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60394B1 - 디개싱 장치 - Google Patents

디개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60394B1
KR101660394B1 KR1020150061465A KR20150061465A KR101660394B1 KR 101660394 B1 KR101660394 B1 KR 101660394B1 KR 1020150061465 A KR1020150061465 A KR 1020150061465A KR 20150061465 A KR20150061465 A KR 20150061465A KR 101660394 B1 KR101660394 B1 KR 101660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nd
casing
circulating water
air
compressed 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4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민
양진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Priority to KR10201500614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6039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60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60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flot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01D17/0205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by gas bubbles or moving solids
    • B01F3/04248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egassing, i.e. liberation of dissolved ga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0Devices for separating or removing fatty or oily substances or similar floating material
    • B01F2215/0052

Abstract

본 발명은 원유 혹은 가스 등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바다 혹은 강의 대수층 부분을 지나게 될 경우 기름이나 가스와 함께 물이 혼합되어 채취되는데, 이렇게 채취된 물을 분리하여 다시 바다나 강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수처리 시스템의 일부를 이루는 디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디개싱 장치{De-gassing Drum Apparatus}
본 발명은 원유 혹은 가스 등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바다 혹은 강의 대수층 부분을 지나게 될 경우 기름이나 가스와 함께 물이 혼합되어 채취되는데, 이렇게 채취된 물을 분리하여 다시 바다나 강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수처리 시스템의 일부를 이루는 디개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원유 혹은 가스 등을 채취하는 과정에서 바다 혹은 강의 대수층 부분을 지나게 될 경우 기름이나 가스와 함께 물이 혼합되어 채취된다. 이렇게 채취된 물을 분리하여 다시 바다나 강으로 돌려보내기 위하여 장치가 필요하다.
상기 및 이하에서는 기름과 가스와 물이 혼합된 유체를 처리 대상 유체라 칭한다.
처리 대상 유체는 기름이나 가스 뿐만 아니라 모래 등도 함께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처리 대상 유체는, 통상 모래 분리를 위한 시설, 오일 분리를 위한 시설을 통과하면서 대부분의 모래 및 오일이 분리된다.
그러나 처리 대상 유체에서 완벽에 가까울 정도로 모래 및 오일을 분리하여야만 처리수를 분리 배출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장치가 디개싱 장치(de-gassing drum apparatus)이다.
이와 같은 디개싱 장치를 위하여 본 출원인은 가압부상조 방식을 응용하여 디개싱 장치를 제작하는 것으로 하였다.
본 출원인은 가압부상조와 관련된 기술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029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63089호 등을 제안한 바 있으며, 상기 종래 기술들은 본 명세서에 일체화된 것으로 본다.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029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6308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처리 대상 유체에서 오일과 가스와 모래를 확실히 분리하여 처리수를 바다나 강으로 돌려보낼 수 있는 디개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수평으로 누운 드럼 형태의 케이싱 ; 상기 케이싱의 내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 하부를, 처리 대상 유체가 부상되도록 유도하는 부상 유도 공간과 상기 부상 유도된 처리 대상 유체에서 오일과 물이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분리 배출 공간으로 구분하는 격판 ; 상기 부상 유도 공간으로 처리 대상 유체가 유입되기 위하여 마련되는 처리 대상 유체 유입부 ; 상기 분리 배출 공간에 마련되어 수면에 부상하는 오일을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오일 배출부 ; 상기 분리 배출 공간에 마련되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부 ; 상기 케이싱 상부에 마련되는 가스 배출부 ; 상기 분리 배출 공간의 하부 폭방향 중앙에 상기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 일측 상부를 바라보는 제1경사면과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 타측 상부를 바라보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에는 복수의 모래 유입공이 형성되는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 ; 상기 제1경사면의 전방 바닥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제1공기 분사 노즐과, 상기 제2경사면의 전방 바닥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제2공기 분사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공기 분사 노즐과 상기 제2공기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바닥의 모래가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의 모래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 하부로 모이도록 유도하는 모래 수집용 공기 분사부 ;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 하부에 모인 모래를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모래 배출부 ; 상기 처리수 배출부로 배출되는 처리수 중 일부를 순환수로서 순환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순환수 펌프 ;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 ; 상기 순환수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순환수에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순환수에 공기를 용해시킨 용존공기 순환수를 생성하는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 상기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에서 생성된 용존공기 순환수가 상기 부상 유도 공간에 분사되어 상기 처리 대상 유체가 부상하도록 유도하는 용존공기 순환수 분사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에 있어서, 상기 제1,2공기 분사 노즐은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 중앙 하부를 향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며,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복수의 유통공이 형성된 완속용 수직판과,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의 상부에 마련되는 유동 구분용 수직판이 더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처리 대상 유체에서 오일과 가스와 모래를 확실히 분리하여 처리수를 바다나 강으로 돌려보낼 수 있는 디개싱 장치를 제공하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개싱 장치의 개념 단면도,
도 2는 도 1의 디개싱 장치의 케이싱 내부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
도 3은 도 1의 A-A 기준 단면도,
도 4는 도 1의 B-B 기준 단면도,
도 5는 도 1의 오일 배출부의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오일 배출부의 사시도,
도 7은 도 1의 격판과,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와, 완속용 수직판과, 유동 구분용 수직판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일 실시예의 디개싱 장치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디개싱 장치의 개념 단면도이며, 도 2는 도 1의 디개싱 장치의 케이싱 내부를 보이기 위한 평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A-A 기준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B-B 기준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1의 오일 배출부의 단면도이며, 도 6은 도 5의 오일 배출부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1의 격판과,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와, 완속용 수직판과, 유동 구분용 수직판이 결합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일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디개싱 장치는 각종 부품이 내장되는 케이싱(100)과, 순환수 펌프(210)와, 압축공기 공급부(220)와,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230)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케이싱(100)은 수평으로 누운 드럼 형태로서, 케이싱(100)의 내부로 처리 대상 유체가 유입된 후 처리 대상 유체로부터 오일과 가스와 모래가 분리된 후 처리수가 분리 배출될 수 있다.
케이싱(100)의 내부 하부 공간은 격판(110)에 의하여 부상 유도 공간(120)과 분리 배출 공간(130)으로 구분된다.
즉 격판(110)은 케이싱(100)의 내부 하부에 마련되어, 처리 대상 유체 유입부(121)를 통하여 부상 유도 공간(120)으로 유입된 처리 대상 유체가 용존공기 순환수 분사부(122)에서 분사되는 용존공기 순환수에 의하여 부상된 후 격판(110)을 상부로 월류하도록 하는 것이다.
아울러 격판(110)을 월류한 처리 대상 유체와 용존공기 순환수는 분리 배출 공간(130)으로 유입된 후 오일과 모래와 처리수로 분리되어 배출된다.
처리 대상 유체 유입부(121)로 유입되는 처리 대상 유체는, 오일과 가스와 모래와 물의 혼합체라 볼 수 있으며, 처리 대상 유체는 이미 전단계에서 오일 분리 및 모래 분리를 실행하여 대부분의 오일 및 모래는 이미 분리된 상태이다.
따라서 처리 대상 유체에는 작은 양의 오일이 함유되어 있으며, 아울러 모래 또한 미세한 사이즈의 모래가 잔존하고 있다.
용존공기 순환수 분사부(122)에서 분사되는 용존공기 순환수는 후술한다.
한편 부상 유도 공간(120)에는 드레인용 배관(123)이 마련된다.
용존공기 순환수 분사부(122)에서 분사되는 용존공기 순환수는 미세 기포를 대량 발생시키면서, 처리 대상 유체, 특히 오일과 가스 및 모래 등이 부상하도록 유도하게 된다.
케이싱(100)의 상부에는 기체 상태로 모인 가스를 배출하기 위한 가스 배출부(134)가 마련되어 있다.
분리 배출 공간(130)에는 처리수 배출부(131), 오일 배출부(132), 모래 배출부(133)가 마련되어 있다.
오일 배출부(132)는 분리 배출 공간(130)에 마련되어 수면에 부상하는 오일을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것이다.
본 실시예에서 오일 배출부(132)는 케이싱(100)의 상부 공간으로 처리 대상 유체가 지나가지 못하도록 하는 한편, 오일 배출부(132)의 하부를 통해서 처리 대상 유체가 지나가도록 되어 있다.
즉 오일 배출부(132)는 케이싱(100)의 분리 배출 공간(130)을 폭방향으로 가로지르면서 마련되는 오일 수집통(132a)과, 오일 수집통(132a)의 하부에 마련되는 오일 배출관(132b)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오일 배출통(132a)의 폭은 케이싱(100)의 폭과 동일하며 따라서 오일 배출통(132a)으로 인하여 처리 대상 유체는 후단으로 유동하지 못하게 되는 반면, 오일 배출관(132b)은 케이싱(100)의 폭에 비하여 매우 작은 직경을 가지므로 오일 배출관(132b)의 주변을 통하여 처리 대상 유체, 구체적으로는 처리수가 유동하게 된다.
분리 배출 공간(130)의 후단 하부에 처리수 배출부(131)가 마련된다. 처리수 배출부(131)에서는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가 배출된다.
즉 부상된 처리 대상 유체에서 상부에 모인 오일은 오일 배출부(132)로 배출되는 한편, 하부의 유체는 오일 배출관(132b) 주변의 공간을 통하여 유동한 후 처리수 배출부(131)를 통하여 배출된다.
한편 격판(110)과 오일 배출부(132) 사이의 바닥면에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가 마련된다.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는 분리 배출 공간(130)의 하부 폭방향 중앙에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는 제1경사면(135a)와 제2경사면(135b)이 삼각형 형태로 마주보면서 배치되는 구조이다.
즉 제1경사면(135a)은 케이싱(100)의 폭방향 일측 상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제2경사면(135b)는 케이싱(100)의 폭방향 타측 상부를 바라보도록 배치되며, 제1경사면(135a)과 제2경사면(135b)는 상단에서 서로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제1경사면(135a) 및 제2경사면(135b)에는 복수의 모래 유입공(135c)가 형성되어 있다.
모래 유입공(135c)은 제1경사면(135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는 한편 또한 제2경사면(135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로 형성되어 있다.
아울러 모래 유입공(135c)은 제1,2경사면(135a,135b)의 하단에 형성되는 홈 형태이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가 케이싱(100)의 바닥에 고정되면서 구멍 형태를 이루게 된다.
이와 같은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는 일단 모래 유입공(135c)을 통하여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의 내부로 모래가 유입되면 그 유입된 모래가 모래 수집용 공기 분사부에서 분사되는 공기에 의하여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게 모래 수집용 공기 분사부가 배치된다.
모래 수집용 공기 분사부는,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와 평행하게 배치된 제1,2압축공기 분배관(141, 142)과, 제1압축공기 분배관(14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제1공기 분사 노즐(143)과, 제2압축공기 분배관(1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개 배치되는 제2공기 분사 노즐(1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제1,2압축공기 분배관(141, 142)은 후술하는 압축공기 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공기를 공급받아 제1,2공기 분사 노즐(143, 144)를 통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게 된다.
각각의 제1공기 분사 노즐(143)은 제1경사면(135a)의 전방 바닥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며, 각각의 제2공기 분사 노즐(144)은 제2경사면(135b)의 전방 바닥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한다.
이와 같이 제1,2공기 분사 노즐(143, 144)에서 분사되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케이싱(100) 바닥의 모래가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의 모래 유입공(135c)을 통하여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 하부에 모이게 된다.
특히 제1,2공기 분사 노즐(143, 144)은 압축 공기를 케이싱(100)의 폭방향 중앙 하부를 향하여 분사함으로써, 분사된 압축 공기는 케이싱(100)의 바닥에 존재하는 모래를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측으로 유동시키는 한편, 케이싱(100)의 폭방향 좌측과 폭방향 우측에 모래의 유동을 위한 유동을 형성한다.
즉 케이싱(100)의 폭방향 좌측에서는 시계 방향의 흐름이 형성되며, 케이싱(100)의 폭방향 우측에서는 반시계 방향의 흐름이 형성되어, 케이싱(100)의 바닥에서는 항상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를 향한 흐름이 형성되어 모래가 모이게 된다.
아울러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의 상부에서는 상향 흐름이 형성되지만, 이미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 내부로 이동한 모래는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로 인하여 상향 흐름에 의하여 유동하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 하부에 모인 모래는 모래 배출부(133)에 의하여 케이싱(100) 외부로 배출된다.
한편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의 상부에는 2개의 완속용 수직판(151, 152)와, 유동 구분용 수직판(160)이 마련된다.
완속용 수직판(151, 152)은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유체의 유동을 위한 유통공(151a, 152a)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완속용 수직판(151, 152)은 케이싱(100)의 길이 방향을 따른 유속을 완화시켜서 제1,2공기 분사 노즐(143, 144)에 의한 모래의 유동을 위한 유동을 극대화한다.
아울러 유동 구분용 수직판(160)은,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의 길이 방향을 따라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135)의 상부에 마련되는 것으로, 이에 의하여 제1공기 분사 노즐(143)에 의한 유동과 제2공기 분사 노즐(144)에 의한 유동이 구분되도록 하여, 제1공기 분사 노즐(143)에 의한 유동과 제2공기 분사 노즐(144)에 의한 유동간의 간섭을 피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처리수 배출부(131)로 배출되는 처리수 중 일부는 순환수로서 다시 케이싱(100) 내부로 순환 유입된다.
이를 위하여 처리수 배출부(131)로부터 별도의 분기관이 연결되며, 그 분기관의 단부에 순환수 펌프(210)가 마련된다.
순환수 펌프(210)는 처리수 배출부(131)로부터 배출되는 처리수의 일부를 가압펌핑하여 후술하는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230)로 보낸다. 상기 및 이하에서 처리수 중 가압펌핑되는 물을 순환수라 칭한다.
또한 압축공기를 공급하기 위한 압축공기 공급부(220)가 마련된다.
압축공기 공급부(220)는 한 대의 압축기로 이루어지거나 두 대의 압축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압축공기 공급부(220)는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230)로 압축 공기를 공급하는 한편, 모래 수집용 공기 분사부에 압축 공기를 공급하게 된다.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230)는, 순환수 펌프(210)로부터 공급되는 순환수에 압축공기 공급부(220)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혼합시켜 순환수에 공기를 용해시킨 용존공기 순환수를 생성하게 된다. 이와 같은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230)는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029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63089호 등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한편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230)에서 생성된 용존공기 순환수가 케이싱(100)의 부상 유도 공간(120)에 분사되어 처리 대상 유체가 부상하도록 유도하기 위하여 용존공기 순환수 분사부(122)가 마련된다. 이와 같은 용존공기 순환수 분사부(122) 또한 가압부상조에서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기법이며, 종래 기술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00290호,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163089호 등에 자세히 기술되어 있으므로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케이싱
110 : 격판
120 : 부상 유도 공간 121 : 처리 대상 유체 유입부
122 : 용존공기 순환수 분사부 123 : 드레인용 배관
130 : 분리 배출 공간 131 : 처리수 배출부
132 : 오일 배출부 132a : 오일 수집통
132b : 오일 배출관 133 : 모래 배출부
134 : 가스 배출부 135 :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
135a ; 제1경사면 135b : 제2경사면
135c : 모래 유입공
141, 142 : 제1,2압축공기 분배관
143, 144 : 제1,2공기 분사 노즐
151, 152 : 완속용 수직판 151a, 152a : 유통공
160 : 유동 구분용 수직판
210 : 순환수 펌프 220 : 압축공기 공급부
230 :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Claims (2)

  1. 수평으로 누운 드럼 형태의 케이싱 ;
    상기 케이싱의 내부 하부에 마련되어 상기 케이싱의 내부 하부를, 처리 대상 유체가 부상되도록 유도하는 부상 유도 공간과 상기 부상 유도된 처리 대상 유체에서 오일과 물이 분리되어 배출되도록 이루어진 분리 배출 공간으로 구분하는 격판 ;
    상기 부상 유도 공간으로 처리 대상 유체가 유입되기 위하여 마련되는 처리 대상 유체 유입부 ;
    상기 분리 배출 공간에 마련되어 수면에 부상하는 오일을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오일 배출부 ;
    상기 분리 배출 공간에 마련되어 오일이 분리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부 ;
    상기 케이싱 상부에 마련되는 가스 배출부 ;
    상기 분리 배출 공간의 하부 폭방향 중앙에 상기 케이싱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마련되며,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 일측 상부를 바라보는 제1경사면과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 타측 상부를 바라보는 제2경사면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경사면 및 상기 제2경사면에는 복수의 모래 유입공이 형성되는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 ;
    상기 제1경사면의 전방 바닥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제1공기 분사 노즐과, 상기 제2경사면의 전방 바닥을 향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도록 이루어진 복수의 제2공기 분사 노즐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공기 분사 노즐과 상기 제2공기 분사 노즐에서 분사되는 압축 공기에 의하여 바닥의 모래가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의 모래 유입공을 통하여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 하부로 모이도록 유도하는 모래 수집용 공기 분사부 ;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 하부에 모인 모래를 배출하기 위하여 마련되는 모래 배출부 ;
    상기 처리수 배출부로 배출되는 처리수 중 일부를 순환수로서 순환시키기 위하여 마련되는 순환수 펌프 ;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부 ;
    상기 순환수 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순환수에 상기 압축공기 공급부로부터 공급되는 압축공기를 혼합시켜 상기 순환수에 공기를 용해시킨 용존공기 순환수를 생성하는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
    상기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에서 생성된 용존공기 순환수가 상기 부상 유도 공간에 분사되어 상기 처리 대상 유체가 부상하도록 유도하는 용존공기 순환수 분사부 ;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개싱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공기 분사 노즐은 상기 케이싱의 폭방향 중앙 하부를 향하여 압축 공기를 분사하며,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의 길이 방향과 직교하는 형태로 배치되며 복수의 유통공이 형성된 완속용 수직판과,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모래 유동 방지용 커버의 상부에 마련되는 유동 구분용 수직판이 더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개싱 장치.
KR1020150061465A 2015-04-30 2015-04-30 디개싱 장치 KR101660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465A KR101660394B1 (ko) 2015-04-30 2015-04-30 디개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465A KR101660394B1 (ko) 2015-04-30 2015-04-30 디개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60394B1 true KR101660394B1 (ko) 2016-09-27

Family

ID=571010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465A KR101660394B1 (ko) 2015-04-30 2015-04-30 디개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60394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707A (ja) * 2000-03-31 2001-10-10 Shimonoseki Ichi 汚泥除去装置
KR101163089B1 (ko) 2011-08-17 2012-07-05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CN102701483A (zh) * 2012-06-09 2012-10-03 安徽南风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含油废水预处理系统及设置在该系统中的高效除油器
KR101200290B1 (ko) 2012-06-28 2012-11-12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79707A (ja) * 2000-03-31 2001-10-10 Shimonoseki Ichi 汚泥除去装置
JP3702302B2 (ja) * 2000-03-31 2005-10-05 下関市 汚泥除去装置
KR101163089B1 (ko) 2011-08-17 2012-07-05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다공관을 구비한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이를 구비한 가압부상조
CN102701483A (zh) * 2012-06-09 2012-10-03 安徽南风环境工程技术有限公司 含油废水预处理系统及设置在该系统中的高效除油器
KR101200290B1 (ko) 2012-06-28 2012-11-12 주식회사 동신이엔텍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6569B1 (en) Injection-type flotation water treatment apparatus into which dissolved air is injected
KR101628678B1 (ko) 용존공기부상법을 이용한 응집조 포함형 또는 제외형 수처리 장치
KR101660394B1 (ko) 디개싱 장치
CN105909599A (zh) 用于对液体除气的液压装置
JP5259698B2 (ja) 浮上分離による水処理設備および水処理方法
KR101047297B1 (ko) 해양 거품 제거 장치, 이를 갖는 해양 거품 제거 모듈 및 해양 거품 제거 방법
JP5071395B2 (ja) 加圧浮上分離装置
JP2021030142A5 (ko)
JP2017502831A (ja) 沈殿池用スラッジ排出装置
KR101200290B1 (ko) 용존공기 순환수 생성기 및 가압부상조
JP2009255039A (ja) 気体溶解器
KR20140145775A (ko) 공기 윤활 장치
KR102652752B1 (ko) 유출물을 위한 재순환 시스템을 갖춘 트레일링 석션 호퍼 준설선 및 흡입 준설 방법
WO2011142186A1 (ja) バラストタンクの排砂装置及び排砂方法
JP2013202570A (ja) 集砂ノズル及び集砂ノズル装置
KR101785077B1 (ko) 상분리 장치
KR101873981B1 (ko) 부유식 해양구조물의 분리 장치
KR20170009246A (ko) 가스 용해 탱크 및 이를 이용한 폐수 처리 및 정수 처리 시스템
KR101519783B1 (ko) 거품 분리를 위한 우회유동을 갖는 거품저감 배수로 구조물
JP2006263666A (ja) 加圧浮上分離装置
JP2013151171A (ja) バラストタンクの排砂装置及び排砂方法
KR20190015780A (ko) 선박을 이용한 유출 기름 제거 장치
RU2006143890A (ru) Способ привлечения и пропуска рыбы из нижнего бьефа гидроузла в верхний бьеф и рыбоход его осуществляющий
KR101742288B1 (ko) 분리기
KR101368764B1 (ko) 선박평형수 처리용 침전탱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