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4536B1 -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 Google Patents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4536B1
KR101654536B1 KR1020150088199A KR20150088199A KR101654536B1 KR 101654536 B1 KR101654536 B1 KR 101654536B1 KR 1020150088199 A KR1020150088199 A KR 1020150088199A KR 20150088199 A KR20150088199 A KR 20150088199A KR 101654536 B1 KR101654536 B1 KR 1016545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ving body
rear side
pcb
front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881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우천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선일기연
우천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선일기연, 우천식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선일기연
Priority to KR10201500881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453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45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45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4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 H01R43/2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assembling, maintaining, or repairing of line connectors or current collectors or for joining electric conductors for assembling or disassembling contact members with insulating base, case or sleev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2/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e.g. printed circuit boards [PCB],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e.g. terminal strips, terminal blocks; Coup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Terminals specially adapted for contact with, or insertion into, printed circuits, flat or ribbon cables, or like generally planar structures
    • H01R12/50Fixed connections
    • H01R12/51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 H01R12/55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 H01R12/58Fixed connections for rigid printed circuits or lik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terminals terminals for insertion into h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PCB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단자를 후방측 방향으로부터 전방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자 이송수단; 상기 단자 이송수단의 전방 일측 몸체에 설치되어 단자 이송수단의 전방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단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자 위치감지수단; 상기 단자 위치감지수단에 의해 위치가 조절된 단자 상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몸체 전방측에 설치되어 단자를 파지하는 단자 파지수단; 상기 단자 파지수단을 회전을 통해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몸체 내부에 구동수단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크류부 하부에 스크류부와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부가 형성되고, 스크류부의 상단부에 핸들이 설치되는 승하강수단; 상기 승하강수단의 크랭크부에 의해 단자 파지수단을 개폐시켜 단자를 파지하도록 단자 파지수단 일측부에 설치되는 개폐수단; 상기 단자 위치감지수단과 상호 마주하도록 단자 이송수단의 전방 타측 몸체에 구비되어 단자 파지수단에 파지된 단자와 이송수단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된 단자 사이를 절단하는 단자 절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Transfer and insertion device for a pcb terminals}
본 발명은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단자를 연속 이송시켜 공급되게 함은 물론, PCB에 삽입되는 단자가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 및 파지되도록 단자를 이송하고, 절단 파지된 단자를 PCB의 단자 삽입공에 정확하게 삽입시키는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B에는 퓨즈, 릴레이 등의 각종 전기부품들이 장착되며, 이러한 전기부품을 PCB에 장착하기 위해서는 PCB에 단자를 구비하여야 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은 단자를 PCB에 삽입하기 위한 단자 삽입장치가 개발되었는 바, 이는 단자를 잡았다가 놓게 되는 파지부가 액추에이터 또는 캠구동 방식으로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하로 왕복하는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그래서 상기 파지부의 선단부에 잡힌 단자가 파지부와 함께 연동하여 PCB에 삽입된 뒤, 파지부가 단자를 놓으면서 PCB에 단자가 삽입 설치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삽입장치는 단자 이송장치로부터 이송되는 단자를 공급받아 PCB에 삽입하게 되는데 상기 이송장치는 단자를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킨 후 및 정지하고 파지부와 절단부에 의해 PCB에 단자가 삽입되면 또 다시 단자를 정해진 위치로 이송시킨 후 및 정지하게 된다.
이때 상기 단자가 정지시 후방측에 연결된 다수의 단자의 관성에 의해 정해진 위치에서 미세하게 오차가 발생되고 장시간 사용시 오차범위가 넓어져 정확하고 일정한 파지 및 절단위치에 단자가 위치하지 못하게 되어 파지부가 정확하게 단자를 파지하지 못함은 물론, 그 상태로 단자를 절단시 단자 형태가 파손되며, 잘못 파지된 단자가 PCB에 삽입시 삽입되지 않고 PCB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33777호 (2006.12.06)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단자를 연속적으로 이송시켜 공급되게 함은 물론, PCB에 삽입되는 단자가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 및 파지되도록 단자를 이송하고, 절단 파지된 단자를 PCB의 단자 삽입공에 정확하게 삽입시키는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PCB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하단에 구비되어 단자를 후방측 방향으로부터 전방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자 이송수단; 상기 단자 이송수단의 전방 일측 몸체에 설치되어 단자 이송수단의 전방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단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자 위치감지수단; 상기 단자 위치감지수단에 의해 위치가 조절된 단자 상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몸체 전방측에 설치되어 단자를 파지하는 단자 파지수단; 상기 단자 파지수단을 회전을 통해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몸체 내부에 구동수단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부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크류부 하부에 스크류부와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부가 형성되고, 스크류부의 상단부에 핸들이 설치되는 승하강수단; 상기 승하강수단의 크랭크부에 의해 단자 파지수단을 개폐시켜 단자를 파지하도록 단자 파지수단 일측부에 설치되는 개폐수단; 상기 단자 위치감지수단과 상호 마주하도록 단자 이송수단의 전방 타측 몸체에 구비되어 단자 파지수단에 파지된 단자와 이송수단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된 단자 사이를 절단하는 단자 절단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를 제공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에 의한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는 단자 위치수단에 의해 단자가 파지 및 절단이 되는 정확한 위치에 이송되며, 단자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교체되는 피딩기어는 도구를 사용하지 않고 신속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수리 및 교체 등을 하기 위해 전체구동이 정지시 승하강수단에 구비되는 핸들을 작업자가 수동으로 조작하여 승하강수단을 회전시킬 수 있어 수리 및 교체가 용이한 위치로 단자 파지수단이 이동되어 따로 단자 파지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해 정원공급할 필요없어 신속하게 수리 및 교체 등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단자 파지수단의 이동 및 단자 파지수단을 개폐시키는 개폐수단이 승하강수단 하나로 인해 작동되어 불필요한 조정이 없음은 물론, 교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 이송수단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 이송수단의 측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단자 이송수단의 사용상태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 위치감지수단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승하강수단의 사시도,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개폐수단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에 의한 단자 절단수단의 사용상태 측단면도,
도 12 및 도 13은 본 발명에 의한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의 사용상태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3을 함께 참조하여 보면 본 발명에 의한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는 몸체(10), 단자 이송수단(20), 단자 위치감지수단(30), 단자 파지수단(40), 승하강수단(50), 개폐수단(60), 단자 절단수단(70)으로 이루어진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몸체(10)는 PCB 위치고정수단(미도시됨)에 구성되며, 몸체(10)의 하단에 단자를 이송하는 구비된다.
상기 단자 이송수단(20)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의 하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 수평방향으로 단자를 이송시키는 안내레일(21)이 설치되고, 안내레일(21)의 일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2)이 구비된다.
상기 회전축(22)의 상부에 회전축(2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단자를 이송시키도록 외경에 따라 다수의 기어이(23a)가 형성되는 피딩기어(23)가 구비되며, 피딩기어(23)의 상단부에‘━’형태로 수용홈(24)이 형성되고, 피딩기어(23)의 상단부에‘┃’형태로 관통공(25)이 형성된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딩기어(23)의 기어이(23a) 부분 양측면에 만곡부(23b)를 더 형성하여 단자와 단자 사이로 피딩기어(23)의 기어이(23a) 부분이 원활하게 삽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수용홈(24) 수용되어 피딩기어(23)를 회전축(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방지하는 이탈방지핀(26)이 회전축(22)의 상부에 설치되며, 피딩기어(23)를 탄성력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이탈방지핀(26)이 수용홈(24) 수용되게 하는 제1탄성스프링(27)이 피딩기어(23) 하부 회전축(22) 외경에 구비된다.
상기 피딩기어(23)와 상호 마주하는 안내레일(21) 타측에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단자의 측면을 가압하여 단자를 피딩기어(23) 밀착시키는 가압롤러(28)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단자의 크기 또는 모양에 따라 단자와 단자 사이 이격간격이 달라짐으로 이에 맞추어 피딩기어(23)를 제작하여 단자의 크기에 따라 피딩기어(23)를 교체한다.
상기 피딩기어(23)를 교체하기 위해서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회전축(22)에 구비된 피딩기어(23)를 손으로 힘을 가해 하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수용홈(24)에 수용된 이탈방지핀(26)을 외부 노출시킨다.
그런 다음 상기 이탈방지핀(26) 하부에 관통공(25)이 위치되도록 피딩기어(23)를 90도 방향으로 회전시킨 후 손의 힘을 빼면 피딩기어(23) 하부에 위치한 제1탄성스프링(27)의 탄성력으로 피딩기어(23)가 상부방향으로 이동하게되고 이로 인해 관통공(25)으로 이탈방지핀(26)이 삽입 통과되며 피딩기어(23)는 회전축(22)으로부터 분리된다.
상기 피딩기어(23)를 재결합하기 위해서는 은 상기와 같은 분리의 역순으로 결합시키면 된다. 상기와 같은 결합구조로 인해 도구가 필요없이 신속 용이하게 피딩기어(23)를 교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이송수단(20)에 의해 몸체(10)의 전방으로 이송되는 단자가 정확한 위치에서 절단 및 파지되도록 단자 이송수단(20)의 전방 일측 몸체(10)에 단자 위치감지수단(30)이 설치된다.
상기 단자 위치감지수단(3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되는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후방 일측면이 밀착되는 제1이동체(31)가 몸체(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제1이동체(31)의 후방 일측면이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탄성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제2탄성스프링(32)이 제1이동체(31)의 후방 타측면과 몸체(10) 내측면 사이에 서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1이동체(31) 전단부의 이동에 따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자 이송수단(20)의 전방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단자와 단자 사이 이격공간으로 수용되는 사각바 형태인 수용핀(33)이 단자 이송수단(20)의 전방 일측 몸체(10)에 설치된다.
이때 상기 수용핀(33)은 단자와 단자 사이 이격공간의 수평거리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며, 사각바 형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이동체(31)에 의해 단자방향으로 이동된 수용핀(33)이 단자와 단자 사이 이격공간이 아닌 단자 측면에 부딪쳐 미수용되면 수용핀이(33)이 수용될 수 있도록 단자 이송수단(20)이 전·후방방향으로 단자를 이송시켜 수용핀(33)이 단자와 단자 사이 이격공간으로 수용되도록 하여 단자를 파지 및 절단되는 정확한 위치로 이송되게 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사각바 형태인 수용핀(33)의 직각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직각인 단자와 단자 사이 이격공간으로 수용핀(33)이 수용된다.
그러나 상기 단자의 이송각도가 기울어지게 되면 수용핀(33)의 직각과 단자와 단자 사이 이격공간의 직각 각도가 서로 달라져 수용핀(33)이 단자와 단자 사이 이격공간으로 미수용됨으로 인해 단자의 이송각도가 감지되어 보정되게 할 수 있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되 바와 같이 단자 위치감지수단(30)에 의해 위치가 조절된 단자 단자를 파지하는 단자 파지수단(40)이 몸체(10) 전방측에 설치된다.
상기 단자 파지수단(40)은 단자의 일측면을 파지하는 제1파지부(41)가 후술되는 승하강수단(50)에 의해 상·하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몸체(10) 전방측에 설치된다.
또한 상기 제1파지부(41)와 상호마주하게 위치하여 단자의 타측면을 파지하는 제2파지부(42)가 제1파지부(41)에 힌지결합되어 후술되는 개폐수단(6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고, 제1파지부(41)의 후방측에 제1파지부(41)를 상·하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레일(43)이 설치된다.
상기 제1파지부(41)를 탄성력으로 상부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탄성스프링(44)이 제1파지부(41)의 상부측과 몸체(10)의 전방 상부측에 사이에 서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상기 단자 파지수단(40)을 상·하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승하강수단(5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0) 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수단(50)은 회전을 통해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몸체(10) 내부에 구동수단(100)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부(5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크류부(51) 하부에 스크류부(51)와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부(52)가 형성되고, 승하강수단(50)의 핸들(53)은 수리 및 교체 등의 전체구동이 정지시 수동으로 승하강수단(50)을 회전시키도록 스크류부(51)의 상단부에 핸들(53)이 설치된다.
한편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에 의해 단자 파지수단(40)을 개폐시켜 단자를 파지하도록 하는 개폐수단(60)이 단자 파지수단(40) 일측부에 설치된다.
상기 개폐수단(60)은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후방 일측면이 밀착되는 제2이동체(61)가 몸체(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제2이동체(61)의 후방 일측면이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탄성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제4탄성스프링(62)이 제2이동체(61)의 후방 타측면과 몸체(10) 내측면 사이에 서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2이동체(61) 전단부의 이동에 따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지수단(40)을 개폐시키는 제3이동체(63)가 몸체(10)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제3이동체(63)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안내레일(64)이 제3이동체(63) 후방 몸체(10) 전방측에 구비된다.
그리고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파지수단(40)에 파지된 단자와 이송수단(20)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된 단자 사이를 절단하는 단자 절단수단(70)이 단자 위치감지수단(30)과 상호 마주하도록 단자 이송수단(20)의 전방 타측 몸체(10)에 구비된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단자 절단수단(70)은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후방 일측면이 밀착되는 제4이동체(71)가 몸체(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제4이동체(71)의 후방 일측면이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탄성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제5탄성스프링(72)이 제4이동체(71)의 후방 타측면과 몸체(10) 내측면 사이에 서로 연결되게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제4이동체(71) 전단부의 이동에 따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자 위치감지수단(30)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단자와 단자 사이를 절단하는 절단구(73)가 단자 이송수단(20)의 전방 타측 몸체(10)에 단자 위치감지수단(30)과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단자 절단수단(70)에 의해 절단된 단자는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자 파지수단(40)에 파지된 상태로 승하강수단(50)의 스크류부(51) 형태에 의해 하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여 PCB에 삽입된다.
상기 단자를 PCB에 삽입시키도록 이동한 파지수단(40)은 개폐수단(60)으로 인해 단자의 파지가 해제되며, 파지가 해제된 파지수단(40)은 몸체(10)와 연결된 제3탄성스프링(44)의 탄성과 승하강수단(50)의 스크류부(51) 형태에 의해 상부 수직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단자를 또 다시 파지하고 절단된 단자를 PCB에 삽입하게 된다.
10 : 몸체 20 : 단자 이송수단
30 : 단자 위치감지수단 40 : 단자 파지수단
50 : 승하강수단 60 : 개폐수단
70 : 단자 절단수단

Claims (6)

  1.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에 있어서,
    상기 PCB 상부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몸체(10);
    상기 몸체(10)의 하단에 구비되어 단자를 후방측 방향으로부터 전방측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단자 이송수단(20);
    상기 단자 이송수단(20)의 전방 일측 몸체(10)에 설치되어 단자 이송수단(20)의 전방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단자의 위치를 감지하는 단자 위치감지수단(30);
    상기 단자 위치감지수단(30)에 의해 위치가 조절된 단자 상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승하강되도록 몸체(10) 전방측에 설치되어 단자를 파지하는 단자 파지수단(40);
    상기 단자 파지수단(40)을 회전을 통해 상·하 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몸체(10) 내부에 구동수단의 회전력으로 회전하는 스크류부(51)가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며, 스크류부(51) 하부에 스크류부(51)와 함께 회전하는 크랭크부(52)가 형성되고, 스크류부(51)의 상단부에 핸들(53)이 설치되는 승하강수단(50);
    상기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에 의해 단자 파지수단(40)을 개폐시켜 단자를 파지하도록 단자 파지수단(40) 일측부에 설치되는 개폐수단(60);
    상기 단자 위치감지수단(30)과 상호 마주하도록 단자 이송수단(20)의 전방 타측 몸체(10)에 구비되어 단자 파지수단(40)에 파지된 단자와 이송수단(20)을 통해 전방으로 이송된 단자 사이를 절단하는 단자 절단수단(70);
    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이송수단(20)은,
    상기 몸체(10)의 하단부에 후방측으로부터 전방측 수평방향으로 단자를 이송시키는 안내레일(21)이 설치되고,
    상기 안내레일(21)의 일측에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회전축(22)이 구비되며,
    상기 회전축(22)의 상부에 회전축(22)의 회전에 의해 회전하여 단자를 이송시키도록 외경에 따라 다수의 기어이(23a)가 형성되는 피딩기어(23)가 구비되며,
    상기 피딩기어(23)의 상단부에‘━’형태로 수용홈(24)이 형성되고,
    상기 피딩기어(23)의 상단부에‘┃’형태로 관통공(25)이 형성되며,
    상기 수용홈(24) 수용되어 피딩기어(23)를 회전축(22)으로부터 이탈되지 않게 방지하는 이탈방지핀(26)이 회전축(22)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피딩기어(23)를 탄성력으로 상부방향으로 이동시켜 이탈방지핀(26)이 수용홈(24) 수용되게 하는 제1탄성스프링(27)이 피딩기어(23) 하부 회전축(22) 외경에 구비되며,
    상기 피딩기어(23)와 상호 마주하는 안내레일(21) 타측에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단자의 측면을 가압하여 단자를 피딩기어(23) 밀착시키는 가압롤러(28)가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위치감지수단(30)은,
    상기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후방 일측면이 밀착되는 제1이동체(31)가 몸체(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1이동체(31)의 후방 일측면이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탄성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제2탄성스프링(32)이 제1이동체(31)의 후방 타측면과 몸체(10) 내측면 사이에 서로 연결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1이동체(31) 전단부의 이동에 따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자 이송수단(20)의 전방으로 이송되어 배출되는 단자와 단자 사이 이격공간으로 수용되는 사각바 형태인 수용핀(33)이 단자 이송수단(20)의 전방 일측 몸체(10)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파지수단(40)은,
    상기 단자의 일측면을 파지하는 제1파지부(41)가 승하강수단(50)에 의해 상·하수직방향으로 이동되도록 몸체(10) 정방측에 설치되며,
    상기 제1파지부(41)와 상호마주하게 위치하여 단자의 타측면을 파지하는 제2파지부(42)가 제1파지부(41)에 힌지결합되어 개폐수단(60)에 의해 개폐되도록 구비되고,
    상기 제1파지부(41)의 후방측에 제1파지부(41)를 상·하수직방향으로 안내하는 제1안내레일(43)이 설치되며,
    상기 제1파지부(41)를 탄성력으로 상부수직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제3탄성스프링(44)이 제1파지부(41)의 상부측과 몸체(10)의 전방 상부측에 사이에 서로 연결되게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수단(60)은,
    상기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후방 일측면이 밀착되는 제2이동체(61)가 몸체(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제2이동체(61)의 후방 일측면이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탄성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제4탄성스프링(62)이 제2이동체(61)의 후방 타측면과 몸체(10) 내측면 사이에 서로 연결되게 구비되며,
    상기 제2이동체(61) 전단부의 이동에 따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파지수단(40)을 개폐시키는 제3이동체(63)가 몸체(10)의 전방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이동체(63)를 좌·우 수평방향으로 안내하는 제2안내레일(64)이 제3이동체(63) 후방 몸체(10) 전방측에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 절단수단(70)은,
    상기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후방 일측면이 밀착되는 제4이동체(71)가 몸체(10)의 내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제4이동체(71)의 후방 일측면이 승하강수단(50)의 크랭크부(52) 외경에 탄성력으로 밀착되도록 하는 제5탄성스프링(72)이 제4이동체(71)의 후방 타측면과 몸체(10) 내측면 사이에 서로 연결되게 구비되고,
    상기 제4이동체(71) 전단부의 이동에 따라 좌·우 수평방향으로 이동하여 단자 위치감지수단(30)에 의해 위치가 조절되는 단자와 단자 사이를 절단하는 절단구(73)가 단자 이송수단(20)의 전방 타측 몸체(10)에 단자 위치감지수단(30)과 상호 마주하도록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KR1020150088199A 2015-06-22 2015-06-22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KR1016545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199A KR101654536B1 (ko) 2015-06-22 2015-06-22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88199A KR101654536B1 (ko) 2015-06-22 2015-06-22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4536B1 true KR101654536B1 (ko) 2016-09-22

Family

ID=571025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88199A KR101654536B1 (ko) 2015-06-22 2015-06-22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453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559B1 (ko) * 2016-12-16 2018-05-30 주식회사 선일기연 Pcb용 단자 삽입기의 삽입력 조절장치
KR102534727B1 (ko) * 2021-12-15 2023-05-26 주식회사 선일기연 Pcb용 터미널 캐리어 자동 연속공급장치 및 그 자동 연속공급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444A (ja) * 1999-10-29 2001-05-1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実装機
KR100454872B1 (ko) * 2004-04-10 2004-11-03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KR200433777Y1 (ko) 2006-09-29 2006-12-12 (주)창일 목재 데크
KR20110002504U (ko) * 2009-09-04 2011-03-10 이원종 커넥터단자의 단자이음부 자동 취출장치
KR20110008504U (ko) * 2010-02-26 2011-09-01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전선스토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35444A (ja) * 1999-10-29 2001-05-18 Auto Network Gijutsu Kenkyusho:Kk 端子実装機
KR100454872B1 (ko) * 2004-04-10 2004-11-03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펀치높이 조절기구
KR200433777Y1 (ko) 2006-09-29 2006-12-12 (주)창일 목재 데크
KR20110002504U (ko) * 2009-09-04 2011-03-10 이원종 커넥터단자의 단자이음부 자동 취출장치
KR20110008504U (ko) * 2010-02-26 2011-09-01 이지봉 단자결착기의 전선스토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2559B1 (ko) * 2016-12-16 2018-05-30 주식회사 선일기연 Pcb용 단자 삽입기의 삽입력 조절장치
KR102534727B1 (ko) * 2021-12-15 2023-05-26 주식회사 선일기연 Pcb용 터미널 캐리어 자동 연속공급장치 및 그 자동 연속공급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904683B2 (ja) 棒材供給機
EP3135428B1 (en) Tool magazine and tool exchange device
BR112016010060B1 (pt) Dispositivo de substituição para substituir insertos de usinagem em uma ferramenta, e, método de substituição de um ou mais insertos de usinagem em uma ferramenta
KR101689001B1 (ko) 커넥터용 터미널 핀 커팅 및 삽입 장치
JP6259462B2 (ja) チャック装置及び部品装着機
EP3037190B1 (en) Gripping device for mechanical fasteners
KR101654536B1 (ko) Pcb용 단자 이송 및 삽입장치
KR100695879B1 (ko) 전자부품용 단자 자동용접장치
US10052676B2 (en) Twist application device with an adjustable distance between the conductor ends
EP3841856A1 (de) Verdrahtungsroboter und verfahren zum verdrahten, system und verfahren zum planen von verdrahtungen, system und verfahren zum erfassen von bauteilen
US10427267B2 (en) Machine and processes for fitting cable bushings
JPH04289049A (ja) ケーブル片を搬送するための装置
JP2899335B2 (ja) 端子挿入装置
JP2013248672A (ja) 棒材切断装置
KR101121275B1 (ko) 스티칭머신
WO2016113896A1 (ja) キャリアテープ切断装置および切断方法ならびにキャリアテープ供給方法
US8545374B2 (en) System as well as a machining device, a chuck, a jaw connecting element, a jaw exchanging device and a method
JP2005259509A (ja) 防水シール挿入装置
TWI704878B (zh) 打開件供給方法及打開件供給裝置
EP3110240B1 (en) Component mounting machine including a component transfer device
EP3167969B1 (en) Machine to process bars made of aluminium, light alloys, pvc or the like
KR200418898Y1 (ko) 전자부품용 단자 자동용접장치
KR101671098B1 (ko) 커넥터 조립시 단자핀간 피치조정이 가능한 스티칭 머신
JP4452144B2 (ja) 電子回路部品装着機
JPH07185965A (ja) 回転部材自動組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