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182B1 - 파형강판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파형강판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182B1
KR101649182B1 KR1020160016275A KR20160016275A KR101649182B1 KR 101649182 B1 KR101649182 B1 KR 101649182B1 KR 1020160016275 A KR1020160016275 A KR 1020160016275A KR 20160016275 A KR20160016275 A KR 20160016275A KR 101649182 B1 KR101649182 B1 KR 1016491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corrugated steel
roller
form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6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민
전병건
정창훈
Original Assignee
(주) 렉스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렉스틸 filed Critical (주) 렉스틸
Priority to KR1020160016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1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1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1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4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4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 B21D13/045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the corrugations being parallel to the feeding mov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형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발명은 평강판이 강판공급부를 통해 파형성형부로 공급되어 평판형 파형강판으로 성형되어지고, 상기 평판형 파형강판이 체결홀 성형부로 공급되어 체결홀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으로 성형되어지고, 체결홀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이 파형강판 벤딩부를 경유하여 벤딩형 파형강판으로 성형되어지는 파형강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공급부는 공급프레임의 하부에 로울러구동부를 갖는 공급로울러컨베이어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공급로울러컨베이어에 강판리프팅부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강판리프팅부는 흡착헤드를 갖는 리프팅실린더가 구비된 리프팅 프레임이 가이드레일에 얹혀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리프팅 프레임에 리프팅 구동부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공급로울러컨베이어의 출구측에 슬라이드 가이드부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는 가이드 프레임에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하여 다수열의 가이드로울러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가이드프레임의 출구측에 제어로울러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제어로울러는 위치감지센싱 및 제어부에 의하여 평강판이 파형성형부로 공급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형강판 제조장치{CORRUGATED STEEL PLATE MANUFACTURING APPARATUS}
이 발명은 파형강판 제조장치 및 이를 이용한 파형강판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평강판이 파형성형부에 의하여 평판형 파형강판으로 성형되어진 후 체결홀 성형부에 의하여 체결홀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으로 성형되어지고, 이어 파형강판 벤딩부에 의하여 벤딩형 파형강판으로 성형되어지는 과정에서 선택적으로 엠보싱이 형성된 파형강판과 엠보싱이 없는 파형강판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파형성형부 및 파형강판 벤딩부의 상하부로 구비된 각각의 상하부 요철부 성형로울러가 교환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판은 여러겹으로 겹치거나 볼팅 등의 방법으로 서로 잇대어 판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파형강판에 곡률을 주고 서로 연결하여 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파형강판으로 시공된 구조물은 다른 강성 암거보다 경제적이므로 고속도로나 철도를 횡단하는 지하통로나 용수로 암거, 배수로 암거 등으로 사용되며, 암거로의 용도 이외에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하므로 수로, 토류벽, 수조, 호안용 셀, 집수용 말뚝, 공항 신설시 고성토에서의 가배수, 건축용 지붕, 컨베이어 커버, 그 외 간이 구조물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파형강판은 평강판이 평강판 이송부를 통해 파형 성형부로 순차적으로 공급되어 파형을 갖는 파형강판이 형성되어지고, 파형이 형성된 파형강판은 다시 파형강판 이송부를 통해 홀 성형부로 공급되어 체결홀이 천공되어지는 공정을 통해 길이 방향으로 평평한 형태를 갖는 체결 가능한 파형강판이 얻어진다.
이후, 별도의 벤딩장치를 이용하여 평평한 형태의 파형강판에 곡률을 줄 경우, 아치형태를 갖는 파형강판 구조물에 사용될 수 있는 만곡형태를 갖는 파형강판이 얻어진다.
이러한 각각의 장치 및 공정을 통해 얻어진 평형한 형태의 파형강판이나, 만곡형태를 갖는 파형강판은 각각 일측의 파형강판과 타측의 파형강판의 가장자리가 결쳐지게 맞대어지도록 한 상태에서 체결홀에 볼트를 관통하여 너트로 조이는 과정의 반복을 통해 파형강판 구조물이 얻어지게 된다.
그러나 일측의 파형강판과 타측의 파형강판이 겹쳐지도록 맞대어진 상태에서 볼트와 너트만으로 체결될 경우, 접촉면적은 파형강판이 서로 맞대어지는 부분으로 한정됨에 따라 일측의 파형강판과 타측의 파형강판의 하중에 의하여 전단응력이 작용하게 될 경우, 전단응력이 분산됨이 없이 볼트에 작용하게 됨에 따라 겹쳐진 부분으로 위치된 볼트가 절단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하여 파형강판 구조물이 변형되어 수명이 단축되거나 심지어 파형강판 구조물이 붕괴로 이어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각각의 파형강판 내측으로 형성된 평평한 형태의 산부와 골부를 따라 하중이 가장자리로 작용하는 과정에서 산부와 골부에서 하중이 분산되도록 하는 기능이 없음으로써, 국부적인 큰 하중이 작용할 경우 국부적인 변형이 발생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이로 인하여 전체적으로 파형강판 구조물의 안전성이 낮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이러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방안으로 등록특허공보 제10-1531282호(2015.06.18)의 엠보싱 파형강판 제조장치가 제안되어 엠보싱 파형강판에 형성된 엠보싱이 서로 겹쳐지게 결합되어 접촉면적의 증가를 가져옴과 동시에 전단키로서의 기능을 갖도록 하여 전단응력이 용이하게 분산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파형강판 구조물이 변형을 막아 수명이 연장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롤포밍부를 구성하는 각각의 포밍롤이 일체로 형성되어져 있음으로써, 장기간 사용과정에서 마찰로 인해 마모가 되었을 경우, 포밍롤 전체를 교체해야 되는 불편함과 그에 따른 비용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즉, 산과 골의 형태를 갖는 포밍롤이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그 사이로 강판이 통과될 때 회전속도의 차이로 인하여 강판과 포밍롤 사이에 마찰이 증가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로 인해 구동이 멈추어지게 됨에 따라 생산성이 낮아지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31282호(2015.06.18)
이 발명은 파형성형부 및 파형강판 벤딩부의 상하부로 구비된 각각의 상하부 요철부 성형로울러가 교환가능하도록 하여 점검 및 교환에 소요되는 시간과 비용을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이를 통해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도록 하고, 파형강판의 산이나 골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각각의 상하부 요철부 성형로울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하여 구동시 발생되는 회전 속도의 차이를 줄여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이를 통해 고품질의 제품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작업자가 선택적으로 엠보싱이 형성된 파형강판과 엠보싱이 없는 파형강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발명은 평강판(ST1)이 강판공급부(100)를 통해 파형성형부(200)로 공급되어 평판형 파형강판(ST2)으로 성형되어지고, 상기 평판형 파형강판(ST2)이 체결홀 성형부(300)로 공급되어 체결홀(H)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ST3)으로 성형되어지고, 체결홀(H)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ST3)이 파형강판 벤딩부(400)를 경유하여 벤딩형 파형강판(ST4)으로 성형되어지는 파형강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공급부(100)는 공급프레임(110)의 하부에 로울러구동부(121)를 갖는 공급로울러컨베이어(1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공급로울러컨베이어(120)에 강판리프팅부(1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강판리프팅부(130)는 흡착헤드(131)를 갖는 리프팅실린더(132)가 구비된 리프팅 프레임(133)이 가이드레일(134)에 얹혀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리프팅 프레임(133)에 리프팅 구동부(135)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공급로울러컨베이어(120)의 출구측에 슬라이드 가이드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140)는 가이드 프레임(141)에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하여 다수열의 가이드로울러(14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41)의 출구측에 제어로울러(143)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제어로울러(143)는 위치감지센싱 및 제어부(144)에 의하여 평강판(ST1)이 파형성형부(200)로 공급되고, 상기 파형강판 벤딩부(400)는 벤딩프레임(410)에 상하부로 맞물려진 형태를 갖는 제2상하부 성형로울러부(420a)(420b)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2상하부 성형로울러부(420a)(420b)의 전후 양측에 각각 가변실린더(425)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지는 가변성형로울러부(420c)(420d)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2상하부 성형로울러부(420a)(420b)는 제2상하부 구동축(421a)(421b)에 각각 제2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422a)(422b)와 제2상하부 철부성형로울러(423a)(423b)가 서로 맞물리게 반복배열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2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422a)(422b)는 내부에 제2베어링(BE2)이 끼워져 각각 제2상하부 구동축(421a)(421b)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상하부 철부성형로울러(423a)(423b)는 내부에 제2키홈(KH2)이 형성되어 각각 제2상하부 구동축(421a)(421b)에 키(KE)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파형성형부(200)는 성형프레임(210)(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로 맞물려진 형태를 갖는 다수열의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가 평평하게 구비되어 구동모터(M)와 감속기(Re) 및 조인트(J)에 의하여 구동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는 제1상하부 구동축(221a) (221b)에 각각 제1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a)(222b)와 제1상하부 철부성형로울러(223a)(223b)가 서로 맞물리게 반복배열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1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b)와 제1상부 철부성형로울러(223a)는 내부에 제1베어링(BE1)이 끼워져 각각 제1하부 구동축(221b)과 제1상부 구동축(221a)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상부 요부성형로울러(222a)와 제1하부 철부성형로울러(223b)는 내부에 제1키홈(KH1)이 형성되어 각각 제1상하부 구동축(221a)(221b)에 키(KE)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상부 철부성형로울러(223a)와 제1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b)는 제1관통홀(TH1)이 형성된 양측의 내주연부에 제1베어링삽입홈(BH1)이 형성되어지고, 외주연부에
Figure 112016043156099-pat00001
형 제1성형홈(MH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상부 철부성형로울러(223a)와 제1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b)의 양측에 각각 스페이서링(R)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가 구비된 성형프레임(210) 인입측에는 엠보싱 돌부 로울러(220a-1)와 엠보싱 요부 로울러(220a-2)가 구비되어 평강판(ST1)에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엠보싱(EB)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체결홀 성형부(300)는 펀치프레임(310)의 상부로 다이플레이트(321)를 갖는 다이홀더(320)와 펀치(331)를 갖는 펀치홀더(330)가 가이드 포스트(340)에 구비되어지고, 상기 펀치프레임(310)의 일측과 타측에 파형강판 인입출부(350)(36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펀치홀더(330)의 상부에 성형구동부(3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또한, 상기 제2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422a)(422b)는 제2관통홀(TH2)이 형성된 양측의 내주연부에 제2베어링삽입홈(BH2)이 형성되어지고, 외주연부에
Figure 112016014072050-pat00002
형 제2성형홈(MH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2상부 요부성형로울러(422a)는 제2관통홀(TH2)이 형성된 양측의 내주연부에 제2베어링삽입홈(BH2)이 형성되어지고, 외주연부에
Figure 112016014072050-pat00003
형 제2성형홈(MH2)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1성형홈(MH2)의 양측 외주연부의 모서리가 수평되게 절단된 형태를 갖는 엠보싱레스부(EL)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이 발명은 평강판이 파형성형부에 의하여 평판형 파형강판으로 성형되어진 후 체결홀 성형부에 의하여 체결홀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으로 성형되어지고, 이어 파형강판 벤딩부에 의하여 벤딩형 파형강판으로 성형되어지는 과정에서 상하부 요철부 성형로울러가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구동시 발생되는 회전 속도의 차이가 없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마찰이 발생되는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각각 맞대어지는 부분에서 발생되는 마모를 방지하여 수명을 더 연장시킨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점검 및 교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더 줄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생산성을 더 높일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과정에서 사용자가 선택적으로 엠보싱로울러에 엠보싱돌부를 결합하거나 제거시킬 경우, 엠보싱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파형강판을 얻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파형성형부 및 파형강판 벤딩부의 상하부로 구비된 각각의 상하부 요철부 성형로울러가 교환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되었을 경우, 용이하게 분리하여 교환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자가 많은 힘을 들이지 않고도 용이한 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
도2는 이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를 도시한 예시도.
도3은 이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에 있어 파형성형부를 확대 도시한 예시도.
도4는 이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에 있어 파형성형부의 예시도.
도5는 이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에 있어 파형강판 벤딩부를 도시한 예시도.
도6은 이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에 있어 파형강판 벤딩부의 예시도.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는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강판이 벤딩형 파형강판으로 성형되어지는 과정에서 마찰이 발생되는 방지하여 마모를 막아 수명을 연장시킬 수 있도록 하고, 점검 및 교환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줄이는 가운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고, 아울러 엠보싱비트를 엠보싱로울러에 결합하거나 제거하여 엠보싱이 선택적으로 형성된 파형강판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러한 파형강판 제조장치는 평강판(ST1)이 강판공급부(100)를 통해 파형성형부(200)로 공급되어 평판형 파형강판(ST2)으로 성형되어진 후 평판형 파형강판(ST2)이 체결홀 성형부(300)로 공급되어 체결홀(H)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ST3)으로 성형되고, 이어 체결홀(H)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ST3)이 파형강판 벤딩부(400)를 경유하여 벤딩형 파형강판(ST4)으로 성형되어지게 구비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강판공급부(100)는 공급프레임(110)의 하부에 로울러구동부(121)를 갖는 공급로울러컨베이어(1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공급로울러컨베이어(120)에 강판리프팅부(130)가 구비되어있다.
상기 강판리프팅부(130)는 평강판(ST1)을 들어 올리는 기능을 갖는 것으로 흡착헤드(131)를 갖는 리프팅실린더(132)가 구비된 리프팅 프레임(133)이 가이드레일(134)에 얹혀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리프팅 프레임(133)에 리프팅 구동부(135)가 구비되어 강판이 용이하게 리프팅되어 공급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공급로울러컨베이어(120)의 출구측에는 슬라이드 가이드부(140)가 구비되어 일정한 위치에서 일정량씩 파형성형부(200)로 공급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140)는 가이드 프레임(141)에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하여 다수열의 가이드로울러(142)가 구비되어 이동되어지는 과정에서 측방향으로 흐트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프레임(141)의 출구측에는 제어로울러(143)가 구비되어 평강판(ST1)의 단부가 파형성형부(200)의 구동속도에 맞추어 정확한 위치로 공급될 수 있게 구비되어 후술하는 평판형 파형강판(ST2)에 일정한 간격을 갖는 엠보싱(EB)이 성형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엠보싱 돌부 로울러(220a-1)의 표면에 형성된 홈부에 엠보싱 성형돌부(220a-1a)가 결합될 경우, 엠보싱 요부 로울러(220a-2)의 표면에 형성된 엠보싱홈부(222a-2a)에 의하여 평판형 파형강판(ST2)에 엠보싱(EB)이 성형되어지며, 엠보싱 성형돌부(220a-1a)를 분리할 경우, 엠보싱(EB)이 없는 평평한 형태의 평판형 파형강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제어로울러(143)는 위치감지센싱 및 제어부(144)에 의하여 정확한 회전 또는 구동이 이루어짐으로써, 평강판(ST1)이 파형성형부(200)로 정확하게 공급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파형성형부(200)는 강판투입부(100)를 통해 평평한 형태로 공급된 평강판(ST1)을 가압시켜 평판형 파형강판(ST2)이 얻어지도록 하는 것으로 성형프레임(210)(2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하부로 맞물려진 형태를 갖는 다수열의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가 평평하게 구비되어있고, 상기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는 구동모터(M)와 감속기(Re) 및 조인트(J)에 의하여 구동되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는 제1상하부 구동축(221a)(221b)에 각각 제1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a)(222b)와 제1상하부 철부성형로울러(223a)(223b)가 서로 맞물리게 반복배열되게 구비되어 평강판(ST1)이 이동되는 과정에서 순차적으로 가압되는 과정에서 마찰로 인한 마모가 발생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제1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b)와 제1상부 철부성형로울러(223a)는 내부에 제1베어링(BE1)이 끼워져 각각 제1하부 구동축(221b)과 제1상부 구동축(221a)에 결합되어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상부 요부성형로울러(222a)와 제1하부 철부성형로울러(223b)는 내부에 제1키홈(KH1)이 형성되어 각각 제1상하부 구동축(221a)(221b)에 키(KE)로 결합되어 제1상하부 구동축(221a)(221b)과 같이 연동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상부 철부성형로울러(223a)와 제1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b)는 제1관통홀(TH1)이 형성된 양측의 내주연부에 제1베어링삽입홈(BH1)이 형성되어지고, 외주연부에
Figure 112016043156099-pat00004
형 제1성형홈(MH1)이 형성되어 평강판(ST1)의 일부가 동일한 형태로 절곡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상부 철부성형로울러(223a)와 제1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b)의 양측에 각각 스페이서링(R)이 구비됨에 따라 후술하는 엠보싱 돌부 로울러(220a-1)와 엠보싱 요부 로울러(220a-2)에 의하여 평강판(ST1)에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게 형성된 엠보싱(EB)이 가압되어 평판형태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가 구비된 성형프레임(210) 인입측에는 엠보싱 돌부 로울러(220a-1)와 엠보싱 요부 로울러(220a-2)가 구비되어 평강판(ST1)에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엠보싱(EB)이 성형되도록 구비되어 있고, 이러한 엠보싱 돌부 로울러(220a-1)는 표면에 형성된 홈부에 엠보싱 성형돌부(220a-1a)가 결합될 경우, 평판형 파형강판(ST2)에 엠보싱(EB)이 성형되어지며, 엠보싱 성형돌부(220a-1a)를 분리할 경우, 엠보싱(EB)이 없는 평평한 형태의 평판형 파형강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체결홀 성형부(300)는 펀치프레임(310)의 상부로 다이플레이트(321)를 갖는 다이홀더(320)와 펀치(331)를 갖는 펀치홀더(330)가 가이드 포스트(340)에 구비되어있다.
상기 펀치프레임(310)의 일측과 타측에 파형강판 인입출부(350)(36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펀치홀더(330)의 상부에 성형구동부(370)가 구비됨에 따라 성형구동부(370)에 의하여 펀치(331)가 구동되어 체결홀(H)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ST3)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상기 파형강판 벤딩부(400)는 벤딩프레임(410)에 상하부로 맞물려진 형태를 갖는 제2상하부 성형로울러부(420a)(420b)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2상하부 성형로울러부(420a)(420b)의 전후 양측에 각각 가변실린더(425)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지는 가변성형로울러부(420c)(420d)가 구비되어 체결홀(H)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ST3)이 벤딩된 형태를 갖는 벤딩형 파형강판(ST4)를 얻을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제2상하부 성형로울러부(420a)(420b)는 제2상하부 구동축(421a)(421b)에 각각 제2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422a)(422b)와 제2상하부 철부성형로울러(423a)(423b)가 서로 맞물리게 반복배열되게 구비되어있다.
상기 제2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422a)(422b)는 내부에 제2베어링(BE2)이 끼워져 각각 제2상하부 구동축(421a)(421b)에 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제2상하부 구동축(421a)(421b)의 구동과 관계 없이 회동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상하부 철부성형로울러(423a)(423b)는 내부에 제2키홈(KH2)이 형성되어 각각 제2상하부 구동축(421a)(421b)에 키(KE)로 결합되어 제2상하부 구동축(421a)(421b)에 의하여 연동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2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422a)(422b)는 제2관통홀(TH2)이 형성된 양측의 내주연부에 제2베어링삽입홈(BH2)이 형성되어지고, 외주연부에
Figure 112016014072050-pat00005
형 제2성형홈(MH2)이 형성되어 파형으로 형성된 부분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라운드형태로 벤딩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제2상부 요부성형로울러(422a)는 제2관통홀(TH2)이 형성된 양측의 내주연부에 제2베어링삽입홈(BH2)이 형성되어지고, 외주연부에
Figure 112016014072050-pat00006
형 제2성형홈(MH2)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성형홈(MH2)의 양측 외주연부의 모서리가 수평되게 절단된 형태를 갖는 엠보싱레스부(EL)가 형성됨에 따라 파형성형부(200)에서 평판형 파형강판(ST2)에 형성된 엠보싱(EM)이 벤딩되는 과정에서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구비되어 있다.
도1은 이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 발명에 따른 파형강판 제조장치를 이용하여 체결홀을 갖는 벤딩형 파형강판으로 성형되어지는 과정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강판공급단계(S100)로 평강판(ST1)이 흡착헤드(131)에 의하여 흡착된 상태에서 리프팅 실린더(133)로 리트팅되어진 후 리프팅구동부(135)에 의하여 가이드레일(134)을 따라 이동하여 공급로울러컨베이어(120)에 올려놓는다. 이어 로울러구동부(121)에 의하여 평강판(ST1)이 슬라이드가이드부(140)를 경유하여 파형성형부(200)로 공급된다.
다음, 파형성형부(200)로 공급된 평강판(ST1)은 이어 파형성형부(200)의 성형프레임(210)에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로 맞물려진 다수열의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 사이를 통과하면서 폭방향으로 형성된 산부와 요부가 길이방향으로 연속되는 형태를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ST2)으로 성형되어진다(평판형 파형강판 성형단계(S200)). 이때, 평판형 파형강판 성형단계(S200) 중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 사이를 통과하기 전에 성형프레임(210) 인입측에 구비된 엠보싱 돌부 로울러(220a-1)와 엠보싱 요부 로울러(220a-2)에 의하여 평강판(ST1)에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엠보싱(EM)이 성형되는 엠보싱 성형단계(S210)가 더 포함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 체결홀 성형단계(S300)로 평판형 파형강판(ST2)의 가장자리에 다이플레이트(321)를 갖는 다이홀더(320)와 펀치(331)를 갖는 펀치홀더(330)에 의하여 체결홀(H)이 성형되어진 후 이어, 체결홀이 형성된 평판형 파형강판(ST2)이 벤딩프레임(410)에 상하부로 맞물려지며, 동심원의 반경을 갖는 다수열의 제2상하부 성형로울러부(420a)(420b) 사이를 통과하면서 벤딩형 파형강판(ST4)으로 성형되어진다(파형강판 벤딩단계(S400)).
이때, 파형강판 벤딩단계(S400) 이후에 체결홀(H)을 갖는 벤딩된 파형강판(ST4)의 양측단부가 보정기(460)를 통해 재가압시켜 설계 치수를 갖도록 보정하는 파형강판 보정단계(S410)가 더 포함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0:강판공급부 110:공급프레임
120:공급로울러컨베이어 121:로울러구동부
130:강판리프팅부 131:흡착헤드
132:리프팅실린더 133:리프팅 프레임
134:가이드레일 135:리프팅 구동부
140:슬라이드 가이드부 141:가이드 프레임
142:가이드로울러 143:제어로울러
144:위치감지센싱 및 제어부 200:파형성형부
300:체결홀 성형부 400:파형강판 벤딩부
H:체결홀 ST1:평강판
ST2:평판형 파형강판 ST3:평판형 파형강판
ST4:벤딩형 파형강판 S100:강판공급단계
S200:평판형 파형강판 성형단계 S300:체결홀 성형단계
S400:파형강판 벤딩단계

Claims (11)

  1. 평강판(ST1)이 강판공급부(100)를 통해 파형성형부(200)로 공급되어 평판형 파형강판(ST2)으로 성형되어지고, 상기 평판형 파형강판(ST2)이 체결홀 성형부(300)로 공급되어 체결홀(H)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ST3)으로 성형되어지고, 체결홀(H)을 갖는 평판형 파형강판(ST3)이 파형강판 벤딩부(400)를 경유하여 벤딩형 파형강판(ST4)으로 성형되어지는 파형강판 제조장치에 있어서,
    상기 강판공급부(100)는 공급프레임(110)의 하부에 로울러구동부(121)를 갖는 공급로울러컨베이어(12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공급로울러컨베이어(120)에 강판리프팅부(130)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강판리프팅부(130)는 흡착헤드(131)를 갖는 리프팅실린더(132)가 구비된 리프팅 프레임(133)이 가이드레일(134)에 얹혀지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리프팅 프레임(133)에 리프팅 구동부(135)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공급로울러컨베이어(120)의 출구측에 슬라이드 가이드부(140)가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드 가이드부(140)는 가이드 프레임(141)에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을 향하여 다수열의 가이드로울러(142)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가이드 프레임(141)의 출구측에 제어로울러(143)가 구비되어지되, 상기 제어로울러(143)는 위치감지센싱 및 제어부(144)에 의하여 평강판(ST1)이 파형성형부(200)로 공급되고,
    상기 파형강판 벤딩부(400)는 벤딩프레임(410)에 상하부로 맞물려진 형태를 갖는 제2상하부 성형로울러부(420a)(420b)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2상하부 성형로울러부(420a)(420b)의 전후 양측에 각각 가변실린더(425)에 의하여 슬라이드 이동되어지는 가변성형로울러부(420c)(420d)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2상하부 성형로울러부(420a)(420b)는 제2상하부 구동축(421a)(421b)에 각각 제2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422a)(422b)와 제2상하부 철부성형로울러(423a)(423b)가 서로 맞물리게 반복배열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2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422a)(422b)는 내부에 제2베어링(BE2)이 끼워져 각각 제2상하부 구동축(421a)(421b)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2상하부 철부성형로울러(423a)(423b)는 내부에 제2키홈(KH2)이 형성되어 각각 제2상하부 구동축(421a)(421b)에 키(KE)로 결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성형부(200)는
    성형프레임(210)(2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하부로 맞물려진 형태를 갖는 다수열의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가 평평하게 구비되어 구동모터(M)와 감속기(Re) 및 조인트(J)에 의하여 구동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는 제1상하부 구동축(221a)(221b)에 각각 제1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a)(222b)와 제1상하부 철부성형로울러(223a)(223b)가 서로 맞물리게 반복배열되게 구비되어지고,
    상기 제1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b)와 제1상부 철부성형로울러(223a)는 내부에 제1베어링(BE1)이 끼워져 각각 제1하부 구동축(221b)과 제1상부 구동축(221a)에 결합되어지고,
    상기 제1상부 요부성형로울러(222a)와 제1하부 철부성형로울러(223b)는 내부에 제1키홈(KH1)이 형성되어 각각 제1상하부 구동축(221a)(221b)에 키(KE)로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부 철부성형로울러(223a)와 제1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b)는 제1관통홀(TH1)이 형성된 양측의 내주연부에 제1베어링삽입홈(BH1)이 형성되어지고, 외주연부에
    Figure 112016043156099-pat00007
    형 제1성형홈(MH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제1상부 철부성형로울러(223a)와 제1하부 요부성형로울러(222b)의 양측에 각각 스페이서링(R)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상하부 성형로울러부(220a)(220b)가 구비된 성형프레임(210) 인입측에는 엠보싱 돌부 로울러(220a-1)와 엠보싱 요부 로울러(220a-2)가 구비되어 평강판(ST1)에 일정 간격으로 반복되는 엠보싱(EB)이 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홀 성형부(300)는
    펀치프레임(310)의 상부로 다이플레이트(321)를 갖는 다이홀더(320)와 펀치(331)를 갖는 펀치홀더(330)가 가이드 포스트(340)에 구비되어지고, 상기 펀치프레임(310)의 일측과 타측에 파형강판 인입출부(350)(360)가 구비되어지고, 상기 펀치홀더(330)의 상부에 성형구동부(370)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하부 요부성형로울러(422a)(422b)는 제2관통홀(TH2)이 형성된 양측의 내주연부에 제2베어링삽입홈(BH2)이 형성되어지고, 외주연부에
    Figure 112016043156099-pat00008
    형 제2성형홈(MH2)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상부 요부성형로울러(422a)는 제2관통홀(TH2)이 형성된 양측의 내주연부에 제2베어링삽입홈(BH2)이 형성되어지고, 외주연부에
    Figure 112016043156099-pat00009
    형 제2성형홈(MH2)이 형성되어지되, 상기 제2성형홈(MH2)의 양측 외주연부의 모서리가 수평되게 절단된 형태를 갖는 엠보싱레스부(EL)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제조장치.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60016275A 2016-02-12 2016-02-12 파형강판 제조장치 KR1016491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275A KR101649182B1 (ko) 2016-02-12 2016-02-12 파형강판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6275A KR101649182B1 (ko) 2016-02-12 2016-02-12 파형강판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9182B1 true KR101649182B1 (ko) 2016-08-18

Family

ID=568746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6275A KR101649182B1 (ko) 2016-02-12 2016-02-12 파형강판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182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612Y2 (ja) * 1990-03-12 1995-08-16 城東機械製造株式会社 小波板変形製品の補正装置
KR100750070B1 (ko) * 2006-10-24 2007-08-21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 벤딩장치
KR101365409B1 (ko) * 2013-02-28 2014-02-19 김한곤 파형강판 성형장치
KR101531282B1 (ko) 2015-03-24 2015-06-25 (주) 렉스틸 엠보싱 파형강판 제조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5612Y2 (ja) * 1990-03-12 1995-08-16 城東機械製造株式会社 小波板変形製品の補正装置
KR100750070B1 (ko) * 2006-10-24 2007-08-21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 벤딩장치
KR101365409B1 (ko) * 2013-02-28 2014-02-19 김한곤 파형강판 성형장치
KR101531282B1 (ko) 2015-03-24 2015-06-25 (주) 렉스틸 엠보싱 파형강판 제조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057416A (zh) 板材辊压成型装置
KR101365409B1 (ko) 파형강판 성형장치
KR101531282B1 (ko) 엠보싱 파형강판 제조장치
CN105290110A (zh) 冷硬带钢复合矫直机
KR101649182B1 (ko) 파형강판 제조장치
CN216828204U (zh) 一种薄壁金属钢带窝边生产线
CN101797613A (zh) 一种矫直机送料工艺及装置
KR100769351B1 (ko) 금속기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JP4061114B2 (ja) 圧着接合装置
KR20140023009A (ko) 파형강판 절곡장치
KR101690733B1 (ko) 강판 절곡 장치
CN206689318U (zh) 一种上板下板咬合机
CN206343482U (zh) 用于u型钢管端部整形的设备
KR101400756B1 (ko) 파형강판구조물용 보강거푸집 제조장치
CN205056890U (zh) 一种钢筋调直机
CN209407114U (zh) 一种带传输功能校平机
KR100319903B1 (ko) 강판용 파형 및 홀성형장치 및 그 사용방법
CN109692901B (zh) 一种琉璃瓦的成型模具、成型机及成型方法
CN102259265A (zh) 一种波形腹板生产工艺
KR200225191Y1 (ko) 강판용 파형 및 홀 성형장치
KR101749615B1 (ko) 파형강판 벤딩장치
CN105689489A (zh) 一种歧管上、下半壳的预落料模具
CN212019024U (zh) 一种型材卷圆机
KR200178789Y1 (ko) 강판용 파형 및 홀성형장치
CN218252308U (zh) 一种型材无痕成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