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610B1 -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 Google Patents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610B1
KR101644610B1 KR1020150068924A KR20150068924A KR101644610B1 KR 101644610 B1 KR101644610 B1 KR 101644610B1 KR 1020150068924 A KR1020150068924 A KR 1020150068924A KR 20150068924 A KR20150068924 A KR 20150068924A KR 101644610 B1 KR101644610 B1 KR 1016446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switch
display
conveyor belt
display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68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창훈
Original Assignee
이창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창훈 filed Critical 이창훈
Priority to KR1020150068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61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6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6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5/00Conveyors having endless load-conveying surfaces, i.e. belts and like continuous members, to which tractive effort is transmitted by means other than endless driving elements of similar configu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2/00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 F21S2/005Systems of lighting devices, not provided for in main groups F21S4/00 - F21S10/00 or F21S19/00, e.g. of modular construction of modular constru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3/00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 F21V23/04Arrangement of electric circuit elements in or on lighting devices the elements being swit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종래의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여러 물건들이 한번에 놓이면 이송과정에서 뒤섞이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제안된 것으로, 발광수단을 구비한 표시부를 컨베이어벨트에 설치하여 적재된 물건의 위치를 발광표시하는 것으로 다수의 적재물건들이 서로 뒤섞이지 않고 직관적으로 구별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자세하게는 컨베이어벨트의 저면에 설치되고 발광수단과 발광수단을 점멸할 수 있는 스위치를 구비한 표시부가 컨베이어벨트와 함께 구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컨베이어벨트 상에서 적재된 물건의 적재위치선 또는 적재된 면적이 발광하도록 함으로써, 각 사용자들이 컨베이어벨트에 놓인 자신의 물품을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도록 하고, 계산원의 계산작업을 도울 수 있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를 제안한다.

Description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A conveyor belt that can display a line or area on a moving belt}
본 발명은 컨베이어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사용자가 올려놓은 물건들이 컨베이어벨트 상에서 각각 적재된 위치를 발광 표시함으로써 이송과정과 계산과정에서 적재된 물건이 누락되거나 타인의 물건과 뒤섞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에 관한 것이다.
보통 대규모 판매시설로서 백화점이나 마켓에서는 사용자가 구입한 물건을 계산하기 위해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계산대로 구입한 물건을 적재해 순서대로 이송되온 물건을 계산원이 확인하고 계산이 이뤄진다. 이때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계산대를 이용하는 경우, 계산대의 컨베이어벨트 상에는 다수의 사용자들이 구매한 물건이 동시에 올려지고, 이송되어온 물건들을 계산원이 각 구매자별로 구별해 계산작업을 수행하는 것이 보통이다. 이 과정에서 컨베이어벨트의 이송 움직임과 다수의 물건들이 한꺼번에 쌓여 올려져 이송되기 때문에 이송과정에서 타인의 물건과 뒤섞이는 상황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있으며, 결국 계산과정에서 계산에 착오가 발생하면서 구매자의 확인을 얻어 다시 계산을 해야하는 불편이 있다.
이러한 이 문제를 해결하기 현재 제안된 방안으로는 컨베이어벨트에 얹어놓을 수 있는 바(Bar)형태의 구분막대를 각 적재물건들 사이로 배치하는 방법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구분막대는 계산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컨베이어벨트와 함께 이동하기 때문에 계산대 부근에 도착한 구분막대를 회수해 다음 계산을 위해 대기하고 있는 사용자들에게 전달해야하는 불편이 있으며, 사용자들이 스스로 자신의 물건과 타인의 물건 사이에 이 구분막대를 설치해야하는 불편이 있고, 이 구분막대를 다수의 사용자들이 함께 사용하기 때문에 노출면이 세균과 오염물질로 오염되면서 건강에 악영향을 줄 수 있는 문제가 있다.
더구나 손쉽게 옮기고 설치할 수 있도록 소형의 바(Bar) 형태로 제작되었기 때문에 다량의 물건이 컨베이어벨트의 이송과정에서 바의 위로 넘어져 덮혀지는 경우에는 무용지물이 되기 쉽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10929(발명의 명칭:물품의 분류 설비 : 2015년 01월 29일)
본 발명은 종래의 컨베이어벨트에 의해 이송되는 물건들이 이송과정에서 뒤섞이는 문제를 해결하고자 발광수단을 구비한 표시부를 컨베이어벨트에 설치하여 적재된 물건의 위치를 발광표시하는 것으로 다수의 적재물건들이 서로 뒤섞이지 않고 직관적으로 구별되게 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구동부와 연결된 벨트의 구동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계산대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이송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표시바와, 상기 표시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로 발광하는 발광수단 및 상기 표시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수단을 점멸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한 표시부로 이루어져 상기 벨트 위로 놓인 물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발광시켜 물건의 적재위치 또는 적재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를 제안하여 상기의 목적을 달성한다.
본 발명에 의한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에 따르면 컨베이어벨트 상에서 적재된 물건의 경계 또는 물품이 적재된 면적이 발광되어 각 구매자들이 컨베이어벨트에 놓인 물품의 위치를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게 되고, 계산과정에서 타인과 물건이 뒤섞이는 것이 방지되어 신속하게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종래의 계산대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가 구비된 계산대를 도시한 도면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의 표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부의 일부를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3에 도시된 표시부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2에 도시된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의 측면을 도시한 도면
본 발명은 각 사용자들이 컨베이어벨트 위에 놓인 자신의 물품을 직관적으로 구별할 수 있고, 계산과 같은 작업에서 타인의 물건과 뒤섞이는 문제를 해결하는 한편, 작업자가 신속하게 작업을 구분수행할 수 있는 적재물 위치표시가 가능한 컨베이어벨트에 관한 것으로, 발광수단이 내부에 구비된 표시바와, 상기 표시바의 일단면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수단이 점멸되게 하는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벨트와 함께 이동되는 표시부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벨트 위에 놓인 물건의 적재위치 또는 적재영역에 따라 상기 발광수단을 발광시키는 것으로 컨베이어벨트 상의 적재된 물건을 직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를 제안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 도 1 내지 도 8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컨베이어벨트는 모터와 같은 구동수단에 연결된 벨트를 구동시켜 벨트상에 올려놓은 물건을 이송시켜 소정의 작업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것이다. 이러한 컨베이어벨트는 순차적으로 작업을 해야하는 생산현장이나 무거운 중량물을 이송해야하는 산업현장 및 백화점이나 쇼핑몰과 같은 대형 판매환경의 계산대에서도 널리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의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는 종래의 컨베이어벨트를 대치하여 사용될 수 있으며, 각 사용환경에서 요구되는 설치조건에 따라 공지의 부가구성이 결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하기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쇼핑몰과 같은 대형 판매환경에서 사용되고 있는 계산대에 적용되는 예를 대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계산대를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종래의 계산대는 계산대의 일측으로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되어서 사용자들의 물품을 컨베이어벨트에 올려놓아 작업자의 작업 순서에 따라 계산대측으로 물건이 이송되는 것으로, 각 사용자가 올려놓은 물품은 구분바(2)를 적재 물건들 사이로 올려놓아 구분하게 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가 구비된 계산대를 도시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 계산대의 컨베이어벨트로부터 개선된 본 발명의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가 설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는 구동축과 연결된 벨트(4)와 발광수단(112)을 구비한 표시바(110), 발광수단(112)을 점멸하는 스위치(116) 및 터치센서스위치(114)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바(110)는 컨베이어벨트의 폭을 충족하는 길이로 형성된 막대(bar) 형상으로 합성수지재나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내장한 발광수단(112)가 상부로 발광한 빛이 잘 투과될 수 있도록 상부면을 투명한 합성수지재, 유리 또는 투명필름, 그물망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다수개의 표시바(110)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며 벨트(4)의 저면에 상기 벨트의 이송방향을 향하여 각각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게 설치되어서 벨트(4)와 함께 모터에 의해 순환구동되면서 벨트(4)에 놓인 물건을 이송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상기 벨트(4)의 위로 물건이 적재되면 저면에 설치된 상기 표시바(110)에 의해 적재된 물건의 하중이 지지되고, 벨트(4)와 표시바(110)가 함께 구동되면서 벨트(4)에 놓인 물건이 계산대측으로 흔들림 없이 안전하게 이송되며 큰 하중의 물건도 무리 없이 이송할 수 있게 된다.
상기 벨트(4)는 투명하고 연질의 합성수지재 또는 메쉬구조의 직물재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발광수단(112)에서 조사된 빛이 잘 투과되면서 벨트(4)상에 적재된 물품의 위치를 빛으로 표시하게 된다.
또한, 상기 표시바(110)는 일단에 터치센서스위치(114)와 스위치(116)가 구비되어서 사용자들이 자신들의 물품을 벨트(4)에 올려놓은 후, 물품의 시작과 끝 부분에 있는 표시바(110)의 터치센서스위치(114) 또는 스위치(116)를 이용해 발광수단(112)을 점등시켜 적재물품의 위치를 표시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터치센서스위치(114)는 사용자의 용이한 조작을 위해 상기 표시바(110)의 일부 측면 또는 상부면으로 노출되게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손쉽게 터치할 수 있도록 그 크기와 돌출정도를 선택해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116)는 사용자가 상기 계산대(10)의 측면에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노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계산대(10)의 측면에는 상기 표시바(110)의 이동경로를 따라 함께 이동하는 상기 스위치(116)의 이동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스위치(116)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한 합성수지재의 연질커버(115)가 계산대(10)의 측면에서 상기 스위치(116)의 이동경로를 따라 길게 형성된다.
상기 연질커버(115)는 상기 표시바(110)의 이동경로와 동일한 방향과 길이로 형성되며, 사용자가 이동중인 스위치(116)의 위치를 확인하고 어렵지 않게 눌러 점등시킬 수 있도록 투명하고 연질의 합성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표시바(110)의 구성 및 작동은 아래에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에서는 도 2에 도시된 표시바(110)의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바(110)는 막대형상의 몸체 내부로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된 LED와 같은 발광수단(112)이 내장되고, 일단에는 상기 표시바(110)의 몸체가 연장된 형상의 터치센서스위치(114)가 더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터치센서스위치(114)의 일측면에서는 돌출되게 형성된 스위치(116)가 더 포함되며 상기 표시바(110)에는 터치센서스위치(114) 또는 스위치(116)가 선택적으로 함께 또는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발광수단(112)은 LED 또는 소형전구, 유기발광소자 등 공지의 발광수단 중에서 다양한 색을 선택해 발광시킬 수 있으며, 전원공급과 발광을 제어하기 위한 별도의 회로기판과 배터리와 같은 별도의 전원공급수단이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터치센서스위치(114)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가 접촉되는 것을 감지하여 이를 전기적 신호로 출력하는 스위치로서 공지의 기술과 같은 정전식, 압전식 또는 가압식 센서등에서 선택하여 사용될 수 있고, 사용자가 컨베이어벨트 위로 물품을 올려놓은 후 조작하기 쉽도록 상기 벨트에 의해 커버되지 않는 면에서 터치센서스위치(114)가 노출되게 구성될 수 있다.
아울러 스위치(116)는 푸쉬스위치, 텀블러 스위치 등 사용자가 용이하게 조작할 수 있는 공지의 스위치 수단 중에서 선택해 사용할 수 있으며, 상기 표시바(110) 및 계산대(10)의 일측면에서 노출되도록 설치되어서 사용자가 손쉽게 자신이 벨트(4)상에 올려놓은 물건의 위치에 확인해 해당 표시바(110)를 점등할 수 있게 된다.
터치센서스위치(114)와 스위치(116)는 모두 상기 표시바(110)의 발광수단(112)을 점멸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혼용될 수도 있지만 어느 하나를 선택해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자는 상기 벨트 위로 자신의 물건을 올려놓고, 물건의 앞과 뒤로 위치한 표시바(110)의 터치센서스위치(114) 또는 스위치(116)를 조작해 발광시켜 자신의 물건이 컨베이어벨트에 적재된 처음 위치와 마지막 위치를 표시하게 됨으로써 타사용자가 올려놓은 물건과 구별되게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는 자신이 올려놓은 물건이 점유하고 있는 면적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표시바(110)가 동시에 발광하도록 하여 타사용자가 올려놓은 물건의 위치와 구별되게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바(110)는 상부로 가해지는 중량을 감지할 수 있는 중량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중량센서에서 감지된 적재물품의 중량정보로 상기 발광수단(112)을 점멸할 수 있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터치센서스위치(114)와 스위치(116)와 별도로 표시바(110)의 발광수단(112)을 점멸시킬 수 있으며, 상기 중량센서에서 감지된 중량정보를 계산대(10)에 구비된 계산대측으로 제공해 계산원의 계산업무를 보조할 수 있게 하며, 다수의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다수의 표시바(110)가 서로 다른 색으로 발광할 수 있게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4 및 5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바(110)의 측면에는 브릿지(120)를 포함한다. 상기 브릿지(120)는 연질의 탄성을 갖춘 합성수지재 등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암·수 형상으로 서로 치합하여 회동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다수의 표시바(110)는 서로 상기 브릿지(120)를 이용해 인접한 타측 표시바(110)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면서 상기 벨트(4)와 함께 이송과 회송으로 이루어진 컨베이어벨트의 순환구동을 함께하게 된다.
또한, 상기 표시바(110)의 일측면에는 가이드돌기(117), 타측면에는 전극돌기(118)(119)가 형성된다.
도 6을 참조하면, 컨베이어벨트의 구성에서 벨트(4)를 생략한 것으로서, 다수의 표시바(110)가 일정한 간격으로 상기 브릿지(120)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서 상기 벨트(4)와 함께 구동축(160)에 감겨서 이송과 회송을 포함한 순환구동을 하게 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상기 브릿지(120)는 연질의 탄성을 갖춘 합성수지재로 이루어지고,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상기 순환구동 과정에서 회전축에 감겨 굴절되는 회전부분에서 각 표시바(110)가 유연하게 연결상태를 유지하면서 회전하게 구성된다.
여기서, 컨베이어벨트는 상기 표시바(110)가 상부로부터 가해진 하중을 나누면서 진행방향을 가이드 해주는 가이드레일(140)과, 상기 표시바(110)의 이송과정에서 상기 표시바(11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레일(130)이 계산대(10)의 내측면에 상기 벨트(4)의 이송경로를 따라 형성된다.
상기 전원공급레일(130)과 가이드레일(140)은 상기 표시바(110)가 이송되는 경로에서 상기 계산대(4)의 내측면에 대칭으로 설치되어 이송과정에 있는 상기 표시바(110)의 이송경로를 가이드하고, 이 과정에서 전원을 공급해 상기 발광수단(112)이 발광할 수 있도록 한다. 더 자세하게는, 상기 표시바(110)의 가이드돌기(117)가 가이드레일(140)의 레일(142)에 끼워져서 이송경로가 가이드되고, 상기 벨트(4) 상부에 놓여진 적재물품의 하중을 지지하게 되며, 상기 전극레일(132)(134)이 전원공급레일(130)에 끼워져 이송되는 과정에서 전원을 공급받게 된다.
상기 전원공급레일(130)은 극성 구분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된 전극레일(132)(134)로 구분 형성될 수 있고, 따라서 상기 전극돌기(119) 역시 상기 전극레일(132)(134)의 형상에 따라 서로 다른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 결과로, 상기 표시바(110)는 벨트(4)의 이동경로를 따라 함께 이동하면서 상기 벨트(4)에 놓여진 물품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이송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사용자가 상기 터치센서스위치(114) 또는 스위치(116)를 조작한 해당 표시바(110)가 발광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7 및 도 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의 구성을 도시한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표시부(100)와 함께 상기 표시부(100)의 이송경로 마지막에 설치된 해제돌기(150)가 포함되어 있다.
상기 해제돌기(150)는 상기 표시바(110)의 측면에 형성된 스위치(116) 및 터치센서스위치(114)의 점등상태를 해제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상기 터치센서스위치(114)에 작용해 점등상태를 소등상태로 전환하는 전기적 수단과 함께, 사용자가 표시바(110)의 점등을 위해 조작한 스위치의 상태를 복귀시키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일 실시예에서는 상기 표시바(110)의 스위치(116)로 텀블러 스위치가 사용된 실시예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가 점등을 위해 스위치를 조작한 상태의 반대방향으로 기울게 형성된 돌기가 제시된 것이다.
이 도면에서 제시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표시바(110)가 계산대측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스위치(116)가 상기 해제돌기(150)와 접하며 지나게 되는데, 이 과정에서 상기 해제돌기(150)의 기울어진 돌기면에 의해 사용자가 점등위치로 눌러놓은 스위치가 소등위치로 전환되고, 결국 상기 표시바(110)가 회송되는 구간에서는 모든 표시바(110)가 소등된 상태가 되어 다음 사용자의 점등조작을 대기하게 된다.
상기 해제돌기(150)는 상기 스위치(116)의 종류에 따라 점등과 소등을 전환할 수 있는 공지의 푸쉬실린더, 릴레이 등이 제어부의 지시에 따라 구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사상은 본 명세서에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추가 등에 의해서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 발명의 사상범위 내에 든다고 할 것이다.
2:구분바 4:벨트
10:계산대 100:표시부
110:표시바 112:발광수단
114:터치센서스위치 115:연질커버
116:스위치 117:가이드돌기
118:전극돌기 119:전극돌기
120:브릿지 130:전원공급레일
132:+전극레일 134:-전극레일
140:가이드레일 142:레일
150:해제돌기 160:구동축
170:벨트

Claims (10)

  1. 구동부와 연결된 벨트의 구동으로 물건을 이송하는 컨베이어벨트가 구비된 계산대에 있어서,
    상기 벨트의 이송방향으로 각각 이격 배치되는 표시바;
    상기 표시바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부로 발광하는 발광수단; 및
    상기 표시바의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발광수단을 점멸시키는 스위치;를 포함하는 표시부;로 이루어져,
    상기 벨트 위로 놓인 물건의 위치에 따라 상기 표시부를 발광시켜 물건의 적재위치 또는 적재영역을 표시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작동하는 터치센서 스위치, 푸쉬스위치 또는 텀블러 스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스위치의 상부를 보호하는 연질의 커버가 스위치의 이동경로를 따라 형성되어 상기 스위치의 오작동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바는 상기 벨트의 저면에서 소정의 간격으로 연결되게 설치되어, 상기 벨트의 상부로 적재된 물건을 지지하여 이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부는 상기 표시바의 점멸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벨트의 회전지점에 설치된 해제돌기를 더 포함하여, 상기 해제돌기에 의해 상기 스위치가 상기 벨트의 회송지점에서 오프(off)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바는 상부에 적재된 물건의 무게를 감지하는 중량센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중량센서가 감지한 물건의 앞뒤로 위치한 한 쌍 또는 상기 물건이 놓인 위치에 해당하는 다수개의 상기 표시부를 점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는 그물망구조 또는 투명재질로 이루어져 빛을 투과시키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컨베이어벨트가 설치되는 계산대의 내측면에는 상기 표시부의 이동을 가이드 하면서 전원을 공급할 수 있는 전원공급레일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바는 일단부에 전극돌기가 형성되어 상기 전원공급레일에 끼워져 이동중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바의 양측면에는 서로 회전가능하게 결합하는 연질의 브릿지가 형성되어 인접한 타측 표시부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서 상기 벨트와 함께 순환구동이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KR1020150068924A 2015-05-18 2015-05-18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KR1016446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924A KR101644610B1 (ko) 2015-05-18 2015-05-18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68924A KR101644610B1 (ko) 2015-05-18 2015-05-18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610B1 true KR101644610B1 (ko) 2016-08-04

Family

ID=56709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68924A KR101644610B1 (ko) 2015-05-18 2015-05-18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61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65390A1 (en) * 2021-11-30 2023-06-01 Jonathan Falco Checkout Conveyor System for Visually Separating Item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6690A (ja) * 1989-12-15 1991-08-14 Nkk Corp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管のマイクロ波加熱式融着継手
JPH0986847A (ja) * 1995-09-27 1997-03-31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JP2003306288A (ja) * 2002-04-12 2003-10-28 Toshiba Elevator Co Ltd マンコンベア
KR20150010929A (ko) 2010-08-04 2015-01-2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의 분류 설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86690A (ja) * 1989-12-15 1991-08-14 Nkk Corp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管のマイクロ波加熱式融着継手
JPH0986847A (ja) * 1995-09-27 1997-03-31 Hitachi Ltd 乗客コンベア
JP2003306288A (ja) * 2002-04-12 2003-10-28 Toshiba Elevator Co Ltd マンコンベア
KR20150010929A (ko) 2010-08-04 2015-01-29 가부시키가이샤 다이후쿠 물품의 분류 설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30165390A1 (en) * 2021-11-30 2023-06-01 Jonathan Falco Checkout Conveyor System for Visually Separating Items
US11737589B2 (en) * 2021-11-30 2023-08-29 Jonathan Falco Checkout conveyor system for visually separating item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476869B (en) Conveyer device
JP5535454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2009274878A (ja) 物品搬送送出方法、物品搬送送出装置
CN110392659B (zh) 搬运系统及搬运方法
JP2012061090A (ja) 配膳システム
KR101644610B1 (ko) 적재물 위치표시 컨베이어벨트
ATE243646T1 (de) Stückgut-(stetig-)fördereinrichtung
JP6621021B2 (ja) 仕分け装置
KR20200025646A (ko) 리프트를 구비하는 자판기
JP2009207843A (ja) 注文飲食物搬送装置
KR20170036546A (ko) 태블릿 pc를 이용한 음식 자동 주문 및 배송시스템
JP2009214987A (ja) 物品処理設備
JP2004189372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4964095B2 (ja) 薬品類払出システム
JP5578924B2 (ja) ピッキング設備
KR20200082279A (ko) 물품 박스 공급 장치
JP2004182462A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JP2005089163A (ja) ピッキング指示装置
JP5234510B2 (ja) 識別データの入力システム
JP2017214222A (ja) 物品搬送設備
JP5815998B2 (ja) ピッキングシステム
KR20200082280A (ko) 물품 박스 공급 장치용 이송 배출 유닛
JP3836672B2 (ja) 空席情報表示システム
JP4993579B2 (ja) ピッキング設備
JP6374644B2 (ja) 物品搬送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1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