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696B1 -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 Google Patents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696B1
KR101656696B1 KR1020160012093A KR20160012093A KR101656696B1 KR 101656696 B1 KR101656696 B1 KR 101656696B1 KR 1020160012093 A KR1020160012093 A KR 1020160012093A KR 20160012093 A KR20160012093 A KR 20160012093A KR 101656696 B1 KR101656696 B1 KR 1016566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e
wire
casing
pile
lif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20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진 영 이
Original Assignee
이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진영 filed Critical 이진영
Priority to KR10201600120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6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6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6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3/00Accessories for placing or removing piles or bulkheads, e.g. noise attenuating chambe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1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both placing and removing sheet pile bulkheads, piles, or mould-pi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07Shapes round, e.g. circ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20Miscellaneous comprising details of connection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 Placing Or Removing Of Piles Or Sheet Piles, Or Accessories Thereof (AREA)

Abstract

파일을 와이어로 인양후 케이싱 안에 근입시 와이어가 케이싱안으로 말려 들어가서 파일과 케이싱 사이에 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기구는 지층에 삽입된 케이싱에 근입되는 파일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는 몸체, 및 파일에 묶여진 파일 인양용 와이어와 결속하는 와이어 결속부를 포함한다. 몸체의 내경은 파일의 외경보다 크고 파일이 근입되는 케이싱의 내경보다는 작다. 몸체의 외경은 케이싱의 내경보다 크다.

Description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Apparatus for dismantling wire for pile lifting and pil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지반 보강 또는 건축 구조물 등의 기초공사를 위한 파일(pile)을 인양하는 와이어를 자동으로 해체시킬 수 있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약 지반을 보강하거나 건축 구조물의 기초공사를 위해 복수 개의 파일(Pile; 말뚝)을 지반에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지반에 시공되는 파일은 크게 콘크리트 파일, 강관 파일, 및 복합 파일로 분류될 수 있다.
콘크리트 파일로는 RC 파일, PC 파일, PHC 파일 등이 있을 수 있다. 콘크리트 파일은 파일 선단의 순단면적이 커서 선단지지력이 크고, 자재비가 강관 파일의 1/3 ~ 1/5 정도에 불과하여 공사비를 절감할 수 있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강관 파일은 휨 모멘트와 전단력에 대한 저항능력이 우수할 뿐만 아니라 콘크리트 파일에 비해 강도가 커서 시공성도 우수하다. 그리고, 강관 파일은 이음이나 절단도 용이하기 때문에 지층 변화가 심한 현장에 소요 길이까지 시공할 수 있으므로 현장 적용성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최근에는 이질의 재료 또는 다른 특성을 갖는 파일을 조합하여 구조물 특성에 적합하도록 개량한 복합 파일(Composite Pile)이 현장에 적용되고 있다. 복합 파일은 하부는 콘크리트 파일로 구성되고, 상부 일부 구간이 강관 파일로 구성된 파일이다.
상기와 같은 파일을 지반에 시공하는 방법으로는 지반에 직접 파일을 타입 시공하는 방법과 지반을 굴착하여 파일을 매립하는 방법이 대표적이다.
먼저, 파일을 지반에 직접 타입 시공하는 방법은 해머 등과 같은 중량체를 권양 로프 또는 유압 유니트의 유압을 이용하여 상승시켰다가 하강시켜 파일 상부를 타격하여 파일을 지반에 타입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진동이나 소음 및 분진 등과 같은 환경적인 문제점 때문에 점차 그 사용이 적어지고 있다.
그리고, 지반을 굴착하여 파일을 매립하는 방법은 파일을 지반에 직접 타입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최근 각광받고 있는 방법이다. 지반을 굴착하여 파일을 매립하는 방법은 지반 굴착 장비에 장치된 스크류가 지반을 천공하여 형성된 천공 홀에 파일을 매립한다. 이때, 천공된 지반의 붕괴를 막기 위해 케이싱(casing)이 사용된다.
그리고, 파일을 천공 홀 또는 케이싱 시공 위치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야적된 파일을 크레인 등의 인양 수단과 결속시켜 인양하게 된다.
이때, 파일을 인양하는 방법으로는, 홀치기(choking) 방법, 파일 상단에 구멍을 뚫어 인양하는 방법, 파일 상단에 패드아이(Padeye)를 설치하여 인양하는 방법 등이 있을 수 있다. 통상적으로 홀치기(choking) 방법을 많이 사용한다. 홀치기(choking) 방법은 가장 일반적인 방법으로서, 파일의 상부를 와이어를 사용하여 올가미 형식으로 묶은 다음, 와이어를 크레인 등의 인양 수단의 훅크에 걸어서 인양하는 방법이다.
그런데, 홀치기 방법을 이용하여 파일을 인양함에 있어서, 파일을 와이어로 인양후 케이싱 내부에 근입시킬 때 와이어가 케이싱 내부로 말려 들어가서 파일과 케이싱 사이에 협착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파일을 케이싱 내부에 근입시킨 이후에는 케이싱을 인발하여야 하는데, 상술한 바와 같이 와이어가 파일과 케이싱 사이에 협착되어 있으면 케이싱 인발이 잘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케이싱이 인발되더라도 파일도 함께 인발되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기술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9-0109217호(파일 기초 시공 시스템 및 방법) 선행기술 2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38453호(파일 인양용 기구) 선행기술 3 :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15986호(회수 가능한 복합말뚝용 인양구 및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매립공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파일을 와이어로 인양후 케이싱 안에 근입시 와이어가 케이싱안으로 말려 들어가서 파일과 케이싱 사이에 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는, 지층에 삽입된 케이싱에 근입되는 파일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는 몸체; 및 상기 파일에 묶여진 파일 인양용 와이어와 결속하는 와이어 결속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의 내경은 상기 파일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파일이 근입되는 케이싱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몸체의 외경은 상기 케이싱의 내경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결속부는,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상기 파일에 묶여진 파일 인양용 와이어에 연결된 고리가 결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와이어 결속부는, 상기 몸체의 바깥쪽 둘레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의 안쪽 둘레는 상기 파일의 바깥쪽 둘레의 형상과 동일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파일은 콘크리트 파일, 강관 파일, 복합 파일, 스마트 파일, 및 이엑스티(EXT)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따른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은, 파일 인양용 와이어가 묶여지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와이어 해체 기구가 상기 와이어의 묶여진 위치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을 인양하여 지층에 삽입된 케이싱에 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와이어 해체 기구는 상기 케이싱에 근입되는 파일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는 몸체, 및 상기 파일에 묶여진 파일 인양용 와이어와 결속하는 와이어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내경은 상기 파일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파일이 근입되는 케이싱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몸체의 외경은 상기 케이싱의 내경보다 크다.
그리고, 상기 근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파일의 낙하에 의해, 상기 파일에 묶여진 와이어가 해당 파일과 함께 낙하하여 상기 와이어 해체 기구의 몸체와 부딪히게 되고, 부딪힌 힘에 의해 상기 와이어가 해당 파일로부터 해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르면, 파일을 와이어로 인양후 케이싱 안에 근입시 파일의 일부를 감싸고 있는 와이어 해체 기구가 파일에 묶여진 와이어를 파일로부터 자동으로 해체하므로, 파일과 케이싱 사이의 와이어 협착을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해, 종래에는 협착된 와이어를 제거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였으나, 본 발명에서는 그러한 수고를 할 필요가 없게 된다.
그에 따라, 후속 공정을 신속하게 진행할 수 있어서, 파일 시공에 소요되는 전체적인 시간과 노력을 대폭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작업이 한층 용이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의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와 파일 및 케이싱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내지 도 13은 도 4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들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의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와 파일 및 케이싱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10)(이하에서는, 와이어 해체 기구라고 함)는 몸체(12), 및 와이어 결속부(14)를 포함한다.
몸체(12)는 링 형상과 같이 중앙부가 비어 있다. 즉, 몸체(12)는 중공(中空)의 형상을 취한다. 몸체(12)에는 지반에 삽입된 케이싱(30)에 근입되는 파일(20)이 끼워지는데, 해당 파일(20)의 바깥쪽 둘레가 끼워진다. 실제 작업에서는 작업자가 해당 와이어 해체 기구(10)를 잡고 몸체(12)가 파일(20)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작업할 것이다.
이때, 파일(20)이 몸체(12)에 잘 끼워지기 위해서(즉, 몸체(12)가 파일(20)의 바깥쪽 둘레를 잘 감싸기 위해서)는, 몸체(12)의 안쪽 둘레는 파일(20)의 바깥쪽 둘레의 형상과 동일해야 할 것이다. 즉, 몸체(12)의 안쪽 둘레와 파일(20)의 바깥쪽 둘레가 소정의 간격(2 ~ 4mm 정도)으로 면대면 대응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파일(20)이 원통 형상, 사각형의 통 형상, 육각형의 통 형상이라면 몸체(12)의 안쪽 둘레도 그에 상응하는 형상이어야 할 것이다. 물론, 케이싱(30)도 파일(20)과 동일한 형상이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몸체(12)의 바깥쪽 둘레(외주)는 해당 몸체(12)의 안쪽 둘레의 형상과 동일해도 되고 동일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와이어 결속부(14)는 중앙부에 구멍(14a)이 형성된다. 와이어 결속부(14)에는 파일(20)의 상부에 올가미 형식으로 묶여진 와이어가 고리(도시 생략)를 통해 결속된다. 즉, 후크 형태의 고리(도시 생략) 또는 볼트 체결가능한 고리(도시 생략)가 구멍(14a)을 통해 와이어 결속부(14)에 결속된다.
여기서, 와이어 결속부(14)는 몸체(12)의 바깥쪽 둘레에 형성된다. 도 1에서는 와이어 결속부(14)를 몸체(12)의 바깥쪽 둘레에 하나만 형성시킨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 와이어 결속부(14)는 몸체(12)의 바깥쪽 둘레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파일(20)을 와이어로 인양후 케이싱(30) 안에 근입할 때 파일(20)의 상부에 묶여진 와이어가 케이싱(30) 안으로 말려 들어가서 파일(20)과 케이싱(30) 사이에 협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므로, 와이어 해체 기구(10)의 몸체(12)의 내경(a)은 파일(20)의 외경(b)보다 크고 케이싱(30)의 내경(c)보다는 작아야 할 것이다. 또한, 몸체(12)의 외경(d)은 케이싱(30)의 내경(c)보다 커야 된다. 이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예를 들어, 몸체(12)의 내경(a)은 파일(20)의 외경(b) + 2~4mm 정도일 수 있고, 한편, 몸체(12)의 외경(d)은 케이싱(30)의 외경보다 크거나 같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예를 들어, 와이어 해체 기구(10)의 재질은 강철 또는 그에 준하는 강도, 내열성 등을 지닌 것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채용되는 파일(20)은 콘크리트 파일, 강관 파일, 복합 파일, 스마트 파일(예컨대, 콘크리트 파일의 하단부에 강관을 부착시킨 파일), 이엑스티(EXT) 파일(예컨대, 선단지지력을 확보하기 위해 구성된 파일) 등이 될 수 있다. 그리고, 예를 들어, 파일(20)의 직경(즉, 외경)은 400mm 이상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는 직경 400mm 이하의 파일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5 내지 도 13은 도 4의 설명에 채용되는 도면들이다.
먼저, 도 5에서와 같이 파일 인양용 와이어(16)가 올가미 형태로 묶여진 파일(20)을 준비한다(S10). 이때, 통상적으로 마심을 채용한 와이어(16)를 사용한다. 와이어(16)는 파일(20)의 상부에 2회 이상 권선되는데, 겹쳐지도록 권선될 것이다. 그리고, 파일(20)은 와이어 해체 기구(10)에 끼워지고, 와이어(16)의 일단은 고리(18)를 통해 와이어 해체 기구(10)의 와이어 결속부(14)에 결속된다. 즉, 작업자는 와이어 해체 기구(10)가 파일(20)의 외주면(바깥쪽 둘레의 면)의 일부를 환형으로 감싸도록 한다. 그리고, 작업자는 파일(20)의 상부에 묶여진 와이어(16)의 일단을 와이어 해체 기구(10)의 와이어 결속부(14)에 결속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작업자는 와이어 해체 기구(10)가 파일(20)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도록 한 후에, 해당 파일(20)의 상부에 파일 인양용 와이어(16)를 묶고, 와이어(16)와 와이어 해체 기구(10)의 와이어 결속부(14)를 상호 결합시킨다. 도 5에서는 와이어 해체 기구(10)의 와이어 결속부(14)가 하나인 것으로 보여지지만, 현재 보여지고 있는 와이어 결속부(14)의 반대편 위치에도 또 하나의 와이어 결속부(14)가 있을 수 있다.
이후, 지반 굴착 장비에 구성된 상부 오거(auger)에 스크류(40)를 장착하고, 하부 오거에 케이싱(30)을 장착하고 나서, 도 6에서와 같이 굴진을 수행한다(S20). 이 경우, 스크류(40)는 케이싱(30)의 내부에서 수직으로 이동할 수 있게 위치한다. 그리고, 케이싱(30)의 하단에는 지반(50)에 대한 천공작업이 용이하도록 특수강으로 처리된 링비트(도시 생략)가 설치되어 있다. 도 6에서의 굴진시 케이싱(30)의 회전 방향과 스크류(40)의 회전 방향은 상호 반대이다. 예를 들어, 스크류(40)가 정회전을 수행하면서 해당 지반(50)을 굴착하여 천공하게 되고, 케이싱(30)은 스크류(40)의 회전 방향과는 반대의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해당 지반(50)을 굴착하여 천공하게 된다. 이때, 스크류(40)를 통해 에어(air)가 공급되고, 굴착되는 굴착 토사는 스크류(40)에 얹혀져서 지상으로 배출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필요한 깊이로 지반(50)이 천공되면 즉, 지지층(60)에까지 굴진을 하게 되면 굴진을 완료하고 에어 서징(air surging)을 수행한다(S30). 여기서, 지반(50)과 지지층(60)은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지층에 속하는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
그리고 나서, 도 8에서와 같이 스크류(40)를 통해 1차적으로 시멘트 페이스트(cement paste)(70)를 주입하면서 해당 스크류(40)를 인발하여, 도 9에서와 같이 스크류 인발을 완료한다(S40, S50).
이와 같이 스크류 인발이 완료된 이후에는, 도 10에서와 같이 파일 인양용 와이어(16)가 묶여지고 와이어 해체 기구(10)가 바깥쪽 둘레를 감싸고 있는 파일(20)을 크레인 등의 인양 수단(80)을 이용하여 인양한다(S60). 이때, 와이어(16)는 파일(20)의 상부에 묶여져 있고, 와이어 해체 기구(10)는 파일(20)의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인양된 파일(20)을 케이싱(30)의 내부로 근입시킨다(S70). 즉, 도 11에서와 같이 파일(20)의 하부가 인양 수단(80)에 의해 케이싱(30)의 내부로 근입되고 나면 인양 수단(80)에서는 와이어(16)를 잡고 있는 브레이크를 풀게 된다. 그에 따라, 파일(20)의 자중에 의해 해당 파일(20)이 케이싱(30)의 내부로 낙하하게 된다.
파일(20)이 낙하하게 되면, 파일(20)에 묶여진 와이어(16)도 파일(20)과 함께 낙하하게 된다. 그래서, 파일(20)에 묶여진 와이어(16)는 와이어 해체 기구(10)의 몸체(10)와 부딪히게 되고, 그 부딪힌 힘에 의해 와이어(16)가 파일(20)로부터 자동으로 해체(이탈)된다. 이때, 몸체(12)의 외경(d)은 케이싱(30)의 내경(c)보다 크기 때문에, 와이어 해체 기구(10)가 케이싱(30)의 내부로 들어가지 않고 케이싱(30)의 상부면에 그대로 위치하게 될 것이다.
이와 같은 와이어(16)의 자동 해체(이탈)는 와이어 해체 기구(10)의 몸체(12)의 내경(a)이 파일(20)의 외경(b)보다 크고 케이싱(30)의 내경(c)보다는 작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에 의해, 파일(20)을 와이어(16)로 인양후 케이싱(30) 안에 근입할 때 파일(20)의 상부에 묶여진 와이어(16)가 케이싱(30) 안으로 말려 들어가서 파일(20)과 케이싱(30) 사이에 협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파일(20)이 케이싱(30)의 내부에 완전히 근입하게 되면 도 12에서와 같은 상태가 될 수 있다. 즉, 도 12에서와 같이 파일(20)만이 케이싱(30) 내부에 완전히 근입되고, 자동 해체된 와이어 해체 기구(10) 및 와이어(16)는 케이싱(30)의 상부면에 얹혀진다.
이후, 케이싱(30) 상부면의 와이어 해체 기구(10)와 와이어(16)를 치운 후에, 도 13에서와 같이 케이싱(30)을 인발한다(S80). 케이싱 인발시 파일 인양용 와이어(16)는 이미 파일(20)로부터 이탈되어 있으므로, 케이싱(30) 인발이 매우 용이해진다. 이때, 2차적으로 시멘트 페이스트 주입이 수행될 것이다. 도 13에서, 미설명 부호 90은 큐션재이다.
케이싱 인발이 완료되면 파일 경타 작업이 수행될 것이지만, 이에 대해서는 별도로 도면으로 도시하지 않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일 먼저 와이어 해체 기구(10)와 결합된 파일(20)을 준비하는 것으로 하였으나, 파일(20)을 준비하는 단계는 파일(20)을 인양하는 단계(S60) 이전까지만 수행되면 된다. 따라서, 파일(20)을 준비하는 단계는 파일(20)을 인양하는 단계(S60) 이전이라면 어느 단계에 있어도 무방하다.
이상에서와 같이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가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 한정이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와이어 해체 기구 12 : 몸체
14 : 와이어 결속부 16 : 와이어
20 : 파일 30 : 케이싱
40 : 스크류 50 : 지반
60 : 지지층 70 : 시멘트 페이스트
80 : 인양 수단 90 : 큐션재

Claims (7)

  1. 지층에 삽입된 케이싱에 근입되는 파일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되 상기 파일의 바깥쪽 둘레의 상부에 묶여진 파일 인양용 와이어보다는 하부에 위치하고, 중앙부가 비어 있는 단일의 몸체; 및
    상기 파일에 묶여진 파일 인양용 와이어와 결속하는 와이어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내경은 상기 파일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파일이 근입되는 케이싱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몸체의 외경은 상기 케이싱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파일의 낙하에 의해 상기 파일 인양용 와이어가 해당 파일과 함께 낙하하여 상기 몸체와 부딪히게 되고, 부딪힌 힘에 의해 상기 파일 인양용 와이어가 해당 파일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결속부는,
    중앙부에 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구멍에는 상기 파일에 묶여진 파일 인양용 와이어에 연결된 고리가 결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 결속부는,
    상기 몸체의 바깥쪽 둘레에 형성되고, 하나 이상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안쪽 둘레는 상기 파일의 바깥쪽 둘레의 형상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파일은 콘크리트 파일, 강관 파일, 복합 파일, 스마트 파일, 및 이엑스티(EXT) 파일 중에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6. 파일 인양용 와이어가 묶여지고 상기 와이어에 연결된 와이어 해체 기구가 상기 와이어의 묶여진 위치보다 하부에 위치하는 파일을 준비하는 단계; 및
    상기 파일을 인양하여 지층에 삽입된 케이싱에 근입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 해체 기구는 상기 케이싱에 근입되는 파일의 바깥쪽 둘레를 감싸되 상기 파일의 바깥쪽 둘레의 상부에 묶여진 상기 파일 인양용 와이어보다는 하부에 위치하고 중앙부가 비어 있는 단일의 몸체, 및 상기 파일 인양용 와이어와 결속하는 와이어 결속부를 포함하고,
    상기 몸체의 내경은 상기 파일의 외경보다 크고 상기 파일이 근입되는 케이싱의 내경보다는 작고, 상기 몸체의 외경은 상기 케이싱의 내경보다 크고,
    상기 근입시키는 단계는, 상기 파일의 낙하에 의해 상기 파일 인양용 와이어가 해당 파일과 함께 낙하하여 상기 와이어 해체 기구의 몸체와 부딪히게 되고, 부딪힌 힘에 의해 상기 파일 인양용 와이어가 해당 파일로부터 해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일 시공 방법.
  7. 삭제
KR1020160012093A 2016-02-01 2016-02-01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KR1016566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093A KR101656696B1 (ko) 2016-02-01 2016-02-01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2093A KR101656696B1 (ko) 2016-02-01 2016-02-01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696B1 true KR101656696B1 (ko) 2016-09-12

Family

ID=569504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2093A KR101656696B1 (ko) 2016-02-01 2016-02-01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69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16U (ko) 2017-01-11 2018-07-19 김민규 건축용 파일의 인양와이어 해체 장치
KR20220143223A (ko) * 2021-04-15 2022-10-25 삼성물산 주식회사 Phc 파일용 안전양중걸이대 및 이를 이용한 phc 파일의 안전 시공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771A (ko) * 2001-10-27 2001-11-28 이정 강관 말뚝 인양용 기구
KR20090109217A (ko) 2008-04-15 2009-10-20 윤재근 파일 기초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101038453B1 (ko) 2010-11-02 2011-06-01 이규철 파일 인양용 기구
KR20110097487A (ko) * 2010-02-25 2011-08-31 이규철 고도 제한에 대응 가능한 파일 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415986B1 (ko) 2013-05-28 2014-07-08 (주)파일테크 회수 가능한 복합말뚝용 인양구와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매립공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104771A (ko) * 2001-10-27 2001-11-28 이정 강관 말뚝 인양용 기구
KR20090109217A (ko) 2008-04-15 2009-10-20 윤재근 파일 기초 시공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97487A (ko) * 2010-02-25 2011-08-31 이규철 고도 제한에 대응 가능한 파일 시공 장치 및 그 방법
KR101038453B1 (ko) 2010-11-02 2011-06-01 이규철 파일 인양용 기구
KR101415986B1 (ko) 2013-05-28 2014-07-08 (주)파일테크 회수 가능한 복합말뚝용 인양구와 이를 이용한 복합말뚝 매립공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02216U (ko) 2017-01-11 2018-07-19 김민규 건축용 파일의 인양와이어 해체 장치
KR20220143223A (ko) * 2021-04-15 2022-10-25 삼성물산 주식회사 Phc 파일용 안전양중걸이대 및 이를 이용한 phc 파일의 안전 시공 방법
KR102539561B1 (ko) * 2021-04-15 2023-06-08 삼성물산(주) Phc 파일용 안전양중걸이대 및 이를 이용한 phc 파일의 안전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932544B2 (ja) 支持杭の施工方法
EP2141286A1 (en) Spiral steel pipe pile
KR101447080B1 (ko) 비틀림 손상 방지 및 좌굴 방지 구조의 헬리컬 파일 및 그 시공방법
JP6329590B2 (ja) 杭施工管理方法
US20220127812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fastening a composite pole to the ground
KR101656696B1 (ko) 파일 인양용 와이어를 해체하는 기구 및 이를 이용한 파일 시공 방법
KR20160025180A (ko)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JP2010255300A (ja) 地中残存杭の引抜き工法及び同工法に使用する治具
KR101414756B1 (ko) 비용접 결합된 케이싱
KR20170002355A (ko) Phc 파일 인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phc 파일 인발 방법
KR100721786B1 (ko) 연약지반을 보강하면서 앵커ㆍ네일을 시공하는 방법
KR101051428B1 (ko) 건설공사용 말뚝 및 인장부재를 위한 천공 확대 콘크리트물의 보강구조물
KR101672359B1 (ko) 지반 보강용 앙카 파일 시공방법
KR101248393B1 (ko) 지중에 매설된 콘크리트 파일 인발 공법 및 인발구
JP2009046832A (ja) 基礎用杭装置、それに用いられる縦連結手段並びに基礎用杭の打ち込み設置方法
JP2009263966A (ja) 既設杭の撤去方法
JP2645888B2 (ja) 地中アンカー設置方法
JP6336850B2 (ja) 基礎杭の杭頭部補強工法
JP4858843B2 (ja) 塔状構造物基礎の補強構造および塔状構造物基礎の補強方法
KR101500087B1 (ko) 기존 건물과 일체 거동을 위한 기초슬래브의 보강 공법 및 보강 구조
CN212612451U (zh) 一种高压旋喷扩大头锚杆结构
KR101360614B1 (ko) 고강도 강관을 이용한 선단확장형 중굴 공법
KR101759879B1 (ko) 회전 관입 말뚝 유니트, 회전 관입 말뚝 및 이의 시공 방법
KR101715348B1 (ko) 스크류파일의 시공장치
KR102113859B1 (ko) 두부보강수단을 이용한 파일 및 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0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