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80510B1 -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 Google Patents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80510B1
KR101280510B1 KR1020070000794A KR20070000794A KR101280510B1 KR 101280510 B1 KR101280510 B1 KR 101280510B1 KR 1020070000794 A KR1020070000794 A KR 1020070000794A KR 20070000794 A KR20070000794 A KR 20070000794A KR 101280510 B1 KR101280510 B1 KR 1012805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frame
module
channel switching
sto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000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80064058A (ko
Inventor
이상권
최혁승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000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80510B1/ko
Priority to US11/754,629 priority patent/US20080155593A1/en
Priority to EP07122159A priority patent/EP1936959A3/en
Priority to IT002357A priority patent/ITMI20072357A1/it
Publication of KR200800640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800640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805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805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3Extraction or processing of packetized elementary streams [P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5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e.g. extracting service information from an MPEG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8Interfacing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originating from a server, e.g. retrieving encoded video stream packets from an IP network
    • H04N21/4383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 H04N21/4384Accessing a communication channel involving operations to reduce the access time, e.g. fast-tuning for reducing channel switching latenc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2Monitoring of processes or resources, e.g. detecting the failure of a recording device, monitoring the downstream bandwidth, the number of times a movie has been viewed, the storage space available from the internal hard disk
    • H04N21/44213Monitoring of end-user related data
    • H04N21/44222Analytics of user selections, e.g. selection of programs or purchase activ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 방법은 다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a) 단계와, 상기 패킷에 대한 패킷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전환 수단의 접촉에 대응하는 채널에서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프레임을 저장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IPTV, DTV, 채널 전환

Description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Method for channel switching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metho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의 기본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에 따라 프레임을 저장하는 버퍼와 디코더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 설명)
210: 패킷 수신 모듈
220: 프로그램 정보 추출 모듈
230: 사용자 입력 모듈
240: 채널 전환 제어 모듈
250: 프레임 추출 모듈
260: 프레임 저장 모듈
270: 디코딩 모듈
280: 디스플레이 모듈
본 발명은 채널 전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DTV 또는 IPTV 환경에 있어서 사용자의 채널 전환 요청에 따라 요청된 채널의 영상을 화면에 빠르게 표시하도록 하는 방법 및 이러한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통신 및 영상 처리 기술의 발달에 따라 디지털 TV가 널리 보급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기존의 아날로그 TV가 점차 디지털 TV로 대체되고 있다.
이러한 디지털 TV는 보다 선명한 영상과 다양한 부가 정보의 제공에 의해 많은 사용자들에 의해 선호되고 있으나, 사용자가 채널을 전환하는 경우(예를 들어, MBC를 시청하다가 KBS로 채널을 전환하는 경우), 채널이 전환되는 속도가 아날로그 TV에 비하여 느리기 때문에 사용자는 채널 전환에 따른 대기 시간만큼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따르게 된다. 이것은 디지털 TV에 탑재된 튜너가 채널 전환 요청을 받았을 때 현재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에서 상기 요청된 채널에 대한 주파수 대역으로 튜닝하는 시간이 필요하고, 튜닝이 되더라도 예컨대 전송되는 화상의 GOP가 I 프레임, B 프레임 그리고 P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경우에 I 프레임으로 시작하는 GOP(Group Of Picture) 순서가 되면 바로 디코딩이 가능하지만, GOP의 중간 단계에서 채널 전환이 수행되면 I 프레임이 들어오는 새로운 GOP가 시작되기 전까지는 전환된 채널의 영상이 표시되지 않게 된다. 즉, 새로운 GOP의 시작 시점이 도달되기 전까지 시간이 소요된다.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하나의 튜너가 아닌 복수의 튜너를 구비한 디지털 TV가 등장하게 되었는데, 다수의 채널을 통하여 전송되는 방송 신호가 복수의 튜너를 통해 입력되고, 사용자의 채널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에 요청된 채널에 해당하는 튜너가 선택되어 종래의 튜닝 시간을 줄이도록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디지털 TV의 경우에도 MPEG-2 방식과 같이 I 프레임, B 프레임 그리고 P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화상을 수신하는 경우에 I 프레임에 도달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에 대해서는 그 해결방법이 제시되지 못하고 있다.
한편, 최근에는 초고속 인터넷을 이용하여 정보 서비스, 동영상 콘텐츠 및 방송 등을 텔레비전 수상기로 제공하는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서비스가 등장하게 되었다.
IPTV는 비디오를 비롯한 방송 컨텐츠를 제공한다는 점에서는 일반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또는 위성 방송과 별다른 차이점이 없지만, 양방향성이 추가되며 인터넷 회선을 통하여 방송 컨텐츠가 제공된다는 특징이 있다.
그런데, IPTV에서도 디지털 TV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한 채널 전환이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의한 채널 전환 요청이 있는 경우, 요청된 채널로 빠르게 전환하여 전환된 채널에서의 영상을 화면에 표시하도록 할 필요성이 생 기게 되었다.
본 발명은 복수의 버퍼를 구비하고,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채널 별로 각각의 버퍼에 미리 저장함으로써 채널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 방법은 다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a) 단계와, 상기 패킷에 대한 패킷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전환 수단의 접촉에 대응하는 채널에서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프레임을 저장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 방법은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a) 단계와,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 중에서 채널 전환 수단의 접촉에 대응하는 채널에서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프레임을 저장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 방법은 채널 전환 수단의 접촉을 감지하는 (a) 단계와, 상기 감지된 접촉에 대응하는 채널에서의 프레임을 저장하는 (b) 단계 및 상기 접촉된 채널 전환 수단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저장된 프레임을 출력하는 (c)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는 다수의 패킷으로 이루어지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패킷 수신 모듈과, 상기 패킷에 대한 패킷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전환 수단의 접촉에 대응하는 채널에서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 모듈 및 상기 추출된 프레임을 저장하는 프레임 저장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는 수신한 방송 신호 중에서 채널 전환 수단의 접촉에 대응하는 채널에서의 프레임을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 모듈 및 상기 추출한 프레임을 저장하는 프레임 저장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는 현재 채널에서의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채널 전환 수단의 접촉에 대응하여 상기 현재 채널에 대한 하위 채널 또는 상위 채널에서의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저장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접촉된 채널 전환 수단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저장된 프레임을 출력하는 제2 모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채널 전환 제어 모듈 및 상기 채널 전환 수단의 접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모듈을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또는 처리 흐름도에 대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이 때, 처리 흐름도 도면들의 각 블록과 흐름도 도면들의 조합들은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범용 컴퓨터, 특수용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에 탑재될 수 있으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의 프로세서를 통해 수행되는 그 인스트럭션들이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는 수단을 생성하게 된다. 이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특정 방식으로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지향할 수 있는 컴퓨터 이용 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그 컴퓨터 이용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에 저장된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는 인스트럭션 수단을 내포하는 제조 품목을 생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컴퓨터 프로그램 인스트럭션들은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 탑제되는 것도 가능하므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 상에서 일련의 동작 단계들이 수행되어 컴퓨터로 실행되는 프로세스를 생성해서 컴퓨터 또는 기타 프로그램 가능한 데이터 프로세싱 장비를 수행하는 인스트럭션들은 흐름도 블록(들)에서 설명된 기능 들을 실행하기 위한 단계들을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각 블록은 특정된 논리적 기능(들)을 실행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실행 가능한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모듈, 세그먼트 또는 코드의 일부를 나타낼 수 있다. 또, 몇 가지 대체 실행예들에서는 블록들에서 언급된 기능들이 순서를 벗어나서 발생하는 것도 가능함을 주목해야 한다. 예컨대, 잇달아 도시되어 있는 두 개의 블록들은 사실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고 또는 그 블록들이 때때로 해당하는 기능에 따라 역순으로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위하여 이하에서는 주로 IPTV 환경을 기초로 하여 채널 전환 방법에 대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채널 전환의 기본 개념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다수의 패킷으로 구성되는 방송 신호(100)가 수신되면 프레임 추출 수단(110)은 수신된 패킷들을 기초로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 그리고 나서,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제1 버퍼(121)에 저장하고, 디코딩 수단(140)은 제1 버퍼(121)에 저장된 프레임들을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60)을 통하여 사용자에게 방송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사용자는 채널을 전환하기 위하여 리모컨에 부착된 채널 업/다운 버튼 중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에 손가락을 접촉시킬 수 있는데, 이 때, 이러한 접촉 여부를 나타내는 감지 정보가 프레임 추출 수단(110)으로 전달되면, 프레임 추출 수단(110)은 상기 감지 정보를 기초로 하여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의 이전 채널(이하, '하위 채널'이라 칭하기로 한다) 또는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의 이후 채널(이하, '상위 채널'이라 칭하기로 한다)에서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프레임들을 제2 버퍼(122)에 저장한다. 예를 들어, 방송 채널이 6번, 7번, 9번, 11번인 경우, 사용자가 현재 9번을 시청한다면, 현재 채널은 9번이고, 하위 채널은 7번 그리고 상위 채널은 11번이 되는 것이다.
이 때, 방송 신호(100)가 MPEG-2 방식에 의해 전송되는 경우 제2 버퍼(122)에 저장되는 프레임은 I-프레임 혹은 P-프레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버퍼(121)에는 현재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는 프로그램에 대한 모든 프레임(I, B, P-프레임)들이 저장된다.
사용자가 손가락과 접촉된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을 누름으로써 상위 채널 또는 하위 채널에서 방송되는 프로그램을 시청하기 원할 경우, 디코딩 수단(140)은 사용자로부터 수신한 채널 전환 명령에 대응하여 제2 버퍼(122)에 저장되어 있던 프레임들을 즉시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160)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현재 시청중인 채널뿐만 아니라, 상위 채널 또는 하위 채널에 대해서도 방송 프레임들을 미리 저장해 둠으로써 보다 빨리 채널 전환을 수행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200)는 패킷 수신 모듈(210), 프로그램 정보 추출 모듈(220), 사용자 입력 모듈(230), 채널 전환 제어 모듈(240), 프레임 추출 모듈(250), 프레임 저장 모듈(260), 디코딩 모듈(270)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280)을 포함한다.
패킷 수신 모듈(210)은 다수의 패킷으로 구성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 이 때, 상기 수신한 방송 신호는 MPEG-2 방식으로 이루어진 방송 신호인 것으로 한다.
프로그램 정보 추출 모듈(220)은 사용자의 채널 선택과 각각의 패킷을 식별하는 패킷 식별 정보를 기초로 하여 현재 채널과 하위 채널 또는 상위 채널의 프로그램 정보를 추출한다.
사용자 입력 모듈(230)은 사용자로부터 채널 선택을 입력받는다. 바람직하게는, 사용자 입력 모듈(230)은 적외선 수신 모듈을 포함하는데, 상기 적외선 수신 모듈은 사용자가 조작하는 적외선 리모컨으로부터 전송되는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한 적외선 신호로부터 사용자의 명령을 해석하여 채널 전환 제어 모듈(240)로 전달한다.
채널 전환 제어 모듈(240)은 사용자에 의한 채널 선택에 따라 프로그램 정보 추출 모듈(220), 디코딩 모듈(270) 그리고 프레임 추출 모듈(250)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빠른 채널 전환을 수행하도록 한다.
프레임 추출 모듈(250)은 상기 추출된 프로그램 정보에 대응하는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추출한다. 이 때, 하위 채널 또는 상위 채널의 경우에 프레임 추출 모듈(250)은 I-프레임과 P-프레임(이하, 'I-P 프레임'이라고 칭하기로 한다) 또는 2개의 P-프레임(이하, 'P-P 프레임'이라고 칭하기로 한다)을 각각 추출하거나, 하위 채널 또는 상위 채널에서의 I-프레임만을 추출할 수도 있다.
프레임 저장 모듈(260)은 제1 버퍼와 제2 버퍼를 포함하며, 프레임 추출 모듈(250)에 의해 추출된 프레임들을 해당하는 버퍼에 저장한다.
디코딩 모듈(270)은 프레임 저장 모듈(260)에 저장된 프레임들을 디코딩하고, 디스플레이 모듈(280)은 상기 디코딩된 프레임들을 출력한다.
한편, 채널 전환 수행 장치(200)는 채널 전환 이전에 사용자가 리모컨의 업/다운 버튼 중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에 손가락을 놓아 둔 상태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1 모드와 사용자가의 손가락이 위치한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이 눌려짐으로써 채널 전환이 발생한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제2 모드로서 동작 모드를 구분할 수 있다. 채널 전환 수행 장치(200)가 제1 모드로 동작하는 중에 사용자로부터 채널 전환 명령을 수신하면 제2 모드로 전환하게 되고, 제2 모드에 따른 동작을 수행한 후 사용자가 리모컨의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에 손가락을 올려 두게 되면 다시 제1 모드로 동작하게 된다.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컨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리모컨(300)의 외관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채널을 전환하거나 볼륨을 조절하기 위한 4방향 버튼(302)을 포함하는데, 이 때, 4방향 버튼(302) 중에서 업 버튼과 다운 버튼에는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하였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상기 감지 센서의 예로서, 손가락의 압력을 감지하는 압력 센서 또는 사람의 열을 감지하여 손가락의 접촉 여부를 결정하는 열 감지 센서 등이 있다.
또한, 리모컨(300)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접촉되었거나,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이 눌려진 경우 이를 적외선 송신 모듈(301)을 통하여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200)로 알려 주게 된다.
도 3b는 리모컨(300)의 기능 블록을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리모컨(300)은 감지 모듈(310), 제어 모듈(320), 저장 모듈(330) 및 적외선 송신 모듈(340)을 포함한다.
감지 모듈(310)은 압력 센서 또는 열 감지 센서 등을 포함하며, 사용자의 손가락이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에 접촉되었는지 여부를 감지하거나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이 눌러졌는지 여부를 감지한다.
제어 모듈(320)은 감지 모듈(310)로부터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의 손가락 감지 또는 눌려짐에 관한 정보를 전달받고 이에 대응하는 적외선 키 코드 정보를 저장 모듈(330)로부터 추출하여 적외선 송신 모듈(340)로 전달한다.
적외선 송신 모듈(340)은 상기 적외선 키 코드 정보에 의해 적외선 신호를 생성하여 채널 전환 수행 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이하, 도 2에 도시된 채널 전환 수행 장치(200) 및 도 3b에 도시된 리모컨을 구성하는 각 모듈들간의 동작을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플로우 차트를 이용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우선, 패킷 수신 모듈(210)은 복수의 패킷으로 구성된 방송 신호를 수신한다(S410). 이 때, 각각의 패킷은 자신을 다른 패킷과 구별되도록 하는 패킷 식별 정보를 포함한다. MPEG-2 포맷 형식으로 전송되는 방송 스트림의 경우 상기 패킷 식별 정보는 PID에 대응된다.
이 때, 프로그램 정보 추출 모듈(220)은 현재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의 패킷 식별 정보를 추출하고, 프레임 추출 모듈(250)은 상기 추출된 패킷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채널에서의 방송 컨텐츠에 대한 프레임을 추출한다.
프레임 저장 모듈(260)은 상기 추출된 프레임을 제1 버퍼에 저장하고, 상기 제1 버퍼에 저장된 프레임은 디코딩 모듈(270)에 의해 디코딩되어 디스플레이 모듈(280)을 통하여 출력된다.
이 때, 방송 컨텐츠에 대한 패킷 식별 정보는 MPEG-2 규격에서 규정하고 있는 PAT(Program Allocation Table) 및 PMT(Program Map Table)를 통하여 얻을 수 있다.
예를 들어, 패킷 수신 모듈(210)에 의해 수신된 패킷의 패킷 식별 정보ㅡ 즉 PID 값이 0이라면 수신된 패킷은 PAT 정보를 갖고 있는 패킷을 나타내므로, 프로그램 정보 추출 모듈(220)은 PAT 내부에 있는 PMT PID 정보를 이용하여 현재 채널에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의 PID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현재 채널에서 방송 중인 프로그램에 필요한 기본 스트림(Elementary Stream; ES)의 PID 정보는 PMT PID 정보를 통해 얻을 수 있게 되는데, 상기 기본 스트림은 비디오 정보 또는 오디오 정보를 갖고 있다.
한편, 리모컨(300)의 감지 모듈(310)이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에 사용자의 손가락이 놓여져 있음을 감지하면 이를 제어 모듈(320)로 전달하고, 제어 모듈(320)은 이에 대응하는 적외선 키 코드 정보를 저장 모듈(330)로부터 추출하여 적외선 송신 모듈(340)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적외선 송신 모듈(340)은 상기 적외선 키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적외선 신호를 생성한 후,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200)의 사용자 입력 모듈(230)은 상기 전송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에서의 접촉이 감지되었음을 알게 되고, 이에 따라 채널 전환 제어 모듈(240)은 프로그램 정보 추출 모듈(220)로 하여금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에 대응하는 상위 채널 또는 하위 채널에 대한 프로그램의 패킷 식별 정보를 추출하도록 한다(S420, S430).
그리고 나서, 프레임 추출 모듈(250)은 추출된 패킷 식별 정보를 이용하여 상위 채널 또는 하위 채널에서의 프로그램 즉,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프레임 중에서 디코딩이 가능하도록 I-P 프레임, P-P 프레임 또는 I-프레임을 추출한다(S440).
프레임 추출 모듈(250)에 의해 추출된 프레임은 프레임 저장 모듈(260)의 제2 버퍼에 저장되는데(S450), 상기 제2 버퍼에는 프레임 추출 모듈(250)에 의해 추출된 I-P프레임, P-P프레임 또는 I 프레임이 갱신되어 저장된다. 이 때, 상기 제2 버퍼에 저장된 프레임은 디코딩 모듈(270)에 의해 미리 디코딩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 모드에서의 동작을 나타내는 플로우 차트이다.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에 놓여진 손가락에 의해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이 눌려진 경우, 리모컨(300)의 감지 모듈(310)은 이를 제어 모듈(320)로 전달하고, 제어 모듈(320)은 이에 대응하는 적외선 키 코드 정보를 저장 모듈(330)로부터 추출하여 적외선 송신 모듈(340)에게 제공한다. 그리고 나서, 적외선 송신 모듈(340)은 상기 적외선 키 코드 정보를 이용하여 적외선 신호를 생성한 후,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200)로 전송하게 된다.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200)의 사용자 입력 모듈(230)은 상기 전송된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업 버튼 또는 다운 버튼이 눌러졌음을 알게 되고(S510), 이에 따라 채널 전환 제어 모듈(240)은 디코딩 모듈(270)로 하여금 제2 버퍼에 저장된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디스플레이 모듈(280)을 통하여 출력하도록 한다(S520).
만일, 제2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들이 이미 디코딩된 경우, 디코딩 모듈(270)에 의한 디코딩 과정은 생략되고 제2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디코딩된 프레임이 그대로 디스플레이 모듈(280)을 통하여 출력되므로 전환된 채널에서의 영상을 보다 빠르게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프레임 추출 모듈(250)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상위 채널 또는 하위 채널에서의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모든 프레임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프레임들은 프레임 저장 모듈(260)의 제2 버퍼에 저장된다. 이 때, 기존의 제1 버퍼에는 이전에 사용자가 시청하고 있던 방송 컨텐츠에 대한 프레임들이 더 이상 저장되지 않게 된다. 결국, 기존의 제2 버퍼는 사용자의 채널 전환 요청에 따라 제1 버퍼로서 기능하게 되고, 기존의 제1 버퍼는 이후 제2 버퍼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방송 채널이 6번, 7번, 9번, 11번인 경우, 사용자가 현재 9번을 시청하는 경우, 9번 채널에 대한 프레임들은 제1 버퍼에 저장된다. 만일 사용자가 다운 버튼 위에 손가락을 올려 놓으면 7번 채널에 대한 I-프레임이 제2 버퍼에 저장된다. 이 때, 사용자가 다운 버튼을 누른 경우 제2 버퍼에 저장된 프레임이 디코딩되어 출력되고, 제2 버퍼에는 7번 채널에 대한 모든 프레임들이 저장되지만, 제1 버퍼에는 9번 채널에 대한 프레임들이 더 이상 저장되지 않게 된다. 이후, 사용자가 다운 버튼에 손가락을 올려 놓으면, 6번 채널에 대한 I-프레임이 제1 버퍼에 저장되는 것이다. 결국, 사용자의 채널 전환에 따라 기존의 제1 버퍼가 채널 전환 후에는 제2 버퍼로서 기능하게 되고, 기존의 제2 버퍼는 제1 버퍼로서 기능하게 되는 것이다.
한편, 도 2에 도시된 디코딩 모듈(270)은 다수의 디코더를 포함할 수 있으며, 다수의 디코더와 프레임 저장 모듈(260)에 저장되어 있는 다수의 버퍼들 간의 연결을 통해 디스플레이 모듈(280)에서 제공하는 화면에는 현재 채널뿐만이 아니라 다른 채널에서의 방송 컨텐츠도 재생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사용자는 여러 채널에서 방송중인 컨텐츠를 동시에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6a 및 도 6b는 버퍼와 디코더 간의 연결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채널 전환 방법에 대해서는 주로 IPTV 환경을 중심으로 기술되었으나, DTV 환경에서도 적용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즉, 2개의 튜너를 구비하고 있는 DTV 환경에 있어서, 사용자가 리모컨의 업 버튼에 손가락을 올려 놓은 경우, 리모컨이 이를 감지하여 DTV로 전달하고, DTV에서는 현재 시청 중인 채널에 관한 튜너 이외에 다른 튜너가 상위 채널에서의 방송 프로그램에 대한 프레임들을 버퍼에 저장한다.
그리고 나서, 사용자가 올려 놓은 손가락으로 업 버튼을 누르게 되면, DTV에서는 상기 버퍼에 저장되어 있는 프레임들을 즉시 디코딩하여 화면에 출력하는 것이다. 이렇게 함으로써 빠른 채널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모듈'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FPGA또는 ASIC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은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은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은 디바이스 또는 보안 멀티미디어카드 내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CPU들을 재생시키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따르면, 사용자가 채널을 변경하고자 할 때 보다 빨리 채널 전환이 이루어져 전환된 채널에서의 영상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23)

  1. 다수의 패킷과 상기 패킷에 대한 패킷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a)단계;
    채널 전환 수단에 대한 접촉에 대응하는 전환 예정 채널의 프레임을 상기 수신된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b) 단계; 및
    상기 추출한 프레임을 저장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프레임은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의 상위 채널 또는 하위 채널에 대한 프레임인, 채널 전환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채널 및 상기 하위 채널에 대한 프레임은 I-프레임 또는 P-프레임인, 채널 전환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한 프레임은 디코딩되어 저장되는, 채널 전환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MPEG-2 방식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패킷 식별 정보는 MPEG-2 표준에서 규정하는 PID인, 채널 전환 방법.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된 채널 전환 수단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저장된 프레임을 출력하는 (d) 단계를 더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9. 채널 전환 수단에 대한 접촉을 감지하는 (a) 단계;
    상기 감지된 접촉에 대응하는 전환 예정 채널의 방송 신호를 상기 접촉 감지 시점으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전환 예정 채널의 프레임을 저장하는 (b) 단계; 및
    상기 접촉된 채널 전환 수단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저장된 프레임을 출력하는 (c)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는 상기 프레임을 디코딩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채널 전환 방법.
  11. 다수의 패킷과 상기 패킷에 대한 패킷 식별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패킷 수신 모듈;
    채널 전환 수단에 대한 접촉에 대응하는 전환 예정 채널의 프레임을 상기 패킷 수신 모듈이 수신한 상기 방송 신호로부터 추출하는 프레임 추출 모듈; 및
    상기 추출된 프레임을 저장하는 프레임 저장 모듈을 포함하는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프레임은 현재 사용자가 시청중인 채널의 상위 채널 또는 하위 채널에 대한 프레임인,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상위 채널 및 상기 하위 채널에 대한 프레임은 I-프레임 또는 P-프레임인,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프레임은 디코딩되어 저장되는,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MPEG-2 방식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패킷 식별 정보는 MPEG-2 표준에서 규정하는 PID인,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
  16. 삭제
  17. 삭제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접촉된 채널 전환 수단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저장된 프레임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는,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
  19. 현재 채널에서의 방송 컨텐츠를 출력하면서, 채널 전환 수단에 대한 접촉에 대응하는 전환 예정 채널 방송 신호를 상기 접촉 감지 시점으로부터 수신하여 전환 예정 채널에서의 방송 컨텐츠를 구성하는 프레임을 저장하는 제1 모드 및 상기 접촉된 채널 전환 수단의 선택에 의해 상기 저장된 프레임을 출력하는 제2 모드의 동작을 제어하는 채널 전환 제어 모듈; 및
    상기 채널 전환 수단에 대한 접촉 여부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입력 모듈을 포함하는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 예정 채널은, 상기 현재 채널에 대한 하위 채널 또는 상위 채널이고,
    상기 전환 예정 채널에 대한 프레임은 I-프레임 또는 P-프레임인,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되는 프레임은 디코딩되어 저장되는,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
  2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컨텐츠는 패킷 식별 정보에 의해 구별되는 다수의 패킷으로 구성되는 방송 신호에 실려 전송되는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방송 신호는 MPEG-2 방식에 의해 전송되고, 상기 패킷 식별 정보는 MPEG-2 표준에서 규정하는 PID인, 채널 전환을 수행하는 장치.
KR1020070000794A 2006-12-21 2007-01-03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12805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94A KR101280510B1 (ko) 2007-01-03 2007-01-03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US11/754,629 US20080155593A1 (en) 2006-12-21 2007-05-29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channel
EP07122159A EP1936959A3 (en) 2006-12-21 2007-12-03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channel
IT002357A ITMI20072357A1 (it) 2006-12-21 2007-12-18 Procedimento e apparato per cambiare cana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000794A KR101280510B1 (ko) 2007-01-03 2007-01-03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058A KR20080064058A (ko) 2008-07-08
KR101280510B1 true KR101280510B1 (ko) 2013-07-01

Family

ID=39815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000794A KR101280510B1 (ko) 2006-12-21 2007-01-03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8051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03689B1 (ko) * 2008-12-03 2012-01-11 주식회사 케이티 채널 변경 시간 동안 원본 정지 영상을 제공하여 채널 변경체감 속도를 높이는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4930A (ja) * 1997-02-24 1998-11-04 Yamaha Corp ディジタルチューナおよびそのチャンネル切換方法
KR20040106539A (ko) * 2002-05-13 2004-12-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영상 표시 제어 장치
KR20050025790A (ko) * 2003-09-08 2005-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전환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수신방법 및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4930A (ja) * 1997-02-24 1998-11-04 Yamaha Corp ディジタルチューナおよびそのチャンネル切換方法
KR20040106539A (ko) * 2002-05-13 2004-12-17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영상 표시 시스템 및 영상 표시 제어 장치
KR20050025790A (ko) * 2003-09-08 2005-03-14 엘지전자 주식회사 채널전환방법 및 장치를 포함하는 방송신호 수신방법 및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80064058A (ko) 2008-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2664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 simplified power scan for remote control
KR101295567B1 (ko) 티브이 및 이를 이용한 선호 채널 제공 방법
CN111405333A (zh) 显示设备和频道控制方法
JP2006197492A (ja)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4719296B1 (ja) 情報処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
JP2004235847A (ja) Dtv装置
KR101280510B1 (ko) 채널 전환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JP2009118423A (ja) 表示装置及び制御方法
JP4703217B2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装置
JP2008160795A (ja) チャネル切替方法及びその方法を行う装置
EP1936959A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ging channel
KR101414631B1 (ko) 티브이의 채널 정보 표시 방법 및 장치
KR101019258B1 (ko) 디지털 tv의 채널 변경 장치 및 방법
US20100293574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searching channel
KR101704818B1 (ko)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의 채널 전환 방법
TWI511563B (zh) TV changer control method and TV host
KR20100056906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키패널 터치 스크린 구현 방법
KR20100047750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에서 장르별 채널 탐색 방법
KR20060030739A (ko) 디지털 다채널 텔레비전 수신기에서 간편한 채널 전환 방법
KR101480562B1 (ko) 영상표시기기에서 데이터의 출력 방법 및 장치
JP2006115227A (ja) 番組表搭載デジタル放送受信機
JP2006340111A (ja) ディジタル放送受信装置
KR20060106221A (ko) 디지털 텔레비젼의 방송 채널정보 표시장치
JP2007228124A (ja) リモコン信号の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KR20110080352A (ko) 디지털 방송 수신기 및 osd 표시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3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9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30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