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65409B1 - 파형강판 성형장치 - Google Patents

파형강판 성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65409B1
KR101365409B1 KR1020130022054A KR20130022054A KR101365409B1 KR 101365409 B1 KR101365409 B1 KR 101365409B1 KR 1020130022054 A KR1020130022054 A KR 1020130022054A KR 20130022054 A KR20130022054 A KR 20130022054A KR 101365409 B1 KR101365409 B1 KR 1013654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teel sheet
rows
forming apparatus
corruga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20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한곤
Original Assignee
김한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한곤 filed Critical 김한곤
Priority to KR10201300220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6540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654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654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13/00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 B21D13/04Corrugat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Bending sheet metal, rods or profiles into wave form by rol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02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 B21D43/04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 B21D43/08Advancing work in relation to the stroke of the die or tool by means in mechanical engagement with the work by roll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haping Metal By Deep-Drawing,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하부 롤러축에 서로 어긋나게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하부 가압롤러 사이로 강판이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파형강판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다수의 제1롤러열과,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롤러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롤러열과 제2롤러열 사이를 강판이 통과하면서 파형이 성형되도록 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열과 제2롤러열에 각각 구비되어 강판의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롤러는 롤러회전축에 고정설치되고, 절곡되는 강판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는 받침롤러는 롤러회전축에 공회전되게 분할 설치되어 있는 파형강판 성형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파형강판 성형장치 {WAVEFORM STEEL SHEET EXTRUDING APPARATUS}
본 발명은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상,하부 롤러축에 서로 어긋나게 교번적으로 배치되어 있는 상,하부 가압롤러 사이로 강판이 연속적으로 통과하면서 파형강판을 성형할 수 있도록 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파형강판은 강판에 파형을 성형한 것으로서, 파형에 의해 하중 및 반력이 강판전체에 균등하게 분포되어 내하력이 큰 특징이 있다. 이러한 파형강판을 여러겹으로 겹치거나 볼팅 등의 방법으로 서로 잇대어 판의 용도로 사용하거나, 파형강판에 곡률을 주고 서로 연결하여 관의 용도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러한 파형강판으로 제조한 구조물은 다른 강성 암거보다 경제적이므로, 고속도로나 철도를 횡단하는 지하통로나 용/배수로 암거 등으로 이용된다. 그리고 파형강판으로 제조한 구조물은 암거로의 용도 이외에 운반 및 조립이 용이하므로,수로, 토류벽, 공재 사이로, 수조, 호안용 셀, 집수용 말뚝, 건축용 지붕, 컨베이어용 커버, 그 외 간이 구조물용으로 널리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파형강판을 성형하기 위한 선행기술로서 개시된 특허 제10-0819467호은 개략적으로 제1포밍성형부 및 제1포밍성형부를 갖는 전면하부금형과; 제1포밍성형부와 제2성형펀치를 가지는 상부금형과; 제1치수완성부와, 제2치수완성부를 갖는 작동스트립바와; 제1치수완성다이와 제2치수완성다이를 갖는 후면하부금형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종래의 금형을 이용한 파형 성형장치는 다음과 같은 단점이 있다.
첫째 ; 상금형과 하금형을 사용하여 강판에 파형을 성형하게 되므로 1~2피치씩밖에 형성할 수 없으므로 파형강판의 연속적인 생산이 어려운 단점이 있다.
둘째 ; 프레스 1번 하강할 때 1개의 골을 형성하고 다음 골을 형성하기 위하여 이송할 시 정확한 이송과 재료의 직각도을 유지하면서 이송하기가 어려워 제품의 골형태가 고르지 못하여 불량 발생률이 높다.
셋째 ; 재료의 두께와 기장 그리고 재질에 따라 프레스의 압력이 각각 달라지는데 예를 들어, 120가지의 제품특성에 따라 압력조절이 사실상 불가능하여 제품의 규격이 허용공차 범위를 벗어나 작업이 까다롭고 제품의 규격이 고르지 못한 불량 발생률이 아주 높다.
넷째 ; 파형강판 제품은 주로 4가지 모델(슈퍼코아2, 슈퍼코아3, 브릿지플레이트, 멀티플레이트)가 상용화되고 있는데, 설비 1시스템(도면참조)에 1가지 모델밖에 생산할 수 없으므로 전체 모델을 소화하기 위해선 설비 4시스템이 필요로 하므로 설비비 부담과 생산비 증가에 원인이 되고 있다.
다섯째 ; 파형강판의 골과 산 사이의 경사부에 엠보싱을 형성하여 집중응력을 분산시키고 구조적 하중저항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한 엠보싱 파형강판을 만들고자 하는 경우에는 기존제품은 예를 들어, 프레스 200TON과 주변설비 등을 갖추고 강판에 엠보싱을 형성하게 되는 별도의 공정을 거쳐야 하므로 생산인력과 별도의 설비가 필요한 단점이 있다.
그리고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또 다른 구성 실시예로서 개시된 실용신안등록 제20-0257423호에서는 롤러를 사용하여 강판에 파형을 연속적으로 성형하도록 한 것으로, 공급되는 강판을 상부에 설치되는 제1롤러열과 하부에 설치되는 제2롤러열 사이를 통과하는 강판 가압하여 파형을 성형하는 성형장치가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의 롤러를 이용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서는 제1롤러열과 제2롤러열은 포밍을 하기 위해 원주면이 큰 가압롤러와 가압롤러 사이에는 가압롤러에 비해 원주면이 작은 받침롤러가 일체로 형성된 롤러몸체를 구성하여 롤러회전축에 의해 가압롤러와 받침롤러가 동시에 회전하면서 제1롤러열과 제2롤러열에 각각 구비된 가압롤러의 절곡시에 받침롤러에 의해 강판을 밀착 지지하도록 한 상태에서 롤러 회전에 의해 파형을 성형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원주면이 큰 가압롤러와 원주면이 작은 받침롤러는 일체로 된 롤러몸체를 구성하게 되므로 롤러회전축에 의해 동시회전되면서 가압롤러와 받침롤러 사이에 접촉되어 통과하게 되는 강판은 가압롤러와 받침롤러의 원주거리 편차가 크게 발생하게 되면서 이로 인하여 마찰저항(비빔현상)이 발생되어 회전축부에 부하가 심하고, 제품 표면이 심하게 손상될 뿐만 아니라 롤러회전축의 1회전시에 원주면이 큰 가압롤러의 강판 이송거리에 비해 원주면이 작은 받침롤러는 강판 이송거리가 작기 때문에 마찰저항에 의한 소음과 열이 발생하고 롤러의 마모도 심하게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롤러열과,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롤러열로 이루어진 성형장치가 구비되어 제1롤러열과 제2롤러열 사이를 강판이 통과하면서 파형이 성형되도록 한 파형강판 성형장치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롤러열과 제2롤러열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회전축에 가압롤러는 고정설치되고 받침롤러는 공회전되게 설치되어 제1롤러열과 제2롤러열에 각각 구비된 가압롤러의 회전에 의해 강판을 이송하면서 절곡을 하게 될 때 가압롤러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되어 강판을 밀착 지지하도록 한 받침롤러는 가압롤러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공회전 되도록 하는 수단으로 강판의 이송 및 절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도록 한 파형강판 성형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은 다수의 제1롤러열과,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롤러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롤러열과 제2롤러열 사이를 강판이 통과하면서 파형이 성형되도록 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롤러열과 제2롤러열에 각각 구비되어 강판의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롤러는 롤러회전축에 고정설치되고, 절곡되는 강판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는 받침롤러는 롤러회전축에 공회전되게 분할 설치되어 있는 파형강판 성형장치를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롤러열은,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롤러회전축이 수평으로 설치되되 강판이 진입하는 강판진입부에서 이송진행방향을 따라 롤러회전축에 각각 설치되는 가압롤러의 원주면 크기가 증가하도록 배치되고, 받침롤러의 원주면 크기는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롤러열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회전축의 축선상에 다수 설치되어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압돌부가 형성된 가압롤러와, 상기 다수의 가압롤러 사이에는 압지홈부가 형성된 받침롤러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롤러열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회전축에는 돌출된 곡면부가 형성되어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가압롤러가 다수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압롤러 사이에는 상기 롤러회전축의 돌출된 곡면부와 대응하는 곡면홈이 형성된 받침롤러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회전축의 회전동력은 일측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에 의해 회전되게 하되 다수의 롤러회전축은 기어로 치합되어 전달되는 동력전달부를 통해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회전축은 축선상에 키홈이 형성되어 가압롤러를 키로 결합고정하고, 받침롤러는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으로 공회전되게 하되 베어링의 일측은 키로 결합고정한 구성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수의 제1롤러열과,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롤러열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롤러열과 제2롤러열 사이를 강판이 통과하면서 파형이 성형되도록 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성형장치의 강판진입부에 위치한 제1,2롤러열의 롤러회전축에 엠보싱 성형부를 구비하고, 엠보싱 성형부가 끝나는 강판의 이송진행방향에 강판을 절곡하여 파형을 형성하는 파형 성형부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엠보싱 성형부는, 제1,2롤러열의 롤러회전축에 각각 동일한 외주면을 갖는 밀착롤러를 구비하되 제1,2롤러열 중에서 일측의 밀착롤러의 원주면에 밀착돌부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의 밀착롤러의 원주면에 밀착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강치는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롤러열과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롤러열 사이를 강판이 통과하면서 파형을 성형하되 제1롤러열과 제2롤러열에 각각 구비되어 강판의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롤러는 롤러회전축에 고정설치되고, 절곡되는 강판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는 받침롤러는 롤러회전축에 공회전되게 분할 설치되어 가압롤러와 받침롤러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여 강판의 절곡 및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파형강판의 성형장치 및 파형강판은 제품 신뢰도 및 내구성을 크게 높일 수 있는 등의 많은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강치는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강판진입부에 위치하는 제1,2롤러열의 롤러회전축에 엠보싱 성형부를 구비하여 강판에 엠보싱을 형성한 다음 이어서 강판을 절곡하여 파형을 형성하는 파형강판 성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생산성을 크게 높일 수 있고, 프레스 작동수단과 같은 별도의 엠보싱 제조설비를 구비하지 않고 매우 경제적으로 파형강판에 엠보싱 성형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전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서 가압롤러와 받침롤러의 설치상태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서 가압롤러와 받침롤러 부분을 나타낸 확대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제1,2롤러열에 배치되는 가압롤러와 받침롤러의 배치 실시예를 나타낸 개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구비되는 엠보싱 성형부의 구성실시예를 나타낸 측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구비되는 엠보싱 성형부의 상,하부 밀착롤러의 배치형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의해 만들어진 일실시예의 파형강판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의해 만들어지고 엠보싱이 형성된 일실시예의 파형강판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은 상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1롤러열(11)과,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롤러열(12)로 이루어진 성형장치가 구비되어 상기 제1롤러열(11)과 제2롤러열(12) 사이를 강판이 통과하면서 파형이 성형되도록 한 파형강판 성형장치(A)에 해당된다.
이러한 롤러를 이용한 파형강판 성형장치(A)의 제1롤러열(11)과 제2롤러열(12)에 각각 구비되어 강판의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롤러(30)는 롤러회전축(20)에 고정설치되고, 절곡되는 강판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는 받침롤러(40)는 롤러회전축(20)에 공회전되게 분할 설치되어 제1롤러열(11)과 제2롤러열(12)에 각각 구비된 가압롤러(30)의 회전에 의해 강판의 이송 및 절곡이 이루어지게 될 때 받침롤러(40)는 가압롤러(30)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 되도록 한다.
상기 제1,2롤러열(11)(12)은, 파형강판 성형장치(A)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롤러회전축(20)이 수평으로 설치되고, 강판이 진입하는 강판진입부(A-1)에서 이송진행방향을 따라 롤러회전축(20)에 각각 설치되는 가압롤러(30)의 원주면 크기가 증가하도록 배치되어 절곡이 단계적으로 이루어지고, 파형강판 반출부(A-2)에서 파형강판이 완성된 제품이 반출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가압롤러(30)의 원주면 크기가 점차적으로 증가하는 것과 반대로 받침롤러(40)의 원주면 크기는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배치가 됨은 물론이다.
즉, 도 3과 같이 강판의 파형이 성형이 거의 완료되는 파형강판 반출부(A-2)에 위치하는 가압롤러(30)의 원주면 크기는 받침롤러(40)의 원주면 크기에 비해 약 2~3배 이상 원주면의 크기 편차가 발생하게 된다.
상기 제1,2롤러열(11)(12)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회전축(20)에는 외주면에 돌출된 가압돌부(32)가 형성되어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가압롤러(30)가 다수 설치되고, 상기 다수의 가압롤러(30) 사이에는 상기 롤러회전축(20)의 돌출된 가압돌부(32)와 대응하는 압지홈부(42)가 외주면에 형성된 받침롤러(40)가 설치되는 구성으로 이루어져서 제1롤러열(11)과 제2롤러열(12)에 각각 구비된 가압롤러(30)의 절곡시에 받침롤러(40)는 강판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고, 상기 롤러회전축(20)의 가압돌부(32)와 받침롤러(40)의 압지홈부(42)는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길이방향을 따라 강판에 단계적으로 파형이 성형될 수 있도록 되어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롤러회전축(20)의 축선상에 키홈(21)이 형성되어 가압롤러(30)를 키(22)로 결합고정하고, 받침롤러(40)는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44)으로 공회전되게 하되 베어링(44)의 일측은 키(22)로 결합고정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렇게 롤러회전축(20)에 가압롤러(30)와 받침롤러(40)를 키(22)로 롤러회전축(20)에 결합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롤러회전축(20)에서 가압롤러(30)와 받침롤러(40)의 분리 및 결합이 가능하므로 파형강판의 파형크기나 형태 등이 다른 가압롤러(30)와 받침롤러(40)를 신속하게 교체하여 파형강판 성형조건에 맞추어 다양한 제품 성형이 가능하도록 한다.
또, 상기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길이방향으로 설치되는 롤러회전축(20)의 회전동력은 일측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50)에 의해 회전되게 하되 다수의 롤러회전축(20)은 체인으로 연결되지 않고, 기어로 치합되어 전달되는 동력전달부(52)를 통해 연동되게 함으로써 정확한 동력전달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상기 제1,2롤러열(11)(12)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회전축(20) 중에서 일측의 롤러회전축(20)에만 동력전달장치(50)의 회전동력이 전달되고 나머지 롤러회전축(20)은 강판이 밀착되는 전달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파형강판의 파형크기나 형태 또는 두꺼운 강판 두께 등과 보다 강한 회전동력이나 정확성을 요구되는 파형강판의 성형조건에서는 제1,2롤러열(11)(12)에 각각 구비되는 상,하부 각각의 롤러회전축(20)을 기어(도시되지 않음)로 치합되어 동력전달장치(50)의 회전동력이 상,하부 롤러회전축(20)에 동시에 전달되게 하여 사용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서는 파형강판(P)의 골과 산 사이의 경사부에 엠보싱(P-1)을 형성하여 집중응력을 분산시키고 구조적 하중저항 능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엠보싱 파형강판을 동시에 성형할 수 있는 엠보싱 성형부(C)를 더 구비하여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강판이 진입하여 이송되는 과정에서 엠보싱을 먼저 형성한 다음 연속적으로 강판을 절곡하여 파형을 형성하는 파형강판을 성형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의한 엠보싱 성형부(C)의 실시예로서, 도 1에서와 같이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강판진입부(A-1)에 위치하는 제1,2롤러열(11)(12)의 롤러회전축(20)에 구비하여 강판에 엠보싱을 형성하고, 상기 엠보싱 성형부(C)가 끝나는 강판의 이송진행방향에 강판을 절곡하여 파형을 형성하는 파형 성형부(B)를 구비하여서 된 것이다.
이는 도 7과 같이 강판에 다단계로 엠보싱이 형성할 수 있도록 선택되는 다수의 롤러회전축(20)에 제1,2롤러열(11)(12)의 롤러회전축(20)에 각각 동일한 외주면을 갖는 밀착롤러(60)를 구비하되 제1,2롤러열(11)(12) 중에서 일측의 밀착롤러(60)의 원주면에 밀착돌부(62)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의 밀착롤러(60)의 원주면에 밀착홈부(64)가 형성되어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엠보싱 성형부(C)로 진입하여 이송되는 강판에 엠보싱을 형성하도록 한다.
이때 강판에서 엠보싱이 형성되는 부분은 파형강판(P)의 골과 산 사이에 위치하는 경사부에 형성되는 것이므로 강판에 엠보싱이 형성된 상태에서 이송하여 가압롤러(30)에 의한 파형을 형성하게 될 때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
이와 같이 된 발명은 파형강판 성형장치에서 제1롤러열(11)과 제2롤러열(12) 사이를 강판이 통과하면서 제1롤러열(11)과 제2롤러열(12)에 각각 구비되는 가압롤러(30)에 의해 절곡이 이루어지게 되면 가압롤러(30)와 마주보는 위치에 설치된 받침롤러(40)에 의해 강판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는 수단으로 파형을 형성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제1롤러열(11)과 제2롤러열(12)에 각각 구비된 가압롤러(30)는 롤러회전축(20)에 고정설치되고, 받침롤러(40)는 롤러회전축(20)에 공회전되게 분할 설치되어 롤러회전축(20)에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가압롤러(30)에 비례하여 공회전되게 설치되는 받침롤러(40)는 가압롤러(30)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도 5와 같이 가압롤러(30)의 1회전시에 상기 가압롤러(30)에 비해 원주면 크기가 약 약 2~3배 정도 작은 받침롤러(40)는 2~3회전을 하는 수단으로 받침롤러(40)는 가압롤러(30)의 회전속도와 동일한 회전속도로 회전하여 강판의 절곡 및 이송이 원활하게 이루어지게 되므로, 종래의 롤러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서 발생되는 마찰저항이나 제품 표면의 손상, 마찰소음, 롤러의 마모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되며, 특히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의 성형장치 및 파형강판은 제품 신뢰도 및 내구성을 크게 높일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강판진입부(A-1)에 위치하는 제1,2롤러열(11)(12)의 롤러회전축(20)에 엠보싱 성형부(C)를 구비하여 강판에 엠보싱을 형성한 다음 이어서 강판을 절곡하여 파형을 형성하는 파형강판 성형을 연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작업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참고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A : 성형장치 A-1 : 강판진입부
A-2 : 파형강판 반출부 B : 파형 성형부
C : 엠보싱 성형부 P : 파형강판
P-1 : 엠보싱 11 : 제1롤러열
12 : 제2롤러열 20 : 롤러회전축
21 : 키홈 22 : 키
30 : 가압롤러 32 : 가압돌부
40 : 받침롤러 42 : 압지홈부
44 : 베어링 50 : 동력전달장치
52 : 동력전달부 60 : 밀착롤러
62 : 밀착돌부 64 : 밀착홈부

Claims (7)

  1. 다수의 제1롤러열(11)과,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롤러열(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롤러열(11)과 제2롤러열(12) 사이를 강판이 통과하면서 파형이 성형되도록 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롤러열(11)(12)은,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롤러회전축(20)이 수평으로 설치되되 강판이 진입하는 강판진입부(A-1)에서 이송진행방향을 따라 롤러회전축(20)에 각각 설치되는 가압롤러(30)의 원주면 크기가 증가하도록 배치되고, 받침롤러(40)의 원주면 크기는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제1롤러열(11)과 제2롤러열(12)에 각각 구비되어 강판의 절곡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가압롤러(30)는 롤러회전축(20)에 고정설치되고, 절곡되는 강판을 밀착 지지하도록 하는 받침롤러(40)는 롤러회전축(20)에 공회전되게 분할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성형장치.
  2. 삭제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2롤러열(11)(12)에 각각 구비되는 롤러회전축(20)의 축선상에 다수 설치되어 절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압돌부(32)가 형성된 가압롤러(30)와, 상기 다수의 가압롤러(30) 사이에는 압지홈부(42)가 형성된 받침롤러(40)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성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회전축(20)의 회전동력은 일측의 구동모터로 이루어진 동력전달장치(50)에 의해 회전되게 하되 다수의 롤러회전축(20)은 기어로 치합되어 전달되는 동력전달부(52)를 통해 연동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성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회전축(20)은 축선상에 키홈(21)이 형성되어 가압롤러(30)를 키(22)로 결합고정하고, 받침롤러(40)는 내측에 설치된 베어링(44)으로 공회전되게 하되 베어링(44)의 일측은 키(22)로 결합고정한 구성으로 교체가 가능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성형장치.
  6. 다수의 제1롤러열(11)과, 하부에 설치되는 다수의 제2롤러열(12)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롤러열(11)과 제2롤러열(12) 사이를 강판이 통과하면서 파형이 성형되도록 한 파형강판 성형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2롤러열(11)(12)은, 파형강판 성형장치의 길이방향으로 다수의 롤러회전축(20)이 수평으로 설치되되 강판이 진입하는 강판진입부(A-1)에서 이송진행방향을 따라 롤러회전축(20)에 각각 설치되는 가압롤러(30)의 원주면 크기가 증가하도록 배치되고, 받침롤러(40)의 원주면 크기는 점차적으로 작아지는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성형장치의 강판진입부(A-1)에 위치한 제1,2롤러열(11)(12)의 롤러회전축(20)에 엠보싱 성형부(C)를 구비하고, 엠보싱 성형부(C)가 끝나는 강판의 이송진행방향에 강판을 절곡하여 파형을 형성하는 파형 성형부(B)를 구비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성형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엠보싱 성형부(C)는,
    제1,2롤러열(11)(12)의 롤러회전축(20)에 각각 동일한 외주면을 갖는 밀착롤러(60)를 구비하되 제1,2롤러열(11)(12) 중에서 일측의 밀착롤러(60)의 원주면에 밀착돌부(62)가 형성되고 이와 대응되는 타측의 밀착롤러(60)의 원주면에 밀착홈부(64)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파형강판 성형장치.





KR1020130022054A 2013-02-28 2013-02-28 파형강판 성형장치 KR1013654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54A KR101365409B1 (ko) 2013-02-28 2013-02-28 파형강판 성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22054A KR101365409B1 (ko) 2013-02-28 2013-02-28 파형강판 성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65409B1 true KR101365409B1 (ko) 2014-02-19

Family

ID=50271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2054A KR101365409B1 (ko) 2013-02-28 2013-02-28 파형강판 성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65409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82B1 (ko) * 2015-03-24 2015-06-25 (주) 렉스틸 엠보싱 파형강판 제조장치
KR101645687B1 (ko) * 2015-06-30 2016-08-08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 벤딩장치
KR101649182B1 (ko) * 2016-02-12 2016-08-18 (주) 렉스틸 파형강판 제조장치
KR101749615B1 (ko) * 2016-06-08 2017-06-21 정성만 파형강판 벤딩장치
KR20190114217A (ko) 2018-03-29 2019-10-10 최재목 포밍롤
CN112642900A (zh) * 2020-12-02 2021-04-13 太原科技大学 一种金属极板共辊式辊压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745A (ja) * 1997-10-03 1999-04-20 Nishio Kouhan Kk 波形鋼板とその製造法及びその装置
KR200257423Y1 (ko) 2001-09-11 2001-12-24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롤러를 이용한 강판의 파형 성형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04745A (ja) * 1997-10-03 1999-04-20 Nishio Kouhan Kk 波形鋼板とその製造法及びその装置
KR200257423Y1 (ko) 2001-09-11 2001-12-24 평산에스아이 주식회사 롤러를 이용한 강판의 파형 성형장치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1282B1 (ko) * 2015-03-24 2015-06-25 (주) 렉스틸 엠보싱 파형강판 제조장치
KR101645687B1 (ko) * 2015-06-30 2016-08-08 주식회사 픽슨 파형강판 벤딩장치
KR101649182B1 (ko) * 2016-02-12 2016-08-18 (주) 렉스틸 파형강판 제조장치
KR101749615B1 (ko) * 2016-06-08 2017-06-21 정성만 파형강판 벤딩장치
KR20190114217A (ko) 2018-03-29 2019-10-10 최재목 포밍롤
CN112642900A (zh) * 2020-12-02 2021-04-13 太原科技大学 一种金属极板共辊式辊压设备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5409B1 (ko) 파형강판 성형장치
US3150707A (en) Apparatus for making metal building and building elements
US2494642A (en) Corrugating mold
CN202163033U (zh) 生物质颗粒成型模组及生物质颗粒成型机
CN203833090U (zh) 钢管自动输送打包装置
EP2420367A1 (en) Continuous rolling machine with a flexible hot pressboard
US8136444B2 (en) Method for pressing and forming a raw material into a granulated material and an apparatus thereof
US7404308B2 (en) Apparatus for producing helically corrugated metal pipe and related method
CN104043696A (zh) 一种多功能卷板机
KR100769351B1 (ko) 금속기와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EP0066589B1 (en) Secondary batteries
CN101251036B (zh) 制作s型金属蜂窝的装置
KR20140023009A (ko) 파형강판 절곡장치
KR101690733B1 (ko) 강판 절곡 장치
CN215355528U (zh) 一种不锈钢板材冷弯成型设备
RU2352457C1 (ru) Способ производства минераловатных изделий
CN101890615A (zh) 双内卷管道支架的制作方法
CN101451632A (zh) 塑料板、覆设该塑料板的混凝土管道及塑料板加工设备
CN203544962U (zh) 非标一体板成型系统用的成型模具高效输送装置
KR200257423Y1 (ko) 롤러를 이용한 강판의 파형 성형장치
CN201291259Y (zh) 大理石型及方砖型彩钢板压型机
CN201950099U (zh) 换热器扁管加工机
CN206588216U (zh) 一种用于生产汽车散热器b型管的产线
KR101649182B1 (ko) 파형강판 제조장치
CN105619889B (zh) 一种圆形柔性蜂窝的制作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