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631B1 -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631B1
KR101649631B1 KR1020090101941A KR20090101941A KR101649631B1 KR 101649631 B1 KR101649631 B1 KR 101649631B1 KR 1020090101941 A KR1020090101941 A KR 1020090101941A KR 20090101941 A KR20090101941 A KR 20090101941A KR 101649631 B1 KR101649631 B1 KR 101649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mper
ice
ice tray
refrigerator
ej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1019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10045386A (ko
Inventor
김봉진
윤영훈
오승환
김성재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1019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631B1/ko
Priority to US12/912,225 priority patent/US8516844B2/en
Priority to EP10827043.0A priority patent/EP2494287B1/en
Priority to PCT/KR2010/007360 priority patent/WO2011052959A2/en
Publication of KR201100453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100453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6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0Working or handling ice
    • F25C5/02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 F25C5/04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 F25C5/08Apparatus for disintegrating, removing or harvesting ice without the use of saws by heating bodies in contact with the ic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0Special arrangements or features for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305/024Rotating rak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0Auxiliary features or devices for 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400/04Ice guide, e.g. for guiding ice blocks to storage ta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roduction, Working, Storing, Or Distribution Of Ice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본 냉장고의 제빙장치는, 저부에 배출구가 구비된 복수의 셀을 구비한 아이스 트레이와, 이 아이스 트레이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댐퍼와, 이 댐퍼가 배출구를 개폐하게 구동시키는 댐퍼구동유닛을 구비하여 구성된다. 이에 의해, 제빙장치의 설치시 폭방향의 점유 면적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냉장고, 제빙장치, 아이스 트레이, 배출구, 댐퍼

Description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폭을 줄일 수 있어 콤팩트한 구성이 가능한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냉장고는, 음식물을 냉장 또는 냉동하여 신선하게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냉장고는, 내부에 복수의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와, 각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들과, 상기 냉각실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사이클 장치를 구비한다.
상기 냉동사이클 장치는, 통상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와, 냉매가 방열되어 응축되는 응축기와,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와,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한 증기 압축식 냉동사이클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냉장고에는 얼음을 만들 수 있도록 제빙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냉장고에는 도어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물 또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게 디스펜서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는 냉동실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빙장치는 고내 공간 활용을 위해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빙장치는, 내부에 소정 형상의 얼음을 만들 수 있게 복수의 셀이 구비된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내부에 형성된 얼음을 분리해내는 이젝터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젝터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와, 상기 셀에 대응되게 상기 샤프트로부터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 형성되는 복수의 이젝터핀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의 하측에는 상기 제빙장치로부터 분리되어 낙하되는 얼음을 수납할 수 있게 아이스 뱅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냉장고에 있어서는, 아이스 트레이의 상측에 아이스 트레이의 길이방향으로 이젝터를 배치하고, 이빙 시 이젝터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의 측부로 제빙된 얼음이 낙하하도록 구성되어 있어, 이 얼음을 수납하기 위해 아이스 뱅크는 아이스 트레이의 폭방향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아이스 트레이 및 아이스 뱅크의 설치 폭이 증가하게 된다.
특히 상기 제빙장치 및 아이스 뱅크를 냉동실도어에 설치할 경우 도어의 후방측, 즉 냉동실측으로 제빙장치 및/또는 아이스 뱅크가 돌출되므로 고내 공간(냉동실)에 식품 수납이 곤란하게 될 수 있다.
또한, 냉장실도어에 제빙실을 형성하고, 이 제빙실의 내부에 상기 제빙장치 및 아이스 뱅크를 수납하는 경우, 제빙실의 두께가 그만큼 증가하게 되므로 냉장실의 고내 공간이 그만큼 줄게 될 수 있다.
또한, 제빙장치를 도어에 설치하는 경우 아이스 트레이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도어를 개방하거나 닫을 때, 아이스 트레이의 물이 흘러넘칠 수 있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제빙장치의 설치시 폭방향의 점유 면적의 크기를 줄일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의 개폐 시 물이 흘러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폭방향의 점유 면적을 줄일 수 있고 도어의 개폐에 기인한 물의 넘침을 억제할 수 있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를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 달성을 위해, 저부에 배출구가 구비된 복수의 셀을 구비한 아이스 트레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댐퍼; 및 상기 댐퍼를 구동시키는 댐퍼구동유닛;을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댐퍼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저부 일 측에 배치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구동모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일 측은 수평운동하고 타 측은 상하 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를 가이드하는 댐퍼가이드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가이드에는 상기 댐퍼를 수평으로 안내하는 수평슬롯 및 상기 댐퍼를 수직으로 안내하는 수직슬롯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은 솔레노이드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는 상기 배출구 차단시 수직운동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저부에 접촉되어 회동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은, 승강 운동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댐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은 상기 승강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부재구동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측을 차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댐퍼의 상호 접촉영역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댐퍼의 상호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제빙된 얼음을 가압하는 이젝터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 및 상기 이젝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분야에 따르면,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상기 제빙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는 냉동실 및 냉장실을 구비하며,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아이스 트레이의 하방으로 얼음이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제빙장치의 설치시 폭방향의 점유 면적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특히 상기 제빙장치를 도어에 설치할 경우 폭방향의 점유 면적이 줄게 되므로 제빙장치 및/또는 아이스 뱅크가 냉각실로 돌출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냉각실 공간이 줄어드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는 커버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 시 물이 아이스 트레이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아이스 트레이의 하방으로 얼음을 배출할 수 있어 폭방향의 점유 면적을 줄일 수 있고, 아이스 트레이의 상측을 차단하는 커버를 구비하도록 함으로써 도어의 개폐에 기인한 물의 넘침을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1]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제빙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제빙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의 제빙장치의 댐퍼가이드 및 댐퍼구동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2의 댐퍼의 승강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2의 댐퍼의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2의 제빙장치의 얼음 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제빙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빙장치를 구비한 냉장고는, 냉각실(120,130)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110)와, 상기 냉각실(120,130)을 개폐하는 도어(125,135)와, 얼음(153)을 만드는 제빙장치(150)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냉각실(120,130)은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을 총칭하는 말이며, 상기 냉장고 본체(110)는 냉동실(130) 및 냉장실(120) 중 어느 하나를 구비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의 상부 영역에는 냉장실(120)이 구비될 수 있으며, 하부에는 냉동실(1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상기 냉장실(120) 및 냉동실(130)에 냉기를 제공하기 위한 냉동 사이클(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 사이클은,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냉매가 응축되는 응축기, 냉매가 감압 팽창되는 팽창장치, 및 냉매가 주위의 잠열을 흡수하여 증발하는 증발기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120)의 전면에는 상기 냉장실(120)을 개폐할 수 있게 냉장실도 어(1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25)는 복수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25)는 회동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30)의 전면에는 냉동실(130)을 개폐할 수 있게 냉동실도어(13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도어(135)는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25)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냉장실도어(125)를 개방하지 아니하고 물 및/또는 얼음을 인출할 수 있게 디스펜서(12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실도어(125)에는 얼음(153)을 만들 수 있게 제빙실(14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 본체(110)에는 상기 냉동실(130)에서 만들어진 냉기를 상기 제빙실(140)에 제공할 수 있게 측벽의 내부에 매입된 측벽냉기덕트(128)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40)은 개폐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40)의 개구의 일 측에는 상기 제빙실(140)을 개폐할 수 있게 제빙실도어(14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실(140)의 내부에는 제빙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장치(150)의 하측에는 상기 제빙장치(150)에서 만들어져 낙하하는 얼음(153)을 수납할 수 있게 아이스 뱅크(147)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빙장치(150)는, 저부에 배출구(154)가 구비된 복수의 셀(cell)(152)을 구비한 아이스 트레이(151)와, 상기 배출구(154)를 개폐하는 댐퍼(161)와, 상기 댐퍼(161)를 구동시키는 댐퍼구동유닛(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일 측에는 콘트 롤박스(18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147)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두께(폭)과 거의 동일한 크기의 두께(폭)을 가지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직하방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 및 아이스 뱅크(147)가 상대적으로 얇은 두께(폭)을 가지게 되어 냉장실(120)로 돌출되지 아니하므로 냉장실(120)의 고내 공간을 더 넓게 활용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는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를 가열할 수 있게 가열부(1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가열부(156)는 전원 인가시 발열하는 전기히터(156)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아이스 트레이(151)의 열전달 속도가 증가되어 신속한 제빙 및 이빙이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제빙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내부에서 물이 얼어 얼음(153)이 되는 것을 의미하며, 상기 이빙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로부터 얼음(153)이 분리되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전기히터(156)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기히터(156)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양 측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내부에는 직사각 형상을 가지는 복수의 셀(152)이 구비된다. 상기 각 셀(152)은 격벽에 의해 서로 분리되게 형성된다. 이에 의해 직육면체 형상의 복수의 얼음(153)(아이스 큐브)을 만들 수 있다. 상기 각 셀(152)의 저부에는 얼음(153)이 배출될 수 있게 배출구(154)가 형성된다. 이에 의해 각 셀(152)의 내부에 형성된 얼음(153)이 하측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부 개구를 차단할 수 있게 커버(15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각 셀(152)의 내부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상기 냉장실도어(125)를 개폐할 때,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에 전달되는 외력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내부의 물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단에는 상기 커버(159)의 외측에 배치될 수 있게 돌출된 턱(15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턱(155)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둘레를 따라 연장되어 있다. 이에 의해 물이 아이스 트레이(151)의 외부로 흘러 넘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커버(159)의 일 측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내부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급수부(15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급수부(157)는 관(pi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에는 상기 셀(152)에 형성된 얼음(153)을 가압하여 분리할 수 있게 이젝터(ejector)(1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191)는, 샤프트(193)와, 상기 샤프트(193)에 반경방향을 따라 돌출된 복수의 핑거(19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93)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핑거(195)는 끝단이 하향 절곡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얼음(153)을 더욱 효과적으로 하향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이젝터(191)는 상기 샤프트(193)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젝터구동부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이젝터구동부는 이젝터구동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구동모터는 상기 콘트롤박스(18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93)는 상기 콘트롤박스(181)의 내부로 연장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구동모터와 상기 이젝터(191) 사이에는 상기 이젝터구동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샤프트(193)에 전달할 수 있게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미도시)은 복수의 기어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하측에는 상기 각 셀(152)의 배출구(154)를 개폐할 수 있게 댐퍼(1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161)는 상기 배출구(154)의 차단시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와 상호 협조적으로 물이 수용되어 얼음(153)이 형성되는 공간을 형성한다. 상기 댐퍼(161)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셀(152)의 배출구(154)를 동시에 개폐할 수 있게 긴 판상(직사각 판상)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161)와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호 접촉영역에는 물의 누수를 억제할 수 있게 실링부재(16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65)는 실리콘수지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65)는 폐루프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165)는 예를 들면 상기 댐퍼(161)의 상면에 고정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댐퍼(161)는 일 측이 수평운동하고 타 측이 수직운동을 하면서 상기 배출구(154)를 개폐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161)의 길이방향을 따른 양 단부에는 외측으로 각각 돌출된 돌기(16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 이(151)의 하측에는 상기 댐퍼(161)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게 댐퍼가이드(171)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가이드(171)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하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수평부(173)와, 상기 수평부(173)의 하측에 하향 연장되는 수직부(174)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수평부(173)의 상측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하단이 안착될 수 있게 안착부(177)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착부(177)의 내측에는 상기 댐퍼(161)가 수용될 수 있게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평부(173)에는 상기 댐퍼(161)의 돌기가 수용되어 안내될 수 있게 수평슬롯(175)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직부(174)에는 상기 댐퍼(161)의 돌기가 수용되어 안내될 수 있게 수직슬롯(176)이 구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수평슬롯(175)에는 상기 댐퍼(161)의 도면상 전방의 두 돌기(163)가 각각 수용되고, 상기 수직슬롯(176)에는 상기 댐퍼(161)의 후방의 두 돌기(163)가 각각 수용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수평슬롯(175)은 곡선형태로 구성되고, 수직슬롯(176)은 직선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161)의 일 측에는 상기 댐퍼(161)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배출구(154)를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댐퍼(161)를 구동시키는 댐퍼구동유닛(20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200)은 전기(전류)에 의해 동작되게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댐퍼구동유닛(200)은, 리드스크류(201)와, 상기 리드스크류(201)에 나사결합되어 상대운동하는 암나사부재(203), 상기 리드스크류(201)에 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댐퍼(161)를 구동시키는 리드스크류구동부(207)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구동부(207)는 예를 들면 리드스크류구동모터(207)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200)은 상기 콘트롤박스(18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드스크류(201)는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암나사부재(203)는 상기 리드스크류(201)의 정, 역 회전에 따라 상하로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재(203)는 상기 댐퍼(161)와 연결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암나사부재(203)에는 상기 댐퍼(161)의 돌기와 연결되게 연결부(205)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205)는 상기 돌기가 일정 깊이 삽입되거나, 반대로 연결부(205)의 단부가 댐퍼(161)의 돌기에 소정 깊이 삽입되게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박스(181)에는 상기 연결부(205)의 승강 궤적에 대응되게 상하방향을 따라 긴 길이를 가지는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빙장치(150)는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제어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피씨비(pcb)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콘트롤박스(181)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는 제빙모드 등 운전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211)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에는 제빙 및 이빙 과정을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상기 이젝터구동모터(197), 전기히터(156), 및 리드스크류구동모터(207)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모드선택부(211)에 의해 제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댐퍼(161)가 상기 배출구(154)를 차단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댐퍼(161)가 상기 배출구(154)를 차단하지 아니한 경우 상기 리드스크류구동모터(207)를 제어하여 상기 댐퍼(161)가 상기 배출구(154)를 차단하도록 한다.
상기 배출구(154)가 차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각 셀(152)에 물이 공급되고, 설정된 시간(제빙시간)이 경과되도록 한다. 상기 설정된 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전기히터(156)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 전기히터(156)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가 가열되고, 상기 각 셀(152)의 표면에 결빙된 얼음(153)의 경계영역이 융해된다.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각 셀(152)의 내부의 얼음(153)의 표면이 융해될 정도의 온도가 되거나, 또는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상기 댐퍼(161)가 상기 배출구(154)를 개방하게 상기 리드스크류구동모터(207)를 제어한다. 즉, 상기 암나사부재(203)가 하강하는 방향으로 회전되게 상기 리드스크류구동모터(207)를 제어한다. 상기 암나사부재(203)가 하강하면 상기 댐퍼(161)의 일 측은 상기 수직슬롯(176)을 따라 하강하고, 이와 거의 동시에 상기 댐퍼(161)의 타 측은 상기 수평슬롯(175)을 따라 후방으로 이동된다. 이에 의해 상기 배출구(154)가 개방될 수 있다.
상기 댐퍼(161)가 상기 배출구(154)를 개방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이젝터(191)의 핑거(195)가 하향 회동되게 상기 이젝터구동모터(197)를 제어한다. 상기 각 핑거(195)는 하향 회동하면서 상기 셀(152)의 내부에 제빙된 얼음(153)의 상면을 가압하여 상기 얼음(153)이 상기 배출구(154)를 통해 낙하되도록 한다. 낙하된 얼음(153)은 상기 아이스 뱅크(147)의 내부에 수납된다.
얼음(153)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이젝터(191)가 상향 회동되게 상기 이젝터구동모터(197)를 제어하고, 상기 댐퍼(161)가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배출구(154)를 차단하게 상기 리드스크류구동모터(207)를 제어할 수 있다.
[2]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제빙장치의 댐퍼구동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11은 도 9의 제빙장치의 얼음 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는 도 9의 제빙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전술 및 도시한 구성과 동일 및 동일 상당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설명의 편의상 도시를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인용하여 설명하고, 일부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의 제빙장치(220)는, 저부에 배출구(154)가 구비된 복수의 셀(152)을 구비한 아이스 트레이(151)와, 상기 배출구(154)를 개폐하는 댐퍼(221)와, 상기 댐퍼(221)를 구동시키는 댐퍼구동유닛(23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는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열전달 속도가 증대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외부 측부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를 가열할 수 있게 전기히터(156)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신속한 제빙 및 이빙이 가능하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는 상방이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을 차단할 수 있게 커버(159)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물 넘침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면 테두리에는 상기 커버(159)의 둘레에 배치되게 턱(155)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물 넘침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에는 이젝터(1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191)는 , 샤프트(193)와, 상기 샤프트(193)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핑거(19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핑거(195)는 끝단이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93)는 상기 콘트롤박스(181)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콘트롤박스(181)의 내부에는 상기 이젝터(191)를 구동시키는 이젝터구동부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퍼(221)는 판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221)는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221)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저부와 접촉되어 기밀을 유지하는 실링부재(22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221)의 적어도 일 단부에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게 회전축이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 상기 댐퍼(221)는 일 측의 장변부를 회전축선으로 하여 회전하므로 상기 댐퍼(221)의 회전 반경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콘트롤박스(181)의 내부에 삽입되어 회전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의 일 측에는 상기 댐퍼(221)를 회동 구동시킬 수 있게 댐퍼구동유닛(23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230)은 상기 콘트롤박스(181)의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230)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구동모터(231)와, 상기 댐퍼구동모터(231)의 구동력을 상기 샤프트(193)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수단(235)을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235)은 복수의 기어(236,23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동력전달수단(235)은, 상기 댐퍼구동모터(231)의 회전축에 구비되는 구동기어(236)와, 상기 샤프트(193)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기어(236)와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동력전달기어(23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동력전달수단(235)에서 기어의 수는 적절히 조절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의 제빙장치(220)는,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제어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에는 제빙모드 등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211)와, 제빙 및 이빙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이젝터구동모터(197) 및 댐퍼구동모터(231)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모드선택부(211)에 의해 제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댐퍼(221)가 상기 배출구(154)를 차단하고 있는지 확인한다. 상기 배출구(154)가 차단된 상태에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내부에 물이 공급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전기히터(156)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댐퍼(221)가 상기 배출구(154)를 개방하게 상기 댐퍼구동모터(231)를 제어한다. 상기 배출구(154)가 개방되면 상기 이젝터구동모터(197)를 제어하여 상기 핑거(195)가 하향 회동되도록 한다. 상기 핑거(195)는 하향 회동하여 상기 각 셀(152)의 내부의 얼음(153)을 하향 가압한다. 이에 의해 각 셀(152)의 내부의 얼음(153)은 해당 배출구(154)를 통해 배출되어 아이스 뱅크(147)의 내부에 수납된다. 얼음(153)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이젝터(191)를 상향 회동시킴과 아울러 상기 댐퍼(221)를 상향 회동시켜 배출구(154)가 차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3]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종단면도이고,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도 13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6은 도 13의 제빙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의 제빙장치(250)는, 저부에 배출구(154)가 구비된 복수의 셀(152)을 구비한 아이스 트레이(151)와, 상기 배출구(154)를 개폐하는 댐퍼(251)와, 상기 댐퍼(251)를 구동시키는 댐퍼구동유닛(26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는 금속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외부 측부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를 가열할 수 있게 전기히터(156)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는 상방이 개구된 대략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을 차단할 수 있게 커버(159)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상측에는 이젝터(19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젝터(191)는 , 샤프트(193)와, 상기 샤프트(193)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핑거(19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샤프트(193)는 상기 콘트롤박 스(181)의 내부로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상기 댐퍼(251)는 판상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251)는 직사각 판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댐퍼(251)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와 접촉시 물의 누설을 방지할 수 있게 실링부재(252)가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퍼(251)의 일 측에는 상기 댐퍼(251)가 상기 배출구(154)를 개폐할 수 있게 상기 댐퍼(251)를 구동시키는 댐퍼구동유닛(26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260)은, 승강 운동하는 승강부재(261); 상기 승강부재(261)와 상기 댐퍼(25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71); 및 상기 승강부재(261) 및 상기 연결부재(271)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게 각각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257,267)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하측에는 상기 승강부재(26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구동유닛(260)은 상기 승강부재(261)의 승강을 안내하는 가이드부재(281)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81)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하측에 상하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261)는 상기 가이드부재(281)에 양 측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261)의 일 측에는 상기 댐퍼(251)와 상기 승강부재(261)를 연결하는 연결부재(2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261)에는 상기 연결부재(271)의 일 단부를 회동가능하게 지지하는 연결부재지지부(26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71)는 상기 연결부재지지부(263)에 회동핀(265)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261)에는 상기 연결부재(271)가 상향 회동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로서, 연결부재스프링(26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스프링(267)은 토션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스프링(267)은 상기 회동핀(265)의 둘레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결부재스프링(267)의 일 단부는 상기 승강부재(261)에 접촉되어 지지되고 타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271)가 도면상 상향 회동되도록 탄성력을 가할 수 있게 상기 연결부재(271)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71)의 타 단부(도면상 상단부)는 상기 댐퍼(251)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댐퍼(251)에는 상기 연결부재(271)의 타 단부가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게 연결부재결합부(253)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271)의 상단부는 상기 연결부재결합부(253)에 회동핀(255)을 중심으로 상대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결합부(253)에는 상기 댐퍼(251)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로서, 댐퍼스프링(257)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댐퍼스프링(257)은 토션코일스프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댐퍼스프링(257)은 상기 회동핀(255)의 둘레에 결합되고, 일 단부는 상기 연결부재(271)에 접촉되고 타 단부는 상기 댐퍼(251)가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게 탄성력을 가하게 상기 댐퍼(251)에 접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댐퍼구동유닛(260)은 상기 승강부재(261)를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부재구동부(290)를 더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승강부재구동부(290)는, 상기 승강부재(261)와 연결되는 랙치형부(291), 상기 랙치형부(291)에 맞물림되어 회전하는 피니언(293), 상기 피니언(293)을 회전구동시키는 피니언구동모터(295)를 구비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승강부재구동부는 솔레노이드(solenoid) 또는 써멀 액츄에이터(thermal actuator)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랙치형부(291)는 상기 승강부재(261)의 일 측에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랙치형부(291)가 상기 승강부재(261)의 하측에 하향 연장되게 형성된 경우를 예시하고 있다. 상기 랙치형부(291)는 상기 승강부재(261)와 마찬가지로 상기 가이드부재(281)에 대해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부재(281)의 일 측에는 피니언구동모터(295)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구동모터(295)의 회전축에는 상기 피니언(293)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니언(293)은 상기 랙치형부(291)에 맞물림되어 정, 역회전 함으로써 상기 랙치형부(291)가 상하 운동하고, 이에 의해 상기 승강부재(261)가 승강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구동부의 일 측에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로부터 제빙되어 낙하되는 얼음(153)을 저장할 수 있게 아이스 뱅크(147)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뱅크(147)의 상부영역에는 상기 댐퍼(251) 및 연결부재(271)의 운동시 간섭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해 일 측을 절취하여 형성되는 공간부(148)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냉장고의 제빙장치(250)는, 제어프로그램이 구비된 제어부(21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10)에는 제빙모드 등 모드를 선택하는 모드선택부(211)와, 제빙 및 이빙 과정을 제어하기 위해 이젝터구동모터(197), 전기히터(156) 및 피니언구동모터(295)가 각각 제어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여, 상기 모드선택부(211)에 의해 제빙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댐퍼구동유닛(260)을 제어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배출구(154)가 차단되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피니언구동모터(295)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부재(261)가 상승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재(261)가 상기 가이드부재(281)를 따라 상승하면 상기 연결부재(271) 및 댐퍼(251)도 상승하게 된다. 상기 승강부재(261)가 상승을 계속하면 상기 댐퍼(251)의 상단은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저부면에 접촉된다. 상단이 접촉된 댐퍼(251)는,더 이상 상승하지 못하고,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한편, 상기 댐퍼(251)가 상승을 중지하고 회동을 개시하면 상기 연결부재(271)는 상기 연결부재결합부(253)의 회동핀을 중심으로 회동된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댐퍼(251)가 완전히 회동하여 상기 배출구(154)를 차단하게 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피니언구동모터(295)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부재(261)의 상승을 중지시킨다. 이때, 상기 댐퍼스프링(257) 및 연결부재스프링(267)은 모두 상기 댐퍼(251) 및 연결부재(271)가 회동을 개시하면 압축되면서 탄성력을 축적하고, 이 탄성력에 의해 상기 댐퍼(251)는 아이스 트레이(151)의 하단에 탄성적으로 접촉될 수 있다.
상기 배출구(154)가 차단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내부에 물이 공급되고 일정 시간이 경과하여 제빙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전기히터(156)에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다음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댐퍼(251)가 상 기 배출구(154)를 개방할 수 있게 상기 피니언구동모터(295)를 제어하여 상기 승강부재(261)가 초기 위치로 하강하도록 한다.
상기 승강부재(261)가 하강을 개시하면 상기 댐퍼(251) 및 연결부재(271)는 상기 댐퍼스프링(257) 및 상기 연결부재스프링(267)의 탄성력에 의해 각각 상하방향으로 배치되게 회동을 개시한다. 이에 의해, 상기 아이스 트레이(151)의 배출구(154)가 개방된다.
상기 배출구(154)가 개방되고, 상기 셀(152) 내의 얼음(153)이 아이스 트레이(151)로부터 분리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이젝터구동모터(197)를 제어하여 상기 이젝터(191)가 하향 회동되도록 한다. 하향 회동된 이젝터(191)는 각 핑거(195)가 해당 셀(152)의 얼음(153)을 가압하고, 이에 의해 각 셀(152)의 내부에 형성된 얼음(153)은 해당 배출구(154)를 통해 하측으로 낙하된다. 낙하된 각 얼음(153)은 아이스 뱅크(147)의 내부에 저장된다.
제빙된 얼음(153)의 배출이 완료되면 상기 제어부(210)는 상기 이젝터구동모터(197)를 제어하여 상기 이젝터(191)가 초기 위치로 상향 회동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210)는 얼음(153) 배출 후 상기 댐퍼(251)가 상기 배출구(154)를 차단하는 위치로 회동되게 제어할 수도 있다.
전술 및 도시한 실시예에서는 제빙장치가 바텀 프리저(bottom freezer) 냉장고의 냉장실도어에 구비된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있지만, 상기 제빙장치가 사이드 바이 사이드(side by side) 냉장고의 냉동실도어에 구비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빙장치는 냉동실의 내부에 배치되게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에 관하여 도시되고 설명되었다. 그러나, 본 발명은, 그 사상 또는 본질적인 특징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므로,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는 그 상세한 설명의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앞서 기술한 상세한 설명에서 일일이 나열되지 않은 실시예라 하더라도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된 그 기술 사상의 범위 내에서 넓게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범위와 그 균등범위 내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및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포섭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제빙장치를 구비한 냉장고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제빙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2의 제빙장치의 종단면도,
도 4는 도 2의 제빙장치의 댐퍼가이드 및 댐퍼구동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댐퍼의 승강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은 도 2의 댐퍼의 평면도,
도 7은 도 2의 제빙장치의 얼음 배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종단면도,
도 10은 도 9의 제빙장치의 댐퍼구동유닛을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제빙장치의 얼음 배출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2는 도 9의 제빙장치의 제어블록도,
도 13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빙장치의 종단면도,
도 14 및 도 15는 각각 도 13의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6은 도 13의 제빙장치의 제어블록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10 : 냉장고 본체 120 : 냉장실
125 : 냉장실도어 130 : 냉동실
135 : 냉동실도어 140 : 제빙실
150 : 제빙장치 151 : 아이스 트레이
152 : 셀 154 : 배출구
155 : 턱 156 : 전기히터
159 : 커버 161 : 댐퍼
163 : 돌기 165 : 실링부재
171 : 댐퍼가이드 173 : 수평부
174 : 수직부 175 : 수평슬롯
176 ; 수직슬롯 181 : 콘트롤박스
191 : 이젝터 193 : 샤프트
195 : 핑거 200 : 댐퍼구동유닛
201 : 리드스크류 203 : 암나사부재
207 : 스크류구동모터

Claims (19)

  1. 상부 개구 및 저부에 얼음이 배출될 수 있게 배출구가 구비된 복수의 셀을 구비한 아이스 트레이;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댐퍼;
    상기 댐퍼를 구동시키는 댐퍼구동유닛;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배치되는 샤프트 및 상기 각 셀의 내부에 제빙된 얼음을 하향 가압할 수 있게 상기 샤프트의 반경방향을 따라 각각 돌출되는 복수의 핑거를 구비하는 이젝터; 및
    전원 인가 시 발열되고, 이빙 시 상기 아이스 트레이를 가열할 수 있게 상기 아이스 트레이에 구비되는 가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저부 일 측에 배치된 회동축을 중심으로 상하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구동유닛은 구동력을 발생시키는 댐퍼구동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일 측은 수평운동하고 타 측은 상하 운동하면서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를 가이드하는 댐퍼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 고의 제빙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가이드에는 상기 댐퍼를 수평으로 안내하는 수평슬롯 및 상기 댐퍼를 수직으로 안내하는 수직슬롯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구동유닛은 솔레노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는 상기 배출구 차단시 수직운동 후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저부에 접촉되어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구동유닛은, 승강 운동하는 승강부재; 상기 승강부재와 상기 댐퍼를 연결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승강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를 각각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게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구동유닛은 상기 승강부재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구동유닛은 상기 승강부재를 승강 구동시키는 승강부재구동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측에 구비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상부 개구를 차단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와 상기 댐퍼의 상호 접촉영역에 개재되는 실링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 및 상기 댐퍼의 상호 접촉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상기 실링부재가 수용될 수 있게 수용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5.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폭을 구비하고, 상기 아이스 트레이의 직하방에 배치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로부터 낙하되는 얼음을 수용하는 아이스뱅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6.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이젝터는 상기 샤프트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이젝터구동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댐퍼가 상기 배출구를 개방한 후 상기 이젝터가 구동되게 상기 댐퍼구동유닛 및 상기 이젝터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의 제빙장치.
  17. 냉각실이 형성된 냉장고 본체;
    상기 냉각실을 개폐하는 도어; 및
    제1항의 제빙장치;를 포함하는 냉장고.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 본체는 냉동실 및 냉장실을 구비하며, 상기 제빙장치는 상기 냉장실을 개폐하는 냉장실도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냉장고.
KR1020090101941A 2009-10-26 2009-10-26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16496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941A KR101649631B1 (ko) 2009-10-26 2009-10-26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12/912,225 US8516844B2 (en) 2009-10-26 2010-10-26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EP10827043.0A EP2494287B1 (en) 2009-10-26 2010-10-26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PCT/KR2010/007360 WO2011052959A2 (en) 2009-10-26 2010-10-26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101941A KR101649631B1 (ko) 2009-10-26 2009-10-26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386A KR20110045386A (ko) 2011-05-04
KR101649631B1 true KR101649631B1 (ko) 2016-08-19

Family

ID=442404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101941A KR101649631B1 (ko) 2009-10-26 2009-10-26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63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6873B1 (ko) 2012-07-10 2014-03-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KR102373978B1 (ko) * 2021-03-09 2022-03-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아이스 메이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7282A1 (en) * 2004-10-26 2006-09-21 Visin Jerold M Water spillage management for in the door ice maker
US20060254285A1 (en) 2005-05-11 2006-11-16 Ching-Yu Lin Ice cube maker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3389B1 (ko) * 2006-08-24 2008-10-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빙 장치
KR101320820B1 (ko) * 2006-08-29 2013-10-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제빙기 및 이를 포함하는 냉장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207282A1 (en) * 2004-10-26 2006-09-21 Visin Jerold M Water spillage management for in the door ice maker
US20060254285A1 (en) 2005-05-11 2006-11-16 Ching-Yu Lin Ice cube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10045386A (ko) 201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096384B1 (en) Method of controlling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US10775087B2 (en) Ice-making tray and refrigerator comprising same
EP2446203B1 (en) Ice make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US8516844B2 (en) Ice maker for refrigerator and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KR101643635B1 (ko) 제빙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제빙방법
EP2101128B1 (en) Method of controlling ice making assembly for refrigerator
US8539779B2 (en) Ice maker, refrigerator having the same, and ice making method thereof
CN101520261B (zh) 控制用于冰箱的制冰组件的方法
KR20130028324A (ko) 냉장고
KR20100036879A (ko) 디스펜서를 구비한 냉장고
KR20100061492A (ko) 제빙기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418143B1 (ko) 냉장고 및 그 제어 방법
KR101649631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102221595B1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483028B1 (ko) 냉장고 제빙기의 제어 방법
CN112789471A (zh) 冰箱及其控制方法
CN112771326A (zh) 冰箱
US11859888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KR101659006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US11835283B2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2022034963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US20240183598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40051632A (ko) 냉장고
KR101659007B1 (ko) 냉장고의 제빙장치 및 이를 구비한 냉장고
KR20240051624A (ko) 냉장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