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1632A - 냉장고 - Google Patents

냉장고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1632A
KR20240051632A KR1020220131533A KR20220131533A KR20240051632A KR 20240051632 A KR20240051632 A KR 20240051632A KR 1020220131533 A KR1020220131533 A KR 1020220131533A KR 20220131533 A KR20220131533 A KR 20220131533A KR 20240051632 A KR20240051632 A KR 202400516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ce
heater
heating amount
section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15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종영
이동훈
손성균
이욱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315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1632A/ko
Priority to PCT/KR2023/013558 priority patent/WO2024080575A1/ko
Publication of KR202400516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16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28Det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18Producing ice of a particular transparency or translucency, e.g. by injectin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1/00Producing ice
    • F25C1/22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 F25C1/24Construction of moulds; Filling devices for moulds for refrigerators, e.g. freezing tray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3/00General constructional features
    • F25D23/02Doors; Covers
    • F25D23/04Doors; Covers with special compartments, e.g. butter condition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9/00Arrangement or mounting of control or safety devices
    • F25D29/005Mounting of control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CPRODUCING, WORKING OR HANDLING ICE
    • F25C2600/00Control issues
    • F25C2600/04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02Refrigerators including a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evices That Are Associated With Refrigeration Equipment (AREA)

Abstract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또는 저장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셀을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제빙셀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제 1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제빙 구간 이후의 제 2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은 제 2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제빙 구간 이후의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상기 제 2 가열량 보다 크고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은 제 3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한다.

Description

냉장고{Refrigerator}
본 명세서는 냉장고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는 도어에 의해 차폐되는 내부의 저장공간에 음식물을 저온 저장할 수 있도록 하는 가전 기기이다.
상기 냉장고는 냉기를 이용하여 저장공간 내부를 냉각함으로써, 저장된 음식물들을 냉장 또는 냉동 상태로 보관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장실이 좌우로 배치되는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동실이 냉장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이거나, 냉장실이 냉동실의 상방에 위치되는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일 수 있다.
통상 냉장고의 냉동실에는 얼음을 만들기 위한 제빙기가 제공된다. 상기 제빙기는 급수원이나 물탱크에서 공급되는 물을 트레이에 수용시킨 후 물을 냉각시켜 얼음을 생성한다. 상기 제빙기에서 생성되는 얼음은 아이스 빈에 보관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빈에 보관된 얼음은 도어에 구비되는 디스펜서를 통해서 배출되거나, 사용자가 냉동실 도어를 열고 상기 아이스 빈에 접근하여 상기 아이스 빈의 얼음을 꺼낼 수 있다.
선행문헌인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21-0026849호에는 냉장고가 구비된다.
선행문헌의 냉장고는, 냉동실과, 냉동실로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각기와, 상기 냉동실에 구비되는 제빙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빙기는, 물이 상기 콜드(Cold)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의 일부를 형성하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의 다른 일부를 형성하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상기 제빙셀로 물을 공급하기 위한 급수부;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 중 적어도 하나에 인접하게 위치되는 히터;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선행문헌의 경우, 제어부는 상기 제빙셀의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에 따라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한다.
선행문헌에 의하면, 히터의 출력은 초기 출력에서 감소하다가 다시 증가될 수 있다.
그런데, 실제 얼음이 얼어가면서 얼음과 물의 비율이 달라지고, 물 내부의 기포 포화도가 높아지나, 선행문헌의 경우에는 단지 물의 단위 높이 당 질량을 고려하여 히터의 출력을 결정하므로, 얼음의 단위 높이 별 투명도의 편차가 커지는 단점이 있다.
또한, 히터의 출력이 제빙 과정의 전반부에서 감소하거다 후반부로 갈수록 증가되므로, 히터의 열에 의해서 제빙 속도가 느려져 제빙 시간이 증가되는 단점이 있다.
본 실시 예는, 생성되는 얼음의 높이 별 투명도의 편차가 최소화되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얼음의 투명도를 증가시키면서도 제빙 시간이 줄어들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본 실시 예는 얼음의 투명도를 증가시키면서도 히터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는 냉장고를 제공한다.
일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도어 또는 캐비닛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셀을 포함하는 트레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빙셀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와,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제 1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제빙 구간 이후의 제 2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은 제 2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제빙 구간 이후의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상기 제 2 가열량 보다 크고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은 제 3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2 가열량은 가변되며 상기 제 2 가열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2 가열량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3 가열량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의 상기 제 3 가열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 2 제빙 구간에서의 상기 제 2 가열량의 평균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 구간은 제 1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 2 제빙 구간은 제 2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 3 제빙 구간은 제 3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 시간과 제 2 기준 시간의 차이값은 상기 제 2 기준 시간과 상기 제 3 기준 시간의 차이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 구간은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감소되는 감소 구간과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증가되는 증가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소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의 감소 기울기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증가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의 증가 기울기는 커질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3 가열량은 가변되며,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의 최대값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은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의 증가 기울기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다른 측면에 따른 냉장고는,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또는 저장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셀을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제빙셀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제 1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제빙 구간 이후의 제 2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은 제 2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2 제빙 구간 이후의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상기 제 1 가열량 및 제 2 가열량 보다 큰 제 3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2 가열량은 가변되며 상기 제 2 가열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3 가열량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3 가열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 구간은 제 1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 2 제빙 구간은 제 2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 3 제빙 구간은 제 3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1 기준 시간과 제 2 기준 시간의 차이값은 상기 제 2 기준 시간과 상기 제 3 기준 시간의 차이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 구간은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감소되는 감소 구간과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증가되는 증가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소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의 감소 기울기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증가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의 증가 기울기는 커질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3 가열량은 가변되며,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의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의 최소값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은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또는 증가되다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은 단계적으로 감소하며, 감소된 최종 가열량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클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빙 과정에서 히터의 가열량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생성되는 얼음의 높이별 투명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말기 구간에서 투명도가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히터의 가열량을 줄여 제빙 속도가 증가되어 제빙 시간이 줄어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말기 구간에서 투명도가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히터의 가열량을 줄여 히터의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 1 냉장실 도어에서 냉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제빙기의 사시도.
도 9는 도 8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럭도.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3은 제 2 트레이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도 1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빙 과정에서 제 2 히터의 출력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빙 과정에서 제 2 히터의 출력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냉장고의 일 도어가 분리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후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1 냉장실 도어의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1)는, 저장실을 구비하는 캐비닛(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냉장고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냉장실(1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저장실은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냉동실(19)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도 2에는 상기 저장실이 냉장실(18)과 냉동실(19)을 포함하는 것이 도시된다.
상기 냉장실(18)은 하나 이상의 냉장실 도어(5)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냉동실(19)은 하나 이상의 냉동실 도어(3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냉장실(18)은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에 의해서 개폐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물 및/또는 얼음을 배출하기 위한 디스펜서(11)를 포함할 수 있다. 물론,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냉동실 도어(30)가 상기 디스펜서(11)를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와 제 2 냉장실 도어(20) 중 하나 이상은 하나 이상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상기 제 2 냉장실 도어(20)나 상기 냉동실 도어(30)에 제빙기가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디스펜서(11)와 상기 제빙기는 동일한 도어에 구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제 2 냉장실 도어(20)가 복수의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2에는 상기 냉장고(1)가 바텀 프리져 타입의 냉장고인 것이 예시적으로 도시되나, 이와 달리 본 발명의 사상은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의 냉장고나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사이드 바이 사이드 타입 또는 탑 마운트 타입의 냉장고의 경우, 냉동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하거나 냉장실 도어가 복수의 제빙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에 위치되며, 일부는 후방으로 함몰되어 용기가 위치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1 제빙기(2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제빙기는, 제 2 제빙기(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가 복수의 제빙기(200, 500)가 좌우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을 배제하지는 않는다.
상기 디스펜서(11)는 적어도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을 배출시킬 수 있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도 상기 디스펜서(11) 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상기 디스펜서(11)와 동일하거나 낮게 위치되더라도, 별도의 이송 기구에 의해서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상기 디스펜서(11)로 이송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상기 디스펜서(11)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1 디스펜서와,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배출되는 제 2 디스펜서를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디스펜서(11)의 후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전면 외관을 형성하기 위한 아우터 케이스(10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결합되는 도어 라이너(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냉장실(18)을 개폐할 수 있다.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가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아우터 케이스(101)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사이 공간에는 단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단열 공간에는 단열재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1 공간(1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을 제 1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상기 도어 라이너(102)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기 위한 제 2 공간(12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을 제 2 제빙실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생략될 수 있으며, 이 경우에도 상기 제 2 공간(124)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공간(124)은 특정 용도로 사용되는 도어 저장실로 기능할 수 있다.
또는,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위치는 가변될 수 있다. 냉장고의 종류에 따라서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저장 공간에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상기 제 2 공간(124)이 존재하거나 상기 제 2 공간(124)은 생략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생략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는, 상기 제 1 공간(122)에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공간(122)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면이 상기 아웃 케이스(101) 측으로 함몰됨에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은 상기 디스펜서(11) 측을 향하여 함몰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1 아이스 빈(28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저장되는 제 2 아이스 빈(6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도 생략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은 상기 제 1 제빙기(200)와 함께 상기 제 1 공간(122)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함께 상기 제 2 공간(124)에 수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각기는, 냉매 사이클과, 열전 소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상기 저장실을 냉각하는 수단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공간(122)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냉각기에서 생성된 콜드(cold)가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에는 상기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가 공급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냉동실(19)의 냉기 또는 냉동실(19) 냉각을 위한 냉기를 생성하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로 안내하는 공급 유로(2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1)는,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서 배출되는 냉기를 상기 냉동실(19) 또는 증발기가 위치되는 공간으로 안내하는 배출 유로(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유로(2a)와 상기 배출 유로(2b)는 상기 캐비닛(2)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입구(123a)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공급 유로(2a)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출구(123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히면,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배출 유로(2b)와 연통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공급 유로(2a)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상기 냉기 입구(123a)는 일례로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일측면은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가 닫혔을 때, 상기 냉장실(18)에서 상기 배출 유로(2b)가 위치되는 벽과 마주보는 면이다.
상기 냉기 출구(123b)는 일례로 제 2 공간(124)과 수평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형태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200)는 구 형태의 얼음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언급되는 "구 형태"는 기하학적으로 구 형태 뿐만 아니라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투명도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투명도 보다 높을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와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는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가 상기 제 1 제빙기(200)에서 형성된 얼음의 크기(또는 부피) 보다 클 수 있다.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1 제빙기(200)의 구조 및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은,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구조 및 제 2 제빙기(500)에서 생성된 얼음이 분리되는 방식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제빙기 들의 구조 및/또는 이빙 방식이 차이가 있는 경우,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하는 제 1 공간(122)의 형태는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하는 제 2 공간(124)의 형태와 다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124)의 깊이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깊이 보다 깊을 수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의 깊이 차이에 의해서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상기 일측면은, 전후 방향 폭이 다른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의 폭은 상기 제 1 측면부(102a)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측면부(102a)와 제 2 측면부(102b)의 폭 차이에 의해서, 상기 제 1 제빙기(2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 보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위치되는 부분에서의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후 방향 두께가 두꺼울 수 있다.
상기 냉기 입구(123a) 및 상기 냉기 출구(123b) 중 하나 이상은 상기 도어 라이너(102)의 제 2 측면부(102b)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측면부(102b)는 상기 제 1 측면부(102a) 보다 상기 냉장실(18) 측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1 공간(122)을 개폐하는 제 1 도어(130)(또는 제 1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상기 제 2 공간(124)을 개폐하는 제 2 도어(132)(또는 제 2 공간 도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0)는 내부에 단열재가 구비되는 단열 도어일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가 생략되어도 상기 제 2 도어(132)는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도어(130, 132)에 의해서 상기 냉장실(18)과 상기 제 1 및 제 2 공간(122, 124) 간의 열전달이 최소화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도어(132)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1 도어(130)의 회전 방향과 상기 제 2 도어(132)의 회전 방향은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의 가변에 의해서 상기 제 1 도어(130)에는 음식물 수납이 가능한 바스켓(136)이 연결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제빙기(50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바스켓(136)이 상기 제 1 도어(130)에 설치되고, 상기 제 2 도어(13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바스켓(136)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도어(132)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일 측면(103)에는 도시되지 않은 필터가 장착될 수 있으며, 상기 필터는 필터 커버(142)에 의해서 커버될 수 있다.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실시 예의 제 1 냉장실 도어에서 냉기 유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는 냉기 유동을 위한 냉기 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로는 도시되지 않은 냉기 덕트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냉기 덕트는 일례로 도어 라이너(102)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상기 제 1 공간(122)과 상기 제 2 공간(124) 중 하나 이상으로 냉기를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1 냉기 유로(P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는 상기 캐비닛(2)으로부터 공급받은 냉기를 상기 제 1 공간(122)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에서 냉기는 상승하여 상기 제 1 공간(122)의 상측부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1 냉기 유로(P1)에 의해서 안내된 냉기는 상기 제 1 제빙기(200)를 향하여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2 냉기 유로(P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냉기를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부의 냉기는 상기 제 2 냉기 유로(P2)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의 적어도 일부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에서 냉기는 하강하여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냉기 유로(P2)에 의해서 안내된 냉기는 상기 제 2 제빙기(500) 측으로 유동할 수 있다.
상기 냉기 유로는 제 3 냉기 유로(P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 유로(P3)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냉기를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외부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하측부의 냉기가 상기 제 3 냉기 유로(P3)를 유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냉기 유로(P3)의 적어도 일부는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제빙셀을 형성하는 아이스 트레이(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을 분리시키기 위하여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를 자동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제빙기(200)는, 상기 구동부의 동력을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전달하는 동력 전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는 복수의 제빙셀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급수부에서 배출되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로 낙하된 물이 상기 복수의 제빙셀로 분배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얼음의 생성이 완료된 경우, 상기 구동부에 의해서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가 회전(트위스트)됨에 따라 얼음이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트레이(210)에서 분리된 얼음은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1 트레이(5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셀(50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이동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회전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직선 운동하거나 또는 직선 및 회전 운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회전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급수 완료 후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회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직선 이동 타입인 경우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제빙 위치에서 급수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적어도 일부와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급수 위치에서 제 2 트레이(550)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이격된 부분은 상기 제빙 위치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하여 상기 제빙셀(501)을 완성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11)는 디스펜서 하우징(11a)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은 수용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수용 공간에 컵 등의 용기가 위치될 수 있다. 물이나 얼음은 상기 수용 공간으로 배출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되도록 배치될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에 의해서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상기 제 1 공간(122) 간의 최단 수평 거리 보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전면과 제 2 공간(124)의 최단 수평 거리가 크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상하 길이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상하 길이 보다 길수 있다.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공간(122)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의 제빙셀(501)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과 전후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공간(122)의 하측에는 아이스 슈트(7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캡 덕트(900)에 의해서 개폐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하측에는 아이스 가이드(800)가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아이스 빈(280)에서 배출된 얼음을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로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얼음을 가이드하고 얼음이 최종적으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는 상기 제 1 공간(122)의 적어도 일부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공간(124)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제 1 냉장실 도어(10)에는 물 탱크(34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슈트(70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물 탱크(340)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빙셀(501)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아이스 빈(600)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상기 물 탱크(34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스켓(136)과 상하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물론,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물 탱크(340)의 위치는 제한적인 것은 아니며, 제 1 냉장실 도어(1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거나 두께 증가가 최소화되는 한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음을 밝혀둔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적어도 일부와 수평 방향으로 중첩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후측에 상기 제 2 공간(124)이 배치될 수 있는 것은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이 슬림해진 것에 기인할 수 있다. 상기 디스펜서 하우징(11a)의 슬림화를 위해서 얼음의 통로 중 일부를 형성하는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형태가 중요할 수 있다. 상기 아이스 가이드(8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제빙기의 사시도이고, 도 9는 도 8의 9-9를 따라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와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 1 트레이(510)를 포함하거나,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1 트레이(510) 및 제 1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어셈블리는, 제 2 트레이(550)를 포함하거나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하거나 상기 제 2 트레이(550) 및 제 2 트레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브라켓(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브라켓(520)은 상기 제 1 트레이 어셈블리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520)은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상기 브라켓(520)은, 일례로 상기 제 2 공간을 형성하는 벽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물이 콜드(일례로 냉기)에 의해서 얼음으로 상변화되는 공간인 제빙셀(501)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제빙셀(501)을 형성한 상태에서,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상부 트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하부 트레이라 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510) 및 상기 제 2 트레이(550)에 의해서 복수의 제빙셀(501)이 정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3개의 제빙셀(501)이 형성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상기 제빙셀(501)에 물이 공급된 상태에서 물이 냉기에 의해서 냉각되면, 상기 제빙셀(501)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의 얼음이 생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일례로 상기 제빙셀(501)은 구 형태 또는 구 형태와 유사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빙셀(501)은 직육면체 형태로 형성되거나 다각형 형태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는 일례로 상기 브라켓(5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트레이 케이스는 제 1 서포터(5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53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이빙 과정에서 얼음의 분리를 위한 제 1 푸셔(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540)는 후술할 구동부(580)의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53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1 서포터(530)는 상기 제 1 푸셔(54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상기 제 1 푸셔(540)는 푸셔 링크(548)에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푸셔(540)는 상기 푸셔 링크(548)에 회전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푸셔 링크(548)가 움직이면 상기 제 1 푸셔(540)도 상기 제 1 서포터(530)에 의해서 안내되어 이동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는 일례로 제 2 트레이 커버(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 케이스는 제 2 서포터(5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 커버(56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터(57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하측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터(57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하측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 2 서포터(570)의 일측에는 탄성 부재(547)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탄성 부재(547)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탄성력을 상기 제 2 서포터(570)로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부(5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대해서 상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력(580)의 구동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 1 푸셔(540)가 이동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에는 연결암(549)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연결암(549)은 상기 제 2 서포터(570)에 연결되어 상기 구동부(580)의 동력을 상기 제 2 서포터(570)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는, 모터와, 복수의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에는 만빙 감지 레버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에서 제공되는 회전력에 의해서 상기 만빙 감지 레버도 회전될 수 있다.
상기 구동부(580)는, 상기 모터의 회전 동력을 받아 회전되는 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상기 캠의 회전을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캠에는 자석이 구비되고, 상기 센서는 상기 캠의 회전 과정에서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기 위한 홀 센서일 수 있다. 상기 센서의 자석 감지 여부에 따라서, 상기 센서는 서로 다른 출력인 제1신호와 제2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제1신호와 제2신호 중 어느 하나는 High 신호이고, 다른 하나는 low 신호일 수 있다. 후술할 제어부는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의 종류 및 패턴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트레이(550)(또는 제 2 트레이 어셈블리)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2 트레이(550) 및 상기 캠은 상기 모터에 의해서 회전되므로, 상기 캠에 구비되는 자석의 감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위치를 간접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센서에서 출력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후술할 급수 위치, 제빙 위치 및 이빙 위치가 구분 및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2 푸셔(59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셔(590)는, 일례로 상기 브라켓(5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1 히터(50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503)는 적어도 이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501)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503)를 이빙용 히터라 이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 1 푸셔(540)에 의해서 얼음의 분리가 원활히 수행될 수 있는 경우, 상기 제 1 히터(503)의 생략은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503)는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C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503)는 일례로 상기 브라켓(520)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 1 히터(503)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는, 제 2 히터(5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505)는 적어도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빙셀(501)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505)는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550)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505)를 투명빙 히터라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505)는 상기 제빙셀(501)의 수직 중심선(C1)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 2 푸셔(590)는, 상기 제빙셀(501)에 위치한 얼음을 밀어낼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럭도이고,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제 2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는 급수 위치에서 급수가 완료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고, 도 13은 제 2 트레이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제빙 과정에서 제 2 히터의 출력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냉기를 공급하기 위한 냉기공급수단(1020)(또는 냉각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은 일례로 냉매 사이클을 이용하여 냉기를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은, 일례로 냉매를 압축하기 압축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기의 출력(또는 주파수)에 따라서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은, 증발기로 공기를 송풍하기 위한 팬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팬의 출력(또는 회전속도)에 따라서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되는 냉기량이 달라질 수 있다.
또는,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은, 상기 냉매 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량을 조절하는 냉매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매밸브에 의한 개도 조절에 의해서 상기 냉매 사이클을 유동하는 냉매량이 가변되고, 이에 따라서 상기 제 2 공간(124)으로 공급되는 냉기의 온도가 달라질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은, 상기 압축기, 팬 및 냉매밸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냉장고는,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을 제어하는 제어부(10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급수부(546)를 통해 공급되는 물의 양을 감지하기 위한 유량 센서(10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급수량을 제어하는 급수 밸브(10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량 센서(1002)는 자석이 장착된 임펠러와, 임펠러의 회전 과정에서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는 홀 센서와, 상기 임펠러가 수용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임펠러가 회전되는 과정에서 상기 홀 센서가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거나 상기 홀 센서와 상기 자석이 정렬되면 상기 홀 센서에서 제1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홀 센서가 자석의 자기를 감지하지 못하거나 상기 자석이 상기 홀 센서와 소정 거리 이격되면 상기 홀 센서에서 제2신호가 출력된다.
상기 제1신호(펄스)는 반복적으로 출력되므로, 상기 제1신호의 개수를 카운트하여 급수량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카운트되는 제1신호의 개수를 이용하여 상기 급수 밸브(1004)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1 히터(503), 상기 제 2 히터(505), 상기 구동부(580), 냉기공급수단(1020), 급수 밸브(1004)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냉장고는, 상기 제 2 공간(124)의 온도를 감지하기 위한 제빙실 온도 센서(100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1 트레이(510)에 장착되는 센서(트레이 온도 센서)(4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되는 온도에 기초하여, 제빙의 완료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 2 제빙기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과정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 예에서 언급되는 제 2 제빙기에서의 히터의 제어 기술이 적용되는 한 상기 제 2 제빙기의 구조적 변경은 가능하며 다양한 형태로 구조가 가변되어도 동일한 히터 제어 기술을 적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급수 위치로 이동시킨다(S11).
본 명세에서 도 12의 급수 위치에서 도 13의 제빙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을 역 방향 이동(또는 역 방향 회전)이라 할 수 있다. 도 13의 위치에서 도 12의 위치로 이동하는 방향을 정 방향 이동((또는 정 방향 회전)이라고 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급수 위치 이동은 도시되지 않은 센서에 의해서 감지되고,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급수 위치로 이동된 것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구동부(580)를 정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급수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급수 시작 온도 이하의 온도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초기 급수 시작 온도 이하의 온도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급수가 수행되도록 상기 급수 밸브(1004)를 제어할 수 있다(S2).
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급수 위치로 이동되면 바로 급수가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급수가 완료되면,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S3).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이동된 상태에서 제빙이 시작될 있다(S4). 일례로,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에 도달하면 제빙이 시작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제빙 위치로 도달하고 급수 완료 후 미리 결정된 시간이 경과하면 제빙이 시작될 수 있다.
제빙이 시작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냉기가 상기 제빙셀(501)로 공급되도록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을 제어할 수 있다. 물론,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에 의해서 상기 제빙셀(501)로 냉기가 공급되는 중에 급수가 완료되어 제빙이 시작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온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5).
상기 제 2 히터(505)의 온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냉기공급수단(1020)이 상기 제빙셀(501)로 냉기를 공급하는 중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가 온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S6).
상기 제 2 히터(505)가 온되는 경우 상기 제 2 히터(505)의 열이 상기 제빙셀(501)로 전달되므로, 상기 제빙셀(501)에서의 얼음의 생성 속도가 지연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제 2 히터(505)의 열에 의해서, 상기 제빙셀(501) 내부의 물 속에 녹아 있는 기포가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액체 상태의 물 쪽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얼음의 생성 속도를 지연시킴으로써, 상기 제 2 제빙기(500)에서 투명빙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505)가 온되면, 상기 제 2 히터(505)의 열이 상기 제빙셀(501) 내로 전달된다.
본 실시 예와 같이,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제 1 트레이(510)의 하측에 위치되고, 상기 제 2 히터(505)가 상기 제 2 트레이(550)로 열을 공급하도록 배치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빙셀(501)의 상측에서부터 얼음이 생성되기 시작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 얼음이 상기 제빙셀(501) 내에서 상측에서부터 생성되므로, 상기 제빙셀(501)에서 얼음이 생성되는 부분에서 기포가 액체 상태의 물을 향하여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물의 밀도는 얼음의 밀도 보다 크므로, 상기 제빙셀(501) 내에서 물 또는 기포가 대류할 수 있으며, 상기 제 2 히터(505) 측으로 기포가 이동할 수 있다.
얼음이 성장할수록 상기 제빙셀(501) 내에서 물과 얼음의 비율이 달라지며, 기포 포화도는 증가되므로, 상기 제어부(1000)는 생성되는 얼음이 높이 별로 투명도의 편차가 줄어들도록,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가열량을 가변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505)의 가열량의 가변은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을 가변하는 것 또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듀티를 가변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히터(505)의 듀티는, 1회 주기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온 시간 및 오프 시간 대비 온 시간의 비율을 의미하거나, 1회 주기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온 시간 및 오프 시간 대비 오프 시간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일례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을 가변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증가되는 것은 상기 제 2 히터(505)의 듀티가 증가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감소되는 것은 상기 제 2 히터(505)의 듀티가 감소될 수 있다.
투명한 얼음을 생성하기 위한 제 2 히터(505)의 제어는 다수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일례로 초기 구간(제 1 제빙 구간), 중기 구간(제 2 제빙 구간), 말기 구간(제 3 제빙 구간)으로 구분되어 제 2 히터(505)가 제어되는 것이 도시된다.
초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1 가열량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일례로, 초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1 출력(W1)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초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초기 구간은 제 1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초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가 작동한 이후에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가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은 제 2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 시간은 상기 제 1 기준 시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2 가열량으로 작동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제 2 가열량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은 다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다수 단계 별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각 단계는 미리 결정된 설정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중기 구간에서 수행되는 단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중기 구간의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2 출력(W2)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W2)은 상기 중기 구간에서의 초기 출력일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W2)은 상기 제 1 출력(W1)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제빙셀(501)의 상측에서부터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초기 구간에서의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중기 구간에서의 제 2 히터(505)의 출력 보다 높다.
상기 중기 구간의 제 2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3 출력(W3)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출력(W3)은 상기 제 2 출력(W2)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출력(W1)과 상기 제 2 출력(W2)의 차이값은 상기 제 2 출력(W2)과 상기 제 3 출력(W3)의 차이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의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4 출력(W4)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4 출력(W4)은 상기 제 3 출력(W3)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W2)과 상기 제 3 출력(W3)의 차이값은 상기 제 3 출력(W3)과 상기 제 4 출력(W4)의 차이값 보다 클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최소 출력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에서 일부 구간은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단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에서의 단위 높이 별 물의 양과 얼음이 생성될 부분과 상기 제 2 히터(505)와의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중기 구간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초기 구간 및 상기 중기 구간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 감소 기울기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의 제 4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5 출력(W5)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5 출력(W5)은 상기 제 4 출력(W4) 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가 최소 출력으로 작동한 후에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의 제 5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6 출력(W6)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6 출력(W6)은 상기 제 5 출력(W5)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6 출력(W6)은 상기 제 2 출력(W2) 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중기 구간에서 종료 출력은 초기 출력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 중 다른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6 출력(W6)과 상기 제 5 출력(W5)의 차이값은 상기 제 5 출력(W5)과 제 4 출력(W4)의 차이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의 다른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 증가 기울기는 커질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에서 얼음이 생성될 부분과 제 2 히터 간의 거리, 상기 제빙셀 내의 기포 포화도 반영하여 상기 중기 구간의 다른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포 포화도가 증가될 수록 제빙 속도를 늦춰야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은 초기 구간에서의 제 1 출력(W1)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가 작동한 이후에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중기 구간은,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감소되는 감소 구간과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증가되는 증가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소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가열량의 감소 기울기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증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가열량의 증가 기울기는 커질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은 제 3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3 기준 시간은 상기 제 1 기준 시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3 기준 시간은 상기 제 2 기준 시간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 시간과 상기 제 1 기준 시간의 차이값은 상기 제 2 기준 시간과 상기 제 3 기준 시간의 차이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3 가열량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가열량은 가변되거나 일정 가열량으로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은 다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일례로 다수 단계 별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각 단계는 미리 결정된 설정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말기 구간에서 수행되는 단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먼저, 일례로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증가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제 1 제어 케이스).
상기 말기 구간의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7 출력(W7)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7 출력(W7)은 상기 제 6 출력(W6)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7 출력(W7)은 상기 제 1 출력(W1)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의 제 2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8 출력(W8)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8 출력(W8)은 상기 제 7 출력(W7)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의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9 출력(W9)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9 출력(W8)은 상기 제 8 출력(W8)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9 출력(W9)과 상기 제 8 출력(W8)의 차이값은 상기 제 8 출력(W8)과 상기 제 7 출력(W7)의 차이값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의 제 4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10 출력(W10)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0 출력(W10)은 상기 말기 구간의 종료 출력일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말기 구간의 종료 출력이 최대 출력일 수 있다.
상기 제 10 출력(W10)은 상기 제 9 출력(W9)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1O 출력(W10)은 상기 초기 구간의 제 1 출력(W1)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0 출력(W10)과 상기 제 9 출력(W9)의 차이값은 상기 제 9 출력(W9)과 상기 제 7 출력(W7)의 차이값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에서의 얼음이 생성될 부분과 제 2 히터(505) 간의 거리, 상기 제빙셀 내의 기포 포화도를 반영하여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은 초기 구간에서의 제 1 출력(W1)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은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증가 기울기는 줄어들 수 있다.
제빙이 진행될 수록 상기 제빙셀 내의 물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열전달을 위한 저항은 감소되고 냉기의 냉전달을 위한 저항은 커지므로, 제 2 히터(505)의 출력 증가 기울기를 낮춰도 투명도를 증가시키거나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유지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제 2 제어 케이스).
이 경우에도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초기 출력(W7)은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종료 출력(W6)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초기 출력(W7)은 상기 초기 구간에서의 제 1 출력(W1)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단계으로 증가되는 경우의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은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유지되는 경우의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과 동일하거나 다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서,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감소되는 것에 대해서 설명한다(제 3 제어 케이스).
이 경우에도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초기 출력(W7)은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종료 출력(W6)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을 기준으로, 상기 제 3 제어 케이스에서의 상기 제 2 히터(505)의 초기 출력은 상기 제 1 또는 제 2 제어 케이스에서의 상기 제 2 히터(505)의 초기 출력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은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3 제어 케이스에서, 상기 말기 구간의 종료 출력은 상기 중기 구간의 종료 출력(W6) 보다 클 수 있다.
이러한 본 실시 예의 히터 제어 방법에 의하면, 제빙 과정에서 제 2 히터의 출력을 가변 제어함으로써 생성되는 얼음의 높이별 투명도의 편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초기 구간에서의 제 2 히터의 출력 보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의 제 2 히터의 출력(또는 평균 출력)이 작으므로, 말기 구간에서 투명도가 향상될 수 있으면서도 제 2 히터의 출력을 줄여 제 2 히터의 소비 전력을 낮출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제빙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 2 히터(505)를 오프시킬 수 있다(S9).
일례로,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말기 구간의 마지막 단계가 종료되면 제빙이 완료된 것으로 판단하여 제 2 히터(505)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제빙이 완료되면, 얼음의 이빙을 위하여,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1 히터(503) 및 제 2 히터(505) 중 하나 이상을 작동시킨다(S10).
상기 제 1 히터(503)와 상기 제 2 히터(505) 중 하나 이상이 온되면, 히터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510) 및 상기 제 2 트레이(550) 중 하나 이상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제 1 트레이(510) 및 제 2 트레이(550) 중 하나 이상의 표면(내면)에서 분리될 수 있다.
상기 히터(503, 505)의 열이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접촉면으로 전달되어 상기 제 1 트레이(510)와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접촉면이 분리 가능한 상태가 된다.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구동부(580)의 작동 시작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도록(정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580)를 작동시킨다(S11).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정 방향으로 이동되면,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제 1 트레이(510)로부터 이격된다.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이동력이 상기 제 1 푸셔(540)로 전달된다. 그러면, 상기 제 1 푸셔(540)가 하강하게 되어, 상기 푸싱 바(544)가 상기 개구(514)를 관통하게 되어 상기 제빙셀(501) 내의 얼음을 가압한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이빙 위치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상기 푸싱 바(592)와 접촉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이빙 위치로 지속적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푸싱 바(592)가 상기 제 2 트레이(550)를 가압하게 되어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변형되고, 상기 푸싱 바(592)의 가압력이 얼음으로 전달되어 얼음이 상기 제 2 트레이(550)의 표면과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1000)는 히터의 작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어부(1000)는 구동부(580)가 작동한 시간이 기준 시간에 도달하거나 상기 센서(410)에서 감지된 온도가 종료 기준 온도 이상이 되면, 히터의 작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히터의 작동 종료 조건이 만족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온된 히터를 오프시킬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종료 기준 온도는 영상의 온도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제 2 트레이(550)에서 얼음이 분리된 이후에는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역 방향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구동부(480)를 제어한다(S12).
그러면, 상기 제 2 트레이(550)는 상기 이빙 위치에서 급수 위치를 향하여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 2 트레이(550)가 도 22의 급수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제어부(1000)는 상기 구동부(580)를 정지시킨다.
한편, 도 14에서 설명한 제어 방법의 변형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 1 변형 실시예의 경우에도 초기 구간, 중기 구간 및 말기 구간으로 구분되어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가변 제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중기 구간 전체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말기 구간에서의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상기 중기 구간의 종료 출력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제 1 변형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말기 구간에서의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최소 출력일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빙셀에서의 기포 포화도가 다른 구간에서 비하여 크므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최소 출력으로 유지되면 제빙 속도가 감소되나, 투명도는 향상되거나 유지될 수 있고 제 2 히터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빙이 진행될 수록 상기 제빙셀 내의 물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열전달을 위한 저항은 감소되고 냉기의 냉전달을 위한 저항은 커지므로, 상기 말기 구간에서 제 2 히터(505)의 출력을 유지시켜도 투명도를 증가시키거나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제 2 변형 실시 예의 경우, 초기 구간, 중기 구간 및 말기 구간으로 구분되어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가변 제어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중기 구간 전체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말기 구간의 적어도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말기 구간에서의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 감소 기울기는 상기 중기 구간에서의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 감소 기울기 보다 작을 수 있다.
제 1 변형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말기 구간에서의 제 2 히터(505)의 종료 출력이 최소 출력일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빙셀에서의 기포 포화도가 다른 구간에서 비하여 크므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감소시키면, 제빙 속도가 감소되나, 투명도는 향상되거나 유지될 수 있고 제 2 히터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제빙이 진행될 수록 상기 제빙셀 내의 물양이 줄어들게 되므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열전달을 위한 저항은 감소되고 냉기의 냉전달을 위한 저항은 커지므로, 상기 말기 구간에서 제 2 히터(505)의 출력을 단계적으로 감소시켜도 투명도를 증가시키거나 유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도 15는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빙 과정에서 제 2 히터의 출력 변화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실시 예는 다른 부분에서는 이전 실시 예와 동일하고 제 2 히터의 제어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 예의 특징적인 부분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초기 구간, 중기 구간, 말기 구간으로 구분되어 제 2 히터(505)가 제어되는 것이 도시된다.
초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1 출력(W11)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초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 초기 구간은 제 1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초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가 작동한 이후에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가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은 제 2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 시간은 상기 제 1 기준 시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은 다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다수 단계 별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각 단계는 미리 결정된 설정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중기 구간에서 수행되는 단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중기 구간의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2 출력(W12)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W12)은 상기 중기 구간에서의 초기 출력일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W12)은 상기 제 1 출력(W11)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제빙셀(501)의 상측에서부터 얼음이 생성되도록 하기 위하여 초기 구간에서의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중기 구간에서의 제 2 히터(505)의 출력 보다 높다.
상기 중기 구간의 제 2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3 출력(W13)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3 출력(W13)은 상기 제 2 출력(W12)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1 출력(W11)과 상기 제 2 출력(W12)의 차이값은 상기 제 2 출력(W12)과 상기 제 3 출력(W13)의 차이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의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4 출력(W14)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4 출력(W14)은 상기 제 3 출력(W13)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출력(W12)과 상기 제 3 출력(W13)의 차이값은 상기 제 3 출력(W13)과 상기 제 4 출력(W14)의 차이값 보다 클 수 있다.
제한적이지는 않으나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최소 출력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에서 일부 구간은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단계적으로 감소될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에서의 단위 높이 별 물의 양과 얼음이 생성될 부분과 상기 제 2 히터(505)와의 거리를 반영하여 상기 중기 구간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초기 구간 및 상기 중기 구간의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 감소 기울기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의 제 4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5 출력(W15)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5 출력(W15)은 상기 제 4 출력(W14) 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가 최소 출력으로 작동한 후에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의 제 5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6 출력(W16)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6 출력(W16)은 상기 제 5 출력(W15)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6 출력(W16)은 상기 제 2 출력(W12) 보다 클 수 있다. 즉, 상기 중기 구간에서 종료 출력은 초기 출력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 중 다른 일부 구간에서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증가될 수 있다.
상기 제 6 출력(W16)과 상기 제 5 출력(W15)의 차이값은 상기 제 5 출력(W15)과 제 4 출력(W14)의 차이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의 다른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 증가 기울기는 커질 수 있다.
상기 제빙셀(501)에서 단위 높이 별 얼음의 부피(또는 질량)과 상기 제빙셀 내의 기포 포화도 반영하여 상기 중기 구간의 다른 일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단계적으로 증가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기포 포화도가 증가될수록 제빙 속도를 늦춰야 생성되는 얼음의 투명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은 초기 구간에서의 제 1 출력(W11) 보다 작을 수 있다.
정리하면, 상기 중기 구간은,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감소되는 감소 구간과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증가되는 증가 구간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소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가열량의 감소 기울기는 작아질 수 있다. 상기 증가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가열량의 증가 기울기는 커질 수 있다.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가 작동한 이후에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가변 제어될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은 제 3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제 3 기준 시간은 상기 제 1 기준 시간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3 기준 시간은 상기 제 2 기준 시간과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상기 제 2 기준 시간과 상기 제 1 기준 시간의 차이값은 상기 제 2 기준 시간과 상기 제 3 기준 시간의 차이값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가변될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은 다수 단계로 구분될 수 있다. 다수 단계 별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제어될 수 있다. 각 단계는 미리 결정된 설정 시간 동안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상기 말기 구간에서 수행되는 단계의 개수에는 제한이 없다.
상기 말기 구간의 제 1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7 출력(W17)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7 출력(W17)은 상기 제 6 출력(W16)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제 7 출력(W17)은 상기 제 1 출력(W11)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의 제 2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8 출력(W18)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8 출력(W18)은 상기 제 7 출력(W17)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의 제 3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9 출력(W19)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9 출력(W19)은 상기 제 8 출력(W18)과 동일하거나 클 수 있다.
상기 제 9 출력(W19)과 상기 제 8 출력(W18)의 차이값은 상기 제 8 출력(W18)과 상기 제 7 출력(W17)의 차이값 보다 작을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의 제 4 단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는 제 10 출력(W20)으로 작동할 수 있다. 상기 제 10 출력(W20)은 상기 말기 구간의 종료 출력일 수 있다.
상기 제 10 출력(W20)은 상기 제 9 출력(W19)과 동일하거나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또는 일부 구간에서 출력이 증가된 후에 출력이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단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다만,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단계적으로 감소할 때에 최종 출력은 상기 제 1 출력(W11) 보다는 클 수 있다.
상기 제빙셀 내의 기포 포화도를 반영하여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상기 초기 구간에서의 제 2 히터(505)의 출력 보다 크도록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은 초기 구간에서의 제 1 출력(W11)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말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은 상기 중기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의 평균값(평균 출력) 보다 클 수 있다.
전체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2 히터(505)이 출력이 최소 출력으로 감소된 이후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은 증가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초기 구간의 출력의 보다 커질때까지는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 증가 기울기가 커질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이 초기 구간의 출력 보다 커진 이후에는 제빙 속도 지연을 줄이기 위하여 상기 제 2 히터(505)의 출력 증가 기울기가 작아지거나 일정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제빙 속도는 감소될 수 있으나, 말기 구간에서 형성되는 얼음의 투명도가 향상되거나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19)

  1.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또는 저장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셀을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제빙셀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제 1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제빙 구간 이후의 제 2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은 제 2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제빙 구간 이후의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상기 제 2 가열량 보다 크고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은 제 3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냉장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2 가열량은 가변되며 상기 제 2 가열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은 냉장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2 가열량은 가변되고,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3 가열량은 가변되며,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의 상기 제 3 가열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 2 제빙 구간에서의 상기 제 2 가열량의 평균값 보다 큰 냉장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빙 구간은 제 1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 2 제빙 구간은 제 2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 3 제빙 구간은 제 3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제 1 기준 시간과 제 2 기준 시간의 차이값은 상기 제 2 기준 시간과 상기 제 3 기준 시간의 차이값 보다 큰 냉장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빙 구간은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감소되는 감소 구간과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증가되는 증가 구간을 포함하는 냉장고.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의 감소 기울기는 작아지고,
    상기 증가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의 증가 기울기는 커지는 냉장고.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3 가열량은 가변되며,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의 최대값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은 냉장고.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은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냉장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의 증가 기울기는 작아지는 냉장고.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은 일정하게 유지되는 냉장고.
  11. 저장실을 형성하는 캐비닛;
    상기 저장실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도어 또는 저장실에 구비되며, 얼음을 생성하는 제빙셀을 포함하는 트레이;
    상기 제빙셀로 열을 공급하기 위한 히터; 및
    상기 히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빙 과정에서,
    상기 제어부는, 제 1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제 1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1 제빙 구간 이후의 제 2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은 제 2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하고,
    상기 제 2 제빙 구간 이후의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가 상기 제 1 가열량 및 제 2 가열량 보다 큰 제 3 가열량으로 작동되도록 하는 냉장고.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2 가열량은 가변되며 상기 제 2 가열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작은 냉장고.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3 가열량은 가변되며,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3 가열량의 평균값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큰 냉장고.
  14.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제빙 구간은 제 1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 2 제빙 구간은 제 2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되고, 상기 제 3 제빙 구간은 제 3 기준 시간 동안 수행되며,
    상기 제 1 기준 시간과 제 2 기준 시간의 차이값은 상기 제 2 기준 시간과 상기 제 3 기준 시간의 차이값 보다 큰 냉장고.
  15.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제빙 구간은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감소되는 감소 구간과 상기 히터의 가열량이 증가되는 증가 구간을 포함하는 냉장고.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감소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의 감소 기울기는 작아지고,
    상기 증가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가열량의 증가 기울기는 커지는 냉장고.
  17.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제 3 가열량은 가변되며,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의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의 최소값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큰 냉장고.
  18.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은 단계적으로 증가되거나 또는 증가되다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냉장고.
  19.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제빙 구간에서 상기 히터의 제 3 가열량은 단계적으로 감소하며, 감소된 최종 가열량은 상기 제 1 가열량 보다 큰 냉장고.
KR1020220131533A 2022-10-13 2022-10-13 냉장고 KR2024005163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533A KR20240051632A (ko) 2022-10-13 2022-10-13 냉장고
PCT/KR2023/013558 WO2024080575A1 (ko) 2022-10-13 2023-09-11 냉장고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1533A KR20240051632A (ko) 2022-10-13 2022-10-13 냉장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1632A true KR20240051632A (ko) 2024-04-22

Family

ID=90881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1533A KR20240051632A (ko) 2022-10-13 2022-10-13 냉장고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16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684036B1 (en) Ice and water dispenser on refrigerator compartment door
USRE44132E1 (en) Thermoelectric icemaker and control
EP2159516A2 (en) Refrigerator having multiple icemakers
JP4938881B2 (ja) アイスメーカーが備えられた冷蔵庫
US6895767B2 (en) Refrigerator and ice maker methods and apparatus
EP3534094B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005799A (ko) 냉장고 및 그의 제어방법
KR101830513B1 (ko) 냉장고 및 냉장고의 제어 방법
AU2023204204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120227421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for the same
KR20240051632A (ko) 냉장고
KR20240052144A (ko) 냉장고
KR20240051644A (ko) 냉장고
US11994330B2 (en) Refrigerator
KR20240051624A (ko) 냉장고
US20210356192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102601533B1 (ko) 냉장고
KR20210005798A (ko) 냉장고
US20240093928A1 (en) Refrigerator and control method therefor
US11892220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US20220349638A1 (en) Ice maker and refrigerator
KR20240052143A (ko) 냉장고
US776582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symmetrical ice cubes
KR20240052146A (ko) 냉장고
US20210381741A1 (en) Refrigerator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