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6042B1 -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 - Google Patents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6042B1
KR101656042B1 KR1020160029426A KR20160029426A KR101656042B1 KR 101656042 B1 KR101656042 B1 KR 101656042B1 KR 1020160029426 A KR1020160029426 A KR 1020160029426A KR 20160029426 A KR20160029426 A KR 20160029426A KR 101656042 B1 KR101656042 B1 KR 1016560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plate
moving
cutting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9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정규
임형택
김태경
박병호
허원녕
조현상
Original Assignee
앤스코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스코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앤스코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29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6042B1/ko
Priority to PCT/KR2016/003440 priority patent/WO2017155151A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60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60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1/00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 B26D1/01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 B26D1/12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 B26D1/14Cutting through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r movement of the cutting member or particula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Cutting members therefor involving a cutting member which does not travel with the work having a cutting member moving about an axis with a circular cutting member, e.g. disc cut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3/00Cutting work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cut made; Apparatus therefor
    • B26D3/08Making a superficial cut in the surface of the work without removal of material, e.g. scoring, incis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7/00Vibration-testing of structures; Shock-testing of structures
    • G01M7/08Shock-test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00Investigating strength properties of solid materials by application of mechanical stress
    • G01N3/62Manufacturing, calibrating, or repairing devices used in investigations covered by the preceding subgroup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upports For Pipes And Cables (AREA)
  • Sa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인지지판(110)과,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하면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되는 다수의 메인지주(120)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다수의 메인지주(120)의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밀착롤러(200); 상기 메인지지판(1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이동가이드(310)와, 상기 이동가이드(310)의 하면에 결합되며 하면에 개구된 개구부(321)가 형성된 이동케이스(320)를 포함하는 이동프레임(300); 및 상기 이동케이스(320)의 내부에 결합되는 절삭모터(410)와, 상기 개구부(321)에 힌지 결합되는 절삭축(420)과, 상기 절삭축(420)과 절삭모터(410)의 구동축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기어 결합되는 제1절삭기어(430) 및 제2절삭기어(440)와, 상기 절삭축(420)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321)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절삭날(450)을 포함하는 절삭유닛(40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이드(3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절삭기어(430)의 회동에 의해 연동 회동되는 절삭날(450)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밀착되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을 절삭하여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노치를 생성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NOTCH MAKING APPARATUS FOR SURFACE OF PIPE AND PLATE}
본 발명은 배관 및 판재 표면에 수동으로 노치를 생성할 수 있는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관 및 판재는 유류 및 가스의 운반수단으로서 거의 모든 현장 및 일반 생활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따라서 배관 및 판재의 생산단계부터 배관 및 판재에 존재하는 결함에 대한 정밀 검사가 필요한데, 배관 및 판재에 존재하는 결함은 시간이 경과에 따라 물리적, 화학적 손상 및 열화, 부식 등의 환경에 의한 배관 및 판재의 균열과 파손을 가속화하여 심각한 경제적, 인적 손실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 중 안전성 검사도 반드시 필요하다.
한편, 배관 및 판재에 인공적으로 노치 등의 결함을 생성시킨 후, 배관 및 판재의 결함 탐상 장치로 배관 및 판재에 존재하는 노치 등의 결함을 탐상시켜 결함 탐상 수행 능력을 평가할 수 있는데, 본 출원인은 배관 및 판재에 인공적으로 노치 등의 결함을 생성시키는 장치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 때, 배관 및 판재에 인공적으로 노치 등의 결함을 생성시키는 장치는 배관 및 판재에 생성되는 노치의 위치와 크기 정밀성, 노치의 가공 간결성 등을 고려하여야 한다.
이와 관련된 기술로서, 한국공개특허 제2011-0109177호는 시편이 안착되는 제1블록; 상기 제1블록과 인접하게 배치되어 시편을 구속하고 시편이 노출되는 절개홀부가 형성되는 제2블록; 상기 제1블록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상기 제1블록과 상기 제2블록이 접합되는 자기력을 제공하는 자성부; 및 상기 절개홀부를 통해 시편에 노치를 가공하는 절삭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격시험 시편용 노치 성형장치가 제시된 적이 있었다.
한국공개특허 제2011-0109177호(2011.10.06)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배관 및 판재 표면에 생성되는 노치의 위치와 크기를 최대한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고 노치 가공을 최대한 간결하게 할 수 있는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는 메인지지판(110)과,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하면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되는 다수의 메인지주(120)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다수의 메인지주(120)의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밀착롤러(200); 상기 메인지지판(1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이동가이드(310)와, 상기 이동가이드(310)의 하면에 결합되며 하면에 개구된 개구부(321)가 형성된 이동케이스(320)를 포함하는 이동프레임(300); 및 상기 이동케이스(320)의 내부에 결합되는 절삭모터(410)와, 상기 개구부(321)에 힌지 결합되는 절삭축(420)과, 상기 절삭축(420)과 절삭모터(410)의 구동축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기어 결합되는 제1절삭기어(430) 및 제2절삭기어(440)와, 상기 절삭축(420)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321)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절삭날(450)을 포함하는 절삭유닛(40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이드(3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절삭기어(430)의 회동에 의해 연동 회동되는 절삭날(450)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밀착되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을 절삭하여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노치를 생성시킨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300)은 상기 이동가이드(310)의 상면을 수평방항으로 관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이동축(330)과, 상기 이동축(330)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동손잡이(350)와, 상기 이동축(3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이동피니언(3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피니언(340)과 기어 결합되는 메인랙기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프레임(300)은 상기 이동피니언(340)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축(330)의 외주면에서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랙기어(130)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에서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피니언(340)과 각각 기어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한 쌍의 메인랙기어(13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T형틀(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밀착롤러(200)는 일면에 원주방향으로 표시되는 밀착눈금(210)과, 상기 밀착눈금(210)의 중심에 결합되는 밀착지침(2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메인지주(120)의 하부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는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 일측 및 타측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며, 배관 또는 판재를 둘러싸서 고정하는 체인(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는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내삽되는 고정피어싱(610)과, 상기 고정피어싱(610)과 연결되며 갈고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체인(500)의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고리(620)를 포함하는 고정걸이(600); 및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 타측에 관통 결합되는 장력볼트(710)와, 상기 장력볼트(71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장력피어싱(720)과, 상기 장력피어싱(720)과 연결되며 갈고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체인(500)의 타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장력고리(730)를 포함하는 장력걸이(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력피어싱(7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장력고리(730)에 걸어진 체인(500)의 타단도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체인(500)이 배관 또는 판재를 둘러싸서 고정하는 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력걸이(700)는 상단이 상기 메인지지판(110)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장력피어싱(720)에 관통되어 상기 장력피어싱(72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력핀(740)과, 상기 장력핀(7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장력피어싱(720)이 상기 장력핀(7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력링(750)과, 상기 장력핀(740)과 장력피어싱(720) 사이에 설치되는 장력컬러(7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는 배관 및 판재 표면에 생성되는 노치의 위치와 크기를 최대한 정밀하게 형성할 수 있고 노치 가공을 최대한 간결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과 절삭 유닛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롤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에 체인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걸이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에 체인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체인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걸이를 나타낸 개략도
이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첨부된 도면을 사용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일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첨부된 도면의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과 절삭 유닛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이동프레임을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밀착롤러를 나타낸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에 체인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고정걸이를 나타낸 확대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에 체인이 더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다른 사시도, 도 9는 도 8에서 체인이 분리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장력걸이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는 메인프레임(100), 다수의 밀착롤러(200), 이동프레임(300), 절삭유닛(400)을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기본몸체로서, 메인지지판(110)과, 메인지주(120)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지지판(110)은 판 구조로 형성되며 수평하게 배치되며, 상기 메인지주(120)는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하면에서 서로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간격 이격되게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다수의 밀착롤러(200)는 상기 다수의 메인지주(120)의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밀착된다.
이 때, 상기 다수의 밀착롤러(200)는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이동프레임(300)은 상기 메인프레임(10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것으로, 이동가이드(310) 및 이동케이스(320)를 포함한다.
상기 이동가이드(310)는 상기 메인지지판(1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며, 상면이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하면이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상기 이동케이스(320)는 상기 이동가이드(310)의 하면에 결합되며 하면에 개구된 개구부(321)가 형성된다.
상기 절삭유닛(400)은 상기 이동프레임(300)에 고정되어 상기 이동프레임(300)의 상하방향 이동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연동 이동하면서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절삭을 수행하여 노치를 생성시키는 것으로, 절삭모터(410), 절삭축(420), 제1절삭기어(430), 제2절삭기어(440) 및 절삭날(450)을 포함한다.
상기 절삭모터(410)는 상기 이동케이스(320)의 내부에 결합된다.
상기 절삭축(420)은 상기 이동케이스(320)의 하면에 형성된 개구부(321)에 수평방향으로 힌지 결합된다.
상기 제1절삭기어(430) 및 제2절삭기어(440)는 상기 절삭축(420)과 절삭모터(410)의 구동축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기어 결합된다.
상기 절삭날(450)은 상기 절삭축(420)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321)의 하측으로 돌출된다.
한편, 상기 제1절삭기어(430)의 기어의 이보다 제2절삭기어(440)의 기어의 이가 더 많게 형성되며, 상기 제2절삭기어(440)가 1회전하는 동안 상기 제1절삭기어(430)가 1회전보다 더 많은 수의 회전을 하게 되어, 상기 제1절삭기어(430)의 회동에 의해 연동 회동되는 상기 절삭축(420)과 절삭날(450)의 회동속도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가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상하방향 절삭을 수행하는 원리는 상기 이동가이드(3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절삭기어(430)의 회동에 의해 연동 회동되는 절삭날(450)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밀착되면서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을 상하방향 소정폭으로 절삭하여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노치를 생성시키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가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수평방향 절삭을 수행하는 원리는 상기 절삭날(450)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밀착되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의 절삭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밀착롤러(2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절삭날(450)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수평방향 절삭이 수행하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는 배관 및 판재 표면에 생성되는 노치의 위치와 크기를 최대한 정밀하게 할 수 있고 노치의 가공을 최대한 간결하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프레임(300)은 이동축(330)과, 이동피니언(34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메인랙기어(1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동축(330)은 상기 이동가이드(310)의 상면을 수평방항으로 관통하여 수평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 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며, 상기 이동손잡이(350)는 상기 이동축(330)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피니언(340)은 상기 이동축(3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피니언 기어다.
상기 메인랙기어(130)는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상기 이동피니언(340)과 기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이동피니언(340)은 상기 메인랙기어(130)을 따라 상하방향으로 좀 더 정교하게 수동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이동프레임(300)은 상기 이동피니언(340)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축(330)의 외주면에서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랙기어(130)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에서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피니언(340)과 각각 기어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한 쌍의 메인랙기어(13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T형틀(14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상기 메인랙기어(130)가 한 쌍으로 구성되고, 상기 이동피니언(340)도 한 쌍으로 구성되는데, 이 때, 상기 T형틀(140)은 상기 한 쌍의 메인랙기어(130)을 서로 연결하여 상기 한 쌍의 메인랙기어(130)가 뒤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밀착롤러(200)는 일면에 원주방향으로 표시되는 밀착눈금(210)과, 상기 밀착눈금(210)의 중심에 결합되는 밀착지침(2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메인지주(120)의 하부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가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수평방향 절삭을 수행하는 원리를 다시 설명하면, 상기 절삭날(450)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밀착되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의 절삭을 수행하는 상태에서 상기 밀착롤러(200)를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절삭날(450)도 수평방향으로 이동되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수평방향 절삭을 수행하게 되는데, 상기 밀착롤러(200)가 회동한 원주방향 거리가 상기 절삭날(450)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수평방향 절삭을 수행한 수평방향 폭이 된다.
이에 따라, 상기 밀착롤러(200)가 회동한 원주방향 거리를 상기 밀착눈금(210)과 밀착지침(220)을 이용하여 측정하면 상기 절삭날(450)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수평방향 절삭을 수행한 수평방향 폭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밀착롤러(200)는 상기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따른 밀착력을 자유롭게 조절되도록 다양한 크기의 직경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는 체인(5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체인(500)은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 일측 및 타측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며, 배관 또는 판재를 둘러싸서 고정한다.
상기 체인(500)은 상기 절삭날(450)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을 절삭하는 동안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는 고정걸이(600) 및 장력걸이(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정걸이(600)는 고정피어싱(610)과 고정고리(620)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피어싱(610)은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내삽된다. 이때,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 일측에는 상기 고정피어싱(610)에 대응하는 홈이 형성되어 상기 고정피어싱(610)이 내삽될 수 있다.
상기 고정고리(620)는 상기 고정피어싱(610)과 연결되며 갈고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체인(500)의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장력걸이(700)는 장력볼트(710), 장력피어싱(720), 장력고리(730)를 포함한다.
상기 장력볼트(710)는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 타측에 상하방향으로 관통 결합된다.
상기 장력피어싱(720)은 상기 장력걸이(700)의 기본몸체로서, 상기 장력볼트(71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된다.
상기 장력고리(730)는 상기 장력피어싱(720)과 연결되며 갈고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체인(500)의 타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된다.
이때, 상기 장력피어싱(7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장력고리(730)에 걸어진 체인(500)의 타단도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체인(500)이 배관 또는 판재를 둘러싸서 고정하는 장력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장력걸이(700)는 장력핀(740), 장력링(750), 장력컬러(7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장력핀(740)은 상단이 상기 메인지지판(110)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장력피어싱(720)에 관통되어 상기 장력피어싱(72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한다.
상기 장력링(750)은 상기 장력핀(7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장력피어싱(720)이 상기 장력핀(7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장력컬러(760)는 상기 장력핀(740)과 장력피어싱(720)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장력핀(740)과 장력피어싱(720) 간에 발생하는 마찰력을 좀 더 높여서 상기 장력피어싱(720)의 상하방향 이동속도를 저감하는 역할을 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0 : 본 발명에 따른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
100 : 메인프레임
110 : 메인지지판
120 : 메인지주
130 : 메인랙기어
140 : T형틀
200 : 밀착롤러
210 ; 밀착눈금
220 : 밀착지침
300 : 이동프레임
310 : 이동가이드
320 : 이동케이스
321 : 개구부
330 : 이동축
340 : 이동피니언
350 : 이동손잡이
400 : 절삭유닛
410 : 절삭모터
420 : 절삭축
430 : 제1절삭기어
440 : 제2절삭기어
450 : 절삭날
500 : 체인
600 : 고정걸이
610 : 고정피어싱
620 : 고정고리
700 : 장력걸이
710 : 장력볼트
720 : 장력피어싱
730 : 장력고리
740 : 장력핀
750 : 장력링
760 : 장력컬러

Claims (7)

  1. 메인지지판(110)과,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하면에서 서로 일정간격 이격되게 돌출되는 다수의 메인지주(120)를 포함하는 메인프레임(100);
    상기 다수의 메인지주(120)의 하부에 각각 힌지 결합되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밀착되는 다수의 밀착롤러(200);
    상기 메인지지판(11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관통되는 이동가이드(310)와, 상기 이동가이드(310)의 하면에 결합되며 하면에 개구된 개구부(321)가 형성된 이동케이스(320)를 포함하는 이동프레임(300); 및
    상기 이동케이스(320)의 내부에 결합되는 절삭모터(410)와, 상기 개구부(321)에 힌지 결합되는 절삭축(420)과, 상기 절삭축(420)과 절삭모터(410)의 구동축에 각각 결합되며 서로 기어 결합되는 제1절삭기어(430) 및 제2절삭기어(440)와, 상기 절삭축(420)에 결합되어 상기 개구부(321)의 하측으로 돌출되는 절삭날(450)을 포함하는 절삭유닛(400);을 포함하며,
    상기 이동가이드(310)가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1절삭기어(430)의 회동에 의해 연동 회동되는 절삭날(450)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밀착되어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을 절삭하여 배관 표면 또는 판재 표면에 노치를 생성시키고,
    상기 밀착롤러(200)는, 일면에 원주방향으로 표시되는 밀착눈금(210)과, 상기 밀착눈금(210)의 중심에 결합되는 밀착지침(22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메인지주(120)의 하부에 각각 탈착가능하게 힌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300)은 상기 이동가이드(310)의 상면을 수평방항으로 관통하여 힌지 결합되는 이동축(330)과, 상기 이동축(330)의 일단에 결합되는 이동손잡이(350)와, 상기 이동축(330)의 외주면에 결합되는 이동피니언(340)을 더 포함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에 결합되며 상기 이동피니언(340)과 기어 결합되는 메인랙기어(13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프레임(300)은 상기 이동피니언(340)이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이동축(330)의 외주면에서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메인랙기어(130)가 한 쌍으로 구성되어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에서 서로 수평방향으로 일정간격 이격된 위치에 각각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이동피니언(340)과 각각 기어 결합되며,
    상기 메인프레임(100)은 상기 한 쌍의 메인랙기어(130)의 상단을 서로 연결하는 T형틀(14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는
    일단 및 타단이 각각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 일측 및 타측에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며, 배관 또는 판재를 둘러싸서 고정하는 체인(50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는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 일측에 탈착가능하게 내삽되는 고정피어싱(610)과, 상기 고정피어싱(610)과 연결되며 갈고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체인(500)의 일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고정고리(620)를 포함하는 고정걸이(600); 및
    상기 메인지지판(110)의 상면 타측에 관통 결합되는 장력볼트(710)와, 상기 장력볼트(710)의 하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나사 결합되는 장력피어싱(720)과, 상기 장력피어싱(720)과 연결되며 갈고리 구조로 형성되어 상기 체인(500)의 타단이 탈착가능하게 고정되는 장력고리(730)를 포함하는 장력걸이(70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장력피어싱(720)이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장력고리(730)에 걸어진 체인(500)의 타단도 상하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체인(500)이 배관 또는 판재를 둘러싸서 고정하는 장력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장력걸이(700)는
    상단이 상기 메인지지판(110)에 결합되며 하단이 상기 장력피어싱(720)에 관통되어 상기 장력피어싱(72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는 장력핀(740)과,
    상기 장력핀(740)의 하단에 결합되어 상기 장력피어싱(720)이 상기 장력핀(74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장력링(750)과,
    상기 장력핀(740)과 장력피어싱(720) 사이에 설치되는 장력컬러(76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1000).
KR1020160029426A 2016-03-11 2016-03-11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 KR1016560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26A KR101656042B1 (ko) 2016-03-11 2016-03-11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
PCT/KR2016/003440 WO2017155151A1 (ko) 2016-03-11 2016-04-04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9426A KR101656042B1 (ko) 2016-03-11 2016-03-11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6042B1 true KR101656042B1 (ko) 2016-09-09

Family

ID=569393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9426A KR101656042B1 (ko) 2016-03-11 2016-03-11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656042B1 (ko)
WO (1) WO2017155151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177A (ko) 2010-03-30 2011-10-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충격시험 시편용 노치 가공장치
KR101422729B1 (ko) * 2012-06-21 2014-08-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가공 캐리지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15031Y1 (ko) * 2006-02-16 2006-04-26 홍성돈 파이프절단장치
JP2009166229A (ja) * 2007-12-21 2009-07-30 Nakano Seisakusho:Kk 管切断加工装置
JP2010179384A (ja) * 2009-02-03 2010-08-19 Okano Valve Mfg Co 配管接続部切断装置
KR101508813B1 (ko) * 2012-07-13 2015-04-07 김진홍 파이프 자동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09177A (ko) 2010-03-30 2011-10-06 현대제철 주식회사 충격시험 시편용 노치 가공장치
KR101422729B1 (ko) * 2012-06-21 2014-08-13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파이프 가공 캐리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55151A1 (ko) 2017-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39613A (ko) 배관 용접부의 그라인딩 장치
KR101656042B1 (ko) 배관 및 판재 표면의 노치 생성기
JP6618008B2 (ja) 二軸引張試験用治具
KR102334136B1 (ko) 레일형 자동 초음파 검사장치
DE4439047A1 (de) 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Trennen von Profilen
US20190226839A1 (en) Master disk, master disk mounting method, and master disk removal method
US9957764B2 (en) Cutting apparatus
CN112098439B (zh) 一种用于伽玛射线无损检测的管道安装架
CN210046127U (zh) 一种相贯线切割支架
CN109129198A (zh) 水射流开孔作业方法及开孔系统
CN210269388U (zh) 一种万能试验机
JP2018165706A (ja) 原子炉建屋の解体方法及び装置
CN111272571A (zh) 一种用于钢丝绳检测的使用便捷的拉力试验机
KR101449138B1 (ko) 선재코일 검사장치
CN102809607A (zh) 可伸缩两端内外同步式大型筒节类件超声波自动探伤机
NO174242B (no) Anordning og fremgangsm}te for preparering av r!render ogsammensveising av r!r
KR101900708B1 (ko) 방사능 오염검사 대상 파이프의 절개장치
JPH01281410A (ja) 光ファイバ端面突き合わせ装置
CN107192369B (zh) 一种自动化设备
KR101263751B1 (ko) X선 비파괴 검사용 필름지지장치
KR101525362B1 (ko) 검단기의 원단검사경사틀에 설치되는 원단고정안내장치
KR100473685B1 (ko) 주석도금강판을 표면검사하기 위한 시험재 인발장치
RU157143U1 (ru) Труборез
KR101068968B1 (ko) 핵연료 집합체의 검사장치
KR102030159B1 (ko) 압연 코일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