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6179B1 - 지열 파이프 - Google Patents

지열 파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6179B1
KR101646179B1 KR1020140165403A KR20140165403A KR101646179B1 KR 101646179 B1 KR101646179 B1 KR 101646179B1 KR 1020140165403 A KR1020140165403 A KR 1020140165403A KR 20140165403 A KR20140165403 A KR 20140165403A KR 101646179 B1 KR101646179 B1 KR 1016461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aphene
resin composite
astm
thermal conductivity
functional gro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65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62530A (ko
Inventor
김송호
배송이
이동훈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65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6179B1/ko
Publication of KR20160062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625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61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617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08K3/042Graphene or derivatives, e.g. graphene ox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9/00Use of pretreated ingredients
    • C08K9/04Ingredients treated with organic substa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10/10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 F24T10/13Geothermal collectors with circulation of working fluids through underground channels, the working fluids not coming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ground using tube assemblies suitable for insertion into boreholes in the ground, e.g. geothermal pro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TGEOTHERMAL COLLECTORS; GEOTHERMAL SYSTEMS
    • F24T10/00Geothermal collectors
    • F24T2010/5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10Geothermal energ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 대비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가 직접 또한 매개 작용기를 통하여 표면에 결합된 그래핀류 화합물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한 수지 복합체를 포함하는 지열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지열 파이프{GEOTHERMAL PIPE}
본 발명은 지열 파이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유체에 장시간 노출에 따른 부식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함께 높은 열전도성을 가져서 높은 냉난방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지열 파이프에 관한 것이다.
지열은 지구 내부에서 표면을 거쳐 외부로 유출되는 열량을 의미하는데, 지중온도는 지형에 따라 다르지만 지표면에 가까운 땅속의 온도는 대략 섭씨 10 내지 20도 정도로 연중 큰 변화가 없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이러한 지열원은 태양열 또는 풍력 등의 신재생 에너지와 달리 안정적으로 열원을 공급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지열원을 이용한 열교환 시스템은 연중 온도가 일정한 지하수, 지표수 및 지중을 냉방시에는 히트싱크(heat sink)로, 난방시에는 히트 소스(heat source)로 이용하여 냉방과 난방을 동시에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지열 에너지자원의 활용 기술은 크게 150℃이상의 지열 유체(증기 및 지열수)를 이용한 발전(간접이용) 기술과 이보다 낮은 온도의 지열수를 지역난방 등에 이용하는 직접이용 기술로 나눌 수 있다. 최근에는 깊이 300m 이내의 지반 속에서 비교적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지열로부터 열을 회수하고 이것을 유효에너지로 변환시켜 건물의 냉난방 및 온수 급탕용 시스템으로 활용하는 지열 냉난방시스템을 따로 분류하기도 한다.
지열 냉난방시스템은 고온의 지열수를 이용하는 지열발전과는 달리 연중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지하열원(15±5℃)을 이용하여 냉난방, 급탕을 동시에 해결하는 고효율의 환경친화적 시스템으로, 고온성 화산활동이 없는 국내와 같은 지역에서 가장 지열 에너지자원을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다.
이전에는 지열 파이프의 열전도성 확보를 위하여 SU, 철 또는 구리 등의 금속 재질을 주요 사용하고 있는데, 유체가 흐르는 파이프의 상기 금속 재질은 쉽게 부식이 되어 수명이 짧다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고분자 재료를 지열 파이프의 용도로 사용하려는 시도가 있으나, 고분자 재료 자체의 열전도도 등이 충분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열전도도 향상을 위하여 첨가되는 무기 필러 등으로 인하여 지열 파이프 자체의 물성이 저하되거나 상기 무기 필러가 고분자 재료와 상용성을 갖는 못하는 한계가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 1214621호 한국등록특허 제 1205473호 한국등록특허 제 1167876호 한국등록특허 제 1088440호
본 발명은 유체에 장시간 노출에 따른 부식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함께 높은 열전도성을 가져서 높은 냉난방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지열 파이프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대비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가 직접 또한 매개 작용기를 통하여 표면에 결합된 그래핀류 화합물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한 수지 복합체를 포함하는 지열 파이프를 제공한다.
상기 그래핀류 화합물은 그래핀, 산화 그래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매개 작용기는 -NH-, -O-, -CO-, -S-, -NH-CO-O-, -NCO-,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및 -CO-O-(CH2)n3-O-C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작용기이며,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가 -NH-CO-O-, -CO-NH-, -NH- 및 -CO-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매개 작용기를 매개로 상기 그래핀류 화합물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아이소부틸렌, 폴리메틸펜텐, 에틸렌과 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과 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부텐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수지 복합체가 갖는 하기 일반식 1로 정의되는 열전도도가 0.5 W/m*K 이상, 또는 1.1 W/m*K 초과일 수 있다.
[일반식 1]
열전도도 = 열확산도(α) × 비열(Cp) × 밀도(ρ)
상기 열확산도는 25 ℃의 온도에서 ASTM E1461에 따라 측정한 수치이며, 상기 비열은 25 ℃의 온도에서 ASTM E1952에 따라 측정한 수치이며, 상기 밀도는 25 ℃의 온도에서 ASTM D792에 따라 측정한 수치이다.
상기 수지 복합체에 대하여 ASTM D 256 규격에 따라 3mm 두께의 시편으로 측정한 IZOD 충격강도가 45 Kgfcm/cm이상이며, 상기 수지 복합체에 대하여 ASTM D638 규격에 따라 4호형 시편으로 측정한 인장 강도가 18 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열 파이프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0.5인치 내지 10 인치 의 범위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유체에 장시간 노출에 따른 부식 현상을 방지할 수 있으며 우수한 기계적 물성과 함께 높은 열전도성을 가져서 높은 냉난방 효율을 구현할 수 있는 지열 파이프가 제공될 수 있다.
이하 발명의 구체적인 구현예에 따른 지열 파이프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대비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가 직접 또한 매개 작용기를 통하여 표면에 결합된 그래핀류 화합물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한 수지 복합체를 포함하는 지열 파이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장쇄의 알킬기가 직접 또한 매개 작용기를 통하여 표면에 표면에 결합된 그래핀류 화합물을 사용하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서 보다 높은 결합 또는 가교 결합을 이룰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복합체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지열 파이프가 유체에 장시간 노출에 따른 부식 현상을 일으키기 않으면서도 충격강도 및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의 향상과 함께 높은 열전도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을 실험을 통하여 확인하고 발명을 완성하였다.
특히, 상기 그래핀류 화합물의 표면에 결합되는 알킬기는 5 이상의 탄소수, 또는 8 이상의 탄소수를 가져야 상술한 효과를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탄소수 4 이하의 알킬기가 결합된 그래핀류 화합물을 사용하는 경우 충격강도 및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상대적으로 낮을 뿐만 아니라 열전도도가 크게 저하된다. 즉, 상기 지열 파이프가 갖는 성능 및 효과는 상술한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가 직접 또한 매개 작용기를 통하여 그래핀류 화합물의 표면에 결합되고 이러한 그래핀류 화합물이 폴리올레핀 수지에 분산됨에 따른 것이다.
상기 수지 복합체는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100 중량부 대비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가 직접 또한 매개 작용기를 통하여 표면에 결합된 그래핀류 화합물 0.1 내지 1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대비 상기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가 직접 또한 매개 작용기를 통하여 표면에 결합된 그래핀류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작은 경우, 상기 그래핀류 화합물이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에서 보다 높은 결합 또는 가교 결합을 이루기 어려울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상기 지열 파이프의 기계적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상기 그래핀류 화합물이 수지 복합체 내에서 뭉치는 등의 이유로 열전도도 또한 낮아 질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 대비 상기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가 직접 또한 매개 작용기를 통하여 표면에 결합된 그래핀류 화합물의 함량이 너무 높은 경우, 상기 지열 파이프의 충격강도 및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상기 그래핀류 화합물은 그래핀, 산화 그래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일 수 있다. 상기 그래핀 및 산화 그래핀의 합성 방법에는 크게 제한이 없으며, 통상적으로 알려진 합성 방법을 통하여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가 그래핀류 화합물의 표면에 결합하게 하는 매개 작용기의 예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구체적인 예로는 -NH-, -O-, -CO-, -NH-CO-O-, -NCO-, -S-, -SO2-, -C(CH3)2-, -C(CF3)2-, -CO-NH-, -CO-O-, -(CH2)n1-, -O(CH2)n2O-, 및 -CO-O-(CH2)n3-O-C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의 작용기를 들 수 있다. 상기 n1, n2 및 n3는 각각 1 내지 10의 정수일 수 있다.
상기 탄소수 5 내지 30의 알킬기가 직접 또한 매개 작용기를 통하여 표면에 결합된 그래핀류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로는 상기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가 -NH-CO-O-, -CO-NH-, -NH- 및 -CO-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매개 작용기를 매개로 그래핀류 화합물의 표면에 결합된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로는 통상적으로 알려진 다양한 중합체 및 공중합체를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저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아이소부틸렌, 폴리메틸펜텐, 에틸렌과 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과 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부텐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열 파이프에 포함되는 수지 복합체가 갖는 하기 일반식 1로 정의되는 열전도도가 0.5 W/m*K 이상, 또는 1.1 W/m*K 초과일 수 있다.
[일반식 1]
열전도도 = 열확산도(α) × 비열(Cp) × 밀도(ρ)
상기 열확산도는 25 ℃의 온도에서 ASTM E1461에 따라 측정한 수치이며, 상기 비열은 25 ℃의 온도에서 ASTM E1952에 따라 측정한 수치이며, 상기 밀도는 25 ℃의 온도에서 ASTM D792에 따라 측정한 수치이다.
또한, 상기 지열 파이프에 포함되는 수지 복합체에 대하여 ASTM D 256 규격에 따라 3mm 두께의 시편으로 측정한 IZOD 충격강도가 45 Kgfcm/cm이상이며, 상기 수지 복합체에 대하여 ASTM D638 규격에 따라 4호형 시편으로 측정한 인장 강도가 18 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지열 파이프는 사용되는 용도에 따라서 0.5 내지 10인치의 범위의 내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기 지열 파이프는 0.1 내지 5인치의 범위의 두께를 가질 수 있다.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제조예1 : 장쇄의 알킬기로 치환된 산화 그래핀의 제조]
1) 산화 그래핀의 제조
분말상태의 그래파이트 플레이크(flake)를 산처리를 통하여 산화 그래파이트 플레이크를 합성하였다.
구체적으로, 순수 그래파이트(순도 99.9995%, -200메쉬, 시그마 알드리치 제조) 10g, 발열질산 350㎖ 및 소듐 클로라이드 옥사이드를 실온에서 순차적으로 나누어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48시간 동안 교반한 후, 중화 과정과 세척, 여과 및 클리닝, 건조과정을 거쳐 산화 그래파이트 분말을 제조하였다. 상기의 과정을 통해 만들어진 산화 그래파이트를 2g/L 농도로 pH 10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에 원심분리를 1000rpm에서 10분 처리하여 분산성이 확보된 산화 그래파이트 분산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산화 그래파이트 분산용액에 물리적 전단응력을 인가하기 위하여 호모게나이저를 이용하여 1500rpm으로 60분간 전단응력이 인가되도록 하여 산화 그래핀 분산 용액을 제조하였다.
2) 개질된 산화 그래핀 의 제조
도데실 이소시아네이트를 상기 얻어진 산화 그래핀 용액에 넣고 교반 및 초음파 처리를 하여 상기 도데실기가 우레탄 결합을 통하여 표면에 결합된 산화 그래핀을 제조한 후 산화 그라펜의 환원을 위해 하이드라진 모노하이드레이트를 용액에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환류하였다.
상기 환류 이후 첨전물을 여과하여 물과 에탄올로 씻은 후 건조하여 도데실기가 우레탄 결합을 통하여 표면에 결합된 표면 개질 그래핀을 제조하였다.
[ 제조예2 : 단쇄의 알킬기로 치환된 산화 그래핀의 제조]
도데실 이소시아네이트 대신에 부틸 이소시아네이트를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제조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부틸기가 우레탄 결합을 통하여 표면에 결합된 표면 개질 그래핀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비교예 : 지열 파이프용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의 제조]
실시예 1: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 제조
상기 제조예1에서 얻어진 표면 개질 그래핀 0.9g을 자일렌에 넣은 뒤 초음파 처리를 통하여 분산시켜서 표면 개질 그래핀 용액을 제조하였다.
중밀도 폴리올레핀(롯데케미칼 제품, MI:0.27 밀도:0.945 g/㎤) 29.1g을 자일렌에 넣은 뒤 140℃에서 교반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한 뒤, 상기 표면 개질 그래핀 용액에 상기 고분자 용액을 낙하시키고 용매를 건조하여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 제조
상기 제조예1에서 얻어진 표면 개질 그래핀 0.3g 및 중밀도 폴리올레핀 29.7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 제조
상기 제조예1에서 얻어진 표면 개질 그래핀 0.15g 및 중밀도 폴리올레핀 29.85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 제조
상기 제조예1에서 얻어진 표면 개질 그래핀 0.09g 및 중밀도 폴리올레핀 29.91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 제조
상기 제조예2에서 얻어진 표면 개질 그래핀 0.9g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 제조
상기 제조예2에서 얻어진 표면 개질 그래핀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2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3 :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 제조
상기 제조예2에서 얻어진 표면 개질 그래핀을 사용한 점을 제외하고 실시예3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비교예4 :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 제조
그래핀 0.9g을 자일렌에 넣은 뒤 초음파 처리를 통하여 분산시켜서 그래핀 용액을 제조하였다. 중밀도 폴리올레핀(롯데케미칼 제품, MI:0.27 밀도:0.945 g/㎤) 29.1g을 자일렌에 넣은 뒤 140℃에서 교반하여 고분자 용액을 제조한 뒤, 상기 그래핀 용액에 상기 고분자 용액을 낙하시키고 용매를 건조하여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를 제조하였다.
[ 제조예3 : 지열 파이프의 제조]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각각의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를 이용하여 약 5인치의 내경 및 약 0.5인치의 두께를 갖는 지열 파이프를 제조하였다.
[ 실험예 ]
실험예1 : 인장특성 측정
(1) 시편 제작
상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로부터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가로 100 mm, 세로 100 mm, 두께 2 mm의 형틀을 사용하여 상기 체적저항 측정 시편 제작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작한 후, Automatic Hollow Die Punch(이태리, CEAST 6050)기기를 이용하여 ASTM D638 규격에 따라 4호형 인장시편을 제작하였다.
(2) 인장강도 측정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시편에 대하여 인장압축시험기(영국, INSTRON)를 이용하여 인장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실험예2 : 충격강도 측정
(1) 시편 제작
상기 실시예 또는 비교예로부터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가로 100 mm, 세로 100 mm, 두께 3 mm의 형틀을 사용하여 상기 체적저항 측정 시편 제작과 동일하게 시트를 제작한 후, Automatic Hollow Die Punch(이태리, CEAST 6050)기기를 이용하여 ASTM D 256 규격에 따라 3mm 두께의 IZOD 충격강도 시편을 제작하였다.
(2) 충격강도
상기와 같이 얻어진 시편에 대하여 Pendulum 방식 TOYOSEIKI 상온 IZOD 충격 시험기(일본, TOYOSEIKI)를 이용하여 상온 IZOD 충격강도를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1]에 나타내었다.
구분 항복 응력
(MPa)
IZOD 충격강도
(kgf/cm.cm)
실시예 1 20 46
실시예 2 19 55
실시예 3 18 64
실시예 4 18 65
비교예 1 19 45
비교예 2 18 52
비교예 3 17 59
비교예 4 18 42
실험예3 : 열전도도 측정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의 열전도도를 하기 일반식1에 의하여 구하였다.
[일반식 1]
열전도도(κ) = 열확산도(α) * 비열(Cp) * 밀도(ρ)
구체적으로,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 각각에서 얻어진 폴리에틸렌 수지 복합체에 대하여 Netzsch LFA 477 측정기(Netzsch 사)를 이용하여 25 ℃의 온도에서 ASTM E1461에 따라 열확산도를 측정하였고, DSC 측정기(TA instrument 사)를 이용하여 ASTM E1952에 따라 비열을 측정하였으며, Mirage SD-120L를 이용하여 ASTM D792에 따라 밀도를 측정하였다. 각 고분자 조성물 펠렛의 측정된 열확산도, 비열, 및 밀도로부터 상기 식 1을 이용하여 열전도를 계산하였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조성물 열전도도 (W/m*K)
실시예 1 3.3
실시예 2 1.8
실시예 3 1.2
실시예 4 0.5
비교예 1 1.1
비교예 2 0.6
비교예 3 0.4
비교예 4 1.0
상기 표1 및 표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실시예의 수지 복합체의 경우 IZOD 충격강도가 45 Kgfcm/cm이고 인장 강도가 18 MPa 이상이면서도 열전도도가 0.5 또는 1.2 W/m*K 이상이라는 점이 확인되었다.
이에 반하여, 부틸기가 치환된 그라펜/폴리에틸렌 복합체의 비교예 1 내지 3의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열전도도을 가질 뿐만 아니라, 충격강도 및 인장 강도 또한 상대적으로 낮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즉, 상시 실험예의 결과에 따르면, 도데실기가 표면에 결합된 그래핀은 소량 사용으로도 높은 분산성을 나타내어 이를 포함한 수지 복합체 내부에서 높은 결합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충격강도 및 인장 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의 향상과 함께 높은 열전도도 확보할 수 있다는 점이 확인되었다.

Claims (8)

  1. 폴리올레핀 수지 100중량부 대비 탄소수 8 내지 20의 알킬기가 매개 작용기를 통하여 표면에 결합된 그래핀류 화합물 0.1 내지 10중량부를 포함한 수지 복합체를 포함하고,
    상기 매개 작용기는 -NH-CO-O-, -CO-NH-, -NH- 및 -CO-O-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의 작용기이며,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는 고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아이소부틸렌, 폴리메틸펜텐, 에틸렌과 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과 부텐 공중합체, 프로필렌과 부텐의 공중합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고,
    상기 수지 복합체가 갖는 하기 일반식 1로 정의되는 열전도도가 0.5 W/m*K 이상이고,
    상기 수지 복합체에 대하여 ASTM D638 규격에 따라 4호형 시편으로 측정한 인장 강도가 18 MPa 이상인, 지열 파이프:
    [일반식 1]
    열전도도 = 열확산도(α) * 비열(Cp) * 밀도(ρ)
    상기 열확산도는 25 ℃의 온도에서 ASTM E1461에 따라 측정한 수치이며,
    상기 비열은 25 ℃의 온도에서 ASTM E1952에 따라 측정한 수치이며,
    상기 밀도는 25 ℃의 온도에서 ASTM D792에 따라 측정한 수치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그래핀류 화합물은 그래핀, 산화 그래핀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지열 파이프.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복합체는 상기 그래핀류 화합물이 분산된 그래핀 용액과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한 고분자 용액을 혼합한 이후 상기 용액들의 용매를 건조하여 제조되는, 지열 파이프.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0.5 내지 10 인치의 내경을 갖는, 지열 파이프.
KR1020140165403A 2014-11-25 2014-11-25 지열 파이프 KR1016461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403A KR101646179B1 (ko) 2014-11-25 2014-11-25 지열 파이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65403A KR101646179B1 (ko) 2014-11-25 2014-11-25 지열 파이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530A KR20160062530A (ko) 2016-06-02
KR101646179B1 true KR101646179B1 (ko) 2016-08-05

Family

ID=561356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65403A KR101646179B1 (ko) 2014-11-25 2014-11-25 지열 파이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617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977909B (zh) * 2017-04-21 2019-02-12 东莞市普万光电散热科技有限公司 一种导热材料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19082275A (ja) * 2017-10-30 2019-05-30 イビデン株式会社 地熱発電用パイプ
CN109880215A (zh) * 2019-03-07 2019-06-14 苏州宏久航空防热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改性酚醛树脂原位还原包覆氧化石墨烯增强聚乙烯塑料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5006564D1 (de) 2004-06-25 2008-06-19 Basell Poliolefine Srl Aus statistischen propylen-und alphaolefin-copolymeren hergestellte rohrsysteme
US8110026B2 (en) * 2006-10-06 2012-02-07 The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Functional graphene-polymer nanocomposites for gas barrier applications
KR101205473B1 (ko) 2008-09-18 2012-11-27 주식회사 엘지화학 파이프용 올레핀계 중합체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되는 파이프
KR101088440B1 (ko) 2009-01-20 2011-11-30 주식회사 태영건설 지열교환 파이프, 지열교환 시스템 및 그 시공방법
KR101214621B1 (ko) 2010-11-24 2012-12-21 주식회사 이에스텍 폐타이어를 재활용한 단열재가 일체형으로 구비된 지열파이프 및 그 제조장치
KR101274975B1 (ko) * 2011-10-17 2013-06-17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열전도성 중공형 입자체를 포함하는 열전도성 복합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139003A (ko) * 2012-06-12 2013-12-20 금오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그래핀 및 탄소나노튜브의 혼합 탄소나노입자가 도입된 선형저밀도폴리에틸렌 복합체와 그 제조방법
KR101705625B1 (ko) * 2013-01-21 2017-02-10 희성금속 주식회사 고분자내에 분산이 용이한 그래핀 소재와 그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62530A (ko) 2016-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u et al. Highly thermally conductive and flexible phase change composites enabled by polymer/graphite nanoplatelet-based dual networks for efficient thermal management
Qian et al. Enhanced thermal-to-flexible phase change materials based on cellulose/modified graphene composites for thermal management of solar energy
Zheng et al. Microencapsulated phase change materials in solar-thermal conversion systems: understanding geometry-dependent heating efficiency and system reliability
US10920063B2 (en) Polymer gel with nanocomposite crosslinker
Zhi et al. Thermal stability and flame retardancy properties of epoxy resin modified with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 containing phosphorus and silicon elements
Jian et al. Rationally designed zinc borate@ ZIF-8 core-shell nanorods for curing epoxy resins along with low flammability and high mechanical property
Silakhori et al. Preparation and thermal properties of form-stable phase change materials composed of palmitic acid/polypyrrole/graphene nanoplatelets
Zhang et al. Thermal and electrical conductivity enhancement of graphite nanoplatelets on form-stable polyethylene glycol/polymethyl methacrylate composite phase change materials
Cao et al. Multiresponsive shape-stabilized hexadecyl acrylate-grafted graphene as a phase change material with enhanced thermal and electrical conductivities
Singh et al. Development of polyimide–nanosilica filled EPDM based light rocket motor insulator compound: Influence of polyimide–nanosilica loading on thermal, ablation, and mechanical properties
KR101646179B1 (ko) 지열 파이프
CN106633916B (zh) 一种石墨烯基导热界面材料及其制备方法
CN104151695A (zh) 一种用石墨烯改性的聚丙烯复合管材的制备方法
CN104004251A (zh) 一种用石墨烯改性的耐热聚乙烯复合管材的制备方法
CA2716056A1 (en) Thermally conductive polymer compositions
Paraskar et al. Influence of amine functionalized graphene oxide on mechanical and thermal properties of epoxy matrix composites
KR102317703B1 (ko) 바이오매스 개질을 통한 열흐름 특성을 개선한 열 가소성 수지 복합체 조성물 및 그 용도
Kundan et al. Performance evaluation of a nanofluid (CuO-H2O) based low flux solar collector
Lee et al. Fabrication of biobased advanced phase change material and multifunctional composites for efficient thermal management
Zanjanijam et al. Phenolic resin/coal char composites: Curing kinetics and thermal/mechanical performance
Kittusamy et al. Preparation and thermal characterization of nanographene-enhanced fatty acid-based solid-liquid organic phase change material composites for thermal energy storage
CN103467889B (zh) 机械活化强化制备导热复合材料的方法
CN103275461A (zh) 利用微波快速制备的高性能环氧树脂/碳纳米管复合材料及方法
CN110240892A (zh) 一种仿生层状石墨烯/苝酰亚胺衍生物导热薄膜及其制备方法
Barghamadi et al. Influence of the epoxy functionalization of multiwall carbon nanotubes on the nonisothermal cure kinetics and thermal properties of epoxy/multiwall carbon nanotube nanocomposit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