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3220B1 - 투표용지 스캔장치 - Google Patents

투표용지 스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3220B1
KR101653220B1 KR1020150061039A KR20150061039A KR101653220B1 KR 101653220 B1 KR101653220 B1 KR 101653220B1 KR 1020150061039 A KR1020150061039 A KR 1020150061039A KR 20150061039 A KR20150061039 A KR 20150061039A KR 101653220 B1 KR101653220 B1 KR 101653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llot
path
ballot paper
conveyance path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10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심우섭
최성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Priority to KR10201500610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32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3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3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054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by scanning of the records by radiation in the optical part of the electromagnetic spectru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3/00Voting apparatu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eparation, Sorting, Adjustment, Or Bending Of Sheets To Be Conveyed (AREA)

Abstract

투표용지 스캔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는 제 1 상태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제 1 적재부 및 제 2 상태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제 2 적재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기 투표용지를 상기 제 1 적재부까지 이송하는 제 1 이송경로 및 상기 제 1 이송경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2 적재부까지 연결되는 제 2 이송경로를 포함하는 이송경로부, 상기 제 1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제 2 이송경로의 분기부보다 하류에 위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투표용지를 상기 제 1 적재부 또는 상기 제 2 적재부 측으로 이송하는 분류롤러, 상기 분기부에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제 1 적재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투표용지를 안내하고 상기 분류 롤러가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표용지를 상기 제 2 이송경로로 안내하는 경로 안내 부재, 상기 제 1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분류롤러의 상류에 위치하여 상기 투표용지를 스캔하는 스캔부 및 상기 스캔부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투표용지가 제 1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분류롤러를 정회전 시키고 상기 투표용지가 제 2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분류롤러를 역회전 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투표용지 스캔장치{Apparatus for Scanning Ballot Paper}
본 발명은 투표용지 스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제 1 상태의 투표용지와 제 2 상태의 투표용지를 분류할 수 있는 투표용지 스캔장치에 관한 것이다.
우리 나라를 포함하는 의회민주주의국가는 대통령선거, 국회의원선거 또는 특정 단체들의 대표자를 뽑는 선거 등 많은 선거가 일상화되어 있다.
대부분의 종래 투표방식으로는 여러 입후보자의 이름과 기호 및 각 선거에 맞는 소정의 색으로 이루어진 식별 표시가 인쇄된 투표용지에 선택하고자 하는 후보자의 기표부에 도장을 날인하여 투표함에 넣는 방식으로 투표가 진행되었다.
일 예로서, 투표용지에는 선거의 종류에 따라 입후보자의 이름과 기호가 표시되며, 유권자가 선거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투표용지 자체 또는 투표용지의 일부에 초록색이나 빨강색 등 선거에 따라 각각 다른 색으로 이루어지는 식별표시가 인쇄되어 있다.
전술한 방법을 통해 투표가 완료되면 투표시간 완료 후 선거관리인이 투표함을 개방하여 인력으로 집표한다. 그러나 선거관리인이 인력으로서 집표하는 경우에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고, 이러한 개표시간을 단축하기 위해서는 보다 많은 선거관리인을 채용해야 하므로 인건비가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개표가 완료된 투표용지는 개표결과에 따라 별도로 집표하는데, 이러한 과정에서 개표결과 및 집표 내용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집표를 다시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발생하거나, 부정투표 의혹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근래에 들어서는 전자 개표장치 방식의 투표가 진행되고 있다.
즉, 여러 입후보자 또는 정당의 이름과 기호가 인쇄된 기표부 및 각 선거에 맞는 소정의 색으로 이루어진 식별표시가 인쇄된 투표용지가 유권자에게 지급되고, 투표용지를 지급받은 유권자는 보안이 유지되는 기표소에서 인주를 이용하여 기표한 후에 투표용지를 투표함에 넣는 방식까지는 동일하다.
하지만, 개표는 투표용지를 소정의 개표용 스캔장치에 넣어서 진행한다. 이러한 스캔장치는 기표가 된 투표용지의 영상을 내부의 스캔모듈을 이용하여 인식하는데, 투표용지가 지나가면서 스캔모듈을 이용하여 투표용지 전체의 이미지를 파악하는 방식으로 인식하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인식된 이미지는 컴퓨터 등의 제어부를 통하여 그 영상을 분석, 즉, 인주가 기표된 부분의 영상의 위치를 분석하여 투표가 된 후보자를 파악하게 된다.
종래의 개표장치는 마킹이 잘못되거나, 접히거나, 구겨지는 등의 비정상적인 투표용지가 급지되면 개표장치 전체의 작동이 멈추거나, 비정상 투표용지를 반송하도록 구성된다.
비정상 투표용지의 급지로 인하여 개표장치의 작동이 정지되면 개표장치의 일측에 구비된 포켓 가이드를 열어 비정상 투표용지를 제거하고, 개표장치의 작동 중단으로 인하여 미처 분류함으로 이송되지 못한 투표용지들을 사용자가 직접 분류함으로 분류하거나 다시 투입부에 구비되는 보관함에 넣어야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정에서 투표용지의 카운팅의 오류가 일어날 수도 있으며, 사람이 직접 투표용지를 만지기 때문에 부정이 일어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또는, 비정상 투표용지가 반송되는 경우 연속으로 급지되어 이송 경로 상에 있는 투표용지가 모두 반송되어야 하며, 비정상 투표용지가 반송되는 동안에는 투표용지의 개표가 중단되기 때문에 시간이 낭비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간단한 구성으로 제 1 상태의 투표용지와 제 2 상태의 투표용지를 분류할 수 있는 투표용지 스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별도의 구동력 없이 제 1 상태의 투표용지와 제 2 상태의 투표용지를 분류할 수 있는 투표용지 스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는 하우징, 이송경로부, 분류롤러, 경로 안내 부재, 스캔부 및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하우징에는 제 1 상태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제 1 적재부 및 제 2 상태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제 2 적재부가 구비된다.
상기 이송경로부는 상기 투표용지를 상기 제 1 적재부까지 이송하는 제 1 이송경로 및 상기 제 1 이송경로로부터 분기되어 상기 제 2 적재부까지 연결되는 제 2 이송경로를 포함한다.
상기 분류롤러는 상기 제 1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제 2 이송경로의 분기부보다 하류에 위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투표용지를 상기 제 1 적재부 또는 상기 제 2 적재부 측으로 이송한다.
상기 경로 안내 부재는 상기 분기부에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제 1 적재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투표용지를 안내하고, 상기 분류 롤러가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표용지를 상기 제 2 이송경로로 안내한다.
상기 스캔부는 상기 제 1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분류롤러의 상류에 위치하여 상기 투표용지를 스캔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스캔부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투표용지가 제 1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분류롤러를 정회전 시키고, 상기 투표용지가 제 2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분류롤러를 역회전 시킨다.
평상시에는 상기 경로 안내 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페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통해 상기 투표용지가 이송되면서 상기 경로 안내 부재를 밀어 상기 경로 안내 부재가 상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이송경로가 개방되고,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경로 안내 부재를 완전히 통과하면 다시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상기 분류 롤러는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투표용지를 상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표용지가 제 2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경로 안내 부재를 완전히 통과한 후 상기 분류 롤러를 역회전 시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제 2 상태로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투표용지의 후단이 상기 분류롤러와 상기 경로 안내 부재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분류롤러가 역회전할 수 있다.
상기 제 1 이송경로 상에는 복수의 제 1 이송롤러가 구비되며, 상호 인접한 상기 제 1 이송롤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투표용지의 길이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는, 상기 경로 안내 부재를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더 구비되며, 평상시에는 상기 경로 안내 부재는 상시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개방하는 위치에 있으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표용지가 제 2 상태로 판독되면 상기 경로 안내 부재가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로 안내 부재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을 가지며, 평상시에는 상기 제 1 이송경로는 폐쇄하고 상기 제 2 이송경로는 개방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통해 상기 투표용지가 이송되면서 상기 경로 안내 부재를 밀면 상기 경로 안내 부재가 상방향으로 탄성변형을 일으켜 상기 제 1 이송경로가 개방되며, 상기 투표용지가 통과한 후에는 다시 초기 위치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분류 롤러가 역회전하는 경우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제 2 이송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서는, 상기 경로 안내 부재가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경로 안내 부재는 평상시에는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폐쇄하고 상기 제 2 이송경로는 개방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통해 상기 투표용지가 이송되면서 상기 경로 안내 부재를 미는 힘에 의해 상기 제 1 탄성부재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상기 제 1 이송경로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투표용지가 통과한 후에는 상기 제 1 탄성부재가 초기상태로 복원됨으로써 상기 분류 롤러가 역회전하는 경우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제 2 이송경로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는 투표용지가 제 1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경로 안내 부재가 투표용지를 제 1 이송경로로 안내하고, 투표용지가 제 2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분류롤러가 역회전하고 경로 안내 부재가 투표용지를 제 2 이송경로로 안내함으로써 간단한 구성으로 제 1 상태의 투표용지와 제 2 상태의 투표용지를 분류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 제 3 실시예 및 제 4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는 경로 안내 부재가 자중 또는 탄성에 의해 제 1 이송경로를 폐쇄하고, 투표용지가 이송되면서 경로 안내 부재를 미는 힘에 의해 제 1 이송경로가 개방됨으로써 별도의 구동력 없이 투표용지의 경로를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제 1 이송경로를 통하여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분류롤러가 역회전하여 투표용지가 제 2 이송경로로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제 1 이송경로를 통하여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분류롤러가 역회전하여 투표용지가 제 2 이송경로로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제 1 이송경로를 통하여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분류롤러가 역회전하여 투표용지가 제 2 이송경로로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제 1 이송경로를 통하여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및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분류롤러가 역회전하여 투표용지가 제 2 이송경로로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제 1 이송경로를 통하여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분류롤러가 역회전하여 투표용지가 제 2 이송경로로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는 하우징(100), 이송경로부, 분류롤러(400), 경로 안내 부재(500), 스캔부(6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하우징(100)은 일측에 투표용지(10)가 투입되는 투입구가 형성되거나, 또는 미개표 투표용지(10)가 수용되는 수용부(110)가 구비되며, 제 1 상태의 투표용지(10)가 적재되는 제 1 적재부(120) 및 제 2 상태의 투표용지(10)가 적재되는 제 2 적재부(130)가 구비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 1 상태는 정상 상태, 제 2 상태는 비정상 상태인 것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그러나, 제 1 상태 및 제 2 상태는 정상 및 비정상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1번 후보에 마킹 된 것을 제 1 상태, 2번 후보에 마킹 된 것을 제 2 상태로 분류하는 등 분류 기준에 따라 다양하게 정의될 수 있다.
이송경로부는 제 1 이송경로(200)와 제 2 이송경로(300)를 포함한다.
제 1 이송경로(200)는 투표용지(10)를 투입구 또는 수용부(110)로부터 제 1 적재부(120)까지 이송한다.
제 1 이송경로(200) 상에는 투표용지(10)를 일방향으로 이송하는 제 1 이송롤러(210)가 복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제 1 이송롤러(210)는 상호 인접한 제 1 이송롤러(210)와의 거리가 투표용지(10)의 길이보다 가깝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 1 이송롤러(210)는 투표용지(10)의 양 면을 가압하도록 쌍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한 쌍의 제 1 이송롤러(210) 중 적어도 하나의 제 1 이송롤러(210)는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투표용지(10)를 상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로써, 제 1 이송롤러(210)와 투표용지(10)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이송경로(300)는 제 1 이송경로(200)로부터 분기되어 제 2 적재부(130)까지 연결된다. 즉, 제 1 이송경로(200)와 제 2 이송경로(300)는 ‘Y’형상을 이룰 수 있다.
제 2 이송경로(300) 상에는 투표용지(10)를 제 2 적재부(130)로 이송하는 제 2 이송롤러(310)가 배치될 수 있다. 제 2 이송롤러(310)에도 제 1 이송롤러(210)와 마찬가지로 제 2 탄성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분류롤러(400)는 제 1 이송경로(200) 상에 배치되며, 제 1 이송경로(200)와 제 2 이송경로(300)의 분기부(202)보다 하류에 위치한다. 그리고,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투표용지(10)를 제 1 적재부(120) 또는 제 2 적재부(130) 측으로 이송한다.
분류롤러(400)는 투표용지(10)의 양 면을 가압하도록 쌍으로 배치될 수 있는데, 한 쌍의 분류롤러(400) 중 적어도 하나의 분류롤러(400)는 제 2 탄성부재(410)에 의해 투표용지(10)를 상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을 수 있다. 이로써, 분류롤러(400)와 투표용지(10) 사이에서 슬립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분류롤러(400)와, 분류롤러(400)의 상류에 위치하는 제 1 이송롤러(210) 중 가장 하류에 위치한 제 1 이송롤러(210) 사이의 거리는 투표용지(10)의 길이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경로 안내 부재(500)는 분기부(202)에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투표용지(10)가 제 1 이송경로(200)를 통해 제 1 적재부(120)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투표용지(10)를 안내한다.
그리고, 분류롤러(400)가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투표용지(10)가 제 1 이송경로(200)를 통해 역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투표용지(10)를 제 2 이송경로(300)로 안내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투표용지(10)가 제 1 이송경로(200) 또는 제 2 이송경로(300)로 원활하게 안내될 수 있도록 경로 안내 부재(500) 중 투표용지(10)가 제 1 이송경로(200)로 이송될 때 투표용지(10)와 접하는 면 및 투표용지(10)가 제 2 이송경로(300)로 이송될 때 투표용지(10)와 접하는 면은 곡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투표용지(10)가 제 2 상태로 판단되었을 경우, 투표용지(10)의 후단이 분류롤러(400)와 경로 안내 부재(500) 사이에 위치할 때 분류롤러(400)가 역회전할 수 있다.또한, 분류롤러(400)와 제 2 이송롤러(310) 사이의 거리 또한 투표용지(10)의 길이보다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투표용지(10)는 분류롤러(400)가 역회전 시에도 분류롤러(400)에 의해 추진력을 얻을 수 있으며, 투표용지(10)의 후단이 경로 안내 부재(500)를 타고 제 2 이송경로(300)로 이송되어 제 2 이송롤러(310)와 맞물릴 때까지 분류롤러(400)에 의해 추진력을 얻을 수 있다. 따라서, 투표용지(10)가 제 1 이송경로(200) 또는 제 2 이송경로(300) 상에 정체되지 않을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경로 안내 부재(500)는 제 1 이송경로(200)와 제 2 이송경로(300)가 분기되는 분기부(202) 근처에 자중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도록 헐겁게 결합될 수 있다.
경로 안내 부재(500)는 평상시에는 자중에 의해 제 1 이송경로(200)를 페쇄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이송경로(200)를 통해 투표용지(10)가 이송되면서 경로 안내 부재(500)를 밀어 경로 안내 부재(500)가 상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제 1 이송경로(200)가 개방되고, 투표용지(10)가 분류롤러(40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투표용지(10)가 경로 안내 부재(500)를 완전히 통과하면 다시 자중에 의해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이로써, 분류롤러(400)가 역회전하면 경로 안내 부재(500)가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하고 투표용지(10)를 제 2 이송경로(300)로 안내하기 때문에 투표용지(10)가 제 1 이송경로(200)를 통해 다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스캔부(600)는 제 1 이송경로(200) 상에 배치되며, 제 분류롤러(400)의 상류에 위치하여 투표용지(10)를 스캔한다.
제어부(미도시)는 스캔부(600)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투표용지(10)가 제 2 상태로 판단되면 분류롤러(400)를 역회전 시켜 투표용지(10)를 제 2 이송경로(300)로 이송한다.
즉, 제어부(미도시)에서 투표용지(10)가 제 1 상태로 판단되면 분류롤러(400)는 정방향으로 계속 회전하여 투표용지(10)를 제 1 적재부(120) 측으로 이송하고, 투표용지(10)가 제 2 상태로 판단되면 투표용지(10)를 제 2 이송경로(300)를 통해 제 2 적재부(130)로 이송한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는 스캔부(600)에서 획득한 이미지로서 투표용지(10)의 개표를 진행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미도시)는 투표용지(10)가 제 2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투표용지(10)의 끝단이 경로 안내 부재(500)를 완전히 통과한 후 분류롤러(400)를 역회전 시킬 수 있다.
투표용지(10)가 경로 안내 부재(500)를 완전히 통과한 후 분기부(202)에 위치한 경로 안내 부재(500)는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한다. 이 후, 분류롤러(400)가 역회전하여 투표용지(10)가 제 1 이송경로(200)를 따라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투표용지 스캔장치는 상술한 바와 같이 ‘Y’형으로 이루어지는 제 1 이송경로(200) 및 제 2 이송경로(300)와, 제 1 이송경로(200) 상에 배치되어 정회전 또는 역회전하며 투표용지(10)를 제 1 적재부(120) 또는 제 2 적재부(130) 측으로 이송하는 분류롤러(400), 투표용지(10)를 제 1 이송경로(200) 또는 제 2 이송경로(300)로 안내하는 경로 안내 부재(500)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투표용지(10)를 분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경로 안내 부재(500)가 자중에 의해 회전함으로써 별도의 구동부 없이 투표용지(10)를 분류하기 때문에 최소한의 구성요소로 투표용지(10)를 분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작동에 대하여 설명한다.
투입구를 통해 투입되거나, 수용부(110)에 수용된 미개표 투표용지(10)는 제 1 이송경로(200)를 통해 스캔부(600)를 통과할 수 있다. 미개표 투표용지(10)는 스캔부(600)에서 스캔되며, 제어부(미도시)는 스캔부(600)에서 획득한 투표용지(10)의 이미지를 판독하여 투표용지(10)가 정상인지 비정상인지 판단할 수 있다.
여기서, 비정상 상태의 투표용지란 접히거나, 구겨지거나, 중복으로 마킹되거나, 마킹이 되지 않은 등의 이유로 재검사가 필요한 투표용지를 말하며, 정상 상태의 투표용지란 재검사가 필요하지 않은 투표용지를 말한다.
평상시에는 경로 안내 부재(500)는 자중에 의해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하고 있으며, 분류롤러(400)는 투표용지(10)를 제 1 적재부(120)로 이송시키는 정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투표용지(10)가 스캔부(600)를 통과하여 경로 안내 부재(500)에 도달하면 투표용지(10)는 제 1 이송롤러(210)에 의한 추진력으로 인해 경로 안내 부재(500)를 밀어 상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에 따라 제 1 이송경로(200)가 개방되면서 투표용지(10)가 분기부(202)를 지나 분류롤러(40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어부(미도시)에서 투표용지(10)가 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분류롤러(400)는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상태를 유지한다. 이로써, 정상 상태의 투표용지(10)는 제 1 적재부(120)로 이송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미도시)에서 투표용지(10)가 비정상 상태로 판단되면 제어부(미도시)는 투표용지(10)가 경로 안내 부재(500)를 완전히 통과한 후 분류롤러(400)를 역회전 시키는 신호를 출력한다.
투표용지(10)가 경로 안내 부재(500)를 완전히 통과하면 경로 안내 부재(500)는 자중에 의해 다시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며, 분류롤러(400)는 역회전하여 투표용지(10)를 제 2 이송경로(300) 측으로 이송한다.
투표용지(1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는 분류롤러(400) 및 제 2 이송롤러(310)에 의해 제 2 적재부(130)로 이동할 수 있다.
이하,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제 1 이송경로를 통하여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분류롤러가 역회전하여 투표용지가 제 2 이송경로로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00), 제 1 이송경로(200)와 제 2 이송경로(300)를 포함하는 이송경로부, 분류롤러(400), 경로 안내 부재(500), 스캔부(6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 제 1 이송경로(200), 제 2 이송경로(300), 분류롤러(400), 스캔부(600) 및 제어부(미도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경로 안내 부재(500)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였다면, 본 실시예에서 경로 안내 부재(500)는 별도의 구동부(51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실시예의 투표용지 스캔장치는 경로 안내 부재(500)를 회전시키는 구동부(51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는 구동부(510)가 솔레노이드인 것을 예로 도시하였으나, 구동부(510)는 경로 안내 부재(500)가 결합된 축을 회전시키는 모터 등 경로 안내 부재(500)를 회전시킬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경로 안내 부재(500)는 평상시에는 상시 제 1 이송경로(200)를 개방하도록 배치되어 투표용지(10)가 상시 제 1 적재부(120)로 이송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미도시)에서 투표용지(10)가 제 2 상태로 판독되면 제어부(미도시)는 경로 안내 부재(500)가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하고 제 1 이송경로(20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부(510)를 작동시키는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안내 부재(500)에 의해 제 1 이송경로(200)가 폐쇄되고 제 2 이송경로(300)가 개방되며, 분류롤러(400)가 역회전 함으로써 투표용지(10)가 제 2 이송경로(300)를 거쳐 제 2 적재부(130)로 이송될 수 있다.
이하, 도 6 및 도 7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제 1 이송경로를 통하여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분류롤러가 역회전하여 투표용지가 제 2 이송경로로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00), 제 1 이송경로(200)와 제 2 이송경로(300)를 포함하는 이송경로부, 분류롤러(400), 경로 안내 부재(500), 스캔부(6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 제 1 이송경로(200), 제 2 이송경로(300), 분류롤러(400), 스캔부(600) 및 제어부(미도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서 경로 안내 부재(500)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였다면, 본 실시예에서 경로 안내 부재(500)는 탄성을 가지는 소재로 형성된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어 탄성에 의해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안내 부재(500)는 평상시에는 제 1 이송경로(200)를 페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 1 이송경로(200)를 통해 투표용지(10)가 이송되면서 경로 안내 부재(500)를 밀어 경로 안내 부재(500)가 상방향으로 탄성변형을 일으킴으로써 제 1 이송경로(200)가 개방되고, 투표용지(10)가 분류롤러(400) 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또한, 투표용지(10)가 경로 안내 부재(500)를 완전히 통과하면 다시 탄성에 의해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복원할 수 있다.
이로써,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미도시)에서 투표용지(10)가 제 2 상태로 판단되어 분류롤러(400)가 역회전하면 경로 안내 부재(500)가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하고 투표용지(10)를 제 2 이송경로(300)로 안내하기 때문에 투표용지(10)가 제 1 이송경로(200)를 통해 다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제 1 이송경로를 통하여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의 분류롤러가 역회전하여 투표용지가 제 2 이송경로로 안내되는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투표용지 스캔장치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100), 제 1 이송경로(200)와 제 2 이송경로(300)를 포함하는 이송경로부, 분류롤러(400), 경로 안내 부재(500), 스캔부(600) 및 제어부(미도시)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서 하우징(100), 제 1 이송경로(200), 제 2 이송경로(300), 분류롤러(400), 스캔부(600) 및 제어부(미도시)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다만,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 경로 안내 부재(500)가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하는 제 1 탄성부재(520)에 의해 경로 안내 부재(500)는 평상시에는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하고 제 2 이송경로(300)는 개방할 수 있다.
여기서, 제 1 탄성부재(52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로 안내 부재(500)와 하우징(100)의 일측을 연결하여 상호간에 탄성력을 제공하는 스프링일 수도 있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경로 안내 부재(500)의 회전축 상에 배치된 토션스프링일 수도 있다. 그러나, 제 1 탄성부재(520)는 상술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경로 안내 부재(500)가 제 1 이송경로(20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떤 것이든 적용될 수 있다.
이로써, 제 1 이송경로(200)를 통해 투표용지(10)가 이송되면서 경로 안내 부재(500)를 미는 힘에 의해 제 1 탄성부재(520)가 탄성변형을 일으켜 제 1 이송경로(200)가 개방될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투표용지(10)가 통과한 후에는 제 1 탄성부재(520)가 초기상태로 복원됨으로써, 분류롤러(400)가 역회전하는 경우 투표용지(10)가 제 2 이송경로(300)로 이동하여 투표용지(10)가 제 1 이송경로(200)를 통해 다시 역류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 투표용지 100: 하우징
110: 수용부 120: 제 1 적재부
130: 제 2 적재부 200: 제 1 이송경로
202: 분기부 210: 제 1 이송롤러
300: 제 2 이송경로 310: 제 2 이송롤러
400: 분류롤러 410: 제 2 탄성부재
500: 경로 안내 부재 510: 구동부
520: 제 1 탄성부재 600: 스캔부

Claims (9)

  1. 제 1 상태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제 1 적재부 및 제 2 상태의 투표용지가 적재되는 제 2 적재부가 구비되는 하우징;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며 일부가 횡 방향으로 휘어져 하부에서 투입된 상기 투표용지를 상기 제 1 적재부까지 이송하는 제 1 이송경로 및 상기 제 1 이송경로의 휘어진 부분에서 분기되어 횡 방향으로 배치되며 상기 제 2 적재부까지 연결되는 제 2 이송경로를 포함하는 이송경로부;
    상기 제 1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제 2 이송경로의 분기부보다 하류에 위치하여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며 상기 투표용지를 상기 제 1 적재부 또는 상기 제 2 적재부 측으로 이송하는 분류롤러;
    상기 분기부에 배치되어 평상시에는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제 1 적재부로 이동하는 방향으로 상기 투표용지를 안내하고, 상기 분류 롤러가 역회전하는 경우에는 상기 투표용지를 상기 제 2 이송경로로 안내하는 경로 안내 부재;
    상기 제 1 이송경로 상에 배치되며, 상기 분류롤러의 상류에 위치하여 상기 투표용지를 스캔하는 스캔부; 및
    상기 스캔부로부터 입력된 이미지를 판독하여 상기 투표용지가 제 1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분류롤러를 정회전 시키고, 상기 투표용지가 제 2 상태로 판단되면 상기 분류롤러를 역회전 시키는 제어부; 를 포함하며,
    평상시에 상기 경로 안내 부재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페쇄하고 있으며,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통해 상기 투표용지가 이송되면서 상기 경로 안내 부재를 밀어 상기 경로 안내 부재가 상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제 1 이송경로가 개방되고,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경로 안내 부재를 완전히 통과하면 다시 자중에 의해 상기 제 1 이송경로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별도의 구동을 위한 수단 없이 상기 투표용지의 이송에 의해 경로가 조절되는 투표용지 스캔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분류 롤러는,
    제 2 탄성부재에 의해 상기 투표용지를 상시 가압하는 방향으로 탄성력을 제공받는 투표용지 스캔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투표용지가 제 2 상태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경로 안내 부재를 완전히 통과한 후 상기 분류 롤러를 역회전 시키는 신호를 출력하는 투표용지 스캔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투표용지가 상기 제 2 상태로 판단되었을 경우,
    상기 투표용지의 후단이 상기 분류롤러와 상기 경로 안내 부재 사이에 위치할 때 상기 분류롤러가 역회전하는 투표용지 스캔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이송경로 상에는 복수의 제 1 이송롤러가 구비되며, 상호 인접한 상기 제 1 이송롤러 사이의 거리는 상기 투표용지의 길이보다 가깝게 형성되는 투표용지 스캔장치.
KR1020150061039A 2015-04-30 2015-04-30 투표용지 스캔장치 KR101653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039A KR101653220B1 (ko) 2015-04-30 2015-04-30 투표용지 스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1039A KR101653220B1 (ko) 2015-04-30 2015-04-30 투표용지 스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3220B1 true KR101653220B1 (ko) 2016-09-01

Family

ID=56942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1039A KR101653220B1 (ko) 2015-04-30 2015-04-30 투표용지 스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32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694A (ko) *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KR20210126227A (ko) *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이중 보관이 가능한 투표용지 분류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551A (ja) * 2002-02-27 2003-09-02 Fujitsu Frontech Ltd 電子投票装置の投票用紙読み取り方法および電子投票読み取りユニット
KR20100082649A (ko) * 2009-01-09 2010-07-19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투표용지 스캔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46551A (ja) * 2002-02-27 2003-09-02 Fujitsu Frontech Ltd 電子投票装置の投票用紙読み取り方法および電子投票読み取りユニット
KR20100082649A (ko) * 2009-01-09 2010-07-19 미루데이타시스템 주식회사 투표용지 스캔장치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3694A (ko) * 2018-12-28 2020-07-09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KR102132448B1 (ko) 2018-12-28 2020-07-10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다종의 선거용지에 대해 독립적인 인쇄모드를 가지는 선거장치
KR20210126227A (ko) * 2020-04-10 2021-10-20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이중 보관이 가능한 투표용지 분류장치
KR102315085B1 (ko) 2020-04-10 2021-10-21 주식회사 미루시스템즈 이중 보관이 가능한 투표용지 분류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94346B1 (en) Contactless smart card high production encoding machine
US20070095898A1 (en) Sheet processing apparatus and partition card user therefor
KR102040198B1 (ko) 이송유로의 확장이 가능한 투표지 분류기
KR101653220B1 (ko) 투표용지 스캔장치
KR20100082649A (ko) 투표용지 스캔장치
KR101031335B1 (ko) 전자개표장치
KR101523604B1 (ko) 분류챔버에 안내유닛 모듈이 구비된 전자 개표장치
KR101660222B1 (ko) 용지정렬부가 구비된 투표용지 스캔장치
KR20180112956A (ko) 스탬프모듈이 포함된 개표장치 및 이를 이용한 개표방법
KR102315085B1 (ko) 이중 보관이 가능한 투표용지 분류장치
KR101584969B1 (ko) 중복급지 감지에 의한 배출 기능이 구비된 개표장치 및 그의 제어방법
JP2014130436A (ja) 投票用紙分類装置
KR102315082B1 (ko) 임시 보관모듈이 구비되는 투표용지 분류장치
JP6150203B2 (ja) 投票用紙分類機
KR102205378B1 (ko) 투표용지의 연속 피딩이 가능한 개표장치
KR20100068140A (ko) 투표용지 및 그 스캔장치
KR20110079348A (ko) 자동수표분류기
US9990793B2 (en) Media item separation
KR20230010090A (ko) 투표용지가 이송되는 다중 경로를 갖는 분류장치
KR20230010088A (ko) 일대다 분기 방식을 가지는 분류장치
JP6002535B2 (ja) 投票用紙の読取方法、投票用紙の読取装置および投票用紙分類機
JP2022153005A (ja) 投票用紙点検機
JP6002539B2 (ja) 投票用紙分類機および投票用紙分類方法
KR101460750B1 (ko) 각각의 분류챔버에 카운팅 유닛이 구비된 전자 개표장치
JP6080589B2 (ja) 投票用紙分類機および投票用紙の分類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