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2098B1 - 건식 벽체 구조물 - Google Patents

건식 벽체 구조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2098B1
KR101652098B1 KR1020140188945A KR20140188945A KR101652098B1 KR 101652098 B1 KR101652098 B1 KR 101652098B1 KR 1020140188945 A KR1020140188945 A KR 1020140188945A KR 20140188945 A KR20140188945 A KR 20140188945A KR 101652098 B1 KR101652098 B1 KR 1016520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ions
curved wall
connection
pai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88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78136A (ko
Inventor
곽진열
김규식
유영훈
정문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씨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씨씨
Priority to KR1020140188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2098B1/ko
Publication of KR201600781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7813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2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2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1/00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 E02D31/02Protective arrangements for foundations or foundation structures; Ground foundation measures for protecting the soil or the subsoil water, e.g. preventing or counteracting oil pollution against ground humidity or ground wate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64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for making damp-proof; Protection against corrosion
    • E04B1/642Protecting metallic construction elements against corro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곡면 벽체의 상부에서 상기 곡면 벽체의 표면 형상을 따라 위치되는 상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상기 곡면 벽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상기 하부 런너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곡면 벽체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한 쌍씩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 개의 철골 스터드부들;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을 설정 각도로 조절하여 유지하고, 상기 곡면 벽체 상에 지지되는 클립부; 및 상기 상부 런너부, 상기 하부 런너부 및 상기 철골 스터드부들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하나의 곡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마감 보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상기와 같은 건식 벽체 구조물은 곡면 벽체에 설치될 때 철골 스터드부들 사이의 벌어짐 및 철골 스터드부들 자체의 변형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고, 시공성이 향상되어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식 벽체 구조물{DRYWALL STRUCTURE}
본 발명은 벽체면으로부터 실내를 보호하기 위하여 벽체에 설치되는 건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곡면으로 이루어진 곡면 벽체에 안정적으로 용이하게 설치될 수 있는 건식 벽체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 차수벽은 지하의 외벽에 설치된다. 지하의 외벽은 방수층의 시공 상 결함, 방수층의 노후, 주변의 대규모 공사로 인한 지반 약화 등으로 인해 균열되는 경우가 있다. 이때, 지하의 외벽에는 누수가 발생하고, 누수에 의한 물이 지하의 실내 공간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때, 지하 차수벽은 지하의 실내공간으로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데에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지하 차수벽은 건식 벽체 구조물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한편, 건식 벽체 구조물은 평면 형태로 이루어진 벽체에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나, 곡면 형태로 이루어진 벽체에 설치되기도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건식 벽체 구조물(10)이 곡면 벽체(1)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10)은 상부 러너(11), 하부 러너(12), 철골 스터드(13)들, 마감 보드(14)들 및 횡보강부재(15)들을 포함하고, 곡면 벽체(1)에 설치된다.
철골 스터드(13)들은 곡면 벽체(1)에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되고, 철골 스터드(13)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상부 런너(11) 및 하부 런너(12)가 결합된다. 마감 보드(14)들은 철골 스터드들(13) 사이의 공간에 대응하도록 상부 러너(11), 하부 러너(12) 및 철골 스터드(13)들의 외측에 설치되어 하나의 평면을 형성한다. 이때, 철골 스터드(13)들은 한 쌍의 인접하게 설치되고, 설정 각도를 형성한다. 이로 인해, 마감 보드(14)들은 곡면 벽체(1)에 상응하도록 곡면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횡보강부재(15)들은 각각 철골 스터드(13)들을 연결하면서 수평방향으로 위치된다. 이때, 횡보강부재(15)는 철골 스터드(13)에 결착되거나 나사못 등에 의해 고정된다. 횡보강부재(15)와 곡면 벽체(1) 사이에는 지지 부재(16)가 위치되어, 횡보강부재(15)는 지지 부재(16)에 의해 지지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건식 벽체 구조물에서 철골 스터드 사이의 벌어짐 현상이 발생하여 마감 보드들 사이의 벌어짐도 발생한다. 이로 인해, 건식 벽체 구조물의 마감성이 저하된다. 또한, 횡보강부재는 철골 스터드들 사이의 간격을 고려한 길이를 갖는다. 이로 인해, 횡보강부재는 철골 스터드들 사이의 간격에 상응하도록 가공되어야 하기에, 시공에 따른 어려움이 있고 이에 따른 비용도 증가하게 된다.
일본 특허공개공보 제2008-255670호 (2008. 10. 23.)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4-0011180호 (2014. 01. 28.) 대한민국 특허등록공보 제10-1341799호 (2013. 12. 10.)
본 발명은 곡면 벽체에 설치될 때 철골 스터드부들 사이의 벌어짐 및 철골 스터드부들 자체의 변형을 방지하여,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공성이 향상되어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곡면 벽체의 상부에서 상기 곡면 벽체의 표면 형상을 따라 위치되는 상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상기 곡면 벽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상기 하부 런너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곡면 벽체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한 쌍씩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 개의 철골 스터드부들;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을 설정 각도로 조절하여 유지하고, 상기 곡면 벽체 상에 지지되는 클립부; 및 상기 상부 런너부, 상기 하부 런너부 및 상기 철골 스터드부들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하나의 곡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마감 보드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클립부는,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에 결합되어 상기 설정 각도를 조절하여 유지하는 결착 클립부; 상기 결착 클립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클립부; 상기 연결 클립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벽체 곡면 상에 위치되는 벽체 받침부; 및 상기 연결 클립부와 상기 벽체 받침부를 연결하고, 상기 결착 클립부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을 지지하는 지지 바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결착 클립부는,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의 내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결착 플레이트부들;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들을 연결하고 구부러질 수 있고, 결착 개구부가 형성된 결착 조절부; 각각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의 종단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구부러지고, 그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이 삽입되는 결착 고정부들; 및 각각 하단부가 결착 플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 상에 위치되는 밀착 플레이트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부 사이에는 상기 연결 클립부가 삽입되고, 상기 결착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이 상기 설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부러지고, 상기 지지 바아부가 상기 결착 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연결 클립부는, 각각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부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 플레이트부들; 상기 연결 플레이트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결착 개구부에 대응되는 연결 개구부가 형성된 대응 연결부; 및 각각 상기 연결 플레이트부와 상기 대응 연결부를 연결하면서 삽입 개구부를 형성하는 삽입 플레이트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플레이트부가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부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밀착 플레이트부는 상기 삽입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부와 상기 삽입 플레이트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바아부는 상기 연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결착 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또한, 상기 벽체 받침부는, 상기 곡면 벽체 상에 부착되는 받침 몸체부; 상기 받침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 바아부가 삽입되는 받침 개구부; 및 상기 받침 몸체부에서 상기 받침 개구부 주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조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
(1)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은 상부 런너부, 하부 런너부, 철골 스터드부들, 클립부들, 및 마감 보드부들을 포함하고, 벽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곡면 벽체에 설치된다. 특히, 클립부는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에 결합된다. 이때, 클립부에서 결착 클립부는 철골 스터드부들에 결합되어,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을 설정 각도로 조절하여 유지하면서 철골 스터드부들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한다. 또한, 클립부는 벽체 받침부 및 지지 바아부와 조합하여 철골 스터드부들을 지지하여 철골 스터드부들 자체의 변형을 방지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은 구조적 안정성을 유지하는 효과를 갖는다.
(2)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에서 클립부는 단순히 철골 스터드부들이 간단하게 삽입되어 철골 스터드부들 사이의 벌어짐 및 철골 스터드부들 자체의 변형을 방지한다. 즉, 클립부는 단순 삽입과정을 통해 철골 스터드부들에 설치되고, 시공조건에 따라 별도의 가공이 요구되지 않는다. 따라, 본 발명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은 클립부로 인해 시공성이 향상되어 시공에 따른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건식 벽체 구조물이 곡면 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이 곡면 벽체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식 벽체 구조물을 선 A-A를 따라 절개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식 벽체 구조물에서 클립부가 철골 스터드부들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클립부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100)이 곡면 벽체(1)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건식 벽체 구조물(100)을 선 A-A를 따라 절개하여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건식 벽체 구조물(100)에서 클립부(104)가 철골 스터드부(103)들에 결합된 모습을 도시하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클립부(104)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100)은 상부 런너부(101), 하부 런너부(102), 철골 스터드부(103)들, 클립부(104)들, 및 마감 보드부(105)들을 포함하고, 벽면이 곡면으로 이루어진 곡면 벽체(1)에 설치된다.
상부 런너부(101)는 곡면 벽체(1)의 상부에서 곡면 벽체(1)의 표면 형상을 따라 위치된다. 이때, 상부 런너부(101)는 건식 벽체 구조물(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의 천장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하부 런너부(102)는 상부 런너부(101)와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곡면 벽체(1)의 하부에 위치된다. 이때, 하부 런너부(102)는 건식 벽체 구조물(100)을 설치하고자 하는 공간의 바닥면에 설치될 수 있다.
철골 스터드부(103)들은 상부 런너부(101)와 하부 런너부(102)를 연결하면서 상호 간에 이격되어 곡면 벽체(1) 상에 위치된다. 이때, 철골 스터드부(103)는 상부 런너부(101)와 하부 런너부(102) 사이의 거리를 고려하여 가공된다.
또한, 철골 스터드부(103)들은 마감 보드(105)들을 이용하여 곡면 벽체(1)의 표면 형상에 상응하는 곡면을 구현하기 위하여, 한 쌍씩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에서 이격되기도 한다. 여기서, 인접하게 위치된 상태는 철골 스터드부(103)들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분이 상호 간에 맞닿은 상태이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103)들은 설정 각도(θ)를 형성하면서 상부 런너부(101)와 하부 런너부(102)를 연결한다. 이때, 설정 각도(θ)는 철골 스터드부(103)들의 위치에 따라 상이하고, 철골 스터드부(103)들의 측면 사이에 형성되는 각도이다. 또한, 설정 각도(θ)는 0° 내지 45°이고, 바람직하게는 1° 내지 15°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6°이다.
클립부(104)는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103)들에 결합된다. 이때, 클립부(104)는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103)들을 설정 각도(θ)로 조절하여 유지하고, 곡면 벽체(1) 상에 지지된다. 또한, 클립부(104)는 결착 클립부(141), 연결 클립부(143), 벽체 받침부(145) 및 지지 바아부(147)를 포함한다.
결착 클립부(141)는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103)들에 결합되어 설정 각도(θ)를 조절하여 유지한다. 또한, 결착 클립부(141)는 결착 플레이트부(141a)들, 결착 조절부(141b), 결착 고정부(141c)들, 및 밀착 플레이트부(141d)들을 포함한다.
결착 플레이트부(141a)들은 각각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103)들의 각각에 대응된다. 이때, 결착 플레이트부(141a)는 철골 스터드부(103)들의 각각의 내측면에 대응된다. 여기서, 철골 스터드부(103)의 내측면은 곡면 벽체(1)와 마주한다.
결착 조절부(141b)는 결착 플레이트부(141a)들을 연결하고 구부러질 수 있다. 이때, 결착 조절부(141b)들은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103)들 사이에 대응된다. 또한, 결착 조절부(141b)에는 결착 개구부(104a)가 형성된다.
결착 고정부(141c)들은 각각 결착 플레이트부(141)의 종단으로부터 연장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구부러진다. 결착 고정부(141c)들 사이에는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103)들이 삽입된다. 이로 인해,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103)들은 사이의 간격이 벌어지지 않도록 유지될 수 있다. 이때, 결착 조절부(141b)가 구부러져 조절되면,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103)들은 설정 각도(θ)를 형성할 수 있다. 한편, 설정 각도(θ)는 결착 조절부(141b)의 구부러짐이 없다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밀착 플레이트부(141d)들은 각각 하단부가 결착 플레이트부(141a)에 연결되어 결착 플레이트부(141a) 상에 위치된다. 한편, 밀착 플레이트부(141d)는 결착 플레이트부(141a)의 일부를 절개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클립부(143)는 결착 클립부(141)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특히, 연결 클립부(143)는 결착 클립부(141)에서 결착 플레이트부(141a)와 밀착 플레이트부(141d) 사이에 삽입되어 결착 클립부(141)에 결합된다. 또한, 연결 클립부(143)는 연결 플레이트부(143a)들, 대응 연결부(143b) 및 삽입 플레이트부(143c)들을 포함한다.
연결 플레이트부(143a)들은 각각 결착 플레이트부(141a)와 밀착 플레이트부(141d) 사이에 삽입된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부(143a)가 각각 결착 플레이트부(141a)와 밀착 플레이트부(141d) 사이에 삽입될 때, 밀착 플레이트부(141d)는 결착 플레이트부(141a)로부터 멀어졌다가 다시 결착 플레이트부(141a)를 향하여 이동한다. 이로 인해, 연결 플레이트부(143a)는 결착 플레이트부(141a)와 밀착 플레이트부(141d)에 밀착된다.
대응 연결부(143b)는 연결 플레이트부(143a)를 연결하고, 결착 조절부(141b)에 대응된다. 또한 대응 연결부(143b)에는 연결 개구부(104b)가 형성되고, 연결 개구부(104b)는 결착 개구부(104a)와 연결된다.
삽입 플레이트부(143c)들은 각각 연결 플레이트부(143a)와 대응 연결부(143b)를 연결하여 삽입 개구부(104c)를 형성한다. 이때, 삽입 개구부(104c)는 연결 플레이트부(143a), 대응 연결부(143b) 및 삽입 플레이트부(143c)의 조합으로 형성된 개방된 공간이다. 또한, 연결 플레이트부(143a)가 결착 플레이트부(141a)와 밀착 플레이트부(141d) 사이에 삽입될 때, 밀착 플레이트부(141d)는 삽입 개구부(104c)에 삽입되어 연결 플레이트부(143a)와 삽입 플레이트부(143c) 사이에 위치된다. 이로 인해, 연결 클립부(143)는 결착 클립부(141)에 결합될 때 보다 견고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벽체 받침부(145)는 연결 클립부(143)로부터 이격되어 곡면 벽체(1) 상에 위치된다. 또한, 벽체 받침부(145)는 받침 몸체부(145a), 받침 개구부(145b), 및 보조 개구부(145c)들을 포함한다.
받침 몸체부(145a)는 곡면 벽체(1) 상에 부착되고, 연결 클립부(103)와 마주하도록 위치된다. 이때, 받침 몸체부(145a)는 곡면 벽체(1) 상에 안정적으로 부착될 수 있도록 곡면 벽체(1)의 표면 형상에 상응한다.
받침 개구부(145b)는 받침 몸체부(145a)의 중앙에 형성되고, 보조 개구부(145c)들은 받침 몸체부(145a)에서 받침 개구부(145b) 주위에 형성된다. 특히, 받침 몸체부(145a)는 보조 개구부(145c)들에 의해 곡면 벽체(1) 상에 용이하게 부착되고, 안정적으로 부착된 상태로 유지될 수 있다.
지지 바아부(147)는 연결 클립부(143)와 벽체 받침부(145)를 연결하고, 결착 클립부(141)에 결합된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103)들을 지지한다. 이로 인해, 철골 스터드부(103)들이 곡면 벽체(1)를 향하여 변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지지 바아부(147)의 일종단부는 받침 개구부(145b)에 삽입되어 벽체 받침부(145)와 연결되고, 지지 바아부(147)의 타종단부는 연결 개구부(104b)를 통해 결착 개구부(104a)에 삽입되어 연결 클립부(143) 및 결착 클립부(141)에 연결된다.
마감 보드부(105)들은 상부 런너부(101), 하부 런너부(102) 및 철골 스터드부(103)들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하나의 곡면을 형성한다. 이때, 마감 보드부(105)들에 의해 형성된 곡면은 곡면 벽체(1)와 평행하게 위치된다. 또한, 마감 보드부(105)들은 나사못에 의해 상부 런너부(101), 하부 런너부(102) 및 철골 스터드부(103)들에 고정되고, 나사못은 마감 보드부(105)들 각각의 가장 자리에 결합된다. 이때, 마감 보드부(105)들은 상호 간에 측면을 마주보도록 위치되어 밀착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식 벽체 구조물(100)에서 클립부(104)는 철골 스터드부(103)들에 결합된다. 특히, 클립부(104)에서 결착 클립부(141)는 철골 스터드부(103)들에 결합되어, 상호 간에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103)들을 설정 각도(θ)로 조절하여 유지하면서 철골 스터드부(103)들 사이의 벌어짐을 방지한다. 이때, 클립부(104), 특히 결착 클립부(141)는 벽체 받침부(145) 및 지지 바아부(147)와 조합하여 철골 스터드부(103)들을 지지하여 철골 스터드부(103)들 자체의 변형을 방지한다. 따라서, 건식 벽체 구조물(100)은 구조적인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클립부(104)는 단순히 철골 스터드부(103)들이 간단하게 삽입되어 결합되는 구성이기에, 시공조건에 따라 별도의 가공이 요구되지 않기에 종래의 횡보강부재에 비해서 현저하게 용이하다.
이상,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기재 중 괄호 내의 기재는 기재의 불명료함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의 권리범위는 괄호 내의 기재를 모두 포함하여 해석되어야 한다.
100: 건식 벽체 구조물
101: 상부 런너부
102: 하부 런너부
103: 철골 스터드부
104: 클립부
104a: 결착 개구부
104b: 연결 개구부
104c: 삽입 개구부
141: 결착 클립부
141a: 결착 플레이트부
141b: 결착 조절부
141c: 결착 고정부
141d: 밀착 플레이트부
143: 연결 클립부
143a: 연결 플레이트부
143b: 대응 연결부
143c: 삽입 플레이트부
145: 벽체 받침부
145a: 받침 몸체부
145b: 받침 개구부
145c: 보조 개구부
147: 지지 바아부
105: 마감 보드부

Claims (5)

  1. 곡면 벽체의 상부에서 상기 곡면 벽체의 표면 형상을 따라 위치되는 상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평행하도록 이격되어 상기 곡면 벽체의 하부에 위치되는 하부 런너부;
    상기 상부 런너부와 상기 하부 런너부를 연결하면서 상기 곡면 벽체 상에서 적어도 일부가 한 쌍씩 인접하게 위치되는 복수 개의 철골 스터드부들;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을 설정 각도로 조절하여 유지하고, 상기 곡면 벽체 상에 지지되는 클립부; 및
    상기 상부 런너부, 상기 하부 런너부 및 상기 철골 스터드부들의 외측면에 위치되어 하나의 곡면을 형성하는 복수 개의 마감 보드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클립부는,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에 결합되어 상기 설정 각도를 조절하여 유지하는 결착 클립부;
    상기 결착 클립부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 클립부;
    상기 연결 클립부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벽체 곡면 상에 위치되는 벽체 받침부; 및
    상기 연결 클립부와 상기 벽체 받침부를 연결하고, 상기 결착 클립부에 결합된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을 지지하는 지지 바아부를 포함하고,
    상기 결착 클립부는,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의 내측면에 각각 대응되는 결착 플레이트부들;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들을 연결하고 구부러질 수 있고, 결착 개구부가 형성된 결착 조절부;
    각각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의 종단으로 연장되어 상호 간에 마주하도록 구부러지고, 그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이 삽입되는 결착 고정부들; 및
    각각 하단부가 결착 플레이트부에 연결되어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 상에 위치되는 밀착 플레이트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부 사이에는 상기 연결 클립부가 삽입되고,
    상기 결착 조절부는 상기 한 쌍의 인접하게 위치된 철골 스터드부들이 상기 설정 각도를 유지하도록 구부러지고, 상기 지지 바아부가 상기 결착 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클립부는,
    각각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부 사이에 삽입되는 연결 플레이트부들;
    상기 연결 플레이트부들을 연결하고, 상기 결착 개구부에 대응되는 연결 개구부가 형성된 대응 연결부; 및
    각각 상기 연결 플레이트부와 상기 대응 연결부를 연결하면서 삽입 개구부를 형성하는 삽입 플레이트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연결 플레이트부가 상기 결착 플레이트부와 상기 밀착 플레이트부 사이에 삽입될 때, 상기 밀착 플레이트부는 상기 삽입 개구부에 삽입되어 상기 연결 플레이트부와 상기 삽입 플레이트부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지지 바아부는 상기 연결 개구부를 통해 상기 결착 개구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벽체 받침부는,
    상기 곡면 벽체 상에 부착되는 받침 몸체부;
    상기 받침 몸체부의 중앙에 형성되어 상기 지지 바아부가 삽입되는 받침 개구부; 및
    상기 받침 몸체부에서 상기 받침 개구부 주위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보조 개구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식 벽체 구조물.
KR1020140188945A 2014-12-24 2014-12-24 건식 벽체 구조물 KR101652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945A KR101652098B1 (ko) 2014-12-24 2014-12-24 건식 벽체 구조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88945A KR101652098B1 (ko) 2014-12-24 2014-12-24 건식 벽체 구조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136A KR20160078136A (ko) 2016-07-04
KR101652098B1 true KR101652098B1 (ko) 2016-08-29

Family

ID=565014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88945A KR101652098B1 (ko) 2014-12-24 2014-12-24 건식 벽체 구조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209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70048B (zh) * 2022-09-02 2023-10-20 上海建工七建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曲面幕墙的可调节精准定位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846B1 (ko) * 2013-09-09 2014-01-03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42105A (ja) * 1994-07-29 1996-02-13 Central Glass Co Ltd 壁装材取付用金具並びに壁装材取付構造
JP2008255670A (ja) 2007-04-05 2008-10-23 Toyota Motor Corp 壁パネル装置、その施工方法及び建物
KR101173226B1 (ko) * 2010-04-15 2012-08-10 한국건설기술연구원 단열패널 고정부재
KR20140011180A (ko) 2012-07-18 2014-01-28 주식회사 케이씨씨 지지핀 및 이를 이용한 건식벽체 단열 구조물
KR101341799B1 (ko) 2013-09-09 2013-12-16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41846B1 (ko) * 2013-09-09 2014-01-03 김성주 지하 건축 구조물의 차수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78136A (ko) 2016-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926137C (en) False ceiling suspension system, profile and method
US10508446B2 (en) Bridge clip
TWI591240B (zh) 兩元件之組合架
US20140008500A1 (en) Para-seismic support for pipes
US20160296778A1 (en) End bracket for sprinkler and fixing apparatus for sprinkler including the same
US9151058B1 (en) Ledger board bracket
RU2014117276A (ru) Модульная система для подвесных потолков
US10928031B2 (en) Indirect light cove
KR20150004058U (ko) 단열 창호프레임
JP6526977B2 (ja) 連結固定ブリッジ部材
KR101652098B1 (ko) 건식 벽체 구조물
CN104453089B (zh) 一种钢结构房屋的钢横梁装置
JP2016108923A (ja) 間接照明構造体のユニット部品
KR20130116786A (ko) 천장패널의 시공구조 및 시공방법
KR100750390B1 (ko) 건축칸막이 패널 설치구조
JP2015212503A (ja) 斜め補強部材用取付金具
US10563401B2 (en) Bridge clip
KR20190015913A (ko) 건물의 벽체 마감재 설치용 고정 구조물
KR101841075B1 (ko) 외벽 마감 체결용 기능성 브라켓
KR20220132752A (ko) 천장 배관 가대용 엘보우 찬넬
KR20170103591A (ko) 단 꺾임 천장 실내 조명박스 설치장치
KR101832399B1 (ko) 칸막이용 경량패널
JP2016169518A (ja) 継手連結部材および水栓接続継手
JP6347483B2 (ja) 床板の固定具
JP2006233458A (ja) 押出成形セメント板の縦積み工法及びその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