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964B1 -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 Google Patents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964B1
KR101653964B1 KR1020140122024A KR20140122024A KR101653964B1 KR 101653964 B1 KR101653964 B1 KR 101653964B1 KR 1020140122024 A KR1020140122024 A KR 1020140122024A KR 20140122024 A KR20140122024 A KR 20140122024A KR 101653964 B1 KR101653964 B1 KR 1016539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contents
learning
screen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20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2335A (ko
Inventor
정성은
Original Assignee
(주)위버스마인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위버스마인드 filed Critical (주)위버스마인드
Priority to KR10201401220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964B1/ko
Publication of KR20160032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2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9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96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06Q50/205Education administration or guidanc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컨텐츠 저장부, 관리부 및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및 이를 이용한 인터랙션 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학습자가 off-line강의를 듣는 것과 유사한 학습환경을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집중력이 유지되도록 하고, 틀린 문제를 간단한 절차에 의하여 복습할 수 있도록 하여 학습자의 학습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Description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INTERACTION LEARNING APPARATUS}
본 발명은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학습자가 본 발명에서 재생되는 동영상 강의에 집중력을 유지하도록 하고 학습효율을 높일 수 있는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동영상강의를 재생하는 학습 단말기이다.
기존의 학습 단말기는, 학습자가 동영상강의를 수강하는 경우, 동영상 강의의 재생 중에 학습자가 풀어볼 문제가 제공되는 화면이 나오고, 학습자가 답을 입력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화면의 구성이 상기 동영상 강의의 재생 중에 문제가 제공되는 화면의 구성과 이질적이어서, off-line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에 비하여 학습자의 집중력이 낮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학습자가 상기 동영상강의에서 제공되는 문제를 다시 복습하고자 할 때, 다시 동영상강의를 처음부터 재생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 제10-0968795호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다.
그러나 상기 한국등록특허 제10-0968795호 역시 상술한 문제점에 대한 해결책을 전혀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동영상강의의 재생 중에 문제가 제공되는 화면의 구성과 학습자가 답을 입력하여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화면의 구성이 동일하도록 하여, 학습자가 off-line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의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도록,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학습자가 동영상강의에서 제공되는 문제를 다시 복습하고자 할 때, 틀린 문제에 대하여 다시 풀어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학습 효율을 제고할 수 있도록,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는, 동영상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단말기로서, 하나 이상의 문제 풀이 삽입 신호가 각각 포함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하나 이상 저장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 DB(111)와,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재생 시 상기 문제풀이 삽입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문제식별코드가 각각 포함되고 문제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 텍스트 정보와 문제 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제 컨텐츠가 포함된 문제 컨텐츠 DB(112)를 포함하는 컨텐츠 저장부(110); 및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DB(111)에 저장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 중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을 통해 출력되고, 상기 출력되는 동영상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문제풀이 삽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문제풀이 삽입 신호에 대응되는 문제식별코드가 포함된 문제 컨텐츠의 문자 텍스트 정보만을 상기 문제 컨텐츠 DB(112)에서 추출하여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출력 중인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의 특정 영역에 자막 형태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문자 텍스트 정보에 대한 문제풀이 진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며, 상기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을 통해 문제풀이 건너뛰기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출력되는 문자 텍스트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을 통해 문제풀이 진행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출력중인 동영상 학습 컨텐츠를 일시정지 시키고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전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발생된 문제풀이 삽입신호에 대응되는 문제 컨텐츠의 이미지 정보 및 문자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제풀이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관리부(120); 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풀이화면의 이미지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중에 문자 텍스트 정보가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의 특정 영역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텐츠 저장부(110)는, 상기 문제 컨텐츠에 각각 대응되는 문제해설식별코드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문제해설 컨텐츠가 기 저장된 문제해설 컨텐츠 DB(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120)는, 상기 문제풀이화면에 포함된 문제 컨텐츠에 대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입력된 답 선택신호에 대한 문제 컨텐츠에 대응되는 문제해설식별코드가 포함된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 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고,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문제해설 종료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문제해설 종료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일시정지 상태의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문제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질의내용 컨텐츠와 상기 질의내용 컨텐츠에 대한 정답이 포함된 복수 개의 정답 선택항목 컨텐츠를 포함하는 객관식 문제 형태의 컨텐츠이고,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는, 상기 문제 컨텐츠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정답 선택항목 컨텐츠에 대해 답 선택신호로 입력될 수 있는 모든 경우 각각에 대해 별도로 기 제작되어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 DB(113)에 저장되며, 상기 관리부(120)는, 상기 문제풀이화면에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답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문제해설 컨텐츠를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 DB(113)에서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추출된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컨텐츠 저장부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각각에 대한 문제정오테이블을 포함하는 학습관리 DB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제 컨텐츠 각각은, 상기 문제 컨텐츠에 대한 문제의 정답 정보가 포함된 정답식별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는, 상기 문제풀이화면에 포함된 문제 컨텐츠에 대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답 선택신호와 상기 답 선택신호가 입력된 문제 컨텐츠에 포함된 정답식별코드를 비교하여, 해당 문제 컨텐츠에 대해 입력된 답 선택신호의 정(正) 또는 오(誤) 정보를 상기 문제정오테이블에 저장하며,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 동영상 학습 컨텐츠 종료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종료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종료 신호가 발생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에 대한 문제정오테이블에 저장된 답 선택신호의 정(正) 또는 오(誤)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관리부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 상기 재생 종료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에 대한 문제정오테이블에 저장된 정 또는 오 정보 중 오 정보에 대응되는 문제 컨텐츠에 대한 재 학습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복습여부 선택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복습여부 선택 아이콘을 통해 재 학습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상기 오 정보에 대응되는 문제 컨텐츠에 대한 문제풀이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며, 상기 문제풀이화면에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이 상기 입력된 답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는, 동영상강의의 재생 중에 학습자가 풀어볼 문제가 제공되는 화면의 구성과 학습자가 답을 입력하는 화면의 구성이 이질적이지 않도록 함으로써, 그리고 학습자가 동영상강의에서 제공되는 문제를 다시 복습하고자 할 때 다시 동영상강의를 처음부터 재생시키지 않아도 되도록 하여 학습효율이 제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의 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의 컨텐츠 저장부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의 정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의 이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는 동영상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단말기로서, 하나 이상의 문제 풀이 삽입 신호가 각각 포함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하나 이상 저장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 DB(111)와,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재생 시 상기 문제풀이 삽입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문제식별코드가 각각 포함되고 문제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 텍스트 정보와 문제 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제 컨텐츠가 포함된 문제 컨텐츠 DB(112)를 포함하는 컨텐츠 저장부(110); 및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DB(111)에 저장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 중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을 통해 출력되고, 상기 출력되는 동영상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문제풀이 삽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문제풀이 삽입 신호에 대응되는 문제식별코드가 포함된 문제 컨텐츠의 문자 텍스트 정보만을 상기 문제 컨텐츠 DB(112)에서 추출하여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출력 중인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의 특정 영역에 자막 형태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문자 텍스트 정보에 대한 문제풀이 진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며, 상기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을 통해 문제풀이 건너뛰기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출력되는 문자 텍스트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을 통해 문제풀이 진행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출력중인 동영상 학습 컨텐츠를 일시정지 시키고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전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발생된 문제풀이 삽입신호에 대응되는 문제 컨텐츠의 이미지 정보 및 문자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제풀이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관리부(120); 를 포함한다.
즉,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DB(111)에는 하나 이상의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포함되어 있으며,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시 하나 이상의 시점에 문제풀이 삽입신호가 발생되도록 하여 상기 문제풀이 삽입신호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관리부(120)에 의하여 상기 문제의 문자 텍스트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어 표시되고, 상기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이 제공됨으로써 학습자는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하여 확인할 것인지 아니면 문제를 건너 뛸 것인지를 결정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문자 텍스트 정보가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의 특정 영역은, 도 4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동영상 화면에서의 칠판이 될 수 있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오른쪽 하단부 등이 될 수 있다.
학습자가 문제에 대한 답을 입력하여 확인할 것을 결정하는 경우에,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나타나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는 일시정지 되고, 학습자가 문제를 보고 답을 입력할 수 있는 문제풀이화면으로 전환된다.
여기서, 상기 문제풀이화면의 이미지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중에 문자 텍스트 정보가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의 특정 영역의 이미지가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상기 문제풀이화면의 이미지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의 특정 영역의 이미지인 칠판의 이미지로 구성됨을 보여준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자는 off-line 강의를 수강하는 경우와 유사한 학습환경을 제공받음으로써, 학습자의 학습효과의 제고를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컨텐츠 저장부(110)는, 상기 문제 컨텐츠에 각각 대응되는 문제해설식별코드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문제해설 컨텐츠가 기 저장된 문제해설 컨텐츠 DB(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120)는, 상기 문제풀이화면에 포함된 문제 컨텐츠에 대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입력된 답 선택신호에 대한 문제 컨텐츠에 대응되는 문제해설식별코드가 포함된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 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고,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문제해설 종료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문제해설 종료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일시정지 상태의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학습자가 상기 문제풀이화면을 통하여 문제의 답을 입력하게 되면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이 요구되는데,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나타나도록 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에는 문제해설식별코드가 포함되도록 하고, 상기 문제풀이화면에서 답의 선택이 완료되어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문제에 대한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되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나타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문제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질의내용 컨텐츠와 상기 질의내용 컨텐츠에 대한 정답이 포함된 복수 개의 정답 선택항목 컨텐츠를 포함하는 객관식 문제 형태의 컨텐츠이고,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는, 상기 문제 컨텐츠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정답 선택항목 컨텐츠에 대해 답 선택신호로 입력될 수 있는 모든 경우 각각에 대해 별도로 기 제작되어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 DB(113)에 저장되며, 상기 관리부(120)는, 상기 문제풀이화면에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답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문제해설 컨텐츠를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 DB(113)에서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추출된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객관식 문제의 선택지가 1번 내지 4번이고 4개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문제인 경우에 상기 선택지인 1번 내지 4번에 대한 각각의 문제해설 컨텐츠가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 DB(113)에 저장되어 있어서, 학습자가 선택한 답에 대한 문제해설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재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상기 객관식 문제가 2개의 질의내용으로 구성되고 각 질의에 대한 선택지가 1번 내지 3번인 경우에는, 각 질의에 대한 선택의 조합에 대응되어 문제해설 컨텐츠가 제공되므로 9개의 문제해설 컨텐츠가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 DB(113)에 각각 저장되고, 학습자가 선택한 답에 대한 문제해설 컨텐츠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재생되어 출력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각기 다른 답을 선택한 학습자에 대하여 맞춤형 학습환경을 제공하게 되고, 이로써 학습자의 학습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컨텐츠 저장부(110)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각각에 대한 문제정오테이블을 포함하는 학습관리 DB(1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제 컨텐츠 각각은, 상기 문제 컨텐츠에 대한 문제의 정답 정보가 포함된 정답식별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120)는, 상기 문제풀이화면에 포함된 문제 컨텐츠에 대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답 선택신호와 상기 답 선택신호가 입력된 문제 컨텐츠에 포함된 정답식별코드를 비교하여, 해당 문제 컨텐츠에 대해 입력된 답 선택신호의 정(正) 또는 오(誤) 정보를 상기 문제정오테이블에 저장하며,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 동영상 학습 컨텐츠 종료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종료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종료 신호가 발생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에 대한 문제정오테이블에 저장된 답 선택신호의 정(正) 또는 오(誤)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즉, 학습자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중에 제공되는 문제를 풀고 그 결과를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종료 후에 바로 알 수 있게 됨으로써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학습 내용 중에서 실력이 부족한 부분을 바로 알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관리부(120)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 상기 재생 종료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에 대한 문제정오테이블에 저장된 정 또는 오 정보 중 오 정보에 대응되는 문제 컨텐츠에 대한 재 학습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복습여부 선택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복습여부 선택 아이콘을 통해 재 학습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오 정보에 대응되는 문제 컨텐츠에 대한 문제풀이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며, 상기 문제풀이화면에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입력된 답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종료시, 학습자는 제공된 문제를 다시 풀어야 할 필요가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틀린 문제에 대하여 그러하다. 상기 관리부(120)는 이와 같은 요구를 구현할 수 있는데, 학습자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종료시 복습여부를 선택할 수 있고 복습을 하는 경우 틀린 문제에 대한 정보를 상기 문제정오테이블로부터 추출하여 틀린 문제를 연속적으로 다시 풀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학습자의 학습효과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를 이용한 인터랙션 학습방법(S100)이 고려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인터랙션 학습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랙션 학습방법(S100)은,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DB(111)에 저장된 학습 컨텐츠 중 하나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을 통해 출력되고, 상기 출력되는 동영상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문제풀이 삽입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문제풀이 삽입신호에 대응되는 문제식별코드가 포함된 문제 컨텐츠의 문자 텍스트 정보가 상기 문제 컨텐츠 DB(112)에서 추출되어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출력 중인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의 특정 영역에 자막 형태로 출력되고, 상기 문제에 대한 문제풀이 진행 여부를 선택하는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이 제공되는, 학습컨텐츠 재생단계(S110);, 상기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을 통해 문제풀이 건너뛰기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출력되는 문제 텍스트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지 않게 되고, 문제풀이 진행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출력중인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일시정지 되며,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전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발생된 문제풀이 삽입신호에 대응되는 문제 컨텐츠의 이미지 정보 및 문자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제풀이화면으로 전환되는, 문제풀이단계(S120); 및 상기 문제풀이화면에서 답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문제에서 선택되는 답에 대응되는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는 문제해설단계(S130);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문제해설단계(S130)는, 상기 문제풀이화면에서 답의 선택이 완료되면 상기 선택된 답과 상기 대응되는 정답식별코드가 비교되어 정오 여부가 상기 문제정오테이블에 저장되는 문제정오판단단계(S131)를 포함하며,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에 대응되는 문제정오테이블로부터 틀린 문제가 추출되고, 틀린 문제가 있는 경우 상기 틀린 문제에 대하여 다시 풀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복습여부 선택 아이콘이 제공되고, 상기 복습여부 선택 아이콘을 통해 틀린 문제를 다시 푸는 것으로 선택되면 상기 틀린 문제에 대응되는 문제풀이 삽입신호가 발생되며, 틀린 문제가 복수인 경우 상기 문제풀이 삽입신호에 대응되는 문제해설 종료신호가 발생되거나 상기 문제풀이 건너뛰기 신호가 발생되면 순차적으로 틀린 문제에 대응되는 문제풀이 삽입신호가 발생되는 문제복습단계(S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의 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110: 컨텐츠 저장부
111: 동영상 학습 컨텐츠 DB
112: 문제 컨텐츠 DB
113: 문제해설 컨텐츠 DB
114: 학습관리 DB
120: 관리부
130: 디스플레이부
S100: 인터랙션 학습방법
S110: 학습컨텐츠 재생단계
S120: 문제풀이단계
S130: 문제해설단계
S131: 문제정오판단단계
S140: 문제복습단계

Claims (6)

  1. 동영상 학습 컨텐츠를 제공하는 학습 단말기로서,
    하나 이상의 문제 풀이 삽입 신호가 각각 포함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하나 이상 저장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 DB(111)와,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재생 시 상기 문제풀이 삽입 신호 각각에 대응되는 문제식별코드가 각각 포함되고 문제 내용을 나타내는 문자 텍스트 정보와 문제 화면을 구성하는 이미지 정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문제 컨텐츠가 포함된 문제 컨텐츠 DB(112)를 포함하는 컨텐츠 저장부(110); 및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DB(111)에 저장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 중 하나가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을 통해 출력되고, 상기 출력되는 동영상 학습 컨텐츠에 포함된 문제풀이 삽입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발생된 문제풀이 삽입 신호에 대응되는 문제식별코드가 포함된 문제 컨텐츠의 문자 텍스트 정보만을 상기 문제 컨텐츠 DB(112)에서 추출하여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출력 중인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의 특정 영역에 자막 형태로 출력하고, 상기 출력된 문자 텍스트 정보에 대한 문제풀이 진행 여부를 선택할 수 있는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을 제공하며, 상기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을 통해 문제풀이 건너뛰기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출력되는 문자 텍스트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지 않도록 하고, 상기 문제진행여부 선택 아이콘을 통해 문제풀이 진행 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출력중인 동영상 학습 컨텐츠를 일시정지 시키고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전시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발생된 문제풀이 삽입신호에 대응되는 문제 컨텐츠의 이미지 정보 및 문자 텍스트 정보를 포함하는 문제풀이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관리부(120); 를 포함하고,
    상기 문제풀이화면의 이미지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중에 문자 텍스트 정보가 출력되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30) 화면의 특정 영역의 이미지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텐츠 저장부(110)는, 상기 문제 컨텐츠에 각각 대응되는 문제해설식별코드가 포함되는 하나 이상의 문제해설 컨텐츠가 기 저장된 문제해설 컨텐츠 DB(113)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120)는, 상기 문제풀이화면에 포함된 문제 컨텐츠에 대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입력된 답 선택신호에 대한 문제 컨텐츠에 대응되는 문제해설식별코드가 포함된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 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고,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의 재생이 종료되면 문제해설 종료신호가 발생되도록 하며, 상기 문제해설 종료신호가 발생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일시정지 상태의 동영상 학습 컨텐츠가 재생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문제 컨텐츠는, 하나 이상의 질의내용 컨텐츠와 상기 질의내용 컨텐츠에 대한 정답이 포함된 복수 개의 정답 선택항목 컨텐츠를 포함하는 객관식 문제 형태의 컨텐츠이고,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는, 상기 문제 컨텐츠 각각에 대하여, 상기 복수 개의 정답 선택항목 컨텐츠에 대해 답 선택신호로 입력될 수 있는 모든 경우 각각에 대해 별도로 기 제작되어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 DB(113)에 저장되며,
    상기 관리부(120)는, 상기 문제풀이화면에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입력된 답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문제해설 컨텐츠를 상기 문제해설 컨텐츠 DB(113)에서 추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추출된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컨텐츠 저장부(110)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각각에 대한 문제정오테이블을 포함하는 학습관리 DB(114)를 더 포함하며,
    상기 문제 컨텐츠 각각은, 상기 문제 컨텐츠에 대한 문제의 정답 정보가 포함된 정답식별코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관리부(120)는, 상기 문제풀이화면에 포함된 문제 컨텐츠에 대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입력된 답 선택신호와 상기 답 선택신호가 입력된 문제 컨텐츠에 포함된 정답식별코드를 비교하여, 해당 문제 컨텐츠에 대해 입력된 답 선택신호의 정(正) 또는 오(誤) 정보를 상기 문제정오테이블에 저장하며,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 동영상 학습 컨텐츠 종료 신호가 발생하도록 하고,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 종료 신호가 발생하면 상기 종료 신호가 발생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에 대한 문제정오테이블에 저장된 답 선택신호의 정(正) 또는 오(誤) 정보가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관리부(120)는, 상기 동영상 학습 컨텐츠의 재생 종료 시 상기 재생 종료된 동영상 학습 컨텐츠에 대한 문제정오테이블에 저장된 정 또는 오 정보 중 오 정보에 대응되는 문제 컨텐츠에 대한 재 학습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는 복습여부 선택 아이콘을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에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복습여부 선택 아이콘을 통해 재 학습 신호가 입력된 경우에만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오 정보에 대응되는 문제 컨텐츠에 대한 문제풀이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며, 상기 문제풀이화면에서 답 선택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디스플레이부(130)의 화면이 상기 입력된 답 선택신호에 대응되는 문제해설 컨텐츠가 재생되어 출력되는 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1020140122024A 2014-09-15 2014-09-15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KR1016539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024A KR101653964B1 (ko) 2014-09-15 2014-09-15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2024A KR101653964B1 (ko) 2014-09-15 2014-09-15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335A KR20160032335A (ko) 2016-03-24
KR101653964B1 true KR101653964B1 (ko) 2016-09-06

Family

ID=55651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2024A KR101653964B1 (ko) 2014-09-15 2014-09-15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96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5646B1 (ko) * 2020-03-26 2020-10-14 김혜원 동영상 강의 재생 방법 및 이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KR20210014537A (ko) 2019-07-30 2021-02-09 정희자 교육용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2000B1 (ko) * 2008-12-24 2016-08-30 주식회사 이치온라인 사용자 입력 정보에 연동하여 다른 재생 위치의 동영상을 제공하는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공 방법,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및 동영상 학습 콘텐츠 제공 시스템 제작 방법
KR20100135538A (ko) * 2009-06-17 2010-12-27 차원이동교육도시 주식회사 단어 암기 서비스 제공 방법과 그를 위한 서버 및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160407B1 (ko) * 2010-04-16 2012-07-03 두산동아 주식회사 문제 풀이 기능을 제공하는 모바일 단말기
KR20120105988A (ko) * 2011-03-17 2012-09-26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교육 컨텐츠 제공 시스템, 그의 교육 컨텐츠 제공을 위한 장치 및 기록매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14537A (ko) 2019-07-30 2021-02-09 정희자 교육용 인터랙티브 콘텐츠 제공 방법 및 시스템,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2165646B1 (ko) * 2020-03-26 2020-10-14 김혜원 동영상 강의 재생 방법 및 이를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2335A (ko) 2016-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6227335B (zh) 预习讲义与视频课程的交互学习方法及应用学习客户端
US4449198A (en) Device for interactive video playback
KR20090116688A (ko) 교육상의 정보를 전달하도록 다중 스크린 표시를 원격으로 제어하는 장치,시스템 및 방법
JPH02502043A (ja) 会話型視聴覚教授法とその装置
US20140302477A1 (en) Intelligent interactive remote teaching system
CN102646346A (zh) 用于远程授课的移动视频播放系统和移动视频播放方法
CN102208205A (zh) 动画再现装置
KR101653964B1 (ko) 인터랙션 학습 단말기
CN100373935C (zh) 字幕显示方法和使用其的设备
US20080131853A1 (en) Vidio interface for learning an activity
KR101319666B1 (ko) 전자서적과 연동되는 게임의 제공 장치
KR101066651B1 (ko) 자막정보가 포함된 디지털 동영상으로 부터 추출된 언어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한 언어학습방법
KR20110047389A (ko) 학습 콘텐츠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2036639B1 (ko) 동영상 강의를 재생하는 이동 단말 및 연관 동영상 표시 방법
KR20180125797A (ko) 외국어 학습 시스템
KR101942804B1 (ko) 다중언어 음원 콘텐츠 제공시스템
KR101106802B1 (ko) 영상 처리 장치 및 기록 매체
KR20130015918A (ko) 학습자 및 문장의 수준을 고려한 어학 학습 장치 및 이를 이용한 학습 제공 방법
CN113554904A (zh) 一种多模式协同教育智能处理方法和系统
KR970004291B1 (ko) 복수의 캡션 출력장치
JP7380023B2 (ja) 情報処理装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25104B1 (ko) 학습 영상을 이용한 유아용 영어 학습 방법
JP7406761B1 (ja) 人材育成を支援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および装置
KR102590186B1 (ko) 강사와 학생간의 인터랙션이 개선된 온라인 학습시스템
CN109101161B (zh) 显示方法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