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801B1 -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 Google Patents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801B1
KR101659801B1 KR1020150168642A KR20150168642A KR101659801B1 KR 101659801 B1 KR101659801 B1 KR 101659801B1 KR 1020150168642 A KR1020150168642 A KR 1020150168642A KR 20150168642 A KR20150168642 A KR 20150168642A KR 101659801 B1 KR101659801 B1 KR 1016598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tribution block
valve
flow path
bushing
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68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근영
권면범
강재영
오진혁
고은석
Original Assignee
델파이파워트레인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델파이파워트레인 유한회사 filed Critical 델파이파워트레인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50168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80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8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80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27/00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 F02B27/02Use of kinetic or wave energy of charge in induction systems, or of combustion residues in exhaust systems, for improving quantity of charge or for increasing removal of combustion residues the systems having variable, i.e. adjustable, cross-sectional areas, chambers of variable volume, or like variable means
    • F02B27/0294Actuators or controllers therefor; Diagnosis; Calib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0Air intakes; Induction systems
    • F02M35/10242Devices or means connected to or integrated into air intakes; Air intakes combined with other engine or vehicle parts
    • F02M35/10255Arrangements of valves; Multi-way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27/00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F16K27/04Construction of hous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of sliding valves
    • F16K27/048Electromagnetically actuated val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31/00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 F16K31/02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 F16K31/06Actuating devices; Operating means; Releasing devices electric; magnetic using a magnet, e.g. diaphragm valves, cutting off by means of a liquid
    • F16K31/0644One-way valv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51/00Other details not peculiar to particular types of valves or cut-off apparat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gnetically Actuated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원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갖춘 밸브 몸체; 상기 밸브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진공 부압에 연결된 진공 유로와 상기 제1, 2 액추에이터에 연통되어 진공 부압 또는 대기압을 각각 공급하는 제1, 2 유로가 형성된 분배 블록; 상기 분배 블록의 내부 공간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2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1, 2 포트가 형성된 부싱; 상기 부싱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는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갖추고서, 상기 대직경부에 상기 부싱의 제1, 2 포트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1 유통홈과 상기 제1 유통홈 및 상기 분배 블록의 진공유로에 연통하는 제2 유통홈이 형성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엔진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매개로 제1, 2 액추에이터를 통해 가변 흡기밸브와 오버패스 밸브를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흡기효율을 향상시켜 토크를 증대함으로써 엔진의 출력성능을 향상하고, 엔진 룸의 소요 공간을 감소하여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며, 부품 수의 감소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INTAKE APPARATUS HAVING INTEGRATED SOLENOID VALVE}
본 발명은 흡기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수의 액추에이터를 하나의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로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어 엔진 룸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엔진의 연소작동에 필요한 공기 및 연료를 효율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통합형 공기 및 연료 모듈(Integrated Air and Fuel Module: IAFM)이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통합형 공기 및 연료 모듈은 흡기 시스템과 연료공급 시스템을 구성하는 많은 구성부품을 모듈화한 것이다.
통합형 공기 및 연료 모듈에서는 일반적으로 엔진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흡기효율의 향상에 기여하는 가변 흡기시스템(Variable Induction system: VIS)을 채용한다. 즉, 가변 흡기시스템은 엔진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적절하게 흡기를 공급하도록 흡기관의 길이나 단면적을 조절하는 가변흡기 밸브 (VIS Valve)가 설치된다.
통상적으로 엔진이 3,000RPM 전후의 중속 회전 범위에서 작동하는 경우, 상기 회전속도 범위 중에서 저속영역에서 회전하는 경우에는 가변흡기 밸브를 폐쇄하여 흡기관의 길이를 길고 직경을 작게 하여 흡기관 내에서 흡기의 유속을 빠르게 하면서 실린더로 흡기를 공급한다.
한편, 엔진이 상기 회전속도 범위 중에서 고속영역에서 회전의 경우에는 가변흡기 밸브를 개방하여 흡기관의 길이를 짧고 직경을 크게 하여 흡기관을 통해 다량의 흡기를 실린더로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엔진이 2,000 RPM이하인 저속으로 회전하는 경우, 어떤 원인으로 인하여 일시적으로 출력 토크(Torque)가 저하되는 구간(Deep Range)이 발생하 고, 이에 대응하여 흡기효율을 향상시킴으로써 토크를 증대시키기 위한 오버패스 밸브 (Over Pass(OP) Valve)가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가변 흡기밸브 또는 오버패스 밸브를 작동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각각의 액추에이터(Actuator)가 별개의 배관을 통해 각각의 솔레노이드 밸브로 연결되어 작동하도록 된다. 이들 액추에이터는 ECU의 제어신호에 따라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서 발생하여 진공탱크에 저장된 진공 부압을 이용하여 작동하는 솔레노이드 밸브를 매개하여 작동하면서 가변 흡기밸브 또는 오버패스 밸브를 개방 또는 폐쇄시켜 흡기관(Runner)의 길이를 변경시켜 흡기효율을 향상시켜 엔진의 출력 토크를 증대할 수 있도록 된다.
상기와 같은 기술에 대하여 다양한 구성이 제시되어 있다. 예컨대, 한국 특허공개 제2012-0007724호와 한국 특허공개 제2014-0032727호는 진공 부압을 이용하여 가변 흡기밸브를 동작하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이를 엔진에 장착하기 위한 구성을 각각 개시하고, 한국 특허 제1142972호는 솔레노이드 밸브로 유입되는 외부 공기의 수분을 억제하는 기술이 기재된다. 또한, 한국 특허공개 제2012-0000208호와 한국 특허 제146538호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액추에이터의 결합구성을 각각 개시한다. 한편, 한국 특허공개 제2015-0001289호 및 한국 특허공개 제2015-0001290호는 솔레노이드 밸브와 액추에이터가 일체로 된 구성을 각각 개시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은 가변 흡기밸브 또는 오버패스 밸브를 개폐작동시키는 액추에이터에 진공 부압 또는 대기압을 인가하는 솔레노이드 밸브가 별도로 채용되어 각각의 배관으로 연결되는데, 이에 따라 한정된 엔진룸에서의 공간 제약에 따라 배관 및 다른 부품의 장착을 위한 설계상의 어려움이 있고 또한, 개별적으로 솔레노이드 밸브를 사용함에 따른 제조비용은 물론 고장의 우려도 증가하는 결점이 있다.
이에 한정된 엔진 룸의 공간에서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면서도 가변 흡기밸브와 오버패스 밸브를 엔진의 회전속도에 대응하여 적절히 작동시켜 엔진의 출력성능을 향상시키면서 제조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흡기장치의 개발이 요청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발명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가변 흡기밸브와 오버패스 밸브를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통합된 솔레노이드밸브를 구비하고서 엔진 룸의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고 제조비용을 감소할 수 있는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는, 대기압과 진공 부압을 이용하여 제1, 2 액추에이터를 매개로 제1, 2 밸브를 각각 작동시켜 흡기를 조절하는 흡기장치에 있어서, 전원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갖춘 밸브 몸체; 와 상기 밸브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진공 부압에 연결된 진공 유로와 상기 제1, 2 액추에이터에 연통되어 진공 부압 또는 대기압을 각각 공급하는 제1, 2 유로가 형성된 분배 블록; 상기 분배블록 내에 결합되어 분배 블록의 제1, 2 유로와 각각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1 유통홈과 상기 제1 유통홈에 연결되어 상기 분배 블록의 진공 유로에 연통하는 제2 유통홈이 형성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분배 블록의 내부 공간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2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1, 2 포트가 형성된 부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분배 블록의 제1 유로는 지면에 대하여 제2 유로와 높이가 어긋나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는 부싱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보다 작은 직경이면서 분배블록의 제1, 2 유로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소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제1, 2 유통홈은 서로 연통하여 상기 대경부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부싱에 구비된 제1, 2 포트는 상기 분배 블록의 제1, 2 유로와 각각 대응하여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밸브 몸체를 엔진에 부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밸브 몸체에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연결하는 터미널이 추가로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밸브 몸체의 하부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은, 엔진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매개로 제1, 2 액추에이터를 통해 가변 흡기밸브와 오버패스 밸브를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흡기효율을 향상시켜 토크를 증대함으로써 엔진의 출력성능을 향상하고, 엔진 룸의 소요 공간을 감소하여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며, 부품 수의 감소에 따라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 더욱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도 1에서 솔레노이드 밸브만을 도시한 것으로 제1, 2 액추에이터가 모두 ON되어 제1, 2 밸브를 폐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2 액추에이터가 모두 OFF되어 제1, 2 밸브를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는 OFF되어 제1 밸브를 개방하고, 제2 액추에이터는 ON되어 제2 밸브를 폐쇄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액추에이터는 ON되어 제1 밸브를 폐쇄하고, 제2 액추에이터는 OFF되어 제2 밸브를 개방하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부품은 다른 도면에서도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10: 이하 간단히 "솔레노이드 밸브"라 함)를 갖춘 흡기장치(100)의 개략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솔레노이드 밸브(10)는, 대기압과 진공 부압을 이용하여 제1, 2 액추에이터(30, 40)를 매개로 제1, 2 밸브(32, 42)를 각각 작동시켜 , 엔진(도시 안 됨)의 실린더(도시 안 됨)로 유입되는 흡기효율을 향상시킨다.
여기서 진공 부압은 엔진의 흡기 매니폴드에서 발생하는 것을 사용하고, 대기압은 솔레노이드 밸브(10)의 하단부가 외기와 연통되어 있으므로, 이를 도입하여 사용하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 밸브(32)는 엔진이 2,000 RPM이하에서 저속 회전할 때 일시적으로 토크가 저하되는 구간에 대응하여 공기량 증대효과를 얻어 토크를 증대시키는 오버패스 밸브(Over Pass(OP) Valve)이고, 제2 밸브 (42)는 엔진이 3,000 RPM 전후의 중속회전 속도범위에서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흡기관(도시 안 됨)의 길이나 단면적을 조절하는 가변흡기 밸브(VIS Valve)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솔레노이드 밸브(10)의 구성은, 개략적으로 밸브 몸체(20)와; 상기 밸브 몸체(20)의 상부에 결합되어 진공 부압 또는 대기압을 제1, 2 액추에이터(30, 40)에 각각 선택적으로 분배하여 공급하는 분배 블록(50); 상기 분배 블록(50)의 내부 공간에 결합되면서 제1, 2 액추에이터(30, 40)와 선택적으로 연통되도록 하는 부싱(60); 상기 부싱(60) 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면서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플런저(70); 및 상기 플런저(70)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80);를 포함한다.
상기 밸브 몸체(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체로 원통 형상인 하우징 (21) 내에 중공의 내부 공간(22a)을 갖는 원통 형상의 보빈(22)과 상기 보빈(22)의 외주에 권취된 코일(23)을 포함하는 솔레노이드가 구비된다. 또, 보빈 (22)의 내부 공간(22a)에는 상부에 단턱(24a)을 갖추면서 하부에서 대기압과 연통되는 관통구멍(24b)이 형성된 코어 슬리이브(24)가 삽입된다.
그리고 상기 밸브 몸체(20)의 하우징(21)의 일측에는 엔진에 솔레노이드 밸브(10)를 착탈 가능하게 결합하기 위한 브래킷(25a)과 볼트(25b)를 갖춘 장착부재(25)가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배 블록(50)은 내부 공간(50a)이 형성된 원통 형상으로서 그 외주면에는 제1 액추에이터(30)와 연통되는 제1 유통홈(52)과, 상기 제1 유로(52)와 이격되어 별개로 제2 액추에이터(40)와 연통되는 제2 유로 (54)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분배 블록(50)의 상부에는 상기 제1, 2유로 (52, 54)와 이격되어 진공 부압에 연통되는 진공 유로(56)가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진공 유로(56)는 대체로 제1, 2유로(52, 54)와 수직인 위치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제1, 2유로(52, 54)와 경사각을 갖고 비스듬하게 분배 블록(50)으로부터 연장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2 유로(52, 54)는 지면에 대하여 서로 다른 높이에 어긋나게 위치되어, 후술하는 바와 같이 부싱(60) 및 플런저(70)의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되어 제1, 2 액추에이터(30, 40)로 진공 부압 또는 대기압을 각각 공급하도록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싱(60)은 분배 블록(50)의 내부 공간(50a)에 압입되어 고정된다. 부싱(60)은 대체로 원형 단면의 내부 공간(60a)이 형성되면서 상하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서 일측에 분배 블록(50)의 제1 유로(52)에 대응하여 연통하는 위치에 제1 포트(62)가 형성되고, 타측에는 분배 블록(50)의 제2 유로(54)에 대응하여 연통하는 위치에 제2 포트(64)가 형성된 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런저(70)는 부싱(60)의 내부 공간(60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플런저(70)는 상부의 큰 직경의 대경부(71)와 하부의 작은 직경의 소경부(72)가 형성된다. 대경부(71)에는 반경 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부싱(60)의 제1, 2 포트(62, 64)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지면에 대체로 수평한 제1 유통홈(73)과, 상기 제1 유통홈(73)과 대체로 직각으로 연장하여 분배 블록(50)의 진공유로(56)와 연통하는 지면에 대하여 대체로 수직인 제2 유통홈(74)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플런저(70)의 소경부(72)의 하부 중앙에는 소정 깊이의 오목부 (75)가 형성되고, 상기 오목부(75)에 대체로 원통 형상의 스프링 지지부재 (81)가 결합되며, 상기 스프링 지지부재(81)와 상기 밸브 몸체(20)의 코어 슬리이브(24)의 단턱(24a) 사이에 탄성부재(80)가 탄력 설치되어 플런저(70)에 탄성력을 부여하도록 된다. 여기서 탄성부재(80)는 코일 스프링이 바람직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력을 발생할 수 있는 것이면 다른 형태 및 구성이 채택될 수 있다.
한편, 밸브 몸체(20)의 하우징(21)에는 외부 전원(도시 안 됨)으로부터 코일(23)에 전원을 공급하는 터미널(82)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 몸체(20)의 하부에는 유입되는 대기압의 외부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부재(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 몸체(20)와 분배 블록(50) 및 필터부재(84) 사이에는 이들 사이에서 기밀을 유지하기 위하여 O-링(86, 88)이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다음에는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일 실시예에 따른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10)를 갖춘 흡기장치(100)의 작동을 설명한다.
엔진이 시동되어 정상 운전되는 경우, 본 발명의 흡기장치(100)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10)는 ECU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터미널(82)을 통해 코일(23)에 소정 량의 전류가 인가되고, 이에 대응한 전자기력에 의해 플런저(70)는 도 2에 도시된 상태이다.
즉, 플런저(70)는 탄성 부재(80)를 최대한 압축하면서 하강되어 있다. 여기서, 제1, 2 유로(52, 54)는 부싱(60)의 제1, 2 포트 (62, 64) 및 플런저(70)의 제1 유통홈(73)과 연통되고 또 제2 유통홈(74) 및 진공 유로 (56)를 통해 진공 부압에 연결된다. 따라서, 진공 부압이 제1, 2 유로 (52, 54)를 통해 제1, 2 액추에이터 (30, 40)에 인가되어 제1, 2 액추에이터 (30, 40)를 ON 작동시킴으로써 제1, 2 밸브 (32, 42)를 모두 폐쇄상태로 유지한다.
이때, 플런저(70)의 소경부(72)의 외주면과의 틈새(G)는 부싱(60)에 의해 폐쇄되어 제1, 2 유로(52, 54)와 차단되므로, 코어 슬리이브(24)의 관통구멍 (24b)을 통한 대기압은 제1, 2 유로(52, 54)로 유입되지 못한 상태가 된다.
한편, 엔진에 인가되는 외부 조건에 따라 제1, 2 밸브(32, 42)를 모두 개방하여 흡기효율을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 본 발명의 흡기장치(100)에 구비된 솔레노이드 밸브(10)는 도 3에 도시된 상태로 작동한다.
즉, 플런저((70)는 스프링(80)의 탄성력에 의해 분배 블록(50)의 내부 공간(50a)에서 최상부까지 상승된 위치이다. 이때 제1, 2 유로(52, 54)는 플런저 (70)의 소경부(72)의 외주면과의 틈새(G: Gap)를 통해 코어 슬리이브(24)의 관통구멍(24b)을 통해 대기압과 각각 연통된다.
따라서 대기압이 제1, 2유로(52, 54)를 통해 제1, 2 액추에이터(30, 40)에 인가되므로 제1, 2 액추에이터(30, 40)는 OFF 상태이고, 제1, 2 밸브(32, 42)는 개방상태로 유지되어, 빠르게 다량의 흡기를 실린더에 공급한다.
그런데 만일 엔진의 저속 회전, 예컨대 2,000RPM 이하인 회전 범위에서 일시적으로 토크가 저하되면, 이에 대응하여 토크를 증대시키도록 오버패스 밸브, 즉 제1 밸브(32)를 개방하여 흡기효율을 향상시켜야 한다.
이를 위해 ECU(도시 안 됨)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터미널(82)을 통해 코일(23)에 소정 량의 전류가 인가되고, 이에 대응한 전자기력에 의해 플런저(70)는 도 2에서보다 더 아래로 이동하여 도 4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즉, 플런저(70)는 탄성 부재(80)를 압축하면서 아래쪽으로 하강하여 제1 유로(52)는 부싱(60)의 제1 포트(62)와는 연통되나 플런저(70)의 제1 유통홈 (73)과는 차단된다. 이때, 코어 슬리이브(24)의 관통구멍(24b)을 통한 대기압이 플런저(70)의 도시되지 않은 내부통로를 통해 제1 유로(52)를 거쳐 제1 액추에이터(30)에 작용하므로 제1 액추에이터(30)는 OFF 상태이고, 제1 밸브(32)는 개방상태로 유지된다.
여기서, 제2 유로(54)는 부싱(60)의 제2 포트(64) 및 플런저(70)의 제1 유통홈(73)과 연통하고, 제1 유통홈(73)은 제2 유통홈(74) 및 진공 유로(56)를 통해 진공 부압에 연결된다. 따라서, 진공 부압이 제2 유로(54)를 통해 제2 액추에이터(40)에 인가되므로 제2 액추에이터(40)는 ON 작동하여 제2 밸브(42), 즉 가변흡기 밸브를 폐쇄한다.
한편, 엔진이 3,000RPM 전후의 중속 회전 범위에서 비교적 고속영역에서 회전하는 경우에는 가변흡기 밸브, 즉 제2 밸브(42)를 개방하여 흡기관의 길이를 짧게 하거나 다량의 흡기를 실린더로 공급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도 2에 도시된 솔레노이드 밸브(10)에는, ECU(도시 안 됨)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터미널(82)을 통해 코일(23)에 소정 량의 전류가 인가되고, 이에 대응한 전자기력에 의해 플런저(70)를 위쪽으로 미는 힘이 밸브 몸체(20)에 발생한다.
즉, 플런저(70)는 탄성부재(80)의 탄성력과 함께 상승하여 도 5에 도시된 상태로 된다. 이때, 제2 유로(54)는 플런저(70)의 대경부(71)의 제1 유통홈(73)과는 차단되지만 소경부(72)의 외주면과의 틈새(G)와는 연통되므로, 코어 슬리이브(24)의 관통구멍(24b)을 통해 대기압과 연결되어, 대기압이 제2 액추에이터 (40)에 작용하므로 제2 액추에이터(40)는 OFF 상태이고, 제2 밸브(42)를 개방하여 공기량 증대효과를 얻음으로써 엔진의 토크를 증대시킨다.
여기서, 제1 유로(52)는 부싱(60)의 제1 포트(62) 및 플런저(70)의 제1 유통홈(73)과 연통하고, 제1 유통홈(73)은 제2 유통홈(74) 및 진공유로(56)를 통해 진공 부압에 연결된다. 따라서, 진공 부압이 제1 유로(52)를 통해 제1 액추에이터 (30)에 인가되어 ON 동작시켜 제1 밸브(32), 즉 오버패스 밸브를 폐쇄한다.
이상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기장치(100)는, 엔진의 회전 속도에 대응하여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10)를 매개로 제1, 2 액추에이터(30, 40)를 통해 가변 흡기밸브와 오버패스 밸브를 각각 선택적으로 작동시켜 흡기효율을 향상시켜 토크를 증대시킴으로써 엔진의 출력 증가를 도모하고, 엔진 룸의 점유 공간을 감소하여 설계 자유도를 확보하는 한편, 부품 수를 줄여 제조비용을 감소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기재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기술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 내에서 여러 변경, 수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한다.
예컨대, 상기 실시예에서는 솔레노이드 밸브의 작동으로 제1, 2 액추에이터에 진공 부압이 인가되면 제1, 2 액추에이터가 ON 되어 제1, 2 밸브를 각각 폐쇄하고, 대기압이 제1, 2 액추에이터에 인가되면 제1, 2 액추에이터가 OFF 되어 제1, 2 밸브를 각각 개방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변형예로서 제1, 2 액추에이터에 진공부압이 인가되면 제1, 2 액추에이터가 ON 되어 제1, 2 밸브를 각각 개방하고, 대기압이 제1, 2 액추에이터에 인가되면 제1, 2 액추에이터가 OFF 되어 제1, 2 밸브를 각각 폐쇄하는 구성을 채택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변형예로서 진공 부압과 대기압의 선택적인 인가 작동에 따라 제1, 2 액추에이터의 ON/OFF 작동과 제1, 2 밸브의 개방/폐쇄 동작의 조합을 장치의 설계 또는 작동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조합하여 구성할 수 있고, 이러한 구성 역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임은 물론이다.
10: 솔레노이드 밸브 20: 밸브 몸체
23: 코일 24: 코어 슬리이브
25: 장착부재 30, 40: 제1, 2 액추에이터
32, 42: 제1, 2 밸브 50: 분배 블록
52, 54: 제1, 2 유로 56: 진공 유로
60: 부싱 62, 64: 제1, 2 포트
70: 플런저 73: 제1 유통홈
74: 제2 유통홈 80: 탄성 부재
82: 터미널 84: 필터 부재
100: 흡기장치

Claims (8)

  1. 대기압과 진공 부압을 이용하여 제1, 2 액추에이터를 매개로 제1, 2 밸브를 각각 작동시켜 흡기를 조절하는 흡기장치에 있어서,
    전원에 연결된 솔레노이드를 갖춘 밸브 몸체; 와
    상기 밸브 몸체의 상부에 결합되면서 진공 부압에 연결된 진공 유로와 상기 제1, 2 액추에이터에 연통되어 진공 부압 또는 대기압을 각각 공급하는 제1, 2 유로가 형성된 분배 블록;
    상기 분배블록 내에 결합되어 분배 블록의 제1, 2 유로와 각각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1 유통홈과 상기 제1 유통홈에 연결되어 상기 분배 블록의 진공 유로에 연통하는 제2 유통홈이 형성된 플런저; 및
    상기 플런저에 탄성력을 부여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블록의 내부 공간에 결합되면서 상기 제1, 2 유로와 선택적으로 연통하는 제1, 2 포트가 형성된 부싱을 추가로 포함하는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블록의 제1 유로는 지면에 대하여 제2 유로와 높이가 어긋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부싱의 내주면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밀착되는 대경부와 상기 대경부보다 작은 직경이면서 분배블록의 제1, 2 유로와의 사이에 틈새를 형성하는 소경부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의 제1, 2 유통홈은 서로 연통하여 상기 대경부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싱에 구비된 제1, 2 포트는 상기 분배 블록의 제1, 2 유로와 각각 대응하여 연통하는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를 엔진에 부착하기 위한 장착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에는 상기 솔레노이드에 전원을 연결하는 터미널이 추가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몸체의 하부에는 유입되는 공기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KR1020150168642A 2015-11-30 2015-11-30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KR10165980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642A KR101659801B1 (ko) 2015-11-30 2015-11-30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68642A KR101659801B1 (ko) 2015-11-30 2015-11-30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9801B1 true KR101659801B1 (ko) 2016-09-26

Family

ID=57068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68642A KR101659801B1 (ko) 2015-11-30 2015-11-30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80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3004A (zh) * 2022-05-07 2022-08-09 蚌埠市华宏电子技术有限责任公司 烟支空头检测剔除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765U (ja) * 1992-12-25 1994-07-22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補助空気量制御装置
KR20120007724A (ko) * 2010-07-15 2012-01-25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공압용 솔레노이드밸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53765U (ja) * 1992-12-25 1994-07-22 株式会社ユニシアジェックス 補助空気量制御装置
KR20120007724A (ko) * 2010-07-15 2012-01-25 인지컨트롤스 주식회사 공압용 솔레노이드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873004A (zh) * 2022-05-07 2022-08-09 蚌埠市华宏电子技术有限责任公司 烟支空头检测剔除装置
CN114873004B (zh) * 2022-05-07 2024-04-19 蚌埠市华宏电子技术有限责任公司 烟支空头检测剔除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755154B (zh) 用于控制压力介质流的控制阀的阀门件
CN104704210B (zh) 混合式凸轮‑无凸轮的可变气门致动系统
CN105683636B (zh) 组合热管理单元
KR101198809B1 (ko) 오일 제어 밸브 및 이를 포함하는 가변 밸브 리프트 시스템
RU2009147675A (ru) Трехпутевой клапан с пневмоприводом
US20120048221A1 (en) Variable valve actuator
JP5734539B2 (ja) 背圧制御を備えたソレノイドバルブアッセンブリ
KR101659801B1 (ko) 통합된 솔레노이드 밸브를 갖춘 흡기장치
US9523438B2 (en) Solenoid valve assembly with pilot pressure control
US8813696B2 (en) Electro-hydraulic valve train
JP2013036463A (ja) 内燃機関の吸気システム
JP4441471B2 (ja) 多連スロットルボデーにおけるアイドル空気制御装置
JP5989955B2 (ja) 圧力制御弁
KR101153838B1 (ko) 밸브
CN104395565B (zh) 带有一体式泄放阀芯的五通油控制阀
CN105556090B (zh) 进气歧管用促动器
CN102477876B (zh) 可变气门升程装置
EP2877718B1 (en) Engine valvetrain oil control valve
KR100494417B1 (ko) 3웨이 밸브
CN102251870A (zh) 具有致动凸轮轴相位器的集成机油通道的发动机凸轮轴盖
JPH11210591A (ja) 中心燃料経路と脈動閉鎖機構を有する燃料噴射装置
KR101480625B1 (ko) 솔레노이드 밸브
CN106481441B (zh) 用于控制cmcv真空系统的集成进气歧管的真空螺线管
US10087792B2 (en) Two path two step actuator
JP2007132235A (ja) 多連スロットルボデーにおけるエアバイパス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