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110B1 - 사용자의 제스쳐로 제어가능한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의 제스쳐로 제어가능한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110B1
KR101652110B1 KR1020090119215A KR20090119215A KR101652110B1 KR 101652110 B1 KR101652110 B1 KR 101652110B1 KR 1020090119215 A KR1020090119215 A KR 1020090119215A KR 20090119215 A KR20090119215 A KR 20090119215A KR 101652110 B1 KR101652110 B1 KR 1016521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power mode
user
gesture
delete dele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19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62475A (ko
Inventor
김성운
임성민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192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110B1/ko
Priority to US12/958,760 priority patent/US8599265B2/en
Priority to PCT/KR2010/008569 priority patent/WO2011068362A2/en
Priority to CN201080054652.3A priority patent/CN102640080B/zh
Priority to DE112010004671T priority patent/DE112010004671T5/de
Publication of KR201100624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624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1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1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01Constructional details related to the housing of computer displays, e.g. of CRT monitors, of flat displays
    • G06F1/1605Multimedia displays, e.g. with integrated or attached speakers, cameras, micropho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15Monitoring of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06Monitoring of events, devices or parameters that trigger a change in power modality
    • G06F1/3231Monitoring the presence, absence or movement of u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5Power saving in peripheral device
    • G06F1/3278Power saving in modem or I/O interfa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26Power supply means, e.g. regulation thereof
    • G06F1/32Means for saving power
    • G06F1/3203Power management, i.e. event-based initiation of a power-saving mode
    • G06F1/3234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 G06F1/3296Power saving characterised by the action undertaken by lowering the supply or operating volta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7Gesture based interaction, e.g. based on a set of recognized han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04Detection arrangements using opto-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40/00Recognition of biometric, human-related or animal-related patterns in image or video data
    • G06V40/20Movements or behaviour, e.g. gesture recognition
    • G06V40/28Recognition of hand or arm movements, e.g. recognition of deaf sign langu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1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ased on recognised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5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 H04N23/651Control of camera operation in relation to power supply for reducing power consumption by affecting camera operations, e.g. sleep mode, hibernation mode or power off of selective parts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4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scene brightness using illumina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10/00Energy efficient computing, e.g. low power processors, power management or thermal manag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스쳐를 인식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는 TV, 모니터 등의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할 때 사용하는 카메라의 전력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를 저전력 모드와 고전력 모드로 구동할 수 있으며, 저전력 모드에서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를 검출하면 세밀한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는 고전력 전력 모드로 스위칭된다.
제스쳐, 인식, 카메라, 전력 제어, 저전력, 고전력, 해상도,

Description

사용자의 제스쳐로 제어가능한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CONTROLLING POWER OF DEVICES WHICH IS CONTROLLABLE WITH USER'S GESTUR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스쳐로 제어 가능한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사용자가 제스쳐를 인식함으로써 제어할 수 있는 TV, 모니터 등의 영상 처리 장치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할 때 사용하는 카메라의 전력을 제어하여 전력 소모를 최소화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는 카메라를 저전력 모드와 고전력 모드로 구동할 수 있으며, 저전력 모드에서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를 검출하면 세밀한 제스쳐를 인식할 수 있는 고전력 전력 모드로 스위칭된다.
최근 사용자의 입력 장치가 다양화지고 있다. 최근에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명령을 입력할 수 있는 장치도 등장하였다.
사용자의 제스쳐를 사용하여 명령을 입력하는 장치에서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기 위해 G센서 등의 움직임 센서를 사용하기도 하고, 카메라로 이미지를 촬영하여 이미지 처리를 수행하기도 한다.
카메라로 이미지를 촬영하여 제스쳐를 인식하는 방식에서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기 위해 카메라가 턴온 상태를 유지해야 한다. 그러나, TV와 같이 사용자 입력이 많은 시간 간격을 두고 입력되는 장치에서는 카메라를 장시간 턴온시켜놓는 것은 전력 낭비를 야기한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의 제스쳐 인식용 카메라가 필요시에만 동작하도록 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직관적으로 제스쳐 인식용 카메라의 전력 모드를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쳐 검출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컴퓨팅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카메라의 제1 전력 모드에서, 제2 전력 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정된 활성화 입력을 검출하는 단계;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제2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전력 모드에서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스쳐에 따라 상기 컴퓨팅 장치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 전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전력 모드 보다 많은 수의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쳐 검출용 카메라를 사용하여 상기 카메라에 연결된 컴퓨팅 장치용 사용자입력을 검출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방법은, 상기 카메라의 제1 전력 모드에서, 상기 제1 전력 모드 보다 많은 수의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는 제2 전력 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정된 활성화 제스쳐 를 검출하는 단계; 상기 활성화 제스쳐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제2 전력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상기 제2 전력 모드에서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검출된 제스쳐에 해당하는 제어 명령 신호를 상기 컴퓨팅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제스쳐 인식용 카메라를 필요시에만 동작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여 직관적으로 제스쳐 인식용 카메라의 전력 모드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1에는 컴퓨팅 장치(10)와 컴퓨팅 장치(10)에 연결되거나 장착된 카메라(20)가 도시되어 있다.
컴퓨팅 장치(10)는 임의의 기능을 수행하는 처리 장치로서, 사용자가 제스쳐를 사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팅 장치(10)는 카메라로부터 사용자의 제스쳐 이미지를 수신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고, 그 제스쳐에 따른 동작을 실행할 수 있다. 컴퓨팅 장치(10)는 TV, 모니터, PC 등 디스플레이가 장착된 장치일 수도 있고, 셋톱 박스, PC 본체, 오디오와 같이 디스플레이가 장착되지 않은 장치일 수도 있다.
카메라(20)는 사용자의 제스쳐를 촬영하는 장치로서, 컴퓨팅 장치(10)에 장착되어, 컴퓨팅 장치(10)와 일체화될 수도 있고, 또는 선택적으로 독립된 장치로서 컴퓨팅 장치(10)와 연결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카메라(20)에는 영상을 촬영하는 영상 수신부(24)와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22)가 포함된다. 실시예에 따라 조명부(22)는 별도의 장치로 구성될 수도 있다. 카메라(20)는 적외선 카메라인 것이 바람직하며, 영상 수신부(24)는 적외선용 CMOS 센서 어레이일 수 있고, 조명부(22)는 적외선 조명 장치일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영상 수신부(24) 및 조명부(22)로부터 소정 거리 및 각도 범위 내로 들어오면, 영상 수신부(24)에 의해 사용자의 제스쳐를 촬영할 수 있다. 촬영된 제스쳐 이미지는 컴퓨팅 장치(10)로 전달되어 제스쳐 패턴이 추출 및 식별되어, 식별된 제스쳐에 따라 해당 명령이 수행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20)는 복수개의 전력 모드를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고전력 모드와 저전력 모드를 가지며, 사용자의 입력이 없는 동안에는 저성능의 인식을 수행하는 저전력 모드에서 동작하고, 사용자로부터 저전력 모드에서 입력 가능한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면 고성능의 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고전력 모드로 전력 모드가 스위칭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컴퓨팅 장치(10)는 카메라(20)와 접속되어 카메라(20)로부터 사용자의 제스쳐 이미지를 수신하는 카메라 접속부(13), 사용자가 입 력한 제스쳐에 해당하는 명령들을 저장하는 저장부(14), 수신된 제스쳐의 이미지를 처리하여 제스쳐의 패턴을 분석하여 제스쳐를 식별하고, 식별된 제스쳐에 해당하는 명령을 수행하는 제어부(11)로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20)는 컴퓨팅 장치(10)와 일체화될 수도 있고, 착탈가능하게 부탁될 수도 있으며, 독립된 장치로서 컴퓨팅 장치(10)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도 있다.
카메라 접속부(13)는 카메라(20)와 컴퓨팅 장치(10)를 연결하는 커넥터,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모듈일 수 있으며, 카메라(20)에서 촬영한 이미지를 제어부(11)로 전달한다.
저장부(14)는 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또는 HDD 등 임의의 저장 매체일 수 있다. 저장부(14)는 제어부(11)가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에 해당하는 명령들을 저장한다.
제어부(11)는 범용 프로세서 또는 전용 프로세서일 수 있으며, ASIC, FPGA 등 임의의 방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20)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카메라(20)는 사용자의 제스쳐 이미지를 촬영하는 이미지 수신부(24), 조명을 제공하는 조명부(22), 이미지 수신부(24)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컴퓨팅 장치(10)가 처리할 수 있는 포맷으로 변환하여 전달하는 이미지 출력부(23), 및 카메라(2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에 따라 카메라(20)의 전력 모드를 제어하는 제어부(21)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20)는 적외선 카메라로서, 이미지 수신부(24)는 적외선 CMOS 센서 어레이일 수 있다. 조명부(22)는 적외선 광원일 수 있다.
카메라(20)가 컴퓨팅 장치(10)와 일체화되는 경우, 카메라의 제어부(21)가 수행하는 기능의 일부 또는 전부는 컴퓨팅 장치(10)의 제어부(11)가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컴퓨팅 장치(10)가 턴온되고,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아무런 입력이 없는 동안에는, 카메라(20)는 저성능의 이미지 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저전력 모드로 구동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 수신할 수 있는 활성화 입력을 수신하면 고성능의 인식을 수행할 수 있는 고전력 모드로 전력 모드가 스위칭된다. 상기 활성화 입력은 사용자의 특정 제스쳐일 수 있으며,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도 검출될 수 있는 제스쳐일 수 있다.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는 소정의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전력 모드에서는 상기 저전력 모드 보다 많은 수의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즉, 상기 저전력 모드에서는 크고, 느린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으며, 상기 고전력 모드에서는 작고, 빠른 제스쳐까지 검출할 수 있다. 그런 의미에서, 고전력 모드는 보다 세분화된 다수의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는 동작 모드라고 할 수 있다.
카메라(20)의 전력 모드는 카메라 또는 조명부의 구동 팩터들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카메라의 프레임 레이트를 조절하거나, 클럭 스피드, 해상도, 셔터 스피드 등을 조절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카메라(20)의 조명부의 조명 강도를 조절할 수도 있다. 즉, 저전력 모드에서는 컴퓨팅 장치(10)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까지만 조명하도록 설정하고, 고전력 모드에서는 상대적으로 먼 거리까지 조명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저전력 모드에서는 위 구동 팩터들의 일부 또는 전부를 낮은 값으로 설정하고, 고전력 모드에서는 위 구동 팩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상대적으로 높은 값으로 변경함으로써 카메라(20)의 전력 모드를 변경시킬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카메라(20)의 전력 모드는 카메라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경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위 구동 팩터들의 구체적인 값은 컴퓨팅 장치(10)의 종류나 구체적인 적용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전력 제어 방법을 설명한다.
도 4에서, 사용자로부터 일정 시간 동안 입력이 없으면, 카메라(20)는 제1 전력 모드로 구동된다. 제1 전력 모드는 저전력 모드로써, 전술한 전력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 팩터들이 낮은 값으로 설정된다.
제1 전력 모드에서의 전력 레벨은 P1이라 가정한다. 제1 전력 모드에서 검출될 수 있는 제스쳐는 저성능으로도 검출될 수 있는 제스쳐, 즉 상대적으로 크고, 느린 제스쳐이다. 이러한 큰 제스쳐 중 하나를 사용자의 활성화 제스쳐로 지정하여 저장부(14)에 저장할 수 있다.
시간 t1에서, 사용자로부터 활성화 입력 예컨대, 활성화 제스쳐 입력이 입력되면, 카메라(20)는 제2 전력 모드, 즉 고전력을 사용하는 모드로 전력 모드를 스위칭한다. 제2 전력 모드에서는 전술한 예에서 전력 모드를 조절하기 위한 구동 팩터들이 높은 값으로 변경된다.
제2 전력 모드에서의 전력 레벨을 P2라 가정한다. 제2 전력 모드에서는 제1 전력 모드보다 작고, 빠른 제스쳐도 검출할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10)를 제어하기 위해 설정된 모든 제스쳐들을 검출할 수 있다. 제2 전력 모드로 진입한 후에 일정 시간 동안 사용자로부터 입력이 없으면, 시간 t2에서 카메라(20)는 다시 저전력 모드로 복귀한다.
컴퓨팅 장치(10)가 TV인 경우를 예로 들면, 사용자가 TV를 시청하는 중에는 TV와 연결된 카메라는 제1 전력 모드에 있게 된다. 사용자가 볼륨 업 명령을 입력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먼저 활성화 제스쳐를 입력한다. 활성화 제스쳐에 의해 카메라의 전력 모드는 제2 전력 모드로 스위칭 되고, 사용자는 볼륨 업 명령에 해당하는 제스쳐를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가 다시 TV를 시청하고, 소정 시간 동안 입력이 없으면 카메라의 전력 모드는 다시 제1 전력 모드로 복귀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컴퓨팅 장치(10)에서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또는 다른 조건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한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자동으로 카메라의 전력 모드가 제2 전력 모드로 스위칭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이 외에도, 본 발명 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에는 자동으로 카메라의 전력 모드를 제2 전력 모드로 스위칭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에 따라서는, 제2 전력 모드에서 다시 제1 전력 모드로 복귀하기 위한 제스쳐도 설정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전력 모드를 변경하기 위한 활성화 제스쳐를 나타낸다.
사용자가 손가락을 컴퓨팅 장치(10)에 좌우로 느린 속도로 흔드는 제스쳐를 활성화 제스쳐로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활성화 제스쳐는 실시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크고 느리며, 저성능의 카메라로도 패턴을 분석할 수 있는 제스쳐일 수 있다. 이 외에도 상기 지정된 사용자 입력은 사용자의 한손을 좌우로 흔들기, 상하로 흔들기, 특정 다각형 그리기 등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11)에서 제1 전력 모드, 즉 저전력 모드로 카메라를 구동한다. 단계(S12)에서 도 5와 같은 활성화 제스쳐가 검출되면, 단계(S13)에서 전력 모드를 제2 전력 모드, 즉 고전력 모드로 스위칭하고, 단계(S14)에서 사용자의 제스쳐 입력이 검출되면, 단계(S15)에서 입력된 제스쳐에 해당하는 명령을 실행한다.
단계(S12)에서 활성화 제스쳐가 검출되지 않으면 계속 저전력 모드로 구동된다. 단계(S14)에서 일정 시간 이상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지 않으면, 단계(S11)에 서 다시 저전력 모드로 복귀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의 인식 가능 범위에 따라 조명부의 범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전술한 바와 같이, 카메라의 전력 모드를 조절할 때, 조명부가 조명하는 거리를 조절할 수도 있다. 컴퓨팅 장치(10)로부터 조명부의 조명 거리가 멀수록 카메라의 소모 전력이 많아지고, 조명가능한 거리가 가까울수록 소모 전력이 적어지게 된다.
조명부가 조명가능한 거리는 적어도 카메라(20)의 이미지 수신부(24), 예컨대 CMOS 센서 어레이가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조명부의 조명 거리는 카메라의 이미지 수신부(24)가 이미지를 인식할 수 있는 거리와 같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정해진 횟수 만큼 또는 정해진 기간 동안 사용자가 제스쳐를 성공적으로 입력할 때마다, 사용자와 컴퓨팅 장치(10)의 거리를 측정하여 저장하고, 조명부의 조명가능 거리를 그 측정된 거리 중 가장 먼 거리로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서로 다른 위치에서 30회 제스쳐를 입력할 때 마다 또는 한달 동안 사용자가 제스쳐를 입력할 때 마다 사용자와 컴퓨팅 장치(10)의 거리를 측정할 수 있다. 사용자와 컴퓨팅 장치(10) 사이의 거리는 사용자가 제스쳐를 입력할 때, 카메라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성공적으로 제스쳐 명령을 입력한 위치를 P1,P2,P3라 하면, 컴퓨팅 장치(10)로부터 가장 먼 위치는 P3이고, 그 때의 거리는 L3가 된다. 조명부의 조명 가능 거리를 이 때의 거리 L3로 설정하면 최적의 조명 거리가 되며, 전력 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의 인식 가능 범위에 따라 조명부의 범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단계(S21)에서 사용자의 제스쳐를 일정 횟수 또는 일정 기간 동안 검출한다. 단계(S22)에서 사용자가 제스쳐를 입력할 때마다 사용자의 컴퓨팅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한다. 단계(S23)에서 상기 측정된 거리 중 최대 거리를 결정하고, 단계(S24)에서 카메라의 조명부의 조명 거리를 상기 최대 거리와 동일하게 조정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스쳐 인식용 카메라 전력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방송 수신 장치(40)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수신하는 기능 외에, 방송 수신부(41)를 통해 무선 또는 케이블을 통해 RF 신호 형태의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이 부가되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4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부(41), 역다중화부(42), 영상신호 처리부(43), 디스플레이부(44),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 OSD 생성부(46),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 저장 인터페이스부(48), 저장장치(49), 외부신호 입력부(39) 및 제어부(50)를 포함한다.
방송 수신 장치(40)의 제어부(50)는 전술한 도 1의 컴퓨팅 장치(10)의 제어부(11)에, 저장장치(49)는 저장부(14)에, 외부 신호 입력부(39)는 카메라 접속부(13)에 각각 대응된다.
위 구성요소들 중 방송 수신부(41), 역다중화부(42), 영상신호 처리부(43)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여 다양한 처리를 통해 디스플레이부(44)로 출력 가능한 형태로 처리하는 하나의 방송 처리부를 구성할 수 있다.
컨텐츠가 디지털 방송인 경우에, 디지털 방송신호는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부가 데이터를 시분할 다중화하여 패킷화된 트랜스포트 스트림(Transport Stream) 형태로 전송된다.
방송수신부(41)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방송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고, 또한 후술할 제어부(50)의 튜닝 제어신호에 따라 그에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을 갖는 방송신호를 튜닝하는 튜너와, 튜닝된 특정 채널의 방송신호를 VSB(Vestigial Sideband)복조과정 및 오류정정과정 등을 거쳐 트랜스포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하는 디모듈레이터(복조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수신부(41)를 통해 수신된 방송신호는 역다중화부(42)에 의해 비디오신호와 오디오신호 및 PSIP(Program and System Information Protocol) 정보 등으로 정의되는 각종 부가 데이터로 분리되어 비트 스트림 형태로 출력된다.
역다중화부(42)를 통해 분리된 비디오 데이터는 영상신호 처리부(43)에 의해 처리되어 디스플레이부(44)에 표시된다.
이때, 영상신호 처리부(43)는 MPEG-2 디코더와, 비디오 데이터를 디스플레 이부(44)의 출력규격에 맞는 수직주파수, 해상도, 화면비율 등에 맞도록 변환하는 스케일러를 포함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44)로는 DLP(Digital Light Processing),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play Panel) 등과 같이 다양한 유형의 디스플레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오디오 신호는 음성신호 처리부(미도시)에 의해 처리되어 스피커로 출력되는데, 음성신호 처리부는 AC-3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역다중화부(42)를 통해 분리된 부가 데이터에 포함된 부가 데이터는 후술할 저장 인터페이스부(48)를 통해 저장장치(49)에 저장된다.
저장장치(49)는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는 사용자로부터 요구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으로써, 일반적으로 리모트 컨트롤러를 통해 입력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는 적외선 수신부나 패널 일측에 구비된 로컬 키 입력부가 이에 포함된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는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 제공자(20)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한다. 즉, 네트워크를 통하여 컨텐츠 제공자로부터 제공되는 방송, 게임, VOD, 방송 신호 등의 컨텐츠 및 그와 관련된 정보를 수신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를 통해 네트워크 운영자(10)가 제공하는 펌웨어의 업데이트 정보 및 업데이트 파일도 수신한다.
OSD 생성부(46)는 사용자의 판단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메뉴화면을 OSD(On Screen Display) 형태로 생성한다.
즉, 상기 OSD 생성부(46)는 상기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45)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와 관련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외부신호 입력부(39)는 다른 재생 장치, 예컨대 DVD 플레이어, 게임기 등으로부터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이다. 외부신호 입력부(39)에 다른 재생 장치를 접속하여 그 재생 장치에 저장된 멀티 미디어를 디스플레이부(44)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50)는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47)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 제어를 수행한다. 제어부(50)는 네트워크 운영자(10)로부터 수신한 컨텐츠 제공자(20)의 소프트웨어, 즉 펌웨어의 업데이트 파일을 수신하여 실행한다.
실시예에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40)는 3D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40)의 메뉴 화면은 3D로 제공될 수 있으며, 컨텐츠 제공자(20)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3D 컨텐츠인 경우도 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3D 이미지를 구현하기 위해,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신호 처리부(48)의 출력단에 3D 포맷터(38)가 배치된다. 3D 포맷터(38)는 영상 신호 처리부(48)에 의해 처리된 영상을 3D 이미지로 변환하여 디스플레이부(44)로 전달한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OSD 생성부(46) 내에 OSD 출력을 3D로 변환하는 별도의 3D 포맷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법들은 컴퓨터와 같은 범용 프로세서에서 실행되기 위한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특히, 플래쉬 어플리케이션 또는 3D 플래쉬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구현된 프로그램은 되어 네트워크 TV 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위 실시예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들에 다양한 변형이 가해질 수 있으며, 그 변형된 실시예들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용자의 제스쳐를 인식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전력 레벨 변화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의 전력 모드 조절 방법을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전력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의 인식 가능 범위에 따라 조명부의 범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낸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메라의 인식 가능 범위에 따라 조명부의 범위를 조절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전력 제어 방법을 구현할 수 있는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도를 나타낸다.

Claims (20)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적외선 이미지 센서와 적외선 조명 장치를 포함하는 카메라를 사용하여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는 컴퓨팅 장치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로부터 적외선 이미지를 수신하는 카메라 접속부; 및
    상기 카메라의 제1 전력 모드에서, 상기 적외선 조명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제1 조명 강도의 제1 적외선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적외선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되는 제1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상기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1 전력 모드로부터 제2 전력 모드로 전환하도록 지정된 사용자 입력을 검출하고,
    검출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카메라의 상기 동작 모드를 제2 전력 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적외선 조명 장치의 조명 강도를 상기 제1 조명 강도보다 큰 제2 조명 강도로 조절하고,
    상기 카메라의 상기 제2 전력 모드에서, 상기 적외선 조명 장치에 의해 제공되는 상기 제2 조명 강도의 제2 적외선 조명을 이용하여 상기 적외선 이미지 센서에 의해 촬영되는 제2 적외선 이미지로부터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하고,
    검출된 제스쳐에 따라 상기 컴퓨팅 장치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력 모드는 저전력 모드이고, 상기 제2 전력 모드는 고전력 모드이고,
    상기 카메라는 상기 제2 전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1 전력 모드보다 많은 수의 사용자 제스쳐를 검출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상기 제1 전력 모드에서 검출 가능한 제스쳐인 컴퓨팅 장치.
  15. 삭제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레이트, 클럭 스피드, 해상도, 셔터 스피드 중 적어도 하나를 변경함으로써 상기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전력 모드로 전환시키는 컴퓨팅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의 프레임 레이트를 증가시킴으로써 상기 카메라의 동작 모드를 상기 제2 전력 모드로 전환시키는 컴퓨팅 장치.
  18. 삭제
  19.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의 제스쳐를 검출하고,
    상기 제스쳐가 검출되었을 때의 사용자와 상기 컴퓨팅 장치 간의 거리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사용자의 위치 중 상기 컴퓨팅 장치로부터 가장 먼 사용자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는 범위로 상기 카메라의 조명 강도를 조절하는 컴퓨팅 장치.
  20.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입력은 한손을 좌우로 흔들기, 상하로 흔들기, 다각형 그리기 중 하나인 컴퓨팅 장치.
KR1020090119215A 2009-12-03 2009-12-03 사용자의 제스쳐로 제어가능한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6521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215A KR101652110B1 (ko) 2009-12-03 2009-12-03 사용자의 제스쳐로 제어가능한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US12/958,760 US8599265B2 (en) 2009-12-03 2010-12-02 Power control method of device controllable by user's gesture
PCT/KR2010/008569 WO2011068362A2 (en) 2009-12-03 2010-12-02 Power control method of device controllable by user's gesture
CN201080054652.3A CN102640080B (zh) 2009-12-03 2010-12-02 通过用户的姿势可控制的设备的功率控制方法
DE112010004671T DE112010004671T5 (de) 2009-12-03 2010-12-02 Leistungssteuerverfahren einer durch Benutzergestik steuerbaren Vorrichtu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19215A KR101652110B1 (ko) 2009-12-03 2009-12-03 사용자의 제스쳐로 제어가능한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62475A KR20110062475A (ko) 2011-06-10
KR101652110B1 true KR101652110B1 (ko) 2016-08-29

Family

ID=440816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19215A KR101652110B1 (ko) 2009-12-03 2009-12-03 사용자의 제스쳐로 제어가능한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8599265B2 (ko)
KR (1) KR101652110B1 (ko)
CN (1) CN102640080B (ko)
DE (1) DE112010004671T5 (ko)
WO (1) WO2011068362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39020B1 (en) 2010-06-16 2014-01-28 Intel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modeling subjects from a depth map
KR101837082B1 (ko) * 2011-01-20 2018-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기기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GB2490108B (en) * 2011-04-13 2018-01-17 Nokia Technologies Oy A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user control of a state of an apparatus
US11048333B2 (en) 2011-06-23 2021-06-29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lose-range movement tracking
JP6074170B2 (ja) 2011-06-23 2017-02-01 インテル・コーポレーション 近距離動作のトラッキング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909082B1 (ko) * 2012-01-31 2018-10-18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 인터랙션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을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TWI536157B (zh) * 2012-02-23 2016-06-01 原相科技股份有限公司 電子裝置與電腦可讀取媒體
US9477303B2 (en) 2012-04-09 2016-10-25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mbining three-dimensional tracking with a three-dimensional display for a user interface
US20130339763A1 (en) * 2012-06-19 2013-12-19 Ideacom Technology Inc. Contrtol apparatus of an electronic system and the method therein
CN104429163B (zh) * 2012-07-13 2016-12-21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照明控制装置、照明用光源以及照明系统
KR102281233B1 (ko) * 2013-03-14 2021-07-23 삼성전자 주식회사 화면 제어 방법 및 장치
CN103297755A (zh) * 2013-05-13 2013-09-11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视频监控方法及视频监控终端
US10694106B2 (en) * 2013-06-14 2020-06-23 Qualcomm Incorporated Computer vision application processing
US20160162039A1 (en) * 2013-07-21 2016-06-09 Pointgrab Ltd. Method and system for touchless activation of a device
KR101418892B1 (ko) * 2013-09-04 2014-07-17 재단법인 다차원 스마트 아이티 융합시스템 연구단 전단 이벤트 감지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저전력 카메라 시스템
KR102146857B1 (ko) * 2014-04-07 2020-08-21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영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CN104159360B (zh) * 2014-06-30 2017-03-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照明控制方法、装置及设备
CN105334942A (zh) * 2014-07-31 2016-02-17 展讯通信(上海)有限公司 一种控制系统及控制方法
KR101712530B1 (ko) * 2014-10-08 2017-03-08 주식회사 디에스아이텍 디지털 사이니지 장치
KR101654904B1 (ko) * 2015-06-29 2016-09-22 주식회사 디에스아이텍 디지털 사이니지의 구동장치와 구동방법
DE102017208663A1 (de) 2016-06-09 2017-12-14 Conti Temic Microelectronic Gmbh Umgebungserfassende Vorrichtung sowie Kraftfahrzeug mit einer solchen umgebungserfassenden Vorrichtung
US10565678B2 (en) * 2018-03-23 2020-02-1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Asynchronous camera frame allocation
US20210073541A1 (en) * 2018-05-22 2021-03-11 Vivo Mobile Communication Co., Ltd. Object recognition method and mobile terminal
CN110517034A (zh) * 2018-05-22 2019-11-29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对象识别方法及移动终端
CN111913555A (zh) * 2019-05-09 2020-11-10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应用程序的控制方法、控制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580765B2 (en) 2019-09-02 2023-02-14 Tobii Ab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physical presence
EP3999937A1 (en) * 2019-12-17 2022-05-25 Google LLC Low-power vision sensing
KR20210093565A (ko) * 2020-01-20 2021-07-28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JP7008104B2 (ja) * 2020-06-22 2022-01-25 レノボ・シンガポール・プライベート・リミテッド 電子機器、及び制御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2950A1 (en) * 2001-11-27 2003-07-17 Fahri Surucu Detecting,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input events based on stimuli in multiple sensory domains
US20050104968A1 (en) * 2003-03-18 2005-05-19 Fujitsu Limited Capture device
US20070192910A1 (en) * 2005-09-30 2007-08-16 Clara Vu Companion robot for personal interaction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222859C (zh) * 2000-05-17 2005-10-12 皇家菲利浦电子有限公司 用于通过图象处理而不用三维建模来指示目标的设备和方法
US20030095154A1 (en) * 2001-11-19 2003-05-2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Method and apparatus for a gesture-based user interface
US7815507B2 (en) * 2004-06-18 2010-10-19 Igt Game machine user interface using a non-contact eye motion recognition device
GB0225839D0 (en) * 2002-11-06 2002-12-11 Ford Global Tech Inc Interactive lighting system
KR20060002995A (ko) * 2003-04-14 2006-01-09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전기 장치 및 장치와 유저 사이의 통신 방법
KR100601274B1 (ko) 2004-08-03 2006-07-14 주식회사 대우일렉트로닉스 절전형 영상재생기기
JP2006222529A (ja) 2005-02-08 2006-08-24 Canon Inc 撮像装置
CN100448269C (zh) * 2005-10-09 2008-12-31 亚洲光学股份有限公司 影像撷取装置的省电方法
CN1812500A (zh) * 2005-10-19 2006-08-02 佛山普立华科技有限公司 一种数码摄影产品即时省电与拍摄的方法与装置
KR20070116714A (ko) 2006-06-06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비디오 카메라를 구비한 텔레비전의 개인별 설정,보호자 통제, 절전 제어 방법 및 시스템
CN100544402C (zh) * 2006-11-15 2009-09-23 华晶科技股份有限公司 具有感测装置的数字影像撷取装置
US8094129B2 (en) * 2006-11-27 2012-01-10 Microsoft Corporation Touch sensing using shadow and reflective modes
JP4652368B2 (ja) * 2007-03-26 2011-03-16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機器、画像表示プログラム
JP4854605B2 (ja) * 2007-06-21 2012-01-18 三菱電機株式会社 監視カメラシステム
KR101387404B1 (ko) * 2007-08-30 2014-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제어장치 및 그 방법
US8159551B2 (en) 2007-09-26 2012-04-17 Sony Ericsson Mobile Communications Ab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automatic control to keep display turned on and method
JP5228439B2 (ja) * 2007-10-22 2013-07-03 三菱電機株式会社 操作入力装置
KR101047654B1 (ko) 2008-05-15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 타이어용 전원발생장치
KR101688655B1 (ko) * 2009-12-03 2016-12-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사용자의 프레전스 검출에 의한 제스쳐 인식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30132950A1 (en) * 2001-11-27 2003-07-17 Fahri Surucu Detecting, classifying, and interpreting input events based on stimuli in multiple sensory domains
US20050104968A1 (en) * 2003-03-18 2005-05-19 Fujitsu Limited Capture device
US20070192910A1 (en) * 2005-09-30 2007-08-16 Clara Vu Companion robot for personal interac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2640080B (zh) 2015-08-12
DE112010004671T5 (de) 2013-01-17
US20110134250A1 (en) 2011-06-09
KR20110062475A (ko) 2011-06-10
US8599265B2 (en) 2013-12-03
CN102640080A (zh) 2012-08-15
WO2011068362A2 (en) 2011-06-09
WO2011068362A3 (en) 2011-11-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52110B1 (ko) 사용자의 제스쳐로 제어가능한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KR101688655B1 (ko) 사용자의 프레전스 검출에 의한 제스쳐 인식 장치의 전력 제어 방법
CN106973323B (zh) 电子设备和在电子设备中扫描频道的方法
CN111343489B (zh) 一种显示设备及播放终端中音乐的方法
CN111405338B (zh) 一种智能画质的切换方法及显示设备
KR10215512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제어 방법 및 디스플레이 시스템
CN112543359B (zh) 一种显示设备及自动配置视频参数的方法
CN112333499A (zh) 寻找目标设备的方法和显示设备
CN112073865A (zh) 蓝牙耳机的音量设置方法及装置、电子设备
CN111083538A (zh) 一种背景图像的显示方法及设备
CN102054251A (zh) 为网络显示装置提供部分内容
CN110602540B (zh) 显示设备音量控制方法及显示设备
WO2020248699A1 (zh) 一种声音处理法及显示设备
CN111050207A (zh) 一种电视频道切换的方法及电视
CN112423042A (zh) 一种双系统蓝牙遥控器的升级方法及系统
US20130335323A1 (en) Cursor control device and system
CN113573126A (zh) 一种显示设备、移动终端及服务器
CN112073816A (zh) 双系统usb升级方法、装置及显示设备
CN112995113B (zh) 一种显示设备、端口控制方法及存储介质
KR101280510B1 (ko)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11930238B2 (en) Display device, and infrared transmission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11601159B (zh) 显示设备、数字音频信号的生成及处理方法
CN112073772B (zh) 基于双系统的按键无缝传递方法及显示设备
KR101636574B1 (ko) 공통 포맷을 갖는 컨텐츠 제공자 서버의 초기화면 제공 방법
CN112073775A (zh) 一种声音处理方法及显示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