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476B1 -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476B1
KR101655476B1 KR1020100106342A KR20100106342A KR101655476B1 KR 101655476 B1 KR101655476 B1 KR 101655476B1 KR 1020100106342 A KR1020100106342 A KR 1020100106342A KR 20100106342 A KR20100106342 A KR 20100106342A KR 101655476 B1 KR101655476 B1 KR 101655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tainer
arm head
arm
leaf spr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1063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44827A (ko
Inventor
이진희
김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1063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476B1/ko
Publication of KR201200448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448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04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 B60S1/32Wipers or the like, e.g. scrapers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wiper blade arms or blades
    • B60S1/34Wiper arms; Mountings therefor
    • B60S1/3425Constructional aspects of the arm
    • B60S1/3445Joints between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풍절음을 저감시키고 부품을 단순화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가 소개된다. 이 와이퍼 암 장치는 일단이 피봇축(101)을 매개로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경사부(110) 및 걸림홈부(120)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암헤드(100)와, 일단이 암헤드(100)에 회동핀(210)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와이퍼 블레이드(221)가 연결된 암스트립(220)이 구비되는 리테이너(200)와, 암헤드(100)와 리테이너(200) 사이에 텐션이 제공되도록 일단이 상기 암헤드(100)의 경사부(110) 또는 걸림홈부(12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타단이 리테이너(200)에 고정되는 판스프링(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WIPER ARM APPARATUS FOR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와이퍼 암에서 발생되는 풍절음을 저감시키고 부품 단순화를 통해 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와이퍼 암 장치는 와셔액 탱크에서 펌핑된 와셔액을 윈드실드글라스로 분사하고 와이퍼 암에 의해 회동되는 와이퍼 블레이드를 통해 윈드실드글라스가 닦이도록 하는 구조이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의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와이퍼암은 암헤드(1)의 일단에 피봇축고정공(2)을 형성하고, 암헤드(1)의 타단에 리테이너(3)의 일단을 핀(4)으로 결합하고, 리테이너(3)의 타단에 와이퍼 블레이드(미도시)를 마련된 암스트립(5)을 연결하며, 암헤드(1)와 리테이너(3) 사이에 텐션이 제공되도록 연결후크(7) 및 코일 스프링(6)으로 연결한다.
이러한 와이퍼 암은 암헤드(1)의 일단에 형성한 피봇축 고정공(2)을 카울 패널 등에 지지되는 피봇축(미도시)에 고정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링케이지를 경유하여 피봇축을 회전시킴으로써, 암헤드(1), 리테이너(3), 암스트립(5) 및 와이퍼 블레이드가 좌우 회전하여 윈드실드글라스가 닦이도록 하고, 윈드실드글라스를 닦을 때 암헤드(1)와 리테이너(3) 사이에 연결한 코일스프링(6)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와이퍼 블레이드는 윈드실드글라스에 밀착되어 회전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세차하거나 와이퍼 블레이드를 교환하는 경우, 와이퍼 암은 핀(4)을 기준으로 리테이너(3) 및 암스트립(5)을 대략 윈드실드글라스에서 직각보다 큰 각도로 제쳐서 코일스프링(6)의 탄성 복원력을 억제되도록 한다.
그런데, 종래 와이퍼 암의 경우, 연결후크가 윈드쉴드글라스를 향해 돌출되는 구조로 인해, 와이퍼 암에서 풍절음이 발생되고, 와이퍼 암의 전체 미관이 손상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판스프링을 통해 와이퍼 암의 부품을 단순화하고 주행시 발생되는 풍절음을 저감시킬 수 있는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는, 암헤드, 리테이너 및 판스프링을 포함한다. 이때, 암헤드는 일단이 피봇축을 매개로 차체의 카울 패널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경사부 및 걸림홈부가 연속하여 형성된다. 리테이너는 일단이 상기 암헤드에 회동핀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와이퍼 블레이드가 연결된 암스트립이 구비된다. 판스프링은 상기 암헤드와 리테이너 사이에 텐션이 제공되도록 일단이 상기 암헤드의 경사부 또는 걸림홈부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리테이너에 고정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암헤드의 경사부 및 걸림홈부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갈고리 형태로 굽어지는 후크로 구성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헤드의 경사부는 윈드실드글라스를 향한 상기 판스프링의 텐션이 상기 리테이너에 제공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과, 상기 제1경사면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암헤드의 경사부 및 걸림홈부 사이에는 전환돌기가 돌출 형성되어, 평상시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암헤드의 경사부에 지지되고,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암헤드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은 상기 전환돌기를 넘어 상기 암헤드의 걸림홈부에 걸려 지지된다.
한편, 상기 걸림홈부는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암헤드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제1걸림홈과, 상기 리테이너가 상기 암헤드에 대해 둔각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의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홈으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현저한 효과가 구현될 수 있다.
첫째, 본 발명은 종래 코일스프링의 연결후크 사용에 따른 돌출 구조로 인해 주행시 와이퍼 암에 풍절음이 발생된다는 문제를, 판스프링을 적용하여 해결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둘째, 본 발명은 판스프링을 통해 부품 단순화를 구현함으로써, 제품 원가를 절감하고 와이퍼 암에 사용되는 부품수를 줄일 수 있으며, 나아가 와이퍼 암의 전체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셋째, 본 발명은 판스프링의 단부를 후크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판스프링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여 제품의 작동감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a 및 도 1b는 종래 기술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를 도시한 결합 사시도 및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를 도시한 구성도.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
도 4는 록백 기능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의 작동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A"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도면이며, 도 4는 록백 기능시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와이퍼 암 장치는, 판스프링(300)을 통해 와이퍼 블레이드(221)에 누름압을 제공하는 동시에, 와이퍼 블레이드(221)가 장착된 리테이너(200)를 일정 각도 들어올리는 록백(Lock-Back) 기능을 구현한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와이퍼 암 장치는 암헤드(100), 리테이너(200), 암스트립(220), 와이퍼 블레이드(221) 및 판스프링(300)을 포함한다
암헤드(100)는 윈드실드글라스의 하측에 위치한 차체의 카울 패널에 피봇축(101)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구조로, 해당 일단에 피봇축(101)이 삽입되는 피봇축고정홀(미도시)이 형성된다. 그리고 암헤드(100)의 타단에는 회동핀(210)을 매개로 리테이너(200)가 회동가능하게 연결된다.
특히, 암헤드(100)의 타단에는 해당 외경면을 따라 경사부(110) 및 걸림홈부(120)가 연속하여 형성된다. 경사부(110)는 판스프링(300)의 일단이 탄성 지지되는 지지면을 구성하는데, 보다 상세하게, 제1경사면(110a)과 제2경사면(110b)으로 구성된다.
암헤드(100)의 제1경사면(110a)은 윈드실드글라스를 향한 판스프링(300)의 텐션이 리테이너(200)에 제공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어, 리테이너(200)가 작은 각도로 제쳐지는 경우 약한 텐션이 리테이너(200)에 제공되도록 한다. 제2경사면(110b)은 제1경사면(110a)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어, 리테이너(200)가 큰 각도로 제쳐지는 경우 강한 텐션이 리테이너(200)에 제공되도록 한다.
즉, 리테이너(200)가 작은 각도를 제쳐지는 경우에는, 판스프링(300)의 일단이 제1경사면(110a)에 지지되어 판스프링(300)이 작은 각도로 휘게되므로, 약한 텐션이 리테이너(200)에 제공되고, 리테이너(200)가 큰 각도를 제쳐지는 경우에는 판스프링(300)의 일단이 제2경사면(110b)에 지지되어 판스프링(300)이 큰 각도로 휘게되므로, 강한 텐션이 리테이너(200)에 제공된다.
한편, 암헤드(100)의 걸림홈부(120)는 리테이너(200)가 90도로 제쳐진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것으로, 제2경사면(110b)과 연속하여 배치되며 판스프링(300)의 일단이 걸려 구속되는 홈 형태로 구성된다.
이때, 걸림홈부(120)와 제2경사면(110b) 사이에는 전환돌기(130)가 돌출 형성된다. 이 전환돌기(130)를 기준으로, 전환돌기(130)를 이동하기 전 판스프링(300)의 일단은 경사부(110)에 의해 지지되면서 윈드실드글라스를 향해 판스프링(300)의 텐션이 작용되지만, 전환돌기(130)를 이동한 후 판스프링(300)의 일단은 걸림홈부(120)에 구속되면서 판스프링(300)의 텐션이 작용되지 않는다.
리테이너(200)는 해당 일단이 회동핀(210)을 매개로 암헤드(10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해당 타단에 와이퍼 블레이드(221)가 구비된 암스트립(220)이 연결된다. 그리고 리테이너(200)에는 암헤드(100)에 대해 리테이너(200)를 탄성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판스프링(300)이 고정된다.
판스프링(300)은 암헤드(100)와 리테이너(200) 사이에 텐션이 제공되도록, 해당 일단이 암헤드(100)의 경사부(110) 또는 걸림홈부(12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해당 타단이 리테이너(200)에 리벳볼트(201)를 통해 고정된다.
특히, 판스프링(300)의 일단은 암헤드(100)의 타단에서 이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갈고리 형태로 굽어지는 후크(310)로 구성된다. 따라서, 리테이너(200)를 암헤드(100)에 대해 회동시키는 경우, 판스프링(300)의 일단은 암헤드(100)의 경사부(110) 및 걸림홈부(120)를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걸림홈부(120)는 연속하여 배치되는 제1걸림홈(120a)과 제2걸림홈(120b)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걸림홈(120a)은 리테이너(200)가 암헤드(100)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되는 경우, 판스프링(300)의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홈이고, 제2걸림홈(120b)은 리테이너(200)가 암헤드(100)에 대해 둔각으로 회동되는 경우 판스프링(300)의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걸림홈이다.
예컨대, 세차하거나 와이퍼 블레이드(221)를 교환하는 경우, 사용자는 판스프링(300)의 일단을 제1걸림홈(120a)에 위치시킴으로써 리테이너(200)를 암헤드(100)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시키거나, 판스프링(300)의 일단을 제2걸림홈(120b)에 위치시킴으로써 리테이너(200)를 암헤드(100)에 대해 둔각(ex: 120도)으로 회동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에서 보듯이, 평상시에는 판스프링(300)의 일단이 암헤드(100)의 제1경사면(110a)에 탄성지지되어, 윈드실드글라스를 향한 약한 텐션이 리테이너(200)에 제공되므로, 윈드실드글라스에 대한 와이퍼 블레이드(221)의 누름압이 지속적으로 유지된다.
그리고 리테이너(200)를 예각으로 제치는 경우에는, 판스프링(300)의 일단이 암헤드(100)의 제2경사면(110b)에 탄성지지되어, 윈드실드글라스를 향한 강한 텐션이 리테이너(200)에 제공된다.
도 4에서 보듯이, 세차하거나 와이퍼 블레이드(221)를 교환하기 위해 리테이너(200)를 90도로 제치는 경우, 판스프링(300)의 일단은 전환돌기(130)를 넘어 암헤드(100)의 걸림홈부(120)에 탄성지지되므로, 암헤드(100)에 대한 리테이너(200)의 각도가 90도로 유지된다.
상기에서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100 :암헤드 110 :경사부
120 :걸림홈부 200 :리테이너
210 :회동핀 220 :암스트립
300 :판스프링 310 :후크

Claims (5)

  1. 일단이 피봇축(101)을 매개로 차체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경사부(110) 및 걸림홈부(120)가 연속하여 형성되는 암헤드(100);
    일단이 상기 암헤드(100)에 회동핀(210)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연결되고 타단에 와이퍼 블레이드(221)가 연결된 암스트립(220)이 구비되는 리테이너(200); 및
    상기 암헤드(100)와 리테이너(200) 사이에 텐션이 제공되도록 일단이 상기 암헤드(100)의 경사부(110) 또는 걸림홈부(120)에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타단이 상기 리테이너(200)에 고정되는 판스프링(300)을 포함하고,
    상기 판스프링(300)의 일단은 상기 암헤드(100)의 경사부(110) 및 걸림홈부(120)로 이동이 가능하도록 갈고리 형태로 굽어지는 후크(310)로 구성되며,
    상기 암헤드(100)의 경사부(110)는 윈드실드글라스를 향한 상기 판스프링(300)의 텐션이 상기 리테이너(200)에 제공되도록 일정 각도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1경사면(110a)과, 상기 제1경사면(110a)보다 더 큰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제2경사면(11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암헤드(100)의 경사부(110) 및 걸림홈부(120) 사이에는 전환돌기(130)가 돌출 형성되어, 평상시 상기 판스프링(300)의 일단은 상기 암헤드(100)의 경사부(110)에 지지되고, 상기 리테이너(200)가 상기 암헤드(100)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300)의 일단은 상기 전환돌기(130)를 넘어 상기 암헤드(100)의 걸림홈부(120)에 걸려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걸림홈부(120)는 상기 리테이너(200)가 상기 암헤드(100)에 대해 직각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300)의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제1걸림홈(120a)과, 상기 리테이너(200)가 상기 암헤드(100)에 대해 둔각으로 회동되는 경우 상기 판스프링(300)의 일단이 걸려 지지되는 제2걸림홈(120b)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KR1020100106342A 2010-10-28 2010-10-28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KR101655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42A KR101655476B1 (ko) 2010-10-28 2010-10-28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106342A KR101655476B1 (ko) 2010-10-28 2010-10-28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827A KR20120044827A (ko) 2012-05-08
KR101655476B1 true KR101655476B1 (ko) 2016-09-08

Family

ID=46264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106342A KR101655476B1 (ko) 2010-10-28 2010-10-28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476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463A (ja) 2006-08-11 2008-02-28 Asmo Co Ltd ワイパアーム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5837Y2 (ja) * 1989-02-09 1994-09-21 株式会社三ツ葉電機製作所 ワイパアーム装置
KR0115998Y1 (ko) * 1995-12-19 1998-04-20 김태구 자동차의 와이퍼아암 스프링 구조
KR100381282B1 (ko) * 2001-02-12 2003-04-26 주식회사 캄코 차량용 와이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044463A (ja) 2006-08-11 2008-02-28 Asmo Co Ltd ワイパアー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44827A (ko) 2012-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118927U1 (ru) Стеклоочиститель ветрового стекла с равномерным прижимным усилием
US20120180244A1 (en) Multi-adapter for a vehicle wiper
EP2961642B1 (en) Wiper blade for the cleaning of vehicle windows, and wiper device
JP2008151769A (ja) 雨センサ
JP2009542491A (ja) フロントガラス・ワイパー装置
KR20100064983A (ko) 와이퍼 블레이드
US20170050620A1 (en) Windscreen wiper arm
KR20190022527A (ko) 윈드 스크린 와이퍼 장치
KR101655476B1 (ko) 차량용 와이퍼 암 장치
KR101729145B1 (ko) 압력 분산형 와이퍼 블레이드
US9950694B2 (en) Windscreen wiper device
KR101276575B1 (ko) 록 백 구조가 개선된 와이퍼 암 장치
US6253409B1 (en) Wiper device for vehicles having mechanism for lifting wiper blade with less rattling noise
KR101356153B1 (ko) 차량용 와이퍼장치
JP2016537245A (ja) ガラスワイパ装置
US5161280A (en) Windshield wiper with variable arm pressure
KR20130100955A (ko) 차창용 와이퍼 장치
JPH0390450A (ja) 自動車の風防ガラス用ワイパー装置
JP4482394B2 (ja) ワイパブレード
JP4450642B2 (ja) ワイパーアーム
KR0115998Y1 (ko) 자동차의 와이퍼아암 스프링 구조
JPS6332535Y2 (ko)
KR20070021692A (ko) 모터 조립체
KR100536998B1 (ko) 차량용 윈드 실드 와이퍼 암
JP3854191B2 (ja) ワイパアーム及びワイパアームの連結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