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8480B1 -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 Google Patents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658480B1 KR101658480B1 KR1020150083441A KR20150083441A KR101658480B1 KR 101658480 B1 KR101658480 B1 KR 101658480B1 KR 1020150083441 A KR1020150083441 A KR 1020150083441A KR 20150083441 A KR20150083441 A KR 20150083441A KR 101658480 B1 KR101658480 B1 KR 101658480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upport
- adhesive
- sleeper
- case
- ancho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210/00—Aspect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any group under G01B, e.g. of wheel alignment, caliper-like sensors
- G01B2210/66—Rock or ground anchors having deformation measuring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sting Or Calibration Of Command Recording Devices (AREA)
Abstract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를 침목에 부착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는, 철도 침목 센서 장치가 결합되는 센서결합부와, 센서결합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어 침목의 상면에 놓여지는 받침지지부와, 받침지지부가 내부에 위치하고 받침지지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외곽 둘레를 밀폐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접착제가 충진되는 중공의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케이스부의 내부에 충진되는 접착제에 의해 받침지지부가 침목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경에 따른 레일 길이와 경사 변위 등을 측정하는 센서 장치를 고정하는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철도 선로는 거동 변형이 없는 원지반 위에 흙을 성토하여 성토 지반을 만들고 성토 지반 위에 다수의 침목(枕木)을 일전 간격으로 배치하고 그 위에 한 쌍의 레일을 나란하게 설치한다.
이러한 철도 선로는 필요에 따라 매립지와 같은 연약 지반 위에 또는 인접하거나 산의 하부에 위치한 절개지 옆 또는 산의 계곡에 직면하여 실치될 수 있고, 철도 선로 주변에는 하천 정비 또는 터널 공사나 건물 신축을 위한 토목 공사가 발생될 수 있다.
그런데, 여름철에 장마 또는 폭우로 인하여 산사태 또는 홍수가 발생하면서 절개지나 산의 계곡에 직면해 있는 철도 선로의 성토 지반은 지반 침하가 급격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연약 지반에 인접해 있는 경우에도 서서히 지반 침하가 발생할 수 있고, 철도 선로의 성토 지반에 인접하여 토목 공사가 발생한 경우에도 설계 미숙 또는 오차 등에 의해 지반 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터널이나 교량 위를 지나는 철도 레일의 경우에도 침목이 설치되는 구조물이 장기간의 사용으로 인하여 노후화되면서 서서히 지반 침하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철로 지반 침하와 변형이 우려되는 연약 지반, 절개지, 계곡과 직면한 부분, 또는 구조물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는 터널, 교량 위를 지나는 철도 레일은 그의 변위량을 측정하여 지반 침하와 변형으로 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대형 철도 사고를 미연에 방지하고, 열차의 안전 운행을 위하여 철도 레일의 안전 상태를 상시 계측하는 철도 침목 센서 장치가 필요하다.
이러한 철도 침목 센서 장치는 볼트 또는 앵커를 이용하여 각각의 침목에 고정 설치되는데, 종래의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는 막대봉 형태로 형성되어 센서 고정바가 앵커의 상단부에 결합되고 앵커의 하단부가 침목의 상면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그로 인해, 앵커를 설치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침목에 구멍을 뚫는 작업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므로 시공이 복잡하고 작업 시간도 많이 소요되며, 침목에 구멍을 뚫는 과정에서 침목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를 침목에 부착하여 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는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는, 철도의 침목에 설치되어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가 결합되는 센서결합부; 상기 센서결합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침목의 상면에 놓여지는 받침지지부; 및 상기 받침지지부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지지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외곽 둘레를 밀폐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접착제가 충진되는 중공의 케이스부;를 포함하며,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받침지지부가 상기 침목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받침지지부가 상기 침목의 상면에 놓일 경우 상기 케이스부의 하단과 상기 침목의 상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하단은 상기 받침지지부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충진된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케이스부의 하단 외측으로 흘러내려 상기 이격 공간을 따라 상기 케이스부의 하단 외측면과 상기 침목의 상면을 접착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케이스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폐단면을 갖는 중공의 수직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에 충진되는 상기 접착제가 상기 받침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부분까지 충분히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높이는 상기 받침지지부의 두께보다 더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는, 상기 받침지지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지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는 판재형 막대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지지부의 일단이 상기 받침지지부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지지부의 타단이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 상단에 연결되어 상기 받침지지부에서 상기 케이스부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지지부의 측면에는 다수 개의 핀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접착제와 접촉되는 접착 표면적을 증가시킨다.
또한, 상기 받침지지부는 수평판재로 이루어지고, 판면에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침목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충진됨으로써, 상기 받침지지부와 상기 침목 간의 접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는, 철도의 침목에 설치되어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가 결합되는 센서결합부; 및 상기 센서결합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고, 판면에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는 수평판재로 이루어지며, 접착제에 의해 상기 침목의 상면에 접착 고정되는 받침지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받침지지부를 상기 침목의 상면에 도포된 상기 접착제에 가압하여 접착 시 상기 접착제가 상기 관통홀에 유입되어 충진됨으로써, 상기 받침지지부와 상기 침목 간의 접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를 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침목에 부착 고정함으로써, 시공이 편리하고 작업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앵커를 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이용하여 침목에 부착 고정함으로써, 종래와 달리 앵커를 설치하기 위해 침목에 구멍을 뚫을 필요가 없으므로 침목이 파손될 우려가 전혀 없다.
도 1은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를 침목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종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평면도.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
도 5는 도 2의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를 침목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의 사시도.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의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종단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의 설치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철도의 도상 위에서 레일(2)을 직접 지지하고 궤간을 유지함과 동시에 하중을 넓은 범위로 분포시켜 도상에 전달하는 침목(1)이 레일(2)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을 두고 다수 개 설치된다. 또한,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길이와 경사 변위 등을 측정하는 센서 장치(10)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100)가 철도의 침목(1)에 각각 설치된다. 각각의 앵커(100)는 침목의 상면 중앙에 접착 고정되어 레일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일렬로 배치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평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종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를 침목에 설치한 상태를 나타낸 개략 구성도이며, 도 6은 도 5의 종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100)는 센서결합부(110), 받침지지부(120), 케이스부(130) 및 연결지지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결합부(110)는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10, 도 1 참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센서결합부(110)는 체결몸체(111) 및 수직지지바(113)를 포함할 수 있다.
체결몸체(111)는 막대 봉 형상으로 형성되고, 양측면을 관통하는 나사 구멍(111a)이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센서 장치(10)의 고정바(11)는 나사 구멍(111a)에 체결되는 스크류(11a)에 의해 체결몸체(111)에 고정된다. 또한, 센서 장치(10)의 고정바(11)와 접하는 센서결합부(110)의 양측면은 고정바(11)의 판면에 대응되도록 센서결합부(110)의 양측면을 일부 절삭하여 판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체결몸체(111)를 원형 봉 형상으로 구성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봉 형상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수직지지바(113)는 후술할 받침지지부(120)의 판면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직립되게 설치되어 체결몸체(111)를 받침지지부(120)에 연결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예에서 수직지지바(113)의 상단은 체결몸체(111)의 하단에 용접하여 접합되고 수직지지바(113)의 하단은 받침지지부(120)의 상면에 용접하여 접합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수직지지바(113)의 양단에 볼트를 형성하고 체결몸체(111)와 받침지지부(120)에 각각 너트를 형성하여 수직지지바(113)를 체결몸체(111)와 받침지지부(120)에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센서결합부(110)가 두 개의 구성, 즉 체결몸체(111)와 수직지지바(113)의 결합 형태로 이루어진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체결몸체(111)와 수직지지바(113)가 하나로 일체화된 단일 형태로 센서결합부(110)를 구성할 수도 있다.
받침지지부(120)는 센서결합부(1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센서결합부(110)의 수직지지바(113)의 하단이 받침지지부(120)의 상면 중앙에 용접하여 접합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받침지지부(120)에 수직지지바(113)를 용접하여 접합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받침지지부(120)에 너트를 형성하고 수직지지바(113)의 하단에 볼트를 형성하여 받침지지부(120)에 수직지지바(113)를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다.
받침지지부(120)는 침목(1)의 상면에 수평이 되게 놓일 수 있도록 수평판재로 형성된다. 또한, 받침지지부(120)는 판면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센서결합부(1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센서결합부(110)의 체결몸체(111) 횡단면적 보다 큰 횡단면적을 갖는 수평판재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지지부(120)를 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상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받침지지부(120)는 사각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원형 판재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케이스부(130)는 받침지지부(120)가 내부에 위치하고, 내부에 접착제(3)가 충진될 수 있도록 받침지지부(120)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외곽 둘레를 밀폐하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받침지지부(120)와 케이스부(130)의 사이에 형성된 개구 공간(130a)으로 침목(1)의 상면이 노출되어 케이스부(130)의 내부에 충진된 접착제(3)에 의해 받침지지부(120)가 침목(1)에 접착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에폭시(epoxy) 수지 접착제를 사용하는데, 에폭시 수지 접착제는 에폭시 수지, 경화제, 충진제, 희석제 등과 기타 첨가제를 기본 베이스로 하고 있는 열경화성 수지계 접착제이다. 이러한 에폭시 수지는 경화 후 기계적인 특성이 뛰어날 뿐만 아니라 접착력이 매우 강하고, 내열성, 내수성, 전기절연성이 뛰어나다. 이에 따라 상온에서 경화하고 반응시 부생성물이 없어 가정용, 공업, 건축, 전기, 자동차, 항공기 등 전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내구성이 특히 필요한 것에 많이 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에폭시 수지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을 예시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에폭시 수지 접착제 이외의 다른 접착성분을 함유한 접착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케이스부(130)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폐단면을 갖는 중공의 수직판재로 형성된다. 케이스부(130)에 충진되는 접착제(3)가 받침지지부(120)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부분까지 충분히 채워질 수 있도록 케이스부(130)의 높이(H1)는 받침지지부(120)의 두께(D1)보다 더 높게 형성된다.
또한, 케이스부(130)의 하단은 받침지지부(120)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하여 받침지지부(120)가 침목(1)의 상면에 놓일 경우 케이스부(130)의 하단과 침목(1)의 상면 사이에 이격 공간(A), 즉 틈이 형성된다. 이를 통해 케이스부(130)의 내부에 충진된 접착제(3)의 일부가 이격 공간(A)을 통해 케이스부(130)의 하단 외측으로 흘러내려 이격 공간(A)을 따라 케이스부(130)의 하단 외측면과 침목(1)의 상면을 접착 고정하게 됨으로써 케이스부(130)의 접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140)는 받침지지부(120)와 케이스부(130)를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받침지지부(120)와 케이스부(13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된다. 바람직하게는 받침지지부(120)와 케이스부(130)를 안정되게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연결지지부(140)는 다수 개 설치되는데, 예를 들어, 받침지지부(120)가 사각판 형상으로 형성된 경우 받침지지부(120)의 4개의 측면에 연결지지부(140)를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사각판의 받침지지부(120) 측면에 연결지지부(140)를 설치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사각판의 받침지지부(120) 4개의 모서리에 연결지지부(140)를 각각 설치할 수도 있다.
연결지지부(140)는 판재형 막대로 형성될 수 있다. 연결지지부(140)의 일단은 받침지지부(120)의 측면에 연결되고 연결지지부(140)의 타단은 케이스부(130)의 내측면 상단에 연결되어 받침지지부(120)에서 케이스부(130)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는 연결지지부(140)를 경사방향으로 설치함에 따라 연결지지부(140)의 하면과 침목(1)의 상면 사이에 접착제(3)가 충분히 채워지게 되어 연결지지부(140)의 접착표면적이 증가하여 접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반면에, 연결지지부(140)를 받침지지부(120)의 판면과 나란하게 수평방향으로 배치하여 케이스부(130)에 연결할 경우에는 연결지지부(140)의 하면이 침목(1)의 상면에 접하게 되므로 케이스부(130)의 내부에 충진되는 접착제(3)가 연결지지부의 하면에는 채워지지 못하게 되고, 그 결과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연결지지부(140)를 경사방향으로 배치하는 경우보다 연결지지부(140)의 접착표면적이 작아 접착력이 떨어지게 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의 사시도이며, 도 8은 도 7의 종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200)는 센서결합부(210), 받침지지부(220), 케이스부(230) 및 연결지지부(240)를 포함하며, 받침지지부(220) 및 연결지지부(240)를 제외하고는 도 2 내지 도 6을 참고하여 설명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다. 따라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 요소, 센서결합부(210) 및 케이스부(230)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이하에서는 제 1 실시예와 상이한 구성인 받침지지부(220) 및 연결지지부(240)에 대해서만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받침지지부(220)는 센서결합부(2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센서결합부(210)의 수직지지바(213)의 하단이 받침지지부(220)의 상면 중앙에 용접하여 접합된다. 또한, 받침지지부(220)는 침목(1)의 상면에 수평이 되게 놓일 수 있도록 수평판재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지지부(220)를 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상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받침지지부(220)는 사각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원형 판재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받침지지부(220)는 판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의 관통홀(2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스부(230)의 내부에 충진되는 접착제(3)가 관통홀(221)을 통해 유입되어 침목(1)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관통홀(221)의 내부에 충진됨으로써, 받침지지부(220)와 침목(1) 간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221)의 직경 및 개수는 받침지지부(220)의 판면 사이즈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받침지지부(220)의 판면 사이즈를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크게 할 경우에는 관통홀(221)의 직경을 더 크게 하고 관통홀(221)의 개수를 더 증가시켜 관통홀(221)을 통해 유입되는 접착제(3)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받침지지부(220)와 침목(1) 간의 접착력을 더욱 강화시킬 수 있다.
연결지지부(240)는 받침지지부(220)와 케이스부(230)를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받침지지부(220)와 케이스부(23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받침지지부(220)와 케이스부(230)를 안정되게 연결 지지할 수 있도록 다수 개 설치된다. 또한, 연결지지부(240)는 판재형 막대로 형성되며, 연결지지부(240)의 일단이 받침지지부(220)의 측면에 연결되고 연결지지부(240)의 타단이 케이스부(230)의 내측면 상단에 연결되어 받침지지부(220)에서 케이스부(230)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된다. 이는 연결지지부(240)를 경사방향으로 설치함에 따라 연결지지부(240)의 하면과 침목(1)의 상면 사이에 접착제(3)가 충분히 채워지게 되어 연결지지부(240)의 접착표면적이 증가하여 접착력이 강화될 수 있다.
또한, 연결지지부(240)는 측면에 다수 개의 핀(241)이 돌출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지지부(240)는 접착제(3)와 접촉되는 접착 표면적이 증가되어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지지부(240)의 양측면을 따라 다수 개의 핀(241)이 돌출 형성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연결지지부(240)의 상하면 및 양측면을 따라 다수 개의 핀(241)이 돌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직선형 핀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곡선형 핀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의 사시도이며, 도 10은 도 9의 종단면도이다.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300)는 센서결합부(310) 및 받침지지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결합부(310)는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10, 도 1 참조)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러한 센서결합부(310)는 체결몸체(311) 및 수직지지바(313)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센서결합부(310)는 전술한 제 1 실시예의 센서결합부(110)와 구성이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받침지지부(320)는 센서결합부(310)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센서결합부(310)의 수직지지바(313)의 하단이 받침지지부(320)의 상면 중앙에 용접하여 접합된다. 또한, 받침지지부(320)에 수직지지바(313)를 용접하여 접합하는 방식뿐만 아니라,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지만 받침지지부(320)에 너트를 형성하고 수직지지바(313)의 하단에 볼트를 형성하여 받침지지부(320)에 수직지지바(313)를 볼트와 너트의 체결을 통해 결합할 수도 있다.
받침지지부(320)는 침목(1)의 상면에 수평이 되게 놓일 수 있도록 수평판재로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받침지지부(320)를 사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상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받침지지부(320)는 사각형뿐만 아니라 삼각형, 오각형 등의 다각형의 판재 형상으로 형성하거나 원형 판재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받침지지부(320)는 접착제(3)에 의해 침목(1)의 상면에 접착 고정되는데, 받침지지부(320)에 대하여 수직방향으로 직립된 센서결합부(310)를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지지면적을 확보함과 동시에 받침지지부(320)의 접착면적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받침지지부(320)의 사이즈를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서 받침지지부(320)는 제 1 실시예의 케이스부(130)의 직경과 대략 일치되는 가로와 세로의 변길이를 갖는 정사각형 판재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받침지지부(320)는 판면에 수직방향으로 다수 개의 관통홀(32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받침지지부(320)를 침목(1)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3)에 가압하여 접착 시 접착제(3)가 관통홀(321)의 내부로 충진되어 접착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받침지지부(320)와 침목(1) 간의 접착력을 강화시킬 수 있다. 여기서, 관통홀(321)의 직경 및 개수는 받침지지부(320)의 판면 사이즈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받침지지부(320)의 판면 사이즈를 도면에 도시된 것보다 크게 할 경우에는 관통홀(321)의 직경을 크게 하고 관통홀(321)의 개수를 증가시켜 관통홀(321)을 통해 유입되는 접착제의 양을 증가시킴으로써 받침지지부(320)와 침목(1) 간의 접착력을 더욱 크게 강화시킬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200, 300 :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110, 210, 310 : 센서결합부
111, 211, 311 : 체결몸체
113, 213, 313 : 수직지지바
120, 220, 320 : 받침지지부
130, 230 : 케이스부
140, 240 : 연결지지부
110, 210, 310 : 센서결합부
111, 211, 311 : 체결몸체
113, 213, 313 : 수직지지바
120, 220, 320 : 받침지지부
130, 230 : 케이스부
140, 240 : 연결지지부
Claims (8)
- 철도의 침목에 설치되어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를 측정하는 센서 장치를 고정하기 위한 앵커에 있어서,
상기 센서 장치가 결합되는 센서결합부;
상기 센서결합부의 하부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며, 상기 침목의 상면에 놓여지는 받침지지부;
상기 받침지지부가 내부에 위치하고, 상기 받침지지부로부터 일정 거리 이격된 외곽 둘레를 밀폐하도록 형성되며, 내부에 접착제가 충진되는 중공의 케이스부; 및
상기 받침지지부와 상기 케이스부를 연결하여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연결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충진되는 상기 접착제에 의해 상기 받침지지부가 상기 침목에 접착 고정되되,
상기 연결지지부는 판재형 막대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지지부의 일단이 상기 받침지지부의 측면에 연결되고 상기 연결지지부의 타단이 상기 케이스부의 내측면 상단에 연결되도록 상기 받침지지부에서 상기 케이스부를 향해 상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상기 연결지지부의 하면과 침목의 상면 사이에 상기 접착제가 채워지게 됨에 따라 상기 연결지지부의 접착표면적이 증가하여 접착력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지지부가 상기 침목의 상면에 놓일 경우 상기 케이스부의 하단과 상기 침목의 상면 사이에 이격 공간이 형성될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하단은 상기 받침지지부의 하단보다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케이스부의 내부에 충진된 상기 접착제의 일부가 상기 이격 공간을 통해 상기 케이스부의 하단 외측으로 흘러내려 상기 이격 공간을 따라 상기 케이스부의 하단 외측면과 상기 침목의 상면을 접착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부는 원형 또는 다각형의 폐단면을 갖는 중공의 수직판재로 형성되고,
상기 케이스부에 충진되는 상기 접착제가 상기 받침지지부의 상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부분까지 채워질 수 있도록 상기 케이스부의 높이는 상기 받침지지부의 두께보다 더 높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 삭제
- 삭제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지지부의 측면에는 다수 개의 핀이 돌출 형성되어 상기 접착제와 접촉되는 접착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지지부는 수평판재로 이루어지고, 판면에 다수 개의 관통홀이 형성되며,
상기 접착제가 상기 관통홀을 통해 유입되어 상기 침목의 상면에 접촉되도록 상기 관통홀의 내부에 충진됨으로써, 상기 받침지지부와 상기 침목 간의 접착력이 강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 삭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3441A KR101658480B1 (ko) | 2015-06-12 | 2015-06-12 |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50083441A KR101658480B1 (ko) | 2015-06-12 | 2015-06-12 |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658480B1 true KR101658480B1 (ko) | 2016-09-22 |
Family
ID=57102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50083441A KR101658480B1 (ko) | 2015-06-12 | 2015-06-12 |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658480B1 (ko)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8945A (ko) | 2009-02-02 | 2010-08-11 | 주식회사 로텍인스트루먼트 |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량 자동 계측 시스템과 그 방법 |
KR101332970B1 (ko) * | 2012-07-12 | 2013-11-25 | 대구도시철도공사 | 도시철도터널 내공변위 측정장치 |
KR101421272B1 (ko) * | 2014-03-10 | 2014-07-18 |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 교량상판 신축이음검지용 안전진단장치 |
KR101437604B1 (ko) * | 2013-09-13 | 2014-09-05 | 이근호 | 철도레일의 폭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
-
2015
- 2015-06-12 KR KR1020150083441A patent/KR101658480B1/ko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00088945A (ko) | 2009-02-02 | 2010-08-11 | 주식회사 로텍인스트루먼트 | 철도 지반 침하 및 구조물 변형에 따른 레일 변위량 측정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레일 변위량 자동 계측 시스템과 그 방법 |
KR101332970B1 (ko) * | 2012-07-12 | 2013-11-25 | 대구도시철도공사 | 도시철도터널 내공변위 측정장치 |
KR101437604B1 (ko) * | 2013-09-13 | 2014-09-05 | 이근호 | 철도레일의 폭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
KR101421272B1 (ko) * | 2014-03-10 | 2014-07-18 | 주식회사 혜성안전기술원 | 교량상판 신축이음검지용 안전진단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3525472A (en) | Vibration-suppressing composite rail for railways | |
CN105973460A (zh) | 一种在深厚松散土层上固定爆破测振传感器的装置 | |
US20140312133A1 (en) | Train Rail Track Structure Systems | |
KR101658480B1 (ko) | 철도 침목 센서 고정용 앵커 | |
KR20080103664A (ko) | 진동차단 성능이 우수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 |
CN201553957U (zh) | 燕尾式固轨装置 | |
CN111648171B (zh) | 一种无砟轨道结构拉拽式横向纠偏方法 | |
KR100854479B1 (ko) | 레일설치지그 및 이를 이용한 매립식 철도궤도 시공방법 | |
KR101272472B1 (ko) | 탄성수지 고정방식의 저진동 철도교 | |
CN107642032B (zh) | 一种便梁限位装置及其施工方法 | |
KR100660007B1 (ko) | 철도 레일 고정 구조 | |
RU2012146594A (ru) | Конструкция для строительства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путей, подземных железнодорожных путей и трамвайных путей, включающая одну или несколько "нависающих" платформ, соединенных с фундаментом, и способ сборки конструкции | |
KR101823552B1 (ko) | 철도레일의 진행방향 변위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변위측정방법 | |
KR100812126B1 (ko) | 구조물의 전도 측량 시설 | |
KR100964734B1 (ko) | 복합탄성체에 의한 매립식 철도궤도 구조 | |
CN201553954U (zh) | 燕尾式固轨器 | |
KR102232018B1 (ko) | 철도레일의 레일바이크용 복선 개조시스템 | |
CN111648172B (zh) | 一种无砟轨道结构拉拽式横向纠偏工装 | |
CN113969520A (zh) | 一种铁路隧道内无砟轨道结构及其纠偏方法 | |
JP4969116B2 (ja) | コンクリ−ト桁の連結構造 | |
CN209602877U (zh) | 一种适用于轨道吸音板的安装连接装置 | |
KR101224136B1 (ko) | 철도궤도의 자갈도상용 pc침목 연결장치 및 연결방법 | |
US1572131A (en) | Railway-track construction | |
CN215629051U (zh) | 一种铁路防爬装置 | |
US9644323B2 (en) | Train rail track structure systems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