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944B1 -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신호수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블록의 운반경로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신호수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블록의 운반경로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8944B1
KR101658944B1 KR1020140149147A KR20140149147A KR101658944B1 KR 101658944 B1 KR101658944 B1 KR 101658944B1 KR 1020140149147 A KR1020140149147 A KR 1020140149147A KR 20140149147 A KR20140149147 A KR 20140149147A KR 101658944 B1 KR101658944 B1 KR 1016589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portation
block
transporter
informatio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50617A (ko
Inventor
박성규
강용우
강현진
이호윤
한성곤
박소희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91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89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50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50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89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89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45/00Arrangements or adaptations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02Hulls assembled from prefabricated sub-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CLAUNCHING, HAULING-OUT, OR DRY-DOCKING OF VESSELS; LIFE-SAVING IN WATER; EQUIPMENT FOR DWELLING OR WORKING UNDER WATER; MEANS FOR SALVAGING OR SEARCHING FOR UNDERWATER OBJECTS
    • B63C3/00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 B63C3/12Launching or hauling-out by landborne slipways; Slipways using crad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CMEASURING DISTANCES, LEVELS OR BEARINGS; SURVEYING; NAVIGATION; GYROSCOPIC INSTRUMENTS; PHOTOGRAMMETRY OR VIDEOGRAMMETRY
    • G01C21/00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 G01C21/26Navigation; Navigational instru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1C1/00 - G01C19/00 specially adapted for navigation in a road network
    • G01C21/34Route searching; Route guidance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Abstract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및 신호수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블록의 운반경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블록의 운반계획정보를 수신하고 그 중 현재 트랜스포터에 해당되는 일정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운반계획 표시부; 운반 작업 완료 후 운반 실적을 등록하고 등록된 운반 실적을 송신하고, 타 트랜스포터에 의해 등록된 운반 실적을 수신하며,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반실적 표시부; 단말장치가 설치된 트랜스포터의 위치 및 현재 운반중인 블록의 정보를 송신하는 블록정보 송신부;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운반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고 검색된 운반경로에 운반을 방해하는 간섭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운반경로 계산부를 포함하는 구성을 마련하여, 대형 선박 블록의 이동 경로에 크레인 등 간섭 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운반경로를 탐색하여 최적의 운반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Description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신호수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블록의 운반경로 제공 방법{Transporter terminal apparatus, signal man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transport route of blocks using thereof}
본 발명은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신호수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블록의 운반경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운반중인 도로폭, 도로변 적치 블록, 이동형 크레인, 운반 중인 다른 트랜스포터 등과의 간섭을 실시간으로 검토하여 간섭이 없는 운반경로를 제공하는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신호수 단말장치 및 선박 블록의 운반경로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선박을 건조함에는 다수의 강판이나 형강 등의 소재를 가공하여 먼저 개개의 부품을 제작하고, 그 일부를 조립정반(組立定盤 ) 위에서 소조립, 중조립을 통하여 부품의 대형화를 행한다. 이어서 라인화된 조립정반에 이들 부품을 배열, 조합하여 블록(block)을 제작한다. 제작된 블록은 도장공사(塗裝工事)를 행하여 최종공정인 독(dock)장 주위에서 총조립, 즉 블록과 블록의 결합작업 후 대형블록을 탑재하여 결합하는 것에 의하여 선체가 완성된다.
선박 블록은 그 크기와 구조에 따라서 여러 가지로 분류되지만 대별하여 평블록과 곡블록으로 나누어진다.
일반적으로 블록이라고 하면 플레이트(plate), 거더(girder), 스티프너(stiffener) 등에 의하여 평면적으로 구성된다고 개괄적으로 생각하더라도 무방한 경우가 많다. 어셈블리(대조립) 공정은 정반(定盤) 위에 플레이트를 배열하여 그 위에 거더, 스티프너를 배열하여 부착용접을 행하여 1개의 블록을 완성하는 것으로서 보통 부재의 배열로부터 부착, 용접, 완료 후 각종 시험완료까지를 대조립 공정이라 하고 있다.
블록의 중량은 설비의 증강 및 생산기술의 향상과 더불어 대형화하여 가고 있으며, 대형 탱크선에서는 200~300톤이 보통으로 되어 있다.
이처럼 대형 블록은 보통의 차량으로는 이동할 수 없기 때문에 트랜스포터라고 하는 블록이송차량을 이용해 운반한다.
도 1은 블록 및 이를 운반하는 블록이송차량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박블록(2)은 블록이송차량(1)에 탑재된 상태에서, 다음 공정으로 이송되는 순차적 프로세스를 겪게 된다.
이때, 선박블록(2)에는 블록 관련정보를 RFID 리더(3) 측으로 전송하는 RFID 태그(6)가 설치되며, 이 선박블록(2)을 탑재한 블록이송차량(1)에는 RFID 태그(6)의 정보를 읽어 들이는 RFID 리더(3), 위성을 이용하여 LI, 예컨대, <블록(2)(또는, 블록이송차량)의 좌표정보>, <선박블록(2)(또는, 블록이송차량)의 방위정보 등)>등을 생성하는 GPS 유닛(5), 선박블록(2)의 주변을 촬영하여, 영상정보를 생성하는 카메라 유닛(8), 앞의 RFID 리더(3), GPS 유닛(5), 카메라 유닛(8) 등을 전체적으로 통합 제어하는 제어기(4), 제어기(4)와 서버(7) 간의 통신을 중계하는 통신중계유닛(9) 등이 설치된다.
이러한 기반 인프라 하에서, 서버(7) 측에서는 블록이송차량(1)의 제어기(4) 측으로부터 전송되는 각종 데이터 (예컨대, 선박블록(2) 주변의 영상데이터, RFID 태그 데이터, LI 등)를 수신한 후, 수신 완료된 데이터를 활용하여, 선박블록(2)의 이동현황 및 공정현황을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해주는 서비스, 선박블록(2)의 고유정보를 모니터를 통해 실시간으로 표시해주는 서비스 등을 폭 넓게 시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선박블록 이송관련 기술내역은 하기 <특허문헌 1>(명칭: 블록 이동 모니터링 시스템)에 좀더 상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선박 블록은 트랜스포터에 탑재된 상태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동 경로상에 다른 블록이나 크레인 등이 있는 경우 즉,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에는 운반에 어려움을 겪게 된다. 간섭이란 선박 블록을 이동하는 중 도로 폭, 도로변에 적치된 블록, 이동형 크레인, 운반 중인 다른 트랜스포터 등으로 인해 이동에 방해를 받는 상황을 말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43356호(2010년 4월 29일, 공개)
그러나 종래 기술에 의하면 트랜스포터 내에 단말기를 통하여 블록의 위치와 트랜스포터의 위치는 확인할 수 있으나, 간섭이 발생할지 여부를 예측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이동해야 할 선박 블록의 크기를 기반으로 진행 가능한 도로와 현재 도로 상에 이동에 간섭을 줄만한 요소를 안내하고 가장 간섭이 없는 경로를 추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포터 단말장치는 블록의 운반계획정보를 수신하고 그 중 현재 트랜스포터에 해당되는 일정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운반계획 표시부; 운반 작업 완료 후 운반 실적을 등록하고 등록된 운반 실적을 송신하고, 타 트랜스포터에 의해 등록된 운반 실적을 수신하며,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반실적 표시부; 단말장치가 설치된 트랜스포터의 위치 및 현재 운반중인 블록의 정보를 송신하는 블록정보 송신부;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운반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고 검색된 운반경로에 운반을 방해하는 간섭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운반경로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트랜스포터 단말장치는 상기 계산된 운반경로 및 간섭 요소를 지도에 표시하는 운반경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반경로 표시부는 운반경로 상에 간섭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간섭위험 표시부; 상기 운반경로 계산부에서 제안된 경로가 표시되는 제안 이동경로 표시부; 크레인의 위치를 표시하는 크레인 위치 표시부; 상기 트랜스포터 단말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트랜스포터의 위치 및 운반 중 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트랜스포터 및 운반 중 블록위치 표시부; 운반경로 주위 또는 조선소 내에 존재하는 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블록위치 표시부; 및 디지털 지도 기반의 지형, 도로, 건물, 및 지번을 표시하는 지도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반경로 계산부는 전체 도로폭에서 이동 중인 블록 폭, 역방향 이동 중 다른 트랜스포터의 점유폭, 도로 점유 블록폭, 도로를 점유하고 있는 다른 장비의 폭을 고려하여 전체 도로폭에서 여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여유가 있는 경우에 해당 도로를 운반경로로 선택한다.
상기 블록의 정보는 블록의 ID, 블록의 크기, 및 블록의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지는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상기 운반계획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반계획정보는 이동대상 블록, 이동 시간, 배차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신호수 단말장치는 블록의 운반계획정보를 수신하고 그중 현재 트랜스포터에 해당되는 일정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운반계획 표시부; 운반 작업 완료 후 운반 실적을 등록하고 등록된 운반 실적을 송신하고, 타 트랜스포터에 의해 등록된 운반 실적을 수신하며,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반실적 표시부; 근처의 트랜스포터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장치로부터 트랜스포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트랜스포터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연동부;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운반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고 검색된 운반경로에 운반을 방해하는 간섭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운반경로 계산부; 및 상기 계산된 운반경로 및 간섭 요소를 지도에 표시하는 운반경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반경로 표시부는 운반경로 상에 간섭 요소가 있는지여부를 표시하는 간섭위험 표시부; 상기 운반경로 계산부에서 제안된 경로가 표시되는 제안 이동경로 표시부; 크레인의 위치를 표시하는 크레인 위치 표시부; 상기 트랜스포터 단말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트랜스포터의 위치 및 운반 중 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트랜스포터 및 운반 중 블록위치 표시부; 운반경로 주위 또는 조선소 내에 존재하는 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블록위치 표시부; 및 디지털 지도 기반의 지형, 도로, 건물, 및 지번을 표시하는 지도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반경로 계산부는 전체 도로폭에서 이동 중인 블록 폭, 역방향 이동 중 다른 트랜스포터의 점유폭, 도로 점유 블록폭, 도로를 점유하고 있는 다른 장비의 폭을 고려하여 전체 도로폭에서 여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여유가 있는 경우에 해당 도로를 운반경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블록의 정보는 블록의 ID, 블록의 크기, 및 블록의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목적지는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상기 운반계획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운반계획정보는 이동대상 블록, 이동 시간, 배차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박 블록 운반경로 제공 방법은 (a)운반하고자 하는 블록의 목적지를 입력받는 단계; (b)상기 블록의 위치를 취득하는 단계; (c)지도 정보를 이용하여 운반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는 단계; (d)탐색된 경로에 운반을 방해하는 간섭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단계; 및 (e)운반을 방해하는 간섭요소가 없는 경우에 상기 탐색된 경로를 운반경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d) 단계는 전체 도로폭에서 이동중인 블록폭, 역방향 이동 중 블록폭, 다른 트랜스포터의 점유폭, 도로 점유 블록폭, 도로 점유 크레인 폭, 및 안전 여유를 차감하여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계산값이 0보다 작은 경우에는 지도상에 간섭 요인을 표시하고 해당 도로는 운반가능 경로에서 제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 선박 블록의 이동 경로를 용이하게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대형 선박 블록의 이동 경로에 크레인 등 간섭 요소가 있는 경우에는 새로운 운반경로를 탐색하여 최적의 운반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선박의 이동 경로 및 간섭 요소를 지도상에 표시하여 디스플레함으로써 트랜스포터 운전자 및 신호수가 운반경로 및 간섭요소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선박 블록과 트랜스포터를 나타낸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트랜스포터 단말장치의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신호수 단말장치의 블럭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선박 블록 이동 경로 제공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선박 블록 이동 경로 제공 시스템의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한다.
도 2 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포터 단말장치의 블럭도이다.
상기 트랜스포터 단말장치(100)는 트랜스포터(미도시)에 장착되어 트랜스포터를 운전하는 운전자가 볼 수 있도록 블록 운반 계획 및 운반 실적 등을 디스플레이한다.
보다 상세하게 살펴보면, 트랜스포터 단말장치(100)는 운반계획 표시부(110), 운반실적 표시부(120), 블록 정보 송신부(130), 통신인터페이스(140), 운반경로 계산부(150), 및 운반경로 표시부(1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운반계획 표시부(110)는 이동 대상 블록, 이동시간, 배차 정보를 수신하고 그 중 단말장치가 설치되어 있는 트랜스포터에 해당되는 계획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에 표시한다.
상기 운반실적 표시부(120)는 계획된 운반 작업 혹은 돌발 운반작업 완료 후 운반 실적을 등록하고, 기 등록된 실적을 조회하거나 수정할 수 있도록 한다. 운반실적 표시부(120)는 운반이 완료된 경우 관련 데이터를 외부로 송신할 뿐만 아니라 타 트랜스포터에서 운반이 완료된 경우 이들 실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한다.
상기 블록정보 송신부(130)는 현재 트랜스포터의 위치, 현재 운반 중인 블록의 정보를 외부로 송신한다. 상기 블록의 정보는 블록의 고유번호(ID), 및 블록의 크기 등 블록에 대한 다양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블록정보 송신부(130)는 트랜스포터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GPS 장치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GPS 장치는 트랜스포터의 현재 위치를 파악하기 위한 장치이므로 블록정보 송신부(130)이외에 다른 부분에 부착될 수도 있으며 트랜스포터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에는 블록정부 송신부(130)는 트랜스포터에 장착된 GPS 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140)는 앞서 살펴본 송수신 데이터들을 송신하고 수신한다. 예를 들어 운반계획 표시부(110)는 운반계획을 수신하지만 이는 외부 시스템에서 직접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신된 데이터를 전달받는 것이다. 즉, 외부와의 실직적인 통신은 통신 인터페이스(140)를 통해 이루어진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는 다양 방법의 무선 통신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3G 이동통신, 4G이동통신, Wifi 무선통신 및 근거리 무선통신(NFC)등이 사용될 수 있다.
운반경로 계산부(150)는 GPS를 통해 파악된 현재 트랜스포터의 위치를 기반으로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운반경로를 계산한다. 목적지 정보는 앞서 살펴본 운반계획 정보로부터 추출할 수 있으며, 또한 사용자가 직접 목적지를 입력할 수도 있다.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운반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고, 운반 가능한 경로에 간섭 여부를 확인한다. 예를 들어 도로 폭 제한, 다른 트랜스포터의 블록이 도로를 점거하는지 여부, 다른 크레인 등 중장비가 도로를 점거하는지 여부를 파악하여 간섭 여부를 확인하고 최적의 경로를 계산한다.
상기 운반경로 표시부(160)는 디지털 지도상에 운반경로를 표시한다. 디지털 지도에는 지형, 도로, 건물, 지번 등이 표시되어 있으며, 이러한 지도 위에 블록위치와 목적지까지의 경로를 표시하고 경로상에 간섭정보가 있으면 이를 함께 표시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운반경로 표시부(160) 운반경로 상에 간섭 요소가 있는지여부를 표시하는 간섭위험 표시부(161), 상기 운반경로 계산부에서 제안된 경로가 표시되는 제안 이동경로 표시부(162), 골리아쓰, 지브 등과 같은 크레인의 위치를 표시하는 크레인 위치 표시부(163), 상기 트랜스포터 단말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트랜스포터의 위치 및 운반 중 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트랜스포터 및 운반 중 블록위치 표시부(164), 운반경로 주위 또는 조선소 내에 존재하는 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블록위치 표시부(165), 및 디지털 지도 기반의 지형, 도로, 건물, 및 지번을 표시하는 지도 표시부(166)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부(161~166)를 모두 포함하거나 필요에 따라 일부만 포함할 수도 있다. 따라서 운반경로 표시부(160)는 운반경로뿐만 아니라 타 트랜스포터의 위치 및 운반 블록, 크레인의 위치, 간섭 정보 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물론 크레인뿐만 아니라 골리아쓰 지브 등 다른 중장비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트랜스포터 단말장치로부터 운반경로를 수신하는 신호수 단말장치(200)의 블럭도이다.
신호수 단말장치(200)는 신호수가 상기 운반경로를 수신하기 위해 휴대하는 장치로, 신호수 단말장치(200)는 트랜스포터 단말장치(100)와 유사한 구성을 가지며 다만 블록정보 송신부 대신에 트랜스포터 단말기 연동부(230)를 포함한다. 즉, 상기 신호수 단말장치(200)는 운반계획 표시부(210), 운반실적 표시부(220), 트랜스포터 단말기 연동부(230), 통신 인터페이스(240), 운반경로 계산부(250), 및 운반경로 표시부(2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다른 구성은 앞서 살펴본 구성과 동일하므로 자세한 검토를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트랜스포터 단말기 연동부(230)는 신호수 단말장치 근처의 트랜스포터단말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트랜스포터 단말장치로부터 트랜스포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정보를 표시한다. 신호수 단말장치(200)는 트랜스포터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는 경우가 많은데 이 경우에도 트랜스포터의 정보를 수신해야 하기 때문에 트랜스포터로부터 직접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트랜스포터 단말장치(100)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여 해당 트랜스포터의 정보(고유번호 등)를 취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트랜스포터 단말장치(100) 및 신호수 단말장치(200)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외부로부터 여러 가지 정보를 수신해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관련 시스템이 주위에 구비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조선소내에서는 선박 블록 이동을 위한 시스템이 구비되어 있는데 도 4는 그 예시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를 참조하면, 트랜스포터 단말장치(100)로부터 신호수 단말장치(200)가 운반경로를 수신하고, 주변에 블록형상 정보 관리 시스템(300), 운반계획/실적 시스템(400), 블록위치 관리시스템(500), 지리정보 시스템(600), 트랜스포터 관리시스템(700), 및 시설 관리시스템(800) 등으로부터 다양한 정보를 송수신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블록형상 정보 관리시스템(300)은 블록의 크기(LB)와 방향을 관리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 블록의 정보 및 크기를 운반계획/실적 시스템(400) 및 블록위치 관리 시스템(500)으로 송신한다.
상기 운반계획/실적 시스템(400)은 블록의 운반계획을 트랜스포터 단말장치로 송신하고 운반실적을 수신하며 운반계획 및 운반실적을 관리한다. 이때 운반 차량에 대한 정보는 트랜스포터 관리시스템(700)으로부터 수신한다.
상기 블록위치 관리시스템(500)은 블록 위치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블록 형상 정보 관리시스템(300)으로부터 블록의 크기 및 블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운반대상 블록의 위치를 운반계획/실적 시스템(400)으로 송신하고 운반계획/실적 시스템(400)으로부터는 운반실적을 수신한다. 또한 지리정보시스템(600)으로부터 위치/지번 정보를 수신하여 블록위치 정보를 트랜스포터 단말장치(100)로 송신한다.
상기 지리정보시스템(600)은 조선소의 도로와 건물, 지번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으로 트랜스포터 단말장치(100)에 도로 정보를 제공한다.
상기 트랜스포터 관리 시스템(700)은 트랜스포터들을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트랜스포터들의 현재 위치 및 트랜스포터들이 운반하고 있는 블록에 대한 정보를 관리한다. 트랜스포터 단말장치(100)로부터 그 단말장치가 설치된 트랜스포터(이하, 해당 트랜스포터)의 위치 및 운반 중인 블록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다른 트랜스포터들의 위치정보 및 운반 중인 블록 정보를 해당 트랜스포터 단말장치로 송신한다.
상기 시설 관리시스템(800)은 트랜스포터, 골리아쓰 크레인 등의 이동형 대형 설비를 관리하고 위치 정보를 트랜스포터 단말장치(100)로 송신한다.
이들 시스템들은 무선 데이터 통신을 통해 상호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무선 통신으로는 3G 이동통신, 4G 이동통신, WiFi 무선통신, 근거리 무선통신(NFC) 등 다양한 방식의 무선 통신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시스템에 의해 트랜스포터 단말장치(100)는 목적지까지의 최적의 경로를 검색하고 경로상에 다른 장비와 같은 간섭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운반경로 제공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사용자가 단말장치에 목적지를 입력(S510)하게 되면 GPS 장치를 통해 현재 위치를 취득(S520)하고 현재위치에서 목적지까지 이동가능한 운반경로를 계산한다(S530). 목적지는 사용자가 입력할 수도 있지만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운반계획으로부터 취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운반경로가 계산되면 검색된 도로에 여유가 있는지 즉, 간섭 여부를 계산한다(S540). 도로폭의 여유 계산 방법은 아래 수학식1과 같다.
[수학식 1]
여유 도로폭 = 전체 도로폭 - 이동중인 블록 폭- 역방향 이동 중 다른 트랜스포터의 점유폭- 도로점유 블록폭-도록점유 크레인 폭 - 안전 여유
상기 계산결과 여유가 있으면 즉, 계산된 값이 0보다 크면 검색된 경로를 운반 가능한 운반경로로 제공하고(S560), 그렇지 않으면 지도 상에 간섭 요인을 적색 또는 다른 식별이 잘되는 색으로 표기하고(S570) 해당도로를 제외하고(S580) 운반가능경로를 다시 계산한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최적의 운반경로를 계산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200:신호수 단말장치
300 : 블록형상 정보 관리시스템 400 : 운반계획/실적 시스템
500 : 블록위치 관리 시스템 600 : 지리정보 시스템
700 : 트랜스포터 관리 시스템 800 : 시설 관리시스템
110, 210 : 운반계획 표시부 120, 220 : 운반실적 표시부
130 : 블록정보 표시부 230 : 트랜스포터 단말 연동부
140, 240 : 통신인터페이스 150, 250 : 운반경로 계산부
160, 260 : 운반경로 표시부

Claims (15)

  1. 블록의 운반계획정보를 수신하고 그 중 현재 트랜스포터에 해당되는 일정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운반계획 표시부;
    운반 작업 완료 후 운반 실적을 등록하고 등록된 운반 실적을 송신하고, 타 트랜스포터에 의해 등록된 운반 실적을 수신하며,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반실적 표시부;
    단말장치가 설치된 트랜스포터의 위치 및 현재 운반중인 블록의 정보를 송신하는 블록정보 송신부;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및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운반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고 검색된 운반경로에 운반을 방해하는 간섭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운반경로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운반경로 및 간섭 요소를 지도에 표시하는 운반경로 표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운반경로 표시부는
    운반경로 상에 간섭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간섭위험 표시부;
    상기 운반경로 계산부에서 제안된 경로가 표시되는 제안 이동경로 표시부;
    크레인의 위치를 표시하는 크레인 위치 표시부;
    상기 트랜스포터 단말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트랜스포터의 위치 및 운반 중 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트랜스포터 및 운반 중 블록위치 표시부;
    운반경로 주위 또는 조선소 내에 존재하는 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블록위치 표시부; 및
    디지털 지도 기반의 지형, 도로, 건물, 및 지번을 표시하는 지도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경로 계산부는
    전체 도로폭에서 이동 중인 블록 폭, 역방향 이동 중 다른 트랜스포터의 점유폭, 도로 점유 블록폭, 도로를 점유하고 있는 다른 장비의 폭을 고려하여 전체 도로폭에서 여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여유가 있는 경우에 해당 도로를 운반경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정보는 블록의 ID, 블록의 크기, 및 블록의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는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상기 운반계획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계획정보는
    이동대상 블록, 이동 시간, 배차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7. 블록의 운반계획정보를 수신하고 그중 현재 트랜스포터에 해당되는 일정을 선별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운반계획 표시부;
    운반 작업 완료 후 운반 실적을 등록하고 등록된 운반 실적을 송신하고, 타 트랜스포터에 의해 등록된 운반 실적을 수신하며, 이를 디스플레이하는 운반실적 표시부;
    근처의 트랜스포터 단말장치를 검색하고 검색된 단말장치로부터 트랜스포터에 대한 정보를 취득하여 해당 트랜스포터에 해당하는 정보를 표시하는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연동부;
    외부 기기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 인터페이스;
    현재 위치에서 목적지까지의 운반 가능한 경로를 탐색하고 검색된 운반경로에 운반을 방해하는 간섭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는 운반경로 계산부; 및
    상기 검색된 운반경로 및 간섭 요소를 지도에 표시하는 운반경로 표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수 단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경로 표시부는
    운반경로 상에 간섭 요소가 있는지 여부를 표시하는 간섭위험 표시부;
    상기 운반경로 계산부에서 제안된 경로가 표시되는 제안 이동경로 표시부;
    크레인의 위치를 표시하는 크레인 위치 표시부;
    상기 트랜스포터 단말장치가 장착되지 않은 다른 트랜스포터의 위치 및 운반 중 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트랜스포터 및 운반 중 블록위치 표시부;
    운반경로 주위 또는 조선소 내에 존재하는 블록의 위치를 표시하는 블록위치 표시부; 및
    디지털 지도 기반의 지형, 도로, 건물, 및 지번을 표시하는 지도 표시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수 단말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경로 계산부는
    전체 도로폭에서 이동 중인 블록 폭, 역방향 이동 중 다른 트랜스포터의 점유폭, 도로 점유 블록폭, 도로를 점유하고 있는 다른 장비의 폭을 고려하여 전체 도로폭에서 여유가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고 여유가 있는 경우에 해당 도로를 운반경로로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수 단말장치.
  10.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의 정보는 블록의 ID, 블록의 크기, 및 블록의 방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수 단말장치.
  11.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목적지는 사용자가 입력하거나 상기 운반계획 정보에 포함된 목적지 정보로부터 취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수 단말장치.
  12.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운반계획정보는
    이동대상 블록, 이동 시간, 배차 정보, 및 목적지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수 단말장치.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40149147A 2014-10-30 2014-10-30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신호수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블록의 운반경로 제공 방법 KR1016589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147A KR101658944B1 (ko) 2014-10-30 2014-10-30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신호수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블록의 운반경로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9147A KR101658944B1 (ko) 2014-10-30 2014-10-30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신호수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블록의 운반경로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617A KR20160050617A (ko) 2016-05-11
KR101658944B1 true KR101658944B1 (ko) 2016-09-22

Family

ID=560255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9147A KR101658944B1 (ko) 2014-10-30 2014-10-30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신호수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블록의 운반경로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8944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333A (ko)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지노스 트랜스포터의 최적 블록 운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210009139A (ko) 2019-07-16 2021-01-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교류 전동기의 출력 토크 향상을 위한 인버터의 dc 입력 전압 이용률 향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3상 인버터 전압 보상 회로
KR20230148023A (ko) 2022-04-15 2023-10-24 한화오션 주식회사 가상현실 기반의 트랜스포터 교육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282821B (zh) * 2018-11-28 2019-12-03 浙江明度智控科技有限公司 一种园区导航方法和系统
KR102259762B1 (ko) * 2019-12-06 2021-06-02 주식회사 제이엔이웍스 안전 사고 예방을 위한 가상 현실을 활용한 크레인 협동 작업 훈련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5633B1 (ko) * 2008-09-22 2010-10-05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선박 블록의 이동 및 적치 관리 방법
KR20100043356A (ko) 2008-10-20 2010-04-29 에스티엑스조선해양 주식회사 블록 이동 모니터링 시스템
KR20110026910A (ko) * 2009-09-09 2011-03-16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선박블록 운영관리장치
KR20120003629A (ko) * 2010-07-05 2012-01-11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블록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선박 블록 적치 위치 결정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01333A (ko) 2019-06-27 2021-01-06 주식회사 지노스 트랜스포터의 최적 블록 운송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서버
KR20210009139A (ko) 2019-07-16 2021-01-26 강원대학교산학협력단 교류 전동기의 출력 토크 향상을 위한 인버터의 dc 입력 전압 이용률 향상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3상 인버터 전압 보상 회로
KR20230148023A (ko) 2022-04-15 2023-10-24 한화오션 주식회사 가상현실 기반의 트랜스포터 교육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50617A (ko) 201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8944B1 (ko) 트랜스포터 단말장치, 신호수 단말장치 및 이를 이용한 선박 블록의 운반경로 제공 방법
CN108039053B (zh) 一种智能网联交通系统
US20200370905A1 (en) Route planning system, route planning method, article-arrangement planning system, article-arrangement planning method, decision-making support system, computer program, and storage medium
US8674854B2 (en) Traffic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using navigation route information of vehicle for each navigational situation
US11565420B2 (en) Teleoperation in a smart container yard
JP4014108B2 (ja) 船舶運航監視システム
JP6514360B2 (ja) 車両物流管理システム
JPWO2018155700A1 (ja) 飛行管理システム
US20150253142A1 (en) Semi-autonomous route compliance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CN102938215B (zh) 一种指挥处警方法和系统
US11941579B2 (en) Autonomous vehicles performing inventory management
CN106447260A (zh) 基于空闲频段选择的物流信息远程实时监测方法
JP6352010B2 (ja) 列車接近警報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
JP6659055B2 (ja) プログラム
CN113892275A (zh) 一种定位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9200914B2 (en) Combined offboard and onboard navigation system and method
JP2009289223A (ja) 交通状況予測システム、ナビゲーション装置及びサーバ
KR100717843B1 (ko) 대중교통정보를 이용한 개인항법장치 및 그 방법
Heilig et al. Port-centric information management in smart ports: A framework and categorisation
KR20170121855A (ko) 멀티-릴레이 스테이션 환경에 기반하는 무인 비행체를 이용한 물류 운송 방법 및 시스템
CN110914845A (zh) 用于资源管理的系统和装置
KR100815714B1 (ko) 선박용 조립블록 관리방법
JP6505044B2 (ja) 動態管理システム、動態管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09107583A5 (ko)
US20230154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and Simulating a Hyperloop Porta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