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517B1 -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 Google Patents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517B1
KR101656517B1 KR1020140055984A KR20140055984A KR101656517B1 KR 101656517 B1 KR101656517 B1 KR 101656517B1 KR 1020140055984 A KR1020140055984 A KR 1020140055984A KR 20140055984 A KR20140055984 A KR 20140055984A KR 101656517 B1 KR101656517 B1 KR 1016565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ing member
main body
protrusion
hole
storage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559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28489A (ko
Inventor
이선갑
Original Assignee
동양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양케미칼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양케미칼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0559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517B1/ko
Publication of KR201501284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284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5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5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10Preserving with acids; Acid ferment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Packages (AREA)

Abstract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보다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하면 중 일부에 접촉되며,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체결부재의 외곽선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는 누름장치가 개시된다.

Description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PRESSING DEVICE AND STORING SYSTEM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에 관련된다.
주거문화의 변화에 따라, 실내에서도 김치 등을 장기간 보관하고자 하는 요구가 대두되었고, 이러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각종 형태의 김치냉장고들이 출시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김치냉장고에 김치를 수납하거나 꺼내는 과정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부들도 손쉽게 운반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진 김치통들이 다양한 형태로 출시되고 있다.
한편, 김치 등의 발효식품들은 김치국물 등의 액체 내에 완전히 잠겨 있어야만 발효작용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액체 내에 잠기지 않은 상태로 장시간 유지된 식재료들은 향미가 크게 저하되거나, 심한 경우 부패되기도 한다.
게다가, 김치 등의 식재료를 김치통 등의 저장용기에 최초로 담을 때에는 모든 부분이 액체에 잠겼다 할지라도, 장시간 발효가 지속됨에 따라, 발효과정에서 발생되는 기체 등에 의하여 식재료 자체 또는 식재료의 위치가 부풀어 올라 액체 외부로 노출되는 경우도 빈번하게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저장용기 내에서 식재료를 눌러주는 기술적 수단들이 특허문헌1 및 특허문헌2 등을 통해 제안되기도 하였다.
대한민국특허공개 제2009-0066748호 대한민국실용신안공개 제2010-0006163호
누름장치가 식재료를 누르는 용도로 사용된다는 점을 고려하면, 저장용기 내에서 견고하게 지지력을 유지할 수 있으면서도 고정 또는 제거의 편의성이 확보되어야 할 뿐만 아니라, 저렴한 비용으로 구현될 수 있어야 한다.
예컨데, 지지력이나 사용 편의성은 일부 확보된다 할지라도, 구조가 복잡한 경우 등 대량생산에 적합하지 않다면 제조원가가 지나치게 높아지게 된다. 이렇게 제조원가가 상승되면 일반 가정에서 손쉽게 활용되기 어려워질 수 있다.
이러한 사항을 고려하여 창안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사출공정 등 대량생산이 가능한 방식으로 저렴하게 제조될 수 있으면서도 충분한 지지력과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는,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보다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하면 중 일부에 접촉되며,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체결부재의 외곽선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본체부에는 제1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에는 제2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기부가 구비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는, 상기 본체부에는 제1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에는 제2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제2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제1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3 관통공이 구비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저장 시스템은, 전술한 누름장치; 및 상기 누름장치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저장용기;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면에 상기 돌출부가 접촉되게 상기 누름장치가 삽입되어 상기 누름장치가 고정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는 저장용기 내부에서 손쉽게 고정 및 제거될 수 있으면서도 저렴한 원재료로 대량생산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일반 가정에서도 경제적으로 큰 추가 부담 없이 김치등의 식재료를 안정적으로 보관할 수 있게 되며, 누구나 손쉽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는 유용한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는 체결부재에 의하여 실링부재가 본체부에 견고하게 결합되므로 실링부재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다.
도 4a는 도 3의 A 부분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확대 단면도이다.
도 4b는 도 4a의 변형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의 사용상태도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와 저장용기의 밀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기술 등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함과 더불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된 것이다. 한편,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 등의 용어들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도시의 간략화 및 명료화를 위해, 도면은 일반적 구성 방식을 도시하고, 공지된 특징 및 기술에 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도면의 구성요소는 반드시 축척에 따라 그려진 것은 아니다. 예컨대, 본 발명의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해 도면의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는 다른 구성요소에 비해 과장될 수 있다. 서로 다른 도면의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내고,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유사한 참조부호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낼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제1", "제2", "제3" 및 "제4" 등의 용어는, 만약 있는 경우, 유사한 구성요소 사이의 구분을 위해 사용되며, 반드시 그렇지는 않지만 특정 순차 또는 발생 순서를 기술하기 위해 사용된다. 예컨데,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시퀀스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함이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마찬가지로, 방법이 일련의 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 기술되는 경우, 기술된 단계의 순서는 반드시 그러한 단계가 실행될 수 있는 순서인 것은 아니며, 기술된 임의의 단계가 생략되거나, 여기에 기술되지 않은 임의의 다른 단계가 그 방법에 부가될 수 있다.
명세서 및 청구범위의 "왼쪽", "오른쪽", "앞", "뒤", "상부", "바닥", "위에", "아래에" 등의 용어는, 만약 있다면, 설명을 위해 사용되는 것이며, 반드시 불변의 상대적 위치를 기술하기 위한 것은 아니다. 그와 같이 사용되는 용어는 여기에 기술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예컨대, 여기에 도시 또는 설명된 것이 아닌 다른 방향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적절한 환경하에서 호환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된 용어 "연결된"은 전기적 또는 비 전기적 방식으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접속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여기서 서로 "인접하는" 것으로 기술된 대상은, 그 문구가 사용되는 문맥에 대해 적절하게, 서로 물리적으로 접촉하거나, 서로 근접하거나, 서로 동일한 일반적 범위 또는 영역에 있는 것일 수 있다. 여기서 "일 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존재는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동일한 실시예를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효과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의 저면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단면도이고, 도 4a는 도 3의 A 부분을 개략적으로 예시한 확대 단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변형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의 사용상태도이며,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의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와 저장용기의 밀착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는 크게 본체부(110), 실링부재(120) 및 체결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누름장치(100)는 저장용기(200) 내부로 삽입되어, 저장용기(200) 내부의 소정의 위치에 고정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저장용기(200) 내부에 김치 등의 식재료가 담겨 있는 상태에서 누름장치(100)로 식재료를 눌러줄 수 있으며, 그 결과 식재료가 액체 내부로 완전히 잠겨진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므로 식재료가 외부로 노출됨에 따른 전술한 문제점들이 해결될 수 있다.
먼저, 본체부(110)는 트라이탄 코폴리에스터(Tritan Copolyester) 등 다양한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본체부(110)를 포함하여 누름장치(100) 전체는 사람이 섭취하는 식재료에 접촉되는 바, 인체에 유해한 물질을 배출할 수 있는 재질로는 구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식재료들 중 김치나 장아찌 등의 경우 다량의 염분을 포함하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일부 제품에 적용되고 있었던 엘라스토머의 경우, 염분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경화되거나 유해한 물질이 생성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밀착력이나 밀폐력이 저하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를 구현하는 재료로써는 적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체부(110)는 각종 합성수지로 사출성형 공정을 수행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본체부(110)는 저장용기(200) 내부 저장공간의 수평단면 형상과 대응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이때, 저장용기(200)가 상광하협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 즉, 저장용기(200)의 바닥면 방향으로 갈수록 수평단면적이 감소되는 경우라면, 누름장치(100)가 삽입될 수 있는 최대 깊이에서의 저장용기(200)의 수평단면적보다 작은 수평단면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부(110)는 대체적으로 판 형상을 이룰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에는 저장용기(200)가 육면체 형상을 이루며, 누름장치(100)가 직사각형 판 형상을 이루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지만, 저장용기(200)나 누름장치(100)가 원판, 타원판, 삼각판, 다각판 등 다양한 형상을 이룰 수 있음은 자명하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을 중심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 및 저장 시스템을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예시된 형상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본체부(110)는 누름장치(100)에서 일종의 골조 역할을 수행하는 바, 후술할 실링부재(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경도가 높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저장용기(200) 및 본체부(110)가 직접 접촉될 경우에는, 본체부(110)가 저장용기(200) 내부로 삽입되더라도 특정 높이에서만 견고하게 고정되고, 다른 높이에서는 헐겁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식재료의 상부면이 전술한 특정 높이에 맞춰지지 않을 경우에는 식재료들을 충분한 지지력으로 누를 수 없다. 또한, 저장용기(200) 및 본체부(110)가 직접 접촉되도록 형성된다면, 저장용기(200)가 상광하협 형상이 아닌 경우에는 누름장치(100)의 삽입이 불가능하거나, 충분한 지지력에 의하여 고정되기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에 구비되는 실링부재(120)는 본체부(110) 보다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져 본체부(110)의 하면에 결합된다. 특히, 실링부재(120)는 본체부(110)를 포함하는 누름장치(100)가 저장용기(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바, 본체부(110)의 하면 중에서도 본체부(110)의 외곽영역에 위치하는 하면에 실링부재(120)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실링부재(120)를 이루는 유연성이 큰 재질로써 실리콘 등을 들 수 있다.
종래의 일부 제품에 적용되고 있었던 엘라스토머의 경우, 염분에 장시간 노출됨에 따라 경화될 수 있다. 그런데, 김치나 장아찌 등 저장되는 식재료들이 염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엘라스토머가 포함된 종래의 누름수단들은 김치 등을 장기간 보관함에 따라 경화현상이 심화되어 저장용기와의 밀착력이나 밀폐력 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는 염분에 강한 재질들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데, 실리콘은 인체에 대한 악영향이 거의 없는 물질이면서도 폴리프로필렌 등의 합성수지에 비하여 유연성이 크고 소정의 탄성력도 가지는 바, 실링부재(120)를 구현하는 재질로 적합하다. 또한, 실리콘은 엘라스토머에 비하여 염분에 의한 경화 현상이나 유해물질 배출 현상 등이 거의 발생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실링부재(120)를 구현하는 재질로써 적합하다.
한편, 실링부재(120)의 외주부가 본체부(110)와 저장용기(200) 사이에 위치되어 지지력 확보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실링부재(1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외곽부 형상에 대응되는 일종의 띠 형상을 이루는 것 만으로도 그 기능을 다할 수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서는 본체부(110)처럼 넓은 면적 전체가 채워진 판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음으로, 체결부재(130)는 실링부재(120)가 본체부(11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실링부재(12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체결부재(130)는 실링부재(120)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10)의 외곽부 형상에 대응되는 일종의 띠 형상을 이룰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130)는 실링부재(120)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유연성이 작은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데, 체결부재(130)는 본체부(110)와 동일 내지 유사한 특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출성형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사출성형에 의하여 본체부(110)와 체결부재(130)가 각각 제조되고, 별도의 공정으로 제조된 실링부재(120)를 본체부(110)와 체결부재(130) 사이에 고정시켜 누름장치(100)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다.
사출성형 공정의 특성상, 물성이 크게 상이한 두 재질을 동시에 사출하여 성형품을 제조하는 것은 어렵다. 예컨데, 폴리프로필렌과 엘라스토머의 경우와 같이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중사출이 거의 불가능하다. 특히, 앞서 본체부(110)의 재질로 예시된 트라이탄 코폴리에스터 및 실링부재(120)의 재질로 예시된 실리콘의 경우, 현재 의 기술수준으로써는 이중사출이 불가능하다. 참고로, 폴리프로필렌과 엘라스토머가 이중사출되어 누름수단을 구현할 경우, 엘라스토머의 휘어짐 현상으로 주름이 형성됨에 따라 누름수단과 용기 사이에 다수의 틈이 생성되어 충분한 지지력이 발생되지 못한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염분 등으로 인한 엘라스토머의 경화현상에 따른 밀착력이나 밀폐력 저하 문제도 발생될 수 있다.
한편, 본체부에 실링부재가 단순히 결합된 방식으로 누름장치를 구현하게 되면 실링부재가 저장용기에 접촉된 상태에서 누름장치를 상승 또는 하강 시키는 과정에서 실링부재가 저장용기로부터 벗겨지거나 이탈되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는 본체부(110)와 체결부재(130) 사이에 실링부재(120)를 구비함으로써 실링부재(120)가 본체부(110)과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이하에서는 도 4a 등을 참조하여 본체부(110), 실링부재(120) 및 체결부재(130)의 결합관계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4a를 참조하면, 본체부(110)의 외곽부에는 제1 관통공(111)이 구비되고, 실링부재(120)에는 제2 관통공(121)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130)에는 제1 돌기부(131)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관통공(111) 및 제2 관통공(121) 내측으로 제1 돌기부(131)가 삽입됨으로써 본체부(110), 실링부재(120) 및 체결부재(130)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본체부(110)에는 제1 돌기(112)가 구비되고, 제1 관통공(111)은 제1 돌기(112)의 중심부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관통공(121)은 제1 돌기(112)가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관통공(121) 내측면과 제1 돌기(112)의 외측면이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체결부재(130)의 제1 돌기부(131)는 제1 돌기(112)의 중심부에 구비되는 제1 관통공(111)에 삽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관통공(111)의 내측면과 제1 돌기부(131)의 외측면이 긴밀하게 밀착됨으로써 결합력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 이때, 제1 돌기(112)가 구비되고, 제1 관통공(111)이 제1 돌기(112) 중심부에 형성될 경우, 제1 돌기(112)가 없는 경우에 비하여 제1 관통공(111)의 깊이가 더 깊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돌기부(131)와 제1 관통공(111) 사이의 접촉면적이 상대적으로 증가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본체부(110)와 체결부재(130), 더 나아가 이 둘 사이에 구비되는 실링부재(120)가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일실시예에서, 제1 돌기부(131)의 외면, 즉, 제1 관통공(111)과 접하는 면에 제1 볼록부(131-1)가 더 구비되고, 제1 관통공(111)에는 제1 볼록부(131-1)에 대응되는 제1 오목부(111-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체부(110)와 체결부재(130)가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며, 그 결과 실링부재(120)가 누름장치(110)에 더욱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게다가, 이러한 제1 볼록부(131-1) 및 제1 오목부(111-1)를 구비함으로써, 실링부재(120)와 본체부(110) 또는 실링부재(120)와 체결부재(130) 사이에 이물질이 침투되는 현상을 최소화 할 수 있다. 예컨데, 실링부재(120)의 적어도 일부가 본체부(110)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에서 실링부재(120)의 저면이 제1 돌기(112)의 저면 보다 하부에 위치되도록 실링부재(120)의 두께를 설정한 경우를 가정하면, 체결부재(130)를 실링부재(120)의 하부에서 본체부(110)를 향하여 상승시키면서 본체부(110)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실링부재(120)를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실링부재(120)는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고 전술한 바 있는데, 탄성력 또한 본체부(110)나 체결부재(130) 보다 큰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링부재(120)가 초기상태 보다 압축된 상태로 본체부(110)와 체결부재(130) 사이의 공간에 끼워지는 결합이 구현될 수 있으므로, 실링부재(120) 자체의 탄성력에 의하여 실링부재(120)와 본체부(110) 사이 및 실링부재(120)와 체결부재(130) 사이가 더욱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다만, 본체부(110)와 체결부재(130) 사이의 결합이 이러한 실링부재(120)의 탄성력을 온전히 받아낼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확보되기 위해서는 제1 관통공(111) 내면과 제1 돌기부(131) 외면의 마찰력 만으로는 부족할 수 있으며, 이렇게 부족한 결합력을 제1 볼록부(131-1) 및 제1 오목부(111-1)의 결합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실링부재(120)와 본체부(110) 사이 및 실링부재(120)와 체결부재(130) 사이를 더욱 밀착시키기 위하여 가압부(133)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가압부(133)가 체결부재(130)에 구비된 경우만 예시하였으나, 가압부(133)는 본체부(110) 및 체결부재(13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누름장치(100) 외부의 이물질이 실링부재(120)와 본체부(110) 사이 또는 실링부재(120)와 체결부재(130) 사이로 유입되는 현상이 감소될 수 있다.
한편, 실링부재(120)에 제2 돌기(122)가 구비되고, 제2 돌기(122) 중심부에 제2 관통공(121)이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돌기(112) 외주변에는 요홈(113)이 구비되어 제2 돌기(122)가 삽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실링부재(120)와 본체부(110) 사이의 결합력이 더 향상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체부(110)에 실링부재(120)를 결합한 뒤 체결부재(130)를 결합하는 순차적인 공정이 좀더 효율적으로 수행될 수 있게 된다.
일실시예에서, 실링부재(120)의 일부는 본체부(110)의 외곽선(115) 및 체결부의 외곽선(115) 외측으로 돌출되어 돌출부(129)를 이룰 수 있다. 이 돌출부(129)가 저장용기(200)와 본체부(110) 또는 저장용기(200)와 체결부재(130) 사이에 끼워짐으로써 누름장치(100)가 충분한 지지력을 구현할 수 있도록 저장용기(200)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실링부재(120)는 충분한 유연성 및 탄성력을 가지는 바, 사용자가 누름장치(100)를 누르거나 당길 경우, 누름장치(100)가 저장용기(200)로 손쉽게 삽입되거나 저장용기(200)로부터 손쉽게 분리될 수 있다. 물론, 이때 사용자가 누름장치(100)에 제공하는 힘은 김치 등의 식재료가 발효됨에 따라 팽창되는 힘에 비해서는 커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자가 누름장치(100)를 누르거나 당기는 과정을 좀더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본체부(110)에 손잡이(118)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누름장치(100)는 김치 등의 식재료가 김치국물 등의 액체 내부에 완전히 잠겨 있도록 식재료를 누르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므로, 식재료를 제외한 공기나 액체는 누름장치(100) 하부에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체부(110)의 적어도 일부에는 소구경의 통공(119)들이 적어도 한개 이상 구비될 수 있다. 누름장치(100) 하부에 존재하는 불필요한 기체 또는 액체는 이렇게 구비된 통공(119)을 통해 누름장치(100) 상부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에는 전술한 통공(119)이 구비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렇게 통공(119)이 구비되지 않은 누름장치(100)는, 저장용기(200)에 긴밀하게 결합됨으로써 누름장치(100) 하부와 저장용기(200) 내부면으로 이루어지는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다만, 이렇게 밀폐될 경우에는, 저장용기(200) 내부에서 누름장치(100)를 하강시키거나 상승시키는 동작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공기의 압력이 강하게 작용하여 누름장치(100)의 이동이 곤란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 등에 예시된 바와 같이 감압부(117) 및 감압마개(117-1)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감압부(117)가 개방된 상태에서 누름장치(100)를 이동시키게 되면 공기의 압력에 의한 이동의 불편함이 완화될 수 있다. 또한, 누름장치(100)의 위치가 설정된 이후에는 감압마개(117-1)로 감압부(117)를 폐쇄함으로써 밀폐도를 높일 수 있다.
도 4b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에서 본체부(110), 실링부재(120) 및 체결부재(130)의 결합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도 1 내지 4b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100)는, 본체부(110)에 제2 돌기부(114)가 구비되고, 실링부재(120)에 제2 관통공(121)이 구비되며, 체결부재(130)에 제3 관통공(132)이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제2 돌기부(114)의 외측면은 제2 관통공(121)의 내측면 및 제3 관통공(132)의 내측면과 긴밀하게 접촉됨으로써 결합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실링부재(120)에 제2 돌기(122)가 구비되고, 본체부(110)에 요홈(113)이 구비되어 제2 돌기(122)가 요홈(113) 내로 삽입될 수도 있는데, 이에 따라, 제2 돌기부(114)가 제2 관통공(121)과 접촉하는 면적이 증가되어 결합력 향상에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다.
나머지 사항은 도 4a를 참조하여 전술한 내용과 유사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도 2의 부호 116은 지지부(116)를 나타낸다.
도 4a 내지 도 4b 등에 예시된 제1 돌기(112) 등이 본체부(110)의 전체에 걸쳐 구비되는 수량은 필요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돌기(112) 등이 많이 구비될수록 본체부(110)와 체결부재(130) 사이의 결합력은 향상될 수 있는 반면, 누름장치(100)를 조립하는 조립공정의 효율은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본체부(110)의 면적 등을 고려하여 소정의 결합력을 구현하는 최소한의 수량으로 제1 돌기(112) 등을 구비함으로써 결합력과 제조 효율성을 모두 충족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렇게 제조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제1 돌기(112) 등을 소량으로 구비할 경우, 인접된 제1 돌기(112)들 사이의 공간은 비어 있게 되는데, 이러한 빈 공간에 의하여 실링부재(120)가 충분한 지지력을 제공받지 못할 위험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본체부(110)에서, 제1 돌기(112) 들 사이의 영역에 지지부(116)를 구비함으로써 실링부재(120)가 견고하게 지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지지부(116)는, 실링부재(120)와 본체부(110) 또는 실링부재(120)와 체결부재(130) 사이에 유입되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5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저장 시스템은 전술한 누름장치(100) 및 저장용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용기(200)는 일반적인 김치통 형상과 유사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저장용기(200) 내부에는 김치 등의 식재료가 담겨지는 저장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저장용기(200)는 상광하협 형상이거나 상부 및 하부의 너비가 동일한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상부의 너비와 하부의 너비 사이의 차이가 과도하게 클 경우 누름장치(100)가 고정될 수 있는 범위가 감소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저장용기(200)에는 별도의 덮개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덮개의 상부 또는 저장용기(200)의 측면부에 별도의 손잡이부(도시되지 않음)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도 6a를 참조하면, 누름장치(100)가 저장용기(200) 내부로 삽입됨에 따라 돌출부(129)가 저장용기(200)에 접촉된 상태에서 누름장치(100)가 하강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장치(100)를 누르는 힘이 제거되면, 본체부(110)와 저장용기(200) 사이에 위치되는 실링부재(120)의 돌출부(129)에 의하여 누름장치(100)가 견고하게 고정된다.
도 6b를 참조하면, 저장용기(200) 내부에 고정되어 있던 누름장치(100)를 사용자가 잡아당기게 되면 실링부재(120)의 돌출부(129)의 휘어진 상태가 반전되면서 누름장치(100)가 저장용기(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도 6c를 참조하면, 특히 A로 표시한 부분을 주목하면, 저장용기(200)의 모서리부 및 그 모서리 부분의 양단으로 이어지는 면들에 실링부재(120)의 돌출부(129)가 긴밀하게 밀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도면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누름장치의 실링부재는 종래의 다른 유사제품들과 달리 각진 모서리 부분이 형성된 저장용기에 삽입되더라도 모서리 부분을 포함하는 전체 면과 긴밀하게 밀착될 수 있는 것이다.
100 : 누름장치 110 : 본체부
111 : 제1 관통공 111-1 : 제1 오목부
112 : 제1 돌기 113 : 요홈
114 : 제2 돌기부 114-1 : 제2 볼록부
115 : 외곽선 116 : 지지부
117 : 감압부 117-1 : 감압마개
118 : 손잡이 119 : 통공
120 : 실링부재 121 : 제2 관통공
122 : 제2 돌기 129 : 돌출부
130 : 체결부재 131 : 제1 돌기부
131-1 : 제1 볼록부 132 : 제3 관통공
133 : 가압부 200 : 저장용기

Claims (4)

  1.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보다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고, 돌출부를 포함하여 일체로 이루어지며, 상기 돌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본체부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하면 중 일부에 접촉되며,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돌출부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체결부재의 외곽선 외측으로 돌출되는 누름장치.
  2.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보다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하면 중 일부에 접촉되며,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체결부재의 외곽선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제1 관통공이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에는 제2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제1 관통공 및 상기 제2 관통공 중 적어도 하나의 내측으로 삽입되는 돌기부가 구비되는
    누름장치.
  3. 합성수지 재질로 이루어지는 본체부;
    상기 본체부 보다 유연성이 큰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본체부의 하면 중 적어도 일부에 결합되는 실링부재; 및
    상기 실링부재의 하면 중 일부에 접촉되며, 상기 실링부재가 상기 본체부에 고정되도록 상기 실링부재를 지지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되,
    상기 실링부재는 상기 본체부 및 상기 체결부재의 외곽선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본체부에는 제1 돌기부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부재에는 제2 관통공이 구비되며,
    상기 체결부재에는 상기 제2 관통공을 통과한 상기 제1 돌기부가 삽입되는 제3 관통공이 구비되는
    누름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누름장치; 및
    상기 누름장치가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는 내부공간이 구비된 저장용기;
    를 포함하되,
    상기 저장용기의 내부면에 상기 돌출부가 접촉되게 상기 누름장치가 삽입되어 상기 누름장치가 고정되는
    저장 시스템.
KR1020140055984A 2014-05-09 2014-05-09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KR1016565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984A KR101656517B1 (ko) 2014-05-09 2014-05-09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55984A KR101656517B1 (ko) 2014-05-09 2014-05-09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489A KR20150128489A (ko) 2015-11-18
KR101656517B1 true KR101656517B1 (ko) 2016-09-12

Family

ID=548390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55984A KR101656517B1 (ko) 2014-05-09 2014-05-09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6517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642B1 (ko) * 2013-06-19 2014-04-04 주식회사 이평에프앤씨 누름 락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071072B2 (en) 1999-10-08 2011-12-06 Hoffmann-La Roche Inc. Cytotoxicity mediation of cells evidencing surface expression of CD44
KR20070104042A (ko) * 2006-04-21 2007-10-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가압장치 및 이를 갖춘 식품용기
KR20090066748A (ko) 2007-12-20 2009-06-2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김치용기용 누름판
KR101430721B1 (ko) * 2012-09-24 2014-08-18 안병석 식품 보관용 밀폐용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81642B1 (ko) * 2013-06-19 2014-04-04 주식회사 이평에프앤씨 누름 락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저장 용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28489A (ko) 2015-1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289B1 (ko) 식품용 냉동용기
CN113525897A (zh) 化妆品的可置换的包装装置以及相关的壳体
KR200478674Y1 (ko) 식품 저장 용기
US20180099789A1 (en) Auto-open compact container
JP2023051857A (ja) 化粧品用再充填可能な容器装置のためのケーシングおよび関連する容器装置
KR101656517B1 (ko) 누름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저장 시스템
US11077980B2 (en) Vacuum-sealed container
KR102083111B1 (ko) 패킹 구조
KR101306572B1 (ko) 반찬용기 보관케이스
KR101880461B1 (ko) 탈기장치
JP2005008250A (ja) 食品包装容器
US20170313481A1 (en) Lid of fermented beverage container
KR101252474B1 (ko) 진공용기
KR20160133081A (ko) 밀폐용기
KR20080043932A (ko) 음식물 보관용 밀폐용기
KR20100125050A (ko) 보관용기
KR20160016011A (ko) 다중 밀폐기능이 구비된 기밀용기
KR101763015B1 (ko) 화장품 용기
KR200478706Y1 (ko) 식품 용기용 체크 밸브장치
KR200276487Y1 (ko)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과 그 성형장치
KR200490689Y1 (ko) 제조와 세척이 용이한 서로 다른 음식물을 보관하는 음식물보관용기
KR970002138Y1 (ko) 일회용 다용도 식품포장용기
AU2018211267B2 (en) Container system
KR20150021836A (ko) 식품 저장용기
KR20160032615A (ko) 식품 누름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