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5628B1 -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 Google Patents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5628B1
KR101645628B1 KR1020140129432A KR20140129432A KR101645628B1 KR 101645628 B1 KR101645628 B1 KR 101645628B1 KR 1020140129432 A KR1020140129432 A KR 1020140129432A KR 20140129432 A KR20140129432 A KR 20140129432A KR 101645628 B1 KR101645628 B1 KR 1016456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vided
divided bodies
bodies
connection line
pow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94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53698A (ko
Inventor
김준상
귀도 코스타마그나
이보 보코스키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비씨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비씨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비씨엠
Priority to JP2014223066A priority Critical patent/JP2015093193A/ja
Priority to US14/530,824 priority patent/US20150134044A1/en
Publication of KR20150053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53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56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562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8/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 A61B18/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 A61B18/1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for transferring non-mechanical forms of energy to or from the body by heating by passing a current through the tissue to be heated, e.g. high-frequency curr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82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7/00Materials for grafts or prostheses or for coating grafts or prostheses
    • A61L27/14Macromolecular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Transplantation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Card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tolaryng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내의 내강(內腔)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로 삽입하여 병변 부위를 확장시킴과 함께 전기 열을 가하여 병변 조직을 소작시킬 수 있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 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엮어 형성하는 중공식 원통형 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 몸체로 분할 형성하여 플렉시블 재질의 절연체로 서로 연결 구성하고, 각 분할 몸체는 후방에 와이어를 연장시켜 전원 연결선을 각각 돌출 형성하여, 각 분할 몸체의 전원 연결선에 전기 발생기를 연결하면, 각 분할 몸체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할 수 있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를 제공함으로서, 병변 부위 외에 다른 신체의 내부로 전류가 흐르지 않게 하면서 병변 조직에 전기 열을 가하여 소작함에 그 특징이 있다.

Description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Bipolar electricity-therapy stent}
본 발명은 체내의 내강(內腔)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로 삽입하여 병변 부위를 확장시킴과 함께 전기 열을 가하여 병변 조직을 소작시킬 수 있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체내의 질병으로 내강(內腔)이 협착되거나 폐색되는데, 예를 들면 위저부암에 의한 위장 입구의 폐색, 식도암에 의한 식도의 협착, 동맥경화증에 의한 혈관의 협착, 담관의 협착 등이다.
이와 같이 체내의 내강이 협착 또는 폐색되면 내강의 기능 저하는 물론 각종 합병증을 유발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그리하여,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스텐트를 사용하였다.
상기 스텐트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 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를 엮어 형성하는 중공식 원통형 몸체(3)로 이루어져 내외측 및 길이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므로 체내의 내강이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에 삽입 시술하여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의 통로를 확장하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 스텐트는 단순히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의 통로를 확장할 뿐 병변 부위의 근본적 치료는 곤란하였다. 즉, 체내 내강의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가 암 조직, 악성 종양 등과 같이 진행성 질환인 경우에 암 조직, 악성 종양이 자라면서 병변 부위에 시술된 스텐트 내측으로 성장하여 내강이 다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문제를 해결하지는 못하였다.
이러한 종래 스텐트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열 치료용 스텐트가 특허문헌 등록특허 제10-0459916호 등에 개시된 바 있는데, 이는 체내의 내강이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에 삽입 시술된 스텐트에 고주파 발생기를 연결하여 상기 스텐트에 의해 병변 부위의 통로를 확장함과 함께 고주파 열을 가하여 병변 부위를 소작시키므로 변병 부위가 괴사되도록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특허문헌은 스텐트 본체가 삽입되는 환자의 신체와 접촉되는 패드가 연결되어 스텐트 본체와 패드 사이에 전류가 통하도록 구성되었기 때문에, 환자의 신체 내부에서 신체의 외부로 전류가 이동하였다,
즉, 신체 내부의 장기 및 피부로 전류가 이동하기 때문에, 병변 부위 외의 내부 장기에 부정적인 영향이 미칠 수 있으며 패드가 부착되는 신체 외부의 피부에 화상을 입을 수 우려가 있었다.
등록특허 제10-0459916호
이에 본 발명은, 신체의 내부에서 신체의 외부로 전류가 이동하지 않으면서, 신체내의 내강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로 삽입하여 확장시킴과 함께 전기 열을 가하여 병변 조직을 소작시킬 수 있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1실시예를 따른 본 발명은, 체내의 내강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로 삽입하여 확장시킴과 함께 전기 열을 가하여 병변 조직을 소작시키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에 있어서, 초 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를 엮어 형성하는 중공식 원통형 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 몸체로 분할 형성하여 플렉시블 재질의 절연체로 서로 연결 구성하고, 각 분할 몸체는 후방에 와이어를 연장시켜 전원 연결선을 각각 돌출 형성하여, 각 분할 몸체의 전원 연결선에 전기 발생기를 연결하면, 각 분할 몸체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전원 연결선을 고리 형태로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분할 몸체의 전원 연결선을 피부 접촉을 방지하면서 인체에 삽입 가능한 절연 폴리머로 이루어진 관체(40) 내부에 삽입하여 안내하도록 구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본 발명은 절연체를 튜브 형태로 형성하되, Polytetrafluoroethylene(PTFE) 재질로 형성함에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제2실시예를 따른 본 발명은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를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식 제1원통형 몸체를 구성하되, 상기 제1원통형 몸체를 절연 재질로 코팅하여 절연층을 구성하여 이루어진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에 있어서, 제1원통형 몸체의 일단에는 체내의 내강에 걸림되도록 제1원통형 몸체보다 직경이 큰 확관부를 더 형성하고, 절연층의 외주면 양쪽에는 제1원통형 몸체보다 길이가 짧은 중공식 제2원통형 몸체를 각각 구성하여, 제2원통형 몸체를 원통형 몸체에 각각 연결 고정하고, 한 쌍의 제2원통형 몸체의 일단에서 와이어를 외측으로 각각 연장시켜 전기 발생기의 전원선과 각각 연결되는 전원 연결선을 형성하여, 확관부를 체내의 내강에 걸림시키면서 제1원통형 몸체를 병변 부위에 위치시켜 좁아진 체내의 내강을 확장시킨 후, 상기 전기 발생기의 전원선을 제2원통형 몸체의 전원 연결선에 각각 연결하여, 한 쌍의 상기 제2원통형 몸체 사이로 전류를 흐르게 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함에 그 특징이 있다.
제1실시예를 따른 본 발명은 신체의 내부에서 신체의 외부로 전류가 이동하지 않고 각 분할 몸체에서만 전류가 이동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분할 몸체에서 연장 형성된 전원 연결선을 절연 폴리머로 이루어진 관체로 커버하여, 체내의 내강에 접촉하므로 발생되는 불필요한 부분의 소작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더불어, 분할 몸체의 전원 연결선에서 다른 분할 몸체로 전류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전기 열이 발생하지 않도록 조절해주는 효과도 있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분할 몸체의 전원 연결선을 고리 형태로 형성하여 부분 단락에도 전원을 연결하도록 하고, 각 분할 몸체를 연결하는 절연체는 튜브 형태로 인조혈관(Polytetrafluoroethylene;PTFE) 재질로 형성하여 굴곡진 내강에도 효과적으로 삽입 시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실시예를 따른 본 발명은 확관부가 병변 부위의 체내 내강의 위치에 걸림 고정되기 때문에,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는 효과가 있으며 동시에 안정적으로 병변 조직을 소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1원통형 몸체와 제2원통형 몸체, 즉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협착 또는 폐색되어 좁아진 체내의 내강을 좀 더 용이하게 확장시킨 상태에서 병변 조직을 전기 열로 소작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종래 스텐트의 일례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 스텐트의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3a,b,c는 도 2의 "A","B","C"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 스텐트의 다른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5는 본 발명 스텐트의 또 다른 제1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6은 도 2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7은 도 4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8은 도 5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9는 본 발명의 스텐트의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10은 본 발명의 스텐트이 다른 제2실시예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11은 도 9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도 12는 도 10의 사용 상태를 보여주는 정면 구성도.
이하,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100)는 도 2 내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체내의 내강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200)로 삽입하여 확장시킴과 함께 전기 열을 가하여 병변 조직을 소작시키는 것이다.
이는 초 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를 엮어 형성하는 중공식 원통형 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 몸체로 분할 형성하여 플렉시블 재질의 절연체(20)로 서로 연결 구성하고,
각 상기 분할 몸체는 후방에 와이어(2)를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을 돌출 형성하여 각 상기 분할 몸체의 전원 연결선에 전기 발생기(30)를 연결하면, 각 분할 몸체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하는 것이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100)는 상기 분할 몸체를 2개의 제1,2 분할 몸체(10-1)(10-2)로 분할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후방에 와이어(2)를 각각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1)(11')을 돌출 형성하여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전원 연결선(11)(11')에 전기 발생기(30)를 연결하면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하는 것이다.
또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100)는 상기 분할 몸체를 3개의 제1,2,3 분할 몸체(10-1)(10-2)(10-3)으로 분할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후방에 와이어(2)를 각각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1)(11')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3 분할 몸체(10-3)의 후방에 와이어(2)를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2)을 제1 분할 몸체(10-1) 전방에 연결 형성하여, 상기 제1,2분할 몸체(10-1)(10-2)의 전원 연결선(11)(11')에 전기 발생기(30)를 연결하면, 제1,2,3 분할 몸체(10-1)(10-2)(10-3)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하는 것이다.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또 다른 제1실시예에 따른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100)는 상기 분할 몸체를 4개의 제1,2,3,4 분할 몸체(10-1)(10-2)(10-3)(10-4)로 분할 형성하는 경우에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후방에 와이어(2)를 각각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1)(11')을 돌출 형성하고, 제3 분할 몸체(10-3)의 후방에 와이어(2)를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2)을 제1 분할 몸체(10-1) 전방에 연결 형성하며, 제4 분할 몸체(10-4)의 후방에 와이어(2)를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2')을 제2 분할 몸체(10-2) 전방에 연결 형성하여,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전원 연결선(11)(11')에 전기 발생기(30)를 연결하면, 제1,2,3,4 분할 몸체(10-1)(10-2)(10-3)(10-4)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상기 제3,4 분할 몸체(10-3)(10-4)의 전원 연결선(12)(12')도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전원 연결선(11)(11')과 별도로 후방에 더 연장 형성하여 전기 발생기(30)를 선택적으로 연결하여 소작할 수도 있으나 이와 같이 체내의 내강에서 다수의 분할 몸체를 전기 발생기(30)와 각각 연결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크게 2개 위치로 구분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각 상기 분할 몸체는 인접하지 않은 분할 몸체끼리 연결되었지만, 병변 부위(200)의 상황에 맞게 전기 열이 발생할 수 있도록 인접한 분할 몸체끼리 연결될 수도 있다.
더불어, 도 3a 내지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전원 연결선(11)(11')은 부분 단락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전원을 연결할 수 있도록 단선이 아닌 고리 형태(두줄)로 형성한다.
물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3 분할 몸체(10-1)(10-2)(10-3)의 전원 연결선(11)(11')(12)도 단선이 아닌 고리 형태(두줄)로 형성하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3,4 분할 몸체(10-1)(10-2)(10-3)(10-4)의 전원 연결선(11)(11')(12)(12')도 단선이 아닌 고리 형태(두줄)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절연체(20)는 튜브 형태로 형성하되, 인조혈관(Polytetrafluoroethylene;PTFE) 재질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분할 몸체의 전원 연결선은 분할 몸체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기 때문에 피부 접촉을 방지하면서 절연 폴리머 관체(40) 내부에 삽입하여 안내하도록 설치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절연 폴리머는 절연 재질인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절연 재질인 Teflon 또는 절연 재질인 Nylo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전원 연결선(11)(11')에는 전기 발생기(30)의 전원선(31)을 직접 연결하거나, 별도 체내 내강에 삽입할 수 있는 보조 기구(집게형)에 의해 스텐트 삽입 시술 후 전원 연결선(11)(11')을 집어 간접 연결하도록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2,3,4 분할 몸체(10-1)(10-2)(10-3)(10-4)는 초 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를 엮어 형성하되, 내외측 및 길이 방향으로 신축 작동하는 다양한 방식으로 엮어 구성할 수 있고, 이와 같은 분할 몸체의 형상, 수효, 길이 및 전원 연결선의 연결 구조는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으나 이와 같은 단순 구조의 변경 정도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귀속됨을 밝혀둔다.
한편,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초탄성 형상기억합금으로 이루어진 와이어(2)를 그물망 형태로 엮거나 교차시켜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중공식 제1원통형 몸체(50)를 구성하되, 상기 제1원통형 몸체(50)의 일단에는 체내의 내강에 걸림되도록 제1원통형 몸체(50)보다 직경이 큰 확관부(51)를 더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확관부(51)를 제외한 제1원통형 몸체(50)를 절연 재질로 코팅하여 절연층(60)을 구성하며, 상기 절연층(60)의 외주면 양쪽에는 제1원통형 몸체(50)보다 길이가 짧은 중공식 제2원통형 몸체(70)를 각각 구성하여,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를 제1원통형 몸체(50)에 각각 연결 고정한다.
즉,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의 입구와 출구가 형성된 양단을 외표면이 절연층(60)으로 코팅된 제1원통형 몸체(50)의 원주방향으로 실로 꿰매어 연결 고정하는 것이다.
물론,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의 외주면을 외표면이 절연층(60)으로 코팅된 제1원통형 몸체(50)의 길이방향 또는 사선방향 또는 나선방향으로 실로 꿰매어 연결 고정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절연층(60)은 절연 효과가 뛰어난 파릴렌(Parylene) 또는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한 쌍의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의 일단에서 와이어(2)를 확관부(51)의 반대 방향의 외측으로 각각 연장시켜 전기 발생기(30)의 전원선(31)과 각각 연결되는 전원 연결선(71)을 형성한다.
이때, 상기 확관부(51)에서 제일 가까운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은 확관부(51)에서 제일 먼 제2원통형 몸체(70)에서 벗어날 정도로 형성한다.
즉, 상기 전기 발생기(30)의 전원선(31)과 한 쌍의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을 용이하게 연결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은 피부 접촉을 방지하면서 인체에 삽입 가능한 절연 폴리머로 이루어진 관체(40) 내부에 삽입하여 안내하도록 구성하며, 전원 연결선(71)의 끝단은 노출되게 형성한다.
즉, 상기 전기 발생기(30)에서 공급되는 전류가 겹치지 않고 각각의 제2원통형 몸체(70)에만 공급되게 하기 위해서이다.
이때, 상기 절연 폴리머는 절연 재질인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절연 재질인 Teflon 또는 절연 재질인 Nylo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원 연결선(71)은 단선이 아닌 고리 형태(두줄)로 형성한다.
여기서, 상기 전원 연결선(71)은 전기 발생기(30)의 전원선(31)을 직접 연결하거나, 체내의 내강에 삽입할 수 있으면서 전류를 공급받는 보조 기구(집게형)에 의해 간접 연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10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원통형 몸체(70)를 제1원동형 몸체(50)의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다수개를 구성한다.
이때,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의 개수는 제1원통형 몸체(50)가 길게 형성될수록 도 9에 도시된 제2원통형 몸체(70)보다 더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들 중 홀수 위치에 해당하는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들은 전원 연결선(71)으로 연결하면서, 홀수 위치에서 가장 마지막 위치에 해당하는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을 전기 발생기(30)의 전원선(31)에 연결되도록 확관부(51)의 반대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시켜 형성한다.
또한, 다수개의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들 중 짝수 위치 즉 나머지 제2원통형 몸체(70)들은 전원 연결선(71)으로 연결하면서, 짝수 위치에서 가장 마지막 위치에 해당하는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을 나머지 전원선(31)에 연결되도록 확관부(51)의 반대 방향의 외측으로 연장시켜 형성한다.
이때,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절연층(60)은 절연 효과가 뛰어난 파릴렌(Parylene) 또는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지게 하며,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은 피부 접촉을 방지하면서 인체에 삽입 가능한 절연 폴리머로 이루어진 관체(40) 내부에 삽입하여 안내하도록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절연 폴리머는 절연 재질인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절연 재질인 Teflon 또는 절연 재질인 Nylo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전원 연결선(71)은 단선이 아닌 고리 형태(두줄)로 형성하며, 상기 전원 연결선(71)은 전기 발생기(30)의 전원선(31)을 직접 연결하거나, 체내의 내강에 삽입할 수 있으면서 전류를 공급받는 보조 기구(집게형)에 의해 간접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들은 인접하지 않은 제2원통형 몸체(70)끼리 연결되었지만, 병변 부위(200)의 상황에 맞게 전기 열이 발생할 수 있도록 인접한 제2원통형 몸체(70)끼리 연결될 수도 있다.
다음은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작동 및 작용에 대해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체내의 내강에 암 조직, 악성 종양 등에 의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200)로 스텐트 삽입장치에 의해 스텐트(100)를 삽입하여 시술하게 된다.
상기 스텐트(100)는 초 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를 엮어 형성하는 중공식 원통형 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한 분할 몸체를 플렉시블 재질, 즉 인조혈관(Polytetrafluoroethylene;PTFE) 재질의 절연체(20)로 연결한 것으로 상기 분할 몸체를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200)에 삽입하여 병변 부위(200)를 확장시키므로 통로를 확보하게 되는 것이다.
이 상태에서 각 상기 분할 몸체의 후방에 와이어(2)를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에 전기 발생기(30)를 연결하면, 각 상기 분할 몸체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분할 몸체를 2개의 제1,2 분할 몸체(10-1)(10-2)로 분할 형성하는 경우에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후방에 와이어(2)를 각각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1)(11')에 전기 발생기(30)의 전원선(31)을 각각 연결하면,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하게 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할 몸체를 3개의 제1,2,3 분할 몸체(10-1)(10-2)(10-3)으로 분할 형성하는 경우에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제1,3 분할 몸체(10-1)(10-3)가 전원 연결선(12)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후방에 와이어(2)를 각각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1)(11')에 전기 발생기(30)의 전원선(31)을 각각 연결하면, 제1,2,3 분할 몸체(10-1)(10-2)(10-3)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하게 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분할 몸체를 4개의 제1,2,3,4 분할 몸체(10-1)(10-2)(10-3)(10-4)로 분할 형성하는 경우에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제1,3 분할 몸체(10-1)(10-3)와 제2,4 분할 몸체(10-2)(10-4)가 전원 연결선(12)(12')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후방에 와이어(2)를 각각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1)(11')에 전기 발생기(30)의 전원선(31)을 각각 연결하면, 제1,2,3,4 분할 몸체(10-1)(10-2)(10-3)(10-4)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하게 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상기 스텐트(100)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으로 분할한 각 분할 몸체 사이로 전류를 이동하게 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부위(200) 외의 불필요한 부위의 소작을 방지하고 최소 범위로 병변 조직을 소작시켜 치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즉, 상기 병변 부위(200) 외의 신체의 내부 장기와 피부로 전류가 이동하지 않는 것이다.
또한, 각 상기 분할 몸체의 수효나 길이 등을 병변 부위(200)의 길이 및 넓이 등에 따라 다양하게 구성하여 본 발명의 스텐트(100) 시술에 의해 다양한 병변 부위(200)를 소작할 수 있는 것이다.
그 밖에 본 발명은 상기 제1,2,3,4 분할 몸체(10-1)(10-2)(10-3)(10-4)의 전원 연결선(11)(11')(12)(12')을 단선이 아닌 고리 형태(두줄)로 형성하므로, 사용 중에 부분 단락되더라도 전원 연결을 계속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각 상기 분할 몸체를 연결하는 절연체(20)는 튜브 형태로 형성하되, 인조혈관(Polytetrafluoroethylene;PTFE) 재질로 형성하여, 시술에 따른 인체에 부작용을 방지함은 물론 굴곡 형태의 내강 시술도 용이하게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1,2,3,4 분할 몸체(10-1)(10-2)(10-3)(10-4)의 전원 연결선(11)(11')(12)(12')을 절연 폴리머로 이루어진 관체(40) 내부에 삽입하여 안내하도록 하므로 상기 전원 연결선(11)(11')(12)(12')의 피부 접촉을 방지하여 불필요한 신체 부위의 소작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다.
더불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분할 몸체(10-1)의 외주면을 지나가는 전원 연결선(11')에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제2 분할 몸체(10-2) 말고 다른 분할 몸체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외주면을 지나가는 전원 연결선(11')(12)에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제2 분할 몸체(10-2) 및 상기 제1,3 분할 몸체(10-1)(10-3) 말고 다른 분할 몸체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2,3 분할 몸체(10-1)(10-2)(10-3)의 외주면을 지나가는 전원 연결선(11')(12)(12')에 공급되는 전류가, 상기 제1,3 분할 몸체(10-1)(10-3) 및 상기 제2,4 분할 몸체(10-2)(10-4) 말고 다른 분할 몸체로 이동하게 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제1,2,3,4 분할 몸체(10-1)(10-2)(10-3)(10-4)의 전원 연결선(11)(11')(12)(12')을 절연 폴리머로 이루어진 관체(40) 내부에 삽입하여 안내하도록 함으로서, 전원 연결선(11)(11')(12)(12')의 전류가 불필요한 분할 몸체로 이동하여 불필요한 전기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조절해 주는 것이다.
즉, 상기 절연 폴리머는 절연 재질인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절연 재질인 Teflon 또는 절연 재질인 Nylo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하여, 불필요한 전류의 이동에 따른 불필요한 전기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기 발생기(30)는 고주파를 이용한 고주파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전원 연결선(11)(11')과 각각 연결되는 전원선(31)은 양극과 음극 또는 음극과 양극으로 각각 극성이 바뀔 수 있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100)를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에 위치한 체내의 내강에 설치한다.
이때, 상기 제1원통형 몸체(50)보다 직경이 큰 확관부(51)를 체내의 내강에 걸림 고정시키면서 제1원통형 몸체(50)로 협착 또는 폐색되어 좁아진 체내의 내강을 확장시켜준다.
여기서, 상기 확관부(51)는 인체의 흔들림 또는 외부에서 발생되는 외력에 의해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에서 미끄러지지 않도록 체내의 내강에 걸림 고정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전기 발생기(30)의 전원선(31)을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에 각각 연결하여, 한 쌍의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 사이로 전류를 이동하게 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한다.
이때, 상기 전원 연결선(71)은 절연 폴리머로 이루어진 관체(40) 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한 쌍의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에서 불필요한 전류의 이동에 따른 불필요한 전기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즉, 상기 확관부(51)에 가장 가까운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이 나머지 제2원통형 몸체(70)에 인접해 있더라도 절연 폴리머로 이루어진 관체(40)에 의해, 전원 연결선(71)에 공급된 전류가 인접한 상기 나머지 제2원통형 몸체(70)로 전류가 이동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절연 폴리머는 절연 재질인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절연 재질인 Teflon 또는 절연 재질인 Nylo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하여, 불필요한 전류의 이동에 따른 불필요한 전기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연층(60)은 절연 효과가 뛰어난 파릴렌(Parylene) 또는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기 발생기(30)에서 전류를 공급받는 제2원통형 몸체(70)에서 제1원통형 몸체(50)로 전류가 이동하지 않게 해줌으로서 불필요한 전기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그리고, 상기 전원 연결선(71)은 단선이 아닌 고리 형태(두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작 작업 중에 전원 연결선(71)의 일부분이 단락되더라도 지속적으로 제2원통형 몸체(70)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100)는 제1원통형 몸체(50)와 한 쌍의 제2원통형 몸체(70), 즉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좁아진 체내의 내강을 좀 더 용이하게 확장시킨 상태에서 병변 조직을 소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발생기(30)는 고주파를 이용한 고주파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한 쌍의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과 각각 연결되는 전원선(31)은 양극과 음극 또는 음극과 양극으로 각각 될 수 있다.
한편,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1에 도시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부위보다 길거나 넓은 경우 본 발명의 다른 제2실시예에 따른 상기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100)를 병변부위에 위치한 체내의 내강에 설치한다.
즉, 상기 제1원통형 몸체(50)의 길이방향으로 미리 정해진 간격에 다수개 구성된 제2원통형 몸체(70)로 좁아진 체내의 내강을 확장시켜준다.
그리고, 다수개의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들 중 홀수 위치에서 가장 마지막 위치에 해당하는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을 전기 발생기(30)의 전원선(31)에 연결하고, 다수개의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들 중 짝수 위치에서 가장 마지막 위치에 해당하는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을 나머지 전원선(31)에 연결한다.
그리하여, 다수개의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들 사이로 전류를 이동하게 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한다.
즉, 도 11보다 더 길고 넓어진 상기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전원 연결선(71)은 절연 폴리머로 이루어진 관체(40) 내부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에, 홀수 위치의 제2원통형 몸체(70)들과 짝수 위치의 제2원통형 몸체(70)들에서 불필요한 전류의 이동에 따른 불필요한 전기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즉, 홀수 위치의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들과 연결된 전원 연결선(71)에서 짝수 위치의 제2원통형 몸체(70)들로 전류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주며 또는 짝수 위치의 상기 제2원통형 몸체(70)들과 연결된 전원 연결선(71)에서 홀수 위치의 제2원통형 몸체(70)들로 전류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해주는 것이다.
다시 말해, 상기 절연 폴리머는 절연 재질인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절연 재질인 Teflon 또는 절연 재질인 Nylo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게 하여, 불필요한 전류의 이동에 따른 불필요한 전기 열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절연층(60)은 절연 효과가 뛰어난 파릴렌(Parylene) 또는 실리콘(Silicone) 중 어느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전기 발생기(30)에서 전류를 공급받는 다수개의 제2원통형 몸체(70)들에서 제1원통형 몸체(50)로 전류가 이동하지 않게 해줌으로서 불필요한 전기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해준다.
그리고, 상기 전원 연결선(71)은 단선이 아닌 고리 형태(두줄)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소작 작업 중에 전원 연결선(71)의 일부분이 단락되더라도 지속적으로 다수개의 제2원통형 몸체(70)들에 전류를 공급할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100)는 제1원통형 몸체(50)와 다수개의 제2원통형 몸체(70), 즉 이중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좁아진 체내의 내강을 좀 더 용이하게 확장시킨 상태에서 도 11의 병변 조직보다 길고 넓게 소작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전기 발생기(30)는 고주파를 이용한 고주파 전원공급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홀수 위치 및 짝수 위치에서 가장 마지막에 위치한 제2원통형 몸체(70)의 전원 연결선(71)과 각각 연결되는 전원선(31)은 양극과 음극 또는 음극과 양극으로 극성이 각각 바뀔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경과 수정이 가능할 것이다.
10-1,10-2,10-3,10-4 : 분할 몸체
11,11'12,12': 전원 연결선
20 : 절연체 30 : 전기 발생기
31 : 전원선 40 : 관체
50 : 제1원통형 몸체 51 : 확관부
60 : 절연층 70 : 제2원통형 몸체
71 : 전원 연결선 100 : 스텐트

Claims (14)

  1. 체내의 내강에 발생된 협착 또는 폐색되는 병변 부위로 삽입하여 확장시킴과 함께 전기 열을 가하여 병변 조직을 소작시키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에 있어서,
    초 탄성 형상기억합금 와이어(2)를 엮어 형성하는 중공식 원통형 몸체를 길이 방향을 따라 적어도 둘 이상의 분할 몸체로 분할 형성하여 플렉시블 재질의 절연체(20)로 서로 연결 구성하고,
    각 상기 분할 몸체는 후방에 와이어(2)를 연장시켜 전원 연결선을 각각 돌출 형성하여,
    각 상기 분할 몸체의 전원 연결선에 전기 발생기(30)를 연결하면, 각 분할 몸체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몸체를 2개의 제1,2 분할 몸체(10-1)(10-2)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후방에 와이어(2)를 각각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1)(11')을 돌출 형성하여,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전원 연결선(11)(11')에 전기 발생기(30)를 연결하면,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몸체를 3개의 제1,2,3 분할 몸체(10-1)(10-2)(10-3)으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후방에 와이어(2)를 각각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1)(11')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3 분할 몸체(10-3)의 후방에 와이어(2)를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2)을 제1 분할 몸체(10-1) 전방에 연결 형성하여,
    상기 제1,2분할 몸체(10-1)(10-2)의 전원 연결선(11)(11')에 전기 발생기(30)를 연결하면, 제1,2,3 분할 몸체(10-1)(10-2)(10-3)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몸체를 4개의 제1,2,3,4 분할 몸체(10-1)(10-2)(10-3)(10-4)로 분할 형성하되,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후방에 와이어(2)를 각각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1)(11')을 돌출 형성하고,
    상기 제3 분할 몸체(10-3)의 후방에 와이어(2)를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2)을 제1 분할 몸체(10-1) 전방에 연결 형성하며,
    상기 제4 분할 몸체(10-4)의 후방에 와이어(2)를 연장 형성한 전원 연결선(12')을 제2 분할 몸체(10-2) 전방에 연결 형성하여,
    상기 제1,2 분할 몸체(10-1)(10-2)의 전원 연결선(11)(11')에 전기 발생기(30)를 연결하면, 제1,2,3,4 분할 몸체(10-1)(10-2)(10-3)(10-4)의 사이로 전류가 이동함으로서 발생되는 전기 열로 병변 조직을 소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5.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연결선은 고리 형태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6.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몸체의 전원 연결선은 피부 접촉을 방지하면서 인체에 삽입 가능한 절연 폴리머로 이루어진 관체(40) 내부에 삽입하여 안내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 폴리머는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Teflon 또는 Nylon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8. 제1항 또는 제2항 또는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20)는 튜브 형태로 형성하되, 인조혈관( Polytetrafluoroethylene;PTFE) 재질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KR1020140129432A 2013-11-08 2014-09-26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KR1016456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23066A JP2015093193A (ja) 2013-11-08 2014-10-31 電気熱治療用ステント
US14/530,824 US20150134044A1 (en) 2013-11-08 2014-11-02 Stent for electrothermal treat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35446 2013-11-08
KR20130135446 2013-11-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698A KR20150053698A (ko) 2015-05-18
KR101645628B1 true KR101645628B1 (ko) 2016-08-08

Family

ID=533902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9432A KR101645628B1 (ko) 2013-11-08 2014-09-26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562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2588B1 (ko) * 2020-06-18 2021-03-05 한국광기술원 Led 패치 결합형 융복합 스텐트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8989A1 (en) * 2008-06-19 2009-12-24 Tomaschko Daniel K Pacing catheter with stent electrod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16410A (en) * 1993-04-30 1998-02-10 Scimed Life Systems, Inc. Temporary stent and method of use
KR100459916B1 (ko) 2002-04-15 2004-12-04 (주) 태웅메디칼 열치료 스텐트 및 그 치료장치
KR200314211Y1 (ko) * 2003-02-19 2003-05-23 (주) 태웅메디칼 고주파 열치료용 스텐트
KR20100042478A (ko) * 2008-10-16 2010-04-26 (주) 태웅메디칼 굴곡 변형성을 갖는 스텐트의 제조방법과 그 스텐트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318989A1 (en) * 2008-06-19 2009-12-24 Tomaschko Daniel K Pacing catheter with stent electrod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53698A (ko) 2015-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07226B2 (ja) アブレーションカテーテル及びアブレーション機器
US10695124B2 (en) Renal nerve ablation catheter having twist balloon
ES2751156T3 (es) Aparatos de catéter que tienen estructuras de malla expansibles para neuromodulación renal
RU2207823C2 (ru) Электрокатетер для побуждения стеноза сосуда, имеющий два множества расходящихся электродов
ES2407329T3 (es) Sistema para inducir efectos de temperatura deseables sobre un tejido corporal
JP6382989B2 (ja) 耐引き裂き性フレキシブル回路アセンブリを備える医療デバイス
US6238392B1 (en) Bipolar electrosurgical instrument including a plurality of balloon electrodes
JP2015093193A (ja) 電気熱治療用ステント
ES2270892T3 (es) Lazo de ablacion de anillo auricular con empujador extensible.
ES2378212T3 (es) Aparato para crear una lesión anular continua
ES2703556T3 (es) Aparato para controlar con precisión el tamaño y la forma de ablaciones por radiofrecuencia
JP4971452B2 (ja) 生物学的組織を高周波治療するための軟質可撓性のカテーテル
KR20100058465A (ko) 지혈을 해내고 출혈 경향을 갖는 환부를 근절하기 위한 위장관 내 절제
US20220022938A1 (en) Electrosurgical system with electrically active outer surface
KR20130140954A (ko) 소작 겸용 스텐트 시술장치
JP2022531655A (ja) 複数のループセグメントを備えたマッピング及び焼灼カテーテル
KR101645628B1 (ko) 전기 열 치료용 스텐트
TWI770054B (zh) 去神經支配導管及包含該去神經支配導管的去神經支配裝置
JP2019535388A (ja) 単極型電気焼灼チップが備えられたステント伝達システム
KR200314211Y1 (ko) 고주파 열치료용 스텐트
US10849674B2 (en) Instrument and system for ablation
CN103607970B (zh) 可扩展探头
KR100459916B1 (ko) 열치료 스텐트 및 그 치료장치
CN116407248A (zh) 冷却球囊及消融装置
JP2000262539A (ja) 高周波処置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