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668B1 -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668B1
KR101652668B1 KR1020160046762A KR20160046762A KR101652668B1 KR 101652668 B1 KR101652668 B1 KR 101652668B1 KR 1020160046762 A KR1020160046762 A KR 1020160046762A KR 20160046762 A KR20160046762 A KR 20160046762A KR 101652668 B1 KR101652668 B1 KR 1016526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touch panel
mounting
sensitive touch
mount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6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엔케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엔케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엔케이
Priority to KR1020160046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66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6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6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28Testing of electronic circuits, e.g. by signal tracer
    • G01R31/2851Testing of integrated circuits [IC]
    • G01R31/2886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 G01R31/2891Features relating to contacting the IC under test, e.g. probe heads; chucks related to sensing or controlling of force, position, temperat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LMEASURING FORCE, STRESS, TORQUE, WORK, MECHANICAL POWER, MECHANICAL EFFICIENCY, OR FLUID PRESSURE
    • G01L5/00Apparatus for, or methods of, measuring force, work, mechanical power, or torque,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purposes
    • G01L5/0028Force sensors associated with force apply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8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for error correction or compensation, e.g. based on parallax, calibration or align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치패널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압력감지 센서가 구비된 압력감응 터치패널을 거치하는 패널 거치부; 상기 패널 거치부 상부에 배치되며,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압력감응 터치패널에 압력을 인가하는 압력 인가부; 및 상기 압력 인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DEVICE FOR TESTING 3D TOUCH PANEL}
본 발명은 터치패널 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압력감지 센서가 구비된 터치패널에서 압력 인가에 대한 정상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터치 스크린(touch screen)이란 키보드나 마우스와 같은 입력장치를 사용하지 않고, 화면에 나타난 문자나 특정 위치에 사람의 손 또는 물체가 닿으면 그 위치를 파악하여 특정한 기능을 처리하도록 하는 입력장치를 의미하며, 화면을 직접 터치하여 조작할 수 있으므로 조작 효율성, 편의성이 높은 장점 등이 있다. 또한, 최근 더욱 편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er interface, UI) 환경이 강조되면서 불필요한 입력장치나 기타 제어 시스템을 줄여 공간 확보와 기기의 간편함을 추구하는 분위기 형성되고 시각적인 단순한 인식 기능을 선호하게 됨에 따라 그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화면을 터치할 때 디스플레이의 누르는 정도를 감지하는 3D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3D 터치스크린이 대두 되고 있다. 3D 터치스크린은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에의 백라이트 모듈에 다수의 압력감지 센서를 배치하여, 정전 터치를 위한 조작 압력을 인식하는 기술로서, 종래의 정전용량 방식의 터치스크린에 비교하여 보다 다양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을 장점으로 한다.
터치스크린 검사를 위한 종래의 검사장치로는 3D 터치스크린 압력감지 센서의 정상 응답 여부까지는 검사할 수 없으므로, 간단하면서도 정확하게 압력을 인가하여 3D 터치스크린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는 장치가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127598호 "터치 센서용 검사장치"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98331호 "터치 센서 검사 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압력감지 센서가 구비된 터치패널에서 압력 인가에 대한 정상 여부를 검사하는 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특징에 따르면, 압력감지 센서가 구비된 압력감응 터치패널을 거치하는 패널 거치부; 상기 패널 거치부 상부에 배치되며,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압력감응 터치패널에 압력을 인가하는 압력 인가부; 및 상기 압력 인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는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압력 인가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에 따라 자체 중량을 상기 압력감응 터치패널의 패널면으로 전가하는 압력추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 인가부는 상기 압력추를 거치하는 거치틀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추는 상기 거치틀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되, 상기 거치틀의 폭 보다 넓은 돌출단을 상측에 구비하여 상기 승강부의 상승에 따라 상기 거치틀에 지지되어 상승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압력추는 상기 압력감응 터치패널의 패널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측에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거치틀에 지지되는 돌출단이 네 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틀은 상기 압력추의 모서리가 접하는 부분에 원형 홈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압력추는 복수 개의 분할추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틀은 상기 분할추가 삽입되는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거치틀에 삽입되는 분할부재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상기 분할추는 상기 슬롯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측에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거치틀 및 상기 분할부재에 지지되는 돌출단이 네 면에 구비될 수 있다.
아울러, 복수 개의 상기 분할추는 각각 상이한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하강에 따라 상기 압력감응 터치패널의 패널면과 순차적으로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에 의하면,
첫째, 압력 인가부는 자체 중량에 의해 압력감응 터치패널에 압력을 인가하므로 검사 기기에 따라 인가되는 압력이 달라 발생되는 검사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아다.
둘째, 압력추의 중량에 의해 터치패널에 압력이 인가되므로, 압력추 교환에 따라 간편하게 검사하고자 하는 압력의 조절이 가능하다.
셋째, 압력추는 거치틀에 거치되며 거치틀의 하강에 의해 터치패널에 압력을 인가하므로 승강기구를 동작하는 힘이 터치패널에 전가되는 것을 방지하여 과중한 압력 인가로 인해 발생 되는 터치패널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넷째, 거치틀은 압력추의 모서리가 접하는 부분에 원형 홈을 구비하므로, 압력추와 거치틀 사이의 공기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섯째, 압력추는 복수개의 분할추로 구성할 수 있으므로, 검사하고자 하는 터치패널 면을 분할하여 압력감응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여섯째, 분할추의 두께를 각기 다르게 구성할 수 있으므로, 승강기구 하강에 따라 분할추가 순차적으로 터치패널에 접하여 압력을 인가할 수 있으므로 한 번의 승강에 따라 복수의 분할 면의 압력감응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검사장치에 의해 검사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검사장치에 의해 검사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B`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때,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한 구성 요소는 가능한 동일한 부호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1000)는 패널 거치부(100), 압력 인가부(200) 및 승강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한다.
패널 거치부(100)는 검사하고자 하는 패널을 거치한다. 본 발명에서 검사 대상인 패널은 모바일 기기에 사용되는 터치스크린이다. 특히 3D 터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 압력 감지 센서가 구비된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이 본 발명에서 검사하고자 하는 패널이다.
패널 거치부(100)는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이 안착되는 안착부(도시하지 않음)를 구비하며, 안착부는 검사하고자 하는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의 종류 및 크기에 따라 패널 거치부(100)에 교체 장착될 수 있다.
안착부는 압력감응 터치패널(400)과 접하는 면이 평탄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으며,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이 탑재되는 모바일 기기의 프레임과 동일한 형태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이 실제 모바일 기기에 장착되었을 때 조건과 같은 조건으로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의 검사를 수행할 수 있다.
패널 거치부(100)의 적어도 일 측에는 검사 수행을 위해 안착된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의 효과적인 제거를 위한 개방부가 구비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터치패널(400)의 상측 및 하측 부분에 위치하는 한쌍의 개방부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압력 인가부(200)는 패널 거치부(100)에 안착된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에 압력을 인가한다. 본발명의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는 압력 인가를 위해 압력 인가부(200)의 자체 중량을 이용한다.
압력 인가부(200)는 승강부의 하강에 따라 자체 중량을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의 패널면으로 전가하는 압력추(220)를 포함한다. 즉, 승강부가 하강하여 압력추(220)의 무게가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을 누르는 압력으로 인가되게 한다.
이를 위해, 압력 인가부(200)는 압력추(220)를 거치하는 거치틀(210)을 포함한다.
거치틀(210)은 압력추(220)를 거치시키는 틀이다. 압력추(220)의 하단면이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에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가운데 부분은 압력추(220)가 통과할 수 있도록 개방된 형태를 가진다.
압력추(220)는 거치틀(210)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어 거치틀(210)에 거치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압력추(220)는 상측에 거치틀(210)에 지지되는 돌출단(221)을 구비한다. 따라서 압력 인가부(200)가 상승할 때 압력추(220)가 거치되어 상승 될 수 있게 한다.
도 2는 도 1의 검사장치에 의해 검사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A-A`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에 압력이 인가되는 동작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패널 거치부(100)에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이 안착되면, 승강부의 하강동작에 따라 압력 인가부(200)가 하강하게 된다. 압력추(220)는 거치틀(210)에 지지 되어 있으므로 압력추(220) 또한 하강하게 되어 압력추(220)의 하단면이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에 접하게 된다. 여기서 압력 인가부(200)가 조금 더 하강하면 도 3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압력추(220)는 거치틀(210)의 거치에서 벗어나게 되다. 따라서 압력추(220)의 무게가 온전히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에 인가된다. 즉, 승강부의 하강에 따라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에 검사에 필요한 압력을 간단하게 인가할 수 있다.
압력추(220) 무게의 온전한 인가를 위해 압력추(220)와 거치틀(210)은 마찰력 또는 정전기 등에 의한 힘이 영양을 끼치 않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압력추(220)는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의 패널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측에 측면으로 돌출되어 거치틀(210)에 지지되는 돌출단(221)을 네면에 구비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도시된 압력추(220)의 형태는 예시를 위한 것으로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으며 필요에 따라 압력추(220)의 형태는 다양하게 변형 실시 가능하다.
한편, 도 1 및 도 2의 확대 도시한 부분을 참조하면, 압력추(220)의 모서리가 접하는 거치틀(220)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에 원형 홈(211)이 구비된다.
원형 홈(211)은 압력추(220)와 거치틀(22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또는 정전기 등에 의한 힘이 인가되는 압력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부의 하강시 압력추(220)와 거치틀(220) 사이에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방지할 수 있다.
도시된 바에 의하면 원형 홈(211)은 거치틀(220)의 모서리에 3/4 원 형태로 구비된 것으로 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 형태일 뿐으로서 원형 홈(211)의 형태 및 원형 홈(211)이 구비되는 위치는 압력추(220)의 형태 및 구성에 따라 적절히 변형 가능하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인가되는 압력은 오직 압력추(220)의 무게에 의해 결정되므로, 다수의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를 제조할 때 검사기기간의 검사 오차가 발생할 소지를 줄일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의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1000)는 패널 거치부(100), 압력 인가부(200) 및 승강부를 포함하며, 패널 거치부(100) 및 승강부는 도 1의 실시예와 동일한 것이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압력 인가부(200)는 복수개의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를 통해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에 검사에 필요한 압력을 간단하게 인가할 수 있다.
거치틀(220)은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의 삽입 및 거치를 위한 슬롯을 구비하고, 슬롯은 거치틀(220)에 삽입되는 분할부재(230)에 의해 형성된다. 도 4는 압력추(200)가 여섯 개의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로 이루어진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예를 들어 검사하고자 하는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이 대형인 경우 보다 다수의 분할추를 사용할 수도 있고, 검사하고자 하는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이 민감한 압력 센서를 구비하는 경우에도 보다 다수의 분할추를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분할추의 개수 및 형태는 검사하고자 하는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의 특성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실시자에 따라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분할부재(230)는 슬롯의 형태가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의 형태에 대응되도록 "#"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분할부재(230)는 거치틀(220)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각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는 거치틀 및 분할부재(230)에 거치될 수 있도록 슬롯의 폭보다 넓은 돌출단을 상측에 구비한다. 따라서 압력 인가부(200)가 상승할 때 각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 거치되어 상승 될 수 있게 한다.
각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는 동일한 무게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각각 다른 무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동일한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각각 다른 길이로 형성할 수도 있다.
도 5는 도 4의 검사장치에 의해 검사가 수행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B-B` 단면도이다.
패널 거치부(100)에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이 안착되면, 승강부의 하강동작에 따라 압력 인가부(200)가 하강하게 된다. 각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는 거치틀(210)및 분할부재(230)에 지지 되어 있으므로 각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 또한 하강하게 되어 각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의 하단면이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에 접하게 된다. 여기서 압력 인가부(200)가 조금 더 하강하면 도 6에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 중에서 제일 긴 분할추(220c) 부터 거치에서 벗어나게 되다. 따라서 각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는 길이 순으로 무게를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에 인가시키게 된다. 즉, 승강부의 하강에 따라 압력감응 터치패널(400)에 검사에 필요한 압력을 순차적으로 간단하게 인가할 수 있다.
각 분할추(220a, 220b, 220c, 220d, 220e, 220f) 무게의 온전한 인가를 위해 분할추들과 거치틀(210) 및 분할부재(230)는 마찰력 또는 정전기 등에 의한 힘이 영양을 끼치 않도록 일정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도 압력추(220)의 모서리가 접하는 거치틀(220)의 적어도 어느 한 모서리에 원형 홈(211)을 구비할 수 있다. 원형 홈(211)은 압력추(220)와 거치틀(220) 사이에 발생하는 마찰력 또는 정전기 등에 의한 힘이 인가되는 압력에 영향을 끼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히, 승강부의 하강시 압력추(220)와 거치틀(220) 사이에 발생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발생하는 압력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1000 :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100 : 패널 거치부
200 : 압력 인가부
210 : 거치틀
220 : 압력추
230 : 분할 부재
400 : 압력감응 터치패널

Claims (8)

  1. 압력감지 센서가 구비된 압력감응 터치패널을 거치하는 패널 거치부;
    상기 패널 거치부 상부에 배치되며,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압력감응 터치패널에 압력을 인가하는 압력 인가부; 및
    상기 압력 인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인가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에 따라 자체 중량을 상기 압력감응 터치패널의 패널면으로 전가하는 압력추; 및
    상기 압력추를 거치하는 거치틀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추는,
    상기 거치틀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되, 상기 거치틀의 폭 보다 넓은 돌출단을 상측에 구비하여 상기 승강부의 상승에 따라 상기 거치틀에 지지되어 상승하고,
    상기 압력감응 터치패널의 패널면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측에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거치틀에 지지되는 돌출단이 네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치틀은,
    상기 압력추의 모서리가 접하는 부분에 원형 홈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6. 압력감지 센서가 구비된 압력감응 터치패널을 거치하는 패널 거치부;
    상기 패널 거치부 상부에 배치되며, 자체 중량에 의해 상기 압력감응 터치패널에 압력을 인가하는 압력 인가부; 및
    상기 압력 인가부를 승강시키는 승강부를 포함하되,
    상기 압력 인가부는,
    상기 승강부의 하강에 따라 자체 중량을 상기 압력감응 터치패널의 패널면으로 전가하는 압력추; 및
    상기 압력추를 거치하는 거치틀을 포함하고,
    상기 압력추는,
    상기 거치틀의 상측으로부터 삽입되되, 상기 거치틀의 폭 보다 넓은 돌출단을 상측에 구비하여 상기 승강부의 상승에 따라 상기 거치틀에 지지되어 상승하고,
    복수 개의 분할추로 이루어지고,
    상기 거치틀은 상기 분할추가 삽입되는 슬롯을 구비하고,
    상기 슬롯은 상기 거치틀에 삽입되는 분할부재에 의해 형성되고,
    복수 개의 상기 분할추는,
    상기 슬롯에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는 직육면체 형태로서, 상측에 측면으로 돌출되어 상기 거치틀 및 상기 분할부재에 지지되는 돌출단이 네 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복수 개의 상기 분할추는,
    각각 상이한 두께로 형성되어 상기 승강부의 하강에 따라 상기 압력감응 터치패널의 패널면과 순차적으로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KR1020160046762A 2016-04-18 2016-04-18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KR1016526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762A KR101652668B1 (ko) 2016-04-18 2016-04-18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6762A KR101652668B1 (ko) 2016-04-18 2016-04-18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2668B1 true KR101652668B1 (ko) 2016-09-09

Family

ID=569392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6762A KR101652668B1 (ko) 2016-04-18 2016-04-18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6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167B1 (ko) * 2016-12-29 2017-08-10 주식회사 케이엔케이 지문 센서 모듈 검사장치
KR102060034B1 (ko) * 2019-08-01 2019-12-27 주식회사 호연 복합 감별이 가능한 휴대기기의 지문인식 멀티 검사장치
US11215522B2 (en) 2018-08-16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pressure sens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345A (ko) * 2005-12-30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110098331A (ko) 2010-02-26 2011-09-01 우관제 터치 센서 검사 장치
KR20110127598A (ko) 2010-05-19 2011-11-25 우관제 터치 센서용 검사장치
JP2015207078A (ja) * 2014-04-18 2015-11-19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検査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検査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71345A (ko) * 2005-12-30 2007-07-04 삼성전자주식회사 터치스크린패널 테스트 장치 및 방법
KR20110098331A (ko) 2010-02-26 2011-09-01 우관제 터치 센서 검사 장치
KR20110127598A (ko) 2010-05-19 2011-11-25 우관제 터치 센서용 검사장치
JP2015207078A (ja) * 2014-04-18 2015-11-19 日本電産リード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検査装置、及びタッチパネル検査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6167B1 (ko) * 2016-12-29 2017-08-10 주식회사 케이엔케이 지문 센서 모듈 검사장치
US11215522B2 (en) 2018-08-16 2022-01-04 Samsung Display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testing pressure sensor and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KR102060034B1 (ko) * 2019-08-01 2019-12-27 주식회사 호연 복합 감별이 가능한 휴대기기의 지문인식 멀티 검사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668B1 (ko) 압력감응 터치패널 검사장치
TWI559271B (zh) 用於檢測amoled面板的顯示面板檢測裝置及其方法
US20120280934A1 (en) Simulating Single and Multi-Touch Events for Testing A Touch Panel
US20100172080A1 (en) Screen assembly
KR20160033832A (ko) 표시장치의 테스트 장치 및 그 장치를 이용한 테스트 방법
KR20070071345A (ko) 터치스크린패널 테스트 장치 및 방법
CN206133514U (zh) 触控显示面板及触控显示装置
CN101604499B (zh) 测试装置
KR101346952B1 (ko) Amoled 패널 검사를 위한 표시 패널 검사 장치 및 그 방법
US9864407B2 (en) Mobile computing device dock
KR101766167B1 (ko) 지문 센서 모듈 검사장치
JP2019525304A (ja) センサ保護部を備えた、ばね弾性を有するバッテリコンタクト
CN105509627A (zh) 一种高度检测治具
JP3149337U (ja) パッド構造物
US8917105B2 (en) Solder bump testing apparatus and methods of use
JP6221138B2 (ja) タッチパネル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112985990A (zh) 压力检测装置、压力检测方法、计算机设备和存储介质
CN207050606U (zh) 一种显示器件引脚折弯检测治具
CN210570477U (zh) 一种pcb金手指外观检测机构
JP2013073287A (ja) タッチパネル検査装置
JP5221964B2 (ja) 印刷はんだ検査装置
KR102404980B1 (ko) 안정적인 제품안착구조를 포함하는 제품측정장치
KR101966895B1 (ko) 터치 센서 검사 장치 및 방법
CN220626578U (zh) 一种用于测试半导体的调节装置
JPH10282178A (ja) プリント基板の検査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19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