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751B1 - 개인화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개인화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751B1
KR101647751B1 KR1020150027968A KR20150027968A KR101647751B1 KR 101647751 B1 KR101647751 B1 KR 101647751B1 KR 1020150027968 A KR1020150027968 A KR 1020150027968A KR 20150027968 A KR20150027968 A KR 20150027968A KR 101647751 B1 KR101647751 B1 KR 10164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swer
learner
learner terminal
terminal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279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정규
Original Assignee
한정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정규 filed Critical 한정규
Priority to KR10201500279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75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7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Marketing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기재된 실시예는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문제에 대한 정답, 문제에 대한 해설, 및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수신된 문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 정답을 이용하여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학습자 단말기 중에서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정답을 이용하여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개인화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PERSONALIZED ONLINE EDUCATION SYSTEM AND METHOD THEREOF}
기재된 실시예는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신 기술이 발전되고 전자 장치가 소형화됨에 따라 개인용 단말기(terminal)가 일반 소비자에게 널리 보급되고 있다. 또한, 인터넷이 널리 보급됨에 따라 개인용 단말기로부터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는 환경이 일반화되었다.
종래에는 오프라인에서 사람들끼리 직접 대면하여 이루어지던 활동들이 온라인에서의 활동으로 대체되는 경우가 있다. 특히, 온라인 쇼핑몰을 통해 이루어지는 전자상거래는 시간이 지날수록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다. 온라인을 통해 제공되는 다양한 분야의 중개 서비스 역시 이용률이 높아지고 있다.
교육 서비스 역시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사례가 점점 늘어나고 있다. 종래에는 종이 매체로 된 학습지가 일정한 주기로 학습자의 집으로 배달되었다. 학습자는 학습지의 문제를 풀고 상기 학습자를 담당하는 교수자가 주 1회 정도 학습자의 집에 방문하여 관리 또는 지도하였다.
최근에는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동영상 강의가 많이 이용되고 있으며, 온라인에서 학습지를 제공하는 서비스도 등장하였다. 온라인에서 제공되는 학습지에서는 서버에 의해 자동으로 채점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서버에 의해 학습 결과 또는 채점 결과가 누적되고 관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8-0077113호(2008.08.21.)에 개시되어 있다.
기재된 실시예에 따르면,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또한, 학습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은,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기 중에서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답안 중에서 상기 정답과 서로 상이한 답안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다시 수신한 상기 답안이 상기 정답과 서로 동일할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교육 방법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답안 분포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답안의 분포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라인 교육 방법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답안 분포에 대한 요청 및 상기 답안 분포의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학습자 단말기를 특정하고 상기 수신된 답안 중에서 상기 특정된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답안의 분포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힌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힌트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질문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질문내용을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내용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답변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질문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질문내용을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내용에 대한 공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공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질문내용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 중에서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내용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답변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은,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제1 학습자 단말기 및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답안에 대한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은,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제1 학습자 단말기 및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힌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힌트를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은,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문제, 정답, 해설, 힌트, 및 답안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답안을 채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채점된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채점 결과를 전송한 상기 학습자 단말기 중에서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답안 분포에 대한 요청 및 상기 답안 분포의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학습자 단말기를 특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답안 중에서 상기 특정된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답안의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답안 분포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다시 채점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다시 채점된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기재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학습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이 동작하는 환경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제3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는 제4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제5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은 제6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또는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를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러한 구성요소는 상기와 같은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용어는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구성요소일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또는 단계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또는 단계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는 의미를 내포한다.
다른 정의가 없다면,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공통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으로 또는 과도하게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 및 방법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이 동작하는 환경을 나타내는 네트워크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이 동작하는 환경은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 상기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연결된 교수자 단말기(110), 및 상기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120,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통신망에 연결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통신망은 유선 또는 무선 통신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망은 와이파이(Wi-fi), UMTS/GPRS, 이더넷(ethernet) 등의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망은 근거리 네트워크(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네트워크(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네트워크(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들 간을 연결하는 통신망은 적어도 어느 하나가 다른 구성요소들 간을 연결하는 통신망과 다른 종류일 수 있으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통신망이라는 용어를 모든 종류의 통신망을 아우르는 의미로 사용하기로 한다.
교수자 단말기(110)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연결될 수 있다. 교수자 단말기(110)는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연결될 수 있다. 교수자 단말기(110)는 교수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교수자 단말기(110)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거치형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교수자 단말기(110)는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연결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통신망을 통해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연결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는 하나의 학습자 단말기(120, 130) 또는 복수의 학습자 단말기(120, 130)가 연결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학습자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데스크탑 컴퓨터와 같은 거치형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랩탑 컴퓨터, 스마트폰, 태블릿 등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일 수 있다.
도 2는 제1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먼저,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100)가 수행될 수 있다. 교수자는 교수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문제, 정답, 해설, 및 힌트를 입력할 수 있고, 교수자 단말기(110)는 입력된 문제, 정답, 해설, 및 힌트를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된 문제, 정답, 해설, 및 힌트 중에서 문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상기 문제를 수신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상기 수신된 문제를 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문제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S110)가 수행될 수 있다. 학습자는 학습자 단말기(120, 130)를 이용하여 문제에 대한 답안을 입력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입력된 답안을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된 정답과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수신된 답안을 비교함으로써 채점을 수행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기 채점에 대한 결과를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상기 채점 결과를 수신하여 표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채점 결과를 확인하도록 할 수 있다. 채점 결과는 각 문제에 대한 답안이 정답과 동일한지 여부, 총점, 및 석차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 중에서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답안 분포에 대한 요청 및 상기 답안 분포의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자를 수신하는 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답안 분포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이 상기 문제에 대해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수신한 답안의 분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제는 객관식 문제이고, 상기 답안 분포는 전체 학습자들이 상기 문제에 대해 답안으로서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일 수 있다.
상기 답안 분포는 특정한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수신된 답안의 분포일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상기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기 채점 결과를 이용하여 전체 학습자에 대해 석차를 선출할 수 있다. 상기 답안 분포는 전체 학습자 중에서 상위 10% 이하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상기 문제에 대해 답안으로서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답안 분포는 전체 학습자 중에서 상위 10% 초과 20% 이하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답안 분포는 전체 학습자 중에서 상위 20% 초과 30% 이하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답안 분포는 전체 학습자 중에서 상위 30% 초과 40% 이하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답안 분포는 전체 학습자 중에서 상위 40% 초과 50% 이하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답안 분포는 전체 학습자 중에서 하위 10% 미만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상기 문제에 대해 답안으로서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답안 분포는 전체 학습자 중에서 하위 10% 이상 20% 미만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답안 분포는 전체 학습자 중에서 하위 20% 이상 30% 미만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답안 분포는 전체 학습자 중에서 하위 30% 이상 40% 미만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답안 분포는 전체 학습자 중에서 하위 40% 이상 50% 미만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일 수 있다.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채점 결과를 확인한 후에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답안 분포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표시된 버튼을 누르거나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답안 분포를 요청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는 제1 학습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조회하길 원하는 대상에 대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전체 학습자 중에서 상위 10% 이하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상기 문제에 대해 답안으로서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를 원하는 경우를 가정하기로 한다. 사용자는 대상에 대한 정보로서 "상위 10% 이하의 석차"를 입력할 수 있다. 제1 학습자 단말기(120)는 답안 분포에 대한 요청 및 상기 입력받은 대상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식별자를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학습자 단말기(120, 130)를 특정하고 상기 수신된 답안 중에서 상기 특정된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수신된 답안의 분포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수신된 대상 식별자가 상위 10% 이하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에 대응하는 경우,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위 10% 이하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답안으로서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를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기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S110)에서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답안 중에서 정답과 서로 상이한 답안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답안 분포를 참조하여,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상위 10% 이하의 석차 또는 채점 결과에 대응하는 학습자들이 답안으로서 선택한 선택지의 분포를 참조하여,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의 정답이 무엇인지에 대해 다시 고민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학습자 단말기(120)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정답이라고 생각하는 답안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제1 학습자 단말기(120)는 다시 입력된 답안을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16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150) 및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160)를 반복하는 단계(S17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150)에서 다시 수신한 답안 중에서 정답과 서로 상이한 답안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답안을 다시 수신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가 남지 않을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15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160)를 반복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다시 수신한 답안이 정답과 서로 동일할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15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160)를 반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교수자 단말기(110)에 의해 지정된 반복 횟수 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15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160)를 반복할 수 있다.
도 3은 제2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20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S21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22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23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24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230) 및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240)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S25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횟수는 교수자 단말기(110)에 의해 지정된 반복 횟수 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답안에 대한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수신하는 단계(S26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다시 수신된 답안 중에서 정답과 서로 상이한 답안에 대해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수신할 수 있다.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다시 입력한 답안 중에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의 채점 결과 정답과 상이하다고 판정된 답안에 대해 자신이 상기 답안을 선택한 근거 의견을 입력할 수 있다. 제1 학습자 단말기(120)는 입력된 근거 의견을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 할 수 있다.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는 다시 입력한 답안 중에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의 채점 결과 정답과 상이하다고 판정된 답안에 대해 자신이 상기 답안을 선택한 근거 의견을 입력할 수 있다. 제2 학습자 단말기(130)는 입력된 근거 의견을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된 상기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27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전송한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다른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수신한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문제는 모두 객관식 문제라고 가정하기로 한다. 각각의 문제의 각각의 선택지마다 상기 선택지에 대한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이 수신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각각의 선택지마다 게시판을 대응시킬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선택지에 대해 수신된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상기 선택지에 대응하는 게시판에 저장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선택지에 대한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전송한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상기 선택지에 대응하는 게시판에 이미 저장되어 있는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28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참조하여,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는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입력한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참조하여, 답안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제2 학습자 단말기(130)는 다시 입력된 답안을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29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280) 및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290)를 반복하는 단계(S299)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가 남지 않을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28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S290)를 반복할 수 있다. 또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가 남지 않을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28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S290)를 반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교수자 단말기(110)에 의해 지정된 반복 횟수 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28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전송하는 단계(S290)를 반복할 수 있다.
도 4는 제3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30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S31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32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33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기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S310)에서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수신한 답안 중에서 정답과 서로 상이한 답안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학습자 단말기(120, 13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34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330) 및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340)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S35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횟수는 교수자 단말기(110)에 의해 지정된 반복 횟수 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힌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360)가 수행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의 사용자는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아직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한 힌트를 요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표시된 버튼을 누르거나 메뉴를 선택함으로써 힌트를 요청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다시 수신한 답안 중에서 정답과 서로 상이한 답안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해 힌트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수신한 상기 힌트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37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380)가 수행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의 사용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힌트를 참조하여,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다시 입력된 답안을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학습자 단말기(120, 130)의 사용자가 아직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39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380) 및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390)를 반복하는 단계(S399)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학습자 단말기(120, 13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가 남지 않을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38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390)를 반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교수자 단말기(110)에 의해 지정된 반복 횟수 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38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390)를 반복할 수 있다.
도 5는 제4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40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S41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42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는 단계(S43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기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S410)에서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답안 중에서 정답과 서로 동일한 답안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해 힌트를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힌 문제에 대해 힌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정답을 맞힌 문제에 대해 힌트를 입력할 수 있다. 제1 학습자 단말기(120)는 입력받은 힌트를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44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45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440) 및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450)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S46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횟수는 교수자 단말기(110)에 의해 지정된 반복 횟수 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힌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S47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는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아직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한 힌트를 요청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상기 힌트를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48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49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힌트를 참조하여,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다시 입력된 답안을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아직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498)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490) 및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498)를 반복하는 단계(S499)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가 남지 않을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49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498)를 반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교수자 단말기(110)에 의해 지정된 반복 횟수 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49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498)를 반복할 수 있다.
도 6은 제5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먼저,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50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S51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52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53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기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S510)에서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수신한 답안 중에서 정답과 서로 상이한 답안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학습자 단말기(120, 13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54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530) 및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540)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S55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횟수는 교수자 단말기(110)에 의해 지정된 반복 횟수 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질문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질문내용을 상기 교수자 단말기(110)에 전송하는 단계(S560)가 수행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의 사용자는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아직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한 질문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다시 수신한 답안 중에서 정답과 서로 상이한 답안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해 질문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질문내용을 교수자 단말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질문내용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답변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570)가 수행될 수 있다. 교수자 단말기(110)의 사용자는 상기 질문내용을 확인한 뒤 교수자 단말기(110)를 이용하여 질문내용에 대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답변을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580)가 수행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의 사용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답변을 참조하여,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학습자 단말기(120, 130)는 다시 입력된 답안을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학습자 단말기(120, 130)의 사용자가 아직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59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580) 및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590)를 반복하는 단계(S599)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학습자 단말기(120, 13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가 남지 않을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58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590)를 반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교수자 단말기(110)에 의해 지정된 반복 횟수 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58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하는 단계(S590)를 반복할 수 있다.
도 7은 제6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방법이 수행되는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60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S61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62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630)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기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S610)에서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수신한 답안 중에서 정답과 서로 상이한 답안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64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630) 및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640)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S650)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특정한 횟수는 교수자 단말기(110)에 의해 지정된 반복 횟수 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일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질문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질문내용을 상기 교수자 단말기(110)에 전송하는 단계(S660)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표시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아직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한 질문내용을 입력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다시 수신한 답안 중에서 정답과 서로 상이한 답안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해 질문내용을 수신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상기 수신한 질문내용을 교수자 단말기(11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상기 질문내용에 대한 공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공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질문내용을 제2 학습자 단말기(130)에 전송하는 단계(S670)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질문내용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답변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68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 학습자 단말기(130)의 사용자는 상기 질문내용을 확인한 뒤 제2 학습자 단말기(130)를 이용하여 질문내용에 대한 답변을 입력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2 학습자 단말기(130)로부터 상기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답변을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690)가 수행될 수 있다.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으로부터 수신된 상기 답변을 참조하여,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입력할 수 있다. 제1 학습자 단말기(120)는 다시 입력된 답안을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전송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아직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698)가 수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690) 및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698)를 반복하는 단계(S699)가 수행될 수 있다.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제1 학습자 단말기(120)의 사용자가 정답을 맞히지 못한 문제가 남지 않을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69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698)를 반복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교수자 단말기(110)에 의해 지정된 반복 횟수 또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에 미리 설정된 반복 횟수에 도달할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S690)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하는 단계(S698)를 반복할 수 있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온라인 교육 시스템(100)은, 통신부(101), 저장부(102), 및 제어부(103)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01)는 교수자 단말기(110)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01)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부(101)는 예를 들어, 네트워크 어댑터 또는 기타 네트워크 장치일 수 있다.
저장부(102)는 상기 수신된 문제, 정답, 해설, 힌트, 및 답안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02)는 예를 들어, 램(RAM, Random Access Memory)과 같은 휘발성 메모리, 하드디스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기타 저장장치일 수 있다.
제어부(103)는 상기 저장된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답안을 채점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예를 들어, 중앙처리장치, 마이크로컨트롤러유닛, 또는 기타 제어장치일 수 있다.
통신부(101)는 상기 제어부(103)에 의해 채점된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01)는 상기 채점 결과를 전송한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 중에서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답안 분포에 대한 요청 및 상기 답안 분포의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자를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상기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120, 130)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학습자 단말기(120, 130)를 특정하고 상기 답안 중에서 상기 특정된 학습자 단말기(120, 130)로부터 수신된 답안의 분포를 산출할 수 있다.
통신부(101)는 상기 제어부(103)에 의해 산출된 답안 분포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통신부(101)는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할 수 있다. 통신부(101)는 상기 제어부(103)에 의해 다시 채점된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120)에 전송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들의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들의 학습 환경을 개선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온라인 교육 시스템
101: 통신부
102: 저장부
103: 제어부
110: 교수자 단말기
120: 제1 학습자 단말기
130: 제2 학습자 단말기

Claims (10)

  1.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가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되는 문제를 기반으로 학습자 단말기에 온라인 교육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서버가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된 답안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답안에 대한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각각의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답안 분포의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대상 식별자에 대응하는 답안 분포의 제공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 중에서 일부의 학습자 단말기를 특정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답안 중에서 상기 특정된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답안의 분포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채점하고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제1 학습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답안 중에서 상기 정답과 서로 상이한 답안에 대응하는 문제에 대해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다시 수신한 상기 답안이 상기 정답과 서로 동일할 때까지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힌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힌트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질문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질문내용을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내용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답변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복하는 단계는,
    상기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에 대한 채점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특정한 횟수만큼 반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반복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질문내용을 수신하고 상기 질문내용을 상기 교수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내용에 대한 공개 요청을 수신하고 상기 공개 요청에 대한 응답으로서 상기 질문내용을 상기 학습자 단말기 중에서 제2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질문내용에 대한 답변을 수신하고 상기 답변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온라인 교육 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힌트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상기 힌트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2 학습자 단말기는 상기 서버에 연결되는 복수의 학습자 단말기 중에서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와 구별되는 것인, 온라인 교육 방법.
  10. 교수자 단말기로부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문제, 상기 문제에 대한 정답, 상기 문제에 대한 해설, 및 상기 문제에 대한 힌트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문제를 적어도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에 대한 답안을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수신된 문제, 정답, 해설, 힌트, 및 답안을 저장하는 저장부; 및
    상기 저장된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답안을 채점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채점된 결과를 상기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채점 결과를 전송한 상기 학습자 단말기 중에서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답안 분포에 대한 요청 및 상기 답안 분포의 대상을 식별하는 대상 식별자를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대상 식별자를 이용하여 상기 학습자 단말기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학습자 단말기를 특정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답안 중에서 상기 특정된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답안의 분포를 산출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산출된 답안 분포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문제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문제에 대한 답안을 다시 수신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정답을 이용하여 상기 다시 수신된 답안을 다시 채점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에 의해 다시 채점된 결과를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고, 상기 통신부는 상기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상기 수신된 답안 중에서 적어도 일부의 답안에 대한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수신하고, 상기 통신부는 제1 학습자 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특정한 하나 이상의 학습자 단말기로부터 수신된 상기 답안 선택 근거 의견을 상기 제1 학습자 단말기에 전송하는, 온라인 교육 시스템.
KR1020150027968A 2015-02-27 2015-02-27 개인화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10164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968A KR101647751B1 (ko) 2015-02-27 2015-02-27 개인화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27968A KR101647751B1 (ko) 2015-02-27 2015-02-27 개인화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751B1 true KR101647751B1 (ko) 2016-08-11

Family

ID=567143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27968A KR101647751B1 (ko) 2015-02-27 2015-02-27 개인화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75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621A (ko) * 2018-11-19 2020-05-28 김제신 8품사 및 문장 내 사용역할로 성분을 구분하는 단순도해법을 이용한 영어문장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7113A (ko) * 2005-10-13 2008-08-21 킷 킹 키티 하우 맞춤형 교육 및 학습을 위한 컴퓨터-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5672A (ko) * 2012-10-09 2014-04-17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51607A (ko) * 2012-10-23 2014-05-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학습자의 능력 수준에 따른 분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66696B1 (ko) * 2013-07-16 2014-12-10 (주)제이케이데이터시스템즈 시험문제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77113A (ko) * 2005-10-13 2008-08-21 킷 킹 키티 하우 맞춤형 교육 및 학습을 위한 컴퓨터-지원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45672A (ko) * 2012-10-09 2014-04-17 김태기 스마트 폰을 이용한 온라인 학습 컨설팅 방법 및 시스템
KR20140051607A (ko) * 2012-10-23 2014-05-02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학습자의 능력 수준에 따른 분석 정보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466696B1 (ko) * 2013-07-16 2014-12-10 (주)제이케이데이터시스템즈 시험문제 관리 장치 및 그 관리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58621A (ko) * 2018-11-19 2020-05-28 김제신 8품사 및 문장 내 사용역할로 성분을 구분하는 단순도해법을 이용한 영어문장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149935B1 (ko) * 2018-11-19 2020-08-31 김제신 8품사 및 문장 내 사용역할로 성분을 구분하는 단순도해법을 이용한 영어문장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dedoja et al. Learners’ acceptance of the use of mobile phones to deliver tutorials in a distance learning context: A case study at the University of Ibadan
CN107481170A (zh) 一种课程推荐方法、装置、选课服务器及存储介质
KR101460090B1 (ko) 클라우드 컴퓨팅 기반 n 스크린 스마트 교육 시스템 및 그 방법
Ahmed et al. MALL and EFL learners’ speaking: Impacts of Duolingo and WhatsApp applications on speaking accuracy and fluency
RU2272324C2 (ru) Система дистанционного обучения
KR20180005877A (ko) 사용자 단말을 이용한 외국어 학습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CN105374249A (zh) 一种移动终端中基于图片显示的在线习题测试方法
CN109300349A (zh) 一种基于网络学习平台的高效远程教育管理系统
US20160098938A1 (en) Method, server, and system for providing learning service
KR20130134049A (ko) 학습자 맞춤형 학습설계 기반 학습관리시스템과 학습자 맞춤형 학습설계 방법
KR102282798B1 (ko) 지능형 학습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Rizzardini et al. An open online course with accessibility features
KR101647751B1 (ko) 개인화된 온라인 교육 시스템 및 방법
CN103905562A (zh) 一种跨屏无线交互平台
JP2003228278A (ja) レベル判定装置、遠隔教育装置及び遠隔教育システム
KR20150015704A (ko)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US20160203724A1 (en) Social Classroom Integration And Content Management
KR20200108575A (ko) 퀴즈서비스장치 및 그 장치의 구동방법
KR101474791B1 (ko) 푸시 알림 기능을 이용한 원격학습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20121517A (ko) 클래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N110753373A (zh) 一种用于智能数学媒体教学系统的数据传输方法及系统
Buck et al. Teens becoming researchers: Pedagogical considerations when designing coresearch
de Witt et al. New communication and new learning: The transformation of higher education by mobile learning
Sawsaa et al. Using an application of mobile and wireless technology in Arabic learning system
KR20140009628A (ko) 자기주도 온라인 학습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