 유입구헤더(120)의 유입구(122)를 통하여 제1 분할하우징(116)의 내부로 오폐수 및 과산화수소가 유입되며, 제2 분할하우징(117)의 보조유입구(119)를 통하여 제2 분할하우징(117)의 내부로 오폐수 및 과산화수소가 유입될 수 있다.
이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과산화수소와 오폐수를 혼합하여 제1 분할하우징(116)의 일단에 결합된 유입구헤더(120)의 유입구(122) 및 제2 분할하우징(117)의 보조유입구(119)로 각각 토출하는 혼합기(510, 5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광산화반응장치와 달리 반응기의 하우징이 분할 형성되므로, 구조적인 측면에서 길이 방향에 따른 과산화수소의 농도차를 줄일 수 있다. 즉, 오폐수가 유동하는 중공의 길이가 짧아지므로 길이 방향에 따른 과산화수소의 농도차를 감소시킬 수 있다.
한편, 제1 분할하우징(116)과 제2 분할하우징(117)은 석영관(200) 및 석영관(200)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외선램프(300)를 공유할 수 있다. 즉, 석영관(200)은 분리된 제1 분할하우징(116)의 제1 중공(114)과 제2 분할하우징(117)의 제2 중공(115)에 동시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때 제1 분할하우징(116)과 제2 분할하우징(117)은 각각의 중공(114, 115)이 분리되도록 연결되되 연결 부분에 석영관(200)이 관통되는 홀이 형성될 수 있다. 홀은 석영관(200)의 직경과 상응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1000)는 제1 분할하우징(116)과 제2 분할하우징(117)을 결합하는 클램프(600) 및 제1 분할하우징(116)과 제2 분할하우징(117) 사이에 개재되는 실링 부재(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링 부재는 제1 분할하우징(116)의 제1 중공(114)과 제2 분할하우징(117)의 제2 중공(115)을 차단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2000)는 반응기(2100), 석영관(미도시), 자외선램프(미도시) 및 과산화수소공급부(2122, 2410)를 포함하고, 반응기(2100)는 하우징(2110), 유입구헤더(2120) 및 유출구헤더(2130)를 포함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2000)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광산화반응장치(10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은 광산화반응장치(2000)의 과산화수소공급부가 복수의 과산화수소공급구(2122, 241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써 도시하고 있으나, 이는 일 예로써 도시한 것일 뿐이고, 과산화수소공급부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술한 과산화수소공급관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과산화수소공급부가 복수의 과산화수소공급구(2122, 2410)를 포함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2000)의 하우징(2110)은 복수로 설치되고, 유입구헤더(2120)는 복수의 하우징(2110)의 일단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복수의 하우징(2110)의 일단에 결합하며, 유출구헤더(2130)는 복수의 하우징(2110)의 타단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복수의 하우징(2110)의 타단에 결합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2000)는 복수로 설치되는 하우징(2110)을 포함하므로, 일시에 처리할 수 있는 오폐수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한편, 하우징의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의 단면적과 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하우징 내부에 수용하여 처리 가능한 오폐수의 양을 증대시킬 수도 있으나, 중공의 단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은 자외선램프에서 조사되는 자외선 광의 투과 범위가 제한적이기 때문에 장치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으며, 중공의 길이를 증가시키는 것은 중공의 길이에 따른 과산화수소의 농도 차이를 심화시켜 이 역시 장치의 효율을 저하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하우징을 복수로 설치함으로써 장치의 수처리 효율을 유지하는 동시에 처리 가능한 오폐수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유입구헤더(2120) 및 유출구헤더(2130)는 복수의 하우징(2110)의 길이 방향에 따른 양 단을 일체로 커버하고 이때, 복수의 하우징(2110)의 양 단과 각각 결합하는 유입구헤더(2120)와 유출구헤더(2130)의 각 결합면에는 복수의 하우징(2110) 각각의 개구와 대응되는 개구부가 복수로 형성될 수 있다.
오폐수 및 과산화수소의 유입을 위한 배관은 복수의 하우징(2110)의 일단을 일체로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유입구헤더(2120)의 유입구(2122)에 연결되고, 유입구(2122)를 통하여 유입구헤더(2120)의 헤더공간으로 유입된 오폐수 및 과산화수소는 각 하우징(2110)의 개구를 통하여 각 하우징(2110)의 중공으로 유입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네 개의 하우징(2110)을 포함하는 반응기(2100)를 도시하고 있으나, 하우징(2110)의 개수는 일시에 처리 요구되는 오폐수의 용량, 자외선램프의 출력 등에 따라 적절히 가감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하우징(2110)은 일렬로 배치 또는 교차하여 배치 하는 등의 방식을 통하여 다양하게 배치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복수의 하우징(2110)을 일체로 커버하는 유입구헤더(2120)와 유출구헤더(2130)의 크기를 최소화하는 방법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3000)는 복수로 설치되는 반응기(3100)를 포함하고, 복수의 반응기(3100)는 각각의 유입구(3122)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이하에서도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상술한 광산화반응장치(1000)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3000)의 반응기(3100)는 복수로 설치되므로, 도 8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2000)와 유사하게, 일시에 처리할 수 있는 오폐수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2000)는 반응기(2100)의 구성 중 하우징(2110)이 복수로 설치되는 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3000)는 반응기(3100) 자체를 복수로 설치하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응기(3100)가 복수로 설치되고, 복수의 반응기(3100)가 각각의 유입구(3122)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일시에 처리 가능한 오폐수의 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상황에 따라 선택적 운용이 가능할 수 있다. 즉, 복수의 반응기(3100) 중 일부만을 가동함으로써 처리되는 오폐수의 용량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반응기(3100)의 각각의 유입구(3122)에는 오폐수의 유입 및 과산화수소의 공급을 위한 복수의 배관이 각각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배관은 오폐수유입펌프(10)에 연결된 배관으로부터 분지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4000)는 반응기(4100)의 유출구(4132)로부터 유출된 오폐수를 재(再)처리하도록 설치되는 추가 반응기(4700)를 더 포함하고, 추가 반응기(4700)는 반응기(4100)의 유출구(4132)로부터 유출된 오폐수가 추가 반응기(4700)의 유입구(4722)로 유입되도록 배치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4000)에 포함되는 반응기(4100) 및 추가 반응기(4700)는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상술한 반응기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오폐수는 반응기(4100)를 통과함으로써 1차 수처리 공정을 거친 후, 추가 반응기(4700)를 재통과함으로써 2차 수처리 공정을 거칠 수 있다. 이와 같이, 여러 차례에 거친 수처리 공정을 실시함으로써 장치의 수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수처리 공정은 필요에 따라 3차례 이상 실시될 수 있으며, 도 10은 3차례의 수처리 공정이 실시되는 광산화반응장치(4000)를 도시하고 있으나, 수처리 공정의 실시 횟수 및 이에 따라 배치되는 추가 반응기의 개수는 요구되는 오폐수의 수처리 정도에 따라 가감될 수 있다.
1차 수처리 공정이 실시되는 반응기(4100)의 유출구(4132)와 2차 수처리 공정이 실시되는 추가 반응기(4700)의 유입구(4722) 사이에는 오폐수의 유출 및 유입을 위한 연결 배관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반응기(4100)에 설치되는 과산화수소공급구(4410, 4122)와 추가 반응기(4700)에 설치되는 과산화수소공급구(4420, 4722)에는 과산화수소의 공급을 위한 배관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4000)는 1차 수처리 공정이 실시되는 반응기(4100)의 유출구(4132)로부터 배출된 오폐수의 온도 및 pH를 조절하여 2차 수처리 공정이 실시되는 추가 반응기(4700)의 유입구(4722)로 공급하도록 반응기(4100)의 유출구(4132)와 추가 반응기(4700)의 유입구(4722)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조절기 및 pH조절기(4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반응기(4100) 및 추가 반응기(4700)의 내부에서 수처리 반응의 효율을 높이고자, 온도조절기(4800)는 자외선램프의 발열로 인하여 변화하는 오폐수의 온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되고, pH조절기(4800)는 오폐수에 함유된 오염 물질을 산화 분해하는 과정에서 생성되는 중간 생성물로 인하여 변화하는 오폐수의 산도를 조절하도록 설치된다.
예를 들면, 오폐수의 온도는 4℃ 내지 40℃를 유지하도록 조절될 수 있으며, 오폐수의 산도는 6pH 내지 10pH를 유지하도록 조절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5000)는 도 8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2000)와 도 10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4000)를 조합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5000)는 복수의 하우징(5110)을 포함하는 반응기(5100) 및 복수의 하우징(5710)을 포함하는 추가 반응기(57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5000)는 복수의 하우징(5110)을 포함하는 반응기(5100)를 포함하므로 일시에 처리할 수 있는 오폐수의 용량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복수의 하우징(5710)을 포함하는 추가 반응기(5700)를 포함하므로, 장치의 수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6000)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6000)는 도 9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3000)와 도 10에 도시된 광산화반응장치(4000)를 조합한 것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6000)는 1차 수처리 공정이 실시되는 복수의 반응기(6100)를 포함하고, 2차 수처리 공정이 실시되는 복수의 추가 반응기(67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6000)는 1차 수처리 공정이 실시되는 복수의 반응기(6100)를 포함하므로, 일시에 처리 가능한 오폐수의 용량을 증대시킴과 동시에 복수의 반응기(6100) 중 일부만을 선택적으로 운용할 수 있으므로 장치 운용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광산화반응장치(6000)는 2차 수처리 공정이 실시되는 복수의 추가 반응기(6700)를 포함하므로, 장치의 수처리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 오폐수유입펌프
20: 과산화수소공급펌프
100, 2100, 3100, 4100, 5100, 6100: 반응기
110, 2110, 3110, 4110, 4710, 5110, 5710, 6110, 6710: 하우징
111, 114, 115: 중공
112, 113: 개구
116: 제1 분할하우징
117: 제2 분할하우징
118: 보조유출구
119: 보조유입구
120, 2120, 3120, 4120, 4720, 5120, 5720, 6120, 6720: 유입구헤더
122, 2122, 3122, 4122, 4722, 5122, 5722, 6122, 6722: 유입구
124: 제1 헤더공간
130, 2130, 3130, 4130, 4730, 5130, 5730, 6130, 6730: 유출구헤더
132, 2132, 3132, 4132, 4732, 5132, 5732, 6132, 6732: 유출구
134: 제2 헤더공간
200: 석영관
210: 석영관고정부
300: 자외선램프
400: 과산화수소공급부
410, 411, 412, 2410, 3410, 4410, 4420, 5410, 5420, 6410, 6420: 과산화수소공급구
420, 430: 과산화수소공급관
425, 435: 관통홀
500, 2500, 3500, 4500, 5500, 6500: 혼합기
600: 클램프
1000, 2000, 3000, 4000, 5000, 6000: 광산화반응장치
4700, 5700, 6700: 추가 반응기
4800, 5800, 6800: 온도조절기 및 pH조절기

Claims (12)

  1. 내부에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는 중공(中孔) 및 상기 중공을 외부로 개방하도록 길이 방향에 따른 양 단에 각각 형성되는 개구(開口)를 포함하는 하우징, 오폐수를 상기 중공으로 유입시키도록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유입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하는 유입구헤더, 및 상기 중공을 통과한 오폐수를 외부로 유출시키도록 상기 중공과 연통되는 유출구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된 개구를 커버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하는 유출구헤더를 포함하는 반응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상기 반응기에 설치되는 석영관;
    상기 중공에 자외선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석영관의 내부에 삽입되는 자외선램프; 및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된 복수의 위치에서 상기 중공으로 과산화수소를 분산하여 공급하도록 상기 반응기에 설치되는 과산화수소공급부;를 포함하고,
    상기 과산화수소공급부는,
    상기 반응기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배치되는 개방된 일단을 통하여 내부로 유입된 과산화수소를 상기 중공으로 분산 공급하도록 다수의 관통홀이 형성되어 상기 중공에 설치되는 과산화수소공급관;을 포함하는, 광산화반응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복수로 설치되고,
    상기 유입구헤더는 복수의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복수의 상기 하우징의 일단에 결합하며,
    상기 유출구헤더는 복수의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형성된 각각의 개구를 일체로 커버하도록 복수의 상기 하우징의 타단에 결합하는, 광산화반응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공급부는 상기 중공과 연통되며 상기 하우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과산화수소공급구를 포함하는, 광산화반응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공급구는 상기 유입구헤더에 형성된 상기 유입구를 포함하는, 광산화반응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공급관은 상기 석영관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나선형으로 형성되는, 광산화반응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과산화수소공급관은 상기 석영관의 외주면을 적어도 1회 감싸도록 배치되는 고리 형상으로 형성되는, 광산화반응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길이 방향에 따른 각각의 일단에 상기 유입구헤더 및 상기 유출구헤더가 결합되는 제1 분할하우징과 제2 분할하우징으로 분할 형성되고,
    상기 제1 분할하우징은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과 연통되도록 타단에 형성되는 보조유출구를 포함하며,
    상기 제2 분할하우징은 내부에 형성되는 중공과 연통되도록 타단에 형성되는 보조유입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분할하우징과 상기 제2 분할하우징은 각각의 중공이 분리되도록 연결되며,
    상기 과산화수소공급부는 상기 유입구헤더의 유입구 및 상기 제2 분할하우징의 보조유입구를 포함하는, 광산화반응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복수로 설치되고,
    복수의 상기 반응기는 각각의 유입구로 오폐수가 유입되도록 배치되는, 광산화반응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의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오폐수를 재(再)처리하도록 설치되는 추가 반응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추가 반응기는 상기 반응기의 유출구로부터 유출된 상기 오폐수가 상기 추가 반응기의 유입구로 유입되도록 배치되는, 광산화반응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 및/또는 상기 추가 반응기는 복수로 설치되는, 광산화반응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의 유출구로부터 배출된 상기 오폐수의 온도 및 pH를 조절하여 상기 추가 반응기의 유입구로 공급하도록 상기 반응기의 유출구와 상기 추가 반응기의 유입구 사이에 설치되는 온도조절기 및 pH조절기를 더 포함하는 광산화반응장치.
KR1020150164939A 2015-11-24 2015-11-24 광산화반응장치 KR1016604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939A KR101660428B1 (ko) 2015-11-24 2015-11-24 광산화반응장치
US15/348,526 US20170144907A1 (en) 2015-11-24 2016-11-10 Apparatus for photo oxidation reaction
CN201611024283.9A CN106745478B (zh) 2015-11-24 2016-11-17 光氧化反应装置
JP2016227771A JP6305499B2 (ja) 2015-11-24 2016-11-24 光酸化反応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4939A KR101660428B1 (ko) 2015-11-24 2015-11-24 광산화반응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428B1 true KR101660428B1 (ko) 2016-09-29

Family

ID=570734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4939A KR101660428B1 (ko) 2015-11-24 2015-11-24 광산화반응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144907A1 (ko)
JP (1) JP6305499B2 (ko)
KR (1) KR101660428B1 (ko)
CN (1) CN10674547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9350A (zh) * 2020-01-09 2020-04-21 苏州晟德水处理有限公司 水处理用氧化处理组件、集成式深度氧化设备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776A (ja) * 1994-08-08 1996-04-23 Eastman Kodak Co 紫外線および過酸化水素を用いる写真流出液の処理方法
KR20030008073A (ko) * 2001-07-16 2003-01-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다단형 광산화반응장치
KR20100003553A (ko) * 2008-07-01 2010-01-11 (주) 시온텍 고효율 고도산화공정에 의한 수처리 장치
KR20120048420A (ko) * 2010-11-05 2012-05-15 (주) 시온텍 복합고도산화방법에 의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45878B1 (ko) 2013-06-26 2015-08-20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오폐수 고도산화처리용 반응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769131A (en) * 1986-05-09 1988-09-06 Pure Water Technologies Ultraviolet radiation purification system
JP3573322B2 (ja) * 1997-07-15 2004-10-06 株式会社荏原製作所 ダイオキシンを含有する汚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2000202471A (ja) * 1999-01-11 2000-07-25 Ebara Corp 内分泌撹乱物質もしくは発ガン性物質を含有する汚水の処埋方法及び処理装置
JP2002079280A (ja) * 2000-09-11 2002-03-19 Mitsubishi Heavy Ind Ltd 排水処理装置
JP4903323B2 (ja) * 2001-08-29 2012-03-28 三菱重工環境・化学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有害物質処理装置および排水処理システム
JP2003266088A (ja) * 2002-03-15 2003-09-24 Toshiba Corp 紫外線併用オゾン促進酸化水処理システム
JP2004066219A (ja) * 2002-06-10 2004-03-04 Mitsubishi Electric Corp 水処理システム及び水処理方法
JP3914850B2 (ja) * 2002-09-11 2007-05-16 株式会社東芝 紫外線併用オゾン促進酸化水処理装置およびオゾン促進酸化モジュール
US7931816B2 (en) * 2004-12-29 2011-04-26 Acos Llc Method, apparatus and systems for treating contaminants in a waste fluid
KR20120052910A (ko) * 2009-06-02 2012-05-24 스냅드래곤 인베스트먼트 리미티드 유체 처리 장치
CN102712506B (zh) * 2009-10-22 2015-09-30 沈种燮 去除了紫外线照射死角区域的利用紫外线的杀菌净化装置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03776A (ja) * 1994-08-08 1996-04-23 Eastman Kodak Co 紫外線および過酸化水素を用いる写真流出液の処理方法
KR20030008073A (ko) * 2001-07-16 2003-01-24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다단형 광산화반응장치
KR20100003553A (ko) * 2008-07-01 2010-01-11 (주) 시온텍 고효율 고도산화공정에 의한 수처리 장치
KR20120048420A (ko) * 2010-11-05 2012-05-15 (주) 시온텍 복합고도산화방법에 의한 수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545878B1 (ko) 2013-06-26 2015-08-20 청해이엔브이 주식회사 오폐수 고도산화처리용 반응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039350A (zh) * 2020-01-09 2020-04-21 苏州晟德水处理有限公司 水处理用氧化处理组件、集成式深度氧化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745478A (zh) 2017-05-31
JP6305499B2 (ja) 2018-04-04
US20170144907A1 (en) 2017-05-25
CN106745478B (zh) 2020-08-14
JP2017100122A (ja) 2017-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282879B2 (en) Fluid purification device and fluid purification method
US20200148563A1 (en) Ultraviolet light activated oxidation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organic carbon in semiconductor process water
US5320749A (en) Apparatus for treatment of fluid media with ultraviolet irradiation
US8926842B2 (en) Water treatment system and method using high pressure advanced oxidation process with unreacted ozone reusing
US20110180485A1 (en) Ultraviolet light activated oxidation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organic carbon in semiconductor process water
US9006682B2 (en) Microbicidal purification device employing ultraviolet light from which ultraviolet-light-irradiation dead areas have been eliminated
KR100940758B1 (ko)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KR101265489B1 (ko) 플라즈마 고도수처리장치
KR101800379B1 (ko) 물과 공기 겸용 플라즈마 처리장치
KR101868524B1 (ko) 수처리 장치
KR101660428B1 (ko) 광산화반응장치
JP6178522B2 (ja) 高電圧放電と微細気泡を利用した廃水浄化処理システム
CN109071272B (zh) 用于水性流体的uv-处理的设备
CN101462781B (zh) 紫外线水处理装置
KR100835585B1 (ko) 고도 산화 공정을 이용한 수 처리 장치
KR100348413B1 (ko) 자외선 및 오존 발생 에이오피 챔버 및 이를 이용한수처리 장치
KR20140130956A (ko) 수처리 시스템
KR20220060712A (ko) 고성능 자외선 고도산화처리 장치
KR20090009493A (ko) 오존을 이용한 폐수 정화 장치
KR100924392B1 (ko) 자외선 조사 사각영역을 제거한 자외선을 이용한 살균정화장치
KR102081880B1 (ko) 순환식 고도산화처리용 반응장치
JPH11221581A (ja) 酸化分解処理装置
KR20150141400A (ko) 수처리용 약품투입과 산소용해 기능을 갖는 자외선살균기
US20210387878A1 (en) Ultraviolet light activated oxidation process for the reduction of organic carbon in semiconductor process water
KR101950021B1 (ko) 와류 유도형 오염수 정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