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7463B1 -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7463B1
KR101647463B1 KR1020150035240A KR20150035240A KR101647463B1 KR 101647463 B1 KR101647463 B1 KR 101647463B1 KR 1020150035240 A KR1020150035240 A KR 1020150035240A KR 20150035240 A KR20150035240 A KR 20150035240A KR 101647463 B1 KR101647463 B1 KR 1016474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
rail
steel sheet
rolling
ro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52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온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탑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탑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탑스코
Priority to KR10201500352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746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7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74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35/00Combined processes according to or 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21D35/002Processes combined with methods covered by groups B21D1/00 - B21D31/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BROLLING OF METAL
    • B21B37/00Control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metal-rolling mills or the work produced thereby
    • B21B37/46Roll speed or drive motor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28/00Shaping by press-cutting; Perforating
    • B21D28/24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 B21D28/26Perforating, i.e. punching holes in sheets or flat par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43/00Feeding, positioning or storing devices combined with, or arranged in,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apparatus for working or processing sheet metal, metal tubes or metal profiles; Associations therewith of cutting devices
    • B21D43/20Storage arrangements; Piling or unpi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WORKING OR PROCESSING OF SHEET METAL OR METAL TUBES, RODS OR PROFILES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D5/00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 B21D5/06Bending sheet metal along straight lines, e.g. to form simple curves by drawing procedure making use of dies or forming-rollers, e.g. making prof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 Ro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언코일러, 압연기, 롤포밍기, 프레스를 순차적으로 거쳐 일련의 공정으로 레일을 제조하도록 한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는 강판을 언코일하는 언코일러(100)와, 상기 언코일러(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언코일되는 강판을 설정된 두께로 압연하는 압연기(200)와, 상기 압연기(2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압연된 강판을 진행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절곡시켜 소정의 레일 형태로 성형하는 롤포밍기(300)와, 상기 롤포밍기(3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성형된 레일에 구멍을 천공하고,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프레스(400)와, 상기 프레스(400)의 후단에 절단된 레일을 적재하여 보관하기 위한 적재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압연기(200)의 입측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동작하면서 상기 언코일러(100)에서 언코일되는 강판의 상하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600)가 설치되며, 상기 압연기(200)는 상기 이물질제거부(600)가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테이블(6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제거부(600)를 통과한 강판을 사이 틈새로 통과시키면서 강판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압연하는 압연롤러(21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강판의 좌우측을 지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의 유동이 차단된 채로 진행되도록 하는 지지롤러(22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전단에 절삭유를 분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절삭유분사호스(23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후단에 지지롤러(220)의 후방 상하부에 위치되게 마련되는 안내롤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Manufacturing device of slide rail}
본 발명은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언코일러, 압연기, 롤포밍기, 프레스를 순차적으로 거쳐 일련의 과정으로 레일을 제조하도록 한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슬라이드 레일은 서랍이 내재된 책상이나 캐비넷 또는 김, 등의 식물을 넣어서 보관하기 위한 서랍이 적재된 김치냉장고, 식기세척기, 온냉장고, 와인냉장고 등 수납기구의 내측 양면에 설치되어 서랍을 원활하게 열리도록 한 금속판체의 레일로, 통상 두 개 내지 세 개의 레일이 구비된다.
두 개의 레일로 구성된 슬라이드레일은 수납기구의 벽면에 체결수단에 의해 일체로 고정되는 외측레일과, 이 외측레일로분터 원활하게 움직이는 내측레일로 구성되는 것이고, 세 개의 레일로 구성된 경우는 상기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에 중간레일이 구비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된 특허등록공고번호 제1993-1122호에 보는 바와 같이, 내측레일과 외측레일에 형성되어 있는 각 굴곡연부와 이것에 의하여 쌓여지게 되어 있는 회전체의 상호 외주곡율이 대략 동일하게 형성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회전체간에 중간회전체를 회전하게 장설하는데 있어 내측레일과 외측레일의 내면측에 회전지지부를 돌설하고, 당해 지지부에 요조홈을 형성하여 이 요조홈에 이것과 외주곡율을 대략 동일하게 한 상기 중간회전체가 협지되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슬라이드레일은 통상 1.3 ~ 2mm 정도의 냉간 압연강판을 롤 포밍을 이용한 성형방법에 따라 외측레일과 내측레일로 성형한 다음 산처리로 세척하여 건조시키고, 이렇게 제작된 외측레일과 내측레일 사이에 다수개의 볼베어링을 수작업에 의해서 일정한 간격으로 삽입, 장착하여서 내측레일이 외측레일 내에서 원활하게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도록 이루어져 있다.
종래의 슬라이드레일은 별도 압연공장에서 강판을 슬라이드레일 두께에 맞는 두께로 압연하고, 압연된 강판을 구매하여 언코일러에 거치한 후 언코일하면서 롤포밍기를 통과시켜 내측레일과 외측레일의 형태로 순차적으로 절곡부위를 형성한 다음 일정 길이로 절단한 후 적재하고, 적재된 각각의 레일을 프레스로 운반하여 프레스공정을 거쳐 레일 상의 선택된 위치에 구멍을 천공하여 비로소 슬라이드레일에 사용되는 레일로 제조하였다.
그러나 종래에는 각각의 과정이 일련의 공정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별개로 이루어지면서 레일을 제조함에 따라 슬라이드레일의 제조비용이 증가되는 문제가 있었고, 또한 프레스공정을 거쳐 절단된 레일에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에서 레일의 절곡각도가 변경되어져 제품규격이 맞지 않아 불량품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0259515호(등록일: 2000.03.23, 발명의 명칭: 롤포밍기 및 롤포밍기용 스택커) 등록특허공보 제0819550호(등록일; 2008.03.28, 발명의 명칭: 슬라이드 언더레일 제조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언코일러, 압연기, 롤포밍기, 프레스를 순차적으로 설치하여 일련의 과정으로 슬라이드레일을 제조함으로써 단시간내에 레일의 제조가 가능하고, 프레스 후단에 절곡보정기를 설치함으로써 절곡각도 보정을 통해 레일의 절곡각도 변경에 따른 불량품 발생을 방지하도록 한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구성은, 강판을 언코일하는 언코일러(100)와, 상기 언코일러(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언코일되는 강판을 설정된 두께로 압연하는 압연기(200)와, 상기 압연기(2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압연된 강판을 진행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절곡시켜 소정의 레일 형태로 성형하는 롤포밍기(300)와, 상기 롤포밍기(3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성형된 레일에 구멍을 천공하고,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프레스(400)와, 상기 프레스(400)의 후단에 절단된 레일을 적재하여 보관하기 위한 적재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압연기(200)의 입측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동작하면서 상기 언코일러(100)에서 언코일되는 강판의 상하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600)가 설치되며, 상기 압연기(200)는 상기 이물질제거부(600)가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테이블(6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제거부(600)를 통과한 강판을 사이 틈새로 통과시키면서 강판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압연하는 압연롤러(21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강판의 좌우측을 지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의 유동이 차단된 채로 진행되도록 하는 지지롤러(22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전단에 절삭유를 분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절삭유분사호스(23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후단에 지지롤러(220)의 후방 상하부에 위치되게 마련되는 안내롤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이때, 상기 압연기(200)에는 절삭유분사호스(230)의 일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압연롤러롤 인입되기 전의 강판 상하면에 에어를 분사하도록 에어분사호스(25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압연롤러(210)의 전단과 후단에는 상기 절삭유분사호스(230)에서 강판 표면에 분사된 절삭유가 전방과 후방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절삭유차단유닛(260)이 설치되고, 압연기와 롤포밍기의 사이에는 상기 롤포밍기(300)로 인입되는 강판의 처짐상태를 체크하여 그 처짐상태에 따라 상기 압연롤러(2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강판의 압연속도를 제어하도록 강판속도제어부재(270)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재부(500)의 후단에는 적재된 레일을 작업자가 하나씩 레일의 측면 절곡형태와 측면형상이 동일한 보정롤러(810) 사이로 통과시키도록 하여 레일의 절곡각도를 보정하도록 절곡보정기(8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의 구성으로 이루어진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에 따르면, 일련의 과정을 거쳐 슬라이드레일을 제조함으로써 레일의 제조시간 단축은 물론, 비용을 절감할 수 있으며, 레일의 절곡각도 변경에 따른 불량품 발생을 방지하여 품질향상은 물론, 제품 신뢰성 향상으로 타사의 제품에 비해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를 보인 개략적인 측면상태도,
도 1b는 도 1a의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를 통해 순차적으로 제조되는 레일의 제조상태를 보인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에서 압연기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압연기에 설치되는 절삭유차단유닛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압연상태를 보인 압연기의 단면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의 압연과정을 보인 개략적인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강판속도제어부재를 보인 상태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이동부재에 설치된 프레스를 보인 개략적인 상태도,
도 10은 도 9의 후방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11a 내지 도 11e는 본 발명에 따른 프레스이동부재에서 이동되면서 레일을 천공하고 절단하는 프레스의 상태를 보인 순서도,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길이측정기의 개략적인 설치상태도,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수평이동감지부재를 보인 사시도,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절곡보정기를 보인 사시도,
도 15는 도 14에서 보정롤러를 통과하는 레일을 보인 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는 강판을 언코일하는 언코일러(100), 그 언코일러 후단에 위치하는 압연기(200), 압연기의 후단에 위치하는 롤포밍기(300), 롤포밍기의 후단에 위치하는 프레스(400), 프레스의 후단에 위치하는 적재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압연기(200)의 입측에는 이물질제거부(600)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언코일러와 압연기와 롤포밍기와 프레스와 적재부를 순차적으로 일렬로 설치하여 강판이 상기 구성들을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슬라이드레일로 제조되도록 한 것이다.
상기 언코일러(100)에 감겨진 강판은 상기 압연기의 압연롤러(210)가 강판 상하면을 맞물어서 당김으로써 언코일러에서 언코일된다.
따라서, 상기 압연롤러(210)의 회전속도에 따라 언코일러에서 언코일되는 강판의 이동속도가 결정되는 것이며, 상기 압연롤러가 빠르게 회전되는 경우 강판이 빠르게 언코일되고, 압연롤러가 천천히 회전되면 강판이 그에 대응하여 천천히 언코일되어 지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압연롤러(210)의 회전속도는 강판의 롤포밍속도에 따른 롤포밍기로 인입되는 강판의 상태를 감지하여 그에 따라 압연롤러의 회전속도가 달라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상기 압연기(200)는 언코일러에서 언코일되는 강판을 압연하는 장치로서, 압연롤러(210) 사이로 강판을 통과시키도록 하여 슬라이드레일 두께로 압연하게 된다.
상기 언코일러에 권취되는 강판은 통상 2.3 ~ 3mm 정도의 두께로 생산되는 강판을 사용하는 것이 대부분이고, 슬라이드레일은 1.3 ~ 2mm의 두께의 강판으로 제조함에 따라 압연과정을 거쳐야 하는 것이다.
종래에는 별도 압연업체에서 강판을 압연하고, 그 압연된 강판을 슬라이드레일 제조업체에서 구매한 후 롤포밍하여 슬라이드레일로 제조하고 있는 실정이나, 운반비용이나 시간에 따른 문제가 있어 본 발명에서는 압연과정과 롤포밍과정 및 구멍천공과정과 절단과정을 일련의 과정으로 하여 슬라이드레일을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상기 압연기(200)는 지면에서 일정 높이로 설치하기 위해 상기 이물질제거부(600)가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테이블(610)의 상부에 설치되어 있다. 구체적인 구조는 상기 이물질제거부(600)를 통과한 강판을 사이 틈새로 통과시키면서 강판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압연하는 압연롤러(21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강판의 좌우측을 지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의 유동이 차단된 채로 진행되도록 하는 지지롤러(22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전단에 절삭유를 분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절삭유분사호스(23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후단에 지지롤러(220)의 후방 상하부에 위치되게 마련되는 안내롤러(240)를 포함한다.
상기 압연롤러(210)의 외측으로는 압연롤러를 지지하여 압연롤러가 밀리지 않도록 가압롤러(215)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가압롤러(215)는 고정수단에 의해 그 위치가 고정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 절삭유분사호스(230)는 강판이 압연롤러에 눌러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압연롤러에 절삭유를 분사하여 주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절삭유분사호스는 절삭유저장탱크에 펌프로 연결되어 절삭유를 공급받음은 당연하다.
상기 압연롤러와 가압롤러 및 고정수단과 절삭유분사호스는 압연기의 일반적인 공지의 구조이므로 세부적인 설명은 하지 않기로 하고, 상기 지지롤러(22)는 강판의 좌우측을 지지하여 주기 위한 롤러로서, 1열 이상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안내롤러(240)는 압연롤러로의 강판 인입과 압연롤러를 통과하여 인출되는 강판이 상하방향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고, 압연롤러에서의 정확한 압연과정이 수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설치되는 구성이다.
또한, 상기 압연기(200)에는 절삭유분사호스(230)의 일측에 위치되게 에어분사호스(250)가 설치된다. 상기 에어분사호스(250)를 설치한 이유는 압연롤러롤 인입되기 전의 강판의 상하면에 에어를 분사하도록 하여 강판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함이다.
상기 에어분사호스는 에어콤프레샤 등에 연결되어 있음은 당연하다.
여기서, 상기 압연롤러는 전단에서 후단으로 갈수록 그 롤러 사이간격이 작아지도록 단계적으로 배열하여 압연롤러 사이를 순차적으로 통과하면서 단계적으로 강판의 압연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압연롤러(210)는 인입되는 강판을 1차적으로 압연하는 제1압연롤러(211)와, 그 제1압연롤러(211)의 후단에 1차적으로 압연된 강판을 설정된 두께로 2차 압연하도록 제1압연롤러(211)보다 그 사이간격이 작은 1열 이상의 제2압연롤러(212)로 구성된다.
상기 제1압연롤러(211)와 제2압연롤러(212)의 설치로 인해 롤러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음은 물론, 강판을 효과적으로 압연할 수 있게 되며, 압연품질을 높일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압연롤러(210)의 전단과 후단에는 각각 상기 절삭유분사호스(230)에서 강판 표면과 압연롤러로 분사된 절삭유가 강판 표면을 통해 압연롤러의 전방부분과 후방부분으로 밀려나오는 것이 방지되도록 절삭유차단유닛(260)이 설치된다.
상기 절삭유차단유닛(260)의 일 실시예로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강판의 상면에 밀착되어 절삭유가 밀려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절삭유차단패드(261)와, 일측에 상기 절삭유차단패드(261)가 결합되고 타측은 횡봉(264)에 관통되어 자중에 의해 회동되게 마련되는 패드고정바(262)와, 상기 횡봉(264)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압연기(200)에 고정되는 브라켓(263)과, 상기 브라켓(263)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트결합되어 상기 패드고정바(262)의 타측 상단을 지지하여 패드고정바(262)의 회동을 차단하는 회동제어볼트(26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고정바(262)가 자중에 의해 회동되면서 절삭유차단패드(261)를 강판 표면에 밀착시키게 되는 것이고, 상기 회동제어볼트(265)를 이용하여 패드고정바(262)의 회동각도를 조절함으로써 강판 표면에의 밀착강도를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삭유분사호스(230)에서 분사된 절삭유는 테이블(610)의 상면으로 흐른 후 테이블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절삭유이동로(611)를 따라 이동되어 배수구를 통해 절삭유저장통(미도시)에 저장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상기 압연기(200)의 후단에는 롤포밍기(300)로 인입되는 강판의 속도를 체크하여 압연속도를 제어하도록 강판속도제어부재(270)가 설치된다.
상기 강판속도제어부재(270)를 통한 강판속도를 체크하기 위해, 상기 언코일러에서 압연기로 인입되는 강판에 비해 상기 롤포밍기로 진입하는 강판을 아래로 더 처지게 하여 인입시키도록 하고, 그 처짐상태를 체크하여 그 처짐상태로 강판속도를 체크하여 상기 압연롤러(2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강판속도제어부재(270)는 상기 롤포밍기(300)로 인입되는 강판의 상면에 일단이 걸쳐지도록 형성된 속도측정바(271)와, 그 속도측정바(271)의 타단에 설치되어 속도측정바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된 경우 모터제어부(273)에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각도감지부(272)와, 상기 각도감지부(272)에서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압연롤러(21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27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따라서, 롤포밍기(300)의 포밍속도가 빨려져 처진 강판이 빠르게 인입되면서 처진 강판이 상승하게 되면, 속도측정바(271)의 일단이 강판의 상승에 따라 함께 상승하면서 타단이 하강하게 되고, 그와 함께 속도측정바의 각도가 틀려지게 되면서 설정각도 이상으로 회전된 경우 이를 각도감지부가 감지하여 모터제어부가 감지신호를 전달하게 되는 것이며, 모터제어부에서는 즉시 압연롤러의 회전속도를 증가시켜 강판의 압연속도가 더 빠르게 수행되도록 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 롤포밍기(300)는 상기 압연기(200)를 통과하여 압연된 강판을 순차적으로 이동시키면서 강판의 측면을 절곡하여 레일로 성형하는 장치로서, 롤포밍롤러를 일정 간격으로 다수개 배열하여 강판을 이동시키면서 점차적으로 측면을 절곡하여 소정의 레일형태로 포밍하게 되는 것이며, 공지의 롤포밍기(300)를 사용한다.
상기 프레스(400)는 롤포밍기(300)를 통과하여 레일로 성형된 강판에 구멍을 천공함은 물론,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기 위한 구성이다. 상기 레일에 구멍을 천공하는 과정과 절단하는 과정은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고, 구멍천공 후 절단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프레스(400)는 상기 롤포밍기(300)를 통과한 레일의 높이와 동일높이로 진입시키면서 구멍천공과 절단작업을 수행하도록 이루어져야 함에 따라 프레스테이블(420)의 상부에 설치하도록 한다.
상기 프레스(400)는 상면에 레일을 받쳐 지지하도록 레일받침판(431)이 구비된 프레스지지판(430)과, 상기 레일받침판(431)에 지지된 레일을 천공하여 홀을 형성하고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가압부(440)와, 상기 가압부(44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레스제어기(41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프레스지지판(430)은 롤포밍기를 통과한 레일을 받쳐주기 위한 구성으로, 상면에 레일을 받쳐주기 위해 레일받침판(431)이 구비되어 있다.
상기 가압부(440)는 고정판과 가압판, 실린더, 칼날 등을 모두 포함하는 구성으로, 통상의 프레스 가압부분을 이루는 구성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프레스(400)는 이동가능하게 설치되고, 레일과 동일속도로 이동되면서 레일에 구멍을 천공함과 아울러 그 후단의 레일부분을 절단하게 된다.
이를 위해 상기 프레스테이블(420)에는 상기 프레스지지판(430)을 전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레일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가압부(440)를 통해 레일에 홀 형성작업과 절단작업을 수행하도록 프레스이동부재(450)가 설치된다.
상기 프레스이동부재(450)는 상기 프레스테이블(4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지지판(430)의 하부가 결속되어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동안내레일(451)과, 상기 프레스테이블(420)의 상부 일측에 상기 프레스지지판(430)의 일측을 관통하여 나선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정역모터(455)의 정역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프레스지지판(43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축(452)과, 상기 프레스테이블(42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천공과 절단작업을 수행한 상기 프레스(400)가 전방향으로 리턴 이동되는 경우 그 리턴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453)를 포함한다.
따라서, 상기 프레스는 가압동작 후 이동안내레일을 따라 상기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 위치에까지 전방향으로 이동하여 리턴되는 것이고, 이 후 레일의 속도와 동일속도로 이동하면서 가압위치에 도달하면 가압동작하는 것이다.
프레스의 이동에 따른 작동과정을 도 11a 내지 도 11e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레일과 함께 프레스테이블의 말단으로 이동된 프레스는 가압부(440)의 가압동작을 통해 레일의 천공과 절단작업을 수행한다(도 11a). 이때 레일의 천공과 절단작업에서 절단에 사용되는 칼날은 가압부의 말단에 구비되어 있어 가압부를 통해 천공과 절단작업시 천공되는 부분은 절단되지 않은 레일에 형성되는 것이고, 절단되는 부분은 이미 그 앞단계에서 천공된 부분을 절단하게 되는 것이다.
가압동작을 통해 천공과 절단작업을 수행한 후에는 가압부(440)가 상승되고(도 11b), 이 후 프레스가 전방의 리미트스위치가 설치된 위치까지 이동된 후(도 11c) 레일의 절단부위에 맞춰 레일의 진행속도와 동일속도로 프레스가 진행하고(도 11d), 가압위치에 도달하면(도 11e) 가압부가 동작하면서 레일을 가압하여 천공과 절단을 수행하게 된다.(도 11a)
천공과 절단후에는 다시 전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을 반복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프레스테이블(420)에는 프레스의 리턴 이동동작시 리미트스위치를 넘어 전방향으로 이동되거나 절단과정을 거친 후 리턴되지 않고 계속해서 이동되는 경우 해당 구간에서 이를 감지하도록 제2리미트스위치(454)가 설치된다.
상기 제2리미트스위치(454)에서 감지한 신호는 상기 정역모터(455)를 제어하는 제어기(미도시)와 상기 프레스제어기(410)로 전달되고, 그 신호에 따라 정역모터와 가압부의 동작이 제어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레일의 절단길이는 프레스의 전단에 설치되는 레일길이측정기(460)에서 측정된 정보를 프레스제어기(410)가 전달받아 상기 가압부를 제어함으로써 해당 길이로 절단하게 된다.
상기 레일길이측정기(460)는 프레스로 진입하는 레일을 측정하기 위한 것으로, 롤포밍기 사이에 설치되는 로터리엔코더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프레스(400)의 전단에는 롤포밍기(300)를 거쳐 성형된 레일이 처지지 않고 프레스(400)에 수평이동상태로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도록 수평이동감지부재(700)가 설치된다.
상기 수평이동감지부재(700)는 성형된 레일의 상면과 하면에 소정거리로 이격되도록 각각 상부감지바(710)와 하부감지바(720)가 구비된다.
상기 상부감지바(710)는 레일이 상방으로 출렁이는 경우 감지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하부감지바(720)는 레일이 하방으로 처지는 경우에 감지하기 위한 것이며, 상기 상부감지바와 하부감지바에서 감지된 경우 레일이 프레스에 수평으로 진입되지 않지 않기 때문에 신호감지시 프레스의 작동을 중지시키도록 제어하게 된다.
상기 적재부(500)는 프레스 후단에 설치되어 절단된 레일을 보관하기 위한 구성으로, 박스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주요 특징부 구성으로, 상기 압연기(200)의 입측에 설치되는 이물질제거부(600)는 언코일러에서 언코일되는 강판의 상하면에 접촉된 채로 모터에 의해 회전동작하면서 표면에 묻은 이물질을 제거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이물질제거부(600)는 강판의 표면에 와이어가 접촉되어 와이어를 통해 이물질을 쓸어내면서 제거하는 와이어브러쉬로 구성할 수 있다.
상기 이물질제거부(600)의 설치로 인해 강판이 매끄럽게 압연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이물질이 강판의 표면에 묻은 상태로 압연되는 것을 방지하여 압연품질을 향상시키게 된다.
한편, 상기 프레스를 통해 절단된 레일은 천공과 절단과정을 거치면서 레일의 측면 절곡각도가 변형될 수 있다.
변형된 절곡각도를 다시 보정하기 위해, 상기 적재부(500)의 후단에는 절곡보정기(80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절곡보정기(800)는 내부에 한 쌍의 보정롤러(810)가 1열 이상 설치되어 있어, 작업자가 레일을 하나씩 진입시키면서 보정롤러(810) 사이를 통과시키도록 하여 절곡각도를 보정하게 된다.
상기 보정롤러(810)의 측면형상은 레일의 측면 절곡형태와 동일한 형태로 절곡되어 있는 것이며, 한 쌍의 보정롤러 사이를 통과하면서 절곡각도가 보정되는 것이다.
상기 절곡보정기(800)에는 상기 한 쌍의 보정롤러(810) 사이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롤러간격제어부(820)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롤러간격제어부(820)는 한 쌍의 보정롤러의 수직축에 기어결합되게 구성하여 보정롤러의 간격을 조절하거나 이외에도 보정롤러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구조이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절곡보정기(800)의 입측에는 보정롤러(810)로 인입되는 레일을 지지하여 수평으로 진입되게 하도록 레일지지대(830)가 설치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절곡보정기(800)의 설치로 인해, 레일의 구멍천공과정과 절단과정을 거치면서 변경된 절곡각도를 보정할 수 있음으로써 불량품 발생을 방지함은 물론 고품질의 레일을 생산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르면, 언코일러와 압연기, 롤포밍기, 프레스, 적재부가 순차적으로 설치되어 있어 일련의 과정을 거치면서 슬라이드레일을 제조할 수 있고, 그에 따라 각각의 과정을 별개로 진행하였던 것에 비해 제조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고, 단시간내에 레일을 생산할 수 있음은 물론, 대량생산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특히, 이물질제거부와 절곡보정기가 더 설치되어 있어 품질면에서 타제품에 비해 월등히 높은 고품질의 제품을 제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0: 언코일러 200: 압연기
210: 압연롤러 211: 제1압연롤러
212: 제2압연롤러 215: 가압롤러
220: 지지롤러 230: 절삭유분사호스
240: 안내롤러 250: 에어분사호스
260: 절삭유차단유닛 261: 절삭유차단패드
262: 패드고정바 263: 브라켓
264: 횡봉 265: 회동제어볼트
270: 강판속도제어부재 271: 속도측정바
272: 각도감지부 273: 모터제어부
300: 롤포밍기 400: 프레스
410: 프레스제어기 420: 프레스테이블
430: 프레스지지판 431: 레일받침판
440: 가압부 450: 프레스이동부재
451: 이동안내레일 452: 회전축
453: 리미트스위치 454: 제2리미트스위치
455: 정역모터 460: 레일길이측정기
500: 적재부 600: 이물질제거부
610:: 테이블 611: 절삭유이동로
700: 수평이동감지부재 710: 상부감지바
720: 하부감지바 800: 절곡보정기
810: 보정롤러 820: 롤러간격제어부
830: 레일지지대

Claims (11)

  1. 강판을 언코일하는 언코일러(100)와,
    상기 언코일러(1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언코일되는 강판을 설정된 두께로 압연하는 압연기(200)와,
    상기 압연기(2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압연된 강판을 진행시키면서 순차적으로 절곡시켜 소정의 레일 형태로 성형하는 롤포밍기(300)와,
    상기 롤포밍기(300)의 후단에 설치되어 성형된 레일에 구멍을 천공하고,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프레스(400)와,
    상기 프레스(400)의 후단에 절단된 레일을 적재하여 보관하기 위한 적재부(500)를 포함하고,
    상기 압연기(200)의 입측에는 모터에 의해 회전동작하면서 상기 언코일러(100)에서 언코일되는 강판의 상하면에 접촉되어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제거부(600)가 설치되며,
    상기 압연기(200)는 상기 이물질제거부(600)가 상부 일측에 설치되는 테이블(61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이물질제거부(600)를 통과한 강판을 사이 틈새로 통과시키면서 강판의 상하면을 가압하여 압연하는 압연롤러(21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전,후에 각각 설치되어 강판의 좌우측을 지지하여 좌우측 방향으로의 유동이 차단된 채로 진행되도록 하는 지지롤러(22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전단에 절삭유를 분사하기 위해 설치되는 절삭유분사호스(230)와, 상기 압연롤러(210)의 후단에 지지롤러(220)의 후방 상하부에 위치되게 마련되는 안내롤러(24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200)에는 절삭유분사호스(230)의 일측에 위치되게 설치되어 압연롤러롤 인입되기 전의 강판 상하면에 에어를 분사하도록 에어분사호스(25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러(210)는 인입되는 강판을 1차적으로 압연하는 제1압연롤러(211)와, 그 제1압연롤러(211)의 후단에 1차적으로 압연된 강판을 설정된 두께로 2차 압연하도록 제1압연롤러(211)보다 그 사이간격이 작은 1열 이상의 제2압연롤러(2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롤러(210)의 전단과 후단에는 상기 절삭유분사호스(230)에서 강판 표면에 분사된 절삭유가 전방과 후방으로 밀려나오는 것을 방지하도록 각각 절삭유차단유닛(260)이 설치되어 지되,
    상기 절삭유차단유닛(260)은, 강판의 상면에 밀착되어 절삭유가 밀려나가는 것을 차단하는 절삭유차단패드(261)와, 일측에 상기 절삭유차단패드(261)가 결합되고 타측은 횡봉(264)에 관통되어 자중에 의해 회동되게 마련되는 패드고정바(262)와, 상기 횡봉(264)이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압연기(200)에 고정되는 브라켓(263)과, 상기 브라켓(263)에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볼트결합되어 상기 패드고정바(262)의 타측 상단을 지지하여 패드고정바(262)의 회동을 차단하는 회동제어볼트(26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연기(200)에서 롤포밍기(300)로 인입되는 강판은 상기 언코일러에서 압연기로 인입되는 강판에 비해 아래로 더 처지게 하여 인입시키도록 하고, 롤포밍기(300)로 인입되는 강판의 처짐상태를 체크하여 그 처짐상태에 따라 상기 압연롤러(210)의 회전속도를 제어하여 강판의 압연속도를 제어하도록 강판속도제어부재(270)가 설치되어 지되,
    상기 강판속도제어부재(270)는, 상기 롤포밍기(300)로 인입되는 강판의 상면에 일단이 걸쳐지도록 형성된 속도측정바(271)와, 그 속도측정바(271)의 타단에 설치되어 속도측정바의 회전각도를 감지하여 설정된 각도 이상으로 회전된 경우 모터제어부(273)에 감지신호를 전달하는 각도감지부(272)와, 상기 각도감지부(272)에서 전달받은 감지신호에 따라 상기 압연롤러(210)를 회전시키는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부(27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400)는, 프레스테이블(420)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면에 레일을 받쳐 지지하도록 레일받침판(431)이 구비된 프레스지지판(430)과, 상기 레일받침판(431)에 지지된 레일을 천공하여 홀을 형성하고 설정된 길이로 절단하는 가압부(440)와, 상기 가압부(44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레스제어기(410)로 구성되고,
    상기 프레스테이블(420)에는 상기 프레스지지판(430)을 전방향으로 이동시킨 후 레일의 이동속도와 동일한 속도로 후방향으로 이동시키면서 상기 가압부(440)를 통해 레일에 홀 형성작업과 절단작업을 수행하도록 프레스이동부재(450)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이동부재(450)는, 상기 프레스테이블(42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프레스지지판(430)의 하부가 결속되어 슬라이딩이동되도록 안내하는 이동안내레일(451)과, 상기 프레스테이블(420)의 상부 일측에 상기 프레스지지판(430)의 일측을 관통하여 나선결합되도록 설치되어 정역모터(455)의 정역회전동작에 의해 상기 프레스지지판(430)을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회전축(452)과, 상기 프레스테이블(420)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어 후방향으로 이동되어 천공과 절단작업을 수행한 상기 프레스(400)가 전방향으로 리턴 이동되는 경우 그 리턴위치를 결정하기 위한 리미트스위치(45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400)의 전단에는 롤포밍기(300)를 거쳐 성형된 레일이 처지지 않고 프레스(400)에 수평이동상태로 진입하는지를 감지하도록 성형된 레일의 상면과 하면에 소정거리로 이격되어 각각 상부감지바(710)와 하부감지바(720)가 구비된 수평이동감지부재(700)가 설치되고,
    상기 수평이동감지부재(700)는 상기 프레스제어기(410)에 감지신호를 전달하고, 상기 프레스제어기(410)에서는 상기 상부감지바(710) 또는 하부감지바(720)로 부터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경우 프레스의 작동을 중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스(400)의 전단에는 프레스로 진입하는 레일의 길이를 측정하여 상기 프레스제어기(410)로 전달하도록 레일길이측정기(460)가 설치되고,
    상기 프레스제어기(410)에서는 전달받은 길이정보를 토대로 설정된 길이로 레일을 절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500)의 후단에는 적재된 레일을 작업자가 하나씩 레일의 측면 절곡형태와 측면형상이 동일한 보정롤러(810) 사이로 통과시키도록 하여 레일의 절곡각도를 보정하도록 절곡보정기(800)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KR1020150035240A 2015-03-13 2015-03-13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KR1016474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240A KR101647463B1 (ko) 2015-03-13 2015-03-13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5240A KR101647463B1 (ko) 2015-03-13 2015-03-13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7463B1 true KR101647463B1 (ko) 2016-08-10

Family

ID=567136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5240A KR101647463B1 (ko) 2015-03-13 2015-03-13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7463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987B1 (ko) * 2016-09-30 2016-12-22 해신철강 주식회사 철근 굴곡 절단장치
CN109317968A (zh) * 2018-11-23 2019-02-12 浙江上建风机有限公司 风筒生产一体机及其生产工艺
CN111618176A (zh) * 2020-06-30 2020-09-04 深圳钰翔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钣金冲压生产线
KR102257593B1 (ko) * 2020-11-12 2021-06-03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슬라이드 레일의 전자변 파이로트 성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WO2023000004A3 (de) * 2021-07-23 2023-03-16 Julius Blu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wenigstens einer bauteilkomponente für einen möbelbeschlag
KR102521206B1 (ko) * 2022-09-02 2023-04-18 주식회사 디앤디이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2812U (ja) * 1982-10-15 1984-04-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ロ−ルフオ−ミング式金属管成形装置
KR100259515B1 (ko) 1997-10-15 2000-06-15 윤석봉 롤포밍기 및 롤포밍기용 스택커
KR20020061859A (ko) * 2001-01-18 2002-07-25 맹춘태 폐단면을 갖는 입체형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롤포밍형판금가공장치와 그러한 판금가공장치에 이용되는판금접합장치 및 그러한 판금가공장치를 이용하여입체형제품을 성형하는 방법
WO2007013322A1 (ja) * 2005-07-27 2007-02-01 Nippon Slide Co., Ltd. スライドレールユニット
KR100819550B1 (ko) 2006-07-10 2008-04-07 고선용 슬라이드 언더레일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62812U (ja) * 1982-10-15 1984-04-2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ロ−ルフオ−ミング式金属管成形装置
KR100259515B1 (ko) 1997-10-15 2000-06-15 윤석봉 롤포밍기 및 롤포밍기용 스택커
KR20020061859A (ko) * 2001-01-18 2002-07-25 맹춘태 폐단면을 갖는 입체형 제품을 성형하기 위한 롤포밍형판금가공장치와 그러한 판금가공장치에 이용되는판금접합장치 및 그러한 판금가공장치를 이용하여입체형제품을 성형하는 방법
WO2007013322A1 (ja) * 2005-07-27 2007-02-01 Nippon Slide Co., Ltd. スライドレールユニット
KR100819550B1 (ko) 2006-07-10 2008-04-07 고선용 슬라이드 언더레일 제조방법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88987B1 (ko) * 2016-09-30 2016-12-22 해신철강 주식회사 철근 굴곡 절단장치
CN109317968A (zh) * 2018-11-23 2019-02-12 浙江上建风机有限公司 风筒生产一体机及其生产工艺
CN111618176A (zh) * 2020-06-30 2020-09-04 深圳钰翔技术有限公司 一种新型钣金冲压生产线
KR102257593B1 (ko) * 2020-11-12 2021-06-03 주식회사 한독하이테크 슬라이드 레일의 전자변 파이로트 성형 장치와 이를 이용한 성형 방법
WO2023000004A3 (de) * 2021-07-23 2023-03-16 Julius Blum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wenigstens einer bauteilkomponente für einen möbelbeschlag
KR102521206B1 (ko) * 2022-09-02 2023-04-18 주식회사 디앤디이 블록형 외벽 마감재 성형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7463B1 (ko) 슬라이드레일 제조장치
CN104043686B (zh) 监视材料调整用机械的方法和装置
US20090116041A1 (en) Device for measuring the width and/or the position of a metal strip or slab
JP4918155B2 (ja) 熱延鋼帯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KR101320126B1 (ko) 스트립 상향 방지 장치
US7374072B2 (en) Slide adjustable assembly for monitoring widthwise travel of an uncoiling steel band through a feeder system associated with a progressive die
US7310148B2 (en) Automatic material measurement system
KR101617400B1 (ko) 슬라이드레일 제조방법
KR101047578B1 (ko) 권취기 보조장치
CA1317327C (en) Apparatus for correctly feeding continuous strips with a shaped side outline to blanking machines
KR101778075B1 (ko) 실시간 공정데이터 기반의 롤포밍장치
KR101241094B1 (ko) 냉연강판 이송롤의 표면 측정장치
KR20200121877A (ko) 압연기 및 압연기의 제어 방법
KR20150134450A (ko) 스트립 안내 장치
KR101356805B1 (ko) 스트립 평탄도 측정 장치
KR101536907B1 (ko) 노즐 검사 장치
KR100864441B1 (ko) 스트립 권취 설비의 간지 절단 장치
KR100423872B1 (ko) 코일 내경 그립부 교정장치
KR101320147B1 (ko) 스트립 사행 치입 방지용 사이드 안내부 자동 조절 장치
KR20130013628A (ko) 소재 상향 방지 장치
CN112605162A (zh) 风阀叶片全自动滚压成型装置
KR101344329B1 (ko) 소재 상향 교정 장치
KR102409994B1 (ko) 스프링용 선재 인입장치
KR101424459B1 (ko) 소재 권취장치
CN108941251B (zh) 矫直机和用于操作所述矫直机的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05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