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742B1 - Movable scaffolding system mounted upper-structure of bridg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 Google Patents

Movable scaffolding system mounted upper-structure of bridg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742B1
KR101654742B1 KR1020150027012A KR20150027012A KR101654742B1 KR 101654742 B1 KR101654742 B1 KR 101654742B1 KR 1020150027012 A KR1020150027012 A KR 1020150027012A KR 20150027012 A KR20150027012 A KR 20150027012A KR 101654742 B1 KR101654742 B1 KR 1016547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movable
moving
span
formwork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012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4258A (en
Inventor
김종환
Original Assignee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컨텍이앤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270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742B1/en
Publication of KR201601042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4258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7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742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21/00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 E01D21/06Method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erecting or assembling bridges by translational movement of the bridge or bridge s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ridges Or Land Bridges (AREA)

Abstract

교각, 교대와 같은 교량하부구조물의 기초부 상면에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이 지지되도록 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을 시공하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교량시공방법은 횡방향 빔에 설치된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 상면에 설치된 종방향 이동식빔, 상기 종방향 이동식빔 상면에 설치된 가설벤트 및 이동식거푸집을 포함하는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하여 2경간에 걸쳐 교량상부구조물을 일체로 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able formwork system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for supporting a movable formwork system on an upper surface of a foundation of a bridge substructure such as a bridge, bridge, A movable formwork system including a movable bogie installed on a transverse beam, a longitudinally movable beam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ogie, a hypothetical ven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and a movable formwork, .

Description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MOUNTED UPPER-STRUCTURE OF BRIDG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able formwork system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본 발명은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교각, 교대와 같은 교량하부구조물의 기초부 상면에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이 지지되도록 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을 시공하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able formwork system adapt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More particular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able formwork system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for supporting a movable formwork system on a top surface of a bridge substructure such as a pier or an alternate bridge.

도 1a는 종래 F.S.M 공법(Full Staging Method, 강재지주 지지공법)의 시공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1A is a construction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ull staging method (F.S.M.) method.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기 종래 F.S.M 공법은 Specifically, in the conventional F.S.M. method,

각 경간에 교대 및 교각(20)을 설치하고, 각 경간 사이에 파일에 의하여 지지되는 기초판(30:31)을 별도 설치하는 단계(s1); A step (s1) of providing an alternating and piercing angle (20) at each span and separately installing a base plate (30:31) supported by the pile between the span;

하면에 설치된 승강지지수단(44) 및 이동수단 1(45)이 설치된 임시지지구조물인 가설벤트(40:41,42,43), 상방으로 솟음 처리되어 제작된 트러스구조물로서 제작되며, 가설벤트 상면에 추가로 설치된 유압잭을 포함한 압출수단(90)에 의하여 하면에 설치된 이동수단 2(54)가 종방향으로 상기 가설벤트 상면을 슬라이딩하면서 전방 교각에 설치된 다른 가설벤트 상면으로 압출되는 메인거더(50) 및 2개의 분절된 강재빔(61,62)으로서 중앙연결부는 핀(63)으로 서로 연결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메인거더(50)를 횡방향으로 가로질러 설치된 가로빔(60)을 구비한 가설벤트(40) 설치에 있어서, 상기 가설벤트 하면에 설치된 승강지지수단(44)이 기초판 상면에 지지되도록 하고 그 높이를 상승시켜, 가설벤트(40)가 기초판(30)에 지지 고정되도록 하는 단계(s2);(40, 41, 42, 43) serving as a temporary support structure provided with a lifting support means (44) and a moving means (45) provided on a lower surface thereof, The moving means 2 (54)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ain girder (50), which is extruded to the upper surface of another temporary vent provided at the front pier while sliding the upper surface of the temporary ven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means of the extrusion means (90) And two segmented steel beams 61 and 62 which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pin 63 and which have a transverse beam 60 transversely crossing the main girder 50 In the installation of the temporary vent 40, the elevation support means 44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hypothetical vent is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plate so that the height of the elevation support means 44 is supported and fixed to the foundation plate 30 (S2);

상기 가로빔(60) 상면에 설치된 교량상부구조물용 거푸집(70)을 이용하여 교량상부구조물(B)을 제작하는 단계(s3);A step (s3) of fabricating a bridge overhead structure B using a bridge 70 for a bridge over structur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verse beam 60;

상기 교량상부구조물용 거푸집(70:71,72,73)을 해체하고, 가설벤트(40)의 상승된 승강지지수단(44)을 하강시켜 이동수단 1(45)이 기초판(30)에 접하도록 한 상태에서, 핀을 해체하여 분절된 각각의 가로빔(60)을 횡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단계(s4);The elevating support means 44 of the hypothetical vent 40 is lowered so that the moving means 1 45 is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base plate 30 The step (s4) of disengaging the pin to move each of the segmented transverse beams 60 in the lateral direction;

전방 교각에 설치된 다른 가설벤트 상면으로, 가설벤트의 메인거더 및 각 분절된 가로빔(60)을 가설벤트에 설치된 압출수단(90)을 이용하여 압출 이동시키는 단계(s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And a step (s5) of extruding and moving the main girder of the hypothetical vent and each segmented transverse beam 60 to the upper surface of the other hypothetical vent provided at the front bridge bridge by using the extrusion means 90 installed in the hypothetical vent ,

이에 상기 교량상부구조물(B)을 제작하는 공종을 각 경간마다 반복함으로서 교량을 완성시키는 공법이다.Thus, the bridge is completed by repeating the work for manufactur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B) at each span.

이러한 종래 F.S.M 공법은 지반조건이 우수한 지형에 비교적 낮은 교각높이(30M이하)에서 주로 사용된다.Such conventional F.S.M. method is mainly used at a relatively low pier height (30M or less) in a terrain having excellent ground conditions.

따라서 시공에 필요한 자재를 용이하게 확보할 수 있고, 숙련된 작업인원이 풍부하여 널리 이용되는 공법으로서 곡선교 시공이 용이하다는 장점이 있다.Therefore, it is advantageous that the material necessary for construction can be easily secured, and the skilled artisan is abundant, so that it is easy to construct a curved bridge as a widely used method.

하지만 연약지반을 포함한 지반조건(지내력 부족)이 불리하면, 지반처리를 위한 추가적인 공사비가 투입되어야 하며, 강재지주 설치 시 그 설치, 해체를 반복해야하므로 시공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f the ground condition including the soft ground is inadequate, there is a problem that the additional construction cost must be applied for the ground treatment, and the installation and demolition must be repeated when the steel pillar is installed.

이에 연약지반을 포함한 지반조건(지내력 부족)이 불리할 경우에는 교량시공의 시공성 및 경제성이 매우 떨어질 수밖에 없고, 이로서 F.S.M 공법을 이용하는 교량 시공방법은 상당히 제한적으로 이용될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Therefore, when the ground condition including the soft ground is insufficient, the construction workability and economical efficiency of the bridge construction are inevitably reduced, an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F.S.M method is inevitably limited.

도 1b는 M.S.S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 비계시스템)의 시공도 및 단면도(a-a)를 도시한 것이다.FIG. 1B shows a construction view and a cross-sectional view (a-a) of a Movable Scaffolding System (movable scaffolding system).

즉, M.S.S 공법은 도 1b와 같이 박스 형태로 형성된 메인 거더(MAIN GIRDER, 11), 상부 아웃터 폼(UPPER OUTER FORM, 12), 크로스 빔(CROSS BEAM, 13), 교각(20)의 외측면에 설치된 교각 브라켓(PIER BRACKET, 14) 이동 및 승하강 유닛(MOVING amp; LIFTING UNIT)을 포함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That is, in the MSS method, as shown in FIG. 1B, a main girder 11, an upper outer form 12, a cross beam 13, It can be seen that it includes a moving pier bracket (14), a moving and elevating unit (MOVING amp) and a lifting unit.

즉, 교량시공에 있어 M.S.S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비계시스템)은 교대와 교각 또는 교각과 교각 사이에 교량상부구조물(B) 시공 시, 교량상부구조물용 거푸집이 부착된 이동식 비계시스템을 교각에 설치하여, 한 경간씩 앞으로 이동시키면서 교량상부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설치하는 공법이며, 가장 큰 특징은 이동식비계시스템이 지반에 지지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자체로서 이동될 수 있다는 점이다.That is, in the construction of a bridge, the Movable Scaffolding System (MSS) is a mobile scaffolding system, which is a bridge between a bridge and a pier or a pier bridge. When a bridge overhead structure (B) The bridge structure is continuously installed by moving one span forward. The most important feature is that the movable scaffold system can be moved as it is without being supported on the ground.

이에 M.S.S공법의 이동식비계시스템은 기계적 장치를 이용하여 각 경간에 있어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으며, 지형적 조건 및 교량 구조형식 등을 고려하여 제작되는 기계화시스템이므로 품질관리 및 공기단축 등에 유리하여 비교적 높은 교량과 하천 또는 바다 등 지반조건과 무관하게 작업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으나,Therefore, the mobile scaffold system of MSS method can move freely in each span by using mechanical device, and it is a mechanization system which is made considering the topographical condition and the bridge structure type, so it is advantageous for quality control and shortening of air, Or sea, but it is possible to work regardless of the ground condition. However,

종래 이동식비계시스템이 상당히 고가이므로 중소교량에서는 경제성이 없으며, 장비제작 및 작업이 용이하지 않고, 타 교량에 전용이 불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Conventionally, the movable scaffold system is very expensive, so there is no economical efficiency in small and medium sized bridges.

이에 본 발명은 종래 F.S.M 공법(Full Staging Method, 강재지주 지지공법)과 M.S.S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 비계시스템)의 장점을 구비하되 단점을 보완하여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으로 교량상부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제공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advantages of the FSM method (full staging method) and the MSS method (movable scaffolding system), but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ridge superstructure more quickly and economic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able formwork system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첫째, 교량상부구조물(거더 및 슬래브)을 시공하기 위하여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하도록 하되, 이러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종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교량상부구조물을 연속으로 시공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은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종래 M.S.S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 비계시스템)과는 달리 교각, 교대에 매달아 설치하는 것이 아니라, 교각, 교대와 같은 교량하부구조물물의 기초부 상면에 직접 지지되도록 설치하게 된다.First, a movable formwork system is used to construct the bridge superstructure (girders and slabs), and the bridge superstructure is continuously installed while moving the movable formwork system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nlike the conventional movable form scaffolding system (MSS), the movable formwork system is installed not to be suspended at a pier or alternation, but to be supported directly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of the bridge underground structure .

이에 교량 주변의 지반의 상태에 따른 영향을 받지 않고 이동식 비계시스템을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게 된다.Therefore, it is possible to move the movable scaffold system forward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tate of the ground around the bridge.

둘째, 상기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은 2경간에 걸쳐 설치되도록 하여 후방경간에서는 상부슬래브를 포함하여 교량상부구조물을 시공하고, 전방경간에서는 상부슬래브를 제외한 교량상부구조물을 시공한 후,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1경간씩 종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면서 상부슬래브가 시공되지 않은 교량상부구조물과 상부슬래브가 시공된 교량상부구조물을 서로 일체화시키면서 교량상부구조물을 연속으로 시공함으로서 신속하면서도 연속화된 교량상부구조물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Second, the movable formwork system is installed over two spans so that the upper bridge structure including the upper slab is installed at the rear span, the bridge upper structure excluding the upper slab is installed at the front span, It is possible to construct the bridge superstructure quickly and continuously by integrat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where the upper slab is not installed and the bridge superstructure where the upper slab is constructed while continuously mov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in succession .

본 발명에 의한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은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교량하부구조물의 기초부에 지지되도록 종방향 이동식빔을 설치하여 이동시키는 방식을 이용하기 때문에 종래 M.S.S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비계시스템)과 같이 이동식비계시스템을 이동하기 위하여 교량 브라켓과 같은 하중지지구조물 제작, 설치 및 이동 공종을 생략할 수 있어 보다 신속하고 경제적인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Since the movable formwork system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bridge sub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a movable movable beam installed and moved so that the movable formwork system is supported on the foundation of the bridge substructure, the conventional movable formwork system (Movable Scaffolding System,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vable formwork system installed to support a more rapid and economical bridge substructure by omitting the construction, installation and transfer of load supporting structures such as bridge brackets to move the movable scaffold system do.

또한, 본 발명은 종래 F.S.M 공법(Full Staging Method, 강재지주 지지공법)과 같이 가설벤트 설치를 위한 파일이 설치된 기초판을 별도로 시공하지 않으면서 2경간에 걸쳐 교량상부구조물을 일체화시켜 한꺼번에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어 교량 주위 지반의 영향을 받지 않고 교량상부구조물을 시공할 수 있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method of integrating a bridge overhead structure for two spans without installing a foundation plate having a file for installing a temporary vent such as a full staging method (a full staging method) It is possible to provide a mobile formwork system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capable of constructing a bridge overhead structure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surrounding ground of the bridge.

도 1a는 종래 F.S.M 공법(Full Staging Method, 강재지주 지지공법)의 시공단면도,
도 1b는 M.S.S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 비계시스템)의 시공도 및 단면도(a-a),
도 2a 및 도 2b는 본 발명의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 설치 시 사시도 및 발췌 단면도,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의 이동시 사시도 및 발췌 단면도,
도 2e는 본 발명의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 하부 발췌단면도,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의 순서도이다.
FIG. 1A is a construction sectional view of a conventional full staging method (FSM method)
FIG. 1B is a construction diagram and cross-sectional view (aa) of a Movable Scaffolding System (MSS)
FIGS. 2A and 2B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cerpted sectional view of a mobile formwork system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S. 2c and 2d ar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ploded cross-sectional view of a movable formwork system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e is a sectional view of a lower portion of a movable formwork system adapt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3A, 3B and 3C are flowcharts of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able formwork system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will be readily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present invention may, however, be embodied in many different forms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 embodiments set forth herein. In order to clearly illustrate the present invention, parts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are omitted, and similar parts are denoted by like reference character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comprising ", it means that it can include other elements as well, without excluding other elements unless specifically stated otherwise.

[ 교량하부구조물(2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 ][Movable formwork system 100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bridge substructure 200]

도 2a, 도 2b, 도 2c 및 도 2d는 본 발명의 교량하부구조물(200)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의 설치 및 이동 시 사시도 및 발췌 단면도를 도시한 것이다.FIGS. 2a, 2b, 2c and 2d illustrate a perspective view and an excerpt of an installation and movement of a mobile formwork system 100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200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상기 교량하부구조물(200)은 교량상부구조물(300)을 지지하기 위한 교대, 교각을 의미한다.First, the bridge substructure 200 refers to an alternate bridge bridge for support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300.

이러한 교량하부구조물(200)은 도 2b와 같이 파일(210)을 먼저 지반에 시공하고, 파일(210)의 두부에 기초부(220)를 시공하여 형성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기초부(220) 상면에는 상방으로 기둥부(230)가 일체로 형성되게 된다.2B, the bridge substructure 200 is formed by first installing the pile 210 on the ground and constructing the foundation 220 on the pile 210 of the pile 210. Also, the columnar part 230 is integrally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part 220.

이에 상기 기초부(220)는 외부에 노출되는 기둥부(230)와 대비하여 평면면적이 크게 형성됨을 알 수 있다. Thus, it can be seen that the base 220 has a larger planar area than the column 230 exposed to the outside.

본 발명은 이러한 기초부(220)가 파일(210)에 의하여 안정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기초부(220) 상면에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이 지지되어 설치되도록 함으로서 기초부(220) 주위의 지반여건과 상관없이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is such that the foundation 220 is stably installed by the pile 210 so that the movable formwork system 100 is supported and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220 so that the ground conditions around the foundation 220 So that the mobile formwork system 100 can be installed regardless.

상기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은 도 2a 및 도 2c와 같이 2경간에 걸쳐 교량상구구조물(300)을 시공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것으로서 종방향으로 1경간씩 이동하면서 교량상부구조물(300)을 시공하는 기계화된 거푸집시스템이라 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2A and 2C, the movable formwork system 100 is installed to be able to install the bridge structure 300 over two spans, and the bridge structure 300 is constructed by moving the bridge structure 300 by one spa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t is a mechanized formwork system.

이러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은 종래 M.S.S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 비계시스템)과 달리 앞서 살펴본 기초부(220)에 직접 지지되도록 설치된 후, 2경간에 걸친 교량상구조물(300) 시공이 먼저 완료되면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된다.Unlike the conventional MSS method (Movable Scaffolding System), the movable formwork system 100 is installed so as to be directly supported on the base 220 described above, and then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structure 300 over two spans is completed first It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에 상기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기초부지지대(110), 횡방향 빔(120), 이동대차(130), 종방향 이동식빔(140), 가설벤트(150) 및 이동식거푸집(160)을 포함한다.The movable formwork system 100 may include a base station 110, a transverse beam 120, a moving bogie 130, a longitudinal movable beam 140, a hypothetical vent 150, And includes a movable die 160.

먼저 상기 기초부지지대(110)는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기초부(220) 상면에 예컨대 콘크리트블록을 종방향으로 설치하여 상면이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형성된다.First, as shown in FIGS. 2A and 2B, the foundation ground 110 is formed such that a concrete block is vertically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220 so that the upper surface is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상기 콘크리트블록은 기초부 상면에 세팅할 수 있을 정도의 크기를 가진 빔 형태의 블록을 이용할 수 있으며, 후술되는 횡방향 빔(120)으로부터 전달되는 하중을 기초부(220)에 직접 전달하는 기능을 가진다.The concrete block can use a beam-shaped block having a size enough to be set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and has a function of directly transmitting the load transmitted from the laterally-facing beam 120 to the foundation 220 I have.

도 2a 및 도 2b의 경우에는 상기 기초부지지대(110)가 지중에 매립되어 설치된 기초부(220) 상면에 그 상면이 지표면에 노출되도록 하여 기둥부 측방에 위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기초부(220) 마다 설치하게 된다.2A and 2B, it can be seen that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220 is buried in the ground and the upper part of the base part 220 is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220).

이에 횡방향 빔(120), 이동대차(130), 종방향 이동식빔(140), 가설벤트(150) 및 이동식거푸집(160)의 설치 및 작업하중은 기초부지지대(110)를 거쳐 모두 기초부(220)로 전달되도록 하여 교량하부구조물 주위의 지반과 상관없이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을 운용할 수 있게 된다.The installation and working loads of the lateral beam 120, the moving bogie 130,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140, the temporary vent 150 and the movable mold 160 are transmitted to the base portion 110 via the base portion 110, So that the mobile formwork system 100 can be operated regardless of the ground around the bridge substructure.

다음으로 상기 횡방향 빔(120)은 도 2a 및 도 2b와 같이 기초부지지대(110) 상면에 지지되도록 설치되는 일종의 가이드레일로서 기초부의 횡방향 폭 보다 더 큰 연장길이를 가진 형강빔 조립체를 이용하면 된다.2A and 2B, the horizontal beam 120 is a kind of guide rail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foundation 110, and is formed by using a shape beam assembly having an extension length larger than the lateral width of the foundation. .

이에 상면에는 레일(121)이 형성되도록 하여 이동롤러에 의한 이동대차의 횡방향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되며 양 단부에는 측방지지대(122)를 설치하여 이동대차(130)가 제한적인 이동경로를 따라 안전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하되 횡방향 빔(120)은 기초부지지대로부터 분리하여 재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The rail 121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so that the moving carriage can b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by the moving rollers and the lateral support rods 122 are installed at both ends so that the moving carriage 130 can be safely So that the horizontal beam 120 can be separated from the foundation zone and reused.

이에 횡방향 빔(120)은 이동대차(130)가 상면에서 횡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이드빔 역할을 하게 됨을 알 수 있으며, 기초부지지대(110) 상면과 안정적인 이동대차(130) 이동이 가능하도록 횡방향 빔(120) 저면과 지표면 상면에 추가 지표면지지대(123)를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ateral beam 120 serves as a guide beam that allows the moving bogie 130 to move in the lateral direction on the upper surface thereof and is capable of stably moving the bogie 130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landing zone 110 It is desirable to provide an additional ground support 123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transverse beam 120 and on the top surface of the ground surface.

다음으로 상기 이동대차(130)는 앞서 살펴본 횡방향 빔(120)의 상면을 따라 이동하는 강재빔 등을 이용하여 조립 제작된 대차로서 하부에는 이동롤러(131)가 형성되어 횡방향 빔(120)의 레일(121)을 따라 슬라이딩되면서 이동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이동은 압출장치(미도시)를 이용할 수 있는데 이러한 압출장치는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빔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The moving bogie 130 is a bogie assembled by using a steel beam or the like mov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beam 120. The moving bogie 130 is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ogie 130, As shown in FIG. At this time, the movement can utilize an extrusion device (not shown), which is preferably positioned below the transverse beam.

또한 도 2d와 같이 종방향 이동식빔(140)의 위치를 구속하는 거더고정블록(132)이 종방향 이동식빔(140)의 양 측방에 위치하도록 이동대방 상면에 형성되도록 하고, 상면 중앙에는 종방향 이동식빔(140)가 종방향으로 용이하게 슬라이딩 되도록 파여진 홈 형태의 슬라이딩홈(133)을 더 형성시켜 종방향 이동식빔(140)의 용이한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2d, a girder fixing block 132 for restricting the position of the vertically movable beam 140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able base so as to be positioned on both sides of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140, A sliding groove 133 in the form of a groove is formed so that the movable beam 140 is easily slidabl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140 can be easily moved.

즉, 종방향 이동식빔(140)의 저면에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롤러 등을 이용하여 종방향 압출이 용이하도록 하여 이에 종방향 이동식빔(140)의 상,하 세팅 높이를 조절할 수 있는 유압잭(미도시)을 이용하게 된다.That is, it is possible to easily longitudinally extrude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140 using a roller or the like so as to be able to slide along the sliding groove, thereby adjusting the height of the vertically movable beam 140 A hydraulic jack (not shown) is used.

다음으로 도 2a 및 도 2b와 같이 상기 종방향 이동식빔(140)은 일정한 높이를 가진 중공박스, 트러스 조립체, I형강 빔 등을 이용할 수 있는데 이동대차(130)에 의하여 지지되어 이동대차가 횡방향빔을 따라 이동함에 따라 함께 횡방향 이동되며, 도 2c 및 도 2d와 같이 이동대차를 횡방향 빔(120)에 임시로 고정한 후, 압출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도 이동된다.2A and 2B,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140 may be a hollow box having a predetermined height, a truss assembly, an I-beam, or the like. The beam may be supported by the moving truck 130, Are moved laterally together as they move along the beam and are also moved longitudinally using an extruder after temporally securing the moving bogie to the transverse beam 120 as shown in Figures 2c and 2d.

이러한 압출장치는 종방향 이동식빔을 압출시킬 수 있는 유압잭 또는 모터등을 포함하게 되며 M.S.S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 비계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출장치를 이용할 수 있는데 바람직하게는 횡방향 빔 상부에 위치하도록 하게 된다.Such an extrusion apparatus may include a hydraulic jack or a motor capable of extruding a vertically movable beam, and an extrusion apparatus used in an MSS method (Movable Scaffolding System) may be used. Preferably, .

이러한 종방향 이동식빔(140)의 연장길이는 3개의 교각과 같이 교량하부구조물(200) 2경간에 걸쳐 위치할 수 있도록 연장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도록 하여 2경간에 걸쳐 교량상부구조물(300)을 한꺼번에 시공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extended length of the longitudinal moving beam 140 is formed to have an extension length so as to be positioned over the span of the bridge substructure 200 like three bridge piers so that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So that the construction can be done all at once.

다음으로 상기 가설벤트(150)는 종방향 이동식빔(140) 상면에 설치되는 하부지지대(151)와 하부지지대(151)로부터 상방에 위치한 상부지지대(152) 및 상부와 하부지지대(151,152) 사이에 설치된 중간지지대(153)를 포함하며 중간지지대의 형성높이를 조절하여 전체 높이가 조절되도록 하는 기능을 가진 것으로서 종방향 이동식빔(140)와 함께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상부지지대(152) 상면에는 이동식거푸집(160)이 설치된다.Next, the hypothetical vent 150 is installed between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151 and 152 located above the lower support 151 and the upper and lower supports 151 and 152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ly movable beam 140, And has a function of controlling the height of the intermediate suppor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ntermediate support to adjust the height of the intermediate support to move in the longitudinal and lateral directions together with the vertically movable beam 140, A movable mold 160 is installed.

이에 상기 상부 및 하부지지대(151,152)는 예컨대 형강빔을 이용하여 형성되도록 하고, 중간지지대(153)는 형강빔을 트러스 구조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클램프등을 이용하여 상부지지대의 높이를 조절 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The upper and lower supports 151 and 152 may be formed using, for example, a beam of shape steel, the intermediate support 153 may be formed of a truss structure and the height of the upper support may be adjusted using a clamp or the like. .

다음으로는 상기 이동식거푸집(160)은 가설벤트(150) 상면에 형성된 교량상부구조물용 거푸집으로서 교량상부구조물(300)의 형상에 따라 제작되도록 하게 된다.Next, the movable mold 160 is formed as a mold for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ypothetical vent 150,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예컨대 교량상부구조물(300)이 박스 거더인 경우 저판, 양 측벽 및 상부슬래브용 상부플랜지용 거푸집을 포함하는 외부 및 내부거푸집을 포함될 수 있을 것이며, 도 2c 및 도 2d와 같이 이러한 외부 및 내부거푸집은 탈형도 가능하도록 제작된 것이다. 이러한 거푸집시스템은 역시 M.S.S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 비계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압출장치를 이용할 수 있다.For example,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may include an outer and inner die, including a bottom plate, both sidewalls, and an upper flange form for the upper slab, if the box girder is a box girder, and such outer and inner dies as shown in FIGS. 2c and 2d It is designed to be removable. Such a formwork system can also use an extrusion apparatus used in the M.S.S method (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때, 이동식거푸집(160)은 종방향 이동식빔과 가설벤트에 의하여 설치되는 기계식 거푸집시스템으로서 특히 후방경간에서는 저판, 양 측벽 및 상부슬래브용 거푸집을 포함하는 외부 및 내부거푸집을 모두 포함되도록 하고, 전방경간에서는 저판, 양 측벽 거푸집을 포함하는 외부 및 내부거푸집을 포함하도록 하도록 함으로서, M.S.S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이동식 비계시스템)과 대비하여 상부슬래브용 거푸집 형성을 위한 강재량등을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경제성을 확보하도록 하게 된다.At this time, the movable formwork 160 is a mechanical formwork system installed by longitudinally movable beams and a hypothetical vent, in particular including both exterior and interior moldings including the bottom plate, both sidewalls and the upper slab form at the rear span, By including the outer and inner dies including the bottom plate and both sidewall dies in the span,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control the amount of steel for forming the formwork for the upper slab in comparison with the Movable Scaffolding System (MSS) .

이때 상기 하부지지대(152)와 이동대차(130) 상면 사이에는 경사보강재를 더 설치하여 안정적인 가설벤트와 이동식 거푸집의 지지가 가능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an inclined reinforcing material is preferably provided between the lower support 152 and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carriage 130 so as to stably support the temporary vent and the movable mold.

이때, 본 발명에 의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은 도 2c 및 도 2d와 같이 기초부지지대(110), 횡방향 빔(120), 이동대차(130)는 기초부(220)에 세팅되어 있고, 종방향 이동식빔(140), 가설벤트(150) 및 이동식거푸집(160)은 함께 2경간에 걸쳐 설치되어 1경간씩 교량상부구조물(300)의 완성에 따라 종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2C and 2D, the movable formwork system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on the base portion 220, the lateral beam 120, and the moving bogie 130, 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140, the hypothetical vent 150 and the movable mold 160 are installed over two spans together and are moved longitudinally in accordance with completion of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one span.

또한, 후방경간에서는 교량상부구조물의 상부슬래브가 형성되지 않도록 한 상태에서 종방향 이동식빔(140), 가설벤트(150) 및 이동식거푸집(160)이 1경간 이동되면 상기 상부슬래브용 거푸집이 후방경간에 위치하게 되어 후방경간의 상부슬래브과 전방경간의 상부슬래브를 함께 형성시켜 종방향으로 일체화된 교량상부구조물 시공이 가능하도록 하게 된다.In the rear span, when the longitudinal movable beam 140, the temporary bent 150 and the movable mold 160 are moved for one span in a state in which the upper slab of the bridge upper structure is not formed, So that the upper slab of the backward span and the upper slab of the forward span are formed together so that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integrat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can be constructed.

[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mobile formwork system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bridge substructure]

도 3a, 도 3b 및 도 3c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의 순서도를 도시한 것이다.Figures 3a, 3b and 3c show a flow diagram of a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a movable formwork system adapted to be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즉, 앞서 살펴본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을 이용하여 다경간에 걸쳐 교량상부구조물(300)을 연속 시공하는 방법이라 할 수 있다.That is,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may be continuously installed over a plurality of bridges using the movable formwork system 100 installed to be supported on the bridge underground structure.

먼저, 도 2a 및 도 3a와 같이 교량하부구조물인 교대, 교각을 서로 종방향으로 이격되도록 시공하게 되는데 교대는 미 도시되어 있으며, 교각은 적어도 3개 이상이 설치되어 1경간마다 교량상부구조물(300)을 연속 시공하게 된다.2A and 3A, the bridge substructure is alternately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t least three bridges are installed to bridge the bridge structure 300 ).

본 발명은 교각을 기준으로 교량하부구조물(200)을 살펴보며 이에 교량하부구조물(200)은 파일(210)과 기초부(220)를 시공하고, 기초부(220)에 기둥부(230)를 시공하게 된다.The present invention contemplates a bridge substructure 200 based on a bridge pier and the bridge substructure 200 includes a pile 210 and a base portion 220 and a pillar portion 230 on a base portion 220 It will be constructed.

이로서 기둥부(230) 상면에 교량상구조물(200)을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을 이용하여 경간마다 시공하게 된다.Thus, the bridge structure 200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column 230 using the movable formwork system 100 every span.

구체적으로 교량상부구조물(300)인 교각의 기초부(220) 상면에 기초부지지대(110)를 설치하고, 상기 기초부지지대(110) 상면에 횡방향 빔(120)을 지표면지지대(123)를 이용하여 설치하게 된다.Specifically, a foundation foundation 110 is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a foundation 220 of a pier which is a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and a horizontal beam 120 is support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foundation foundation 110 by a ground surface support 123 .

이러한 횡방향 빔(120)은 교량하부구조물인 교각의 기초부 마다 설치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It can be seen that this transverse beam 120 is installed at the base of the bridge pier, the bridge substructure.

다음으로는 상기 횡방향 빔(120)에 이동대차(130)를 설치하여 이동대차(130)가 횡방향 빔(120)을 따라 자주식 또는 비자주식으로 이동(예컨대 횡방향 빔 하부에 설치되는 압출장치 이용)할 수 있도록 세팅하게 된다.A moving carriage 130 is then installed on the transverse beam 120 so that the moving carriage 130 moves along the transverse beam 120 to a self-propelled or non-viscous stock (e.g., And so on).

다음으로는 상기 이동대차(130)에 종방향 이동식빔(140)을 2경간에 걸쳐 설치하게 된다. 이때 교량하부구조물인 교각 1,2 사이를 후방경간(P1), 교량하부구조물인 교각 2,3 사이를 전방경간(P2)으로 구분하며 본 발명의 이동식 거푸집시스템(100)은 상기 후방 및 전방경간(2경간)에 걸쳐 설치하되, 1경간씩 종방향(우측)으로 이동하면서 교량상부구조물(300)을 시공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Next, a longitudinal movable beam 140 is installed on the moving truck 130 over two spans. In this case, the movable formwork system 100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ivided into a rear span P1 between the bridge bridges 1 and 2 and a bridge span 2 between the bridge bridges 2 and 3, (Two spans), and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can be constructed while mov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right side) by one span.

이에 상기 종방향 이동식빔(140)는 3개의 교량하부구조물(200)인 교각의 상면에 설치된 횡방향 빔(120)에 걸쳐 지지되도록 세팅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횡방향및 종방향으로 종방향 이동식빔(140)는 이동대차(130)에 의하여 함께 이동할 수 있게 된다.It will be appreciated that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s 140 are set to be supported over the transverse beams 120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ridge bridges 200 that are three bridging substructures 200, The movable beams 140 can be moved together by the moving carriage 130. [

다음으로는 상기 종방향 이동식빔(140) 상면에 가설벤트(150)와 이동식거푸집(160)을 설치하게 된다.Next, a temporary vent 150 and a movable mold 160 are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vertically movable beam 140.

이때 후방경간에 설치되는 가설벤트와 이동식거푸집은 교량상부구조물(300)에 있어 상부슬래브용 거푸집을 포함하는 이동식거푸집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이에 따른 가설벤트가 설치되고, At this time, the hypothetical vent and the movable mold installed at the rear span are constituted by the movable mold including the mold for the upper slab in the bridge upper structure 300,

전방경간에 설치되는 가설벤트와 이동식거푸집은 교량상부구조물(300)에 있어 상부슬래브용 거푸집을 포함하지 않은 이동식거푸집으로 구성되도록 하여 이에 따른 가설벤트가 설치되도록 하여,The temporary vent and the movable mold installed at the front span are configured as a movable mold that does not include the mold for the upper slab in the bridge upper structure 300,

후방경간 및 전방경간 모두에 상부슬래브용 거푸집을 설치하기 위한 이동식거푸집과 가설벤트를 구비하지 않기 때문에 이동식거푸집 제작의 효율성과 경제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Since both the rear span and the forward span do not include a movable formwork and a provisional vent for installing the formwork for the upper slab, it is possible to secure the efficiency and economy of the movable formwork production.

다음으로는 상기 이동식거푸집(160)에 필요한 철근과 긴장재를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상부슬래브, 양 측벽 및 상부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상부구조물(300)을 먼저 시공하게 된다.Next, a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including an upper slab, both side walls and an upper slab is firstly installed by disposing reinforcing bars and tension members necessary for the movable formwork 160 and casting concrete.

이에 후방경간(A1-A1 단면도, 도 2b 참조)에는 상부슬래브, 양 측벽 및 상부슬래브를 포함하는 교량상부구조물(300)이 형성되며, 전방경간(B1-B1 단면도, 도 2b 참조)에는 상부슬래브, 양 측벽만을 포함하는 교량상부구조물(300)이 형성되도록 함을 알 수 있다.In the rear span (A1-A1 sectional view, see Fig. 2b), a bridge superstructure 300 including an upper slab, both sidewalls and an upper slab is formed and a forward span (B1-B1 sectional view, ,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including only both side walls is formed.

이에 2경간에 걸쳐 교량상부구조물(300)을 일체로 타설할 수 있어 신속한 교량상부구조물 시공이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Thus, it is possible to integrally install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over two spans,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construct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quickly.

다음으로는, 도 2c 및 도 3b와 같이 종방향 이동식빔(140)를 이동대차(130)와 횡방향 빔(120)을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1경간 이동시키게 되는데, 이를 위해 먼저 이동식거푸집(160)과 가설벤트(150)를 시공된 교량상부구조물(300)로부터 횡방향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이는 이동대차(130)가 횡방향 빔(120)을 따라 횡방향으로 이동하여 간단하게 이루어지게 된다.Next, as shown in FIGS. 2C and 3B, the vertically movable beams 140 ar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using the moving bogie 130 and the transverse beams 120. To this end, the movable molds 160 And the temporary vent 150 are laterally separated from the installed bridge superstructure 300. This is accomplished simply by moving the transverse beam 130 in the lateral direction along the transverse beam 120.

이를 도 3b의 A2-A2, B2-B2 단면도(도 2d 참조)에서 확인할 수 있다. 즉 A2-A2 단면도에서 이동대차(130)가 횡방향 빔(120)을 따라 자주식이든, 비자주식이든 이동(예컨대 횡방향 빔 상부에 설치된 압출장치)하게 되면 가설벤트(150)와 이동식거푸집(160), 종방향 이동식빔(140)가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시키게 됨을 알 수 있다.This can be confirmed in the sectional views A2-A2 and B2-B2 of FIG. 3B (see FIG. 2D). That is, in the A2-A2 cross-sectional view, when the moving bogie 130 is self-propelled along the transverse beam 120, or visa stock moves (e.g., an extrusion device installed on top of the transverse beam), the hypothetical vent 150 and the movable mold 160 , It can be seen that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s 140 are moved toge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이와 같이 가설벤트(150)와 이동식거푸집(160), 종방향 이동식빔(140)이 횡방향 으로 이동시킨 후, 후방경간의 교량상부구조물(300)로부터 종방향 이동식빔(140)을 압출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 가설벤트(150)와 이동식거푸집(160)이 함께 이동(예컨대 횡방향 빔의 상부에 설치된 압출장치 이용)되도록 하게 된다.The vertically movable beam 140 is extruded from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of the rear span after the temporary vent 150, the movable mold 160 and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140 are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E.g., using an extrusion device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ransverse beam) with the movable mold 1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이에 본 발명은 종방향 이동식빔(140)가 지표면 근처에서 이동하게 되므로 이동 시 무게중심이 낮아질 수 있어 가설벤트와 이동식거푸집을 보다 안정적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게 된다.Accordingly, since the vertical movable beam 140 moves near the ground surface,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ovable vertical beam 140 can be lowered during the movement, so that the temporary vent and the movable formwork can be more stably moved.

다음으로는 도 3c와 같이, 전방경간(P2)에 시공된 교량상부구조물(300)에 상부슬래브용 거푸집을 포함하는 이동식거푸집(160)이 위치하도록 1경간의 종방향 이동식빔(140) 종방향 이동이 완료되면, 당초 전방경간(P1)이 후방경간이 되고 새로운 전방경간(P3)이 세팅된다.Next, as shown in FIG. 3C, a longitudinally movable beam 140 is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movable mold 160 including the mold for the upper slab is positioned in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installed in the forward span P2. When the movement is completed, the forward span P1 initially becomes the rear span and the new forward span P3 is set.

이에 후방경간(당초 P2)과 새로운 전방경간(P3)에 있어 이동식거푸집을 이용하여 필요한 철근, 긴장재를 역시 배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당초 전방경간이었던 후방경간의 교량상부구조물(300)을 시공 완료된 당초 후방경간의 교량상부구조물이 서로 일체화되도록 하게 된다. 즉, 상부슬래브를 서로 일체화시키는 것이다.Therefore, in the rear span (originally P2) and new forward span (P3), necessary reinforcing bars and tensions are also arranged by using mobile formwork and concrete is laid so that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which was originally a forward span, So that the bridge superstructures of the rear span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That is, the upper slabs are integrated with each other.

나아가 새로운 전방경간은 상부슬래브를 제외한 교량상부구조물(300)을 시공함으로서 1경간 이동에 따른 교량상구구조물 시공이 완성되도록 하게 된다.Further, the new forward span is constructed by installing 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300 excluding the upper slab, thereby completing the construction of the bridge outline structure according to one span movement.

이에 연속하여 1경간씩 종방향 이동식빔(140)을 종방향으로 이동하면서 경간에 교량상부구조물을 연속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된다.The bridge overhead structure can be continuously installed on the span while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s 140 ar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y one span successively.

이에 본 발명의 교량 시공방법에 있어 교량상부구조물의 완성 시 가설벤트, 이동식 거푸집의 분리, 설치 시 유압잭을 이용하여 세팅위치를 조절할 수 있을 것이다.Accordingly, in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bridg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setting position can be adjusted by using the hydraulic jack when the bridge superstructure is completed and the temporary vent and the movable formwork are separated and installed.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It will be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the forego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for illustrative purposes only and that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can readily understand that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are illustrative in all aspects and not restrictive. For example, each component described as a single entity may be distributed and implemented, and components described as being distributed may also be implemented in a combined form.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 이동식 거푸집시스템
110: 기초부지지대
120: 횡방향 빔
121: 레일 122: 측방지지대
123: 지표면지지대 130: 이동대차
131: 이동롤러 132: 거더고정블록
133: 슬라이딩홈 140: 종방향 이동식빔
150: 가설벤트 151: 하부지지대
152: 상부지지대 153: 중간지지대
200: 교량하부구조물 300: 교량상부구조물
P1: 전방경간 P2: 후방경간
P3: 새로운 전방경간
100: Mobile formwork system
110: Foundation land zone
120: transverse beam
121: rail 122: side support
123: ground surface support 130: moving lane
131: moving roller 132: girder fixing block
133: Sliding groove 140: Vertically movable beam
150: hypothetical vent 151: lower support
152: upper support 153: intermediate support
200: bridge substructure 300: bridge superstructure
P1: forward span P2: rear span
P3: New front span

Claims (4)

횡방향 빔에 설치된 이동대차, 상기 이동대차 상면에 설치된 종방향 이동식빔, 상기 종방향 이동식빔 상면에 설치된 가설벤트 및 이동식거푸집을 포함하는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으로서,
(a) 교대, 교각을 포함하는 교량하부구조물의 기초부에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의 횡방향 빔이 직접 지지되도록 설치한 후,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하여 2경간에 걸쳐 후방경간(P1)은 상부슬래브를 완성시키고, 전방경간(P2)은 상부슬래브를 시공하지 않은 상태로 교량상부구조물을 시공하고,
(b) 상기 이동대차를 횡방향으로 이동시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이 먼저 시공된 교량상부구조물로부터 분리되도록 하고,
(c) 상기 횡방향으로 이동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의 종방향 이동식빔을 가설벤트와 이동식거푸집과 함께 종방향으로 1경간 이동시켜 전방경간(P2)의 상부슬래브를 상기 후방경간(P1)의 교량상부구조물와 일체로 시공함과 더불어 새로운 전방경간(P3)은 상부슬래브를 시공하지 않은 상태로 교량상부구조물을 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의 작업하중이 종방향 이동식빔을 통해 기초부로 직접 전달되도록 하며,
상기 이동식거푸집은 후방경간에서는 저판, 양 측벽 및 상부슬래브용 거푸집을 모두 포함되도록 하고, 전방경간에서는 저판, 양 측벽 거푸집을 포함하도록 하며,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이동대차가 횡방향 빔을 따라 이동하게 되면, 가설벤트와 이동식거푸집, 종방향 이동식빔이 함께 횡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A method of constructing a bridge using a movable formwork system comprising a moving bogie installed on a transverse beam, a longitudinally movable beam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moving bogie, a temporary bent installed on an upper surface of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a) After installing the transverse beam of the mobile formwork system directly on the foundation of the bridge substructure including the alternating, pier, the backspan (P1) over the two spans using the movable formwork system, And the front span P2 is used to construct the bridge superstructure without installing the upper slab,
(b) moving the moving truck in a lateral direction so that the mobile formwork system is first detached from the constructed bridge overhead structure,
(c) moving the vertically movable beam of the movable formwork system moved in the transverse direction by one spa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hypothetical vent and the movable formwork so that the upper slab of the forward span (P2) The new forward span (P3), together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structure, includes the step of installing the bridge superstructure without installing the upper slab, so that the workload of the mobile formwork system is transferred directly to the foundation through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And,
The movable formwork includes both a bottom plate, both sidewalls and an upper slab form at the rear span, a bottom plate and both sidewall formers at the forward span,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in the step (b), when the moving truck is moved along the transverse beam, the movable venting mold installed to be supported by the bridge substructure is moved in the lateral direction together with the temporary vent, the movable mold, A method of bridge construction using system.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a)단계의 교량하부구조물의 기초부 상면에는 기초부지지대를 각각 설치하여 지표면에 노출된 기초부지지대에 횡방향 빔이 직접 지지되도록 하여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의 횡방향 빔이 기초부 상면에 직접 지지되도록 하며, 상기 횡방향 빔은 지표면에 추가로 설치된 지표면지지대에 의하여 지표면에 안정적으로 세팅되도록 하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In the step (a), a foundation site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a foundation part of the bridge substructure, so that a lateral beam is directly supported on the foundation site exposed on the ground surface, so that a lateral beam of the movable formwork system is directly Wherein the transverse beam is supported on a bridge substructure for stably setting the transverse beam on the ground surface by an additional ground support mounted on the ground surface.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b)단계의 이동대차는 상면에 종방향 이동식빔이 종방향으로 압출될 수 있도록 슬라이딩홈이 형성되도록 하되, 종방향 이동식빔(140)의 저면에 슬라이딩홈을 따라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이동롤러를 더 설치함으로서 종방향 이동식빔(140)의 종방향 압출이 용이하도록 하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In the step (b), a sliding groove is formed on the upper surface so that the vertically movable beam can be extrud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sliding groove is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140, To support a longitudinally movable extrusion of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140). ≪ RTI ID = 0.0 > [0002] < / RTI >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c)단계의 종방향 이동식빔은 이동대차 상면에 설치된 중공박스, 트러스 조립체 또는 I형강 빔을 이용하되, 횡방향빔을 따라 이동대차가 이동함에 따라 함께 횡방향 이동되며, 이동대차를 횡방향 빔(120)에 임시로 고정한 후, 압출장치를 이용하여 종방향으로도 이동하도록 하는 교량하부구조물에 지지되도록 설치된 이동식 거푸집시스템을 이용한 교량시공방법.
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The longitudinally movable beam in the step (c) uses a hollow box, a truss assembly, or an I-beam,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moving carriage. The moving box moves transversely as the moving carriage moves along the lateral beam. The bridge beam is fixed to the direction beam 120 and then supported by the bridge substructure to be mov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using an extrusion apparatus.
KR1020150027012A 2015-02-26 2015-02-26 Movable scaffolding system mounted upper-structure of bridg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1654742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12A KR101654742B1 (en) 2015-02-26 2015-02-26 Movable scaffolding system mounted upper-structure of bridg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012A KR101654742B1 (en) 2015-02-26 2015-02-26 Movable scaffolding system mounted upper-structure of bridg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58A KR20160104258A (en) 2016-09-05
KR101654742B1 true KR101654742B1 (en) 2016-09-06

Family

ID=5693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012A KR101654742B1 (en) 2015-02-26 2015-02-26 Movable scaffolding system mounted upper-structure of bridg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742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05122A (en) * 2017-11-10 2018-04-13 秦皇岛优益重工科技有限公司 A kind of T-shaped beam twin beams traversing erecting process in parallel
CN109457626B (en) * 2018-10-18 2021-08-24 广西路桥工程集团有限公司 Method for mounting precast beam in height-limited area
CN109397522B (en) * 2018-11-30 2023-11-28 中铁大桥局集团第四工程有限公司 Universal precast beam pedestal suitable for soft soil geology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09944165A (en) * 2019-04-24 2019-06-28 中铁二十四局集团有限公司 A kind of temporary support method of the modularization regulating posture for the installation of prefabricated bent cap
CN110528395A (en) * 2019-09-23 2019-12-03 中交第二航务工程局有限公司 A kind of grouping folding mobile formwork and its curve are crossed across construction method
CN112160255A (en) * 2020-09-01 2021-01-01 中铁十一局集团第一工程有限公司 Counter-force prepressing method and tool for zero-number block bracket of double-limb thin-wall pier
CN112458912B (en) * 2020-11-16 2022-07-26 中铁四局集团第二工程有限公司 Walking type trolley and installation method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2323645A (en) * 2020-11-18 2021-02-05 多门朗工程技术(上海)有限公司 Bridge girder erection machine for simultaneously erecting double-width beams
CN112746564A (en) * 2020-12-31 2021-05-04 中铁二十局集团第六工程有限公司 Movable formwork assembling method
CN112900273B (en) * 2021-01-20 2022-06-10 浙江交工集团股份有限公司 Non-contact platform for erecting cast-in-place beam support on separated old bridge and construction method thereof
CN113089491A (en) * 2021-04-09 2021-07-09 中铁九局集团第七工程有限公司 Construction method of large cantilever prestressed concrete bent cap
CN113699897B (en) * 2021-08-23 2023-02-03 中国建筑第八工程局有限公司 Steel box girder sliding construction device and method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575A (en) * 2005-04-28 2006-11-09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Overhang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sheet web bridge and installation work vehicle
KR101078564B1 (en) * 2009-10-13 2011-11-03 진성토건 주식회사 moving device of side scaffolding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34097A (en) * 2008-09-23 2010-04-01 삼표이앤씨 주식회사 Carriage system used for manufacturing u-typed channel brig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307575A (en) * 2005-04-28 2006-11-09 Ps Mitsubishi Construction Co Ltd Overhang construction method for corrugated steel sheet web bridge and installation work vehicle
KR101078564B1 (en) * 2009-10-13 2011-11-03 진성토건 주식회사 moving device of side scaffolding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4258A (en) 2016-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4742B1 (en) Movable scaffolding system mounted upper-structure of bridg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KR101657994B1 (en) Form traveler,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for using the same
CN101761229B (en) Method for constructing hollow overlapped rib plate support system
KR101632922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non-self launching beam launcher
KR101582611B1 (en) Slab gap adjustment apparatus with longitudinal moving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therewith
CN209408814U (en) A kind of PC track beam form system
JP2008274586A (en) Pillar head construction method
KR20210054303A (en) Concrete lining formwork for tunnels with sloped construction
KR101347113B1 (en) Incremental launching apparatus for constructing shearing pocket-type concrete slab of composite bridge
JP2008303666A (en) Movable suspension support and assembling method of movable suspension support
CN108103945A (en) A kind of whole landing mould bases of cast-in-situ box girder
CN109989330B (en) Continuous track and erection method thereof
CN104120877A (en) Hydraulic formwork creeping system and formwork creeping method
CN109629439B (en) Construction method of single-tower cable-stayed bridge
KR101844977B1 (en) Scaffolding frame for tunnel
KR101344156B1 (en) Improved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for the Prestressed Composite Truss Girder
JP2020183678A (en) Box girder construction method and construction system
KR20150130099A (en) Steel and concrete composite segment for through bridge, and bridge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CN111456764B (en) Heavy lining trolley with pushing sliding type disc buckle support and lining formwork construction method
KR100565361B1 (en) Bridge construction method is by means of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using lateral launching apparatus
CN214561747U (en) Adjustable steel-concrete combined pedestal for prefabricated T-beam
CN214993219U (en) Concrete placement platform truck is contained to apron
CN115559217A (en) Concrete-encased construction method for arch ring of concrete arch bridge with stiff framework
KR20190122925A (en) Bridges Construction Vents
CN210343365U (en) Lining trolley for side wall construc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