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114B1 - H-브리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H-브리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114B1
KR101649114B1 KR1020100062607A KR20100062607A KR101649114B1 KR 101649114 B1 KR101649114 B1 KR 101649114B1 KR 1020100062607 A KR1020100062607 A KR 1020100062607A KR 20100062607 A KR20100062607 A KR 20100062607A KR 101649114 B1 KR101649114 B1 KR 1016491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bridge
input
pwm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00062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20001962A (ko
Inventor
김보영
Original Assignee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콘티넨탈 오토모티브 시스템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00062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114B1/ko
Publication of KR201200019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200019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1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10/00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 B60W10/04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 B60W10/06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including control of propulsion units including control of combustion engin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5/00Electrical control not provided for in groups F02D41/00 - F02D43/00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6/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synchronous motors or other dynamo-electric motors using electronic commutation dependent on the rotor position; Electronic commutators therefor
    • H02P6/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 H02P6/085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eed or torque of a single motor in a bridge configu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2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 F02D2041/2024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of the circuit the control switching a load after time-on and time-off pulses
    • F02D2041/2027Control of the current by pulse width modulation or duty cycle contro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20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 F02D2041/2068Output circuits, e.g. for controlling currents in command co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design or special circuit elements
    • F02D2041/2072Bridge circuits, i.e. the load being placed in the diagonal of a bridge to be controlled in both dir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H-브리지(H-Bridge)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개시한다. 즉, H-브리지의 제 1 입력단(IN1) 과 제 2 입력단에 각각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초기 상태를 하이(High) 또는 로우(LOW)로 역 위상으로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방향전환을 위한 디지털 신호(DIR)인 제 1 입력신호 및 PWM 신호인 제 2 입력신호의 계산 값이나 설정값을 바꾸지 않은 상태에서 단순히 각 입력단에 번갈아 가면서 PWM 신호를 할당함으로써, H-브리지의 두 입력단의 레벨전환 시점 차이의 오차를 최소화하여 안정적인 방향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H-브리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CONTROLLING SYSTEM FOR H-BRIDG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H-브리지(H-Bridge) 제어 방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H-브리지의 입력신호인 방향전환을 위한 디지털 신호(DIR)와 PWM 신호의 설정 값 변경없이 단순히 각 입력단에 번갈아 가면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할당함으로써 H-브리지에 대한 방향전환을 수행하는 H-브리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자식 스로틀 제어(ETC, Electronic Throttle Control) 분야에 적용되고 있는 H-브리지(H-Bridge) 소자의 경우, 입력단 신호의 제어에 따라 크게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즉, 방향(Direction) 전환과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로 고정되어 있는 입력단을 제어하여 전향(Forward)과 역방향(Reverse), 그리고 프리-휠링 로우(Free-Wheeling Low)와 프리-휠링 하이(Free-Wheeling High) 위치를 생성하기 위한 상태조합을 만들어 내는 제 1 방식과, 반면 기능(Function)이 고정되어 있지않은 두 입력단에 대한 직접적인 제어를 통해 상술한 네 가지의 위치를 생성하기 위한 상태조합을 만들어내는 제 2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다.
그러나, 전향 및 역방향 간 방향 전환에 있어서, 상술한 제 1 방식의 경우, 방향 입력단의 신호 전환만을 통해 가능한 반면 제 2 방식의 경우, 방향 전환을 위해 두 개의 입력단 모두에 대해 신호 전환을 수행하여야 하며, 더욱이 두 개의 입력단에 대한 신호 전환시 양 입력단 간 동기 설정이 어려워 방향 전환에 따른 오류가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에 내재되었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H-브리지에 각각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초기 상태를 하이(High) 또는 로우(LOW)로 역 위상으로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입력신호인 방향전환을 위한 디지털 신호(DIR)와 PWM 신호의 설정 값 변경없이 단순히 각 입력단에 번갈아 가면서 PWM 신호를 할당했다가 해지하는 방안을 적용하여 H-브리지에 대한 방향전환을 수행하기 위한 H-브리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면에 따라, H-브리지(H-Bridge) 제어 시스템이 제공되며: 이 시스템은, PWM(Pulse Width Modulation) 리소스(Resource) 신호를 제공하는 PWM 리소스 제공부; 상기 PWM 리소스 제공부로부터 수신되는 PWM 리소스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H-브리지에 구비된 두 개의 입력단 각각에 대한 입력신호로 분할 생성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H-브리지의 전향(Forward)과 역방향(Reverse) 간 방향(Direction) 전환동작을 위해 상기 두 개의 입력단에 대한 입력신호 변경을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브리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리지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통한 상기 멀티플렉서 제어를 통해 초기 상호 역 위상을 갖는 디지털 신호 및 PWM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H-브리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브리지 제어부는, 상기 H-브리지에 상기 방향 전환동작 시점에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디지털 신호 및 PWM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 위치를 상호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면에 따라, H-브리지(H-Bridge) 제어 방법이 제공되며: 이 방법은, PWM(Pulse Width Modulation) 리소스(Resource)를 토대로 두 개의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두 개의 입력신호를 상기 H-브리지에 구비된 두 개의 입력단 각각에 제공하여 전향(Forward) 또는 역방향(Reverse)으로 상기 H-브리지를 구동시키는 입력신호 제공 단계; 및 상기 H-브리지의 전향과 역방향 간 방향(Direction) 전환동작을 위해 상기 두 개의 입력단에 대한 입력신호를 변경하는 입력신호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신호 제공 단계는, 초기 상호 역 위상을 갖는 디지털 신호 및 PWM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H-브리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입력신호 변경 단계는, 상기 H-브리지에 상기 방향 전환동작 시점에 상기 디지털 신호 및 PWM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 위치를 상호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에 따르면, 종래 냉각수 온도에 따른 목표 엔진 회전수를 유지하기 위한 공회전 제어 로직에 차량의 엔진 회전수 변화량, 점화시기 변화량, 공기 제어값 그리고 공기량의 변화를 감지하여 가장 진동이 적은 상태의 목표 엔진 회전수를 찾고 이에 따른 공회전 제어를 수행함에 따라, 차량의 편차를 최소화하고 운전자에게 보다 안락함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후술하는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브리지(H-Bridge) 제어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브리지 제어에 따른 파형도.
도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H-브리지 제어에 따른 파형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H-브리지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적인 순서도.
하게 모든 값을 PWM 신호의 주기종료 시점에서 프로그래밍해야한다. 이 경우 방향 전환을 요청한 시점이 주기종료 시점에서 매우 가까운 경우 바로 다음 주기종료 시점에서 적용하지 못하고 다음 주기종료 시점까지 지연되게 되어, 최대 2 주기 만큼의 딜레이(delay)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PWM 신호에서 주기 종료 시점 후 트리거(Trigger)된 신호가 주기에 밀려 늦게 실행됨으로써 추가적인 딜레이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해, 본원의 경우, H-브리지(400)의 제 1 입력단(IN1) 과 제 2 입력단(IN2)에 각각 입력되는 입력신호의 초기 상태를 하이(High) 또는 로우(LOW)로 역 위상으로 설정해 놓은 상태에서 방향 전환을 위한 디지털 신호(DIR)인 제 1 입력신호 및 PWM 신호인 제 2 입력신호의 계산 값이나 설정값을 바꾸지 않고, 단순히 각 입력단에 번갈아 가면서 PWM 신호를 할당했다가 해지하는 방안을 적용하여 H-브리지(400)에 대한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PWM 신호의 값 변경 및 PWM 신호와 방향 전환을 위한 디지털 신호(DIR) 간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발생하는 종래기술에 따른 딜레이 문제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경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종래 기술과는 달리 H-브리지(400)의 방향 전환이 PWM 신호의 주기에 의존하지 않으므로 추가적인 프리-휠링(Free-Wheeling) 발생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엔진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여기서,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전술한 도 1에 도시된 구성은 해당 참조번호를 언급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PWM(Pulse Width Modulation) 리소스(Resource)를 토대로 두 개의 입력신호를 생성한다(S110-S130). 바람직하게는, PWM 리소스 제공부(100)가 H-브리지(400)의 입력신호를 생성을 위한 PWM(Pulse Width Modulation) 리소스(Resource) 신호를 멀티플렉서(200)에 제공하고, 상기 멀티플렉서(200)는 브리지 제어부(300)로부터 수신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PWM 리소스 제공부(100)로부터 수신되는 PWM 리소스 신호를 토대로 상기 H-브리지(400)에 구비된 두 개의 입력단 각각에 대한 입력신호로 분할 생성한다.
다음으로, 상기 생성된 두 개의 입력신호를 상기 H-브리지(400)에 구비된 두 개의 입력단 각각에 제공하여 H-브리지(400)를 구동시킨다(S140-S150). 바람직하게는, 멀티플레서(200)가 상기 제어신호에 따라 PWM 리소스 신호를 토대로 방향 전환을 위한 디지털 신호(DIR)인 제 1 입력신호 및 설정주기를 갖는 PWM 신호인 제 2 입력신호로 분할 생성하여 H-브리지(400)에 구비된 제 1 입력단(IN1)과 제 2 입력단(IN2) 각각에 초기 상호 역 위상을 갖도록 선택 제공한다. 이때, H-브리지(400)는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단을 통해 수신되는 입력신호에 따라, 전향(Forward) 또는 역방향(Reverse)의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나서, 상기 H-브리지의 전향과 역방향 간 방향(Direction) 전환동작을 위해 상기 두 개의 입력단에 대한 입력신호를 변경한다(S160-S170). 바람직하게는, 브리지 제어부(300)가 H-브리지(400)의 전향(Forward)과 역방향(Reverse) 간 방향(Direction) 전환동작을 위해 H-브리지(400)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입력단에 대한 입력신호 변경을 수행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리지 제어부(300)는 H-브리지(400)의 방향 전환동작 시점에 제어신호를 통한 멀티플렉서(200)를 제어를 통해 상기 디지털 신호 및 PWM 신호가 입력되는 H-브리지(400) 상의 입력단 위치를 상호 변경시킨다.
이후, 입력단 위치가 상호 변경된 두 개의 입력신호를 상기 H-브리지(400)에 구비된 두 개의 입력단 각각에 제공하여 H-브리지(400)를 구동시킨다(S180-S190). 바람직하게는, 멀티플렉서(200)가 디지털 신호(DIR)인 제 1 입력신호가 H-브리지(400)의 제 1 입력단(IN1)으로 입력되며, PWM 신호인 제 2 입력신호가 H-브리지(400)의 제 2 입력단(IN2)으로 입력되어 H-브리지(400)가 전향으로 동작하고 있는 현재상태에서, 방향 전환동작을 위해 H-브리지(400) 상의 입력단 위치를 상호 변경 즉, PWM 신호인 제 2 입력신호를 제 1 입력단(IN1)으로 입력시키며, 디지털 신호(DIR)인 제 1 입력신호를 제 2 입력단(IN2)으로 입력시킴으로써, H-브리지(400)를 역방향 동작으로 전환시킨다.
지금까지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또는 수정이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미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H-브리지(H-Bridge)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의 경우 H-브리지의 입력신호인 방향전환을 위한 디지털 신호(DIR)와 PWM 신호의 설정 값 변경없이 단순히 각 입력단에 번갈아 가면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신호를 할당함으로써, H-브리지에 대한 방향전환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기존 기술의 한계를 뛰어 넘음에 따라 관련 기술에 대한 이용만이 아닌 적용되는 장치의 시판 또는 영업의 가능성이 충분할 뿐만 아니라 현실적으로 명백하게 실시할 수 있는 정도이므로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있는 발명이다.
100: PWM 리소스 제공부
200: 멀티플렉서
300: 브리지 제어부
400: H-브리지

Claims (6)

  1. H-브리지(H-Bridge)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리소스(Resource) 신호를 제공하는 PWM 리소스 제공부;
    상기 PWM 리소스 제공부로부터 수신되는 PWM 리소스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H-브리지에 구비된 두 개의 입력단 각각에 대한 입력신호로 분할 생성하여 출력하는 멀티플렉서; 및
    상기 H-브리지의 전향(Forward)과 역방향(Reverse) 간 방향(Direction) 전환동작을 위해 상기 두 개의 입력단에 대한 입력신호 변경을 위한 상기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브리지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브리지 제어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제어부는,
    상기 제어신호를 통한 상기 멀티플렉서 제어를 통해 초기 상호 역 위상을 갖는 디지털 신호 및 PWM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H-브리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브리지 제어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브리지 제어부는,
    상기 H-브리지에 상기 방향 전환동작 시점에 상기 제어신호를 통해 상기 디지털 신호 및 PWM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 위치를 상호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브리지 제어 시스템.
  4. H-브리지(H-Bridge) 제어 방법에 있어서,
    PWM(Pulse Width Modulation) 리소스(Resource)를 토대로 두 개의 입력신호를 생성하는 입력신호 생성 단계;
    상기 생성된 두 개의 입력신호를 상기 H-브리지에 구비된 두 개의 입력단 각각에 제공하여 전향(Forward) 또는 역방향(Reverse)으로 상기 H-브리지를 구동시키는 입력신호 제공 단계; 및
    상기 H-브리지의 전향과 역방향 간 방향(Direction) 전환동작을 위해 상기 두 개의 입력단에 대한 입력신호를 변경하는 입력신호 변경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브리지 제어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제공 단계는,
    초기 상호 역 위상을 갖는 디지털 신호 및 PWM 신호를 포함하는 상기 입력신호를 상기 H-브리지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브리지 제어 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신호 변경 단계는,
    상기 H-브리지에 상기 방향 전환동작 시점에 상기 디지털 신호 및 PWM 신호가 입력되는 입력단 위치를 상호 변경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H-브리지 제어 방법.
KR1020100062607A 2010-06-30 2010-06-30 H-브리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49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607A KR101649114B1 (ko) 2010-06-30 2010-06-30 H-브리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00062607A KR101649114B1 (ko) 2010-06-30 2010-06-30 H-브리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62A KR20120001962A (ko) 2012-01-05
KR101649114B1 true KR101649114B1 (ko) 2016-08-19

Family

ID=45609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00062607A KR101649114B1 (ko) 2010-06-30 2010-06-30 H-브리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1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860A (ja) 2004-06-08 2005-12-22 Honda Motor Co Ltd モータ駆動回路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7396A (ja) * 1992-10-14 1994-05-10 Nippondenso Co Ltd 車両の後輪操舵装置
JP3959131B2 (ja) * 1995-03-06 2007-08-1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自動車用バルブ制御装置
KR20010096718A (ko) * 2000-04-14 2001-11-08 밍 루 전자 동력 조향 장치의 dc모터 제어회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349860A (ja) 2004-06-08 2005-12-22 Honda Motor Co Ltd モータ駆動回路および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20001962A (ko) 2012-0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7074771A (ja) 電圧駆動型スイッチング回路、多相インバータ装置、および、電圧駆動型スイッチング制御方法
JP2018070001A5 (ko)
WO2014174557A1 (ja) モータ駆動装置
JP2013247834A (ja) モータ駆動回路
JP4784491B2 (ja) モータ駆動装置
KR101289221B1 (ko) 전기차량 및 이의 구동축 진동 저감 제어 방법
JP2009194950A (ja) 電圧型pwmインバータの制御装置
JP2017514429A (ja) Dcブラシレスモータ、装置、およびシステムのパルス幅変調を制御するための方法
JP6687405B2 (ja) モータの制御回路、それを用いたファン
JP2008278584A (ja) モータ制御装置、及びモータ制御方法
KR101649114B1 (ko) H-브리지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JP6519458B2 (ja) 制御装置
TWI426695B (zh) 電動機驅動器控制裝置
TWI643442B (zh) 多相直流無刷馬達驅動電路
TWI425761B (zh) Adjustable delay time control system for motors
JP2005006394A (ja) 圧電素子を用いたアクチュエータの駆動回路
JP6961096B2 (ja) インバータ装置
JP2010068415A (ja) パルス幅変調波形発生装置
US10581366B2 (en) Calculation apparatus and processing apparatus
JP6608740B2 (ja) 車両用モータ駆動装置、車両用電動パワーステアリング装置、及び車両用モータの駆動方法
JP2006320055A (ja) モータ制御装置
JP2014108021A (ja) Pwm出力装置
JP2009213321A (ja) Pwmインバータ装置とその制御方法
JP2018061350A (ja) 半導体装置、モータ制御システム、及び半導体装置の制御方法
JP6687406B2 (ja) モータの制御回路、それを用いたファ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