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396B1 -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396B1
KR101655396B1 KR1020130092999A KR20130092999A KR101655396B1 KR 101655396 B1 KR101655396 B1 KR 101655396B1 KR 1020130092999 A KR1020130092999 A KR 1020130092999A KR 20130092999 A KR20130092999 A KR 20130092999A KR 101655396 B1 KR101655396 B1 KR 1016553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clodextrin
seed extract
solution
milk se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9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17119A (ko
Inventor
이승현
장인철
최지휘
김민석
유희종
김기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바이오랜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29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396B1/ko
Publication of KR201500171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71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3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396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ycology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Dairy Product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밀크씨슬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물에 용해하는 단계;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과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서 에탄올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낮추는 단계;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밀크씨슬의 쓴맛을 완화시키고 열 및 pH에 안정하며 실리마린의 회수율을 높여 고 함량이 함유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할 수 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Water soluble milk thistle extract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 밀크씨슬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물에 용해하는 단계;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과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서 에탄올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낮추는 단계;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밀크씨슬(silybum marianum 또는 carduus marianus)은 다양한 간 및 담낭 기능장애들 치료 및 예방에의 효능으로 알려져 있다. 실리마린은 밀크씨슬 추출물의 주성분으로서 주로 실리빈(silybin) A와 B, 이소실리빈(isosilybin) A와 B, 실리크리스틴(silicristin), 실리디아닌(silidianin)으로 구성되어 있다. 실리마린은 지용성성분이라서 물에는 용해가 되지 않아서 음료 제형에는 사용이 불가능하다. 난용성 성분을 수용화를 하기 위해 수용성 매체인 사이클로덱스트린과의 포접체를 형성하는 방법은 수용성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인데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이 용해되어 있는 혹은 밀크씨슬 추출물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으로 혼합해서 용해하는 경우 모두 밀크씨슬 추출물이 물과 접촉하는 순간 응집되어 덩어리로 뭉치는 현상이 발생한다. 수용액 상태에서 포접화합물을 형성하기 전에 뭉치기 때문에 포접 후 실리마린의 회수율이 20% 이하로 낮다. 그래서 본 발명에서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밀크씨슬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하고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물에 용해하여 각각의 물질이 완전히 용매에 용해된 것을 확인한 후 혼합하여 에탄올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낮추어서 실리마린의 회수율을 80%에서 최대 90%까지 높인 포접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사이클로덱스트린(cyclodextrin)은 6 ~ 8개의 글루코즈(glucose) 분자가 고리모양의 α-1,4 결합의 형태로 이루어진 비환원성 말토올리고당(malto-oligos accharide)으로, 환산형의 도우넛 구조로 이루어져 있고, 2번과 3번의 탄소에 결합된 수산화기(-OH)가 수소결합을 함으로써 내부는 소수성의 성질을 띠고 반대로 극성이 높은 수산화기에 의해 외부는 친수성의 성질을 갖는데, 이런 성질로 인해 사이클로덱스트린은 소수성 물질과 포접화합물을 형성하여 소수성 물질의 용해도를 증가시키고, 불안정한 물질의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맛과 향을 나타내는 유기 분자의 일부분 내지 전체를 공동 내에 포접함으로써 고미나 이취를 제거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Pro. Biochem., 39, pp.1033-1046, 2003; Chem. Rev., 98, pp.1743-1753, 1998; J. Inclusion Phenomena and Macrocyclic Chem., 36, pp.355-370, 2000).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사이클로덱스트린액은 사이클로덱스트린 알파, 베타 및 감마형의 복합체로서 전분을 함유한 배지에 사이클로덱스트린 트랜스 글리코시다아제(cyclodextrin trans glycosidase)라는 효소의 작용으로 생성되며, 쥐에게 경구 투여시에 LD50값이 10g/kg이상의 높은 수치인 것으로 보고되어 있으며, 위장관에서는 단지 미량만이 흡수되기 때문에 독성이 거의 없는 안정성이 확보된 물질이다. 이 중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일반적으로 의약품 및 식품 분야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물질로 그 안전성 등이 인정되어 미국약전(USP)에 수재 되어 있는 물질로 랫트와 마우스에 경구 투여 시 LD50값이 각각 12, 12.5g/kg 이상으로 안전한 물질이다.
밀크씨슬 추출물을 수용화 하는 선행연구는‘실리비닌(silybinin)의 포접착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약학적 조성물’(한국공개특허 10-1992-0007625)에서 실리비닌을 염기에 용해해서 포접하는 방법이 연구되었는데 염기로 전환하기 위해 수산화암모늄을 사용하고 다시 중화하기 위해 산을 첨가하고 염을 제거하는 공정이 수반된다. 실리마린을 염기상태에서 용해하여 포접하는 공정인데 pH의 변화에 따른 성분의 손실이 우려되고 중화 시 발생하는 염을 제거하는 공정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기 종래기술들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노력한 결과,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조방법으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밀크씨슬의 쓴맛을 완화시키고 열 및 pH에 안정하며 실리마린의 회수율을 높여 고 함량이 함유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는 동시에 밀크씨슬의 쓴맛을 완화시키고 열 및 pH에 안정하며 실리마린의 회수율을 높여 고 함량이 함유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이용한 실리마린 함량이 5 중량% 이상인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상기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이용하여 제조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한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밀크씨슬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물에 용해하는 단계;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과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서 에탄올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낮추는 단계;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1) 밀크씨슬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물에 용해하는 제 1단계;
2)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과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4.5 ~ 5.5 : 4.5 ~ 5.5(v:v)로, 바람직하게는 5 : 5(v:v)로 혼합하는 제 2단계;
3) 상기 혼합물에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첨가하여 혼합비율을 2.5 ~ 3.5 : 6.5 ~ 7.5(v:v)로, 바람직하게는 3 : 7(v:v)로 조정하는 제 3단계;
4) 상기 혼합물에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첨가하여 혼합비율을 0.5 ~ 1.5 : 8.5 ~ 9.5(v:v)로, 바람직하게는 1 : 9(v:v)로 조정하는 제 4단계;
5)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여 수용액 상으로 전환하는 제 5단계;
6) 수용액 상태에서 밀크씨슬 추출물을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는 제 6단계;
7) 포접되지 않은 잔사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는 제 7단계; 및,
8) 포접물을 건조하는 제 8단계.
본 발명의 따르면, 포접 활성을 높이기 위해서 계면활성제를 상기 혼합액 고형분 중량 대비 0.1 내지 20%(w/w),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5%(w/w)첨가하는 것이 가능하다. 계면활성제는 레시틴, 설탕에스테르, 포스포리피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글리세린 에스테르, tween 계열 등 다양한 종류도 사용이 가능하다. 계면활성제의 첨가는 액상인 것은 그대로 투입하고, 고체인 것은 수용화 시켜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은 실리마린의 함량이 30 ~ 70% (w/w)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실리마린은 밀크씨슬 추출물의 주성분으로서 지용성 성분이라서 물에 용해되지 않아 수용성 음료 제형에는 사용이 불가능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의 단독 또는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은 지용성 성분과 안정적인 포접화합물을 형성하여 용해도를 증가시키는데 뛰어나고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은 쓴맛을 제거시키는데 효과가 있으므로 이 두 가지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단일 성분을 사용하였을 때보다 더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밀크씨슬 추출물의 용해농도가 1 ~ 30%(w/v)이고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농도가 1 ~ 40%(w/v)일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밀크씨슬추출물의 용해농도가 5 ~ 15%(w/v)이고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농도가 1 ~ 15%(w/v)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3, 4단계에서,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혼합할 때 온도조건은 50 ~ 90℃, 교반시간은 1 ~ 5시간, 교반속도는 100rpm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2, 3, 4단계에서, 밀크씨슬 추출물용해액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혼합했을 때 단계별 에탄올 순도가 2단계에서 45 ~ 50%이고, 3단계에서는 25 ~ 30%이고 4단계에서는 5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와 같이 에탄올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낮추어 에탄올 제거를 용이하게 하면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였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에서,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액을 30 ~ 50℃에서 농축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밀크씨슬 추출물을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할 때 온도조건은 50 ~ 90℃, 교반시간은 1 ~ 5시간, 교반속도는 100rpm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에서, 포접 후에 액량대비 1 ~ 5%(w/v)의 규조토를 첨가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 3%(w/v)의 규조토를 첨가하여 포접 되지 않은 잔사를 제거하며, 여과 시 온도를 50 ~ 6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규조토의 함량이 1% 미만일 경우 수용화 되지 않은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거가 용이하지 않아서 여과액이 탁할 수 있다. 이럴 경우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용해도에 영향을 미쳐서 맑게 용해되지 않을 수 있고, 5% 이상일 경우 여과성은 좋아지지만 규조토량에 따라서 수율이 떨어져서 제조 수율 및 실리마린의 회수율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 하지만 5%에서 현격히 차이가 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 8단계에서, 포접물을 건조하는 방법은 종래에 사용되어 진 어떤 방법으로 건조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분무건조,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은 실리마린의 회수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실리마린의 회수율이 80% 이상으로 종래의 실리마린 회수율(20% 미만)보다 4배 이상 높은 회수율을 나타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방법으로 만들어진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은 포접 후 실리마린 회수율이 높아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리마린 함량이 5 중량% 이상인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밀크씨슬 추출물에서 실리마린 함량을 측정한 결과, 5 중량% 이상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실리마린의 함량이 60 중량%로 높은 함량을 나타내었으나 종래 방법으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제조 시 실리마린의 회수율이 20% 미만으로 최종 포접물에 존재하는 실리마린의 함량은 1.3 중량% 미만으로 매우 낮았다. 반면에 본 발명의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종래 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보다 더 높은 실리마린 함량과 회수율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제조방법은 실리마린의 높은 함량 및 높은 회수율을 갖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은 고미가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대조군에 비해 쓴맛의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3의 경우 고미가 가장 감소된 결과를 나타내는데, 이는 쓴맛을 제거하는 효과가 있는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고미가 감소 되어 건강기능식품으로 제조 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실험예 4).
본 발명의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열 안정성(도 2) 및 pH 안정성(도 3), 고미감소효과(표 2) 및 우수한 용해도(도 4)를 나타내었다. 이러한 결과로 볼 때,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건강기능식품의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경우, 밀크씨슬 추출물의 쓴맛이 감소 되는 동시에 실리마린의 안정성을 높이고, 액상제형화시에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고 투명성을 높여 품질이 향상된 건강기능식품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캅셀,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발명의 추출물을 식품 첨가물로 사용할 경우에는 이를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식품 또는 식품 성분과 함께 사용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될 수 있다. 추출물 이외에 다른 성분은 제형에 따라 당업자가 적의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유효 성분은 1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혼합양은 사용 목적(예방, 건강 또는 치료적 처치)에 따라 적합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으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하는 경우 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으며, 실리마린이 고 함량 함유되고 높은 회수율의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법을 통해 제조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경우 고미가 감소 되고 열 및 pH에 안정하며 용해도 또한 뛰어나므로 건강기능식품 및 화장료 조성물의 원료로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액상제형화시에도 유용하게 이용될 수 있다.
도 1은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공정의 모식도이다.
도 2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열처리 시에 실리마린의 안정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3은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pH별로 처리 시에 실리마린의 안정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도 4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1%, 2%, 3%로 용해 시 30일 경과 후의 안정성을 나타낸 결과이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들 실시예는 단지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실시예 1 :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
밀크씨슬을 헥산으로 탈지하여 주정 추출 후 여과, 농축, 건조한 밀크씨슬 추출물 100g에 에탄올 1,000mL를 첨가하여 70℃에서 30분간 10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CAVAMAXⓡ W7, Wacker, Germany) 1,000g에 상수 10L를 첨가하여 70℃에서 30분간 10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밀크씨슬 용해액 1L에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 1L를 서서히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 1.3L를 추가로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이 후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 6.7L를 더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혼합액을 40 ~ 50℃에서 당도 20%로 농축(PAL-3, ATAGO)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7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규조토(IMERYS, France)를 300g 첨가하여 압착여과 하였다. 70℃의 상수 2L를 이용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분무 건조하여 935g을 얻었다.
실시예 2 :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
밀크씨슬을 헥산으로 탈지하여 주정 추출 후 여과, 농축, 건조한 밀크씨슬 추출물 100g에 에탄올 1,000mL를 첨가하여 70℃에서 30분간 10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CAVAMAXⓡ W7, Wacker, Germany) 500g에 상수 10L를 첨가하여 70℃에서 30분간 10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밀크씨슬 용해액 1L에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 1L를 서서히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 1.3L를 추가로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 6.7L를 더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혼합액을 40 ~ 50℃에서 당도 20%로 농축(PAL-3, ATAGO, Japan)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7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규조토(IMERYS, France)를 300g 첨가하여 압착여과 하였다. 70℃의 상수 2L를 이용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분무 건조하여 512g을 얻었다.
실시예 3.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
밀크씨슬을 헥산으로 탈지하여 주정 추출 후 여과, 농축, 건조한 밀크씨슬 추출물 100g에 에탄올 1,000mL를 첨가하여 70℃에서 30분간 10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CAVAMAXⓡ W7, Wacker, Germany) 400g과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CAVAMAXⓡ W8, Wacker, Germany) 100g에 상수 10L를 첨가하여 70℃에서 30분간 10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밀크씨슬 용해액 1L에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용해액 1L를 서서히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용해액 1.3L를 추가로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용해 6.7L를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혼합액을 40 ~ 50℃에서 당도 20%로 농축(PAL-3, ATAGO, Japan)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70℃에서 1시간 교반 한 후 규조토(IMERYS, France)를 300g 첨가하여 압착여과 하였다. 70℃의 상수 2L를 이용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분무 건조하여 478g을 얻었다.
실시예 4.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
밀크씨슬을 헥산으로 탈지하여 주정 추출 후 여과, 농축, 건조한 밀크씨슬 추출물 100g에 에탄올 1,000mL를 첨가하여 70℃에서 30분간 10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CAVAMAXⓡ W7, Wacker, Germany) 400g과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CAVAMAXⓡ W7, Wacker, Germany) 100g에 상수 10L를 첨가하여 70℃에서 30분간 100rpm으로 교반하여 용해하였다. 밀크씨슬용해액 1L에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용해액 1L를 서서히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용해액 1.3L를 추가로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사이클로덱스트린 혼합용해 6.7L를 첨가한 후 70℃에서 2시간 동안 100rpm으로 교반하였다. 혼합액을 40 ~ 50℃에서 당도 20%로 농축(PAL-3, ATAGO, Japan)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였다. 70℃에서 1시간 교반한 후 규조토(IMERYS, France)를 300g 첨가하여 압착여과 하였다. 70℃의 상수 2L를 이용하여 충분히 세척한 후 분무 건조하여 467g을 얻었다.
실험예 1 : 실리마린의 함량분석
실시예 1 내지 4에서 제조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유효성분인 실리마린의 함량을 측정하기 위해 고성능액체크로마토그래피(Alliance, Waters, USA)를 사용하여 그 함량을 측정하였고, 컬럼은 Capcell Pak C18(25cm * 4.5mm, 5um, Shiseido, Japan)를 사용하였으며, 검출 스펙트럼은 UV 288nm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동상 A는 메탄올, 증류수, 인산을 20 : 80 : 0.5(v:v:v)로 혼합하였고, 이동상 B는 메탄올, 증류수, 인산을 80 : 20 : 0.5(v:v:v)로 혼합하였다. 시간에 따른 이동상의 조건은 0 ~ 15분에 이동상 B를 15%, 20 ~ 40분에 이동상 B를 45%, 41 ~ 55분에 이동상 B를 15%로 변경하여 분석하였고, 유속은 0.3ml/min 로 하였다. 표준품으로는 Silychristin, silydianin, silybin, isosilybin A, isosilybin B(sigma, St-Louis, Mo, USA)를 1mg/ml의 농도로 메탄올에 녹여 스톡(stock)용액으로 하여 혼합하여 검량선용 표준용액으로 사용하여 검량선을 작성하여 실리마린의 함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표 1에 나타내었다.
실험군 제조량(g) 실리마린의 함량(%) 실리마린의 회수율(%)
밀크씨슬추출물 61.4
실시예 1 935 5.84 88.9
실시예 2 512 10.47 87.3
실시예 3 478 10.35 80.6
실시예 4 467 10.55 80.2
그 결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실리마린의 함량은 5 ~ 10 %(w/w)로 측정되었으며 80 ~ 90(%)로 높은 회수율을 보였다.
실험예 2 :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열 안정성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6g을 상수 200mL에 용해하였다. Autoclave 90에서 1, 2, 4, 6시간 열처리하여 실리마린의 분석하여 열 안정성을 확인하였다. 대조군은 열처리 전 실리마린 100%로 한 후 상대적인 함량으로 환산하였다. 그 결과 6시간 후에 약 95%로 약 5%정도 분해된 것을 확인하였다(도 2).
실험예 3 :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pH 안정성
실시예 1에서 제조한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6g을 상수 200mL에 용해하였다. 0.1N HCl로 pH를 5.3, 4.1, 3.1로 조정하였다. pH 조정 전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의 pH는 6.15이다. pH 처리 전을 대조군으로 실리마린 100%로 한 후 상대적인 함량으로 환산하였다. 그 결과 7일 차에 모든 pH에서 실리마린 함량을 측정하였을 때 100% 정도 함량을 유지하였다(도 3).
실험예 4 :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관능평가
밀크씨슬 추출물과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각각 1 w/v%의 농도로 상수에 용해한 후 후 쓴맛의 차이를 측정하였다. 향기, 맛, 색, 조직감에 잘 훈련된 15명의 관능검사 요원을 대상으로 대조군(밀크씨슬 추출물)의 맛을 기준으로, 대조군을 10의 수치로 정하고, 9단계 평점법(매우 좋다: 1점, 매우 나쁘다: 9점)으로 상대 평가하여 이를 평균치 또는 평균치± 표준편차로 나타내었고, 3회 이상 반복 분석하여, 던칸의 다중범위 검증법(Duncan's multiple range test)으로 그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군 쓴 맛
대조군 10
실시예 1 3.2 ± 0.48
실시예 2 4.3 ± 0.39
실시예 3 1.5 ± 0.24
실시예 4 4.8 ± 0.57
그 결과,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대조군과 비교하여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함량에 비례하여 쓴맛의 개선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5 :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용해도
실시예 1을 1%, 2%, 3%로 용해 상수에 용해한 후 95℃에서 5분간 살균한 채로 상온에서 30일간 경시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30일 경과 후에도 육안상으로 침전물이 형성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도 4).

Claims (16)

  1. 밀크씨슬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물에 용해하는 단계;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과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혼합하는 단계; 상기 혼합물에서 사이클로덱스트린 용액을 추가적으로 첨가하여 에탄올의 농도를 단계적으로 낮추는 단계; 및 밀크씨슬 추출물을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의 제조방법:
    1) 밀크씨슬 추출물을 에탄올에 용해하고 사이클로덱스트린을 물에 용해하는 제 1단계;
    2) 상기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과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4.5 ~ 5.5 : 4.5 ~ 5.5(v:v)로 혼합하는 제 2단계;
    3) 상기 혼합물에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첨가하여 혼합비율을 2.5 ~ 3.5 : 6.5 ~ 7.5(v:v)로 조정하는 제 3단계;
    4) 상기 혼합물에 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첨가하여 혼합비율을 0.5 ~ 1.5 : 8.5 ~ 9.5(v:v)로 조정하는 제 4단계;
    5) 상기 혼합물을 농축하여 에탄올을 제거하여 수용액상으로 전환하는 제 5단계;
    6) 수용액 상태에서 밀크씨슬 추출물을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하는 제 6단계;
    7) 포접되지 않은 잔사를 제거하기 위해 여과하는 제 7단계; 및,
    8) 포접물을 건조하는 제 8단계.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밀크씨슬 추출물은 실리마린의 함량이 30 ~ 70% (w/w)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사이클로덱스트린은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또는 알파-사이클로덱스트린의 단독 또는 그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단계에서, 밀크씨슬 추출물의 용해농도가 1 ~ 30%(w/v)이고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농도가 1 ~ 40%(w/v)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3, 4단계에서,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혼합할 때 온도조건은 50 ~ 90℃, 교반시간은 1 ~ 5시간, 교반속도는 100rpm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3, 4단계에서,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과 베타-사이클로덱스트린 용해액을 혼합했을 때 단계별 에탄올 순도가 2단계에서 45 ~ 50%이고, 3단계에서는 25 ~ 30%이고 4단계에서는 5 ~ 1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5단계에서, 밀크씨슬 추출물 용해액과 사이클로덱스트린의 혼합액을 30 ~ 50℃에서 농축하여 에탄올을 완전히 제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6단계에서, 밀크씨슬 추출물을 사이클로덱스트린에 포접할 때 온도조건은 50 ~ 90℃, 교반시간은 1 ~ 5시간, 교반속도는 100rpm 이상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7단계에서, 포접 후에 액량 대비 1 ~ 5%(w/v)의 규조토를 첨가하여 포접 되지 않은 잔사를 제거하며, 여과 시 온도를 50 ~ 60℃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8단계에서, 포접물을 분무건조, 동결건조, 또는 열풍건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2. 제 2항에 있어서, 실리마린의 회수율이 8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3. 제1항 또는 제2항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실리마린 함량이 5 중량% 이상인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14. 제 13항에 있어서, 고미가 감소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15. 제 13항에 따른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을 함유하는 건강기능식품.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캅셀, 정제, 분말, 과립, 액상, 환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에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강기능식품.
KR1020130092999A 2013-08-06 2013-08-06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553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999A KR101655396B1 (ko) 2013-08-06 2013-08-06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999A KR101655396B1 (ko) 2013-08-06 2013-08-06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19A KR20150017119A (ko) 2015-02-16
KR101655396B1 true KR101655396B1 (ko) 2016-09-08

Family

ID=530461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999A KR101655396B1 (ko) 2013-08-06 2013-08-06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39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260A (ko) 2022-05-11 2023-11-20 주식회사 보고신약 수용성 밀크씨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90652A1 (ko) * 2022-10-25 2024-05-02 주식회사 보고신약 수용성 밀크씨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58726A (ko) 2022-10-25 2024-05-03 주식회사 보고신약 수용성 밀크씨슬 및 그의 제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322B1 (ko) * 2023-03-27 2023-09-26 (주)이너네이쳐 밀크씨슬 추출물이 포함되는 간 보호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5047B1 (ko) * 2007-04-16 2008-10-23 주식회사 바이오랜드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인삼추출물의 포접물을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DE102008039271A1 (de) * 2007-12-23 2009-06-25 Euromed Sa Neuer Mariendistelextrakt, Verfahren zur Herstellung und Verwendung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58260A (ko) 2022-05-11 2023-11-20 주식회사 보고신약 수용성 밀크씨슬 및 이의 제조방법
WO2024090652A1 (ko) * 2022-10-25 2024-05-02 주식회사 보고신약 수용성 밀크씨슬 및 그의 제조방법
KR20240058726A (ko) 2022-10-25 2024-05-03 주식회사 보고신약 수용성 밀크씨슬 및 그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7119A (ko) 2015-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865047B1 (ko) 감마-사이클로덱스트린 및 인삼추출물의 포접물을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조성물
KR101665528B1 (ko) 수용성 은행잎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36464B1 (ko) 스테비올 배당체 또는 감초, 및 난용성 물질을 포함하는 복합체
KR101655396B1 (ko) 수용성 밀크씨슬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396458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식품 또는 음료 조성물
KR20160144791A (ko) 여성 갱년기 증상 개선용 조성물
JP6046056B2 (ja) 脱ラムノシルアクテオシド含有オリーブ抽出物
JPH04139132A (ja) 抗活性酸素作用組成物並びにこれを有効成分とする抗活性酸素剤、食品、化粧料及び医薬品
KR100910176B1 (ko) 쓴맛이 마스킹된 인삼 건강식품 조성물
KR101673264B1 (ko) 우콘 중의 유효 성분을 함유하는 저수분계 조성물
JP2006335752A (ja) アルドース還元酵素阻害剤
US20140377242A1 (en) Coenzyme q10-containing composition for oral ingestion
KR20170076496A (ko) 용해성이 개선된 안정한 무정형 쿠르큐미노이드 고체분산체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30853B1 (ko) 비포접체 정제를 통해 쓴맛이 저감된 녹차추출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69911B1 (ko) 홍삼 오일을 부형제 오일로 함유하는 연질캡슐제
JP6534275B2 (ja) 骨砕補エキス組成物
KR101528557B1 (ko) 천년초 발효물 함유 의약 조성물
KR20170136785A (ko) 지용성 비타민 흡수 강화용 조성물
KR101910628B1 (ko) 수용화도가 향상된 나노 피세틴을 고농도로 함유하는 참옻나무 추출분말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암제 조성물
JP2016053000A (ja) 水分散性の良いシリマリン含有組成物
KR102452138B1 (ko) 쓴맛 차폐용 조성물을 포함하는 인삼 가공 식품 조성물
JP7267860B2 (ja) 経口用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5834803B2 (ja) 内服液剤
KR20140074738A (ko) 실리마린을 포함한 복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경구 섭취용 조성물
KR100504021B1 (ko) 난용성 약물의 고체분산체 및 이를 함유하는 경구용 항진균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