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975B1 - 터널 락볼트 확인봉 - Google Patents

터널 락볼트 확인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975B1
KR101646975B1 KR1020160039149A KR20160039149A KR101646975B1 KR 101646975 B1 KR101646975 B1 KR 101646975B1 KR 1020160039149 A KR1020160039149 A KR 1020160039149A KR 20160039149 A KR20160039149 A KR 20160039149A KR 101646975 B1 KR101646975 B1 KR 1016469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lt
tunnel
rod
support plate
rock bo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렬
Original Assignee
유정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렬 filed Critical 유정렬
Priority to KR1020160039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9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9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9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26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characterised by constructional features of the 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0/00Setting anchoring-bolts
    • EFIXED CONSTRUCTIONS
    • E21EARTH OR ROCK DRILLING; MINING
    • E21DSHAFTS; TUNNELS; GALLERIES; LARGE UNDERGROUND CHAMBERS
    • E21D21/00Anchoring-bolts for roof, floor in galleries or longwall working, or shaft-lining protection
    • E21D21/0093Accessor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Geochemistry & Mineralogy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Lining And Supports For Tunn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락볼트 확인봉에 관한 것으로, 그 목적은 락볼트의 시공여부 및 시공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락볼트의 설치작업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터널 락볼트 확인봉을 제공함에 있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은 터널의 벽면에 형성된 고정공에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볼트축과, 터널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볼트축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터널의 벽면과 마주하도록 볼트축에 체결되어 지지판을 터널 벽면에 밀착시키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락볼트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터널 벽면에 시공되는 숏크리트층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락볼트의 시공위치를 표시하는 락볼트 확인봉에 있어서, 상기 락볼트 확인봉은, 락볼트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숏크리트층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기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부는, 지지판과 터널 벽면의 사이에 삽입되는 평판형의 제1판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판재는 기둥부와 직교하면서 락볼트 확인봉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지지판과 터널 벽면 사이에 제1판재가 삽입되도록 배치된 상태에서 지지판을 가압하도록 볼트축에 체결되는 너트부재에 의해 제1판재 지지판과 터널 벽면의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락볼트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락볼트 확인봉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터널 락볼트 확인봉{Rod for indicating rock bolt constructed in tunnel}
본 발명은 터널의 벽면에 시공된 락볼트를 표시하는 확인봉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락볼트를 터널에 시공하는 과정에서 락볼트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며 터널의 벽면에 시공되는 숏크리트층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락볼트의 시공위치 및 시공여부를 손쉽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터널 락볼트 확인봉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락볼트(Rock bolt)는 암반에 뚫은 구멍에 꽂아 넣어 사용하는 볼트 및 그 부속품을 말하는 것으로, 터널을 시공함에 있어서 터널의 굴착이 이루어진 직후 터널의 벽면에 시공되어 터널의 벽면을 보강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도 1은 락볼트와 숏크리트층에 의해 터널의 벽면이 보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 2는 종래 락볼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 락볼트(10)는 볼트축(11)과 지지판(12) 및 너트부재(13)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축(11)은 외주면에 수나사가 형성되고 수 미터에 달하는 길이를 갖는 축형상의 부재로써, 터널의 벽면에 천공되는 구멍으로 삽입되고, 구멍에 충전되는 그라우트에 의해 구멍에 고정된다.
이처럼 터널의 벽면에 설치되는 볼트축(11)의 상단부는 터널의 벽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 지지판(12)은 볼트축(11)이 관통하는 관통홀이 중앙부에 형성된 판재로 이루어지며, 터널의 벽면 또는 숏크리트층에 밀착되도록 볼트축(11)에 설치된다.
상기 너트부재(13)는 지지판(12)이 터널의 벽면이나 숏크리트층에 밀착된 채로 고정될 수 있도록 가압하는 것으로, 상기 지지판(12)의 배치가 완료된 상태에서 볼트축(11)의 상단부에서 체결되어 지지판(12)을 가압하는 방식으로 지지판(12)을 고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락볼트를 이용하여 터널의 벽면을 보강하는 작업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발파작업을 통해 일정한 거리만큼 터널의 굴착이 완료되면,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암반(G1)이 형성하는 벽면 분사하여 기초 숏크리트층(G2)을 형성한다.
이후, 락볼트(10)의 설치를 위한 고정공(H)을 천공한다. 이때 상기 고정공(H)은 기초 숏크리트층(G2)의 표면으로부터 터널을 구성하는 암반(G1)으로 일정한 깊이로 천공된다.
상기 고정공(H)에 볼트축(11)을 삽입하되, 고정공(H)에 그라우트를 충전하고, 경화시켜 볼트축(11)을 고정공(H)에 고정시키게 된다. 이처럼 볼트축(11)을 고정공(H)에 고정함에 있어서, 볼트축(11)의 상단부가 기초 숏크리트층(G2)의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구조를 갖도록 볼트축(11)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 볼트축(11)의 설치가 완료되면, 볼트축(11)의 상단부에 지지판(12)과 너트부재(13)를 순차적으로 설치하게 되며, 전체 락볼트에 대한 설치작업이 완료되면, 기초 숏크리트층(G2)의 표면에 모르타르 또는 콘크리트를 분사하여 마감 숏크리트층(G3)을 형성함으로써 터널의 벽면에 대한 보강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한편, 터널의 안정적인 보강구조를 구현하기 위해서는 설계시 정해진 수량의 락볼트가 정해진 위치에 시공되어야만 한다.
그러나,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락볼트가 설치된 후 형성되는 마감 숏크리트층에 의해 락볼트가 완전하게 덮여 가려짐에 따라 시공된 락볼트의 개수 및 위치를 관리자가 확인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특허문헌1에는 락볼트의 시공여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 검측봉이 개시되어 있다.
도 3은 특허문헌1에 개시된 검측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1에 개시된 검측봉(20)은 락볼트의 설치작업시 락볼트(10)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단부가 마감 숏크리트층(G3)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됨으로써, 마감 숏크리트층(G3)이 형성된 후에도 락볼트(10)의 설치위치 및 시공여부를 관리자가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특허문헌1에 개시된 검측봉(20)은 하단부에 링구조의 고정부(21)가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며, 지지판(12)을 배치한 상태에서 고정부(21)의 중앙부로 볼트축(11)이 배치되도록 검측봉(20)을 위치시킨 다음 너트부재(13)를 볼트축(11)에 체결하는 방식으로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처럼 특허문헌1에 따른 검측봉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2개의 부재(지지판과 검측봉)가 요구되는 곳에 위치하도록 작업자가 잡고 있는 상태에서 너트부재를 볼트축에 체결해야만 하므로, 1명의 작업자가 작업을 실시하는 것이 용이하지 못하고, 특히 터널에서 이루어지는 락볼트 및 검측봉의 설치작업을 대부분은 높은 곳에서 이루어지는 특성상 검측봉이나 지지판의 추락에 의한 사고의 위험이 높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문헌2에는 본 출원인에 의해 개발된 또 다른 구조의 검측봉이 개시되어 있다.
도 4는 특허문헌2에 개시된 검측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상기 특허문헌2에 개시된 검측봉(30)은 앞서 설명된 특허문헌1의 검측봉과 마찬가지로 락볼트(10)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고, 상단부가 마감 숏크리트층(G3)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게 설치된다.
다만, 특허문헌2에 개시된 검측봉(30)의 경우, 볼트축(11)에 나사결합되도록 암나사가 내주면에 형성된 결합홈을 구비하는 고정부(31)가 하단부에 형성된 점에 있어서 특허문헌1의 검측봉과 차이가 있다.
이러한 특허문헌2에 따른 검측봉의 경우, 지지판(12)의 고정을 위한 너트부재(13)의 체결이 완료된 후, 너트부재(13)의 상부로 돌출되는 볼트축(11)의 상단부에 고정부(31)를 체결하는 방식으로 설치작업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이를 위해서는 너트부재(13)의 상부로 돌출되는 볼트축(11)의 길이를 증가시켜야만 하므로 볼트축(11)의 길이가 길어질 수밖에 없는 문제점과, 너트부재(13)의 위쪽으로 돌출되는 볼트축의 길이증가로 인해 마감 숏크리트층(G3)의 두께가 더 두꺼워져야만 하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513011호 (2015.04.22.공고) 등록특허공보 제1505548호 (2015.03.25.공고)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락볼트의 시공여부 및 시공위치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더불어 락볼트의 설치작업시 손쉽게 설치가 가능하도록 한 터널 락볼트 확인봉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고 종래의 결점을 제거하기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 본 발명은 터널의 벽면에 형성된 고정공에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볼트축과, 터널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볼트축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터널의 벽면과 마주하도록 볼트축에 체결되어 지지판을 터널 벽면에 밀착시키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락볼트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터널 벽면에 시공되는 숏크리트층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락볼트의 시공위치를 표시하는 락볼트 확인봉에 있어서, 상기 락볼트 확인봉은, 락볼트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숏크리트층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기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지지판과 터널 벽면의 사이에 삽입되는 평판형의 구조로써 기둥부와 직교하면서 락볼트 확인봉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판재와, 상기 제1판재의 수직 상부에서 제1판재와 이격된 구조를 갖되 지지판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제1판재로부터 이격되는 구조를 갖는 제2판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제1,2판재의 사이에 지지판이 끼워지는 형태로 지지판과 결합되고, 지지판을 가압하도록 볼트축에 체결되는 너트부재에 의해 제1판재가 지지판과 터널 벽면의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락볼트에 고정되게 형성되며, 상기 볼트축의 길이에 대응하여 정해진 수량의 막대형 표시체가 숏크리트층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기둥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락볼트를 구성하는 볼트축의 길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표시부는, 다수의 막대형 표시체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막대형 표시체는 기둥부의 상단 일정부분을 기둥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여러 조각으로 쪼갠 것으로 이루어지고, 각 막대형 표시체의 하단부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볼트축의 길이표시를 위하여 요구되는 수의 막대형 표시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락볼트 확인봉을 제공한다.
삭제
삭제
삭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의하면, 락볼트의 시공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으므로, 터널의 시공에 사용된 락볼트의 수를 효과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락볼트에 대한 철저한 관리감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락볼트에 사용된 볼트축의 길이를 시공 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보다 철저한 관리감독이 가능하게 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확인봉의 고정부에 마련된 제1판재를 지지판과 터널 벽면의 사이에 끼워 넣은 단순한 동작을 통해 확인봉의 설치가 가능하게 되므로, 작업의 편의성을 높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 은 락볼트와 숏크리트층에 의해 터널의 벽면이 보강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2 는 종래 락볼트의 설치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3 은 종래 검측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4 는 종래 또 다른 구조의 검측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의 사시도,
도 6 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도 7 은 본 발명에 따른 길이표시부를 구성하는 막대형 표시체의 일부를 제거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8 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의 사시도,
도 9 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과 연계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의 사시도를,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100)에 대해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100)이 사용되는 락볼트(10)의 시공구조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락볼트(10)가 시공되는 터널의 벽면은 암반(G1)의 표면에 기초 숏크리트층(G2)이 형성되고, 기초 숏크리트층(G2)의 위에 마감 숏크리트층(G3)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가정하도록 하며, 도 5에는 이러한 터널의 벽면에 락볼트(10)와 락볼트 확인봉(100)이 설치된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락볼트(10)는 주지된 바와 같이 볼트축(11)과 지지판(12) 및 너트부재(13)로 구성된다.
상기 볼트축(11)은 기초 숏크리트층(G2)의 표면으로부터 암반(G1)의 내부로 소정의 깊이로 연장되는 구조를 갖도록 천공된 고정공(H)에 삽입되되, 상단부가 기초 숏크리트층(G2)의 상부로 돌출될 수 있도록 고정공(H)에 삽입되고, 고정공(H)에 삽입된 상태에서 고정공(H)에 주입되는 그라우팅제에 의해 고정공(H)에 고정된다.
상기 지지판(12)은 볼트축(11)이 관통하는 구멍이 중앙부에 형성된 사각형의 판재로 이루어지며, 기초 숏크리트층(G2)의 표면에 밀착되도록 볼트축(11)에 결합된다.
상기 너트부재(13)는 지지판(12)이 기초 숏크리트층(G2)에 밀착되도록 지지판(12)을 가압하는 것으로, 지지판(12)의 사이에 두고 기초 숏크리트층(G2)의 표면과 마주하도록 볼트축(11)의 상단부에 체결되며, 작업자의 조임동작에 의해 기초 숏크리트층(G2)에 근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지지판(12)을 가압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락볼트(10)는 볼트축(11)의 상단부와 지지판(12) 및 너트부재(13)가 기초 숏크리트층(G2)의 표면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기초 숏크리트층(G2)의 위에 형성되는 마감 숏크리트층(G3)에 의해 보이지 않도록 매립되며, 이러한 구조는 종래와 동일하다.
이와 같은 락볼트(10)에 설치되어 락볼트(10)의 시공여부 및 시공위치를 표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100)은 고정부(110)와 기둥부(120)로 구성된다.
상기 고정부(110)는 락볼트 확인봉(100)의 하단부를 구성하며, 락볼트(10)를 시공하는 과정에서 지지판(12)과 터널 벽면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되어 락볼트 확인봉(100)을 락볼트(10)에 고정하는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지지판(12)이 기초 숏크리트층(G2)의 표면에 밀착되는 구조로써, 락볼트(10)가 시공되는 경우, 상기 고정부(110)는 지지판(12)과 기초 숏크리트층(G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삽입된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10)는 지지판(12)과 기초 숏크리트층(G2)의 사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평판형의 구조를 갖는 제1판재(111)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판재(111)가 락볼트 확인봉(100)의 하단부에서 기둥부(120)와 직교하면서 락볼트 확인봉(100)의 한 쪽 측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구성된다.
상기 기둥부(120)는 고정부(110)로부터 고정부(110)와 직교하는 방향으로 돌출된 구조로 형성되되, 기초 숏크리트층(G2)의 위에 형성되는 마감 숏크리트층(G3)의 표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충분한 길이로 연장되게 형성된다.
상기 설명에서는 고정부(110)로부터 기둥부(120)가 돌출되게 형성된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고정부(110)와 기둥부(120)의 구조는 다른 관점에서 기초 숏크리트층(G2)으로부터 마감 숏크리트층(G3)의 표면으로 돌출될 수 있도록 충분히 길게 형성된 기둥부(120)의 하단에 고정부(110)가 형성된 것으로 이해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기둥부(120)는 고정부(110)가 아래쪽에 위치하도록 락볼트 확인봉(100)을 수직하게 세웠을 때를 기준으로 하여 수평한 고정부(110)로부터 수직 상부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며, 도 5에는 사다리꼴형으로 이루어진 블록의 위에 원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봉이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진 기둥부(120)가 도시되어 있으나, 본 발명에 따른 기둥부(120)의 구조가 이러한 구조로만 한정적으로 실시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고정부(110)와 기둥부(120)로 구성되는 락볼트 확인봉(100)은 탄성이 있는 합성수지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둥부(120)의 상단부에는 볼트축(11)의 길이를 나타내는 길이표시부(1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길이표시부(130)는 볼트축(11)의 길이에 대응하여 정해진 수량의 막대형 표시체(131)가 숏크리트층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기둥부(120)의 상단에 형성된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러한 막대형 표시체(131)는 고정부(110)와 기둥부(120)로 이루어진 락볼트 확인봉(100)을 제조하는 과정에서 표시하고자 하는 볼트축(11)의 길이에 맞추어 정해진 수량의 막대형 표시체(131)를 기둥부(120)의 상단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하는 것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컨대, 1개의 막대형 표시체(131)는 3m 길이의 볼트축(11)을 의미하고, 2개의 막대형 표시체(131)는 4m 길이의 볼트축(11)을 의미하며, 3개의 막대형 표시체(131)는 5m 길이의 볼트축(11)을, 4개의 막대형 표시체(131)는 6m 길이의 볼트축(11)을 의미하는 것으로 가정할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120)의 상단에 4개의 막대형 표시체(131)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 해당 락볼트 확인봉(100)은 6m 길이의 볼트축(11)에 결합된 것으로 나타내게 된다.
한편, 상기와 같이 막대형 표시체(131)의 수량을 락볼트 확인봉(100)의 제조과정에서 결정할 경우, 볼트축(11)의 길이에 따라 락볼트 확인봉(100)을 각기 따로 제조해야만 하는 단점이 발생되므로, 락볼트 확인봉(100)의 제조시 기둥부(120)의 상단에 최대수량의 막대형 표시체(131)를 형성하여 작업자가 볼트축(11)의 길이 표시를 위하여 요구되는 수의 막대형 표시체(131)를 제외한 나머지 막대형 표시체(131)를 제거하는 방식으로 볼트축(11)의 길이를 표시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락볼트 확인봉(100)의 제조과정에서 볼트축(11)의 길이 표시를 위한 최대수량의 막대형 표시체(131)를 기둥부(120)의 상단에 일체형의 구조로 형성한다.
이처럼 기둥부(120)의 상단에 형성되는 다수의 막대형 표시체(131)는 기둥부(120)의 상단 일정부분(막대형 표시체의 길이에 상당하는 부분)을 기둥부(120)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여러 조각으로 쪼갠 것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처럼 분할된 각각의 막대형 표시체(131)를 작업자가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각 막대형 표시체(131)의 하단부에는 일정한 깊이로 가공된 노치(132)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따르면, 최대수량의 막대형 표시체(131)를 갖는 한 가지 타입의 락볼트 확인봉(110)만 생산하는 경우에도, 다양한 길이의 볼트축(11)에 대한 길이 표시가 가능하게 되므로, 길이표시부(130)를 포함하는 락볼트 확인봉(100)을 보다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참고로, 도 7에는 4개의 막대형 표시체(131) 중 2개를 제거하여 4m 길이의 볼트축을 표시하는 락볼트 확인봉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제1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100)을 락볼트(10)의 시공과정에서 락볼트(10)의 상단부에 고정하여 락볼트(10)의 시공위치를 표시하는 과정을 설명하도록 하며, 이를 통해 본 발명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100)이 갖는 작용효과를 명확히 나타내도록 한다.
한편, 락볼트(10)의 시공과정을 이미 설명된 바 있으므로, 락볼트(10)의 구체적인 시공과정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락볼트(10)를 구성하는 볼트축(11)의 설치 및 지지판(12)의 배치가 완료되고, 지지판(12)을 가압하여 고정하기 위한 너트부재(13)를 볼트축(11)의 단부에 가조립하여 너트부재(13)의 조임을 통해 지지판(12)을 고정시킬 준비가 완료되면, 락볼트 확인봉(100)의 하단에 형성된 제1판재(111)가 지지판(12)과 기초 숏크리트층(G2)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락볼트 확인봉(100)을 배치한 상태에서 너트부재(13)가 지지판(12)을 가압하도록 조이게 되면, 제1판재(111)는 지지판(12)과 기초 숏크리트층(G2)의 사이에 형성되는 압축력에 의해 지지판(12)과 기초 숏크리트층(G2)의 사이에 구속되므로 락볼트(10)의 시공과 함께 락볼트 확인봉(100)의 설치작업이 완료된다.
이와 같이 락볼트(10)와 락볼트 확인봉(100)의 설치가 완료된 후, 기초 숏크리트층(G2)의 위에 마감 숏크리트층(G3)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락볼트(10)와 숏크트리층에 의해 터널 암반(G1)의 보강구조가 구현되며, 마감 숏크리트층(G3)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기둥부(120)를 육안으로 확인하는 것으로 락볼트(10)의 시공여부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으며, 기둥부(120)의 상단부에 구비된 막대형 표시체(131)의 개수를 확인하는 것으로 해당 락볼트(10)에 사용된 볼트축(11)의 길이를 알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100)은 지지판(12)의 측면에서 제1판재(111)를 끼워 넣는 동작을 통해 배치가 가능하므로, 종래 보다 손쉬운 설치가 가능한 이점이 있다.
또한, 락볼트(10)의 시공여부와 시공위치와 함께 볼트축(11)의 길이표시가 가능하므로, 락볼트(10)에 대한 보다 효과적인 관리감독이 가능한 이점이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실시에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의 사시도를, 도 9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이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를 도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100) 또한 락볼트(10)의 상단부에 고정되게 설치되어 락볼트(10)의 시공여부와 시공위치 및 볼트축(11)의 길이를 표시하는 기능을 제공하는 것으로, 고정부(110)와 기둥부(120)로 이루어진 점에 있어서는 앞서 설명된 제1실시예의 락볼트 확인봉(100)과 동일하다.
다만,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고정부(110)는 제2판재(112)를 더 포함하고 있는 점에 있어서, 제1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따라서 제2실시예에 따른 락볼트 확인봉(100)을 설명함에 있어서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에서 사용된 명칭과 도면부호를 그대로 사용하도록 하며, 해당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고정부(110)는 제1판재(111)와 제2판재(112)를 포함하며, 상기 제1판재(111)는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이 기둥부(120)의 하단에서 기둥부(120)와 직교하면서 락볼트 확인봉(100)의 한 쪽 측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한편, 상기 제2판재(112)는 제1판재(111)의 수직 상부에서 제1판재(111)와 이격된 구조를 갖되, 지지판(12)의 두께(t)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제1판재(111)로부터 이격되는 구조를 갖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구조의 제1,2판재(111,112)를 포함하는 고정부(110)는 기둥부(120)와 함께 ㄷ자형상의 단면을 갖는 클립구조를 형성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락볼트(10)의 시공과정에서 지지판(12)의 일부가 제1,2판재(111,112)의 사이에 끼워지도록 지지판(12)과 락볼트 확인봉(100)을 결합시켜 하나의 단위체를 형성하게 되면, 지지판(12)과 락볼트 확인봉(100)의 배치작업을 보다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락볼트 확인봉(100)을 락볼트(10)에 보다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락볼트 11: 볼트축
12: 지지판 13: 너트부재
100: 락볼트 확인봉 110: 고정부
111: 제1판재 112: 제2판재
120: 기둥부 130: 길이표시부
131: 막대형 표시체

Claims (4)

  1. 터널의 벽면에 형성된 고정공에 하단부가 삽입되어 고정되는 볼트축과, 터널의 벽면에 밀착되도록 볼트축에 결합되는 지지판과, 상기 지지판을 사이에 두고 터널의 벽면과 마주하도록 볼트축에 체결되어 지지판을 터널 벽면에 밀착시키는 너트부재로 이루어진 락볼트의 상단부에 고정되고, 터널 벽면에 시공되는 숏크리트층의 표면으로 돌출되어 락볼트의 시공위치를 표시하는 락볼트 확인봉에 있어서,
    상기 락볼트 확인봉은, 락볼트의 상단부에 고정되는 고정부와, 상기 고정부로부터 숏크리트층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연장되게 형성된 기둥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부는, 지지판과 터널 벽면의 사이에 삽입되는 평판형의 구조로써 기둥부와 직교하면서 락볼트 확인봉의 측면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된 제1판재와, 상기 제1판재의 수직 상부에서 제1판재와 이격된 구조를 갖되 지지판의 두께에 상응하는 거리만큼 제1판재로부터 이격되는 구조를 갖는 제2판재를 포함하는 것으로 구성되어 제1,2판재의 사이에 지지판이 끼워지는 형태로 지지판과 결합되고, 지지판을 가압하도록 볼트축에 체결되는 너트부재에 의해 제1판재가 지지판과 터널 벽면의 사이에서 압축되면서 락볼트에 고정되게 형성되며,
    상기 볼트축의 길이에 대응하여 정해진 수량의 막대형 표시체가 숏크리트층의 표면으로 돌출되는 기둥부의 상단에 형성되어 락볼트를 구성하는 볼트축의 길이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길이표시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길이표시부는, 다수의 막대형 표시체로 이루어지며, 다수의 막대형 표시체는 기둥부의 상단 일정부분을 기둥부의 길이방향과 평행한 방향으로 여러 조각으로 쪼갠 것으로 이루어지고, 각 막대형 표시체의 하단부에는 노치가 형성되어 작업자가 볼트축의 길이표시를 위하여 요구되는 수의 막대형 표시체를 제거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터널 락볼트 확인봉.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60039149A 2016-03-31 2016-03-31 터널 락볼트 확인봉 KR1016469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149A KR101646975B1 (ko) 2016-03-31 2016-03-31 터널 락볼트 확인봉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149A KR101646975B1 (ko) 2016-03-31 2016-03-31 터널 락볼트 확인봉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6975B1 true KR101646975B1 (ko) 2016-08-09

Family

ID=56712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149A KR101646975B1 (ko) 2016-03-31 2016-03-31 터널 락볼트 확인봉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97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0634A (ja) * 1998-01-13 1999-07-27 Misawa Homes Co Ltd アンカ位置決め定規
JP2013177962A (ja) * 2012-02-02 2013-09-09 Enupatto Kk アンカーおよびアンカー施工方法
KR101505548B1 (ko) 2015-02-03 2015-03-25 유정렬 락볼트 시공확인용 검측봉
KR101513011B1 (ko) 2014-12-23 2015-04-22 유예슬 락볼트 시공확인용 검측봉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200634A (ja) * 1998-01-13 1999-07-27 Misawa Homes Co Ltd アンカ位置決め定規
JP2013177962A (ja) * 2012-02-02 2013-09-09 Enupatto Kk アンカーおよびアンカー施工方法
KR101513011B1 (ko) 2014-12-23 2015-04-22 유예슬 락볼트 시공확인용 검측봉
KR101505548B1 (ko) 2015-02-03 2015-03-25 유정렬 락볼트 시공확인용 검측봉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30238B1 (ko) 피씨벽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구조
US20150167332A1 (en) Repair and strengthening system for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JP2007239301A (ja) 間詰めコンクリートを介在させた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部材間一体化方法
KR101353048B1 (ko)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제작용 몰드
KR20080069740A (ko) 띠장용 홈메우기 장치
KR20180137268A (ko) 마찰보강가새가 구비된 내진보강용 철골프레임 및 이를 이용한 내진공법
KR101646975B1 (ko) 터널 락볼트 확인봉
KR101428540B1 (ko) 방음벽 기초 구조물
KR101501154B1 (ko) 기어식 표면매립 긴장장치 및 그 방법
KR101348339B1 (ko) 비개착공법용 지중압입 구조물 및 그 시공방법
JP2017206844A (ja) 耐震壁構造
KR20150010421A (ko) 캡빔 구조체
JP6283906B2 (ja) 支柱基礎
JP2014152493A (ja) 既存建物の建替工法と地盤アンカー用台座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JP4842093B2 (ja) フラットプレート構築方法
JP3810759B2 (ja) プレキャストブロックによる既設下部構造物の縁端拡幅構造およびその施工方法
KR20220155696A (ko) 흙막이벽의 프리캐스트 외장 패널 시공 구조 및 그의 시공 방법
JP2019007134A (ja) 既設フーチングの補強方法
KR20120078217A (ko) 기기 기초 시공 방법
KR20130076845A (ko) 하이브리드 결합체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JPH0681355A (ja) 鋼管柱と鉄筋コンクリート床版との接合構造
JP4440331B1 (ja) 野立看板耐力検査装置
JP2017008603A (ja) 型枠
JP2722322B2 (ja) 橋梁用プレキャスト床版の連結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6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