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9328B1 -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 Google Patents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9328B1
KR101659328B1 KR1020150000397A KR20150000397A KR101659328B1 KR 101659328 B1 KR101659328 B1 KR 101659328B1 KR 1020150000397 A KR1020150000397 A KR 1020150000397A KR 20150000397 A KR20150000397 A KR 20150000397A KR 101659328 B1 KR101659328 B1 KR 101659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anode
cathode
box body
positiv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03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4018A (ko
Inventor
박성윤
Original Assignee
박성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성윤 filed Critical 박성윤
Priority to KR10201500003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9328B1/ko
Publication of KR201600840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40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9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93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1M2/1016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2/105
    • H01M2/20
    • H01M2/30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01M50/204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 H01M50/207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 H01M50/213Racks, modules or packs for multiple batteries or multiple cells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adapted for cells having curved cross-section, e.g. round or ellipt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43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유변형 건전지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건전지가 수용되는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건전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연결부와; 상기 상자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건전지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연결부와;상기 양극연결부와 상기 음극연결부에 각각 구비되어 이웃하는 건전지상자와 직렬방식으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직렬연결부와; 상기 상자본체의 양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이웃하는 건전지상자와 병렬양식으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병렬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유변형 건전지상자{BATTERY HOLDER ASSEMBLY}
본 발명은 자유변형 건전지상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히는 필요에 따라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을 간편하게 구현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유변형 건전지상자에 관한 것이다.
건전지상자는 내부에 건전지를 수용하여 건전지의 전압을 사용하는 전자기기와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건전지상자는 휴대전화, 노트북 컴퓨터, 어린이 장난감 등 다양한 제품에 수용되어 사용된다. 또한, 건전지상자는 초등학교 또는 중학교에서 전기의 원리를 학습하는 학습교재로 이용되기도 한다.
건전지상자의 일례가 등록특허 제10-0467667호 "배터리홀더"에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바와 같은 종래 건전지상자는 건전지의 크기에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구비된다. 종래 건전지상자는 전자제품에서 사용되는 전압의 크기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될 필요가 있다.
이 경우, 종래 건전지상자는 사용되는 전압에 따라 개별적으로 각각 구비되어 사용되었다. 일례로, 1.5V 건전지를 이용해, 3V 전압 또는 4.5V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1.5V 건전지상자, 3V 건전지상자 및 4.5V 건전지상자를 각각 개별적으로 제조하여 사용하였다. 이에 따라 다양한 전압용 건전지를 각각 제조해야 하므로 제조비용이 증가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한 개의 건전지상자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하는 경우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도 건전지상자를 물리적으로는 결합하지 못하고 전선을 이용해 전기적으로만 결합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장시간 사용시 안정적인 전기공급이 이루어지지 못하는 단점이 있고, 학생들에게는 다양한 전원체를 구성하기 어려운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복수 개의 건전지상자를 필요에 따라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구성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는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을 구현하여 성인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도 쉽게 다양한 전기적 연결을 실험하며 학습할 수 있게 하는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복수 개의 건전지상자를 전기적 뿐만 아니라 물리적으로도 서로 결합시켜 구조적인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유변형 건전지상자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건전지상자는, 건전지가 수용되는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건전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연결부와; 상기 상자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건전지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연결부와;상기 양극연결부와 상기 음극연결부에 각각 구비되어 이웃하는 건전지상자와 직렬방식으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직렬연결부와; 상기 상자본체의 양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이웃하는 건전지상자와 병렬양식으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병렬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직렬연결부는, 상기 상자본체의 일단벽에 돌출형성된 직렬결합돌기와; 상기 상자본체의 타단벽에 일정길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이웃하는 건전지상자의 직렬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직렬돌기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직렬결합돌기는 단면형상이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병렬연결부는, 상기 상자본체의 일측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면결합돌기와; 상기 상자본체의 타측벽면에 상기 측면결합돌기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건전지상자의 측면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측면돌기삽입홈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자본체는, 상기 직렬결합돌기가 형성된 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양극단자삽입공간을 형성하고, 판면에 전극노출홈이 일정 길이 형성된 양극단자삽입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양극단자삽입격벽에 삽입되며, 양극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전선연결판과; 상기 양극전선연결판과 접촉되게 상기 양극단자삽입격벽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전극노출홈을 통해 건전지의 양극에 접촉되는 양극단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상자본체는, 상기 직렬돌기삽입홈이 형성된 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음극단자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음극단자삽입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음극연결부는, 상기 음극단자삽입공간에 삽입되며, 음극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전선연결판과; 상기 음극전선연결판과 접촉되게 상기 음극단자삽입격벽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음극단자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극전선연결판과 상기 음극전선연결판은 각각 상기 상자본체의 상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전선연결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연결리브의 판면에는 양극전선과 음극전선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전선연결구멍이 관통형성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양극전선연결판과 상기 양극단자는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음극전선연결판과 상기 음극단자는 일체로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는 한 개의 건전지상자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건전지상자에 물리적으로 직렬로 연결할 수 있는 직렬연결부와 물리적으로 병렬로 연결할 수 있는 병렬연결부가 형성된다.
직렬연결부와 병렬연결부는 요철구조에 의한 결합으로 물리적인 결합의 구속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성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안정성도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는 간편하게 직렬연결 및 병렬연결을 구현하여 성인 뿐만 아니라 어린이들도 쉽게 다양한 전기적 연결을 실험하며 학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는 건전지상자만 제작한 후, 필요에 따라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연결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건전지상자의 제조비용은 감소하면서 활용도는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를 구성하는 단일 건전지상자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건전지상자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건전지상자를 직렬로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4a와 도4b는 본 발명의 건전지상자를 직렬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건전지상자를 병렬로 연결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
도 6a와 도 6b는 본 발명의 건전지상자를 병렬로 연결한 상태를 도시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를 구성하는 단일 건전지상자(100)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는 단일 건전지상자(100)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복수 개의 건전지상자(100)를 직렬로 연결하여 사용하거나, 복수 개의 건전지상자(100)를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될 수 있다.
건전지상자(100)는 한 개의 건전지(A)를 내부에 수용한다. 건전지상자(100)에 수용되는 건전지(A)는 건전지상자(100)가 사용되는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로 구비될 수 있다.
도 2는 건전지상자(100)의 구성을 분해하여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건전지상자(100)는 상부가 개방형성된 상자본체(110)와, 상자본체(110)의 양단에 형성되어 건전지(A)의 전극(a,b)에 접촉되는 양극연결부(120) 및 음극연결부(130)와, 복수개의 건전지상자(100)를 직렬로 결합시키는 직렬연결부(140)와, 복수개의 건전지상자(100)를 병렬로 결합시키는 병렬연결부(150)를 포함한다.
상자본체(110)는 상부가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된다. 상자본체(110)는 길이방향을 따라 양단부에 각각 양극연결부(120)와 음극연결부(130)가 결합되고, 양극연결부(120)와 음극연결부(130)의 외측으로 직렬연결부(140)가 구비된다. 그리고, 상자본체(110)의 양측벽을 따라 병렬연결부(150)가 구비된다.
상자본체(110)의 제1외벽(112)에는 양극단자삽입격벽(111)이 구비되고, 상자본체(110)의 제2외벽(119)에는 음극단자삽입격벽(117)이 구비된다. 양극단자삽입격벽(111)과 제1외벽(112) 사이에는 양극단자(123)가 삽입되는 양극단자삽입공간(113)이 형성된다.
양극단자삽입격벽(111)의 판면에는 전극노출공(115)이 일정 길이 관통형성된다. 전극노출공(115)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단자(123)의 접촉돌기(123b)를 양극단자삽입격벽(111) 외부로 노출시킨다. 이에 의해 접촉돌기(123b)가 건전지(A)의 양극(a)과 접촉하게 된다. 음극단자삽입격벽(117)은 음극단자(133)를 접촉 지지한다.
양극단자삽입격벽(111)과 음극단자삽입격벽(117) 사이의 공간에 건전지(A)가 수용된다.
양극연결부(120)는 양극단자삽입공간(113)에 삽입되어 건전지(A)의 양극(a)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양극연결부(120)는 양극전선(160)과 연결되는 양극전선연결판(121)과, 건전지(A)의 양극(a)과 접촉되는 양극단자(123)를 포함한다.
양극전선연결판(121)은 양극전선(160)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양극전선(160)은 건전지상자(100)가 수용되는 전자기기 또는 발광부재와 같은 전압소모부재와 연결된다. 양극전선연결판(121)은 양극단자삽입공간(113)에 수직하게 삽입되는 금속판상재질로 형성된다.
양극전선연결판(121)의 상부에는 일정길이 상방향으로 연장형성되는 전선연결리브(121a)가 구비된다. 전선연결리브(121a)는 양극전선연결판(121)이 양극단자삽입공간(113)에 삽입되었을 때 건전지상자(100)의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외부로 돌출된 전선연결리브(121a)에 용이하게 양극전선(160)을 연결할 수 있다. 전선연결리브(121a)의 판면에는 전선연결구멍(121b,121c)이 복수개 관통형성된다.
도 3b는 양극전선연결판(121)에 양극전선(160)을 연결하는 과정이 도시된 예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는 양극전선(160)의 피복이 제거된 전선단부(161)을 하부전선연결구멍(121b)으로 삽입한 후 상부전선연결구멍(121c)으로 배출하고, 이를 수회 꼬아 양극전선(160)과 양극전선연결판(121)의 결합을 완료할 수 있다.
양극단자(123)는 양극전선연결판(121)과 전기적으로 접촉되게 양극단자삽입공간(113)에 삽입된다. 양극단자(123)는 도전성금속의 판상재질로 형성된다. 양극단자(123)의 판면에는 양극(a)을 향해 돌출된 접촉돌기(123b)가 형성된다. 양극단자(123)의 상부에는 수직하게 절곡형성되어 양극단자삽입격벽(111)에 거치되는 걸림턱(123a)이 구비된다. 또한, 양극단자(123)의 양측 판면에는 양극단자삽입격벽(111)을 향해 절개된 지지날개(123c)가 구비된다. 지지날개(123c)는 탄성적으로 양극단자삽입격벽(111)에 지지되며 양극단자(123)가 양극(a)과 접촉될 때 위치를 지지한다.
음극연결부(130)는 음극단자삽입공간(118)에 삽입되어 건전지(A)의 음극(b)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음극연결부(130)는 음극전선(170)과 연결되는 음극전선연결판(131)과, 건전지(A)의 음극(b)과 접촉되는 음극단자(133)를 포함한다.
음극전선연결판(131)은 양극전선연결판(121)과 동일한 구성을 가진다.
음극단자(133)는 음극단자삽입격벽(117)을 감싸도록 배치된다. 음극단자(133)는 음극단자삽입공간(118)에 삽입되는 수직판(133a)과, 수직판(133a)의 상부에 배치된 연결판(133b)과, 연결판(133b)에 연장되어 음극(b)과 접촉되는 탄성판(133c)을 포함한다.
수직판(133a)과 연결판(133b) 및 탄성판(133c)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된다. 수직판(133a)은 음극단자삽입격벽(117)에 삽입되어 음극전선연결판(131)과 접촉된다. 연결판(133b)은 음극단자삽입격벽(117)의 상면에 거치된다. 탄성판(133c)은 연결판(133b)으로부터 연장되어 음극(b)과 접촉된다. 탄성판(133c)은 연결판(133b)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되며 건전지(A)의 삽입시 음극(b)과 접촉된다.
직렬연결부(140)는 복수개의 건전지상자(100)가 직렬로 연결될 때, 물리적으로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직렬연결부(140)는 요철방식으로 서로 끼움결합되는 방식으로 구현된다. 직렬연결부(140)는 제1외벽(112)에 돌출형성되는 직렬결합돌기(141)와, 제2외벽(119)에 관통형성되는 직렬돌기삽입홈(143)을 포함한다.
직렬결합돌기(141)는 제1외벽(112)의 높이방향을 따라 일정길이 형성된다. 여기서, 직렬결합돌기(141)는 단면형상이 역삼각형 또는 사다리꼴과 같이 외측으로 갈수록 점차 폭이 넓어지는 형태로 구비된다.
직렬돌기삽입홈(143)은 제2외벽(119)에 절개되어 형성된다. 직렬돌기삽입홈(143)은 직렬결합돌기(141)의 단면형상에 대응되게 형성된다. 직렬결합돌기(141)의 단면형상이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넓어지게 형성되므로 직렬돌기삽입홈(143)에 직렬결합돌기(141)가 삽입되면 맞물려 수직방향, 즉 배출되는 방향으로 힘이 가해지지 않고 수평방향으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직렬결합돌기(141)가 직렬돌기삽입홈(143)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따라서, 복수 개의 건전지상자(100)가 직렬결합되는 경우 구조적인 안정성이 보장될 수 있다.
병렬연결부(150)는 상자본체(110)의 양측벽에 구비되어 복수개의 건전지상자(100)가 병렬로 연결될 때, 물리적으로 위치가 구속되도록 한다. 병렬연결부(150)는 일측벽에 구비되는 측면결합돌기(151)와, 측면결합돌기(151)의 위치에 대응되는 타측벽에 구비되는 측면돌기삽입홈(153)을 포함한다.
측면결합돌기(151)와 측면돌기삽입홈(153)은 서로 마주보는 방향으로 상자본체(110)의 측벽에 복수개가 구비된다.
측면결합돌기(151)의 형상은 직렬결합돌기(141)와 동일한 형상으로 구비된다. 측면돌기삽입홈(153)은 서로 이격되게 배치된 홈지지기둥(155) 사이에 구비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변형 건전지상자의 직렬 및 병렬 결합과정을 도 1 내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개의 건전지상자(100)를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건전지상자(100) 내부에 건전지(A)를 수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건전지(A)를 수용할 때 양극(a)은 양극단자(123)와 접촉되도록 배치하고, 음극(b)은 음극단자(133)와 접촉되도록 배치한다. 양극(a)이 양극단자(123)와 접촉할 때 양극단자(123)의 지지날개(123c)에 의해 탄성적으로 양극단자삽입공간(113) 내부에서 후퇴하면서 건전지(A)의 삽입이 용이하게 공간을 형성한다.
이 때, 음극(b)이 음극단자(133)와 접촉할 때 음극단자(133)의 탄성판(133c)이 연결판(133b)에 대해 탄성적으로 이동하며 건전지(A)의 삽입이 용이하게 한다.
한편, 사용되는 건전지의 전압을 변화시키기 위해 자유변형 건전지상자(1)를 직렬로 연결하는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건전지상자(100)와 제2건전지상자(100')를 직렬로 연결한다. 이를 위해 제1건전지상자(100)의 제1직렬결합돌기(141)를 제2건전지상자(100')의 제2직렬돌기삽입홈(143')에 삽입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전선연결판(121)과 음극전선연결판(131)에 양극전선(160)과 음극전선을 연결한다.
그리고, 도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음극전선연결판(131)에 음극전선(170)이 연결되고, 제2양극전선연결판(121')에 양극전선(160)이 연결된다. 그리고, 제1양극전선연결판(121)과 제2음극전선연결판(131')는 서로 연결전선(180)에 의해 연결된다.
이렇게 연결된 제1건전지상자(100)와 제2건전지상자(100)는 양극전선(160)과 음극전선(170) 및 연결전선(180)에 의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뿐만 아니라, 직렬결합돌기(141)와 직렬돌기삽입홈(143)의 요철결합에 의해 물리적으로도 결합된다. 이에 따라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전기적 안정성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도 보장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자유변형 건전지상자(1)는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 이상의 건전지상자(100)가 직렬로 결합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양단부에 배치된 건전지상자(100,100")에 양극전선(160)과 음극전선(170)이 연결되고, 내부에 배치된 제1건전지상자(100')의 양단이 연결전선(180,180a)에 의해 연결된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유변형 건전지상자(1a)가 병렬로 연결되는 과정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건전지상자(100)와 제2건전지상자(100')를 병렬로 연결하는 경우 제1건전지상자(100) 측벽의 제1측면결합돌기(151)를 제2건전지상자(100)의 제2측면돌기삽입홈(153')에 삽입한다. 또한, 제1측면돌기삽입홈(153)에 제2측면결합돌기(151')를 삽입한다.
그리고,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극전선연결판(121)과 음극전선연결판(131)에 양극전선(160), 음극전선(170) 및 연결전선(180)을 결합한다.
이에 의해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건전지상자(100)가 서로 나란하게 병렬로 배치된다. 이 때, 측면결합돌기(151)와 측면돌기삽입홈(153)에 의해 두 개의 건전지상자(100)가 물리적으로 결합되므로 위치가 구속되어 결합안정성이 높아질 수 있다. 따라서, 전기적 연결 뿐만 아니라 구조적 안정성도 높아질 수 있다.
병렬연결은 도 6a에 도시된 두 개 뿐만 아니라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개 이상의 건전지상자(100)가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나란하게 배치되는 복수개의 건전지상자(100,100',100") 중 최외곽에 배치된 건전지상자(100',100")에 양극전선(160)과 음극전선(170)이 각각 배치되고, 나머지 건전지상자는 연결전선(180)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는 한 개의 건전지상자를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 때, 건전지상자에 물리적으로 직렬로 연결할 수 있는 직렬연결부와 물리적으로 병렬로 연결할 수 있는 병렬연결부가 형성된다.
직렬연결부와 병렬연결부는 요철구조에 의한 결합으로 물리적인 결합의 구속력이 향상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전기적인 연결성 뿐만 아니라 구조적인 안정성도 높일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에 따른 자유변형 건전지상자는 건전지상자만 제작한 후, 필요에 따라 서로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하여 연결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건전지상자의 제조비용은 감소하면서 활용도는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학생들은 다양한 전압을 가진 전원체로서 쉽게 직렬 또는 병렬로 건전지를 연결하여 학습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자유변형 건전지상자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 :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100 : 건전지상자
110 : 상자본체 111 : 양극단자삽입격벽
112 : 제1외벽 113 : 양극단자삽입공간
115 : 전극노출공 117 : 음극단자삽입격벽
119 : 제2외벽 120: 양극연결부
121 : 양극전선연결판 121a : 전선연결리브
121b : 하부전선연결구멍 121c : 상부전선연결구멍
123 : 양극단자 123a : 걸림턱
123b : 접촉돌기 123c : 지지날개
130 : 음극연결부 131 : 음극전선연결판
131a : 전선연결리브 133 : 음극단자
133a : 수직판 133b : 연결판
133c : 탄성판 140 : 직렬연결부
141 : 직렬결합돌기 143 : 직렬돌기삽입홈
150 : 병렬연결부 151 : 측면결합돌기
153 : 측면돌기삽입홈 155 : 홈지지기둥
160 : 양극전선 170 : 음극전선
180 : 연결전선

Claims (7)

  1. 건전지가 수용되는 상자본체와;
    상기 상자본체의 일단에 형성되어 상기 건전지의 양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연결부와;
    상기 상자본체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건전지의 음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연결부와;
    상기 양극연결부와 상기 음극연결부에 각각 구비되어 이웃하는 건전지상자와 직렬방식으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직렬연결부와;
    상기 상자본체의 양측벽에 각각 구비되어 이웃하는 건전지상자와 병렬양식으로 물리적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병렬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자본체는,
    상기 양극연결부와 음극연결부가 형성된 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되어 구비되는 양극단자삽입공간을 형성하고, 판면에 전극노출공이 일정길이 형성된 양극단자삽입격벽; 및
    상기 양극단자삽입격벽에 삽입되며, 양극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양극전선연결판;
    상기 양극전선연결판과 접촉되게 상기 양극단자삽입격벽 내부에 삽입되며, 상기 전극노출공을 통해 건전지의 양극에 접촉되는 양극단자를 포함하고,
    상기 양극단자는,
    상기 양극단자의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양극단자 삽입격벽에 수직하게 절곡되어 상기 양극단자삽입격벽에 거치되는 걸림턱; 및
    상기 양극단자의 양측 판면에 형성되어 상기 양극단자삽입격벽을 향해 절개된 지지날개가 구비되는,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직렬연결부는,
    상기 상자본체의 일단벽에 돌출형성된 직렬결합돌기와;
    상기 상자본체의 타단벽에 일정길이 관통형성되어 상기 이웃하는 건전지상자의 직렬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직렬돌기삽입홈을 포함하며,
    상기 직렬결합돌기는 단면형상이 외측으로 갈수록 폭이 점차 넓어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병렬연결부는,
    상기 상자본체의 일측벽면에 돌출되게 형성되는 측면결합돌기와;
    상기 상자본체의 타측벽면에 상기 측면결합돌기와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며, 이웃하는 건전지상자의 측면결합돌기가 삽입되는 측면돌기삽입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상자본체는,
    상기 직렬돌기삽입홈이 형성된 벽면으로부터 일정거리 내측으로 이격되게 구비되어 음극단자삽입공간을 형성하는 음극단자삽입격벽이 구비되고,
    상기 음극연결부는,
    상기 음극단자삽입공간에 삽입되며, 음극전선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음극전선연결판과;
    상기 음극전선연결판과 접촉되게 상기 음극단자삽입격벽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음극단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전선연결판과 상기 음극전선연결판은 각각 상기 상자본체의 상방향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전선연결리브가 구비되고,
    상기 전선연결리브의 판면에는 양극전선과 음극전선이 삽입되어 연결되는 전선연결구멍이 관통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양극전선연결판과 상기 양극단자는 일체로 구비되고,
    상기 음극전선연결판과 상기 음극단자는 일체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KR1020150000397A 2015-01-05 2015-01-05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KR101659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397A KR101659328B1 (ko) 2015-01-05 2015-01-05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0397A KR101659328B1 (ko) 2015-01-05 2015-01-05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018A KR20160084018A (ko) 2016-07-13
KR101659328B1 true KR101659328B1 (ko) 2016-09-23

Family

ID=565054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0397A KR101659328B1 (ko) 2015-01-05 2015-01-05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932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466B1 (ko) * 2017-07-07 2018-04-03 최형윤 사용자 중심의 모듈형 배터리 조립체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942335B2 (ja) * 2017-06-02 2021-09-29 株式会社はくぶん 電池収納構造体及び電池ボックス
CN107658402A (zh) * 2017-09-28 2018-02-02 于茗远 一种节能多维超级物理电池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91080B1 (ko) * 2004-12-02 2009-03-30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지 팩 제조용 전지 연결부재
KR101077874B1 (ko) * 2006-11-13 2011-10-28 주식회사 엘지화학 조립방식의 전기적 접속부재 및 이를 포함하고 있는이차전지 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4466B1 (ko) * 2017-07-07 2018-04-03 최형윤 사용자 중심의 모듈형 배터리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4018A (ko) 2016-07-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56205A1 (en) Magnetic positioning light-emitting toy block
US7914307B1 (en) Socket with movable lids for shielding plug holes
KR101659328B1 (ko) 자유변형 건전지상자
RU2016135228A (ru) Монолитная пластина с электрическими контактами и способы ее изготовления
US7803011B1 (en) Battery connector
JP5319165B2 (ja) 電池パック及び電池ケース
JP5496489B2 (ja) 2種の角形パック電池の充電器
JP6820297B2 (ja) コネクタ付き回路体、及び、バスバモジュール
CN103066459A (zh) 旋转式插座
CN203800331U (zh) 电连接器及其组件
CN103730609A (zh) 电池包
JP2018006345A (ja) プラグコネクタ
TWI642219B (zh) 電池連接模組
JP2005150055A (ja) 電池用トレイ
JP3194644U (ja) 自動排出可能な電池箱構造
JP6125311B2 (ja) バスバモジュール及び電源装置
JP7307764B2 (ja) 自動車用タイヤのパンク修理装置のシガレットライタープラグ
JP3619765B2 (ja) パック電池
US20180026253A1 (en) Lead Acid Battery Cell Connecting Assembly
KR20140005521A (ko) 배터리 셀 및 이를 이용한 배터리 모듈
JP2016201258A (ja) 組電池
CN204927617U (zh) 电池连接器
CN218160928U (zh) 电连接器
TW201637301A (zh) 連接器
EP3595041B1 (en) Battery mod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