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524B1 -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함유한 상용화제 및 이를 사용하는 pp/evoh 블렌드 - Google Patents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함유한 상용화제 및 이를 사용하는 pp/evoh 블렌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524B1
KR101644524B1 KR1020140109162A KR20140109162A KR101644524B1 KR 101644524 B1 KR101644524 B1 KR 101644524B1 KR 1020140109162 A KR1020140109162 A KR 1020140109162A KR 20140109162 A KR20140109162 A KR 20140109162A KR 101644524 B1 KR101644524 B1 KR 1016445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end
evoh
polypropylene
compatibilizer
itaconic ac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09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44524B9 (ko
KR20160023987A (ko
Inventor
김동현
김정수
전동규
장지훈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40109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5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239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39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5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524B1/ko
Publication of KR101644524B9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524B9/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26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04Monomers containing three or four carbon atoms
    • C08F210/06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lcohol, ether, aldehydo, ketonic, acetal or ketal radical; Compositions of hydrolysed 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9/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cohols
    • C08L29/04Polyvinyl alcohol; Partially hydrolysed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of unsaturated alcohols with saturated carboxylic acids

Abstract

본 발명은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를 함유한 상용화제; 이를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에틸렌비닐알코올 블렌드; 및 상기 브렌드로 제조된 식품포장재 또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라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를 상용화제로 사용하면, 폴리프로필렌 및 EVOH 블렌드의 계면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함유한 상용화제 및 이를 사용하는 PP/EVOH 블렌드{Compatibilizer comprising itaconic acid-grafted polyproylene copolymer and PP/EVOH blen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를 함유한 상용화제; 이를 사용하는 폴리프로필렌/에틸렌비닐알코올 블렌드; 및 상기 브렌드로 제조된 식품포장재 또는 필름에 관한 것이다.
식품 포장분야에서는 식품의 안정성, 보호성, 장기 보존성 등의 연구가 활발히 이뤄짐에 따라 식품 산업의 발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식품포장용 소재는 제품의 안정된 유통기한을 확보하기 위하여 기체와 수분에 대한 차단성이 요구되며, 저가이면서 기계적 강도가 충족될 수 있어야 한다.
현재 식품 포장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대표적인 포장 소재로는 PP(polypropylene)와 EVOH가 있으며, PP는 저가이면서 수분에 대한 차단성이 우수하고, EVOH(Ethylene vinyl alcohol)는 내화학성과 기체 차단성이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EVOH는 OH기에 의한 수분 취약성이 단점이기 때문에 PP를 배리어 층으로 사용하여 PP/EVOH/PP의 다층구조 형태로 제조되기도 한다. 이 경우, 기체와 수분에 대한 차단성이 동시에 높아져 식품의 보존성을 증가시키는 장점이 있으나, 별도의 장비나 공정이 필요하기 때문에 비용이 상승하게 되고, 최종 제품은 재활용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J.H Yeo 등은 PP와 EVOH를 블렌딩 한 후, 이축 연신 공정을 도입하여 저가이면서 PP보다 향상된 차단성을 나타내는 필름을 제조하였으며, PP에 maleic anhydride가 그래프트된 상용화제(PP-g-MAH)를 적정량 적용하여 양호한 분산상태 및 산소 차단성이 증가하는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용화제는 PP와 EVOH 블렌드와 같이 분자구조의 차이에 따라 상분리가 나타날 수 있는 소재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첨가해야 하며, 이와 관련한 연구는 다수 보고된 바 있다. Ares A. 등은 PP/EVOH 블렌딩에 ionomer를 상용화제로 적용하여 유변학적 특성변화와 모폴로지를 관찰하였으며, Fisher I. 등은 mica, glass beads, PP-g-MAH를 상용화제로 첨가하여 PP/EVOH 블렌드의 물성을 비교하였다. Yousefi A.A.는 PP/EVOH 블렌딩 필름을 제조하기 위하여 PP-g-MAH와 diethyl maleate가 그래프트된 PP-g-DEM을 상용화제로 첨가하였으며, 연신공정을 거쳐 기계적 물성과 모폴로지, 기체차단성 등을 비교하였다. 뿐만 아니라, Y.J. Chun과 T.K. Ahn은 PP/EVOH/PP 다층구조의 필름 제조시 발생하는 스크랩과 PP를 블렌딩하기 위하여 다양한 상용화제를 비교 적용하였는데, 이와 같이 상용화제는 PP/EVOH 블렌드의 물성을 결정짓는 매우 중요한 요소 중의 하나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PP 매트릭스에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PP-g-IA가 상용화제로PP/EVOH 블렌드에 적용가능하다는 것을 발견하였으며, 상용화제 첨가량에 따른 모폴로지와 열적·기계적 특성 분석을 통한 상용화제의 적정 첨가량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이에 기초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양태는 이타콘산(IA)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를 함유한 상용화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2양태는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비닐알코올(EVOH)을 함유하되 제1양태에 따라 이타콘산(IA)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가 상용화제로 포함된 블렌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3양태는 제2양태에 따른 블렌드로 제조된 식품포장재 또는 필름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에틸렌비닐알코올 블렌드에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P-g-IA)를 상용화제로 사용하는 것이 특징이다.
'상용화제'는 블렌드에서 2종의 중합체 성질 차이를 완화시켜 마이크로상 분리구조를 형성 및 안정화시키는 능력을 가진 물질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프로필렌은 폴리에틸렌과 같이 석유에서 얻어진 프로필렌을 지글러-나타 촉매로 중합시킨 것으로, 폴리에틸렌분자 사슬의 탄소에 하나씩 걸러 메틸기(CH3)가 붙은 것이며, 규칙적으로 짧은 가지가 달린 형태를 하고 있다. 폴리프로필렌 필름은 폴리에틸렌 필름보다 투명도가 높고 경질이다. 비중은 0.92로서 현재 있는 플라스틱 중에 가장 가벼우며, 용해 온도도 135 ~ 160℃로 높다.
한편, 이타콘산은 프로필렌디카르복시산이라고도 하며, 녹는점은 162 ~ 164℃(분해되면서 녹음)이며 밀도는 1.63g/㎤이며, 분자량은 130.10으로, 메사콘산·시트라콘산의 이성질체이다.
본 발명에서, 상용화제로 사용되는, 이타콘산(IA)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는 개시제를 첨가하여 그래프트 중합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개시제'는 단위체와 반응하여 중간체를 만드는 화학물질일 수 있다. 이 중간체는 계속해서 다른 많은 단위체들과 결합하여 중합체를 만든다. 자유 라디칼(홀수 개의 전자를 가지고 있는 반응성이 큰 원자나 원자단)을 만들어내는 개시제가 가장 널리 쓰인다.
본 발명에서 그래프트 중합시 사용가능한 개시제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2,5-비스(tert-부틸퍼옥시)-2,5-디메틸헥산, 벤조일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디라우릴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디쿠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과황화칼륨,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사이드)-헥산, 2,2-디(tert-부틸퍼옥사이드)-5,5,6-트리메틸비사이클로[2.2.1]헵탄, 2,2-디(3-메틸-1-부틴-3-일퍼옥사이드)-5,5,6-트리메틸비사이클로[2.2.1]헵탄,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사이드)-헥신-3-디(tert-부틸퍼옥사이드-이소프로필)-벤젠,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이소부티레이트)-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 발레로니트릴) 등이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화제는 폴리프로필렌 g당 그래프트된 이타콘산을 0.5 중량% 내지 1.2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PP-g-IA 상용화제는 PP base에 IA의 투입량을 1wt%, 2wt%, 5wt%, 10wt% 로 설정하여 제조하였으며, FT-IR과 1H-NMR 분석을 통하여 성공적으로 PP와 IA의 그래프트 형성을 확인하였다(표 1). FT-IR 측정 결과, PP-g-IA 에서는 PP에서 나타나지 않는 1710 cm- 1부근의 itaconic acid의 carbonyl group 의 피크가 관찰되었다. 1H-NMR 분석결과에서는 2.1 ppm 에서 itaconic acid의 methylene 그룹 proton에 의한 피크가 singlet 형태로 나타나는 것이 나타나 PP에 IA가 성공적으로 graft 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투입한 IA의 양이 증가할수록 graft 되는 IA의 비율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일정량 이상의 IA가 투입되면 오히려 graft ratio가 감소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제조된 상용화제의 그래프트율은 FT-IR spectrum을 이용하여 PP에 해당하는 1167 cm-1 피크와 IA에 해당하는 1710 cm-1의 transmittance 비를 측정하여 calibration curve를 유도한 뒤, PP-g-IA에서 나타난 transmittance 값을 역추산하여 계산하였다.
본 발명에서, 이타콘산(IA)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는 150℃ 내지 250℃에서 그래프트 중합시킬 수 있다. 만일 150℃ 미만의 온도에서 중합 반응을 수행할 경우, 분자량이 낮은 공중합체가 생성되는 단점이 있고, 250℃ 초과의 온도에서 중합 반응을 수행할 경우, 개시제의 개시속도가 높아져서 그래프트 반응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을 수 있으며, 또한 다른 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거나 이타콘산이 분해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상기 중합 반응은 30분 미만의 시간 동안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중합 공정상 반응시간을 최소화하여야 하며, 30분 미만의 중합시간내에 충분한 반응이 이뤄질 수 있다. 만일 30분을 초과하여 길게 중합 반응을 수행할 경우, 부반응이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타콘산(IA)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가 상용화제로 포함된 폴리프로필렌 및 에틸렌비닐알코올(EVOH)을 함유하는 블렌드를 제공한다.
폴리프로필렌 (PP)과 에틸렌 비닐알코올 공중합체 (EVOH)의 블렌드에 있어 발생하는 상분리 현상은, PP와 IA의 그래프트 중합을 통해 제조한 PP-g-IA 를 첨가한 결과 상용화 효과에 의해 방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한편, PP/EVOH 블렌드의 물성을 보완하기 위하여, PP-g-IA 상용화제를 PP/EVOH 블렌드시, 상용화제 투입량에 따른 모폴로지와 열적·기계적 특성 분석을 통하여 상용화제의 적정 투입량을 설정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렌드는 0.1 내지 25 중량% 범위의 상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는, 가장 높은 그래프트율을 나타낸 PP-g-IA 상용화제를 PP/EVOH 블렌드에 적용하고, 상용화제의 투입량을 2.5 phr, 5 phr, 10 phr, 20 phr로 설정하고, PP-g-IA 상용화제가 적용된 PP/EVOH 블렌드의 모폴로지를 관찰하고, DSC와 UTM를 이용하여 열적·기계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 PP-g-IA 상용화제는 PP/EVOH 블렌드의 계면결합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나 상용화제로써의 유효성을 확인하였으며, PP-g-IA 투입량이 증가할수록 PP와 EVOH의 계면접착성이 향상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상용화제에 존재하는 IA의 carbonyl기와 EVOH에 존재하는 hydroxyl기 사이에 수소결합이 발생하여, PP와 EVOH와의 계면 접착력이 향상된 것으로 유추된다.
DSC 측정 결과에서는 PP-g-IA의 함량이 높아질수록 EVOH 해당하는 Tm의 피크가 PP 쪽으로 미묘하게 이동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기계적 강도에서는 PP/EVOH블렌드가 PP의 인장강도보다 낮은 23~28 MPa 의 범위에서 나타났고, 상용화제의 함량이 증가에 따라 파단신율 값은 소폭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계적 물성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정한 투입량이 필요한 것을 확인하였다.
상용화제를 포함하는 블렌드는 150℃ 내지 250℃에서 제조할 수 있다. 만일 상기 범위 이외의 온도에서 블렌딩하는 경우, 다른 부반응이 일어날 수 있고, 구성소재 중 일부가 분해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블렌드는 파단신율이 10 내지 20 %인 필름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파단신율은 재료 인장시험시 재료가 늘어나는 비율을 말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언급된 인장강도는 시험재료가 외력에 의해 파단될때 생긴 응력을 MPa 단위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블렌드는 식품포장재에 사용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를 상용화제로 사용하면, 폴리프로필렌 및 EVOH 블렌드의 계면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IA 함량에 따른 PP-g-IA의 그래프트 비율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2는 (a) PP, (b) PP-g-IA0 .75, (c) PP-g-IA0 .90, (d) PP-g-IA1 .00 및 (e) PP-g-IA0.89의 IR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a) PP-g-IA0 .75, (b) PP-g-IA0 .90, (c) PP-g-IA1 .00 및 (d) PP-g-IA0 .891H-NMR의 스펙트럼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상용화제를 다양한 함량으로 포함하는 PP 및 PP/EVOH 블렌드의 SEM 이미지이다.
도 5는 PP/EVOH/PP-g-IA내에 거대분자의 수소결합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이다.
도 6은 (a)PP, (b)PP/EVOH/PP-g-IA1 .00(20), (c)PP/EVOH/PP-g-IA1 .00(10), (d)PP/EVOH/PP-g-IA1.00(5), (e)PP/EVOH/PP-g-IA1 .00(2.5), (f)PP/EVOH 및 (g)EVOH의 DSC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다만,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제조예 1 :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
[반응식 1]
Figure 112014079443961-pat00001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P-g-IA)를 제조하기 위해, 주쇄로 폴리프로필렌(Grade: HP 552N, MFI: 14, 제조사: 폴리미래(주), PP), 개시제로 2,5-비스(tert-부틸퍼옥시)-2,5-디메틸헥산(알드리치 90%)를 사용하였다. 이때, 그래프트 단량체인 이타콘산(알드리치 99%)는 사용전 수분제거를 위해 8시간 이상 진공건조하였다. 정제를 위해 xylene(삼천 99%), 아세톤(삼천 98%) 및 메탄올(삼천 98%)을 사용하였다.
PP-g-IA 제조공정은 다음과 같다.
브라벤더 믹서(Brabender  GmbH & Co, PLASTI-CORDER 680135 type)를 이용하여 190℃, 70rpm 조건에서 PP를 투입하여 용융된 상태로 만든 후, 개시제와 IA를 차례대로 투입한 뒤 6분 동안 반응을 진행하였다. 제조과정에서 투입된 PP, IA 및 개시제의 양을 표 1에 정리되어 있다. 이후 정제과정으로 생성된 물질을 뜨거운 자일렌에 용해시킨 뒤 아세톤에 의해 재결정시켜 미반응 단량체를 제거시켰다. 이후 24시간 동안 메탄올을 용매로 한 soxhlet 장치를 이용하여 불순물인 개시제, 미반응 단량체, 동종중합체 등을 제거하였다.
한편, 도 1은 개시제의 함량이 일정할 때, IA의 투입량에 따른 graft ratio의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IA 함량이 1 wt. % 에서 5 wt. %까지 증가함에 따라 graft ratio가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으나, 10 wt. %에서는 오히려 감소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는 개시제 대비 IA 투입량이 높아져 IA의 homopolymerization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다.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PP-g-IA)의 그래프트 비율은 FT-IR을 이용하여 M. Yazdani-Pedram 등이 제시한 방법에 따라 계산하였으며, PP-g-IA(그래프트 비율) 형태로 명명하였다.
Name PP (g) IA(g) IA (wt. %) Initiatora(wt.%) Graft ratiob(중량%)
PP-g-IA0 .75 24.75 0.25 1 1 0.75
PP-g-IA0 .90 24.50 0.50 2 1 0.90
PP-g-IA1 .00 23.75 1.25 5 1 1.00
PP-g-IA0 .89 22.50 2.50 10 1 0.89
a. 2,5-Bis(tert-butylperoxy)-2,5-dimethylhexane
b. FT-IR로 결정
실시예 1: PP -g- IA 를 상용화제로 사용한 PP / EVOH 블렌드
제조예 1에서 제조된 PP-g-IA를 상용화제로 투입한 PP와 EVOH의 블렌드를 제조하기 위해 브라벤더 믹서를 이용하였다. 제조 조건을 190℃, 50rpm, 10분으로 설정하였고, PP와 EVOH의 투입량은 90/10으로 고정시키고, 상기 제조된 PP-g-IA의 투입량을 변화시켜 실험을 진행하였다. 투입된 PP, EVOH 및 상용화제로서 PP-g-IA의 함량은 표 2에 정리되어 있다. 제조한 블렌드는 PP/EVOH/PP-g-IA graft ratio(투입함량)으로 표기하였고, 투입함량의 단위는 phr(parts per hundred resin)로 나타내었다.
Name PP(g) EVOH(g) PP-g-IA1 .00(g)
PP/EVOH 31.5 3.5 0
PP/EVOH/PP-g-IA1 .00 (2.5) 31.5 3.5 0.875
PP/EVOH/PP-g-IA1 .00 (5) 31.5 3.5 1.75
PP/EVOH/PP-g-IA1 .00 (10) 31.5 3.5 3.5
PP/EVOH/PP-g-IA1 .00 (20) 31.5 3.5 7
실험예 1: FT - IR 의한 PP -g- IA 구조 분석
PP 및 PP-g-IA 의 구조를 확인하기 위해, NEXUS(Thermo Nicolet)에서 제조한 Fourier transform infrared spectroscopy (FT-IR)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FT-IR 측정 결과, 도 2 에 나타난 바와 같이, PP 및 PP-g-IA는 공통적으로 PP의 C-H stretch에 해당하는 피크가 2900 cm-1 부근에서 강하게 나타났지만, PP-g-IA는 PP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1710 cm-1 부근에서는 itaconic acid의 carbonyl group 피크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1 H- NMR 에 의한 PP -g- IA 구조 분석
PP 및 PP-g-IA의 구조를 파악하기 위해 Bruker사의 AVANCE 400, 500 MHz모델인 1H NMR를 사용하여 50℃에서 CDCl3 용매에 용해시켜 분석하였다.
1H-NMR 분석결과를 도 4에 도시하였다. 2.1 ppm에서 이타콘산의 메틸렌 기의 양성자에 의한 피크가 singlet 형태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를 토대로 PP에 IA가 성공적으로 그래프트 되었음을 확인하였다.(도 3)
실험예 3: PP / EVOH / PP -g- IA 블렌드의 모폴로지 특성 분석
도 4는 PP 및 PP/EVOH의 블렌드를 PP-g-IA의 함량에 따라 제조한 시료를 SEM(scanning electron microscope)을 이용하여 측정한 도이다. PP-g-IA를 첨가하지 않았을 경우, 도 4b와 같이 PP와 EVOH의 상이 뚜렷하게 구분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반면 PP-g-IA의 첨가량이 2.5 Phr에서 20 Phr까지 증가할수록 두 상의 계면 접착성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PP-g-IA의 첨가량이 증가할수록 EVOH의 입자크기가 감소하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하였다. 이는 도 5과 같이 상용화제인 PP-g-IA가 첨가됨에 따라 IA에 존재하는 카르보닐기와 EVOH에 존재하는 하이드록실기 사이에 수소결합이 발생하여, PP와 EVOH와의 상분리 현상을 억제하고 이에 따라 계면 접착성이 증가된 것이다. 결과적으로 PP/EVOH 블렌드에 있어서 PP-g-IA가 유효한 상용화제로의 역할을 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4: PP / EVOH / PP -g- IA 블렌드의 열적특성 분석
PERKIN ELMER사의 DSC (TAC7)를 이용하여 Tm을 측정하였으며, -50-200℃의 온도 범위에서 온도를 10℃/분 간격으로 1차 승온시킨 후, 곧바로 2차 냉각을 하고, 다시 3차 승온을 시키며 측정하였으며, 시료의 양은 10 mg으로 한 시편당 두번씩 정밀하게 분석하여 제조된 블렌드 및 상용화제의 열적거동 특성을 확인하였다.
도 6은 DSC를 이용하여 측정한 PP, EVOH 및 PP/EVOH의 Tm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EVOH의 Tm의 경우 상용화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감소하는 특성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상용화제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PP와 EVOH 두 상의 계면 접착성이 증가하기 때문에 EVOH 상의 Tm이 Matrix인 PP 쪽으로 이동하였다. 반면 PP의 Tm은 상용화제의 투입으로 인해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상용화제 첨가 및 EVOH와의 블렌드에 따른 PP의 결정화도 감소가 주요한 원인으로 판단된다.
실험예 5: PP / EVOH / PP -g- IA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 분석
Tinius Olsen사의 H5K-T모델인 Universal testing machine(UTM) 인장 시험기를 사용하여 파단신율(%) 및 인장강도(MPa)를 구하였으며, 이 때 Crosshead speed 는 50 mm/분으로 설정하였다. 파단신율은 재료 인장시험시 재료가 늘어나는 비율을 말하며, 인장강도는 시험재료가 외력에 의해 파단될 때 생긴 응력을 MPa 단위로 나타낸 것을 의미한다.
표 3은 PP/EVOH 블렌드의 기계적 물성을 정리한 표이다. 블렌드의 인장강도의 경우 PP의 인장강도보다 낮은 23~28 MPa의 범위에서 나타났다. 상용화제의 함량에 따른 인장강도의 차이의 경향성은 나타나지 않았으며, 파단신율의 경우, 상용화제의 함량이 증가할수록 값이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Name 인장강도(MPa) 모듈러스(MPa) 파단신율(%)
PP/EVOH 25.5 243.5 10.1
PP/EVOH/PP-g-IA1 .00 (2.5) 26.3 244 11.3
PP/EVOH/PP-g-IA1 .00 (5) 23.4 259 11.6
PP/EVOH/PP-g-IA1 .00 (10) 25.1 178 12.4
PP/EVOH/PP-g-IA1 .00 (20) 27.2 173 15.5

Claims (10)

  1. 블렌드에 있어서,
    상기 블렌드는 폴리프로필렌(PP) 및 에틸렌비닐알코올(EVOH)을 함유하고, 이타콘산(IA)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가 상용화제로서 포함되고,
    상기 이타콘산(IA)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는 폴리프로필렌 g당 그래프트된 이타콘산이 0.5 중량% 내지 1.2 중량%이고,
    상기 상용화제는 블렌드 전체 기준으로 0.1 내지 25 중량% 범위로 포함되는 것인, 블렌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이타콘산(IA)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는 그래프트 중합용 개시제를 첨가하여 제조된 것인 블렌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시제는 2,5-비스(tert-부틸퍼옥시)-2,5-디메틸헥산, 벤조일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 디라우릴퍼옥사이드, 디-tert-부틸퍼옥사이드, 디쿠밀하이드로퍼옥사이드, 과산화수소, 과황화칼륨,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사이드)-헥산, 2,2-디(tert-부틸퍼옥사이드)-5,5,6-트리메틸비사이클로[2.2.1]헵탄, 2,2-디(3-메틸-1-부틴-3-일퍼옥사이드)-5,5,6-트리메틸비사이클로[2.2.1]헵탄, 2,5-디메틸-2,5-디(tert-부틸퍼옥사이드)-헥신-3-디(tert-부틸퍼옥사이드-이소프로필)-벤젠,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디메틸-2,2'-아조비스(이소부티레이트)-2-2'-아조비스-(4-메톡시-2,4-디메틸 발레로니트릴)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하나이상 선택되는 것인 블렌드.
  5. 제1항에 있어서, 이타콘산(IA)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PP) 공중합체는 150℃ 내지 250℃에서 그래프트 중합시킨 것인 블렌드.
  6. 삭제
  7. 삭제
  8.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블렌드로 제조된 식품포장재.
  9. 제1항, 및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블렌드로 제조된 필름.
  10. 제9항에 있어서, 파단신율이 10 내지 20 %를 갖는 것이 특징인 필름.
KR1020140109162A 2014-08-21 2014-08-21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함유한 상용화제 및 이를 사용하는 pp/evoh 블렌드 KR1016445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162A KR101644524B1 (ko) 2014-08-21 2014-08-21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함유한 상용화제 및 이를 사용하는 pp/evoh 블렌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09162A KR101644524B1 (ko) 2014-08-21 2014-08-21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함유한 상용화제 및 이를 사용하는 pp/evoh 블렌드

Publications (3)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3987A KR20160023987A (ko) 2016-03-04
KR101644524B1 true KR101644524B1 (ko) 2016-08-02
KR101644524B9 KR101644524B9 (ko) 2021-11-12

Family

ID=555357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09162A KR101644524B1 (ko) 2014-08-21 2014-08-21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함유한 상용화제 및 이를 사용하는 pp/evoh 블렌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52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677A (ko) 2021-11-02 2023-05-0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극성기를 가지는 epdm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극성기를 가지는 epd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1662B1 (ko) * 2022-05-18 2024-02-28 한국소재융합연구원 저경도 자기치유성 탄성소재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56818B2 (ja) * 1988-12-02 1997-09-24 三井東圧化学株式会社 接着性ポリプロピレン組成物
KR100203443B1 (ko) * 1996-10-10 1999-06-15 남창우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EP1299437A1 (fr) * 2000-06-20 2003-04-09 Atofina Polypropylene syndiotactique greffe et liants de coextrusion a base de polypropylene syndiotactique
KR100379223B1 (ko) * 2000-12-22 2003-04-08 삼성종합화학주식회사 접착성이 우수한 올레핀계 열가소성 일래스토머 수지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63677A (ko) 2021-11-02 2023-05-09 한국신발피혁연구원 극성기를 가지는 epdm의 제조 방법 및 이 방법에 의해 제조된 극성기를 가지는 epd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4524B9 (ko) 2021-11-12
KR20160023987A (ko) 2016-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28502B2 (en) Single pellet polymeric compositions
KR101644524B1 (ko) 이타콘산이 그래프트된 폴리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함유한 상용화제 및 이를 사용하는 pp/evoh 블렌드
JPS587665B2 (ja) プロピレンエチレンブロツク共重合体の改質方法
KR20180103950A (ko) 겔 함량이 낮은 작용화된 에틸렌계 폴리머의 제조방법
US9574040B2 (en) Disentangled ultra high molecular weight polyethylene graft co-polymers and a process for preparation thereof
KR101135699B1 (ko) 고용융장력 폴리올레핀 수지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JP6806715B2 (ja) ジエンゴム/ポリプロピレン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コポリマー、それを含有する組成物、および調製方法
KR20120081136A (ko) 에틸렌 및 폴리(알콕시드)로부터 유도된 단위를 포함하는 중합체
US10858513B2 (en) Compatibilised polyolefin and polyphenylene oxide and/or polystyrene composition
US10266703B2 (en) Polyolefin polyols as surface modifying agents
CN115380063B (zh) 聚合物组合物和包括聚合物组合物的泡沫
JP6416554B2 (ja) 変性ポリオレフィンの製造法
US6777484B2 (en) Polypropylene graft copolymer/fluorinated polyolefin blends
JP2023005879A (ja) 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シート、及び、成形品
US8598270B2 (en) Multi-arm star ethylene polymers and process for making
JP6917173B2 (ja) ゴム変性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シート、成形品、製造方法
Li et al. Graft reaction of styrene-acrylonitrile onto metallocene-based polyethylene-octene elastomer and its toughening effect on SAN
WO2021059969A1 (ja) 樹脂組成物
JP2022128920A (ja) ブロックポリマー
CN115991908A (zh) 一种聚丙烯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5991035A (zh) 一种聚丙烯复合薄膜及其制备方法和应用
JP2023046712A (ja) 変性ポリオレフィン
JP2023177769A (ja) フィラー分散剤
JPH06211914A (ja) 変性プロピレン系重合体の製造方法
Lifanov Composites based on solutions of unsaturated polar rubbers in styrene under conditions of redox and thermal initiati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4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