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4324B1 - 펜더장치 - Google Patents

펜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4324B1
KR101644324B1 KR1020140145013A KR20140145013A KR101644324B1 KR 101644324 B1 KR101644324 B1 KR 101644324B1 KR 1020140145013 A KR1020140145013 A KR 1020140145013A KR 20140145013 A KR20140145013 A KR 20140145013A KR 101644324 B1 KR101644324 B1 KR 1016443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uide
fender
offshore structure
driving unit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450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48419A (ko
Inventor
최진욱
김정현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401450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4324B1/ko
Publication of KR201600484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484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43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43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3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in transportation, e.g. on roads, waterways or railways

Landscapes

  • Ship Loading And Unloa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펜더장치는 해양구조물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 상기 해양구조물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를 연결하는 제3가이드를 포함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펜더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펜더장치{MOVABLE FENDER DEVICE}
본 발명은 펜더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해양구조물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해 구비된 펜더를 이용하여 해양구조물에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해양구조물과 지면과의 단차를 줄일 수 있는 펜더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바지선(BARGE)과 같이 평평한 상면이 구비되어 화물을 운반하거나, 선박용 블록 등을 운반하는데 사용되는 해양구조물로부터 화물을 하역하거나 해양구조물에 화물을 싣기 위하여 해양구조물을 부두에 접안시키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지선(50)에 선적된 화물(60)의 승하역을 위해 트랜스포트(65)와 같은 운송수단이 사용될 수 있다. 이때, 바지선(50)의 높이와 부두(55)의 단차로 인해 트랜스포트(65)가 바지선(50)으로부터 부두(55)로 이동하는데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따라서, 바지선과 부두 사이에는 트랜스포트(65)의 이동을 위해 보조패널(75)이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패널(75)이 있어도 화물(60)의 무게에 의해 트랜스포트(65)의 일단의 바퀴(70)에 하중이 실려 바퀴(70)가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바지선이나 해양플랫폼과 같은 해양구조물에는 펜더(FENDER)가 구비될 수 있는데 펜더는 해양구조물이 접안되거나 계류할 때 해양구조물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하기 위한 장치이다.
선행문헌(등록특허 제 10-1184917)과 같이 부두에 설치된 펜더를 이용하여 선박과 부두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펜더는 해양구조물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일정한 부력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해양구조물의 충돌 방지를 위해 장착된 펜더를 이용하여 해양구조물에 부력을 제공하여 해양구조물과 부두와의 단차를 줄일 수 있는 접안장치가 필요하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184917호 (등록일: 2012.09.06)
본 발명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화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하역할 수 있도록 펜더를 이용하여 해양구조물과 부두와의 단차를 줄일 수 있는 펜더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해양구조물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 상기 해양구조물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를 연결하는 제3가이드를 포함하는 안내부, 및 상기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펜더를 포함하는 펜더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펜더장치는 상기 해양구조물 저면에 설치되어 상기 펜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더를 상기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내부에 형성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돌출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펜더장치는 상기 해양구조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의 정보에 따라 상기 해양구조물이 접안되는 지면과의 단차를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양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의 정보에 따라 상기 해양구조물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펜더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펜더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는 해양구조물의 측면에 구비된 펜더를 해양구조물의 저면으로 이동시켜 해양구조물에 부력을 제공함으로써 해양구조물과 지면과의 단차가 줄어들어 화물을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하역할 수 있다.
또한, 해양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하여 구동부를 제어하여 해양구조물의 저면으로 이동하는 펜더의 수량을 조절함으로써 해양구조물의 전후 기울기 및 좌우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해양구조물과 해양구조물이 접안되는 지면과의 단차가 유지되도록 구동부를 제어하여 해양구조물의 양측면으로부터 저면으로 이동하는 펜더의 수량을 각각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상기 언급한 효과에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화물하역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3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를 이용하여 화물 하역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 그리고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펜더장치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해양구조물(90)에 구비된 펜더(200)를 이용하여 해양구조물(90)과 지면(C)과의 단차를 줄일 수 있다.
즉, 화물(60)을 실은 이동수단(65)이 이동함에 따라 펜더(200)가 해양구조물(90)의 저면으로 이동되어 해양구조물(90)에 부력이 제공됨으로써 해양구조물(90)과 지면(C)과의 단차가 줄 수 있다. 따라서, 화물(60)이 신속하고 안전하게 지면(C)으로 이동될 수 있다.
펜더(200)가 해양구조물(90)의 측면으로부터 해양구조물(90)의 저면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도 5 내지 도 8의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는 안내부(100) 및 펜더(200)를 포함한다.
안내부(100)는 제1가이드(110), 제2가이드(120) 및 제3가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가이드(110)는 해양구조물(90)의 측면에 구비되고, 제2가이드(120)는 해양구조물(90)의 저면(B)에 구비되며, 제3가이드(130)는 제1가이드(110) 및 제2가이드(120)를 연결할 수 있다.
펜더(200)는 안내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즉, 펜더(200)는 해양구조물(90)의 측면에 구비된 제1가이드(110)로부터 해양구조물(90)의 저면(B)에 구비된 제2가이드(120)로 이동될 수 있으며, 해양구조물(90)의 측면(A1, A3)과 저면(B) 사이에 구비된 제2가이드(120)를 통과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펜더(200)가 안내부(100)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고정부(500)가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의 고정부(500)는 돌출부재(210)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부재(210)는 안내부(100)에 형성된 홈(100a)을 따라 슬라이딩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고정부(500)는 안내부(100)의 홈(100a)에 삽입되는 돌출부재(210)에 한정되지 않으며 피니언기어(pinion gear)와 같이 안내부(100)에 치합되는 등 여러가지 결합 방식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는 펜더(200)가 복수 개가 구비되고, 각 펜더(200)를 연결하는 연결부(2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펜더(200)를 연결하는 연결부(250)는 체인일 수 있으며, 연결부(250)는 각각의 펜더(200)를 연결함과 동시에 펜더(200)와 돌출부재(210)를 고정할 수 있다.
연결부(250)는 펜더(200)가 해양구조물(90)의 저면(B)으로 이동되어 펜더(200)에 부력이 발생할 때 돌출부재(210)와 펜더(200)가 분리되지 않도록 펜더(200)와 돌출부재(210)를 고정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의 안내부(100)는 해양구조물(9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안내부(400) 및 제2안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안내부(400)의 펜더(200) 및 제2안내부(450)의 펜더(200)를 이동시키는 구동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300)는 모터(360)와 윈치(3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앞서 설명한 연결부(250)와 결합되어, 연결부(250)에 의해 고정된 펜더(200)가 제1가이드(110)로부터 제2가이드(120)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구동부(300)의 윈치(350)는 연결부(250)와 결합되고, 모터(360)의 구동에 의해 윈치(35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면 연결부(250)에 결합된 펜더(200)가 해양구조물(90)의 저면(B)으로 이동하고, 윈치(350)가 타방향으로 회전하면 펜더(200)는 해양구조물(90)의 저면(B)으로부터 해양구조물(90)의 측면(A1, A3)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구동부(300)의 구동에 의해 제1안내부(400)에 구비된 펜더(200)는 해양구조물(90)의 제1측면(A1)으로부터 해양구조물(90)의 저면(B)으로 이동할 수 있고, 제2안내부(450)에 구비된 펜더(200)는 해양구조물(90)의 제3측면(A3)으로부터 해양구조물(90)의 저면(B)으로 이동될 수 있다.
한편,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는 구동부(300)를 제어하는 제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해양구조물(90)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550)의 정보에 따라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해양구조물(90)과 접안되는 지면과의 단차를 유지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높이센서(550)는 예를 들어, 해양구조물(90)이 접안되는 지면과 수평을 이룰 때 해양구조물(90)과 해수면과의 높이를 기준 값으로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해양구조물(90)이 화물의 이동 또는 해양환경의 변화에 따라 해수면과의 높이가 가변되면 높이센서(550)를 통해 해양구조물(90)의 높이 변화를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는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해양구조물(90)의 저면(B)으로 이동되는 펜더(200)의 수량을 조절함으로써 해양구조물(90)의 높이를 보상하여 해양구조물(90)과 지면과의 단차를 줄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의 제어부는 해양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560)의 정보에 따라 해양구조물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해양구조물(90)이 접안됨에 따라 화물이 해양구조물(90)의 접안되는 제3측면(A3)으로 이동하게 되면, 해양구조물(90)이 전후방향(X)으로 기울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구동부(300)를 제어하여 안내부(100)로부터 해양구조물(90)의 저면(B)으로 이동하는 펜더(200)의 수량을 점차 늘림으로써 해양구조물(90)의 전후방향(X)의 기울기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는 제어부가 해양구조물(90)과 지면과의 단차를 줄이고, 해양구조물(90)의 전후방향(X)의 기울기가 조절함으로써 화물이 해양구조물(90)로부터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하역 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는 안내부(100) 및 펜더(200)를 포함하며, 이와 같은 안내부(100) 및 펜더(200)는 앞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안내부(100) 및 펜더(200)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의 안내부(100)는 해양구조물(9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안내부(400) 및 제2안내부(45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구동부(300)는 제1안내부(400)의 펜더(200)를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310) 및 제2안내부(450)의 펜더(200)를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제1구동부(310)에 의해 제1안내부(400)에 구비된 펜더(200)가 제1측면(A1)으로부터 해양구조물(90)의 저면으로 이동되고, 제2구동부(320)에 의해 제2안내부(450)에 구비된 펜더(200)가 제2측면(A2)으로부터 해양구조물(90)의 저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즉, 제1구동부(310) 및 제2구동부(320)는 따로 구동될 수 있으며, 제1구동부(310) 및 제2구동부(320)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는 펜더(200)의 수량이 다를 수 있다. 따라서, 화물이 이동하는 방향에 따라 해양구조물(90)이 좌우 방향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앞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같이, 본 발명의 제어부(미도시)는 해양구조물(90)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560)의 정보에 따라 해양구조물(9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구동부(300)를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물이 해양구조물(90)의 제1측면(A1)과 가까이 배치되어 이동되면 해양구조물(90)이 제1측면(A1) 방향으로 기울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기울기센서(560)의 정보에 따라 제1구동부(310) 및 제2구동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의 제어에 의해 제1구동부(310)를 통해 해양구조물(90)의 저면으로 이동되는 펜더(200)의 수량이 제2구동부(320)를 통해 해양구조물(90)의 저면으로 이동되는 펜더(200)의 수량보다 많을 수 있다. 따라서, 해양구조물(90)의 좌우방향(Y)의 기울기가 조절되어 해양구조물(90)이 수평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에 반해, 화물이 해양구조물(90)의 제2측면(A2)과 가까이 배치되어 이동되면, 제2구동부(320)를 통해 이동되는 펜더(200)의 수량이 제1구동부(310)를 통해 이동되는 펜더(200)의 수량보다 많도록 제어부는 제1구동부(310) 및 제2구동부(320)를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해양구조물(90)의 좌우방향(Y)으로 기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는 앞서 설명한 높이센서(550)를 구비하여 해양구조물(90)과 지면과의 단차를 확인하여 해양구조물(90)의 저면으로 이동되는 펜더(200)의 수량을 조절함으로써 해양구조물(90)과 지면과의 단차를 줄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는 지면과의 단차가 조절되고, 해양구조물(90)의 좌우방향(Y)의 기울기가 조절됨으로써 해양구조물(90)이 수평상태를 유지하여 화물을 해양구조물(90)로부터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하역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를 나타낸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는 안내부(100) 및 펜더(200)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안내부(100) 및 펜더(200)는 앞서 도 5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안내부(100) 및 펜더(200)와 동일 또는 실질적으로 유사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의 제2가이드(120)는 해양구조물(90)의 전방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안내부(100)는 해양구조물(90)의 후방 저면에 구비되는 제4가이드(140) 및 제4가이드(140)와 제1가이드(110)를 연결하는 제5가이드(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해양구조물(90)의 제2가이드(120)는 해양구조물(90)의 전방의 저면에 구비되고, 제4가이드(140)는 해양구조물(90)의 후방 저면에 구비될 수 있다.
이때, 안내부(100)는 해양구조물(90)의 마주보는 양 측면에 각각 구비되는 제1안내부(400) 및 제2안내부(45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안내부(100)의 펜더(200)를 제2가이드(120)로 이동시키는 제1구동부(330) 및 안내부(100)의 펜더(200)를 제4가이드(140)로 이동시키는 제2구동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해양구조물(90)이 접안되는 방향에 따라 제어부(미도시)를 통해 제1구동부(330) 또는 제2구동부(340) 중 어느 하나를 구동하여 펜더(200)를 해양구조물(90)의 저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해양구조물(90)이 전방 즉 도 8에 도시된 제3측면(A3)방향으로 접안되면 제1구동부(330)가 구동되고, 펜더(200)는 제1측면(A1) 및 제2측면(A2)으로부터 제2가이드(120)로 이동되어 해양구조물(90)의 저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에 반해, 해양구조물(90)이 후방 즉 제4측면(A4)방향으로 접안되면 제2구동부(340)가 구동되고, 펜더(200)는 제1측면(A1) 및 제2측면(A2)으로부터 제4가이드(140)로 이동되어 해양구조물(90)의 저면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펜더장치는 해양구조물(90)이 접안되는 방향에 따라 해양구조물(90)이 접안되는 측면(A3, A4)의 저면으로 펜더(200)를 이동함으로써 해양구조물(90)에 부력을 제공하여 해양구조물(90)과 접안되는 지면과의 단차를 줄일 수 있다. 따라서, 화물이 해양구조물(90)로부터 신속하고 안전하게 승하역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바지선 55: 부두
60: 화물 65: 트랜스포트
70: 바퀴 75: 보조패널
90: 해양구조물 100: 안내부
100a: 홈 110: 제1가이드
120: 제2가이드 130: 제3가이드
140: 제4가이드 150: 제5가이드
200: 펜더 210: 돌출부재
250: 연결부 300: 구동부
310,330: 제1구동부 320,340: 제2구동부
350: 윈치 360: 모터
400: 제1안내부 450: 제2안내부
500: 고정부 550: 높이센서
560: 기울기센서 A1: 제1측면
A2: 제2측면 A3: 제3측면
A4: 제4측면 B: 저면
C: 지면 X: 전후방향
Y: 좌우방향

Claims (6)

  1. 해양구조물의 측면에 구비되는 제1가이드, 상기 해양구조물의 저면에 구비되는 제2가이드, 및 상기 제1가이드와 제2가이드를 연결하는 제3가이드를 포함하는 안내부;
    상기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펜더;
    상기 펜더를 이동시키는 구동부; 및
    상기 해양구조물의 높이를 측정하는 높이센서의 정보에 따라 상기 해양구조물이 접안되는 지면과의 단차를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펜더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를 상기 안내부에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시키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부는,
    상기 안내부에 형성된 홈을 따라 슬라이딩하는 돌출부재를 포함하는 펜더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양구조물의 기울기를 측정하는 기울기센서의 정보에 따라 상기 해양구조물의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펜더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펜더는 복수 개가 구비되고,
    상기 각 펜더를 연결하며, 상기 펜더와 상기 돌출부재를 고정하는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펜더장치.
KR1020140145013A 2014-10-24 2014-10-24 펜더장치 KR1016443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013A KR101644324B1 (ko) 2014-10-24 2014-10-24 펜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45013A KR101644324B1 (ko) 2014-10-24 2014-10-24 펜더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419A KR20160048419A (ko) 2016-05-04
KR101644324B1 true KR101644324B1 (ko) 2016-08-01

Family

ID=560219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45013A KR101644324B1 (ko) 2014-10-24 2014-10-24 펜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4324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758156B1 (en) * 2003-07-28 2004-07-06 Taylor Made Products Pontoon boat fender
KR20110064827A (ko) * 2009-12-09 2011-06-15 한국과학기술원 해상 부유물의 수평 유지 장치
KR101184917B1 (ko) 2010-11-04 2012-09-20 한국과학기술원 가변 펜더를 구비하는 접안 장치와 접안장치가 장착된 부유체 및 이동항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48419A (ko) 2016-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301838B1 (en) Underwater traveling vehicle
CA2820784C (en) System for launching and recovering underwater vehicles, notably towed underwater vehicles
US6547485B2 (en) Stern-on mooring boat lift
US7793374B1 (en) Adjustable height bridging ramp system
JP6665376B2 (ja) 揚陸用の船舶及び揚陸用の船舶を使用した荷役方法
FR2991284A1 (fr) Systeme de mise a l'eau et de recuperation d'engins sous-marins, notamment d'engins sous-marins tractes
CN112278195B (zh) 滚装船的靠泊方法
KR101763817B1 (ko) 갱웨이 장치
KR20180036783A (ko) 선박, 선박을 사용한 반송방법
KR101644324B1 (ko) 펜더장치
KR101304016B1 (ko) 분할식 선박 램프용 장치
US5359746A (en) Ramp junction
JP2017144936A (ja) 船舶及び船舶を使用した荷役方法
KR20160063056A (ko) 계류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해양구조물
JP5336833B2 (ja) ばら物運搬船の陸揚げ時における船体の位置調整システム
CN104420453A (zh) 一种自升式钻井平台悬臂梁整体合拢方法
US6000358A (en) Beaching bow for floating platforms and watercraft
KR20220019426A (ko) 바지선
JPH0976985A (ja) 積載甲板昇降式バージ船
KR20100123443A (ko) 부유식 항구 및 이를 이용하는 선박 화물 하역 방법
JP2010143298A (ja) ブームコンベアの搬出位置調整手段
RU2180636C2 (ru) Способ погрузки-выгрузки и транспортировки на судне негабаритного тяжеловесного объекта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KR20220009619A (ko) 임시 접안 장치
CN113525627B (zh) 大型船舶的下水方法
KR20190059650A (ko) 통합형 터그 바지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