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40758B1 -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 Google Patents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40758B1
KR100940758B1 KR1020090044908A KR20090044908A KR100940758B1 KR 100940758 B1 KR100940758 B1 KR 100940758B1 KR 1020090044908 A KR1020090044908 A KR 1020090044908A KR 20090044908 A KR20090044908 A KR 20090044908A KR 100940758 B1 KR100940758 B1 KR 1009407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zone
water
bubble
ozone water
dischar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49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명선
이성진
김창수
Original Assignee
(주)엔플라
신명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엔플라, 신명선 filed Critical (주)엔플라
Priority to KR10200900449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407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407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407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 C02F1/7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oxidation with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9/00Filtering material for liquid or gaseous fluids
    • B01D39/14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 B01D39/20Other self-supporting filtering material ; Other filtering material of inorganic material, e.g. asbestos paper, metallic filtering material of non-woven wires
    • B01D39/2055Carbonace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9/00Multistage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Treatment Of Water By Oxidation Or Reduction (AREA)

Abstract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이 제공된다. 본 장치는, 오존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수 생성유닛, 유입된 폐수와 버블 오존수를 혼합하여 폐수에 존재하는 유해 유기 물질을 산화시켜 제1 처리수를 출력하는 반응 유닛, 및 반응 유닛으로부터 제1 처리수를 공급받아 그 속에 존재하는 유해 유기 물질을 산화 및 흡착하여 제2 처리수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활성탄 필터(Activated Carbon Filter)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폐수의 처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활성탄 필터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오존수, 활성탄, 폐수, 오존버블, 반응조

Description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APPARATUS FOR TREATING HYBRID NON-BIODEGRADABLE WASTWATER USING THE OZONE WATER COMPRISING FINE OZONE BUBBLES}
본 발명은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폐수에 함유된 난분해성 유해 유기 물질을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오존 버블 함유 오존수를 이용한 폐수 처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산업폐수, 생활하수, 개인하수도, 정수장, 지하수,산업용수 등에 환경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여러 가지의 난분해성 유기물질 등이 함유되어 배출되므로 큰 사회문제로 야기되고 있다.
이들 난분해성 유기물질이 물속에 함유되어 발생되는 오염원으로는 각종 산업공정에서 배출되는 폐수,도시하수,개인생활오수,공업용수,정수시설 등이다.
이들 난분해성 유기물질이 함유된 폐수, 정수, 하수에 대한 처리는 일반적인 처리방법으로는 처리가 불가능하며, 종래에는 이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포함한 처리 대상수로부터 응집침전, 여과장치나 막분리 기술을 이용하여 고형물질 형태의 난분 해성물질을 분리하고 수용성 난분해성 유기물질은 과산화수소, 일반 오존을 이용하여 산화, 분해하는 기술이 개발되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포함한 폐수, 정수, 하수를 처리하기 위해서는 전처리로서 응집침전, 생물학적처리, 여과및흡착처리 등을 적용하고 후처리로서 자외선조사처리, 촉매처리,활성탄 흡착, 과산화수를이용한 산화처리 등이 적용되고 있다. 하지만, 종래의 방법으로 난분해성 유기물질을 처리하는 데에는 유지관리비가 높고, 부산물인 슬러지가 많이 발생하며, 처리효율이 그다지 높지 않았다.
오존가스를 이용한 종래의 폐수 처리 장치로서, 한국실용신안등록번호 20-0252172(이하, "선행기술 172"라고 함)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72는 촉매 오존과 촉매매질로서의 활성탄을 이용하여 상수원수 혹은 오폐수를 고도 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 선행기술 172의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되어 있다.
선행기술 172에서는 오존 가스, 활성탄, 폐수를 같은 공간인 반응조에 위치시킴으로써 폐수를 처리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는데, 이러한 기술은 하부에서 공급되는 오존 가스가 활성탄 내에서 포집되어 버블이 커지는 등의 문제를 가지고 있어서 폐수처리의 효율이 좋지 않다.
본 발명의 목적은, 오존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하여 고형물 및 난분해성 유해 유기 물질을 효율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 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은 오존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수 생성유닛; 유입된 폐수와 상기 버블 오존수를 혼합하여 상기 폐수에 존재하는 유해 유기 물질을 산화시켜 제1 처리수를 출력하는 반응 유닛; 및 상기 반응 유닛으로부터 상기 제1 처리수를 공급받아 그 속에 존재하는 상기 유해 유기 물질을 산화 및 흡착하여 제2 처리수를 출력하는 하나 이상의 활성탄 필터(Activated Carbon Filter)를 포함한다.
상기 반응 유닛은 상기 폐수와 상기 버블 오존수를 혼합하여 혼합수를 출력하는 N개(N은 1 이상의 자연수)의 순환 펌프; 및 상기 N개의 순환 펌프로부터 상기 혼합수를 각각 공급받아 상기 폐수에 존재하는 상기 유해 유기 물질을 오존(O3)을 이용하여 산화 분해하여 상기 제1 처리수를 출력하는 N개의 반응조를 포함한다.
오존 버블 함유 오존수를 이용한 폐수 처리 장치는, 외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폐수를 집수하는 집수조; 집수된 폐수를 상기 반응 유닛으로 일정한 유량으로 제공하는 유량 조정조; 상기 반응 유닛에 의해서 1차 처리된 상기 제1 처리수가 상기 활성탄 필터로 공급되기 위해 대기하는 제1 저장조; 및 상기 활성탄 필터에 의해서 2차 처리된 상기 제2 처리수가 방류되기 위해 대기하는 제2 저장조를 더 포함한다.
상기 유량 조정조는 저장된 상기 폐수를 모두 상기 반응 유닛으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량 조정조는 저장된 상기 폐수 중 일부는 상기 반응 유닛으로 제공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저장조로 바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유량 조정조는 상기 N개의 반응조에 각각 별도의 배관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1 저장조는 상기 N개의 반응조로부터 처리된 상기 제1 처리수를 저장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에 따르면, 오존 나노버블 또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하여 폐수 내의 유해 유기 물질을 1차적으로 산화시킨 후 활성탄 필터를 이용하여 2차적으로 산화 및 흡착시켜 폐수를 처리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수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활성탄 필터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오존 버블 함유 오존수'란 '오존가스'가 용해되어 있고 '오존버블'이 함유된 물을 말하며, '오존 버블 함유 오존수'에는 '오존 마이크로 버블 함유 오존수'와 '오존나노버블 함유 오존수'를 포함한다. 여기서, '오존 마이크로 버블 함유 오존수'는 버블의 크기가 마이크로 단위 정도의 것을 의미하고, '오존나노버블 함유 오존수'는 버블의 크기가 나노 단위 정도의 것을 의미한다.
한편, '고농도 오존나노버블 함유 오존수'란, '고농도-오존가스'가 용해되 어 있고 고농도-오존가스로 생성한 오존나노버블이 함유된 물을 말한다. 그리고, 오존가스는 오존이 포함되어 있는 가스를 지칭하는데, '고농도-오존가스'는 오존이 차지하는 비율이 1% 이상인 오존가스를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는, '오존 마이크로 버블 함유 오존수'와 '오존나노버블 함유 오존수'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의 블럭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설계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00)은 버블 오존수 생성유닛(300), 반응 유닛(400) 및 활성탄(Active Carbon: A/C) 필터(500)를 포함한다.
버블 오존수 생성유닛(300)은 오존 가스 및 오존수를 혼합하여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생성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버블 오존수 생성 유닛(300)은 오존가스 생성부(100) 및 오존수 생성부(2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존가스 생성부(100)는 산소가 포함된 공기(Air)를 이용하여 오존가스를 생성하고, 생성한 오존가스를 오존수 생성부(200)로 공급한다. 오존수 생성부(200)는 오존가스를 물(Water)에 용해시켜 오존수를 생성한다. 이후, 오존가스로 미세오존버블을 생성하고, 생성된 오존수에 미세오존버블을 부가하여, 미세오존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생성한다. 버블 오존수 생성 유닛(300)에 대해서는 이후 도 5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반응 유닛(400)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폐수와 버블 오존수를 혼합하여 폐수에 존재하는 고형물 및 난분해성 물질을 산화 분해하여 제1 처리수를 출력한다. 반응 유닛(400)은 순환 펌프(410) 및 반응조(420)를 포함한다. 순환 펌프(410)는 폐수와 버블 오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출력하고, 반응조(420)는 순환 펌프(410)로부터 혼합수를 공급받아 폐수에 존재하는 고형물 및 난분해성 물질을 오존(O3)을 이용하여 산화 분해하여 제1 처리수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 순환 펌프(410)는, 반응 유닛(400)에 포함되도록 도시되었지만, 버블 오존수를 반응조(420)에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수단이라면 반드시 반응 유닛(400)에 포함되지 않더라도 무방하다. 다른 위치에 배치되어도, 버블 오존수를 반응조(420)에 공급할 수 있는 기능을 하는 수단이라면,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00)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상기 폐수를 집수하는 집수조(610) 및 집수조(610)를 통해 집수된 폐수를 반응 유닛(400)에 일정한 유량으로 공급하는 유량 조정조(6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집수조(610)와 유량 조정조(620) 사이에는 집수된 폐수를 유량 조정조로 이송시키기 위한 이송 펌프 및 유량 조정조(620)로부터 출력된 폐수를 반응조(420)로 공급하기 위한 급수 펌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유량 조정조(620)는 집수된 폐수를 일정한 유량으로 반응조(420)로 공급하고, 반응조(420)로 공급된 폐수는 순환 펌프(410)로 제공된다. 순환 펌프(410)는 버블 오존수 생성유닛(300)으로부터 버블 오존수를 공급받아서 반응조(420)로부터 공급된 폐수와 혼합하여 혼합수를 반응조(420)로 재공급한다. 반응조(420)는 버블 오존수와 폐수를 소정의 시간(예를 들면 20분 정도)동안 반응시킨다. 본 발명의 일 예로, 반응조(420)에는 1분에 1.0ℓ의 오존(O3)이 유입될 수 있고, 반응조(420)로 공급된 혼합수에 함유된 오존의 농도는 대략 60ppm 정도일 수 있다. 이처럼, 반응조(420)에서 버블 오존수와 폐수를 반응시키면, 폐수에 포함된 유해 물질이 오존(O3)과 반응하여 산화 분해된다. 따라서, 반응조(420)는 오존에 의해서 폐수를 1차적으로 처리한 제1 처리수를 배출한다.
본 실시예에서처럼, 반응조(420)에서, 오존 나노버블 또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이 함유된 오존수가, 폐수와 충분한 시간 동안 반응되도록 함으로써, 이후의 공정인 A/C 필터에서의 흡착 공정이 훨씬 효율적으로 일어나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 이유는, 오존 나노버블 또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이 함유된 오존수가 폐수에 함유된 고분자 유기물을 저분자 유기물로 분해할 수 있고, A/C 필터에서는 고분자 유기물 보다는 저분자 유기물에 대하여 훨씬 흡착 공정이 효율적으로 일어나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처럼, 반응조(420)에서 오존 나노버블 또는 오존 마이크로버블이 함유된 오존수가 폐수와 충분한 시간동안 반응시키고, 후술하는 반응조(420)에서도 충분한 반응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단순히 A/C 필터와 오존을 사용하는 종래의 기술에 대비하여 예기치 못할 정도로 뛰어난 폐수 처리 효율이 발휘된다(표 2와 표 3 참조).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순환 펌프(410)는 버블 오존수 생성유닛(300)으로부터 버블 오존수를 공급받아서 반응조(420)로부터 공급된 폐수와 혼합하여 혼합수를 반응조(420)로 재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반응조(420)로부터 폐수를 받지 않고, 버블 오존수 생성유닛(300)으로부터 공급받은 버블 오존수를 바로 반응조(420)로 공급하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00)은 반응조(420)로부터 배출된 제1 처리수를 저장하는 제1 저장조(6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저장조(630)에 저장된 제1 처리수는 A/C 필터(500)로 공급하기 위하여 소정 시간 대기하였다가, 일정한 유량으로 A/C 필터(500)로 공급된다. 제1 저장조(630)와 A/C 필터(500) 사이에는 제1 저장조(630)에 저장된 제1 처리수를 A/C 필터(500)로 공급하기 위한 펌프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2에는 제 1 저장조(630)가 포함된 것으로 도시되었지만, 제1 저장조(630)를 포함하지 않도록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그러한 경우, 반응조(420)에서 보다 충분한 시간동안 반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예로, A/C 필터(500)는 제1 및 제2 A/C 필터(510, 520)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1 저장조(630)에 저장된 제1 처리수 중 일부는 제1 A/C 필터(510)로 공급되고, 나머지 일부는 제2 A/C 필터(520)로 공급된다. 제1 및 제2 A/C 필터(510, 520)는 제1 처리수를 공급받아 그 속에 존재하는 유기 오염 물질을 산화 및 흡착 방식으로 제거하여 제2 처리수를 출력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A/C 필터를 2개 사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하나 또는 2개 이상의 A/C 필터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00)은 A/C 필터(500)를 통해 2차적으로 처리된 제2 처리수를 저장하는 제2 저장조(6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처리수는 제2 저장조(640)에 대기하였다가, 일정한 유량으로 방류된다.
이처럼, 폐수를 A/C 필터(500)로 공급하기 이전에, 버블 오존수를 이용하여 폐수에 포함된 고형물 및 난분해성 유해 유기 물질을 산화시키면, 2번의 산화 처리를 통해 유기 물질의 부하가 감소한다. 따라서, 오존 버블 함유 오존수를 이용한 폐수 처리 장치(700)를 통해 처리된 처리수의 화학적 산소 요구량(Chemical Oxygen Demand: COD)이 감소하고, 그 결과 안정적으로 수질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오존과 같은 산화제는 활성탄의 흡착율을 2 내지 10배 정도로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처리를 거치면, A/C 필터(500)의 처리 효율이 향상될 수 있고, A/C 필터(500)는 낮은 온도에서도 처리가 가능해질 수 있다.
또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하여 1차적으로 산화 처리된 폐수가 A/C 필터(500)로 공급되면, 수산기(OH radical)가 산화되어 수산기로 인해 A/C 필터(500)의 수명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A/C 필터(500)의 교체 주기를 연장할 수 있다.
이하, <표 1>은 종래의 A/C 필터만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했을 경우 COD를 나타낸 것이고, <표 2>는 본 발명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도 2에 도시된 일 실시예의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운전조건 COD
활성탄 (ℓ) 통과유량 (ℓ/hr) 처리전 (㎎/L) 처리후 (㎎/L) 제거율 (%)
1 22 180 46.7 26 44.3
2 22 200 46.0 24.5 46.7
3 22 240 46.7 24.1 48.4
4 22 369 46.7 26.2 43.9
구분 운전조건 COD
반응시간 (min) 오존주입량 (ℓ/min) 활성탄 (ℓ) 처리전 (㎎/L) 처리후 (㎎/L) 제거율 (%)
1 20 1 22 45.5 9.75 78.6
2 20 1 22 43.5 7.95 81.7
3 20 1 22 50 13.2 73.6
4 20 1 22 46.6 8.4 81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A/C 필터만을 이용하여 폐수를 처리했을 경우, COD가 대략 24(mg/L) 내지 26(mg/L)로 나타났다. 즉, 유기 오염 물질의 제거율이 대략 43(%) 내지 48(%)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같이, 버블 오존수로 폐수를 1차적으로 산화시킨 후 A/C 필터(500)를 이용하여 2차로 처리했을 경우, COD가 대략 7(mg/L) 내지 13(mg/L)로 감소하였고, 유기 오염 물질의 제거율도 대략 73(%) 내지 81(%)로 증가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반응조(420)는 20분 정도의 반응시간을 갖도록 하였다.
아래의 <표 2>는 축산 폐수를 대상으로 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구분 운전조건 COD(Mn)
반응시간 (min) 오존주입량 (ℓ/min) 원수 유량 (ℓ/min) 처리전 (㎎/L) 처리후 (㎎/L) 제거율 (%)
1 30 1 120 188 10 95
2 20 1 22 184 11 94
3 15 1 22 185 13.1 93
4 10 1 22 185 12.3 93
<표 3>을 참조하면, 본원 발명에 따른 COD 개선 효과가 90% 이상임을 알 수 있다.
이처럼, 본원 발명에 따르면, 오존 버블이 함유된 오존수를 이용하면, 폐수의 처리 효율이 향상되어 안정적으로 수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A/C 필터(500)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시설 및 유지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설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50)은, 외부로부터 유입된 폐수의 일부를 반응 유닛(400)을 거쳐 A/C 필터(500)로 공급하고, 나머지 일부를 반응 유닛(400)을 거치지 않고 바로 A/C 필터(500)로 공급한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50)에서, 유량 조정조(620)는 집수조(610)로부터 집수된 폐수를 공급받아서 공급된 폐수 중 일부(예를 들어, 50%)를 반응 유닛(400)으로 제공하고, 나머지 일부(예를 들어, 50%)는 제1 저장조(630)로 제공한다. 따라서, 50%의 폐수만이 반응 유닛(400)에서 버블 오존수와 반응하여 1차적으로 산화 처리되고, 처리된 제1 처리수는 제1 저장조(630)로 배출된다. 제1 저장소(630)에서 제1 처리수와 기 저장되어 있던 나머지 50%의 폐수가 혼합되어 A/C 필터(500)로 공급되기 위하여 소정시간 대기한다.
A/C 필터(501)는 제1 내지 제4 A/C 필터(510, 520, 530, 540), 즉 4개의 A/C를 필터를 포함한다는 측면에서 도 2에 도시된 A/C 필터(500)와 차이를 갖는다.
제1 내지 제4 A/C 필터(510 ~ 540)는 제1 처리수를 공급받아 필터링하여 제2 처리수를 배출한다. 제1 내지 제4 A/C 필터(510 ~ 540)를 통해 필터링된 제2 처리수는 제2 저장조(640)에 함께 저장되어 방류되기 위해 대기한다.
이처럼, 폐수의 양이 많은 경우에는 집수된 폐수 전체를 버블 오존수와 반응시키지 않고 일부만을 반응시켜, 처리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도 있다. 또한, 유량 조정조(620)와 제1 저장조(630) 사이에 폐수가 바로 공급되는 배관이 존재하므로, 반응 유닛(400)의 고장시에는 오존 버블 함유 오존수를 이용한 폐수 처리 장치(701)를 정지시킬 필요없이, 폐수를 A/C 필터(500)만을 이용하여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A/C 필터(500)의 개수를 증가시킴으로써, 전체 폐수 처리 속도를 향상시킬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설계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80)은 반응 유닛(400)에 두 개의 반응조(420, 440)와 두 개의 순환 펌프(410, 430)를 구비한다는 점에서 도 2에 도시된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00)과 차이가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80)에서, 유량 조정조(620)는 제1 배관을 통해 제1 반응조(420)와 연결되고, 제2 배관을 통해 제2 반응조(440)와 연결된다. 따라서, 유량 조정조(620)에 공급된 폐수는 제1 반응조(420)에 의해서 폐수가 처리되는 동안 대기하지 않고, 제2 배관을 통해 제2 반응조(440)로 공급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80)은 도 2에 도시된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00)보다 2배의 처리 속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780)에서, 버블 오존수 생성유닛(300)은 두 개의 오존수 생성부(200, 203)를 포함한다. 두 개의 오존수 생성부(200, 203)는 반응 유닛(400)에 구비된 제1 및 제2 순환 펌프(410, 430)에 각각 연결되어 버블 오존수를 공급한다.
제1 저장조(630)는 제1 및 제2 반응조를 통해 처리된 제1 처리수를 저장하였다가 A/C 필터(501)로 공급한다. A/C 필터(501)는 제1 내지 제4 A/C 필터(510, 520, 530, 540), 즉 4개의 A/C를 필터를 포함한다는 측면에서 도 2에 도시된 A/C 필터(500)와 차이를 갖는다. 제1 내지 제4 A/C 필터(510 ~ 540)를 통해 필터링된 제2 처리수는 제2 저장조(640)에 함께 저장되어 방류되기 위해 대기한다.
이처럼, A/C 필터(500)로 처리하기 이전에 버블 오존수를 이용하여 산화 처리를 수행함으로써, 폐수의 처리 효율이 향상되어 안정적으로 수질을 확보할 수 있으며, A/C 필터(500)의 교체 주기를 연장시켜 시설 및 유지 관리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오존가스 생성부(100)의 블럭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오존가스 생성부(100)는 고전압 발생기(110), 냉각기(120), 플라즈마 반응기(Plasma Reactor)(130), 산소 발생기(140) 및 공기압축기(150)를 구비한다.
공기압축기(150)는 공기를 압축하여 고압의 압축공기를 생성한다. 그리고, 공기압축기(150)는 생성한 고압의 압축공기를 후술할 산소 발생기(140)로 공급한다.
산소 발생기(140)는 공기압축기(150)로부터 공급되는 고압의 압축공기에서 산소를 제외한 질소, 이산화탄소, 기타 기체 및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고압의 산소를 분리한다. 그리고, 산소 발생기(140)는 분리된 고압의 산소를 후술할 플라즈마 반응기(130)로 공급한다.
고전압 발생기(110)는 사용 전원을 승압시켜 고전압의 전원을 생성한다. 그리고, 고전압 발생기(110)는 생성한 고전압의 전원을 플라즈마 반응기(130)로 인가한다.
플라즈마 반응기(130)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오존을 발생시키는 기기로, 오존 발생기의 일종이다. 구체적으로, 플라즈마 반응기(130)는, 1) 고전압 발생기(110)로부터 인가되는 고전압의 전원을 이용하여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2) 발생되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산소 발생기(140)로부터 공급되는 산소의 일부를 오존으로 변환시킨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반응기(130)에서는 오존과 산소가 혼합된 가스가 배출된다.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할 도 2에 도시된 플라즈마 반응기(130)에서 배출되는 오존과 산소의 혼합가스에서 오존의 비율은 12 ~ 14%이다.
한편, 오존이 포함되어 있는 가스는 오존가스이고, 오존이 차지하는 비율이 1% 이상인 오존가스는 고농도-오존가스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라즈마 반응기(130)에서 배출되는, 오존의 비율이 12 ~ 14%인 오존과 산소의 혼합가스는 고농도-오존가스라 할 수 있다.
냉각기(120)는 냉각수를 플라즈마 반응기(130)에 순환시켜, 플라즈마 반응기(130)를 냉각시킨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플라즈마 반응기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라즈마 반응기의 중앙부를 xy-평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플라즈마 반응기(130)의 내부에는 방전극-1(135-1), 방전극-2(135-2) 및 접지극(139)이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방전극-1(135-1)은 세라믹판-1(136-1)의 두 면 중 플라즈마 반응기(130)의 바깥쪽을 바라보는 면(즉, 접지극(139)을 바라보고 있지 않은 면)에 형성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방전극-2(135-2)는 세라믹판-2(136-2)의 두 면 중 플라즈마 반응기(130)의 바깥쪽을 바라보는 면(즉, 접지극(139)을 바라보고 있지 않은 면)에 형성되어 있다.
방전극-1,2(135-1,2)는 예를 들면 은(Silver)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두께를 얇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세라믹판-1,2(136-1,2)의 중앙부를 은-코팅하여, 방전극-1,2(135-1,2)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방전극-1,2(135-1,2)는 은이 아닌 다른 금속성 재질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코팅 이외의 다른 종류의 표면 처리 공정을 통해 형성하는 것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또한, 세라믹판-1,2(136-1,2)도 세라믹 재질 이외의 유전체를 이용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접지극(139)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등의 금속 재질로 구현하며, 비금속 재질(138)이 표면 처리되어 있다. 예를 들면, 1) 스테인레스 판을 CDM 스프레이 코팅, 2) 스테인레스 판을 DLC 코팅, 3) 알루미늄 판을 양극 산화처리(아노다이징), 또는 4) 알루미늄 판을 FCC 처리하는 코팅 방법들 중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접지극(139)과 비금속 재질(138)을 구현할 수 있다.
이들 중, DLC 코팅은 높은 표면 경도와 낮은 표면 마찰 계수를 이룰 수 있으며, 코팅 두께(즉, 비금속 재질(138)의 두께)를 용이하게 조절하는 것이 가능하다.
하지만, 위에 열거된 것들은 접지극(139)과 비금속 재질(138)을 구현할 수 있는 예들에 해당하므로, 접지극(139)과 비금속 재질(138)을 반드시 이들 중 어느 하나로 구현할 필요는 없다. 따라서, 접지극(139)은 스테인레스, 알루미늄 이외의 다른 금속 재질로도 구현가능하며, 위에 제시된 것들과 다른 유전 물질을 표면 처리하여 비금속 재질(138)을 형성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비금속 재질(138)은 세라믹 판 또는 다른 종류의 유전 물질을 접지극(139)에 적층하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방전극-1,2(135-1,2)는 전술한 고전압 발생기(110)로부터 고전압의 전원을 인가받는다(도시의 편의를 위해, 전원 인가 경로는 미도시하였음). 이에 따라, 방전극-1(135-1)과 접지극(139) 사이에서 플라즈마가 생성되고, 방전극-2(135-2)와 접지극(139) 사이에서도 플라즈마가 생성된다.
이때, 세라믹판-1(136-1)은 방전극-1(135-1)과 접지극(139) 사이에서 플라즈마가 균일하게 생성되도록 한다. 또한, 세라믹판-1(136-1)은 고전압으로 인해 방전극-1(135-1)로부터 가스 통로(137)로 금속성 이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마찬가지로, 세라믹판-2(136-2)는 방전극-2(135-2)와 접지극(139) 사이에서 플라즈마가 균일하게 생성되도록 하고, 고전압으로 인해 방전극-2(135-2)로부터 가스 통로(137)로 금속성 이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그리고, 접지극(139)의 표면 처리로 형성된 비금속 재질(138)은 접지극(139)으로부터 가스 통로(137)로 금속성 이물질이 유출되는 것을 차단한다.
한편, 플라즈마 반응기(130)의 외곽 케이스(132)에는 산소 유입공(131-1), 냉각수 유입공-1(131-2), 냉각수 유출공-1(131-3), 냉각수 유입공-2(131-4), 냉각수 유출공-2(131-5), 오존가스 배출공(131-6) 및 연결 호스(131-7)가 형성되어 있다.
외곽 케이스(132)는 테프론, 베크라이트, PP 등으로 구현가능한데, 언급된 재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외곽 케이스(132)는 이외의 다른 절연용 재질로 구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산소 유입공(131-1)은 전술한 산소 발생기(140)에서 공급되는 산소가 유입되는 곳으로, 산소 유입공(131-1)으로 유입된 산소는 가스 통로(137)로 진입하게 된다.
가스 통로(137)로 진입한 산소는 플라즈마에 의해 일부가 반응하여 오존으로 변환된다. 플라즈마는 방전극-1(135-1)과 접지극(139) 사이에서 생성됨은 물론, 방전극-2(135-2)와 접지극(139) 사이에서도 생성된다.
가스 통로(137)로 진입한 산소는 두 차례에 걸쳐 플라즈마에 노출된다. 따라서, 방전극-1(135-1)과 접지극(139) 사이에서 생성된 플라즈마에 노출되었지만 오존으로 변환되지 않은 산소는 방전극-2(135-2)와 접지극(139) 사이에서 생성된 플라즈마에 노출되어 오존으로 변할 수 있다.
물론, 방전극-1(135-1)과 접지극(139) 사이에서 생성된 플라즈마와 방전극-2(135-2)와 접지극(139) 사이에서 생성된 플라즈마에 노출되었더라도 오존으로 변하지 않는 산소는 존재한다. 실제로, 플라즈마 반응기(130)에 의해서 생성되는 오존가스의 오존 농도는 12 ~ 14%이다. 즉, 플라즈마 반응기(130)의 오존가스 배출공(131-6)에서는 오존 농도가 12 ~ 14%인 오존가스가 배출된다.
기존의 방식에 의해 생성되는 오존가스에서 오존 비율은 10% 미만이다. 플라즈마 반응기(130)에 의해서는 오존의 농도가 12 ~ 14%로 비교적 높은 이유는, 아래에서 설명할 플라즈마 반응기(130)의 냉각 메커니즘에 기인한다.
아래에서 설명할 냉각 메커니즘은, 플라즈마 방전으로 인해 온도가 높아진 방전극-1,2(135-1,2)를 냉각시킨다. 이와 같은 냉각 메커니즘은, 방전극-1,2(135-1,2)의 온도가 높아지는 경우에 오존 발생량이 줄어들어 오존가스의 오존 농도가 낮아지게 되는 현상을 배제하기 위해, 방전극-1,2(135-1,2)을 냉각시키기 때문이다.
냉각 메커니즘은 냉각수 유입공-1(131-2), 냉각수 유출공-1(131-3), 냉각수 유입공-2(131-4), 냉각수 유출공-2(131-5), 연결 호스(131-7), 냉각수 수용부-1(133-1), 냉각수 수용부-2(133-2), 절연층-1(134-1) 및 절연층-2(134-2)로 구현된다.
참고로, 연결 호스(131-7)는 도 7에만 도시하였고, 도 5와 도 6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은데 이는 도시와 설명의 편의를 위해 생략한 것에 불과하다.
냉각수 유입공-1(131-2)은 전술한 냉각기(120)에 의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유입되는 곳으로, 냉각수 유입공-1(131-2)으로 유입된 냉각수는 냉각수 수용부-1(133-1)로 진입하게 된다.
냉각수 수용부-1(133-1)은 절연용 재질의 외곽 케이스(1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냉각수 유입공-1(131-2)을 통해 냉각기(120)로부터 유입되는 냉각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공간이다.
냉각수 수용부-1(133-1)이 수용하고 있는 냉각수로 인하여 방전극-1(135-1)이 냉각된다. 한편, 방전극-1(135-1)은 절연층-1(134-1)에 의해 둘러싸여, 냉각수 수용부-1(133-1)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냉각수는 방전극-1(135-1)에 접촉되지 않는다. 방전극-1(135-1)은 절연층-1(134-1)을 통해 전달되는 냉각수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게 되는 것이다.
절연층-1(134-1)은 방전극-1(135-1)이 냉각수 수용부-1(133-1)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방전극-1(135-1)을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의 일종이다.
절연층-1(134-1)은, 예를 들면, 1) 방전극-1(135-1)을 절연 물질로 코팅, 2) 방전극-1(135-1)에 에폭시 분사 또는 3) 절연 물질의 판을 방전극-1(135-1) 위에 적층하는 방법들 중 어느 하나를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어느 방법에 의하더라도, 절연층-1(134-1)은 방전극-1(135-1)이 냉각수 수용부-1(133-1)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방전극-1(135-1)을 둘러싸야 한다.
냉각수 유출공-1(131-3)은 냉각수 수용부-1(133-1)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수가 유출되는 곳으로, 냉각수 유출공-1(131-3)을 통해 유출된 냉각수는 연결 호스(131-7)를 통해 냉각수 유입공-2(131-4)로 유입된다.
냉각수 유입공-2(131-4)는 냉각수 유출공-1(131-3)에서 유출되는 냉각수가 연결 호스(131-7)를 통해 유입되는 곳으로, 냉각수 유입공-2(131-4)로 유입된 냉각수는 냉각수 수용부-2(133-2)로 진입하게 된다.
냉각수 수용부-2(133-2)는 절연용 재질의 외곽 케이스(13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 냉각수 유입공-2(131-4)를 통해 유입되는 냉각수를 일시적으로 수용하는 공간이다.
냉각수 수용부-2(133-2)가 수용하고 있는 냉각수로 인하여 방전극-2(135-2)가 냉각된다. 한편, 방전극-2(135-2)는 절연층-2(134-2)에 의해 둘러싸여, 냉각수 수용부-2(133-2)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냉각수는 방전극-2(135-2)에 접촉되지 않는다. 방전극-2(135-2)는 절연층-2(134-2)를 통해 전달되는 냉각수의 냉기에 의해 냉각되게 되는 것이다.
절연층-2(134-2)는 방전극-2(135-2)가 냉각수 수용부-2(133-2)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여, 방전극-2(135-2)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수단의 일종이다.
절연층-2(134-2)는, 예를 들면, 1) 방전극-2(135-2)을 절연 물질로 코팅, 2) 방전극-2(135-2)에 에폭시 분사 또는 3) 절연 물질의 판을 방전극-2(135-2) 위에 적층하는 방법들 중에서 어느 하나의 방법을 사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다만, 어느 방법에 의하더라도, 절연층-2(134-2)는 방전극-2(135-2)가 냉각수 수용부-2(133-2)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수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지 않도록 방전극-2(135-2)를 둘러싸야 한다.
냉각수 유출공-2(131-5)는 냉각수 수용부-2(133-2)에 수용되어 있는 냉각수가 유출되는 곳으로, 냉각수 유출공-2(131-5)을 통해 유출된 냉각수는 냉각기(120)로 회기한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오존수 생성부(200)의 블럭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오존수 생성부(200)는 밸브-1(210), 유량계(FlowMeter)(220), 밸브-2(230), 급수 펌프(240), 벤투리 인젝터(Venturi Injector)(250),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 및 서지 탱크(270)를 구비한다.
밸브-1(210)은 후술할 급수 펌프(24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조절하기 위한 수단이다. 그리고, 유량계(220)는 급수 펌프(24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측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따라서, 유량계(220)에 의한 측정된 물의 유량을 참고로 밸브-1(210)를 조작하여, 급수 펌프(240)로 유입되는 물의 유량을 적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다.
급수 펌프(240)는 밸브-1(21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벤투리 인젝터(250)에 공급한다.
벤투리 인젝터(250)는 양 단의 단면적이 중앙의 단면적 보다 넓은 형상의 관이다. 벤투리 인젝터(250)는, 1) 일 단에는 물이 유입되고, 2) 중앙에는 전술한 고농도-오존가스 생성장치(100)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오존가스가 유입된다.
벤투리 인젝터(250)의 중앙으로 유입된 고농도-오존가스는 일 단을 통해 유입된 물에 용해되어, 벤투리 인젝터(250) 내에서는 오존수가 생성된다. 따라서, 벤투리 인젝터(250)는 오존수 생성기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
한편, 벤투리 인젝터(250)의 중앙으로 유입되었지만 물에 용해되지 않은 고농도-오존가스는 벤투리 인젝터(250) 내에서 생성된 오존수와 함께 벤투리 인젝터(250)의 타 단으로 배출된다.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는 벤투리 인젝터(250)에서 유출되는 오존수의 오존가스 용해도를 증가시킨다. 그리고, 오존수의 오존가스 용해도를 증가시키는 중에,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는 오존 가스 생성부(100)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오존가스로 오존나노버블을 생성하여, 오존수에 부가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는, 오존나노버블 발생기(261)와 스태틱 믹서(Static Mixer)(264)를 구비한다.
오존나노버블 발생기(261)는 오존나노버블을 발생시켜 스태틱 믹서(264)로 공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오존나노버블 발생기(261)는 오존가스 수용기(262)와 세라믹 다공질체(263)을 구비한다.
오존가스 수용기(262)는 오존 가스 생성부(100)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오존가스를 수용하고, 수용되어 있는 고농도-오존가스를 세라믹 다공질체(Porous body)(263)로 유출시킨다.
세라믹 다공질체(263)는 오존가스 수용기(262)에서 유출되는 고농도-오존가스를 지름이 매우 작은 관들을 통해 스태틱 믹서(264)로 전달한다. 그러면, 스태틱 믹서(264) 내에서 유동하는 오존수에 의해, 세라믹 다공질체(263)로부터 유출되는 고농도-오존가스는 오존나노버블로 오존수에 유입되어 분산된다.
스태틱 믹서(264)는 오존수 통로(265), 가이드 베인(Guide Vane)(266) 및 베인 지지대(267)를 구비한다. 스태틱 믹서(264)에 형성되어 있는 오존수 통로(265)에는 1) 벤투리 인젝터(250)에서 배출되는 오존수와 오존수에 용해되지 않은 고농도-오존가스가 유입되고, 2) 오존나노버블 발생기(261)에서 발생되는 오존나노버블이 유입된다.
한편, 베인 지지대(267)는 양 단이 막혀 있으며, 스태틱 믹서(264)의 중앙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벤투리 인젝터(250)에서 배출되는 오존수와 용해되지 않은 고농도-오존가스는 베인 지지대(267)의 내부를 관통할 수 없고, 오직 오존수 통로(265)를 통과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그 결과, 스태틱 믹서(264)에서 오존수의 유속은 증가하게 된다.
베인 지지대(267)의 외곽에는 가이드 베인(266)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베인(266)은 유입된 오존수와 용해되지 않은 고농도-오존가스의 유동을 분할하고 혼합하기를 반복하여 오존수와 고농도-오존가스의 유동 방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가이드 베인(266)에 의해, 오존수에 용해되지 않은 고농도-오존가스는 작게 분쇄되면서 오존수와 매우 빈번하게 충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빈번한 충돌로 인해, 가이드 베인(266) 내에서 고농도-오존가스는 오존수에 용해되어, 오존수의 오존가스 용해도는 증가하게 된다.
도 9는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를 입체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9를 참조하면,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스태틱 믹서(264)가 관찰 가능하도록, 오존나노버블 발생기(261)의 일부를 제거하여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 스태틱 믹서(264)를 노출시켰다.
도 9에 도시된 바에 따르면,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는 가이드 베인(266)이 외곽에 부착된 베인 지지대(267)를 소정 간격을 두고 오존나노버블 발생기(261)가 둘러싸는 형태로 구현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베인 지지대(267)와 오존나노버블 발생기(261) 사이의 공간이 오존수 통로(265)로 기능함을, 보다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다.
또한, 오존수 통로는 오존나노버블 발생기(261)의 유입면에서 불연속적으로(갑작스럽게) 작아짐을 도 9를 통해 보다 명확히 확인가능하다. 오존수 통로의 단면적은, 적어도, 오존나노버블 발생기(261)의 유입면에서 베인 지지대(267)의 단면적 만큼은 작아지며, 이에 의해 스태틱 믹서(264) 내에서 오존수의 유속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가이드 베인(266)의 영향에 의해, 오존수 통로의 실제적인 단면적은 줄어들 수 있을 것이다.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에서는 버블 오존수가 배출된다. 하지만,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에서 버블 오존수만 배출되는 것은 아니며, 스태틱 믹서(264)에 의해서도 버블 오존수에 용해되지 않은 오존가스도 함께 배출된다.
서지 탱크(270)는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의 배출물을 저장하는 저장기의 일종이다. 서지 탱크(270)는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에서 배출되는 배출물이 선회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외곽은 원형이며 중앙에는 유출관(275)이 마련된다.
이에 따라,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의 배출물 중 오존가스는 서지 탱크(270)에서 선회하다가 버블 오존수에 추가로 용해될 수 있다. 용해되지 않은 오존가스는 선회 중에 작용하는 부력으로 인해 서지 탱크(270)의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서지 탱크(270)의 상부에 모인 오존가스는 급수 펌프(240)로 전달될 수 있다. 이때, 서지 탱크(270)에서 급수 펌프(240)로 전달되는 오존가스의 유량은 밸브-2(230)에 의해 조절가능하다.
급수 펌프(240)는 밸브-1(210)를 통해 유입되는 물을 일정한 압력으로 벤투리 인젝터(250)에 공급한다고 전술한 바 있다. 하지만, 서지 탱크(270)로부터 오존가스가 유입되는 경우, 급수 펌프(240)는 유입된 오존가스를 유입된 물에 용해시켜 배출한다. 이를 위해, 급수 펌프(240)는 내부에서 오존가스와 물을 충돌시킨다. 이 경우, 급수 펌프(240)에서 벤투리 인젝터(250)로 공급되는 물은 오존가스가 이미 용해된 오존수가 되기 때문에, 벤투리 인젝터(250)에서 생성되는 오존수의 오존가스 용해도는 더욱 높아지게 된다.
한편, 서지 탱크(270)에 저장되어 있는 버블 오존수는 배출관(275)을 통해 서지 탱크(270) 밖으로 배출할 수 있다.
도 10에는 도 2에 도시된 오존수 생성부(200)의 다른 예를 도시하였다. 도 10에 도시된 오존수 생성부(200)는 밸브-1(210), 유량계(220), 급수 펌프(240), 벤투리 인젝터(250),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 및 서지 탱크(280)를 구비한다.
밸브-1(210), 유량계(220), 벤투리 인젝터(250) 및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는 도 8에 도시된 밸브-1(210), 유량계(220), 벤투리 인젝터(250) 및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0에 도시된 서지 탱크(280)는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에서 생성되어 배출되는 오존나노버블 함유 오존수를 저장하는 저장기의 일종이다. 도 10에 도시된 서지 탱크(280)는 유입되는 버블 오존수를 선회시키지 않으며, 상부에 모인 오존가스는 급수 펌프(240)로 전달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도 8에 도시된 서지 탱크(270)와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 도 10에 도시된 급수 펌프(240)에서 벤투리 인젝터(250)로 공급되는 것은 물 뿐이다.
도 11에는 도 2에 도시된 오존수 생성부(200)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하였다. 도 11에 도시된 오존수 생성부(200)는 밸브-1(210), 유량계(220), 밸브-2(230), 급수 펌프(240), 벤투리 인젝터(250), 스태틱 믹서(290), 오존나노버블 발생기(300) 및 서지 탱크(270)를 구비한다.
도 11에 도시된 밸브-1(210), 유량계(220), 밸브-2(230), 급수 펌프(240), 벤투리 인젝터(250) 및 서지 탱크(270)는, 도 8에 도시된 밸브-1(210), 유량계(220), 밸브-2(230), 급수 펌프(240), 벤투리 인젝터(250) 및 서지 탱크(270)와 기능이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1에 도시된 오존수 생성부(200)는, 도 8에 도시된 버블 오존수 생성기(260) 대신 스태틱 믹서(290)와 오존나노버블 발생기(300)를 서로 분리하는 구성을 채택하였다는 점에서, 도 8에 도시된 오존수 생성부(200)와 차이가 있다.
스태틱 믹서(264)는 오존수 통로(261), 가이드 베인(262) 및 베인 지지대(263)를 구비한다. 스태틱 믹서(264)에 형성되어 있는 오존수 통로(261)에는 벤투리 인젝터(250)에서 배출되는 오존수와 오존수에 용해되지 않은 고농도-오존가스가 유입된다.
한편, 베인 지지대(263)는 양 단이 막혀 있으며, 스태틱 믹서(260)의 중앙에 고정 설치된다. 따라서, 벤투리 인젝터(250)에서 배출되는 오존수와 용해되지 않은 고농도-오존가스는 베인 지지대(263)의 내부를 관통할 수 없고, 오직 오존수 통로(261)를 통과하는 것만이 가능하다. 그 결과, 스태틱 믹서(260)에서 오존수의 유속은 증가하게 된다.
베인 지지대(293)의 외곽에는 가이드 베인(262)이 형성되어 있다. 가이드 베인(262)은 유입된 오존수와 용해되지 않은 고농도-오존가스의 유동을 분할하고 혼합하기 반복하면서 유동 방향을 연속적으로 변화시킨다.
가이드 베인(262)에 의해, 오존수에 용해되지 않은 고농도-오존가스는 작게 분쇄되면서 오존수와 매우 빈번하게 충돌하게 된다. 이와 같은 빈번한 충돌로 인해, 가이드 베인(262) 내에서 고농도-오존가스는 오존수에 용해되어, 오존수의 오존가스 용해도는 증가하게 된다.
오존나노버블 발생기(300)는 오존나노버블을 발생시켜 스태틱 믹서(290)에서 배출되는 오존수에 오존나노버블을 공급한다. 이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는 오존나노버블 발생기(300)는 오존가스 수용기(301), 세라믹 다공질체(302) 및 오존수 통로(303)를 구비한다.
오존가스 수용기(301)는 고농도-오존가스 생성장치(100)에서 배출되는 고농도-오존가스를 수용하고, 수용되어 있는 고농도-오존가스를 세라믹 다공질체(302)로 유출시킨다.
세라믹 다공질체(302)는 오존가스 수용기(301)에서 유출되는 고농도-오존가스를 지름이 매우 작은 관들을 통해 오존수 통로(303)로 전달한다. 그러면, 오존수 통로(303) 내에서 유동하는 오존수에 의해, 세라믹 다공질체(263)로부터 유출되는 고농도-오존가스는 오존나노버블로 오존수에 유입되어 분산된다.
이에 따라, 오존나노버블 발생기(300)에서는 오존나노버블 함유 오존수가 배출되어 서지 탱크(270)로 유입된다.
지금까지, 고농도-오존가스 생성장치(100)와 오존나노버블 함유 오존수 생성장치(200)를 구비하는 고농도 오존나노버블 함유 오존수 생성시스템에 대해,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였다.
본 실시예에서 고농도-오존가스 생성장치(100)는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산소를 오존가스로 변환하는 것을 상정하였으나,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일 예에 불과하다. 플라즈마를 이용하여 가스를 다른 가스로 변환하는 다른 경우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고농도-오존가스 생성장치(100)는 냉각수를 이용하여 방전극(135-1,2)을 냉각시키는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냉각수 이외의 다른 냉매를 이용하여 방전극(135-1,2)을 냉각시키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냉매는 액체 냉매는 물론 기체 냉매를 이용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뿐만 아니라, 본 실시예에서 제시한 냉각 메커니즘에 의해 방전극(135-1,2)이 아닌 접지극(139)을 냉각시키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방전극(135-1,2)과 접지극(139) 모두를 냉각시키도록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방전극(135-1,2)은 2개이고, 접지극(139)은 1개인 것으로 상정하였으나, 이 역시 설명의 편의를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다. 방전극의 개수와 접지극의 개수를 본 실시예와 달리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리고, 가이드 베인(260)은 도시된 형상과 다른 형상으로 구현하는 것도 가능하며, 베인 지지대(267) 역시 생략가능하다.
한편, 오존나노버블이 아닌 오존마이크로버블인 경우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적용된다.
상술한 실시예들에서 언급되는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이란 용어는 '하이브리디 수처리 장치'와 혼용가능하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의 블럭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설계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설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마이크로 나노 버블을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시스템의 개략적인 설계도이다.
도 5는 도 2에 도시된 오존가스 생성부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플라즈마 반응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플라즈마 반응기의 중앙부를 xy-평면으로 절단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2에 도시된 오존수 생성부의 상세 블럭도이다.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버블 오존수 생성기를 입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도 2에 도시된 오존수 생성부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도 2에 도시된 오존수 생성부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오존가스 생성부 110 : 고전압 발생기
120 : 냉각기 130 : 플라즈마 반응기
140 : 산소 발생기 150 : 공기압축기
200 : 오존수 생성부 210, 230 : 밸브
220 : 유량계 240 : 급수 펌프
250 : 벤투리 인젝터 260 : 버블 오존수 생성기
300 : 버블 오존수 발생유닛 400 : 반응 유닛
410 : 순환 펌프 420 : 반응조
500 : A/C 필터 610 : 집수조
620 : 유량 조정조 630 : 제1 저장조
640 : 제2 저장조 700 : 페수 처리 장치

Claims (14)

  1. 오존가스를 생성하는 오존가스 생성부;
    상기 오존가스 생성부에서 생성된 오존가스를 물에 용해시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생성하는 오존수 생성부;
    폐수와 상기 오존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버블 오존수를 혼합하여 상기 폐수에 존재하는 난분해성 물질과 고형물 중 적어도 하나를 산화시켜 제1 처리수로서 배출하는 반응조;
    상기 반응조로부터 상기 폐수와 상기 버블 오존수가 혼합된 혼합수를 유입받고, 상기 오존수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버블 오존수를 유입 받고, 그리고 상기 반응조로부터 유입 받은 혼합수와 상기 오존수 생성부로부터 유입받은 버블 오존수를 혼합하여 상기 반응조로 배출하는 순환 펌프; 및
    상기 반응조로부터 상기 제1 처리수를 공급받아 상기 버블 오존수의 산화 작용을 촉진하고, 제1 처리수 속에 존재하는 난분해성 물질을 흡착하는 하나 이상의 활성탄 필터(Activated Carbon Filt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수 생성부는,
    상기 오존 가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오존가스를 물에 유입시켜 오존수를 생성하는 벤투리 인젝터; 및
    상기 벤투리 인젝터에 의해서 유출되는 오존수를 유입받고, 유입받은 오존수를 분할 및 충돌시켜 오존수의 용해도를 증가시켜서 유출하는 스태틱 믹서;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폐수를 집수하는 집수조;
    집수된 폐수를 저장하고, 저장하던 폐수 중 적어도 일부를 상기 반응조로 일정한 유량으로 제공하는 유량 조정조;
    상기 활성탄 필터로 상기 제1 처리수를 공급하기 위해서, 상기 반응조에서 배출되는 상기 제1 처리수를 저장하는 제1 저장조; 및
    상기 활성탄 필터에서 배출되는 처리수를 저장하는 제2 저장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량 조정조는 저장하던 폐수 중 일부는 상기 반응조로 제공하고, 나머지 일부는 상기 제1 저장조로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수 생성부는,
    상기 스태틱 믹서를 둘러싸는, 복수의 관을 가진 다공질체;를 더 포함하며,
    상기 오존가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오존가스가, 상기 다공질체의 복수의 관을 통해서 상기 스태틱 믹서로 전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수 생성부는,
    상기 스태틱 믹서로부터 유출되는 오존수를 유입 받고, 유입받은 오존수에 상기 오존가스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오존가스를 유입시킴으로써, 오존 버블이 함유된 오존수를 생성하여 유출하는 다공질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7. 삭제
  8. 삭제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가스 생성부는,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 방전부와 접지부;
    상기 방전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를 수용하는 냉매 수용부; 및
    상기 방전부가 상기 냉매 수용부에 수용되는 냉매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보호부는 상기 방전부를 절연 물질로 둘러싸는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방전부가 상기 냉매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방전부는 제1 방전부 및 제2 방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스는 상기 제1 방전부와 상기 접지부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에 노출된 후에 상기 제2 방전부와 상기 접지부에 의해 발생된 플라즈마에 노출되는 과정을 거쳐 상기 제2 가스로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냉매 수용부는,
    상기 제1 방전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를 수용하는 제1 냉매 수용부; 및
    상기 제2 방전부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매를 수용하는 제2 냉매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호부는,
    상기 제1 방전부가 상기 제1 냉매 수용부에 수용되는 냉매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1 보호부; 및
    상기 제2 방전부가 상기 제2 냉매 수용부에 수용되는 냉매에 노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제2 보호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13. 삭제
  14. 삭제
KR1020090044908A 2009-05-22 2009-05-22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KR1009407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908A KR100940758B1 (ko) 2009-05-22 2009-05-22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4908A KR100940758B1 (ko) 2009-05-22 2009-05-22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940758B1 true KR100940758B1 (ko) 2010-02-10

Family

ID=420830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4908A KR100940758B1 (ko) 2009-05-22 2009-05-22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40758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390B1 (ko) 2010-01-27 2012-04-18 한국기계연구원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이동형 하천 정화 시스템
KR101144704B1 (ko) 2010-01-27 2012-05-24 한국기계연구원 오존 버블 함유 오존수 순환에 기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용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147220B1 (ko) 2010-01-27 2012-05-25 한국기계연구원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하천 준설토 정화 장치
KR101219892B1 (ko) 2012-09-28 2013-01-09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하천에서의 난분해성 하천수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WO2017086499A1 (ko)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CN115536184A (zh) * 2022-11-02 2022-12-3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结合微纳气泡臭氧氧化和电絮凝的村镇饮用水集成处理装置及其水处理方法
CN115557586A (zh) * 2022-08-15 2023-01-03 广东超导电子有限公司 电镀废水处理系统及工艺
KR102614803B1 (ko) * 2022-12-29 2023-12-19 주식회사 제이텍워터 브로어를 사용한 저에너지 고효율 저온 수중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수중 플라즈마 수처리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14079A (ko) * 2006-01-25 2006-02-14 손을택 고도· 고속정수처리 방법
KR20090009493A (ko) * 2007-07-20 2009-01-23 조경복 오존을 이용한 폐수 정화 장치
JP4259797B2 (ja) * 1999-10-28 2009-04-30 和人 橋詰 高度水処理装置及び高度水処理方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59797B2 (ja) * 1999-10-28 2009-04-30 和人 橋詰 高度水処理装置及び高度水処理方法
KR20060014079A (ko) * 2006-01-25 2006-02-14 손을택 고도· 고속정수처리 방법
KR20090009493A (ko) * 2007-07-20 2009-01-23 조경복 오존을 이용한 폐수 정화 장치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6390B1 (ko) 2010-01-27 2012-04-18 한국기계연구원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이동형 하천 정화 시스템
KR101144704B1 (ko) 2010-01-27 2012-05-24 한국기계연구원 오존 버블 함유 오존수 순환에 기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용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147220B1 (ko) 2010-01-27 2012-05-25 한국기계연구원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하천 준설토 정화 장치
KR101219892B1 (ko) 2012-09-28 2013-01-09 주식회사 한국건설관리공사 하천에서의 난분해성 하천수 처리를 위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WO2017086499A1 (ko) * 2015-11-18 2017-05-26 주식회사 플라즈마코리아 플라즈마를 이용한 수처리장치
CN115557586A (zh) * 2022-08-15 2023-01-03 广东超导电子有限公司 电镀废水处理系统及工艺
CN115536184A (zh) * 2022-11-02 2022-12-30 哈尔滨工业大学 一种结合微纳气泡臭氧氧化和电絮凝的村镇饮用水集成处理装置及其水处理方法
KR102614803B1 (ko) * 2022-12-29 2023-12-19 주식회사 제이텍워터 브로어를 사용한 저에너지 고효율 저온 수중 플라즈마 발생 장치를 포함하는 수중 플라즈마 수처리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40758B1 (ko) 난분해성 폐수처리를 위한 미세 오존 버블이 함유된 버블 오존수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JP6785311B2 (ja) 廃水処理装置及び廃水処理方法
US11046597B2 (en) Method of membrane-coupled electrochemical advanced oxidation and its application device for water purification and water purification system using of the same
KR100541573B1 (ko) 고도산화공정을 이용한 수처리 장치 및 그 수처리 방법
KR101138003B1 (ko) 선박용 복합식 오폐수 처리장치
JP5808663B2 (ja) 廃水中の1,4−ジオキサンの処理方法及びその装置
KR100808935B1 (ko) 플라즈마 및 광촉매를 이용한 폐수 처리장치
KR100718234B1 (ko) 기체혼화관 및, 이를 이용하는 수조, 양식장 및 수처리장치
JP3059215B2 (ja) 水中の有害物質を生物学的な方法で分解する方法及び設備
JP2001205277A (ja) 水中の難分解性有機化合物の除去方法および装置
CN110577271A (zh) 一种等离子体曝气污水处理装置及等离子体曝气污水处理方法
CN102616995B (zh) 一种反渗透浓水的臭氧催化氧化与生化复合处理装置及其应用方法
CN102583695B (zh) 一种实现微污染水处理的臭氧联合双氧水系统
US20070034565A1 (en) Method for treating a contaminated fluid
KR101147220B1 (ko) 마이크로 버블을 이용한 하천 준설토 정화 장치
KR101144704B1 (ko) 오존 버블 함유 오존수 순환에 기반한 난분해성 폐수처리용 하이브리드 수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2452662B1 (ko) 펜톤산화 및 피처리수의 순환가이드부를 갖는 하수고도처리장치
KR101133536B1 (ko) 미세기포를 이용한 기름오염 토양의 정화 장치
KR102564892B1 (ko) 전기 수질 정화 장치
JP2011041868A (ja) 有機物含有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1660428B1 (ko) 광산화반응장치
KR100656562B1 (ko) 수처리 재활용 시스템
CN102583850A (zh) 一种实现微污染水处理的紫外联合臭氧系统
CN212246596U (zh) 一种电子加速器辐照废水装置
KR102452659B1 (ko) 피처리수의 순환가이드부를 갖는 하수고도처리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14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6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27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4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29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8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2

Year of fee payment: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