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76487Y1 -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과 그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과 그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76487Y1
KR200276487Y1 KR2020020004415U KR20020004415U KR200276487Y1 KR 200276487 Y1 KR200276487 Y1 KR 200276487Y1 KR 2020020004415 U KR2020020004415 U KR 2020020004415U KR 20020004415 U KR20020004415 U KR 20020004415U KR 200276487 Y1 KR200276487 Y1 KR 20027648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cking
lid
sealing
molding
support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2000441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샘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샘
Priority to KR202002000441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76487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27648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76487Y1/ko

Links

Abstract

본 고안은 국, 밥 김치 등과 같은 각종 식품을 담아 사용하기 위하여 주로 사발이나 유리재의 식품보관용기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 일체형 밀폐 뚜껑과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공지의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10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을 구성하는 뚜껑본체(110)의 지지관(112)으로는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116)이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지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러한 밀폐뚜껑(100)을 성형하기 위한 장치는, 상기 뚜껑(100)의 뚜껑본체(110)와 지지관(112)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 측 및 가동 측 형틀(210)(220)과, 상기 지지관(112)의 외주면 둘레로 패킹 융착홈(114)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활 형성된 슬라이드 코어(230)로 이루어진 일차 성형틀 (200) 및; 상기 일차 성형된 뚜껑본체(110)의 지지관(112)으로 형성된 패킹 융착홈(114)으로 밀폐를 위한 패킹(116)을 일체로 이차 사출 성형하기 위한 고정 측 및 가동 측 형틀(310)(320)과 상기 가동 측 형틀(320)과 더불어 패킹 성형자리(340)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활 형성된 슬라이드 코어(330)로 이루어진 이차 성형틀(300)로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과 그 성형장치{Sealing cover integrated with a packing and a molding apparatus therefor}
본 고안은 국, 밥 김치 등과 같은 각종 식품을 담아 사용하기 위하여 주로 사발이나 유리재로 형성되는 식품보관용기를 덮어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 일체형 밀폐 뚜껑과 그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각종 식품을 담아 보관 사용하는 용기로는 식품을 위생적으로 담아 밀폐 사용하기 위한 뚜껑이 덮여지고, 식품보관용기의 재질이나 대소의 차이에 따라 그 뚜껑의 밀폐 구조는 매우 다양하다.
하지만, 밥이나 국, 김치 등과 같은 음식물을 간편하게 담아 사용하기 위한 사발이나 유리용기와 같은 경우에는 용기본체나 뚜껑에 고정편과 개폐편으로 이루어진 체결수단의 설치가 불가능하기 때문에 주로 뚜껑의 하부로 설치된 실리콘재의 밀폐용 패킹을 이용하여 용기를 덮어 밀폐시키는 구조를 주로 채택하고 있다.
도1 및 도2는 종래 주로 사용되고 있는 식품보관용기의 밀폐 뚜껑(1) 구조가 도시되어 있는 바.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은, 프라스틱으로 사출 성형되는 뚜껑본체(10)의 중앙 하부로는 통기공(11)이 형성된 소정 길이의 지지관(12)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고, 이 지지관(12)의 하단 외주면으로는 패킹 삽설홈(14)을 형성하기 위한 한 조의 돌출테(16)가 일체로 형성된 것이며, 상기 패킹 삽설홈(14)으로는 별도로 사출된 실리콘재의 패킹(18)을 탄성 끼움하여 공지의 용기(20)를 덮어밀폐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뚜껑(1)을 용기(20)에 밀폐 결합시 도2와 같이 지지관(12)의 패킹 삽설홈(14)에 결합된 패킹(18)의 가장자리가 용기(20)의 내주면과 접촉되어져 휘어지면서 밀폐 결합되어 지는 것이다.
그러나 도1 및 도2에 도시된 종래 뚜껑(1)의 경우에는 실리콘 재로 사출 성형되는 패킹(18)이 지지관(12)의 패킹 삽설홈(14)에 별도로 삽설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유연성 재질인 패킹의 결합력 약화 현상으로 인하여 패킹(18)이 패킹 삽설홈(14)으로부터 자주 이탈되는 현저한 문제 발생과 더불어 패킹(18)의 이탈로 인한 분실 우려 등 패킹으로서의 기능을 재대로 수행하지 못하였던 것이다.
더욱이, 패킹(18)의 두께가 얇아 지지관(12)의 패킹 삽설홈(16)에 탄성적으로 결합된다 하더라도 뜨거운 국물과 같은 음식물의 밀폐시 열기와의 접촉에 의해 탄성력은 더욱 이완되어지는 것이며, 탄성력의 잦은 이완 현상에 의해 패킹(18)의 결합력을 점차적으로 상실될 수밖에 없는 것이다.
또한, 뚜껑(1)의 패킹 삽설홈(14)에 삽설 지지된 패킹(18)의 틈새로 각종 음식물이나 습기의 유입으로 인한 세균의 증식 우려가 있기 때문에 뚜껑(1)의 관리에 세심한 주의가 필요하게 되고, 청결이나 소독 등 관리를 게을리 하는 경우에는 비 위생적일 수밖에 없는 것이다.
한편 상기한 종래 뚜껑(1) 구조와 유사한 구조가 대한민국 실용신안공개 제99-39404호의 사발 덮개가 있으나, 이 고안 역시 이미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종래 뚜껑(1) 구조와 동일한 문제를 갖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종래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밀폐뚜껑에 대하여 패킹을 이중 사출로 일체 성형하여 줌으로서 사용시 결합력 약화로 인한 분리 이탈 문제 및 각종 세균의 증식 문제를 동시에 해결할 수 있도록 한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 및 그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1은 종래 분리형 패킹 구조를 갖는 밀폐뚜껑의 분리 사시도;
도2는 종래 고안에 밀폐뚜껑의 사용상태 측 단면도;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일체형 패킹이 형성된 밀폐 뚜껑의 측 단면도;
도4a, 도4b, 도4c는 본 고안에 따른 패킹 일체형 밀폐 뚜껑을 성형하기 위한 일차 성형틀의 닫힘, 성형 및 분리 상태를 각각 보인 단면도;
도5a, 도5b, 도5c는 본 고안에 따른 일차 사출물인 뚜껑본체에 패킹을 이차로 일체 성형하기 위한 이차 성형틀의 닫힘, 성형 및 분리 상태를 각각 보인 단면도;
도6은 본 고안에 따른 뚜껑을 이용하여 용기를 밀폐시키는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100: 밀폐 뚜껑 110: 뚜껑본체
112: 지지관 114: 패킹 융착홈
116: 패킹 200, 300: 일차 및 이차 성형틀
210, 310: 고정측 형틀 220, 320: 가동측 형틀
230, 330: 슬라이드 코어 340: 패킹 성형자리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은, 뚜껑본체의 지지관으로는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이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진 점에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을 제조하기 위한 성형장치의 특징은, 뚜껑본체와 지지관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 측 및 가동 측 형틀과, 상기 지지관의 외주면 둘레로 패킹 융착홈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활 형성된 슬라이드 코어로 이루어진 일차 성형틀 및; 상기 일차 성형된 뚜껑본체의 패킹 융착홈으로 패킹을 일체로 이차 사출 성형하기 위한 고정 측 및 가동 측 형틀과 상기 가동 측 형틀과 더불어 패킹 성형자리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활 형성된 슬라이드 코어로 이루어진 이차 성형틀로 이루어진 점에 있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3은 본 고안에 따른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100)의 구조를 보인 측 단면도로서,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뚜껑(100)은 뚜껑본체(110)의 중앙 하부로 지지관(112)이 일체로 연장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관(112)의 하단 외주면으로는 용기의 밀폐 기능을 하는 패킹(116)이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융착 형성된 구성이다.
본 고안에 있어서, 패킹(116)은, 그 소재가 일반적으로 실리콘 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에서 패킹(16)이 일체로 융착 성형되는 것임을 감안하면 뚜껑본체(110)와 동일 재질이거나 또는 이를 대체할 수 있는 다른 소재의 사용도 가능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패킹(116)은 후술되는 각 성형장치들에 의해 도3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은 패킹 융착홈(114)에 대하여 일체로 융착 성형되는 것이다.
그리고 패킹(116)의 가장자리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장자리를 향해 얇아지게 형성하여 용기에 밀폐 결합시 보다 양호한 유연성이 발휘 되도록 구성할 수 있으나, 특별히 특정의 형상에 제한될 필요는 없다.
도4는 본 고안에 따른 패킹 일체형 뚜껑(100)을 성형하기 위한 일차 성형틀(200)의 구성을 계략적으로 보인 측 단면도로서, 도4a는 패킹(116)을 제외한 뚜껑본체(110)와 지지관(112) 및 패킹 융착홈(114)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차 성형틀이 닫혀 있는 상태이고, 도4b는 각 형틀의 공간으로 사출물이 쏘아진 상태의 측 단면도이고, 도4c는 패킹 융착홈(114)의 성형이 완료되어 일차 성형틀이 개방된 상태의 분리 측 단면도이다.
먼저 도4a와 같이 뚜껑본체(11)와 지지관(112)을 형성하기 위하여 일차 성형틀(200)의 고정측 형틀(210)과 가동측 형틀(220)을 각각 닫아주되 이들 사이로는 소정 깊이의 패킹 융착홈(114)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활 형성된 슬라이드 코어(230)를 각각 닫아준다.
그런 다음 도4b와 같이 게이트(240)를 통해 해당 형틀(210, 220) 및 슬라이드 코어(230)에 의해 형성된 각 사출 공간으로 사출물을 쏘아주면 패킹(118)을 제외한 뚜껑본체(110)의 성형이 일차로 완료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사출물을 냉각시킨 후 도4c와 같이 각 형틀(210, 220) 및 슬라이드 코어(230)을 열어 뚜껑본체(110)를 분리시키면 지지관(112)의 외주면으로 소정 깊이의 패킹 융착홈(114)이 일차 성형되어지는 것이다.
여기서 패킹(116)의 융착홈(114)은, 이중 사출시 패킹(116)의 확실한 융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깊이가 깊을 필요는 없으며, 패킹(116)의 융착에 알맞은 정도의 깊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4c와 같이 뚜껑본체(110)의 일차 성형이 완료되면 일차 성형틀(200)을 상호 형개하여 일차 사출이 완료된 뚜껑본체(110)를 분리해 낸다.
그러면 뚜껑본체(110)의 지지관(112)으로는 이후 설명 될 패킹 융착홈(114)이 형성된 상태로 일차 사출이 완료되어지는 것이다.
한편 일차 성형이 완료된 뚜껑본체(110)는, 다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은 이차 성형틀(300)에 의해 패킹(116)을 일체로 이차 사출 성형하는 바, 이에 대하여 도5a, 도5b, 도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정 측 및 가동 측 형틀(310)(320)사이에 일차 사출물인 뚜껑본체(110)를 개재하고, 이어 패킹 성형자리(340)를 형성하기 위한 분활 형태의 슬라이드 코어(330)를 동시에 닫아 준다.
이러한 상태에서 도시되지 않은 공지의 게이트를 통해 상기 패킹 성형자리(340)로 패킹 소재물을 쏘아주면 도5b와 같이 패킹 소재물은 지지관(112)으로 형성된 패킹 융착홈(116)과 더불어 이차 성형틀(300)의 패킹 성형자리(340)로 채워지면서 사출열에 의해 일체로 융착 성형되어지는 것이다.
그리고 도5c와 같이 패킹(116)을 일체로 융착시키기 위한 이중 사출이 완료된 후 이차 성형틀(300)의 고정 측 및 가동 측(310)(320) 및 슬라이드 코어(330)를 열어주면 결국 뚜껑본체(110)의 지지관(112)으로 형성된 패킹 융착홈(114)에 패킹(116)이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융착 형성된 뚜껑(100)을 얻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4a, 도4b, 도4c의 일차 성형틀(200)에 의해 뚜껑본체(110)의 지지관(112) 외주면으로 패킹 융착홈(114)을 일차로 사출 성형하고, 도5a, 도5b, 도5c의 이차 성형틀(300)의 패킹 성형자리(340)와 더불어 상기 패킹 융착홈(114)에 대하여 패킹(116)을 일체로 융착하기 위한 이차 사출 단계를 통해 각종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100)에 일체형의 패킹(116)이 이중 사출로 성형되어 지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에 있어서, 패킹 일체형 뚜껑(100)을 사출 성형함에 따른 1 및 2차 성형틀(200)(300)은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뚜껑본체(110) 및 패킹(116)을 일체로 이중 사출하기에 알맞도록 가열되고 또한 냉각되는 구조가 채용되어 있음은 물론이고, 이러한 성형틀의 적정한 가열 및 냉각 구조는 동 기술분야에서는 주지 관용된 기술에 불과한 것이어서 도면의 도시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본 고안에 있어서, 이중 사출로 뚜껑본체(110)에 일체로 융착 성형되는 패킹(116)의 형태는 밀폐되는 용기의 형태나 크기에 따라 다양한 두께와 형태로 자유로운 사출이 가능하게되고, 패킹(116)이 패킹 융착홈(114)에 대하여 사출 성형시 일체로 융착되기 때문에 사용도중 분리될 염려가 전혀 없게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도6과 같이 용기(400)의 개구부를 덮어 밀폐하더라도 뚜껑(100)에 일체로 이중 사출된 패킹(116)의 분리 염려 없이 항상 안심하고 사용 할 수 있게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 따르면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한 뚜껑에 패킹이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융착 성형되기 때문에 사용도중 패킹이 뚜껑본체로부터 분리되거나 헐거워져 빠질 염려 및 분실의 우려가 전혀 없으므로 패킹으로서의 기능이 확실하게 보장될 뿐 아니라, 또한 종래와 같이 패킹의 설치에 따른 틈새의 미 발생으로 인해 각종 세균의 증식우려도 전혀 없어 위생적이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 것이다.
비록 본 고안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을 지라도 하기의 등록청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많은 수정 및 변경이 있을 수도 있다. 예컨대 본 고안에 도시된 뚜껑(100)은 하나의 예시로서 그 이외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Claims (2)

  1. 공지의 용기를 밀폐하는 뚜껑(100)을 형성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을 구성하는 뚜껑본체(110)의 지지관(112)으로는 용기를 밀폐시키기 위한 패킹(116)이 이중 사출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
  2. 공지의 용기를 밀폐하는 패킹 일체형 뚜껑(100)의 성형장치를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뚜껑(100)의 뚜껑본체(110)와 지지관(112)을 형성하기 위한 고정 측 및 가동 측 형틀(210)(220)과, 상기 지지관(112)의 외주면 둘레로 패킹 융착홈(114)을 형성하기 위하여 분활 형성된 슬라이드 코어(230)로 이루어진 일차 성형틀 (200)및;
    상기 일차 성형된 뚜껑본체(110)의 지지관(112)으로 형성된 패킹 융착홈(114)으로 밀폐를 위한 패킹(116)을 일체로 이차 사출 성형하기 위한 고정 측 및 가동 측 형틀(310)(320)과 상기 가동 측 형틀(320)과 더불어 패킹 성형자리(340)를 형성하기 위하여 분활 형성된 슬라이드 코어(330)로 이루어진 이차 성형틀(30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의 성형장치.
KR2020020004415U 2002-02-14 2002-02-14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과 그 성형장치 KR20027648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415U KR200276487Y1 (ko) 2002-02-14 2002-02-14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과 그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20004415U KR200276487Y1 (ko) 2002-02-14 2002-02-14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과 그 성형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7909A Division KR100452480B1 (ko) 2002-02-14 2002-02-14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의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76487Y1 true KR200276487Y1 (ko) 2002-05-24

Family

ID=73117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4415U KR200276487Y1 (ko) 2002-02-14 2002-02-14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과 그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7648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442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새샘 일체형 패킹을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및 그 일체형 패킹성형방법
WO2023027470A1 (ko) * 2021-08-23 2023-03-02 주식회사 이지텍 이중사출성형을 통한 오링과 마개 동시 제작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5442A (ko) * 2002-10-22 2004-04-29 주식회사 새샘 일체형 패킹을 갖는 밀폐용기용 뚜껑 및 그 일체형 패킹성형방법
WO2023027470A1 (ko) * 2021-08-23 2023-03-02 주식회사 이지텍 이중사출성형을 통한 오링과 마개 동시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600820B1 (en) Methods of overmolding softer material with harder material to manufcataure a moisture tight container assemblies having an integraded lid
KR100830370B1 (ko) 밀폐용기의 뚜껑
EP3774261B1 (en) Methods of overmolding softer material with harder material and moisture tight container assemblies made by the methods
JP2005193980A (ja) 食品保存用容器
JP2007126214A (ja) 真空弁作動式の密閉容器蓋
US20050199260A1 (en) Cosmetic packaging, typically a compact, with magnetic closer
KR101252567B1 (ko) 밀폐 용기
KR100452480B1 (ko)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의 성형장치
KR200276487Y1 (ko) 패킹 일체형 밀폐뚜껑과 그 성형장치
JP3163511U (ja) キャップ付きボトル
KR101682293B1 (ko) 이물질의 끼임 방지와 다단적층이 가능한 밀폐용기
KR100999937B1 (ko) 식품보관용 이중 접합용기
KR100597955B1 (ko) 플라스틱용기
KR101820201B1 (ko) 감염성 폐기물용 밀폐용기
WO2018129813A1 (zh) 气垫粉盒
KR101240030B1 (ko) 밀폐용기용 뚜껑
KR200395480Y1 (ko) 용기용 밀폐덮개
KR20000006942U (ko) 식품용기 뚜껑의 밀폐구조
EP1820746B1 (en) Improved lid for containers
KR100440784B1 (ko) 뚜껑을 밀폐 결합시킬 수 있는 비합성수지제 음식물보관용기
KR20110010176U (ko) 밀폐용 식품 용기
KR200304855Y1 (ko) 뚜껑을 밀폐 결합시킬 수 있는 비합성수지제 음식물보관용기
KR200321917Y1 (ko) 밀폐용기 커버
KR200419790Y1 (ko) 밀폐용기
KR20090006656U (ko) 비 합성수지 밀폐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U107 Dual application of utility model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514

Year of fee payment: 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