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51953B1 - 외장재 연결장치 - Google Patents

외장재 연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51953B1
KR101651953B1 KR1020160005794A KR20160005794A KR101651953B1 KR 101651953 B1 KR101651953 B1 KR 101651953B1 KR 1020160005794 A KR1020160005794 A KR 1020160005794A KR 20160005794 A KR20160005794 A KR 20160005794A KR 101651953 B1 KR101651953 B1 KR 101651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ll
exterior
exterior material
fixing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5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용남
Original Assignee
중재기업(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재기업(주) filed Critical 중재기업(주)
Priority to KR1020160005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5195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51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5195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B1/40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89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joints between neighbouring elements, e.g. with joint fillings or with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Abstract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60)과 건물외관을 아름답게 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방수와 부식을 방지하는 외장재(35) 사이를 연결하며 외벽(60)과 외장재(35)가 보다 확실하게 고정하도록 요철(41)구조가 형성된 연결밴드(40)가 구비된 외장재 연결장치에 관한 것으로, 고정부재(11)를 통해 외벽(60)과 밀착하고 일부는 상기 외벽(60)과 수직하도록 형성된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외벽(60)과 평행하고 이격되게 외장재(35)를 위치시키는 지지부(20)와; 상기 지지부(20)에 설치되는 바닥면(31)과 상기 바닥면(31)과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32)과 상기 측면(32)과 수직하고 상기 바닥면(31)과 평행하게 구비된 상단면(33)이 있으며, 상기 측면(32)에 상기 바닥면(31)과 반대 방향으로 마련된 날개(34)에 상기 외장재(35)가 위치하는 연결부(30)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바닥면(31)과 그 사이에 위치한 상기 지지부(20)의 일단면과 각각 밀착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31)과 밀착하는 부분이 요철(41)로 구비된 연결밴드(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외장재 연결장치{EXTERIOR MATERIAL CONNECTOR}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과 건물외관을 아름답게 하고 외부 환경으로부터 방수와 부식을 방지하는 외장재 사이를 연결하며 외벽과 외장재가 보다 확실하게 고정하도록 요철구조가 형성된 연결밴드가 구비된 외장재 연결장치에 관한 것이다.
건물의 외벽에 외장재를 부착하여 외관을 아름답게 하거나 건물 내부로 빗물이 침투하지 않도록 막아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건물의 열교현상과 외부에서 발생한 소음을 효과적으로 차단하기 위하여 외벽에 단열재나 흡음재를 부착하게 되는데, 이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 및 성능을 유지하기 위해서 패널과 같은 외장재를 건물의 외벽에 설치하게 된다.
일반적으로 외장재를 외벽에 접착하는 방법으로는 시멘트나 본드와 같은 접착 물질을 외장재에 발라준 후 외벽에 부착하거나, 볼트와 너트와 같은 결속부재를 통해 외벽과 확실하게 부착되도록 한다.
한편, 외장재와 외벽을 결속부재로 부착할 경우, 볼트가 외장재를 관통하여 외벽에 직접 고정하게 되면 외장재의 관통된 부분이 손상을 입어 외장재의 성능 하락과 함께 미관상 좋지 않을 뿐만 아니라, 외벽과 외장재가 확실하게 고정이 되었는지 육안으로 확인하기가 매우 곤란하다.
따라서 외벽에 설치되는 고정부와 외장재에 설치한 지지부가 서로 결합되어 외장재의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으며, 외장재가 고정부와 확실하게 고정이 되어 열교현상 및 건물 내부로 빗물 침투로 인한 내장재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두께가 두껍고 무거운 내장재가 고정부만으로 외벽과 수직하게 고정되기에는 고정부재의 처짐하중에 대한 지지강도가 취약하여 건축외장재에 대한 지지강도가 전반적으로 낮아진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지지 강도가 강화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가 다수 소개 되었다.
예를 들어,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9620호(공개일자:2006.06.02.)는 석재판넬 등과 같은 건축외장재를 건축 외벽에 부착하는데 이용되는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및 그 부착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1차 고정부재를 외벽에 설치하기 위해서 다수의 볼트를 이용하기 때문에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고 그에 따른 각종 시공비가 상승되며, 2차 고정부재로 두껍고 무거운 건물 외장재를 고정하기에는 2차 고정부재에 많은 하중부담을 주게 된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6-0059620호(공개일자:2006.06.02.)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에 외장 외장재를 확실하게 고정되도록 설치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결속구를 최소한으로 사용하더라도 하나의 고정부에 복수개의 외장재가 설치되도록 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지지강도가 낮아 외장재에 처짐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방지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외장재 고정장치는 고정부재를 통해 벽과 밀착하고 일부는 상기 벽과 수직하도록 형성된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벽과 평행하고 이격되게 외장재를 위치시키는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는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과 상기 측면과 수직하고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구비된 상단면이 있으며, 상기 측면에 상기 바닥면과 반대 방향으로 마련된 날개에 상기 외장재가 위치하는 연결부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바닥면과 그 사이의 위치한 상기 지지부의 일단면과 각각 밀착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과 밀착하는 부분이 요철로 구비된 연결밴드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연결밴드와 밀착하는 상기 바닥면에도 치결합이 가능하게 요철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있어서,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연결부에 의해 형성된 안착홈과 삽입 고정하는 덮개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외장 외장재 고정장치는 외장재가 건물의 외벽으로부터 일정 거리를 유지하며 설치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외장재에 설치된 연결부를 연결밴드로 밀착하여 확실하게 고정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밴드의 일단면에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요철을 더 포함하여 밀착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연결밴드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연결부 사이에 위치하여 일정간격으로 줄눈을 형성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연결장치의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서로 다른 외장재 사이에 형성된 줄눈을 감싸는 덮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연결장치가 외벽에 설치된 모습.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외벽에 설치된 외장재 연결장치의 모습이다.
한 면이 외벽(60)과 밀착하고 일부는 외벽(60)과 수직하도록 형성된 고정부(10)를 고정부재(11)로 외벽(60)에 설치한다. 고정부(10)의 일측면에 지지부(20)가 위치하고 있으며, 외장재(35)를 외벽(60)과 나란하고 일정거리로 이격되게 위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고정부(10)와 지지부(20)는 볼트와 너트 같은 결속부재로 서로 결합되거나, 또는 용접과 같은 방법으로 일체로 형성시킬 수도 있을 것이며, 이외에도 다양한 방법으로 연결 할 수 있을 것이다.
지지부(20)는 하나의 단면이 아닌, 두 쌍의 면이 각각 연결되게 구성되어 있어 연결부(30)를 더 효과적으로 지탱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두 쌍의 면에 의해 형성된 중공부에 복수개의 지지대(미도시)를 채워 넣어 지지부(20)의 지지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외장재(35)는 리벳(36)을 통해 연결부(30)와 연결되어 있으며, 외장재(35)와 결합된 연결부(30)는 지지부(20)에 설치하게 된다. 한 쌍의 연결부(30)가 지지부(20)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위치시킨 후, 연결밴드(40)를 위치시키고 체결구(42)로 결합하여 고정시킨다.
지지부(20)와 연결부(30)를 고정시키는 연결밴드(40)는 각각의 바닥면(31)과 바닥면(31) 사이에 드러난 지지부(20)의 일단면과 밀착할 수 있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바닥면(31)과 접하는 연결밴드(40)의 일단면에는 치결합이 가능하게 요철(41)이 형성되어 표면적 증가로 인한 마찰 고정을 가능하게 한다.
연결부(30)에 각각의 체결구를 이용해 지지부(20)에 설치할 필요 없이, 연결밴드(40)를 통해 하나의 체결구(42)로 고정부(10)에 한 쌍의 연결부(30)를 고정할 수 있어 보다 간편하고 신속하게 외장재(35)를 설치할 수 있다. 따라서 적은 수의 체결구(42)를 사용하더라도 기존과 동일하게 외장재(35)를 고정할 수 있어 자재 구입비용과 작업 시간을 절약할 수 있다.
요철(41)의 형상으로는 톱니 형태일 수도 있을 것이며, 그 밖에 서로 치결합이 가능한 요철의 형상이라면 어느 것이라도 족할 것이다.
각각의 외장재(35) 사이에 형성된 줄눈에 실리콘이나 줄눈 시멘트와 같은 실링제(45)를 발라 체결구(42)가 녹슬거나 연결부(30) 내부가 부식되지 않도록 하며, 줄눈의 형상으로는 민줄눈, 둥근줄눈, 오목줄눈 등 현장 여건에 따라 알맞은 형태의 줄눈으로 하면 될 것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외장재 사이에 형성된 줄눈을 감싸는 덮개의 모습이다.
외장재(35)가 설치된 연결부(30)와 지지부(20)를 연결밴드(40)로 설치하여 외장재(35)와 외장재(35) 사이에 형성된 줄눈을 실리콘과 같은 실링제(45)로 덮을 수도 있겠지만, 외부에 노출된 실링제(45)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삭아 버리거나 파손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그 위에 실링제(45)를 보호해 주는 덮개(50)를 씌워서 사용할 수 있다.
덮개(50)는 지지부(20)에 설치된 한 쌍의 연결부(30)는 서로 마주보는 상단면(33)에 의해 형성된 안착홈(37)에 덮개(50)가 삽입 고정되어 외장재(35) 사이의 줄눈을 덮어주는 역할을 한다. 안착홈(37)에 삽입되는 덮개(50)의 하단에 제1 돌출부재(51)가 마련되어 있으며, 삽입이 용이하도록 안착홈(37)과 접하는 제1 돌출부재(51)에 삽입 방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경사면의 일부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 덮개(50)가 안착홈(37)에서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외장재(35)와 외장재(35) 사이에 형성된 줄눈 부분에 실리콘과 같은 실링제(45)를 발라주고, 그 위에 덮개(50)가 위치하게 되는데, 이때 실링제(45)가 제1 돌출부재(51)의 경사면을 따라 제1 돌출부재(51)와 제2 돌출부재(52) 사이에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상 깔끔하게 한다.
한편, 덮개(50)가 실링제의 역할도 함께 수행하기 때문에 반드시 줄눈 부분에 실링제로 먼저 덮어줄 필요는 없으며, 작업여건에 따라 알맞게 작업하면 될 것이다.
덮개(50)의 형상은 사각형 외에도 원형이나 그밖에 다른 다각형 형상을 이루어진 덮개를 줄눈에 설치할 수 있을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외장재 연결장치가 외벽에 설치된 모습이다.
외벽(60)에 고정하는 고정부(10)와 지지부(20)에 설치된 외장재(35) 사이로 형성된 줄눈이 외부에 직접 노출되지 않도록 실링제(45)를 발라주거나 덮개(50)로 덮어준다.
형성된 줄눈의 위치에 따라 반드시 설치해야 하는 덮개(50)는 없으며, 작업자의 편의나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알맞은 덮개(50)를 선택하여 결합하면 될 것이다.
설치된 실링제(45)나 덮개(50)는 외벽(60)을 미관상 아름답게 할 뿐만 아니라, 줄눈 사이로 빗물이 스며들어 내장재가 부식되지 않도록 방지하며, 틈새로 외기가 유입되어 열교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덮개(50)는 견고하고 외부환경으로부터 강하며, 가공하기 용이한 재질의 합금이나 플라스틱의 재질로 구성되어 있으면 좋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10 : 고정부 11 : 고정부재
20 : 지지부 30 : 연결부
31 : 바닥면 32 : 측면
33 : 상단면 34 : 날개
35 : 외장재 36 : 리벳
37 : 안착홈 40 : 연결밴드
41 : 요철 42 : 체결구
45 : 실링제 50 : 덮개
51 : 제1 돌출부재 52 : 제2 돌출부재
60 : 외벽

Claims (3)

  1. 고정부재를 통해 외벽과 밀착하고 일부는 상기 외벽과 수직하도록 형성된 고정부;
    상기 고정부의 일측면에 위치하며 상기 외벽과 평행하고 이격되게 외장재를 위치시키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에 설치되고 치결합이 가능하게 요철이 구비된 바닥면과 상기 바닥면과 수직하게 형성된 측면과 상기 측면과 수직하고 상기 바닥면과 평행하게 구비된 상단면이 있으며, 상기 측면에 상기 바닥면과 반대 방향으로 마련된 날개에 상기 외장재가 위치하는 연결부;
    서로 마주보는 한 쌍의 상기 바닥면과 그 사이의 위치한 상기 지지부의 일단면과 각각 밀착하도록 굴곡지게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바닥면과 밀착하는 부분이 요철로 구비된 연결밴드; 및
    상기 연결밴드의 양측으로 위치하는 한 쌍의 연결부 사이에 형성된 안착홈에 삽입 고정하는 덮개를; 포함하는 외장재 연결장치.
  2. 삭제
  3. 삭제
KR1020160005794A 2016-01-18 2016-01-18 외장재 연결장치 KR10165195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794A KR101651953B1 (ko) 2016-01-18 2016-01-18 외장재 연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5794A KR101651953B1 (ko) 2016-01-18 2016-01-18 외장재 연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51953B1 true KR101651953B1 (ko) 2016-08-30

Family

ID=56886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5794A KR101651953B1 (ko) 2016-01-18 2016-01-18 외장재 연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5195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620A (ko) 2004-11-29 2006-06-02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경사와셔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100675656B1 (ko) * 2004-12-31 2007-01-29 이근식 외장 판넬 조립 구조물
KR100888352B1 (ko) * 2008-06-28 2009-03-10 권만용 태양전지판 지붕설치공법 및 그 장치
JP2009256985A (ja) * 2008-04-18 2009-11-05 Toshiyuki Fukui 外装構造
KR101515937B1 (ko) * 2014-12-12 2015-05-04 백승웅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59620A (ko) 2004-11-29 2006-06-02 주식회사 서린건축사사무소 경사와셔를 이용한 건축외장재 고정장치
KR100675656B1 (ko) * 2004-12-31 2007-01-29 이근식 외장 판넬 조립 구조물
JP2009256985A (ja) * 2008-04-18 2009-11-05 Toshiyuki Fukui 外装構造
KR100888352B1 (ko) * 2008-06-28 2009-03-10 권만용 태양전지판 지붕설치공법 및 그 장치
KR101515937B1 (ko) * 2014-12-12 2015-05-04 백승웅 말발굽 브라켓을 이용한 건물의 판넬 시공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45614B1 (ko) 내진용 슬라이딩 고정클립 및 이를 이용한 외장재의 시공방법
CN107208826B (zh) 管夹
KR100751487B1 (ko) 건축 외장재 고정장치
KR101651953B1 (ko) 외장재 연결장치
KR20100128190A (ko) 건축 외장벽체 고정장치
JP5703242B2 (ja) 屋根上取付具
KR200470890Y1 (ko) 고정클램프를 구비하는 입상관 고정구
JP5606959B2 (ja) 屋根上取付具およびその屋根上取付具を用いた屋根上取付物品の取付構造
JP6108268B2 (ja) 外装改修用治具及び外装改修構造
KR20160111783A (ko) 옥외 가스 배관용 고정장치
JP2016191229A (ja) 建屋外装材改修用金具とこれを用いた建屋外装材改修方法
KR102077845B1 (ko) 데크 및 데크 시공방법
JPH0740023Y2 (ja) 建築用表装材の固定構造
JP5671743B2 (ja) 他物固定具
KR101115411B1 (ko) 건축물의 패널 고정장치 및 이의 설치구조
JP6628629B2 (ja) 配線ラック支持部材
KR101915107B1 (ko) 건축용 외장재 고정장치
JP2005090137A (ja) パネルの取付構造
KR101417893B1 (ko) 라이닝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유체 저장탱크
JPH033680Y2 (ko)
JP2004060347A (ja) 外壁パネルシール構造
KR200165075Y1 (ko) 오름방지용 체결구
JP3947504B2 (ja) 受雷部取付金物
JP3863131B2 (ja) 防水層立ち上がり端部保護構造と保護金具。
KR20180002753U (ko) 가스 배관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