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818B1 -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 - Google Patents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818B1
KR101653818B1 KR1020160042231A KR20160042231A KR101653818B1 KR 101653818 B1 KR101653818 B1 KR 101653818B1 KR 1020160042231 A KR1020160042231 A KR 1020160042231A KR 20160042231 A KR20160042231 A KR 20160042231A KR 101653818 B1 KR101653818 B1 KR 1016538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leakage
panel
sensors
sp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23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호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형제케이종합건축사사무소
Priority to KR102016004223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81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8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8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DROOF COVERINGS; SKY-LIGHTS; GUTTERS; ROOF-WORKING TOOLS
    • E04D11/00Roof covering, as far as not restricted to features covered by only one of groups E04D1/00 - E04D9/00; Roof covering in ways not provided for by groups E04D1/00 - E04D9/00, e.g. built-up roofs, elevated load-supporting roof coverings
    • E04D11/02Build-up roofs, i.e. consisting of two or more layers bonded together in situ, at least one of the layers being of watertight composi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0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 E04B1/7069Drying or keeping dry, e.g. by air vents by ventilat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74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 E04B1/76Heat, sound or noise insulation, absorption, or reflection; Other building methods affording favourable thermal or acoustical conditions, e.g. accumulating of heat within walls specifically with respect to heat on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04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detecting the presence of fluid at the leakage poin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36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using visible light sour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는 옥상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층과; 상기 콘트리트 층의 하단에 형성되는 형성되는 제 1단열층과; 상기 콘크리트 층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2단열층과; 상기 제 2단열층의 상단에 형성되되, 다층을 이루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누수의 발생 위치를 외부로 알려주며, 상기 패널부의 내부 공간에 외기를 유입시켜 강제 환풍되도록 하는 누수 방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ADIABATIC AND MOISTURE-PERMEATION PREVENTING STRUCTURE FOR WATERRESISTANT DEFECT OF BUILDING ROOF}
본 발명은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건축물 옥상에 다층을 이루는 결로 방지층을 구비함과 아울러, 결로 발생시 결로 발생의 위치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외기를 순환시켜 습기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래, 일반적으로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건물의 옥상에는 빗물 등이 건물 내부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공장 제조한 아스팔트계 시트, 합성고분자계 시트를 현장에서 깔아 방수층으로 사용하거나, 또는 고무 아스팔트계, 아크릴계, 폴리우레탄 등과 같은 도막 방수재를 현장 제조하여 방수층으로 사용한다. 이 경우, 공장 제조한 아스팔트계 시트나, 합성 고분자계 시트의 경우, 많은 시트 간 시공 조인트가 발생하고, 이 부분을 통하여 누수 결함이 발생한다.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건물의 옥상, 즉, 시멘트, 모래, 자갈 및 기타 혼화제와 물을 혼합하여 만드는 철근 콘크 리트의 경우, 타설 후, 양생 중에 건조수축에 의한 균열이 발생하며, 이러한 균열은 외기온도 변화에 따라 신축 거동하여 상부에 설치되어 있는 방수피막에 물리적인 외력으로 작용하고, 수년간 반복되는 신축 거동에 의하여 방수피막은 피로 파단하여 누수되는 현상이 발생되고 있다. 또한,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지는 건물의 옥상은 타설 후, 다량의 물(수분)을 함유하고 있으며, 이러한 물(수분)은 외기 온도의 변화에 따라, 즉, 고온 시에 상부 방수층까지 이동하나, 방수 피막에 의하여 외부로 유출되지 못하고, 방수 피막 아래에 고여 있다가, 겨울철과 같이 저온 시에는 동결하여 건물의 옥상 슬래브 콘크리트를 부식(동해)시키거나, 또는 여름철 고온 시에는 기화 팽창하여 상부 방수 피막을 들뜨게 만들기에 충분할 정도의 압력으로 작용하고, 종국적으로는 방수 피막이 파단되는 결함이 발생하도록 하는 원인이 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 즉, 균열의 신축 거동에 따른 방수 피막의 피로파단, 건물 옥상 슬래브 콘크리트의 부식(동해) 및 방수피막의 부풀어 오름 결함 문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방수피막을 건물 옥상 슬래브 콘크리트 표면과 부착시키지 않고 절연시키는 방법(부분, 또는 전면 절연 방수공법)이 연구개발되고 있으며, 이와 같은 방법은 균열의 신축 거동에 따른 하중(응력)이 방수 피막에 전달되지 않아 방수 피막의 피로파단 문제를 해결할 수 있으며, 또한, 수분의 기화 팽창압력을 건물 옥상 슬래브 콘크리트와 방수 피막 사이의 틈새를 통하여 분산시키거나, 외부로 배출(통기 공법)시켜, 물(수분)의 대류에 의한 건물 옥상 슬래브 콘크리트의 부식(동해)이나, 방수 피막의 부풀어 오름 결함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의 종래방법에도 많은 문제점이 지적되고 있으며, 예를들어, 기반층을 금속판, 한 면 부직포 부착 아스팔트계시트, 합성고분자계 시트, 또는 한 면 통기요철이 있는 합성고분자계 시트로 할 경우, 상부에 만드는 아스팔트계, 아크릴계, 또는 폴리 우레탄 등과 같은 유기 합성고분자계 도막 방수재를 현장 도포하여 제조하는 방수피막과 물리적 특성이나, 열적 거동이 전혀 다른 이질 재료로 복합되어져, 계면에서 서로 탈락하는 결함과, 기반층 시공 조인트의 열적 거동 차이에따라 상부 도막 방수피막이 파단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특허출원 제10-2001-0075472호
본 발명의 목적은, 건축물 옥상에 다층을 이루는 결로 방지층을 구비함과 아울러, 결로 발생시 결로 발생의 위치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외기를 순환시켜 습기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는 옥상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층과; 상기 콘트리트 층의 하단에 형성되는 형성되는 제 1단열층과; 상기 콘크리트 층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2단열층과; 상기 제 2단열층의 상단에 형성되되, 다층을 이루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누수의 발생 위치를 외부로 알려주며, 상기 패널부의 내부 공간에 외기를 유입시켜 강제 환풍되도록 하는 누수 방지부를 포함한다.
상기 패널부는, 제 1공간층을 이루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패널 몸체와, 상기 제 1패널 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 2공간층을 이루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패널 몸체와, 상기 제 1공간층에 형성되며, 상기 제 1패널 몸체의 중공 상단 및 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1지지체와, 상기 제 2공간층에 형성되며, 상기 제 2패널 몸체의 중공 상단 및 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2지지체를 구비한다.
상기 제 1공간층의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1누수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공간층의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2누수 센서들이 설치된다.
상기 누수 방지부는, 상기 제 1공간층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 1외기 유입관과, 상기 제 1외기 유입관에 설치되어 외기를 강제 유입하는 제 1팬을 갖는 제 1외기 유입부와, 상기 제 2공간층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 2외기 유입관과, 상기 제 2외기 유입관에 설치되어 외기를 강제 유입하는 제 2팬을 갖는 제 2외기 유입부와, 상기 제 1,2팬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제 1누수 센서들에 의해 누수가 감지되면, 상기 제 1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 2누수 센서들에 의해 누수가 감지되면, 상기 제 2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 1누수 센서들과 상기 제 2누수 센서들 중, 누수가 감지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 정보를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1패널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엘이디를 통해 외부에 빛을 발광하는 제어부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패널부는, 내부에 제 1공간층과 제 2공간층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이중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패널 블록과, 상기 제 2단열층의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다수의 패널 블록이 상하를 따라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베이스와,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패널 블록 각각의 상기 제 1공간층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1누수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패널 블록 각각의 상기 제 2공간층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2누수 센서들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삽입홈 각각의 바닥부에는, 상기 다수의 패널 몸체 각각을 승강시키는 축을 갖는 실린더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누수 센서들과 상기 제 2누수 센서들 중, 누수가 감지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 정보를 해당 위치에 배치되는 패널 블록을 해당 위치의 실린더의 축을 승강시켜 상부에 노출되도록 제어한다.
상기 다수의 패널 블록 각각의 상단에 설
치되는 엘이디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누수 센서들과 상기 제 2누수 센서들 중, 누수가 감지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 정보를 해당 위치에 배치되는 패널 블록의 엘이디를 통해 외부에 빛을 발광하도록 한다.
상기 제 1패널 몸체의 상면에는 다층을 이루는 방수 패널들이 설치된다.
상기 방수 패널들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 가증하도록 구성되어 탈착 가능하다.
상기 제 2단열층은, 내부에 진공 공간이 형성되는 진공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진공 공간은, 진공 제공기를 통해 공급받아 진공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 공간의 내벽에는, 단열 면적의 증가를 위한 엠보싱 형상의 돌기가 형성된다.
상기 제 2단열층과 상기 콘크리트 층의 사이에는 보조 단열층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 단열층은, 도막 방수층과, 상기 도막 방수층의 하단에 형성되며, 비흡수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 보드를 구비한다.
상기 도막 방수층에는 격자 형상의 신축 줄눈이 형성된다.
본 발명은, 건축물 옥상에 다층을 이루는 결로 방지층을 구비함과 아울러, 결로 발생시 결로 발생의 위치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외기를 순환시켜 습기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패널 블록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의 일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 하면, 본 발명의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는 옥상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층(100)과, 상기 콘트리트 층(100)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1단열층(200)과, 상기 콘크리트 층(100)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2단열층(300)과, 상기 제 2단열층(300)의 상단에 형성되되, 다층을 이루는 패널부(400)와, 상기 패널부(400)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누수의 발생 위치를 외부로 알려주며, 상기 패널부의 내부 공간에 외기를 유입시켜 강제 환풍되도록 하는 누수 방지부(500)로 구성된다.
상기 패널부(400)는, 제 1공간층을 이루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패널 몸체(410)와, 상기 제 1패널 몸체(410)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 2공간층을 이루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패널 몸체(420)와, 상기 제 1공간층에 형성되며, 상기 제 1패널 몸체(410)의 중공 상단 및 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1지지체(430)와, 상기 제 2공간층에 형성되며, 상기 제 2패널 몸체(420)의 중공 상단 및 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2지지체(440)로 구성된다.
상기 제 1공간층의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1누수 센서들(450)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공간층의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2누수 센서들(460)이 설치된다.
상기 누수 방지부(500)는, 상기 제 1공간층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 1외기 유입관(511)과, 상기 제 1외기 유입관(511)에 설치되어 외기를 강제 유입하는 제 1팬(512)을 갖는 제 1외기 유입부(510)와, 상기 제 2공간층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 2외기 유입관(521)과, 상기 제 2외기 유입관(521)에 설치되어 외기를 강제 유입하는 제 2팬(522)을 갖는 제 2외기 유입부(520)와, 상기 제 1,2팬(512,522)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제 1누수 센서들(450)에 의해 누수가 감지되면, 상기 제 1팬(512)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 2누수 센서들(460)에 의해 누수가 감지되면, 상기 제 2팬(522)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 1누수 센서들(450)과 상기 제 2누수 센서들(460) 중, 누수가 감지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 정보를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1패널 몸체(410)의 상단에 설치되는 엘이디(미도시)를 통해 외부에 빛을 발광하는 제어부(530)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제 2단열층(300)은, 내부에 진공 공간이 형성되는 진공 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진공 공간은, 진공 제공기(320)를 통해 공급받아 진공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 공간의 내벽에는, 단열 면적의 증가를 위한 엠보싱 형상의 돌기(300a)가 형성된다.
진공 부재의 내부에는 진공 부재의 내부의 진공도를 측정하는 진공센서(310)가 설치된다.
제어부(530)는 진공 제공기(320)를 사용하여 진공 부재의 진공도를 설정된 진공도를 이루도록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 2단열층(300)과 상기 콘크리트 층(100)의 사이에는 보조 단열층이 더 형성된다.
상기 보조 단열층은, 도막 방수층(10)과, 상기 도막 방수층(10)의 하단에 형성되며, 비흡수 재질로 이루어지는 단열 보드(20)를 구비한다.
상기 도막 방수층(10)에는 격자 형상의 신축 줄눈(30)이 형성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의 패널 블록들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 하면, 본 발명에 따르는 패널부는, 내부에 제 1공간층과 제 2공간층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이중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패널 블록과, 상기 제 2단열층의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다수의 패널 블록이 상하를 따라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베이스와,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패널 블록 각각의 상기 제 1공간층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1누수 센서들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패널 블록 각각의 상기 제 2공간층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2누수 센서들이 설치된다.
상기 다수의 삽입홈 각각의 바닥부에는, 상기 다수의 패널 몸체 각각을 승강시키는 축을 갖는 실린더들이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누수 센서들과 상기 제 2누수 센서들 중, 누수가 감지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 정보를 해당 위치에 배치되는 패널 블록을 해당 위치의 실린더의 축을 승강시켜 상부에 노출되도록 제어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다수의 패널 블록 각각의 상단에 설치되는 엘이디가 설치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누수 센서들과 상기 제 2누수 센서들 중, 누수가 감지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 정보를 해당 위치에 배치되는 패널 블록의 엘이디를 통해 외부에 빛을 발광하도록 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상기 제 1패널 몸체의 상면에는 다층을 이루는 방수 패널들이 설치된다.
상기 방수 패널들은 서로 슬라이딩 결합 가증하도록 구성되어 탈착 가능하다.
상기의 구성 및 작용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는 실시예는 건축물 옥상에 다층을 이루는 결로 방지층을 구비함과 아울러, 결로 발생시 결로 발생의 위치를 즉시 확인할 수 있고, 그 내부에 외기를 순환시켜 습기 발생을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에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전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즉, 전술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콘크리트 층
200 : 제 1단열층
300 : 제 2단열층
400 : 패널부
500 : 누수 방지부

Claims (5)

  1. 옥상층을 이루는 콘크리트 층;
    상기 콘트리트 층의 하단에 형성되는 제 1단열층;
    상기 콘크리트 층의 상단에 형성되는 제 2단열층;
    상기 제 2단열층의 상단에 형성되되, 다층을 이루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의 내부에 누수가 발생되는 경우, 누수의 발생 위치를 외부로 알려주며, 상기 패널부의 내부 공간에 외기를 유입시켜 강제 환풍되도록 하는 누수 방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패널부는,
    제 1공간층을 이루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패널 몸체와,
    상기 제 1패널 몸체의 하단에 일체로 형성되며, 제 2공간층을 이루도록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2패널 몸체와,
    상기 제 1공간층에 형성되며, 상기 제 1패널 몸체의 중공 상단 및 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1지지체와,
    상기 제 2공간층에 형성되며, 상기 제 2패널 몸체의 중공 상단 및 하단을 지지하는 다수의 제 2지지체를 구비하고,
    상기 제 1공간층의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1누수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제 2공간층의 설정된 다수 위치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2누수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누수 방지부는,
    상기 제 1공간층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 1외기 유입관과, 상기 제 1외기 유입관에 설치되어 외기를 강제 유입하는 제 1팬을 갖는 제 1외기 유입부와,
    상기 제 2공간층과 외부를 연결하는 제 2외기 유입관과, 상기 제 2외기 유입관에 설치되어 외기를 강제 유입하는 제 2팬을 갖는 제 2외기 유입부와,
    상기 제 1,2팬의 구동을 제어하되, 상기 제 1누수 센서들에 의해 누수가 감지되면, 상기 제 1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 2누수 센서들에 의해 누수가 감지되면, 상기 제 2팬을 구동시키고,
    상기 제 1누수 센서들과 상기 제 2누수 센서들 중, 누수가 감지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 정보를 해당 위치에 설치되는 상기 제 1패널 몸체의 상단에 설치되는 엘이디를 통해 외부에 빛을 발광하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패널부는,
    내부에 제 1공간층과 제 2공간층이 서로 독립적으로 형성되도록 이중의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는 다수의 패널 블록과,
    상기 제 2단열층의 상단에 설치되되, 상기 다수의 패널 블록이 상하를 따라 삽입되도록 형성되는 다수의 삽입홈이 형성되는 스테인레스 재질의 베이스와,
    제어부를 구비하되,
    상기 다수의 패널 블록 각각의 상기 제 1공간층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1누수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패널 블록 각각의 상기 제 2공간층에는 해당 위치에서 누수를 감지하는 제 2누수 센서들이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삽입홈 각각의 바닥부에는,
    상기 다수의 패널 몸체 각각을 승강시키는 축을 갖는 실린더들이 설치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누수 센서들과 상기 제 2누수 센서들 중, 누수가 감지된 어느 하나 또는 다수의 위치 정보를 해당 위치에 배치되는 패널 블록을 해당 위치의 실린더의 축을 승강시켜 상부에 노출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2단열층은, 내부에 진공 공간이 형성되는 진공 부재를 구비하되,
    상기 진공 공간은, 진공 제공기를 통해 공급받아 진공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 공간의 내벽에는, 단열 면적의 증가를 위한 엠보싱 형상의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

KR1020160042231A 2016-04-06 2016-04-06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 KR1016538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31A KR101653818B1 (ko) 2016-04-06 2016-04-06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231A KR101653818B1 (ko) 2016-04-06 2016-04-06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818B1 true KR101653818B1 (ko) 2016-09-05

Family

ID=56939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231A KR101653818B1 (ko) 2016-04-06 2016-04-06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818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411B1 (ko) * 2017-10-12 2018-05-23 (주)토문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옥상 슬래브 단열 구조
KR101941697B1 (ko) * 2018-06-27 2019-01-23 (주)유성종합감리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옥상 슬래브 단열 구조
KR102390104B1 (ko) * 2021-07-05 2022-04-25 정승권 공동주택 건축물의 옥상 슬래브 단열구조
KR20220064148A (ko)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예승 솔라루프패널
KR20220073365A (ko) 2020-11-26 2022-06-03 김현수 중공 슬래브 자동개폐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350A (ja) * 1989-10-04 1991-05-24 Misawa Homes Co Ltd 屋根下地防水パネルおよびそのジョイント方法
JPH08178790A (ja) * 1994-12-22 1996-07-12 Riken Kogyo Kk 建造物における防水施工構造
KR20030044644A (ko) 2001-11-30 2003-06-09 (주)아텍스 부직포 및 플라스틱콘을 보강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1572823B1 (ko) * 2014-03-28 2015-11-30 주식회사엑스엘 진공단열패널
JP2016003528A (ja) * 2014-06-19 2016-01-12 株式会社アイレック 水分除去装置、及びその水分除去装置を用いた水分除去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2350A (ja) * 1989-10-04 1991-05-24 Misawa Homes Co Ltd 屋根下地防水パネルおよびそのジョイント方法
JPH08178790A (ja) * 1994-12-22 1996-07-12 Riken Kogyo Kk 建造物における防水施工構造
KR20030044644A (ko) 2001-11-30 2003-06-09 (주)아텍스 부직포 및 플라스틱콘을 보강한 폴리우레아 방수공법
KR101572823B1 (ko) * 2014-03-28 2015-11-30 주식회사엑스엘 진공단열패널
JP2016003528A (ja) * 2014-06-19 2016-01-12 株式会社アイレック 水分除去装置、及びその水分除去装置を用いた水分除去システム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60411B1 (ko) * 2017-10-12 2018-05-23 (주)토문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옥상 슬래브 단열 구조
KR101941697B1 (ko) * 2018-06-27 2019-01-23 (주)유성종합감리단건축사사무소 공동주택 옥상 슬래브 단열 구조
KR20220064148A (ko) * 2020-11-11 2022-05-18 주식회사 예승 솔라루프패널
KR102510073B1 (ko) * 2020-11-11 2023-03-14 주식회사 예승 솔라루프패널
KR20220073365A (ko) 2020-11-26 2022-06-03 김현수 중공 슬래브 자동개폐장치
KR102390104B1 (ko) * 2021-07-05 2022-04-25 정승권 공동주택 건축물의 옥상 슬래브 단열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3818B1 (ko) 건축물 옥상 단열 및 결로방지 구조
US8863442B2 (en) Protected membrane roof system
KR100640073B1 (ko) 건물 옥상의 통기 절연형 방수층 현장 속성시공방법과방수층 구조
KR101845860B1 (ko) 방습 및 냉해방지를 위한 냉동 저온창고
CN100513723C (zh) 一种通风幕墙的构建方法及通风幕墙
KR102277939B1 (ko) 평지붕 옥상바닥 외방수, 외단열 배수판 구조 및 시공방법
CN206667507U (zh) 一种带配筋的保温板
Liisma et al. Defect analysis of renovated facade walls with ETICS solutions in cold climate conditions
KR101616285B1 (ko) 건축 옥상누수 방지 시스템구조
CN105089290A (zh) 一种屋面维修的方法
KR20120097091A (ko) 옥상 바닥의 누수 방지용 배수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80093571A (ko) 노출형 섬유강화 플라스틱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200415190Y1 (ko) 온돌 난방용 조립식패널
KR102050856B1 (ko) 실내바닥재의 열전달 성능을 계측하기 위한 실험용 온수순환 실험장치
JP2015535068A (ja) 床面暖房システム
KR101578394B1 (ko) 건축구조물 옥상누수 방지 시스템 구조
KR101476692B1 (ko) 지하차도와 교량의 도막방수를 이용한 무조인트 신축이음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963938B1 (ko) 건물 옥상의 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KR102039151B1 (ko) 탈기튜브를 포함하는 복합방수구조 및 그 시공방법
KR101654616B1 (ko) 건축공사 옥상단열 및 방수구조
KR20060101368A (ko) 옥상 철판 방수 공법
KR200404329Y1 (ko) 온돌용 조립식 단열패널
KR101963939B1 (ko) 건물 옥상의 비노출형 방수층 시공방법 및 방수층 구조
Leivo et al. Moisture behaviour of slab-on-ground structures in operating conditions: Steady-state analysis
KR102568264B1 (ko) 단열배수판과 이를 이용한 냉동 저온창고 바닥시공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