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5037B1 -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 Google Patents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5037B1
KR101655037B1 KR1020150088770A KR20150088770A KR101655037B1 KR 101655037 B1 KR101655037 B1 KR 101655037B1 KR 1020150088770 A KR1020150088770 A KR 1020150088770A KR 20150088770 A KR20150088770 A KR 20150088770A KR 101655037 B1 KR101655037 B1 KR 1016550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zinc
copper
ceramics
mixed
uniform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한길
Original Assignee
이한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한길 filed Critical 이한길
Priority to KR1020150088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50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50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50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24Manufacture of porcelain or white ware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33/00Clay-wares
    • C04B33/32Burning methods
    • CCHEMISTRY; METALLURGY
    • C04CEMENTS; CONCRETE;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 C04BLIME, MAGNESIA; SLAG; CEMENTS; COMPOSITIONS THEREOF, e.g. MORTARS, CONCRETE OR LIKE BUILDING MATERIALS; ARTIFICIAL STONE; CERAMICS; REFRACTORIE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0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 C04B41/80After-treatment of mortars, concrete, artificial stone or ceramics; Treatment of natural stone of only ceramics
    • C04B41/81Coating or impregnation
    • C04B41/85Coating or impregnation with inorganic materials
    • C04B41/86Glazes; Cold glaz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wder Metallurg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도자기의 외부 표면에 황금색을 선명하게 구현하기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황금색을 구현하기 위해 본 발명은 먼저 도자기 기물을 성형한 후, 초벌구이를 거쳐 투명유약을 시유하고, 재벌구이를 한 뒤에 상기 도자기 기물의 외부표면에만 액체상태의 황동을 도포한 후에 삼벌구이되고, 다시 그 위에 황칠나무 추출액을 도포하여 제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제작된 도자기 기물은 황칠나무 추출액에 의해 황동의 황금색이 더욱 발현되고, 오랫동안 황동의 산화를 막아 황금색의 발현이 유지되며, 우수한 내열성, 항균성, 방습성을 가지게 된다.

Description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The manufacture method of ceramics for appear on gold color}
본 발명은 도자기의 표면에 황금색을 구현하기 위하여 구리와 아연을 일정 중량비율로 혼합하여 용융시킨 뒤 초벌구이 된 도자기 표면에 도포하여 재벌구이를 하고 다시 그 위에 황칠나무 추출액을 도포한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자기의 표면에 황금색을 구현하는 방법으로는 금이나 금속산화물을 적절히 조합하여 유약조성물에 첨가하거나 또는, 식물에서 노란색 색소를 추출하여 주로 유약조성물에 첨가하여 도자기의 표면에 시유하는 방법이 많이 이용되어져 왔다. 그런데, 이러한 방식들은 황금색 유약 제조과정이 대개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 도자기 기물의 변형, 도자기의 표면에 골고루 황금색 구현이 되지 않는 등의 어려움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색제인 구리와 아연을 유약조성물에 첨가하지않고, 따로 일정비율로 혼합한 뒤 전기용해로에서 용융시킨 후, 초벌구이 된 도자기의 표면에 도포하고, 도포된 구리와 아연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하여 다시 황칠나무 추출액을 구리와 아연이 도포된 도자기의 표면에 도포함으로써 더욱 선명하고 균일하게 황금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시간을 절약하고, 제조공정이 단순한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을 제안하고자 한다.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및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자기 소지토로 도자기 기물을 성형한 후(S101), 건조시켜 초벌구이를(S102) 하여 투명유를 균일하게 1차 도포한 뒤(S104), 재벌구이를(S105) 거치는 단계; 구리와 아연을 파쇄하여 분말형태의 미립자로 가공한 후(S201), 혼합하여(S202) 120 메쉬망의 체로 거른 뒤, 전기용해로에 넣고 용융시키는(S106) 단계; 상기 재벌구이 된 도자기 기물의 외부 표면에만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인 액체상태의 황동(S203)을 균일하게 도포하는(S107) 단계;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인 액체상태의 황동(S203)이 도포된 도자기 기물에 투명유를 2차 도포하는(S108) 단계;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인 액체상태의 황동(S203)이 도포된 도자기 기물을 삼벌구이를(S109) 하는 단계; 삼벌구이를 끝낸 도자기 기물의 내·외부 표면에 황칠나무 추출액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시키는(S11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투명유약으로 1차 도포되어(S104) 재벌구이 된(S105) 도자기 기물의 외부 표면에만 미립자 상태의 분말 구리 65 중량%과 분말 아연 35 중량%이 혼합용융된 액체상태의 황동을 균일하게 도포한 후 자연상태에서 냉각시킨 후(S107), 투명유가 2차 도포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투명유가 2차 도포되어진 기물이 350 ~ 400℃에서 10시간 동안 삼벌구이된 것을(S109)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삼벌구이된 도자기 기물의 내·외부 표면에 황동의 부식을 막기 위하여 황칠나무 추출액이 붓으로 균일하게 도포된 것을(S110)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인 황동이 도포된 도자기의 표면에 황칠나무 추출액이 추가 도포됨으로써 구리와 아연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으며, 은은한 황금색을 감상할 수 있다. 그리고, 구리와 아연의 성분이 도자기의 외부로 표출되는 것을 방지할 뿐만 아니라, 도자기의 내열성, 방습성, 항균성 등도 높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황금색이 구현된 도자기의 제작과정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도자기 기물에 도포할 구리와 아연의 혼합 및 용융과정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에 따른 황칠나무 추출액 추출과정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리고,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서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본 발명인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및 과정에 있어서.
본 발명은 도자기 소지토로 도자기 기물을 성형한 후(S101), 건조시켜 초벌구이를(S102) 하여 투명유를 균일하게 1차 도포한 뒤(S104), 재벌구이를(S105) 거치는 단계;
구리와 아연을 파쇄하여 분말형태의 미립자로 가공한 후(S201), 혼합하여(S202) 120 메쉬망의 체로 거른 뒤, 전기용해로에 넣고 용융시키는(S106) 단계;
상기 재벌구이 된 도자기 기물의 외부 표면에만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인 액체상태의 황동(S203)을 균일하게 도포하는(S107) 단계;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인 액체상태의 황동(S203)이 도포된 도자기 기물에 투명유를 2차 도포하는(S108) 단계;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인 액체상태의 황동(S203)이 도포된 도자기 기물을 삼벌구이(S109) 하는 단계;
삼벌구이를 끝낸 도자기 기물의 내·외부 표면에 황칠나무 추출액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시키는(S11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횡금색 구현을 도자기의 제작방법에 대해 실시예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삭제
산청 점토 45 ~ 55 중량%, 고령 백토 15 ~ 25 중량%, 진례 황토 5 ~ 15 중량%의 도자기 소지조성물을 볼 밀(Ball Mill)에 넣고 골고루 혼합된 뒤 100 ~ 120 메쉬(mesh)망의 체로 여과한 후 적당량의 수분을 첨가하여 균일하게 혼합되도록 잘 섞어 반죽한다.
상기 반죽된 도자기 소지토로 도자기 기물을 성형한 후(S101), 건조시켜 800 ~ 900℃에서 12시간 동안 초벌구이를 한다.(S102)
그리고, 장석 65 중량%, 규석 20 중량%, 석회석 15 중량%의 유약조성물을 볼 밀(Ball Mill)에 넣고 골고루 혼합된 뒤, 120 메쉬(mesh)망의 체로 여과한 후, 상기 유약조성물이 적당한 점력을 가질 때까지 수분을 첨가하여 투명유약을 제조한다.(S103)
상기의 투명유약을 초벌구이 된 도자기 기물의 내·외부 표면에 균일하게 도포한 후(S104), 1300 ~ 1400℃에서 16 ~ 18시간 동안 재벌구이를 거친다.(S105)
삭제
그 다음, 구리와 아연을 분쇄기에 넣어 파쇄하여 각각 분말화 한다.(S201) 이때, 분쇄기 롤러의 규격을 적절히 조정해가며 분쇄하는데, 구리와 아연을 각각 1 ~ 2㎛ 크기의 미립자 상태로 분말화한 후, 120 메쉬망의 체로 걸러 이물질 및 불순물을 제거한다.
그 다음, 미립자 상태의 분말 구리 65 중량%과 분말 아연 35 중량%을 혼합하여(S202) 전기용해로에 넣고 1090℃로 가열하여 용융시켜(S106)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인 액체상태의 황동(S203)을 제조한다. 이때, 419.53℃에서 아연이 먼저 용융되고, 1084.62℃에서 구리가 용융되면서 구리와 아연의 합금형태인 액체상태의 황동이 된다.
그리고,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인 액체상태의 황동(S203)을 1040℃까지 자연상태에서 냉각시킨다.(S204) 이때, 황동은 1035℃ 이하가 되면 고체상태로 변화하기 때문에 1040℃의 일정한 온도로 액체상태로 유지한다.
삭제
다음으로, 황칠나무 가지와 잎의 진액추출은 찜솥을 사용하여 수증기를 이용한 찌기 방법으로 추출하는데.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친다.
상기 황칠나무의 가지를 쪼갠 후 30mm 길이로 잘라(S301) 황칠나무 잎과 함께 깨끗이 세척하여 이물질을 제거한다.(S302)
그리고, 황칠나무 가지와 잎 중량의 10 ~ 20배에 해당되는 양의 물을 찜솥에 넣고 찜솥의 받침판에는 세척된 황칠나무 가지와 잎을 안치한 후 50 ~ 60℃의 온도를 유지하여 추출액이 일반적인 유약의 점력과 유사한 상태가 될 때까지 가열한다.(S303)
일반적인 유약의 점력과 유사한 상태가 된 황칠나무 가지와 잎의 추출액을 120 메쉬망의 체로 걸러내어 이물질 및 고형물질을 제거하면(S304) 상기 황칠나무 가지와 잎의 추출액을 얻을 수 있다.
삭제
그리하여, 투명유약으로 도포되어 재벌구이 된 도자기 기물의 외부 표면에만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인 액체상태의 황동(S203)을 균일하게 도포한 후 자연냉각시킨다.(S107)
상기 도자기 기물의 외부표면에 도포된 액체상태의 황동이 냉각되면 투명유를 2차 도포한다.(S108) 투명유가 2차 도포 되어진 상기 도자기 기물을 350 ~ 400℃의 온도로 9 ~ 10시간 삼벌구이를 한다.(S109)
그 후에 황칠나무 추출액을 상기 도자기 기물의 내·외부 표면에 붓으로 균일하게 도포한다.(S110) 이때, 황칠나무 추출액을 도자기 기물에 도포하는 이유는 이미 도포되어진 황동의 산화를 막기 위함이다.
상기 황칠나무 추출액이 도포된 도자기 기물을 통풍이 잘되는 음지에서 자연건조시킨다.(S110)
이상과 같은 단계를 거치면 도자기 기물의 외부표면의 황동의 황금색이 황칠나무 추출액에 의해 더욱 찬란하게 빛나며 오랫동안 유지되고, 황동의 산화를 방지할 뿐만아니라, 내열성, 방습성이 우수한 도자기 기물을 제작할 수 있다.
전술한 내용은 후술할 본 발명의 특허등록 청구범위를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특징과 기술적 장점을 다소 폭넓게 개설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등록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S 101 : 도자기 기물 성형
S 102 : 초벌구이
S 103 : 투명유 제조
S 104 : 투명유 1차 도포
S 105 : 재벌구이
S 106 : 구리와 아연 혼합 및 용융단계
S 107 : 황동 도포 및 냉각
S 108 : 투명유 2차 도포
S 109 : 삼벌구이
S 110 : 황칠나무 추출액 도포 및 건조
S 201 : 구리와 아연의 분말화
S 202 : 혼합
S 203 : 구리와 아연이 용융된 액체상태의 황동단계
S 204 : 냉각
S 301 : 황칠나무 잎과 줄기 자르기
S 302 : 세척 및 불순물 제거
S 303 : 찌기
S 304 : 걸러내기

Claims (4)

  1.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및 과정에 있어서;
    도자기 소지토로 도자기 기물을 성형한 후(S101), 건조시켜 초벌구이를(S102) 하여 투명유를 균일하게 1차 도포한 뒤(S104), 재벌구이를(S105) 거치는 단계;
    구리와 아연을 파쇄하여 분말형태의 미립자로 가공한 후(S201), 혼합하여(S202) 120 메쉬망의 체로 거른 뒤, 전기용해로에 넣고 용융시키는(S106) 단계;상기 재벌구이 된 도자기 기물의 외부 표면에만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인 액체상태의 황동(S203)을 균일하게 도포하는(S107) 단계;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이 도포된 도자기 기물에 투명유를 2차 도포하는(S108) 단계;
    구리와 아연의 혼합용융물이 도포된 도자기 기물을 삼벌구이를(S109) 하는 단계;
    삼벌구이를 끝낸 도자기 기물의 내·외부 표면에 황칠나무 추출액을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시키는(S110)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투명유약으로 1차 도포되어(S104) 재벌구이 된(S105) 도자기 기물의 외부 표면에만 미립자 상태의 분말 구리 65 중량%과 분말 아연 35 중량%이 혼합용융된 액체상태의 황동(S203)을 균일하게 도포한 후 자연상태에서 냉각시킨 후(S107), 투명유가 2차 도포 되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유가 2차 도포되어진 기물이 350 ~ 400℃에서 10시간 동안 삼벌구이된 것을(S109) 특징으로 하는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삼벌구이된 도자기 기물의 내·외부 표면에 황동의 부식을 막기 위하여 황칠나무 추출액이 붓으로 균일하게 도포된 것을(S110) 특징으로 하는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KR1020150088770A 2015-06-23 2015-06-23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KR1016550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770A KR101655037B1 (ko) 2015-06-23 2015-06-23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770A KR101655037B1 (ko) 2015-06-23 2015-06-23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5037B1 true KR101655037B1 (ko) 2016-09-07

Family

ID=5694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770A KR101655037B1 (ko) 2015-06-23 2015-06-23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50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436B1 (ko) * 2017-04-11 2018-09-28 이한길 식물의 추출 색소를 사용한 진사도자기의 제작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675Y1 (ko) * 2005-04-20 2005-07-22 이경환 유기 도자기
KR20110063126A (ko) * 2009-12-04 2011-06-10 이승철 벽돌의 제조방법
JP2011521092A (ja) * 2008-05-28 2011-07-21 エッカル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銅含有金属効果顔料の混合物、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コーティング剤
KR101369065B1 (ko) * 2012-11-13 2014-02-28 이희옥 석영 칠보 도자의 제작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90675Y1 (ko) * 2005-04-20 2005-07-22 이경환 유기 도자기
JP2011521092A (ja) * 2008-05-28 2011-07-21 エッカルト ゲゼルシャフト ミット ベシュレンクテル ハフツング 銅含有金属効果顔料の混合物、それ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コーティング剤
KR20110063126A (ko) * 2009-12-04 2011-06-10 이승철 벽돌의 제조방법
KR101369065B1 (ko) * 2012-11-13 2014-02-28 이희옥 석영 칠보 도자의 제작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1436B1 (ko) * 2017-04-11 2018-09-28 이한길 식물의 추출 색소를 사용한 진사도자기의 제작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177627B (zh) 黑底金叶建盏的制备工艺
CN101786904A (zh) 一种具有变色效果的金属光泽陶瓷用釉料及其制备方法
CN104016719A (zh) 具有流釉效果的反应结晶釉及其制备方法
CN103332966A (zh) 一种复合乳浊釉的制备方法
CN112573897A (zh) 水母滴建盏的制备工艺
CN103951377B (zh) 一种紫砂澄泥器的制作工艺
CN110342820A (zh) 一种铜系窑变釉的制造方法
CN107628751A (zh) 一种苹果绿色结晶釉料及烧制苹果绿色结晶釉的方法
KR101655037B1 (ko) 황금색 구현을 위한 도자기의 제작방법
KR101733978B1 (ko) 커피 찌꺼기가 함유된 도자기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도자기
KR100775790B1 (ko) 수철을 이용한 도자기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70023839A (ko) 백색 내열 소지 조성물
CN105174971A (zh) 绞胎陶瓷的制备方法
KR101401260B1 (ko) 닭분재를 포함한 도자기용 백자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540218A (zh) 一种亚光粉红色结晶釉料及烧制亚光粉红色结晶釉的方法
KR101798343B1 (ko) 은향초를 이용한 도자기 제조방법
KR101138008B1 (ko) 도자기의 유약도포방법
CN104909568A (zh) 一种表面具有咖啡色结晶釉层的陶瓷及其制备方法
CN106892561A (zh) 电光泽釉及电光泽日用陶瓷产品的生产方法
CN107673614A (zh) 一种亚光蓝色结晶釉料及烧制亚光蓝色结晶釉的方法
CN107572789A (zh) 一种亚光浅绿色结晶釉料及烧制亚光浅绿色结晶釉的方法
CN105330147A (zh) 一种骨质瓷用硅酸锌结晶釉料的制备方法
CN104016721A (zh) 具有擦砂效果的流粒釉的制备方法及其所使用的流粒釉料
KR101138765B1 (ko) 도자기 표면장식의 심미성 향상을 위한 흑화장토
KR102234769B1 (ko) 호랑이콩 껍질 재를 포함하는 도자기용 유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0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