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90733B1 - 강판 절곡 장치 - Google Patents

강판 절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90733B1
KR101690733B1 KR1020160103713A KR20160103713A KR101690733B1 KR 101690733 B1 KR101690733 B1 KR 101690733B1 KR 1020160103713 A KR1020160103713 A KR 1020160103713A KR 20160103713 A KR20160103713 A KR 20160103713A KR 101690733 B1 KR101690733 B1 KR 1016907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l plate
corrugated
mold
corrugated member
wavef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03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화
김병언
이춘우
이정현
Original Assignee
대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도테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도테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03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907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907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907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2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pres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7/00Tools as parts of machines covered by this subclass
    • B21D37/10Die sets; Pillar gui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ending Of Plates, Rods, And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평탄한 면을 갖는 강판에 파형을 형성하여 파형강판을 제작하는 강판 절곡 장치로서, 상기 강판에 파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면에서 돌출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굴곡진 상면이 형성된 한 쌍의 제1파형 형성부재와, 상기 판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의 가장자리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구비한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의 상부에 상기 제1금형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판면에서 돌출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파형 형성부재의 양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강판을 가압하여 상기 파형이 형성되도록 굴곡진 하면이 형성된 세 개의 제2파형 형성부재를 구비한 제2금형과; 상기 파형이 형성된 후에 상기 제1금형에 안착된 상기 파형강판을 상기 제1 금형의 판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강판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중에서 중앙에 배치된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하면이 형성하는 곡률의 직경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중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하면이 형성하는 곡률의 직경과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강판에 파형을 형성하여 파형강판을 제조시에 강판에 파형이 형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소성 변형 에너지가 강판의 판면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강판의 변형이 의도하는 형상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된 파형강판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강판 절곡 장치{CURVING DEVICE FOR GRATER}
본 발명은 강판 절곡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평탄한 면을 갖는 강판을 절곡시켜 파형 강판을 제작하는데 사용되는 강판 절곡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판은 강판에 파형을 성형한 것으로서, 파형에 의해 하중 및 반력이 강판전체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내하력이 큰 특징이 있다. 이러한 파형강판을 여러 겹으로 겹치거나 볼팅 등의 방법으로 서로 잇대어 판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파형강판에 곡률을 주고 서로 연결하여 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파형강판으로 제조한 구조물은 다른 강성 암거보다 경제적이므로, 고속도로나 철도를 횡단하는 지하통로나 용/배수로 암거 등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파형강관으로 제조한 구조물은 암거로의 용도 이외에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하므로, 수로, 토류벽, 공재 사이로, 수조, 호안용 셀, 집수용 말뚝, 공항 신설시의 고성토(30m 이상)에서의 가배수, 건축용 지붕, 콘베이어용 커버, 그 외 간이 구조물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형강판의 파형은 일반적으로 프레스 절곡기에서 성형된다.
종래 파형 절곡기는 설치판과 받침판에 각각 상형과 하형을 서로 마주보도록 설치하고 상형의 하단부와 하형의 상단부에 파형강판의 골 및 산과 같은 형상의 요철부를 형성하여 이들 요철부에 의해 강판에 파형이 성형되게 하였다.
즉, 상형과 하형 사이에 평강판이 위치된 상태에서 상형을 하강시키면 평강판이 눌리면서 상형과 하형에 형성된 요철부의 형상과 같은 형상을 가진 파형이 강판에 성형되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파형절곡 공정은 평강판이 점진적으로 하형을 통과하면서 진행되는데, 이러한 평강판의 피딩동작은 파형절곡기의 하부 및 전방에 설치된 실린더들을 통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형이 상방으로 원위치 되는 동안 하형 하부에 설치된 승강실린더가 파형강판을 들어올리고, 파형절곡기 전방에 설치된 배출실린더가 들어올려진 파형강판을 후방으로 밀어서 배출시키는 것이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파형절곡기는 강판에 파형을 형성하는 요철부의 굴곡진 영역의 직경이 모두 동일하게 형성되어 곡률이 동일하게 때문에 강판이 상기 요철부에 의하여 가압됨으로써 형성되는 파형의 소성 변형이 모두 동일하게 발생되어 이러한 변형에 따른 에너지가 누적된 상태로 강판의 가장자리 측으로 전달됨으로써 강판의 가장자리가 균일하게 굴곡처리되지 못하고 주름이 발생하거나 혹은 가장자리에 형성된 파형의 길이가 강판의 폭방향을 따라 상이하므로 제품의 상품성이 저하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출된 것으로서, 강판에 파형을 형성하여 파형강판을 제조시에 강판에 파형이 형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소성 변형 에너지가 강판의 판면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강판의 변형이 의도하는 형상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된 파형강판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강판 절곡 장치를 제시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의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은 평탄한 면을 갖는 강판에 파형을 형성하여 파형강판을 제작하는 강판 절곡 장치로서, 상기 강판에 파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면에서 돌출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굴곡진 상면이 형성된 한 쌍의 제1파형 형성부재와, 상기 판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의 가장자리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면을 갖는 한 쌍의 지지부재를 구비한 제1금형과; 상기 제1금형의 상부에 상기 제1금형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판면에서 돌출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파형 형성부재의 양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강판을 가압하여 상기 파형이 형성되도록 굴곡진 하면이 형성된 세 개의 제2파형 형성부재를 구비한 제2금형과; 상기 파형이 형성된 후에 상기 제1금형에 안착된 상기 파형강판을 상기 제1 금형의 판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강판배출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중에서 중앙에 배치된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하면이 형성하는 곡률의 직경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중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하면이 형성하는 곡률의 직경과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절곡 장치를 제시한다.
여기서,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중에서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의 높이는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중에서 상기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중에서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의 직경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중에서 상기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형 형성부재의 직경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중에서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 중에서 상기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제1금형의 상면에는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의 굴곡진 하면과 대응되는 굴곡진 상면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가 상기 강판을 가압시에 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강판배출부를 이용하여 상기 강판을 배출시에 가이드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제1금형의 판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강판과 접촉되는 가이드 볼부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파형 형성부재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의 이격 거리는 가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1파형 형성부재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의 높이를 가변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부재는 상기 제1금형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강판에 파형을 형성하여 파형강판을 제조시에 강판에 파형이 형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소성 변형 에너지가 강판의 판면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강판의 변형이 의도하는 형상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된 파형강판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절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절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절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절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절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정면도이며, 도 3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절곡 장치의 구조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강판 절곡 장치는, 평탄한 면을 갖는 강판(1)에 파형을 형성하여 파형강판을 제작하는 강판 절곡 장치로서, 상기 강판(1)에 파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면에서 돌출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굴곡진 상면이 형성된 한 쌍의 제1파형 형성부재(110)와, 상기 판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의 가장자리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면(121)을 갖는 한 쌍의 지지부재(120)를 구비한 제1금형(100)과; 상기 제1금형(100)의 상부에 상기 제1금형(100)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판면에서 돌출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파형 형성부재(110)의 양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강판을 가압하여 상기 파형이 형성되도록 굴곡진 하면이 형성된 세 개의 제2파형 형성부재(210)를 구비한 제2금형(200)과; 상기 파형이 형성된 후에 상기 제1금형(100)에 안착된 상기 파형강판을 상기 제1금형(10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강판배출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 하면이 형성하는 곡률의 직경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 하면이 형성하는 곡률의 직경과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금형(100)은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에 고정되도록 설치되어 제2금형(100)이 제1금형(100) 측으로 하강하여 강판(1) 측으로 가압력을 가할 경우에 이를 지지함으로써 강판에 파형이 형성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강판(1)에 파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제1금형(100)의 상면에는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제1파형 형성부재(110)가 구비되어 있으며, 제1파형 형성부재(110)의 양측에는 경사면(121)이 형성된 지지부재(120) 한 쌍이 구비되어 있다.
제1파형 형성부재(110)는 제1금형(100)의 상면에 일정 높이로 돌출되게 구비되며, 상면은 굴곡지게 형성되어 제2금형(200)이 제1금형(100) 측으로 가압시에 강판(1)의 하면을 지지하여 강판(1)에 상측으로 볼록하게 파형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1파형 형성부재(110)의 높이는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며, 이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제1파형 형성부재(110)는 제1금형(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파형 형성부재(110)의 직경은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직경보다는 작고,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파형 형성부재(110)의 높이와 이들 사이의 이격 거리가 조절 가능하도록 설치함으로써 강판(1)에 형성되는 파형의 형상을 필요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1금형(100)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지지부재(120)도 제1파형 형성부재(110)의 마찬가지로 제1금형(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20)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지지부재(120)는 파형강판을 제조시에 강판(1)의 양측 가장자리를 경사지게 지지함으로써 파형강판의 양측 가장자리가 굴곡지게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하며, 지지부재(120)가 제1금형(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파형강판의 양측 가장자리를 원하는 형태로 가변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2금형(200)의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와 대향되는 위치의 제1금형(100)의 상면에는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굴곡진 하면과 대응되는 굴곡진 상면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가 상기 강판(1)을 가압시에 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강판배출부(300)를 이용하여 강판(1)을 배출시에 가이드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30)가 더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가이드부(130)는 제1금형(100)의 판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131)과, 브라켓(1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강판(1)과 접촉되는 가이드 볼부쉬(132)로 구성되어 있다.
브라켓(131)에 가이드 볼부쉬(132)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됨으로써 강판(1)에 파형을 형성한 후에 강판배출부(300)를 이용하여 제1금형(100)의 상면에 안착된 파형강판이 가이드 볼부쉬(132)와 접촉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제1금형(10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이드 볼부쉬(132)가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중앙에 위한 제1파형 형성부재(110)에 의하여 강판(1)이 변형되어 형성된 파형의 중앙이 가이드 볼부쉬(132)와 가이드 볼부쉬(132) 사이에 배치되어 삽입된 상태가 되므로 파형강판을 제1금형(100)의 외부로 배출시에 파형강판이 이탈되지 않으며 또한, 가이드 볼부쉬(132)가 회전 구동하므로 제조된 파형강판과의 마찰력을 최소화하면서 안정적으로 제1금형(100)의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제2금형(200)은 제1금형(100)의 상부에 제1금형(100)과 대향되는 위치에 배치되며 높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강판(1)에 파형을 형성시에 제1금형(100) 측으로 강판(1)을 가압시키는 역할을 한다.
제2금형(200)의 판면에는 하측으로 돌출되게 제2파형 형성부재(210)가 구비되어 제2금형(200)이 제1금형(100) 측으로 이동시에 제2파형 형성부재(210)는 제1금형(100)에 구비된 제1파형 형성부재(110)와 제1파형 형성부재(110) 사이로 삽입됨으로써 강판(1)에 파형이 형성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높이는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직경은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상기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직경이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됨으로써 직경이 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가압에 의하여 강판(1)이 소성 변형시에 발생하게 되는 큰 변형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의 가압에 의하여 강판(1)이 변형되는 작은 변형 에너지에 의하여 상쇄되면서 강판(1)의 양측 가장자리에 균일하게 변형력이 전달되도록 함으로써 강판의 변형이 의도하는 형상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만약에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의 직경이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직경과 동일한 경우에는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가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강판(1)의 변형 에너지와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의 가압에 의하여 발생되는 강판(1)의 변형 에너지가 합쳐진 상태에서 강판(1)의 가장자리로 변형력이 전달되어 의도하지 않은 형상으로 제품의 가공이 이루어지게 되므로 제품의 상품성이 저하될 수 있다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제2파형 형성부재(210)의 이격 거리는 가변 가능하게 설치되고, 높이도 가변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강판(1)에 형성되는 파형을 원하는 형태로 변형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절곡 장치를 이용하여 강판에 파형을 형성함으로써 파형강판을 제조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평탄한 면을 갖는 강판(1)이 제1금형(100)의 상면에 안착되어 제1금형(100)에 구비된 한 쌍의 제1파형 형성부재(110)와 강판(1)의 하면이 접촉되도록 한 후에 제2금형(200)이 제1금형(100) 측으로 하강 이동하여 제2금형(200)에 구비된 세 개의 제2파형 형성부재(210)가 강판(1)의 상면과 접촉되도록 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제2금형(200)을 제1금형(100) 측으로 점진적으로 하강 이동시키면 제2금형(200)에 구비된 세 개의 제2파형 형성부재(210)가 각각 제1파형 형성부재(110) 사이와, 제1파형 형성부재(110)의 양측으로 삽입되면서 제1금형(1)의 상면에 안착된 강판(1)의 표면에 굴곡지게 변형되면서 강판(1)의 표면에 파형이 형성된다.
이때, 강판(1)의 양측 가장자리는 지지부재(120)의 경사면(121)에 안착되어 양측 가장자리가 굴곡지게 변형이 이루어지게 되며, 강판(1)의 중앙에 형성된 파형의 중앙 영역은 복수의 가이드 볼부쉬(132) 사이에 삽입된 형태가 된다.
여기서, 제2금형(200)의 중앙에 위치한 제1파형 형성부재(110)와 양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제1파형 형성부재(110) 및 제1금형(100)에 배치된 제1파형 형성부재(110)의 굴곡진 면이 형성하는 곡률을 갖는 원형 형성하는 직경이 모두 상이하게 형성되므로 강판(1)이 이들에 의하여 각각 변형시에 그 변형되는 에너지가 상쇄되어 변형 에너지가 강판(1)의 가장자리 측으로 균일하게 전달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강판(1)의 양측 가장자리가 비틀어지거나 주름이 발생함을 방지함으로써 제조되는 파형강판이 의도한 형태로 정확하게 제조되도록 하여 상품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파형강판의 제조가 완료되면 제2금형(200)은 승강 이동하여 제조된 파형강판의 상면에서 이탈되고, 그 후 강판배출부(300)의 구동에 의하여 제조된 파형강판이 제1금형(100)의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파형강판의 제조가 완료되는 것이다.
그리고, 파형강판을 제1금형(100)의 외부로 배출시에 파형강판의 중앙에 형성된 파형의 중앙 영역이 가이드 볼부쉬(132) 사이에 삽입된 상태에서 가이드 볼부쉬(132)가 회전 구동하면서 배출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원활하고 신속하게 파형강판의 배출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판 절곡 장치는 강판에 파형을 형성하여 파형강판을 제조시에 강판에 파형이 형성됨에 따라 발생하는 소성 변형 에너지가 강판의 판면 전체에 균일하게 전달되도록 하여 강판의 변형이 의도하는 형상으로 정확하게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제조된 파형강판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은 본 발명에 의해 구현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의 일부에 관하여 설명한 것에 불과하므로, 주지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범위는 위의 실시예에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며, 위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그 근본을 함께 하는 기술적 사상은 모두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00 : 제1금형 110 : 제1파형 형성부재
120 : 지지부재 121 : 경사면
130 : 가이드부 131 : 브라켓
132 : 가이드 볼부쉬 200 : 제2금형
210 : 제2파형 형성부재
211 :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부재
212 :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부재
300 : 강판배출부

Claims (9)

  1. 평탄한 면을 갖는 강판(1)에 파형을 형성하여 파형강판을 제작하는 강판 절곡 장치로서,
    상기 강판(1)에 파형을 형성할 수 있도록 판면에서 돌출되며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고 굴곡진 상면이 형성된 한 쌍의 제1파형 형성부재(110)와, 상기 판면의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되어 상기 강판의 가장자리를 경사지게 지지하는 경사면(121)을 갖는 한 쌍의 지지부재(120)를 구비한 제1금형(100)과;
    상기 제1금형(100)의 상부에 상기 제1금형(100)과 대향되게 배치되며 판면에서 돌출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제1파형 형성부재(110)의 양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강판을 가압하여 상기 파형이 형성되도록 굴곡진 하면이 형성된 세 개의 제2파형 형성부재(210)를 구비한 제2금형(200)과;
    상기 파형이 형성된 후에 상기 제1금형(100)에 안착된 상기 파형강판을 상기 제1금형(100)의 판면 방향을 따라 외측으로 배출시키는 강판배출부(300)를; 포함하되,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 (211) 하면이 형성하는 곡률의 직경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 하면이 형성하는 곡률의 직경과 상이한 직경을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높이는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상기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보다 높게 형성되며,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와 대향되는 위치의 상기 제1금형(100)의 상면에는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굴곡진 하면과 대응되는 굴곡진 상면이 형성되어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가 상기 강판(1)을 가압시에 이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강판배출부(300)를 이용하여 상기 강판(1)을 배출시에 가이드하도록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가이드부(13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절곡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직경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상기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절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형 형성부재(110)의 직경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상기 중앙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1)의 직경보다는 작고,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 중에서 상기 양측 가장자리에 배치된 제2파형 형성부재(212)의 직경보다는 크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절곡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130)는 상기 제1금형(100)의 판면에서 돌출되게 구비되는 한 쌍의 브라켓(131)과, 상기 브라켓(131)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어 상기 강판(1)과 접촉되는 가이드 볼부쉬(13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절곡 장치.
  7. 제1항, 제3항, 제4항 및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형 형성부재(110)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의 이격 거리는 가변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절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형 형성부재(110)와 상기 제2파형 형성부재(210)의 높이는 가변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절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재(120)는 상기 제1금형(100)의 폭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상기 지지부재(120) 사이의 거리를 가변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강판 절곡 장치.
KR1020160103713A 2016-08-16 2016-08-16 강판 절곡 장치 KR1016907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13A KR101690733B1 (ko) 2016-08-16 2016-08-16 강판 절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03713A KR101690733B1 (ko) 2016-08-16 2016-08-16 강판 절곡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90733B1 true KR101690733B1 (ko) 2016-12-28

Family

ID=57724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03713A KR101690733B1 (ko) 2016-08-16 2016-08-16 강판 절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90733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464050A (zh) * 2022-08-25 2022-12-1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球扁钢弯曲模具及弯曲方法
KR20230125485A (ko) 2022-02-21 2023-08-29 주식회사 강테크 자동화 연속 공정 피가공물 절곡 시스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89B1 (ko) * 2006-05-22 2007-10-12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성형장치
KR20140023009A (ko) * 2012-08-16 2014-02-26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 절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66489B1 (ko) * 2006-05-22 2007-10-12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파형강판성형장치
KR20140023009A (ko) * 2012-08-16 2014-02-26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 절곡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25485A (ko) 2022-02-21 2023-08-29 주식회사 강테크 자동화 연속 공정 피가공물 절곡 시스템
CN115464050A (zh) * 2022-08-25 2022-12-13 沪东中华造船(集团)有限公司 一种球扁钢弯曲模具及弯曲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1930B1 (ko) 금속기와 제조장치와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되는 금속기와
KR101690733B1 (ko) 강판 절곡 장치
EP2167435B1 (en) A method and apparatus for forming a double-curved panel from a flat panel
KR20110009028A (ko) 사각 튜브 연속 성형을 위한 가변 선형 기하 기계
CN210208309U (zh) 一种带有精确供料装置的不锈钢餐具冲压模具
CA2613506A1 (en) Method for laying a sheet over a base material
KR100741986B1 (ko) 후육관 성형장치 및 성형방법
KR101348239B1 (ko) 확장 가능한 파이프 성형용 벤딩기
CN115283489A (zh) 一种折弯机用防变形装置
KR200257424Y1 (ko) 강판의 파형 성형장치
KR200225191Y1 (ko) 강판용 파형 및 홀 성형장치
CN203508699U (zh) 琉璃瓦防回弹机构
WO1982002118A1 (en) Secondary batteries
KR101400756B1 (ko) 파형강판구조물용 보강거푸집 제조장치
KR200257423Y1 (ko) 롤러를 이용한 강판의 파형 성형장치
KR100319903B1 (ko) 강판용 파형 및 홀성형장치 및 그 사용방법
KR200178788Y1 (ko) 파형강판 제조장치
JP6741268B2 (ja) エンボス形状を有する鋼板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CN206153431U (zh) 排水管金属卡件冷压成型装置
KR20160086221A (ko) 이중곡면 금속판재 성형장치 및 그 성형방법
CN205436817U (zh) 厚钢板压弯成型模具
KR200178789Y1 (ko) 강판용 파형 및 홀성형장치
CN210995906U (zh) H型钢压力矫直机的压头装置
CN211515624U (zh) 一种键盘底板整平装置
CN110238243B (zh) H型钢压力矫直机的压头装置及h型钢矫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3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