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8394B1 -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 Google Patents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8394B1
KR101648394B1 KR1020140195613A KR20140195613A KR101648394B1 KR 101648394 B1 KR101648394 B1 KR 101648394B1 KR 1020140195613 A KR1020140195613 A KR 1020140195613A KR 20140195613 A KR20140195613 A KR 20140195613A KR 101648394 B1 KR101648394 B1 KR 10164839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in body
guide
grip portion
wall surface
inner co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956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2667A (ko
Inventor
오란희
Original Assignee
오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란희 filed Critical 오란희
Priority to KR10201401956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8394B1/ko
Publication of KR2016008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83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83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02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using resilient force-resisters
    • A63B21/05Linearly-compressed elem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3/00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 A61H23/02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e.g. using supersonic vibration; Suction-vibration massage; Massage with moving diaphragm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1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 A63B23/16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upper limbs or related muscles, e.g. chest, upper back or shoulder muscles for hands or fing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ercussion Or Vibration Mass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하체 및 손을 이용하는 가압운동과, 손을 이용하는 비틀림운동 그리고 진동을 통한 마시지 기능을 단일 또는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근육 강화 및 혈액순환 활성화를 통해 건강을 유지시키고, 스탠드를 이용하여 근접한 곳에 보관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는 관 형태를 이루면서 상하부 가이드봉과 선단에 턱이 형성된 다수의 걸림편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벽면 양측으로 일단이 각각 접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1조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본체의 양단 둘레면으로 각각 끼워진 후 걸림편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고 회전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1조의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본체의 양단 둘레면으로 끼워지도록 중앙에 결합공이 천공된 내측커버 및 이 내측커버에 나사결합되는 외측커버로 이루어지는 파지부와, 상기 내측커버의 내부에 플랜지부분이 나사결합되는 가이드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벽면에는 본체의 가이드봉이 끼워져 관통되도록 상하에 호형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파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고; 파지부가 회전할 때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Exercise equipment for strengthening muscular strength of waist}
본 발명은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하체를 이용하는 운동 및 손을 이용하는 운동 그리고 진동을 통한 마시지 기능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해서는 건강을 지켜야하므로 건강을 위한 다양한 운동방법이 소개되고 있다.
그리고 건강을 위한 운동은 유산소운동과 무산소운동으로 나누며, 유산소운동으로는 건기와 뛰기 및 수영과 자전거타기 그리고 에어로빅이나 댄스 운동 중 산소를 사용한 에너지원을 발생시켜 주는 것들이 있다.
또한, 무산소운동으로는 전력질주로 달리기, 웨이트 트레이닝 운동 중 산소의 공급을 적게 받지 않으면서 몸의 에너지원을 이용 순간적으로 힘을 내는 것들이 있다.
특히 적당한 근육 강화운동은 다양한 질병을 치료하고 개선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음이 알려지면서 많은 사람이 건강을 위한 운동에 매진하고 있다.
이에, 특별히 운동시간을 별도로 마련하거나 체육시설이 있는 헬스장을 이용하지 않고도 가정이나 사무실들 등에서 손쉽게 근육 강화를 통해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운동기구들이 제안되었다.
예컨대 특허문헌 1의 "허벅지 다리를 이용한 골반 근육 운동구"와, 특허문헌 2의 "하체 운동기구"와, 특허문헌 3의 "개량 하체운동기구"와, 특허문헌 4의 "휴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와, 특허문헌 5의 "휴대용 운동기구" 및 특허문헌 6의 "운동기구" 들이 있다.
상기 운동기구들은 실내나 실외 등 장소에 구애 없이 어디서나 간단하게 운동할 수 있고 경량이면서도 그 구조가 간단하여 휴대성이 우수하며 의자나 침대, 쇼파 등에 앉은 상태에서 양쪽 거치대 외측에 양쪽 허벅지를 대고 다리를 오므리는 운동을 통해 괄약근, 하복근, 골반저 근육, 내전근력 강화 등 각종 하체 근육을 발달시킬 수 있으며, 양손을 이용하여 팔, 어깨 및 가슴 운동을 병행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운동기구들은 내부에 장착된 인장 또는 압축 스프링을 이용한 가압방식에 한정되므로 근방 실증을 느끼게 되고 외관 또한 투박하여 외진 곳에 보관하므로 손쉽게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99356호(2003.01.03.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334099호(2003.11.20.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46384호(2009.10.27.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1767호(2011.01.10. 공고)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51744호(2011.01.10.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39994호(2013.03.11.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체 및 손을 이용하는 가압운동과, 손을 이용하는 비틀림운동 그리고 진동을 통한 마시지 기능을 단일 또는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근육 강화 및 혈액순환 활성화를 통해 건강을 유지시키고, 스탠드를 이용하여 근접한 곳에 보관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는 관 형태를 이루면서 중앙의 벽면으로부터 양측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하부 가이드봉과,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선단에 턱이 형성된 다수의 걸림편을 갖는 본체와; 상기 본체의 벽면 양측으로 일단이 각각 접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1조의 코일스프링과; 상기 본체의 양단 둘레면으로 각각 끼워진 후 걸림편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고 회전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1조의 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는 본체의 양단 둘레면으로 끼워지도록 중앙에 결합공이 천공된 내측커버 및 이 내측커버에 나사결합되는 외측커버로 이루어지는 파지부와, 상기 내측커버의 내부에 플랜지부분이 나사결합되는 가이드 브래킷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브래킷의 벽면에는 본체의 가이드봉이 끼워져 관통되도록 상하에 호형 가이드홈을 형성하여 파지부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고; 파지부가 회전할 때 복원력을 제공하도록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근접한 곳에 보관하여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 있도록 스탠드를 마련하고, 마사지 효과를 제공하기 위한 진동모터를 장착한 것을 기술적 구성상의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에 따르면, 무릎 사이에 파지부를 접촉시키고 힘을 가하여 가압하는 동작을 통해 허벅지 안쪽 근육 및 관약근 강화운동으로 하체근력과 요실금 예방 효과를 얻게 되고, 양손으로 파지부를 잡고 가압하거나 전후 비틀림 회전운동으로 손목, 팔뚝, 어깨 및 가슴 등 다양한 상체 운동 효과를 통해 건강을 유지할 수 있으며, 진동을 통한 마시지 기능을 단일 또는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혈액순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 스탠드를 이용하여 장식효과를 제공함은 물론 근접한 곳에 보관할 수 있으므로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편리성을 갖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보관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수평 가압운동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단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회전운동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회전운동을 위한 판 스프링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회전운동 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의 마사지 기능을 위한 진동모터, 배터리 및 전원공급 스위치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일부 절단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중앙부분에 배치되는 본체(1)와, 이 본체(1)의 양측으로 결합되는 작동부(3)와, 이 작동부(3)의 가압운동을 돕는 코일스프링(2)으로 이루어지는 기본 기술을 이용하게 된다.
본 발명의 핵심 기술은 작동부(3)를 가압운동뿐만 아니라 회전운동이 가능하도록 그 구조를 개량한 것이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을 도 1 내지 3을 통하여 살펴보면, 본체(1)는 원통의 관 형태를 이루면서 중앙의 벽면(11)으로부터 양측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하부 가이드봉(12)과,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선단에 턱이 형성된 다수의 걸림편(13)을 형성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코일스프링(2)은 상기 본체(1)의 벽면(11) 양측으로 일단이 각각 접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작동부(3)는 상기 본체(1)의 양단 둘레면으로 각각 끼워진 후 걸림편(1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2)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고 회전운동을 병행할 수 있도록 본체(1)의 좌우 양측 1조로 배치된다.
즉, 상기 작동부(3)는 본체(1)의 양단 둘레면으로 끼워지도록 중앙에 결합공이 천공된 내측커버(311) 및 이 내측커버(311)에 나사결합되는 외측커버(312)로 이루어지는 파지부(31)와, 상기 내측커버(311)의 내부에 플랜지부분이 나사결합되는 가이드 브래킷(32)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가이드 브래킷(32)의 벽면(321)에는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본체(1)의 가이드봉(12)이 끼워져 관통되도록 상하에 호형 가이드홈(322)을 형성하여 파지부(31)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지고, 상기 벽면(321) 내측에는 본체(1)의 가이드봉(12) 측면에 접하여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1조의 판스프링(5)이 끼워져 고정되는 클립부(323)를 돌출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본체(1)의 둘레면 하측 중앙에 끼움홈(14)을 형성하고, 장식품으로 보관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의 끼움홈(14)을 상단(41)에 끼워 안착시키는 원추 형상의 스탠드(4)를 마련하게 된다.
또한, 진동을 통한 마시지 기능을 단독 또는 가압운동 및 회전운동과 병행할 수 있도록 도 7에서와 같이 진동력 발생을 위해 파지부(31)의 내측커버(311)에 배터리(51) 및 전원공급 스위치(52)를 장착하고 외측커버(312)에 진동모터(53)를 장착할 수 있다.
상기 진동모터(63)은 회전축 선단에 편심 중량체가 장착되어 회전시 요동에 의한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도면 중 미설명부호 33은 무릎 밴드를 결합시키기 위한 파지부(31) 상하측에 형성되는 관통공이다.
다음으로,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동에 대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3에서와 같이 본체(1)의 양측으로 1조의 작동부(3)를 결합시키면 본체(1)의 걸림편(13)이 작동부(3)의 내측커버(311)의 관통공으로 끼워진 후 내측에 걸려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이때 코일스프링(2)은 가이드 브래킷(32)을 탄발하여 작동부(3) 전체를 외측으로 밀어내어 이동시키고, 본체(1)의 가이드봉(12)은 도 5에서와 같이 가이드 브래킷(32)의 호형 가이드홈(322)으로 관통되면서 1조의 판스프링(5) 사이로 끼워진 상태가 된다.
상기와 같이 결합된 후 도 3의 (A)의 상태로 무릎 사이에 넣고 힘을 가하여 도 3의 (B)의 상태로 가압하면 코일스프링(2)의 탄성 복원력 도움으로 반복 동작이 가능하여 허벅지 안쪽 근육 및 관약근 강화운동이 이루어져 하체근력과 요실금 예방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양손으로 파지부(31)를 잡고 전후 비틀림 회전을 시키면 가이드 브래킷(32)의 호형 가이드홈(322)에 끼워진 본체(1)의 가이드봉(12)이 회전각도를 제한하게 된다. 그리고 도 6의 (A), (B)에서와 같이 파지부(31)와 가이드 브래킷(32)을 전방 또는 후방으로 좌우 엇갈리게 회전할 때 본체(1)의 가이드봉(12)은 정지상태이고, 이때 가이드봉(12)에 접하고 있던 판스프링(5)은 파지부(31)와 가이드 브래킷(32)이 회전방향으로 휘어지면 근육운동을 위한 반발력을 발생하고 힘을 제거하면 탄성 복원력이 가이드봉(12)에 작용하여 수직상태로 파지부(31)를 원활하게 복귀시키게 된다.
상기 판스프링(5)의 탄성력 도움으로 파지부(3)가 전후로 반복하여 회전운동하면 손목, 팔뚝, 어깨 및 가슴 등 다양한 상체 운동이 가능하여 건강을 유지할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도 7에서와 같이 전원공급 스위치(62)를 통해 배터리(61)의 전원을 진동모터(63)에 공급하여 작동시키면 진동모터(63)로부터 발생하는 진동력이 파지부(31)에 전달되고 이 진동은 무릎, 손에 전달되어 마시지가 가능하게 되고, 이 마사지 기능을 단일 또는 중복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혈액순환 활성화에 도움이 되고, 상기 파지부(31)에 전달된 진동력은 무릎 및 손뿐만 아니라 신체 모든 부분에 접촉시켜 사용할 수도 있다.
그리고 도 2의 (A)에서와 같이 스탠드(4)의 상단(41)에 본체(1)중앙에 형성된 끼움홈(14)을 끼워 도 2의 (B)와 같이 안착시키면 장식효과를 제공하면서 사용자가 쉽게 접할 수 있는 책상 위 등에 보관할 수 있어 사용의 편리성을 갖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관련하여 설명하고 도시하였지만, 상기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실시 예를 적절히 변형 및 수정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으므로 적절한 변경 및 수정과 균등물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하여야 할 것이다.
1: 본체 2: 코일스프링
3:작동부 31: 파지부
32: 가이드 브래킷 4: 스탠드
5: 판스프링 61: 배터리
62: 전원공급 스위치 63: 진동모터

Claims (4)

  1. 관 형태를 이루면서 중앙의 벽면(11)으로부터 양측 수평방향으로 돌출되는 상하부 가이드봉(12)과, 양단으로부터 돌출되면서 선단에 턱이 형성된 다수의 걸림편(13)을 갖는 본체(1)와;
    상기 본체(1)의 벽면(11) 양측으로 일단이 각각 접하여 탄성력을 제공하는 1조의 코일스프링(2)과;
    상기 본체(1)의 양단 둘레면으로 각각 끼워진 후 걸림편(13)에 의해 이탈이 방지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2)에 의해 수평이동 가능하고 회전운동을 병행할 수 있는 1조의 작동부(3)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부(3)는 본체(1)의 양단 둘레면으로 끼워지도록 중앙에 결합공이 천공된 내측커버(311) 및 이 내측커버(311)에 나사결합되는 외측커버(312)로 이루어지는 파지부(31)와, 상기 내측커버(311)의 내부에 플랜지부분이 나사결합되는 가이드 브래킷(32)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가이드 브래킷(32)의 벽면(321)에는 본체(1)의 가이드봉(12)이 끼워져 관통되도록 상하에 호형 가이드홈(322)을 형성하여 파지부(31)의 회전 각도를 제어하도록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의 둘레면 하측 중앙에 끼움홈(14)을 형성하고, 상기 본체(1)의 끼움홈(14)을 상단(41)에 끼워 안착시키는 원추 형상의 스탠드(4)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 브래킷(32)의 벽면(321) 내측에는 본체(1)의 가이드봉(12) 측면에 접하여 탄성 복원력을 제공하는 1조의 판스프링(5)이 끼워져 고정되는 클립부(323)가 돌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파지부(31)의 내측커버(311)에 배터리(61) 및 전원공급 스위치(62)를 장착하고 외측커버(312)에 진동모터(63)를 장착하여 전원을 진동모터(63)에 공급할 때 파지부(31)에 진동력이 발생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KR1020140195613A 2014-12-31 2014-12-31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KR10164839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613A KR101648394B1 (ko) 2014-12-31 2014-12-31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95613A KR101648394B1 (ko) 2014-12-31 2014-12-31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667A KR20160082667A (ko) 2016-07-08
KR101648394B1 true KR101648394B1 (ko) 2016-08-17

Family

ID=56504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95613A KR101648394B1 (ko) 2014-12-31 2014-12-31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839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45622B (zh) * 2018-11-02 2020-05-19 重庆第二师范学院 一种舒缓学生压力的掌上锻炼装置
CN111054029B (zh) * 2020-01-07 2021-01-29 郭丹 一种体育压腿器
KR102183481B1 (ko) * 2020-05-08 2020-11-26 주식회사 윌탑 핸드 운동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3158A (en) 1995-06-12 1997-07-01 Clementi; David Upper body shaping exercise device
US5941799A (en) 1997-12-11 1999-08-24 Bergdorf; Nelson G. Hand, wrist and forearm exercise device
KR200451744Y1 (ko) 2008-10-10 2011-01-10 이종희 휴대용 운동기구
KR101301242B1 (ko) 2012-03-22 2013-10-07 김하늘 하체회전 운동기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99356Y1 (ko) 2002-08-28 2003-01-03 한상관 허벅지 다리를 이용한 골반 근육 운동구
KR200334099Y1 (ko) 2003-09-09 2003-11-20 이동기 하체 운동기구
KR200451767Y1 (ko) 2008-09-22 2011-01-10 주식회사 진흥엠텍 휴대 가능한 하체운동기구
KR200446384Y1 (ko) 2009-03-26 2009-10-27 주식회사 진흥엠텍 개량 하체운동기구
KR101239994B1 (ko) 2011-06-10 2013-03-11 배수원 운동기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43158A (en) 1995-06-12 1997-07-01 Clementi; David Upper body shaping exercise device
US5941799A (en) 1997-12-11 1999-08-24 Bergdorf; Nelson G. Hand, wrist and forearm exercise device
KR200451744Y1 (ko) 2008-10-10 2011-01-10 이종희 휴대용 운동기구
KR101301242B1 (ko) 2012-03-22 2013-10-07 김하늘 하체회전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2667A (ko) 2016-07-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6815A1 (en) Muscular exercise equipment
JP2017529108A (ja) 腰トレ器具
KR20100077516A (ko) 다목적 물리치료용 운동기구
JPWO2008129681A1 (ja) 運動装置
KR101648394B1 (ko) 근력 강화용 운동기구
KR20100022342A (ko) 하체 근력강화 운동기구
KR101180093B1 (ko) 싸이클에서 나오는 동력을 활용하는 녹색 저탄소 안마 기구
CN210278129U (zh) 一种腿部肌肉锻炼器械
CN103933706A (zh) 仰卧式引体向上装置
JP2019098189A (ja) 骨盤強化用運動器具
CN205391552U (zh) 多功能健身康复装置
CN109364445B (zh) 一种健美操形体矫正训练装置
CN104922874A (zh) 杠铃蹬力器
KR20130138706A (ko) 상체 운동기구
US10561879B2 (en) Vibration elastic rope assembly
CN203829552U (zh) 胸大肌扩展练肌器
KR100873064B1 (ko) 하체강화 겸용 등 지압기
CN203829563U (zh) 蹬踏阻力健身自行车
CN203577255U (zh) 仰卧起坐多功能锻炼器
CN102553165A (zh) 脚踏弹性健肌器
US20060235344A1 (en) Portable multi-function exercise apparatus
CN104922876A (zh) 划船臂力器
CN203861859U (zh) 仰卧式引体向上装置
CN201798890U (zh) 一种手部按摩器
RU206937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крепляющего воздействия на опорно-двигательную систем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