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981B1 -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981B1
KR101658981B1 KR1020150067667A KR20150067667A KR101658981B1 KR 101658981 B1 KR101658981 B1 KR 101658981B1 KR 1020150067667 A KR1020150067667 A KR 1020150067667A KR 20150067667 A KR20150067667 A KR 20150067667A KR 101658981 B1 KR101658981 B1 KR 1016589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
punch
moving
peanu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76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남
박정원
Original Assignee
김영남
박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박정원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201500676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98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9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06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in press brakes or between rams and anvils or abutments; Pliers with forming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21D37/12Particular guiding equipment, e.g. pliers; Special 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or cooperation of d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7/00Bending rods, profiles, or tubes
    • B21D7/16Auxiliary equipment, e.g. for heating or cooling of ben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nching Or Piercing (AREA)

Abstract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에 관한 것으로, 클램프에 안착된 파이프의 단부를 향해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순차적으로 타격하는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파이프 성형부, 상기 파이프 성형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호퍼에 투입된 피너츠 플랜지를 일렬로 정렬시켜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되도록 배치되는 진동 피더기, 상기 진동 피더기와 인접한 펀치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진동 피더기에서 공급된 상기 피너츠 플랜지를 상기 펀치의 홀더에 일치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장착시키는 플랜지 장착부를 마련하여 파이프에 고정하고자 하는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를 조절하여 홀더에 끼워 안착시킬 수 있고, 각각의 파이프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고정되는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피너츠 플랜지의 크기 또는 종류에 관계없이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Peanuts Flange Angle Adjustment of Pipe Forming Machine}
본 발명은 파이프 성형기의 파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파이프에 고정되는 피너츠 플랜지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조절할 수 있는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이프 성형기는 파이프 선단의 다양한 형상에 대응하여 성형을 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펀치를 구비하여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에 따라 다단 포밍 공정을 수행함으로써 파이프 선단을 형성(포밍)한다.
다단 파이프 성형기로는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1-0104745호가 개시되어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이프 성형기에는 파이프의 선단을 가공하기 위하여 4단 펀치(20)와 이에 대응하여 파이프(도시 안됨)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스톱퍼 장치(100)가 구비되어 있다.
한편 파이프는 차량 또는 냉장고 등의 냉동 사이클을 구성하는 압축기, 응축기, 증발기 사이에 냉매 등이 지나도록 설치되며, 파이프에는 파이프를 안정되게 고정시키기 위한 피너츠 플랜지가 함께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피너츠 플랜지는 그 형상이 대략 피너츠 형상으로 이루어져 있고, 피너츠 플랜지에는 파이프가 끼워지는 구멍과 함께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고정될 수 있도록 또 다른 구멍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피너츠 플랜지는 파이프에 끼워진 상태에서 파이프의 성형에 따라 안정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피너츠 플랜지는 고정하고자 하는 위치에 따라 그 끼워지는 상태가 달라지게 된다.
즉, 피너츠 플랜지는 파이프에 대하여 서로 다른 각도로 고정되어야 한다. 이는 피너츠 플랜지는 파이프의 고정 위치에 따라 피너츠 플랜지의 고정되는 각도를 서로 달라지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파이프 성형기는 피너츠 플랜지를 끼워 고정할 수 없으며,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피너츠 플랜지를 파이프에 끼워 고정하게 되는데, 이러한 수작업으로는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를 정확하게 위치시킬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수작업에 따른 작업자의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파이프 포밍머신'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파이프 포밍머신은 테이블 일측에 포밍 작업을 위한 파이프 결착 공간을 가지며 이 결착공간의 상부에 실린더와 연결되어 상하 이동하며 파이프를 압입 고정시키는 클램프, 상기 클램프의 대향측에 위치하며 파이프를 타격하여 포밍작업을 행하는 펀치로 구성된 포밍 머신 본체, 상기 펀치와 클램프 사이에 위치하여 이동하며 상기 파이프의 고정위치를 결정하는 스토퍼체, 이 스토퍼체가 설치되는 베이스판으로 이루어진 스토퍼 본체, 상기 베이스판과 이 베이스판의 일단이 힌지 결합된 이동판 각각에 연결된 실린더로 구성된 이동수단, 상기 스토퍼체에 설치되어 파이프의 접속 유무를 감지하는 감지센서, 이 감지센서의 신호에 따라 상기 실린더를 순차적으로 동작시키며 스토퍼 본체를 이동시키는 제어수단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공작물 이송에 의한 파이프 엔드 포밍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공작물 이송에 의한 파이프 엔드 포밍 방법은 파이프 모재를 스톱퍼에 고정하고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파이프 모재의 엔드부가 제1 위치에 위치되도록 상기 스톱퍼를 이동시켜 준비하는 제1 단계, 펀치를 가동시켜 상기 파이프 모재의 엔드부를 타격하여 상기 파이프 모재의 엔드부를 내측 또는 외측 방향으로 포밍하는 제2 단계, 상기 제어 수단에 의해 상기 스톱퍼가 가동되어 상기 스톱퍼에 고정된 상기 파이프의 포밍된 엔드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되도록 이동시키는 제3 단계, 상기 펀치를 가동시켜 상기 파이프 모재의 포밍된 엔드부를 타격하여 포밍하게 된다.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2001-0104745호(2001년 11월 28일 공개)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639267호(2006년 10월 20일 등록) 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제10-0807274호(2008년 2월 19일 등록)
그러나 종래기술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는 파이프에 피너츠 플랜지를 수작업으로 끼워 장착하므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으며, 파이프에 피너츠 플랜지를 수작업으로 함에 따라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를 정확하게 장착할 수 없으며,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를 원하는 각도로 자유로이 조절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파이프에 설치하고자 하는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는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는 클램프에 안착된 파이프의 단부를 향해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순차적으로 타격하는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파이프 성형부, 상기 파이프 성형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호퍼에 투입된 피너츠 플랜지를 일렬로 정렬시켜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되도록 배치되는 진동 피더기, 상기 진동 피더기와 인접한 펀치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진동 피더기에서 공급된 상기 피너츠 플랜지를 상기 펀치의 홀더에 일치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장착시키는 플랜지 장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플랜지 장착부는 상기 진동 피더기에서 공급된 상기 피너츠 플랜지가 상기 펀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에어 실린더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핀에 끼워진 상기 피너츠 플랜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이동핀의 끝단에 끼워진 피너츠 플랜지가 이탈되지 않도록 승강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동축은 상기 에어 실린더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제1 이동축, 상기 제1 이동축의 선단에 장착되며 상부에 제2 이동축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일단이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종동풀리가 구비된 제2 이동축, 상기 제2 이동축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피너츠 플랜지가 수평 이동되게 끼워지는 이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펀치는 상기 파이프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펀치, 상기 펀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플랜지 장착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피너츠 플랜지가 안착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에 의하면, 파이프에 고정하고자 하는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를 조절하여 홀더에 끼워 안착시킬 수 있고, 각각의 파이프에 따라 서로 다른 각도로 고정되는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으며, 피너츠 플랜지의 크기 또는 종류에 관계없이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를 자유로이 조절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의 파이프 성형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를 보인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의 플랜지 장착부를 보인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의 플랜지 장착부를 보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의 스토퍼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의 홀더를 보인 입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를 보인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를 보인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는 클램프(120)에 안착된 파이프의 단부를 향해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순차적으로 타격하는 다수의 펀치(130)가 구비된 파이프 성형부(100), 상기 파이프 성형부(100)의 일측에 설치되며 호퍼(210)에 투입된 피너츠 플랜지를 일렬로 정렬시켜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되도록 배치되는 진동 피더기(200), 상기 진동 피더기(200)와 인접한 펀치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진동 피더기(200)에서 공급된 상기 피너츠 플랜지를 상기 펀치(130)의 홀더(140)에 일치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장착시키는 플랜지 장착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는 클램프(120)에 안착된 파이프를 원하는 형상으로 성형하기 전에 파이프에 고정되는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즉, 파이프에 고정되는 피너츠 플랜지는 파이프의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피너츠 플랜지의 각도가 달라지게 되는데, 이때 파이프에 고정되는 피너츠 플랜지를 원하는 각도로 회전시켜 파이프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파이프 성형기에는 일정 높이를 갖는 프레임(110)이 마련되며, 프레임(110)의 상면에는 파이프의 형상을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성형하는 파이프 성형부(100), 파이프에 끼워지는 피너츠 플랜지를 공급하는 진동 피더기(200) 및 진동 피더기(200)에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피너츠 플랜지를 펀치(130)에 장착시키는 플랜지 장착부(300)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의 상면에는 파이프를 안착시킬 수 있는 클램프(120)가 설치될 수 있고, 파이프의 단부를 가격할 수 있는 다수의 펀치(130)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펀치(130)는 다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펀치(130)는 6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펀치(130)는 제1 펀치(131), 제2 펀치(132), 제3 펀치(133), 제4 펀치(134), 제5 펀치(135) 및 제6 펀치(136)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펀치(13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으로, 파이프의 성형에 따라 펀치(130)의 개수는 달라질 수 있다.
아울러 펀치(130)에는 플랜지 장착부(300)로부터 이동된 피너츠 플랜지(미도시)가 끼워질 수 있는 홀더(1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홀더(140)에는 피너츠 플랜지가 끼워질 수 있는 홈부(141)가 형성될 수 있다.
또 클램프(120)와 직교되는 방향에는 펀치(130)를 이동시킬 수 있는 펀치 이동블록(150)이 설치될 수 있으며, 펀치 이동블록(150)에는 모터(151)에 의해 회전되는 이송 스크류(152)와 이송 스크류(152)에 의해 펀치(130)를 이동시키는 이동레일(153)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펀치 이동블록(150)은 클램프(120), 즉 파이프의 단부를 향해 다수의 펀치(130)를 이동시킬 수 있다.
또 프레임(110)에는 클램프(120)에 안착된 파이프의 단부를 타격할 수 있도록 펀치(130)를 이동시키는 펀치 타격부(16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펀치 타격부(160)는 실린더(161)에 의해 이동되는 타격 프레임(162)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타격 프레임(162)은 펀치 이동블록(150)에 의해 이동된 펀치(130)를 가격하게 된다. 즉, 펀치(130)는 타격 프레임(130)에 의해 이동되어 파이프의 단부를 타격할 수 있게 설치된다.
또한 프레임(110)의 일측에는 피너츠 플랜지를 순차적으로 공급하는 진동 피더기(20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진동 피더기(200)에는 다량의 피너츠 플랜지를 투입하는 호퍼(210)와 정렬된 피너츠 플랜지가 일렬로 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안내판(220)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진동 피더기(200)는 통상의 것을 사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의 플랜지 장착부를 보인 정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펀치(130)와 대향되는 일측에는 피너츠 플랜지를 펀치(130)에 장착시키는 플랜지 장착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장착부(300)는 진동 피더기(200)에서 공급된 상기 피너츠 플랜지가 상기 펀치(130)를 향해 이동되도록 에어 실린더(311)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이동축(310), 상기 이동축(3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핀(316)에 끼워진 상기 피너츠 플랜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모터(330), 상기 이동핀(316)의 끝단에 끼워진 피너츠 플랜지가 이탈되지 않도록 승강되는 스토퍼(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장착부(300)는 진동 피더기(200)에서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피너츠 플랜지를 펀치(130)의 홀더(140)에 끼워 장착되게 한다. 즉, 플랜지 장착부(300)는 피너츠 플랜지를 홀더(140)에 끼워 장착시킴과 함께 파이프에 고정시키고자 하는 각도로 회전시키게 된다.
상기 이동축(310)은 상기 에어 실린더(311)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제1 이동축(312), 상기 제1 이동축(311)의 선단에 장착되며 상부에 제2 이동축(314)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313), 상기 이동블록(313)에 일단이 설치되고 모터(330)에 의해 회전되도록 종동풀리(315)가 구비된 제2 이동축(314), 상기 제2 이동축(314)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피너츠 플랜지가 수평 이동되게 끼워지는 이동핀(316)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장착부(300)에는 에어 실린더(311)가 설치될 수 있으며, 에어 실린더(311)에는 공압에 의해 이동되는 제1 이동축(312)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축(312)의 끝단에는 제1 이동축(312)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이동블록(313)이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록(313)에는 제1 이동축(312)이 설치됨은 물론 일정 길이를 갖는 제2 이동축(314)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축(314)에는 모터(3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도록 종동풀리(315)가 고정될 수 있고, 제2 이동축(314)의 끝단에는 피너츠 플랜지에 끼워질 수 있는 이동핀(316)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이동핀(316)은 피너츠 플랜지의 구멍에 끼워질 수 있는 직경으로 끼움돌기(317)가 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돌기(317)는 피너츠 플랜지의 직경과 유사한 직경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이동축(310)의 상부에는 제2 이동축(314)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330)가 구비될 수 있으며, 모터(330)에는 제2 이동축(314)의 종동풀리(31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풀리(331)가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이동축(310)의 상부에는 이동축(310)의 종동풀리(315)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모터(330)가 설치될 수 있으며, 모터(330)에는 종동풀리(315)에 대응되는 구동풀리(331)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이동핀(316)의 상측에는 피너츠 플랜지가 이탈되지 않도록 스토퍼(35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스토퍼(350)는 에어 실린더(351)에 의해 승강되는 피스톤 로드(351)이 설치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의 결합관계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의 플랜지 장착부를 보인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의 스토퍼가 하강된 상태를 보인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의 홀더를 보인 입체도이다.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는 일정 높이를 갖는 프레임(110)의 클램프(120)에 안정되게 놓인 파이프를 타격하는 파이프 성형부(1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파이프 성형부(100)는 클램프(120) 및 다수의 펀치(130), 상기 펀치(130)를 일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펀치 이동블록(150), 펀치 이동블록(150)에 의해 이동된 펀치(130)가 파이프를 향해 이동되도록 타격하는 펀치 타격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펀치 이동블록(150)은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다수의 펀치(130)가 파이프의 단부와 대향되도록 이동시키는 것으로, 클램프(120)에 안착된 파이프의 단부와 직교되는 방향에는 회전력을 갖는 모터(151)를 설치할 수 있고, 모터(151)에는 일정 길이를 갖는 이송 스크류(152)를 회전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다.
또 이송 스크류(152)의 양측에는 다수의 펀치(130)가 안착된 이동레일(153)을 고정할 수 있고, 이동레일(153) 상면에는 다수의 펀치(130)가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펀치(130)는 제1 펀치(131), 제2 펀치(132), 제3 펀치(133), 제4 펀치(134), 제5 펀치(135) 및 제6 펀치(136)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 펀치(130)의 개수는 파이프의 단부 형상을 형성하고자 하는 형상 또는 모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의 홀더를 보인 입체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펀치(131)의 끝단에는 플랜지 장착부(300)에 의해 이동된 피너츠 플랜지(1)가 안착되는 홀더(14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홀더(140)는 제1 펀치(131)의 선단에 끼워져 고정되는 제1 본체(141)와 제1 본체(141)에 결합되는 제2 본체(14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본체(141)의 일면에는 대략 사각형상의 끼움홈부(142)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본체(145)의 일측에는 끼움홈부(142)에 끼워지는 끼움돌기(146)를 형성할 수 있으며, 끼움돌기(146)와 대향되는 타측에는 피너츠 플랜지(1)가 안착되는 안착홈부(147)를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홀더(140)는 제1 펀치(131)에 설치되는 것으로, 제1 펀치(131)의 일측에는 제1 본체(141)를 끼워 결합할 수 있고, 제1 본체(141)에는 제2 본체(145)를 끼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홀더(140)의 안착홈부(147)에는 플랜지 장착부(300)의 이동축(310)에 의해 이동된 피너츠 플랜지(1)가 안착된다.
상기 펀치 이동블록(150)은 모터(151)에 의해 이송 스크류(152)를 회전시킴에 따라 다수의 펀치(130)를 순차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펀치 타격부(160)는 클램프(120)에 놓인 파이프 단부와 대향되는 위치에 설치되어 펀치 이동블록(150)에 의해 이동되는 펀치(130)를 순차적으로 가격할 수 있도록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펀치 타격부(160)의 타격 프레임(162)은 실린더(161)에 의해 왕복 이동되면서 펀치(130)를 가격하게 된다.
아울러 피너츠 플랜지(1)는 펀치 이동블록(150)의 펀치(130)에 안착된 상태로 파이프의 단부를 향해 이동될 수 있도록 공급되도록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피너츠 플랜지(1)는 펀치 이동블록(150)과 인접한 위치에 진동 피더기(200)를 설치할 수 있다. 진동 피더기(200)는 다수의 피너츠 플랜지(1)를 저장할 수 있는 호퍼(210)를 설치할 수 있고, 호퍼(210)에 투입된 피너츠 플랜지(1)는 진동에 의해 일렬로 정렬되어 순차적으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 진동 피더기(200)에는 피너츠 플랜지(1)의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판(220)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펀치(131)와 대향되는 위치에는 진동 피더기(200)에서 공급되는 피너츠 플랜지(1)를 펀치(130)에 장착시킬 수 있는 플랜지 장착부(30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 장착부(300)는 진동 피더기(200)에서 공급되는 피너츠 플랜지(1)를 펀치(130)의 홀더(140)로 이동시켜 안착되게 한다.
상기 플랜지 장착부(300)는 이동축(210)을 수평 이동시키는 에어 실린더(311)와 이동축(210)을 회전시키는 모터(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축(210)은 에어 실린더(311)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제1 이동축(312)과 제1 이동축(312)에 의해 수평 이동되는 제2 이동축(314)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에어 실린더(311)에는 이동 가능하게 제1 이동축(312)을 설치할 수 있으며, 제1 이동축(312)의 선단에는 제1 이동축(312)에 의해 이동되는 제2 이동축(314)을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1 이동축(312)은 에어 실린더(311)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고, 이동블록(313)은 제1 이동축(312)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 이동축(312) 및 이동블록(313)은 에어 실린더(311)에 의해 수평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이동블록(313)에는 제1 이동축(312)과 함께 제2 이동축(314)의 일단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이동축(314)은 이동블록(313)의 이동에 의해 수평 이동됨은 물론 모터(330)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2 이동축(314)은 일정 길이로 이루어지며, 그 일단은 제1 이동블록(313)에 회전 가능하게 되며, 타단에는 피너츠 플랜지(1)를 홀더(140)로 이동시킬 수 있느 이동핀(316)을 고정할 수 있다.
또 제2 이동축(314)에는 모터(330)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종동풀리(315)를 설치할 수 있으며, 이동축(310)의 상측에는 모터(33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모터(330)의 구동축에는 종동풀리(315)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동풀리(331)를 설치할 수 있다. 아울러 안내판(220)의 상측에는 피너츠 플랜지(1)의 하강 시 안내판(220)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스토퍼(350)를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350)는 에어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351)를 상승되게 설치하여 피너츠 플랜지(1)의 하강 시 동시에 하강하게 설치한다.
다음 도 2 내지 도 8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의 작동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방명의 실시 예에 따른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는 진동 피더기(200)의 호퍼(210)에 다수의 피너츠 플랜지(1)를 투입하여 정렬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진동 피더기(200)에서는 피너츠 플랜지(1)를 일렬로 정렬하여 안내판(220)에 순차적으로 공급하게 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 피더기(200)에서 이동되는 피너츠 플랜지(1)는 안내판(220)을 따라 일렬로 이동된다.
이렇게 이동된 피너츠 플랜지(1)는 플랜지 장착부(300)에 의해 펀치(130)의 홀더(140)에 안착된다. 상기 펀치(130)에 장착되는 홀더(140)는 파이프에 고정하고자 하는 각도와 일치되도록 조절되어 있다.
즉, 홀더(140)는 클램프(120)에 안착된 파이프에 대하여 피너츠 플랜지(1)를 고정하고자 하는 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조절된 상태로 설치된다. 이러한 홀더(140)는 피너츠 플랜지(1)의 크기 또는 종류에 따라 각각 다른 홀더(140)를 구비할 수 있으며, 홀더(140)는 파이프에 고정하고자 하는 피너츠 플랜지(1)에 따라 펀치(130)에 교체되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피너츠 플랜지(1)는 이동축(310)에 의해 홀더(140)로 이동되어 안착된다. 상기 이동축(310)은 에어 실린더(311)에 의해 이동되는데, 안내판(220)을 따라 하강된 피너츠 플랜지(1)에 이동핀(316)이 끼워지도록 1차 전진하게 되며, 이동핀(316)에 끼워진 피너츠 플랜지(1)를 홀더(140)의 안착홈부(147)로 안착시킬 수 있도록 2차 전진하게 된다.
상기 에어 실린더(311)는 제1 이동축(312)을 수평 이동시킴에 따라 이동블록(313)을 수평 이동시킨다. 이렇게 제1 이동축(312)이 이동됨에 따라 이동핀(316)에는 피너츠 플랜지(1)가 끼워지게 된다.
이때 스토퍼(350)의 피스톤 로드(351)는 하강된 상태를 유지하여 이동핀(316)에 피너츠 플랜지(1)가 안정되게 끼워지도록 한다. 이렇게 피너츠 플랜지(1)가 이동핀(316)에 끼워지면 스토퍼(350)의 피스톤 로드(351)는 상승되어 이동핀(316)이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피너츠 플랜지(1)가 이동핀(316)에 끼워진 상태에서 인가된 전원에 의해 모터(330)가 회전되며, 모터(330)의 회전은 구동풀리(331)를 거쳐 종동풀리(315)에 전달되어 제2 이동축(314)을 회전시키게 된다.
이러한 제2 이동축(314)은 홀더(140)의 안착홈부(147)에 피너츠 플랜지(1)가 끼워질 수 있도록 동일한 각도로 회전된다. 에어 실린더(311)는 제2 이동축(314)이 회전된 다음 제1 이동축(312)을 재차 수평 이동시킨다.
이에 따라 제1 이동축(312) 및 제2 이동축(314)은 홀더(140)의 제2 본체(145)를 향해 이동되며, 이동핀(316)이 제2 본체(145)로 이동됨에 따라 피너츠 플랜지(1)가 안착홈부(147)에 끼워지게 된다.
상기 이동핀(316)은 제2 본체(145)의 안착홈부(147)에 끼워져 안착된다. 이어서 이동핀(316)은 에어 실린더(311)가 후퇴됨에 따라 피너츠 플랜지(1)로부터 분리된다.
이와 같이 피너츠 플랜지(1)가 제1 펀치(131)의 홀더(140)에 안착된 상태에서 펀치 이동블록(150)에 의해 제1 펀치(131)가 파이프의 단부를 향해 이동된다.
이어서 제1 펀치(131)의 홀더(140)에 끼워진 피너츠 플랜지(1)는 파이프에 끼워진 다음 순차적으로 제2 펀치(132) 내지 제6 펀치(136)가 파이프의 단부를 타격함으로써 피너츠 플랜지(1)를 파이프에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파이프 성형부 110: 프레임
120: 클램프 130: 펀치
140: 홀더 150: 펀치 이동블록
151: 모터 152: 이송 스크류
153: 이동레일 160: 펀치 타격부
200: 진동 피더기 210: 호퍼
220: 안내판 300: 플랜지 장착부
310: 이동축 311: 에어 실린더
312: 제1 이동축 313: 이동블록
314: 제2 이동축 315: 종동풀리
316: 이동핀 330: 모터
331: 구동풀리 350: 스토퍼

Claims (4)

  1. 클램프에 안착된 파이프의 단부를 향해 성형하고자 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상기 파이프의 단부를 순차적으로 타격하는 다수의 펀치가 구비된 파이프 성형부,
    상기 파이프 성형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호퍼에 투입된 피너츠 플랜지를 일렬로 정렬시켜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송되도록 배치되는 진동 피더기,
    상기 진동 피더기와 인접한 펀치와 마주보도록 설치되며 상기 진동 피더기에서 공급된 상기 피너츠 플랜지를 상기 펀치의 홀더에 일치되도록 각도를 조절하여 장착시키는 플랜지 장착부를 포함하고,
    상기 펀치는 상기 파이프를 원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도록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는 다수의 펀치,
    상기 펀치 중 어느 하나에 상기 플랜지 장착부에 의해 이동된 상기 피너츠 플랜지가 안착되는 홀더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장착부는 상기 진동 피더기에서 공급된 상기 피너츠 플랜지가 상기 펀치를 향해 이동되도록 에어 실린더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이동축,
    상기 이동축의 상부에 설치되어 이동핀에 끼워진 상기 피너츠 플랜지를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모터,
    상기 이동핀의 끝단에 끼워진 피너츠 플랜지가 이탈되지 않도록 승강되는 스토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축은 상기 에어 실린더에 의해 왕복 이동되는 제1 이동축,
    상기 제1 이동축의 선단에 장착되며 상부에 제2 이동축의 일단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이동블록,
    상기 이동블록에 일단이 설치되고 모터에 의해 회전되도록 종동풀리가 구비된 제2 이동축,
    상기 제2 이동축의 타단에 고정되며 상기 피너츠 플랜지가 수평 이동되게 끼워지는 이동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
  4. 삭제
KR1020150067667A 2015-05-14 2015-05-14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 KR101658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67A KR101658981B1 (ko) 2015-05-14 2015-05-14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7667A KR101658981B1 (ko) 2015-05-14 2015-05-14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8981B1 true KR101658981B1 (ko) 2016-09-23

Family

ID=57047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7667A KR101658981B1 (ko) 2015-05-14 2015-05-14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98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329B1 (ko) * 2017-03-31 2019-02-11 김영남 파이프 가공 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745A (ko) 2001-09-28 2001-11-28 김영도 파이프 포밍머신
KR100639267B1 (ko) 2005-02-19 2006-10-26 (주)세계토탈머신 공작물 이송에 의한 파이프 엔드 포밍 방법
KR100807274B1 (ko) 2007-09-04 2008-02-28 남상철 자동차 에어컨 파이프 인발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1069909B1 (ko) * 2011-03-15 2011-10-05 주식회사 코아텍 머플러 플랜지용 자동 금형 장치
KR20140148084A (ko) * 2013-06-21 2014-12-31 정홍철 플랜지 자동 공급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745A (ko) 2001-09-28 2001-11-28 김영도 파이프 포밍머신
KR100639267B1 (ko) 2005-02-19 2006-10-26 (주)세계토탈머신 공작물 이송에 의한 파이프 엔드 포밍 방법
KR100807274B1 (ko) 2007-09-04 2008-02-28 남상철 자동차 에어컨 파이프 인발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KR101069909B1 (ko) * 2011-03-15 2011-10-05 주식회사 코아텍 머플러 플랜지용 자동 금형 장치
KR20140148084A (ko) * 2013-06-21 2014-12-31 정홍철 플랜지 자동 공급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6329B1 (ko) * 2017-03-31 2019-02-11 김영남 파이프 가공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502825B (zh) 全自动点胶机
CN108381182B (zh) 一种螺母柱的自动化钻孔攻牙一体机的工作方法
CN201410453Y (zh) 一种全自动涂胶机
CN104400537B (zh) 自动送料装置
KR20130048311A (ko) 스프링삽입장치
CN106078182B (zh) 一种钢丝螺套安装设备
CN209773310U (zh) 一种用于建筑钢筋的弯曲设备
CN108608201A (zh) 紧固件的组装装置及紧固件的安装方法
CN107855423B (zh) 一种端盖铆接机
KR101658981B1 (ko) 파이프 성형기의 피너츠 플랜지 각도조절장치
KR101741452B1 (ko) 자동차 시트 부품용 샤프트바 제조방법 및 그 장치
KR101658986B1 (ko) 파이프 성형장치
WO2006098968A2 (en) Rivet delivery apparatus and method
CN106498630A (zh) 一种缝纫机圆环与纽扣复合钉扣调节装置
JPH10120147A (ja) 部品向き付け装置および方法
KR102058508B1 (ko) 파이프 서포트 행거 조립장치
CN115741090A (zh) 一种反弹器总装配自动机
KR200454447Y1 (ko) 전조장치의 소재 자동 공급기
KR20010026725A (ko) 열교환기의 리턴벤드 자동 삽입기
CN106364911B (zh) 送料机构
CN208098992U (zh) 一种全自动铜衬套加工设备
KR200467696Y1 (ko) 소재 자동 공급장치
KR102183799B1 (ko) 방전가공기용 전극봉 홀더 자동 교환 장치
CN218821929U (zh) 飞镖自动组装装置及飞镖自动生产设备
CN219503987U (zh) 一种划线刃焊接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