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9044B1 -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 Google Patents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9044B1
KR101649044B1 KR1020140164383A KR20140164383A KR101649044B1 KR 101649044 B1 KR101649044 B1 KR 101649044B1 KR 1020140164383 A KR1020140164383 A KR 1020140164383A KR 20140164383 A KR20140164383 A KR 20140164383A KR 101649044 B1 KR101649044 B1 KR 101649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ble
shaft
actuator modul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4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274A (ko
Inventor
홍천유
홍준석
Original Assignee
홍천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천유 filed Critical 홍천유
Priority to KR1020140164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9044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9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9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4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 B60N2/4207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the seat constructed to protect the occupant from the effect of abnormal g-forces, e.g. crash or safety seats characterised by the direction of the g-for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64Back-rests or cushions
    • B60N2/66Lumbar supports
    • B60N2/667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 B60N2/6671Lumbar supports having flexible support member bowed by applied forces with cable actu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동유닛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케이블 조절부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입력단과 출력단의 2단 3열의 기어배치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고, 동력전달부는 구동유닛의 일측에 구동유닛과 수직하게 설치되며, 케이블 조절부는 구동유닛과 평행하도록 설치함에 따라, 액츄에이터 모듈을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차량의 시트 내부에서 액츄에이터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액츄에이터 모듈의 구동정밀도를 향상시키며, 액츄에이터 모듈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Actuator module for lumber support}
본 발명은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동유닛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케이블 조절부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입력단과 출력단의 2단 3열의 기어배치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고, 동력전달부는 구동유닛의 일측에 구동유닛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며, 케이블 조절부는 동력전달부에 수직하고 구동유닛에 대해 평행하도록 설치함에 따라, 액츄에이터 모듈을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차량의 시트 내부에서 액츄에이터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액츄에이터 모듈의 구동정밀도를 향상시키며, 액츄에이터 모듈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시트는 차량의 내부에 설치되는 부품으로, 운전자나 탑승자가 차량 내부에 탑승하기 위한 필수 장치이다. 자동차의 주행중에는 운전자나 탑승자는 언제나 차량 내부에 장착된 시트에 앉아 있을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시트는 장시간의 탑승시간 동안 운전자나 탑승자가 편암함을 느낄 수 있고, 차량 주행 상태 변화에 대응하여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제작된다.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자동차 시트(1)는 운전자나 탑승자가 목적지까지 편안하게 갈 수 있도록 자동차 내부에 장착되어 있는 것으로, 헤드레스트(head rest), 시트백(seat back) 및 시트쿠션(seat cushion)으로 구성된다.
헤드레스트는 운전자나 탑승자의 등을 받쳐주는 시트백 위에 탑승자의 머리를 지지하기 위해 설치된 부분으로 차량의 추돌 등으로부터 탑승자의 목 부상을 방지하고, 주행중에 탑승자의 머리 부분을 편하게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한다.
시트백(3)은 운전자나 탑승자의 허리 부분을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하고, 시트쿠션(4)은 운전자나 탑승자의 엉덩이 부분을 받쳐주는 기능을 수행하며, 이러한 시트백과 시트쿠션은 장시간의 탑승시간 동안 운전자나 탑승자가 편암함을 느낄 수 있도록 시트 프레임과 스프링으로 구성되고, 가죽이나 직물과 같은 시트커버로 시트 프레임과 스프링을 감싼 형태로 구성된다.
일반적으로, 럼버 서포트(lumb support)는 시트백의 내부에 설치된다.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신의 체형에 맞도록 럼버 서포트의 돌출 정도를 조절함으로써 운전자나 탑승자의 허리를 견고하고 안정되게 지지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운전자나 탑승자는 럼버 서포트에 연결된 액츄에이터 모듈을 조작하여 자신의 허리 상태에 맞도록 럼버 서포트를 조작하여 안정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볼스터(side bolster)는 시트백이나 시트쿠션의 양측에 설치된다. 시트백이나 시트쿠션의 양측에 설치된 사이드 볼스터를 운전자나 탑승자가 자신의 신체 조건에 맞도록 조작함에 따라, 운전자나 탑승자는 차량의 선해 주행시에 운전자나 탑승자의 상체나 하체가 선회 방햐의 반대쪽으로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운전자나 탑승자는 사이드 볼스터에 연결된 액츄에이터 모듈을 조작하여 자신의 상체나 하체가 시트백 또는 시트쿠션에 밀착되도록 함에 따라, 주행시에 안정적인 승차 자세를 유지하고, 사고시에 운전자나 탑승자의 부상을 최소화하게 된다.
오늘날의 차량의 시트는 수요자의 다양한 요구에 의해 상술한 럼버 서포트와 사이드 볼스터 이외에 난방 기능을 수행하는 열선이나, 안마장치와 같은 편의장치가 탑재되어, 시트 내부에 공간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처럼, 종래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은 ㄱ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이 많이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은 ㄱ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데드스페이스(dead space)가 많아지게 되고, 이에 따라 다른 차량용 시트의 편의장치와 위치적인 간섭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더욱이, 종래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은 ㄱ자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액츄에이터 모듈의 효율이 저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10-2010-0062479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동유닛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케이블 조절부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입력단과 출력단의 2단 3열의 기어배치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고, 동력전달부는 구동유닛의 일측에 구동유닛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되며, 케이블 조절부는 동력전달부에는 수직하고, 구동유닛에 대해서는 평행하게 설치함에 따라, 액츄에이터 모듈을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컴팩트하게 구성하여 차량의 시트 내부에서 액츄에이터 모듈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화하고, 액츄에이터 모듈의 구동정밀도를 향상시키며, 액츄에이터 모듈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에 설치되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럼버 서포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서 발생 된 회전동력을 상기 럼버 서포트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구동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전달된 회전동력으로 상기 럼버 서포트에 연결된 케이블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구동유닛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케이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상기 케이블 조절부에 전달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구동유닛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 상기 구동축의 외측에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제1기어;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이격하여 설치되는 회전축; 상기 제1기어와 외접하면서 기어 물림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설치되는 입력단; 및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단에서 전달된 회전동력으로 상기 케이블 조절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단;을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동력전달부의 입력단은 상기 제1 기어보다 상기 구동유닛에 인접하도록 상기 구동축의 외측에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유성기어; 및 상기 유성기어와 상기 제1 기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삽입 설치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동력전달부의 출력단은 상기 구동축 및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격하여 설치되는 출력축; 상기 제2 기어와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제3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와 외접하면서 기어 물림 되도록 상기 출력축의 외측에 상기 출력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제4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3 기어와 상기 제4 기어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동력전달부의 출력단의 출력축은 상기 출력축의 축방향을 따라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케이블 조절부는 케이싱부; 상기 출력축의 나사산을 따라 상기 출력축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출력축에 삽입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케이블 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출력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출력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볼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케이블 조절부의 케이블은 내부 케이블; 상기 내부 케이블을 감싸는 외부 케이블; 및 일측이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부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동력전달부의 하우징과 케이블 조절부의 케이싱부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바람직한 다른 실시예에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동력전달부의 입력단과 출력단의 상기 제1 기어, 상기 제2 기어, 상기 제3 기어 및 상기 제4기어 스퍼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은 구동유닛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케이블 조절부에 전달하기 위한 동력전달부를 입력단과 출력단의 2단 3열의 기어배치 구조를 갖도록 형성하여, 액츄에이터 모듈을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컴팩트하게 구성함에 따라, 차량 시트 내부에서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하며,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은 2단 3열의 기어배치 구조에 의해 구동유닛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케이블 조절부에 직접 전달함에 따라 액츄에이터 모듈의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차량용 시트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차량용 시트에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이 장착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사시도를 나타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다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따른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측면도를 나타내고, 도 5는 차량용 시트에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이 장착된 상태의 개념도를 나타낸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100)을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100)은 구동유닛(200), 동력전달부(300), 및 케이블 조절부(400)로 이루어진다.
럼버 서포트와 이를 구동하기 위한 액츄에이터는 일반적으로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에 설치된다.
구동유닛(200)은 차량 시트의 시트백 또는 시트쿠션에 설치된 럼버 서포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발생시킨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유닛(200)은 후술하는 케이블 조절부(400)와 평행하고 동력전달부에는 수직하도록 동력전달부(200)의 하우징(210)의 일측에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유닛(200)은 페라이트 모터가 아닌 고출력 소형 ND모터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럼버 서포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필요한 동력을 1개의 구동유닛에 의해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동력전달부(300)는 구동유닛(200)에서 발생 된 회전동력을 럼버 서포트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케이블 조절부(400)는 동력전달부에 전달된 회전동력으로 럼버서포트에 연결된 케이블을 조절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케이블 조절부(400)는 구동유닛(200)에 대해 평행하고, 동력전달부(300)에 수직하도록 설치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100)은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형성되어,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설치에 따른 차량용 시트백에서의 데드 스페이스를 최소화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달부(300)는 하우징(310), 입력단(320), 및 출력단(330)으로 이루어진다.
하우징(310)은 동력전달부(300)의 외형을 형성하고, 하우징(310)의 일측에 구동유닛(200)이 결합되고, 구동유닛(200)과 평행하도록 케이블 조절부(400)가 결합된다.
입력단(320)은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입력단(320)은 구동유닛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케이블 조절부(400)에 전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출력단(330)은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출력단(330)은 입력단(320)에서 전달된 회전동력으로 케이블 조절부(400)를 구동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출력단(330)은 케이블 조절부(400)의 슬라이더(420)를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슬라이더(420)의 이동에 따라 럼버 서포트에 연결된 케이블의 길이가 조절되면서 럼버 서포트의 지지부가 조절된다.
이처럼,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100)의 동력전달부(300)는 입력단(320)과 출력단(330)의 2단으로 구성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구동유닛(100)에서 발생 된 회전동력을 감속하기 위해 감속유닛이 구동유닛(100)과 동력전달부(300)의 입력단(320) 사이의 구동축(321)에 설치될 수 있다. 즉, 입력단(320)과 출력단(330)의 기어비에 의해서도 원하는 감속비로 케이블 조절부(400)를 작동시킬 수 없는 경우에는 소정의 감속비를 갖는 감속유닛을 구동유닛(100)과 동력전달부의 입력단(320) 사이의 구동축(321)에 설치하여 1차적으로 구동유닛(100)에서 발생 된 회전동력을 감속시킬 수 있게 된다.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달부(300)의 입려단(320)은 구동축(321), 제1 기어(322), 회전축(323), 및 제2 기어(324)로 이루어진다.
구동축(321)은 일단이 구동유닛(100)에 삽입 설치되어 구동유닛(10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한다. 구동축(321)의 타단은 하우징(310)에 회전가능한 상태로 고정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구동축(321)은 일단이 구동유닛에 삽입된 상태로 구동유닛과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1 기어(322)는 구동축(321)의 외측에 구동축(321)과 동축으로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기어(322)는 구동축(321)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회전축(323)이 구동축(321)과 평행하면서 이격하도록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된다.
제2 기어(324)는 제1 기어(322)와 외접하면서 기어 물림 되도록 회전축(323)의 외측에 회전축(323)과 동축으로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2 기어(324)는 회전축(32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기어(322)와 제2 기어(324)는 동일한 수평선(L1)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1 기어(322)와 제2 기어(324)는 동일한 수평선(L1)상에서 기어 물림되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제1 기어(322)와 제2 기어(324)가 동일한 수평선(L1)에 위치함에 따라 동력전달부의 입력단인 제1 단을 형성한다.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력전달부(300)의 입려단(320)은 유성기어(325) 및 플레이트(3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유성기어(325)는 제1 기어(322)보다 구동유닛(100)에 인접하도록 구동축(321)의 외측에 구동축(321)과 동축으로 설치된다. 유성기어(325)에 의해 1차적으로 구동유닛(100)의 회전이 원하는 속도로 1차적으로 감속되고, 원활한 동력전달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플레이트(326)이 유성기어(325)와 제1 기어(322) 사이에 위치하도록 구동축(321)에 삽입 설치된다. 플레이트(326)는 유성기어(325) 내부의 위성기어의 구동을 원활하게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운전자나 탑승자를 경우 안정적이면서 견고하게 지지하기 위해서는 더욱 세밀한 조작과 동력전달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경우에서 입력단에 유성기어를 필요로 하게 되고, 이러한 유성기어에 의해 안정적이면서 원활한 동력전달을 수행함에 따라, 럼버 서포트의 지지부가 운전자나 탑승자에 의해 조작된 후에도 더욱 안정적인 상태로 유지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100)의 동력전달부(300)의 출력단(330)은 출력축(331), 제3 기어(332), 및 제4 기어(334)로 이루어진다.
출력축(331)은 구동축(321) 및 회전축(323)과 평행하면서 이격하도록 하우징(310)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력축(331)은 출력축의 축방향을 따라 외주연에 나사산(331-1)이 형성된다. 이러한 나사산(331-1)에 후술하는 케이블 조절부(400)의 슬라이더(420)가 결합된다.
제3 기어(332)는 제2 기어(324)와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회전축(323)의 외측에 회전축(323)과 동축으로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3 기어(332)는 제2 기어(324)와 함께 회전축(323)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4 기어(333)는 제3 기어(332)와 외접하면서 기어 물림 되도록 출력축(331)의 외측에 출력축(331)과 동축으로 설치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4 기어(333)는 출력축(331)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제3 기어(332)와 제4 기어(333)는 동일한 수평선(L2)에 위치하도록 설치된다. 즉, 제3 기어(332)와 제4 기어(333)는 동일한 수평선(L2)상에서 기어 물림되도록 설치된다. 이처럼, 제3 기어(332)와 제4 기어(333)가 동일한 수평선(L2)에 위치함에 따라 동력전달부의 출력단인 제2 단을 형성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제1 기어(322), 제2 기어(324), 제3 기어(332), 및 제4 기어(333)는 스퍼기어(supr gear)로 구성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1 기어(322), 제2 기어(324), 제3 기어(332), 및 제4 기어(333)의 사이즈를 선택하여 감속비를 조절함에 따라 감속비 조절을 위한 별도의 장치를 생략할 수 있어 액츄에이터 모듈(100)의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100)의 케이블 조절부(400)는 케이싱부(410), 슬라이더(420), 및 케이블(430)을 포함한다.
케이싱부(410)는 케이블 조절부(400)의 외형을 형성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케이블 조절부의 케이싱부(410)는 동력전달부(300)의 하우징(310)과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케이블 조절부의 케이싱부(410)와 동력전달부의 하우징(310)이 일체로 형성될 경우에는 ㄱ자 형태로 형성되게 된다. 이처럼, 케이싱부와 하우징을 일체로 형성함에 따라, 액츄에이터 모듈의 제조비용과 조립시간을 절감할 수 있다.
슬라이더(420)는 출력축의 나사산(331-1)을 따라 출력축(331)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케이싱 내부에서 출력축에 삽입 설치된다.
케이블(430)의 일단이 슬라이더(420)에 연결되어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100)의 케이블 조절부(400)는 볼트(440)를 더 포함한다.
볼트(440)는 슬라이더(420)가 출력축(331)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슬라이더(420)의 일면에 접촉하면서 출력축(331)의 일측에 결합된다. 이러한 볼트(440)에 의해 슬라이더(420)가 출력축(331)의 맨 위쪽(케이블이 가장 짧아지게 되는 상태)으로 이동되는 경우에도, 슬라이더에 작용하는 하중을 분산함에 따라 슬라이더의 파손과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3 내지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100)의 케이블 조절부(400)의 케이블(430)은 내부 케이블(431), 외부 케이블(432), 및 길이 조절부(4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내부 케이블(431)은 금속 재질의 와이어 형태로 구성되고,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내부 케이블(431)은 양단은 볼 형태로 형성되어, 내부 케이블(431)의 일단이 슬라이더에 결합되고, 내부 케이블(431)의 타단이 럼버 서포트에 결합된다.
외부 케이블(432)은 내부 케이블(432)을 감싸는 형태로 내부 케이블의 전체적인 길이보다 조금 짧게 구성된다.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지니만 외부 케이블은 플라스틱 또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길이 조절부(433)는 일측이 케이싱(410)에 삽입되도록 외부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된다.
일반적인 경우, 내부 케이블(431)은 금속재질의 와이어 형태로 형성되어, 럼버 서포트의 잦은 조작에도 길이가 변형되지 않지만, 외부 케이블(432)은 상대적으로 탄성을 갖는 플라스틱 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럼버 서포트의 빈번한 구동에 따라 길이가 변하게 된다. 이때, 길이 조절부에 형성된 나사산(433-1)에 결합된 볼트(433-2)를 회전시켜서 외부 케이블(432)이 케이싱(410)에 결합된 상태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외부 케이블이 케이싱에 결합된 기본 상태의 길이를 조절함에 따라, 럼버 서포트의 빈번한 구동에 따라 외부 케이블이 늘어나게 된 경우에도 럼버 서포트의 정확한 조작을 위한 케이블의 기본 길이를 조절할 수 있어 액츄에이터 모듈의 신뢰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100)은 동일한 수평선상(L1)에 설치되는 제1 기어, 제2 기어로 이루어지는 입력단과, 동일한 수평선(L2)에 설치되는 제3 기어, 제4 기어로 이루어지는 출력단의 2단과 구동축, 회전축, 출력축의 3열의 기어 배치구조를 갖게 된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것처럼, 동력전달부가 2단 3열의 기어배치 구조를 갖고, 동력전달부가 구동유닛의 일측에 구동유닛과 수직하게 설치되고, 케이블 조절부가 구동유닛에 대해 평행하고 동력전달부에 대해 수직하게 설치됨에 따라 액츄에이터 모듈(100)을 전체적으로 ㄷ자 형태로 구성하여 데드스페이스를 최소화하면서도 구동유닛에서의 회전동력을 케이블 조절부에 안정적으로 전달하고, 동력전달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의 조립시간과 제조비용을 단축하여의 차량용 시트의 전체적인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변형예와 상기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지 않으며,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내에 속하는 다른 실시예로 확장될 수 있다.
2 : 시트,
3 : 시트백, 4 : 시트쿠션,
100 : 액츄에이터 모듈, 200 : 구동유닛,
300 : 동력전달부, 310 : 하우징,
320 : 입력단, 321 : 구동축
322 : 제1 기어, 323 : 회전축,
324 : 제2 기어, 325 : 유성기어,
326 : 플레이트, 330 : 출력단,
331 : 출력축, 331-1 : 나사산
332 : 제3 기어, 333 : 제4 기어,
400 : 케이블 조절부, 410 : 케이싱부,
420 : 슬라이더, 430 : 케이블,
431 : 내부 케이블, 432 : 외부 케이블,
433 : 케이블 조절부, 433-1 : 나사산,
433-2 : 볼트, 440 : 볼트,
L1, L2 : 수평선.

Claims (11)

  1. 차량용 시트의 시트백에 설치되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에 있어서,
    상기 럼버 서포트를 작동시키기 위한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유닛;
    상기 구동유닛에서 발생 된 회전동력을 상기 럼버 서포트에 전달하기 위해 상기 구동유닛의 일측에 설치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동력전달부에 전달된 회전동력으로 상기 럼버 서포트에 연결된 케이블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구동유닛에 대해 평행하고 상기 동력전달부에 수직하게 설치되는 케이블 조절부;를 포함하되,
    상기 동력전달부는,
    하우징;
    상기 하우징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에서 발생된 회전동력을 상기 케이블 조절부에 전달하기 위하여, 일단이 상기 구동유닛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하는 구동축과, 상기 구동축의 외측에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제1기어와, 상기 구동축과 평행하게 이격하여 설치되는 회전축과, 상기 제1기어와 외접하면서 기어 물림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제2기어를 포함하여, 상기 제1기어와 상기 제2기어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설치되는 입력단;
    상기 하우징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입력단에서 전달된 회전동력으로 상기 케이블 조절부를 구동시키기 위한 출력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입력단은,
    상기 제1 기어보다 상기 구동유닛에 인접하도록 상기 구동축의 외측에 상기 구동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유성기어; 및
    상기 유성기어와 상기 제1 기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구동축에 삽입 설치되는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출력단은,
    상기 구동축 및 상기 회전축과 평행하게 이격하여 설치되는 출력축;
    상기 제2 기어와 다른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상기 회전축의 외측에 상기 회전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제3 기어; 및
    상기 제3 기어와 외접하면서 기어 물림 되도록 상기 출력축의 외측에 상기 출력축과 동축으로 설치되는 제4 기어;를 포함하되,
    상기 제3 기어와 상기 제4 기어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출력축은 상기 출력축의 축방향을 따라 외주연에 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조절부는,
    케이싱부;
    상기 출력축의 나사산을 따라 상기 출력축의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출력축에 삽입 설치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어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에 따라 길이가 조절되는 케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조절부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출력축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상기 슬라이더의 일면에 접촉하면서 상기 출력축의 일측에 결합되는 볼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은,
    내부 케이블;
    상기 내부 케이블을 감싸는 외부 케이블; 및
    일측이 상기 케이싱에 삽입되도록 상기 외부 케이블의 일단에 형성되는 길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하우징과 상기 케이블 조절부의 케이싱부는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의 상기 입력단과 상기 출력단의 상기 제1 기어, 상기 제2 기어, 상기 제3 기어 및 상기 제4기어는 스퍼기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KR1020140164383A 2014-11-24 2014-11-24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KR101649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383A KR101649044B1 (ko) 2014-11-24 2014-11-24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4383A KR101649044B1 (ko) 2014-11-24 2014-11-24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274A KR20160062274A (ko) 2016-06-02
KR101649044B1 true KR101649044B1 (ko) 2016-08-31

Family

ID=56135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4383A KR101649044B1 (ko) 2014-11-24 2014-11-24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904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5605A (en) 1999-06-22 2000-08-01 Lai; Yu-Shan Backrest adjusting device
KR101085154B1 (ko) 2010-07-21 2011-11-21 홍정명 럼버서포트의 조정을 위한 액추에이터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7555B1 (ko) 2008-12-02 2011-07-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시트의 럼버 서포트 엑츄에이터
KR101113225B1 (ko) * 2010-01-04 2012-03-13 (주)디에스시 럼버서포트용 액츄에이터
KR20120010623A (ko) * 2010-07-21 2012-02-06 홍정명 럼버서포트의 조정을 위한 액추에이터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095605A (en) 1999-06-22 2000-08-01 Lai; Yu-Shan Backrest adjusting device
KR101085154B1 (ko) 2010-07-21 2011-11-21 홍정명 럼버서포트의 조정을 위한 액추에이터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274A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371405B2 (ja) アクチュエータアセンブリおよびシート調整方法
CA2647317C (en) Transmission device for seat adjuster
US8167370B2 (en) Seat cushion adjusting apparatus
US7614693B2 (en) Seating area adjuster
US8899683B2 (en) Seat adjustment device, and vehicle seat device with the seat adjustment device
KR100687021B1 (ko) 시트용 받침대 조정 장치 및 그 받침대 슬라이더 및 장착 플레이트, 시트 받침대의 위치 조정 방법, 및 모듈화된 받침대 조정 장치를 조립하는 방법
JP6330469B2 (ja) シート駆動装置
JP2020019326A (ja) ステアリング装置
JP5663608B2 (ja) 調整装置、特に自動車シート用の高さ又は縦方向調整装置
CN102387938B (zh) 用于汽车乘客的头托
US10759307B2 (en) Seat cushion length adjuster
US20150015049A1 (en) Adjustable head restraint assembly
US10427569B2 (en) Adjustment mechanism for a seat
KR101649044B1 (ko) 럼버 서포트용 액츄에이터 모듈
KR101920042B1 (ko) 인서트부시를 갖는 엑츄에이터장치
KR20180134008A (ko) ND 모터를 이용한 4-way 럼버 서포트
US10486555B2 (en) Seat driving device
CN213973712U (zh) 一种汽车座椅电动腰托驱动器
KR102391964B1 (ko) 편심 브레이크가 적용된 자동차시트 모터장치
CN102241242B (zh) 用于调节交通工具座椅靠背的调节装置
KR101385113B1 (ko) 댐핑여부에 상관없이 사용가능한 시트 무빙용 기어하우징 어셈블리
CN216886288U (zh) 一种副仪表板调节机构及汽车
KR20110013664A (ko) 시트쿠션 익스텐션 장치
CN214083976U (zh) 一种新型电动腰托驱动器
US20240034201A1 (en) Vehicle Seat Assembly With Swivel Mechanis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22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