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3379B1 - 거푸집조립체 - Google Patents

거푸집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3379B1
KR101643379B1 KR1020150052061A KR20150052061A KR101643379B1 KR 101643379 B1 KR101643379 B1 KR 101643379B1 KR 1020150052061 A KR1020150052061 A KR 1020150052061A KR 20150052061 A KR20150052061 A KR 20150052061A KR 101643379 B1 KR101643379 B1 KR 1016433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plate
lower mold
di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520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블루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블루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블루폼
Priority to KR10201500520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33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33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33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3/00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 E04G13/02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 E04G13/021Falsework, forms, or shutterings for particular parts of buildings, e.g. stairs, steps, cornices, balconies foundations, sills for columns or like pillars; Special tying or clamping means therefor for circula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거푸집조립체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거푸집조립체는,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울어진 기둥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조립체에 있어서, 횡단면상 반원 또는 호 형태를 이루는 제1 하부거푸집 및 제2 하부거푸집이 서로 조합되어 원을 이루고,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하는 하부거푸집; 및 횡단면상 반원 또는 호 형태를 이루는 제1 상부거푸집 및 제2 상부거푸집이 서로 조합되어 원을 이루고,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가 일정하며, 하부거푸집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거푸집을 포함하고, 제1 하부거푸집과 제2 하부거푸집이 결합되는 라인은, 제1 상부거푸집과 제2 상부거푸집이 결합되는 라인과 일치하고, 제1 하부거푸집 및 제1 상부거푸집은 기둥의 기울어진 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의 아래쪽 부분을 성형하는 제1 하부거푸집과 제2 하부거푸집이 결합되는 라인과 기둥의 위쪽 부분을 성형하는 제1 상부거푸집과 제2 상부거푸집이 결합되는 라인이 서로 일치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하부거푸집과 상부거푸집이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서 대칭된 형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푸집조립체의 시공이 용이하고 안정된 형태의 거푸집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거푸집조립체{MOLD PANEL ASSEMBLY}
본 발명은 거푸집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하여 원형기둥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기둥이나 벽체 같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시공위치에 필요한 수 만큼의 철근을 엮어 세우고, 철근의 둘레에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공간부가 형성되도록 거푸집을 먼저 시공한 상태에서 거푸집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콘크리트를 타설한 후 양생시키는 방식으로 해당 콘크리트 구조물을 시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콘크리트 구조물의 시공에 사용되는 거푸집은 콘크리트를 설계에 따라 정해진 형상과 치수로 유지시켜 주고, 콘크리트의 타설 후 양생과정에서 발생되는 수분의 누출을 방지하며, 외부의 충격이 타설된 콘크리트에 미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콘크리트가 굳게 양생될 때까지 사용된 후 제거되는 가설물이다.
교각이나 건물의 기둥 등과 같이, 세로방향으로 길게 세워지는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하여는, 원통 형태의 각 거푸집을 수직방향으로 적층시키고 각 거푸집을 고정시켜 전체 거푸집조립체를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수직방향을 따라 똑바로 세워지는 구조물의 성형에 사용되는 거푸집조립체에서는, 전체 거푸집조립체를 이루는 각 거푸집이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7962호는 "구조물을 위한 거푸집"을 개시하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양끝단(12)을 소정 면적 및 소정 각도 절곡하여 외측에 체결 접합면(12a)을 가지도록 하는 탄성 복원력이 우수한 시트재로 된 단위체(10)를 2개 이상 구부려 조합하되, 시트재의 판부(11)를 양끝단(12)의 절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구부려 상기 체결 접합면(12a)을 상호 마주보게 맞대어 이들 체결 접합면(12a)을 소정의 체결수단(13)으로 탄성 체결하여 하나의 원통형상의 조합체(1)를 이루도록 하고 있다.
이처럼, 원형 기둥을 성형하기 위하여 각 거푸집은, 반원통 형태의 거푸집이 조립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반원통 형태의 거푸집은 서로 대칭된 형태를 이룬다.
그리고 조립된 각 원통 형태(대칭된 반원통 2개가 조립되어 원통을 이룸)의 거푸집이 상하방향으로 적층되어 전체 거푸집조립체를 이룰 수 있는데, 각 거푸집이 적층됨에 있어서, 반원통이 조립되는 라인은 상하방향을 따라 서로 일치되도록 조립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는, 서로 조립되는 위치를 통일시키고 동일한 방향으로 배열되도록 함으로써 거푸집의 신속한 결합과 안정된 조립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각 거푸집에서 조립되는 위치가 약간의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에도, 볼트 체결을 위한 구멍이 서로 일치하지 않는 등 조립을 곤란하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문제를 배제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직 방향으로 세워지는 구조물(예컨대, 원형 기둥)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의 경우, 상하 방향을 따라 각 거푸집이 동일한 형태로 이루어져 조립에 곤란함이 없으나, 지면에서 경사지게 형성되는 구조물(예컨대, 원형 기둥)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의 경우, 기둥의 가장 아래쪽 부분을 성형하는 거푸집은 단순한 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므로, 일반적인 경우와 달리 거푸집조립체 전체를 시공함에 있어서 각별한 주의를 요하게 된다.
예컨대, 기둥의 가장 아래쪽 부분을 성형하는 거푸집은 원주 방향을 따라 높이가 다르게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에 따라 단순히 사각형 형태의 판재를 굽혀 거푸집을 형성할 수도 없을 뿐 아니라, 이 부분의 거푸집을 기둥의 상측 부분을 이루는 거푸집과 조립함에 있어서도 조립 위치 등에 차이가 발생하여 전체 거푸집조립체를 형성함에 있어서 시공시간이 길어지고 안정된 형태의 거푸집조립체 형성이 곤란한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므로, 경사진 기둥을 성형하는데 적합한 형태의 거푸집조립체가 요구된다.
(0001)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 제20-0287962호(공고일: 2002.09.05)
본 발명의 목적은,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기울어진 기둥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조립체로서, 하부거푸집과 상부거푸집이 적층되어 이루어지도록 하면서 하부거푸집과 상부거푸집의 조립이 용이하고 견고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거푸집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울어진 기둥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조립체에 있어서, 횡단면상 반원 또는 호 형태를 이루는 제1 하부거푸집 및 제2 하부거푸집이 서로 조합되어 원을 이루고,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하는 하부거푸집; 및 횡단면상 반원 또는 호 형태를 이루는 제1 상부거푸집 및 제2 상부거푸집이 서로 조합되어 원을 이루고,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가 일정하며, 상기 하부거푸집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거푸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거푸집과 제2 하부거푸집이 결합되는 라인은, 상기 제1 상부거푸집과 제2 상부거푸집이 결합되는 라인과 일치하고, 상기 제1 하부거푸집 및 상기 제1 상부거푸집은 상기 기둥의 기울어진 쪽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조립체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거푸집의 하단은 원주방향 전체에서 지면과 닿고, 상기 하부거푸집의 상단이 이루는 면 및 상기 상부거푸집의 하단이 이루는 면은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부거푸집 및 상기 제1 상부거푸집의 중심은 상기 기둥이 기울어진 쪽을 향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부거푸집의 상단이 수평방향에서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제1 하부거푸집 및 상기 제2 하부거푸집을 펼쳤을 때, 상기 제1 하부거푸집 하단이 0~π(rad)범위의 사인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2 하부거푸집 하단이 π~2π(rad)범위의 사인곡선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에서, 상기 제1 하부거푸집과 상기 제2 하부거푸집은 양측 단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에서, 상기 제1 하부거푸집과 상기 제2 하부거푸집은 일측 단부는 일체로 이루어지고, 타측 단부는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하부거푸집에는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는 제1 하부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하부거푸집에는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부상판과 조합되어 원을 이루는 제2 하부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거푸집에는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는 제1 상부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상부거푸집에는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상부하판과 조합되어 원을 이루는 제2 상부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부상판과 상기 제1 상부하판은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하부상판과 상기 제2 상부하판은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하부거푸집에는 측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는 제1 하부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하부거푸집에는 측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부측판과 밀착결합되는 제2 하부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거푸집에는 측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는 제1 상부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상부거푸집에는 측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상부측판과 밀착결합되는 제2 상부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부측판과 상기 제1 상부측판은 서로 일직선을 이룰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의 아래쪽 부분을 성형하는 제1 하부거푸집과 제2 하부거푸집이 결합되는 라인과 기둥의 위쪽 부분을 성형하는 제1 상부거푸집과 제2 상부거푸집이 결합되는 라인이 서로 일치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하부거푸집과 상부거푸집이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서 대칭된 형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푸집조립체의 시공이 용이하고 안정된 형태의 거푸집조립체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원형 기둥을 위한 종래의 거푸집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조립체를 도시한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푸집조립체를 도시한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전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전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이미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하여 생략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푸집조립체(1)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거푸집조립체(1)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하부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전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하부거푸집을 도시한 사시도 및 전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1)는,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하여 기울어진 구조물(예컨대, 기둥)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이며, 지면에서 수직방향으로 세워지는 구조물이 아닌, 지면에서 경사지게 세워지는 구조물을 성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거푸집을 이룬다.
즉,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1)는, 지면에서 수직방향을 향하여 곧게 뻗은 형태가 아니라, 경사를 가지며 기울어진 기둥 등을 성형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거푸집이므로, 이하에서 방향에 대해 설명은, 특별히 한정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기둥의 길이방향에서 위쪽(H)을 상측으로, 기둥의 길이방향에서 아래쪽(L)을 하측으로 칭하도록 한다.
그리고 타설되는 구조물은 '원형 기둥'을 예시로 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거푸집조립체(1) 상측에는 작업자를 위한 발판(100)이 고정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발판(100)은 수평방향으로 평행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1)는 하부거푸집(30 및 40)과 상부거푸집(10 및 20)을 포함하며, 하부거푸집(30 및 40)은 기둥의 아래쪽 부분을 성형하는 부분이고, 상부거푸집(10 및 20)은 기둥의 위쪽 부분을 성형하는 부분이다.
시공의 순서상, 하부거푸집(30 및 40)이 먼저 설치되고, 하부거푸집(30 및 40) 위에 상부거푸집(10 및 20)이 순차적으로(상부거푸집이 다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순차적으로 적층됨) 설치되는 것이나, 설명의 편의상 상부거푸집(10 및 20)에 대하여 먼저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거푸집(10 및 20)은 2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부거푸집(10 및 20)이 2 이상으로 구비되는 경우, 각 상부거푸집(10 및 20)은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적층된다.
상부거푸집(10 및 20)은 제1 상부거푸집(10)과 제2 상부거푸집(20)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1 상부거푸집(10) 및 제2 상부거푸집(20)은 모두 단면상 반원 또는 호 형태를 이루며, 제1 상부거푸집(10)과 제2 상부거푸집(20)이 조립되어 원통 형태를 이룬다.
횡단면상 상부거푸집(10 및 20)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상부거푸집(10)이 형성되는 영역이 0~θ (각도) 범위이고, 제2 상부거푸집(20)이 형성되는 영역이 θ~360°범위일 때, θ는 0<θ<360°범위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으나, 180°인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제1 상부거푸집(10)과 제2 상부거푸집(20)은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된다.
이처럼, 제1 상부거푸집(10) 및 제2 상부거푸집(20) 각각은 반원통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양자가 조합되어 원통 형태를 이룬다.
제1 상부거푸집(10) 및 제2 상부거푸집(20)이, 편평한 면을 이루도록 펼쳐졌을 때, 제1 상부거푸집(10) 및 제2 상부거푸집(20)은 각각 직각사각형 모양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따라 상부거푸집(원통 형태의 상부거푸집)의 종단면 또한 직각사각형 형태를 이룬다.(도 3 참조)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1)에서, 제1 상부거푸집(10)은 상부거푸집에서 기둥이 기울어진 쪽(A)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제2 상부거푸집(20)은 상부거푸집에서 그 반대쪽(B)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상부거푸집(10)의 중심(제1 상부거푸집(10)의 볼록한 외주면의 중심, b1-b2를 잇는 선분의 연장선 부분)은 기둥이 기울어진 쪽(A)을 똑바로 향하게 된다.
상부거푸집이 지면에서 기울어진 형태로 형성되게 되므로, 상부거푸집의 안정된 고정을 위하여 지지대(110)를 상부거푸집에 결합시켜 균형을 잡도록 한다.
콘크리트 타설을 이용하여 기둥을 형성할 때, 콘크리트 기둥의 강성 확보 등을 위하여, 거푸집 내부에 철근(120)이 배근되게 되는데, 철근(120)은 띠철근(130)과 결합되어 상부거푸집(10 및 20) 내부에 위치한다. 다수의 철근(120)은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고, 띠철근(130)은 이러한 철근(120)을 서로 고정시킨다.
도 3에서는, 철근(120) 및 띠철근(130)이 일부만 도시되어 있으나, 원주방향 전체에 형성됨은 물론이다.
제1 상부거푸집(10)의 설치 이전에 철근(120) 및 띠철근(130)이 설치될 수 있으며, 다음으로 동바리와 같은 지지대(110)를 이용하여 제1 상부거푸집(10)을 설치하고, 이후 제2 상부거푸집(20)을 제1 상부거푸집(10)에 결합시켜 상부거푸집(10 및 20)을 완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1)에서는 제1 상부거푸집(10)이 기둥의 기울어진 쪽에 위치하므로써, 콘크리트 타설시 하중 지지에 유리하게 작용하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에서는 지지대(110)가 하나만 도시되어 있으나, 지지대(110)가 2 이상으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처럼, 지지대(110)에 의한 제1 상부거푸집(10)의 안정된 지지(콘크리트 타설시의 지지 포함) 및 철근 배근의 안정성을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상부거푸집(10)의 중심이 기둥이 기울어진 쪽(A)을 향하도록 설치되고, 제1 상부거푸집(10)의 양쪽 단부를 연결하는 선은 A 방향에서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이루어지게 된다.
즉, 제1 상부거푸집(10)과 제2 상부거푸집(20)이 서로 결합되는 라인(H-L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선분)은 A 또는 B방향을 바라보는 것이 아니고, A 또는 B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바라보게 된다.
상부거푸집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모서리 및 외측면에 결합되는 상부하판(13, 23), 상부상판(12, 22), 상부측판(15, 16, 25, 26) 및 상부보강판(14, 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상부거푸집(10)은 제1 상부하판(13), 제1 상부상판(12), 제1 상부측판(15, 16) 및 제1 상부보강판(1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상부거푸집(20)은 제2 상부하판(23), 제2 상부상판(22), 제2 상부측판(25, 26) 및 제2 상부보강판(2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상부하판(13)은 제1 상부거푸집(10)의 하단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이며, 제1 상부거푸집(10)의 기본판(11)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상부하판(13)은 반원모양의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상부거푸집(10)의 기본판(11)과 제1 상부하판(13)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상부하판(13)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13a)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결합됨으로써, 상부거푸집과 하부거푸집 간의 결합, 또는 서로 다른 상부거푸집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상부상판(12)은 제1 상부거푸집(10)의 상단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이며, 제1 상부거푸집(10)의 기본판(11)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상부상판(12)은 반원모양의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상부거푸집(10)의 기본판(11)과 제1 상부상판(12)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상부상판(12)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상부거푸집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상부상판(12)은 제1 상부하판(13)과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부측판(15, 16)은 제1 상부거푸집(10)의 측단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이며, 제1 상부거푸집(10)의 기본판(11) 측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상부측판(15, 16)은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상부거푸집(10)의 기본판(11)과 제1 상부측판(15, 16)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상부거푸집(10)이 반원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상부측판(15, 16)은 2개로 구비되어 제1 상부거푸집(1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제1 상부보강판(14)은 제1 상부거푸집(10)의 기본판(11) 외주면에 결합되고,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상부보강판(14)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상부거푸집(10)의 기본판(11) 외주면에서 법선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제1 상부보강판(14)은 제1 상부측판(15, 16)과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상부거푸집(10)의 기본판(11)과 제1 상부보강판(14)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상부하판(23), 제2 상부상판(22), 제2 상부측판(25, 26) 및 제2 상부보강판(24)은 각각, 제1 상부하판(13), 제1 상부상판(12), 제1 상부측판(15, 16) 및 제1 상부보강판(14) 각각과 대칭을 이루며, 제2 상부하판(23), 제2 상부상판(22), 제2 상부측판(25, 26) 및 제2 상부보강판(24)에 대한 설명은 제1 상부하판(13), 제1 상부상판(12), 제1 상부측판(15, 16) 및 제1 상부보강판(14)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하부거푸집은 제1 하부거푸집(30)과 제2 하부거푸집(40)으로 구분될 수 있고, 제1 하부거푸집(30) 및 제2 하부거푸집(40)은 모두 단면상 반원 또는 호 형태를 이루며, 제1 하부거푸집(30)과 제2 하부거푸집(40)이 조립되어 원통 형태를 이룬다.
다만, 상부거푸집과 달리, 하부거푸집은 완전한 형태의 원통 모양을 이루는 것은 아니고, 하부거푸집을 똑바로 세웠을 때(H-L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세웠을 때) 하단이 경사방향으로 절단된 형태를 이룬다.(도 3 참조)
횡단면상 하부거푸집의 중심을 기준으로 제1 하부거푸집(30)이 형성되는 영역이 0~θ (각도) 범위이고, 제2 하부거푸집(40)이 형성되는 영역이 θ~360°범위일 때, θ는 0<θ<360°범위의 임의의 각도일 수 있으나, 1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1)에서, 제1 하부거푸집(30)은 하부거푸집에서 기둥이 기울어진 쪽(A)에 위치하는 부분이며, 제2 하부거푸집(40)은 하부거푸집에서 그 반대쪽(B)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하부거푸집(30)의 중심(제1 하부거푸집(30)의 볼록한 곡면의 중심, b1-b2를 잇는 선분 부분)은 기둥이 기울어진 쪽(A)을 똑바로 향하게 된다.
제1 하부거푸집(30) 및 제2 하부거푸집(40)이, 편평한 면을 이루도록 펼쳐졌을 때, 제1 하부거푸집(30) 및 제2 하부거푸집(40)의 상단 모서리(a1, b1, c1, d1 및 a'1을 잇는 선분)는 측단 모서리(a1과 a2를 잇는 선분)와 직각을 이루게 되나, 제1 하부거푸집(30) 및 제2 하부거푸집(40)의 하단 모서리(a2, b2, c2, d2 및 a'2을 잇는 선분)는 측단 모서리와 직각을 이루는 것이 아니고, 곡선을 이루게 되며, 바람직하게는 사인곡선 형태를 이루게 된다.(도 4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 하부거푸집의 상단이 수평방향을 따라 직선을 이루도록 제1 하부거푸집(30) 및 제2 하부거푸집(40)을 펼쳤을 때, 제1 하부거푸집(30) 하단이 0~π(rad)범위의 사인곡선(a2, b2 및 c2를 연결하는 선)을 이루고, 제2 하부거푸집(40) 하단이 π~2π(rad)범위의 사인곡선(c2, d2 및 a'2를 연결하는 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제1 하부거푸집(30)과 제2 하부거푸집(40)은 서로 대칭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아니고, 비대칭 형태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제1 하부거푸집(30)과 제2 하부거푸집(40)이 서로 결합되는 라인(H-L 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선분)은 A 또는 B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바라보게 되고, 제1 하부거푸집(30)과 제2 하부거푸집(40)이 서로 결합되는 라인(a1과 a2를 잇는 선분)이 제1 상부거푸집(10)과 제2 상부거푸집(20)이 서로 결합되는 라인과 일치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조립체(1)에서, 제1 하부거푸집(30)과 제2 하부거푸집(40)은 서로 완전히 분리된 후 결합되어 하부거푸집을 이룰 수 있고, 또는 제1 하부거푸집(30)과 제2 하부거푸집(40)이 일측 단부(c1-c2 부분)는 일체로 연결되고 타측 단부(a1-a2 와 a'1-a'2) 는 분리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2 개의 분리된 판의 양쪽 단부(a1-a2 및 c1-c2, a'1-a'2 및 c1-c2)가 각각 서로 결합되어 원통형태의 하부거푸집을 이룰 수 있고(도 4 참조), 1개의 판의 양측 단부(a1-a2 및 a'1-a'2)가 서로 결합되면서 원통형태의 하부거푸집을 이룰 수 있다.(도 5 참조)
하부거푸집은, 목재 또는 합성수지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한 견고하고 안정된 결합을 위하여, 모서리 및 외측면에 결합되는 하부하판, 하부상판, 하부측판 및 하부보강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하부거푸집(30)은 제1 하부하판(33), 제1 하부상판(32), 제1 하부측판(35, 36) 및 제1 하부보강판(3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제2 하부거푸집(40)은 제2 하부하판(43), 제2 하부상판(42), 제2 하부측판(45, 46) 및 제2 하부보강판(44)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부하판(33)은 제1 하부거푸집(30)의 하단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이며, 제1 하부거푸집(30)의 기본판(31)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하부하판(33)은 반원모양(다만, 제1 하부하판(33)은, 제1 상부하판(13)과 달리, 원의 일부를 이루는 것이 아니고, 타원의 일부를 이루게 됨)의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하부거푸집(30)의 기본판(31)과 제1 하부하판(33)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부하판(33)의 면은 기둥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것이 아니고, 지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제1 하부하판(33)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결합됨으로써, 하부거푸집과 지면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지면이 콘크리트 바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콘크리트 못이 제1 하부하판(33)을 관통하여 지면에 결합되도록 하여, 제1 하부하판(33) 및 제1 하부거푸집(30)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하부상판(32)은 제1 하부거푸집(30)의 상단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이며, 제1 하부거푸집(30)의 기본판(31)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하부상판(32)은 반원모양의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하부거푸집(30)의 기본판(31)과 제1 하부상판(32)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부상판(32)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결합됨으로써, 하부거푸집과 상부거푸집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1 하부상판(32)은 제1 상부하판(13)과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부측판(35, 36)은 제1 하부거푸집(30)의 측단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이며, 제1 하부거푸집(30)의 기본판(31) 측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하부측판(35, 36)은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하부거푸집(30)의 기본판(31)과 제1 하부측판(35, 36)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부거푸집(30)이 횡단면상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1 하부측판(35, 36)은 2개로 구비되어 제1 하부거푸집(3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제1 하부측판(35, 36)은 제1 상부측판(15, 16)과 연장선을 이루게 되며, 제1 하부측판(35, 36)과 제1 상부측판(15, 16)은 서로 일직선을 이룬다.
제1 하부보강판(34)은 제1 하부거푸집(30)의 기본판(31) 외주면에 결합되고,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1 하부보강판(34)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1 하부거푸집(30)의 기본판(31) 외주면에서 법선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제1 하부보강판(34)은 제1 하부측판(35, 36)보다 짧게 이루어지고,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각 제1 하부보강판(34)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하부거푸집(30)의 기본판(31)과 제1 하부보강판(34)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부하판(43)은 제2 하부거푸집(40)의 하단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이며, 제2 하부거푸집(40)의 기본판(41) 하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하부하판(43)은 반원모양(다만, 제2 하부하판(43)은, 제2 상부하판(23)과 달리, 원의 일부를 이루는 것이 아니고, 타원의 일부를 이루게 됨)의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하부거푸집(40)의 기본판(41)과 제2 하부하판(43)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부하판(43)의 면은 기둥의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것이 아니고, 지면과 평행하게 이루어지고, 제1 하부하판(33)과 연결되어 완성된 타원을 이룬다.
제2 하부하판(43)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결합됨으로써, 하부거푸집과 지면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지면이 콘크리트 바닥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콘크리트 못이 제2 하부하판(43)을 관통하여 지면에 결합되도록 하여, 제2 하부하판(43) 및 제2 하부거푸집(40)이 지면에 고정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하부상판(42)은 제2 하부거푸집(40)의 상단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이며, 제2 하부거푸집(40)의 기본판(41) 상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하부상판(42)은 반원모양의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하부거푸집(40)의 기본판(41)과 제2 하부상판(42)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부상판(42)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관통홀이 다수 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통홀에 볼트와 같은 체결수단이 관통결합됨으로써, 하부거푸집과 상부거푸집 간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제2 하부상판(42)은 제2 상부하판(23)과 동일한 크기 및 모양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제1 하부상판(32)과 대칭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부측판(45, 46)은 제2 하부거푸집(40)의 측단 모서리를 이루는 부분이며, 제2 하부거푸집(40)의 기본판(41) 측단에서 외측방향으로 절곡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하부측판(45, 46)은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지고,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하부거푸집(40)의 기본판(41)과 제2 하부측판(45, 46)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부거푸집(40)이 횡단면상 반원 형태로 이루어지는 경우, 제2 하부측판(45, 46)은 2개로 구비되어 제2 하부거푸집(40)의 양측 단부에 각각 결합된다.
제2 하부측판(45, 46)은 제2 상부측판(25, 26)과 연장선을 이루게 되며, 제2 하부측판(45, 46)과 제2 상부측판(25, 26)은 서로 일직선을 이룬다. 제2 하부측판(45, 46)은 제1 하부측판(35, 36)과 동일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하부보강판(44)은 제2 하부거푸집(40)의 기본판(41) 외주면에 결합되고, 기둥의 길이방향을 따라 긴 얇은 판 형태로 이루어진다. 제2 하부보강판(44)은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 하부거푸집(40)의 기본판(41) 외주면에서 법선방향과 평행하게 이루어진다.
제2 하부보강판(44)은 제2 하부측판(45, 46)보다 길게 이루어지고, 다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때 각 제2 하부보강판(44)은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면서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 하부거푸집(40)의 기본판(41)과 제2 하부보강판(44)의 결합은 용접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기둥의 아래쪽 부분을 성형하는 제1 하부거푸집(30)과 제2 하부거푸집(40)이 결합되는 라인과 기둥의 위쪽 부분을 성형하는 제1 상부거푸집(10)과 제2 상부거푸집(20)이 결합되는 라인이 서로 일치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하부거푸집과 상부거푸집이 서로 결합되는 지점에서 대칭된 형태의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거푸집조립체(1)의 시공이 용이하고 안정된 형태의 거푸집조립체(1)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앞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예가 설명되고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일이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관점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변형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 : 거푸집조립체 10 : 제1 상부거푸집
11 : 기본판 12 : 제1 상부상판
13 : 제1 상부하판 14 : 제1 상부보강판
15, 16 : 제1 상부측판 20 : 제2 상부거푸집
21 : 기본판 22 : 제2 상부상판
23 : 제2 상부하판 24 : 제2 상부보강판
25, 26 : 제2 상부측판 30 : 제1 하부거푸집
31 : 기본판 32 : 제1 하부상판
33 : 제1 하부하판 34 : 제1 하부보강판
35, 36 : 제1 하부측판 40 : 제2 하부거푸집
41 : 기본판 42 : 제2 하부상판
43 : 제2 하부하판 44 : 제2 하부보강판
45, 46 : 제2 하부측판

Claims (8)

  1. 콘크리트를 이용하여 기울어진 기둥을 성형하는데 사용되는 거푸집조립체에 있어서,
    횡단면상 반원 또는 호 형태를 이루는 제1 하부거푸집 및 제2 하부거푸집이 서로 조합되어 원을 이루고,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가 변하는 하부거푸집; 및
    횡단면상 반원 또는 호 형태를 이루는 제1 상부거푸집 및 제2 상부거푸집이 서로 조합되어 원을 이루고, 원주방향을 따라 높이가 일정하며, 상기 하부거푸집 상측에 위치하는 상부거푸집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하부거푸집과 제2 하부거푸집이 결합되는 라인은, 상기 제1 상부거푸집과 제2 상부거푸집이 결합되는 라인과 일치하고,
    상기 제1 하부거푸집 및 상기 제1 상부거푸집은 상기 기둥의 기울어진 쪽에 위치하고,
    상기 하부거푸집의 하단은 원주방향 전체에서 지면과 닿고,
    상기 하부거푸집의 상단이 이루는 면 및 상기 상부거푸집의 하단이 이루는 면은 상기 기둥의 길이방향과 직교하고,
    상기 제1 하부거푸집 및 상기 제1 상부거푸집의 중심은 상기 기둥이 기울어진 쪽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거푸집의 상단이 수평방향에서 직선을 이루도록 상기 제1 하부거푸집 및 상기 제2 하부거푸집을 펼쳤을 때, 상기 제1 하부거푸집 하단이 0~π(rad)범위의 사인곡선을 이루고, 상기 제2 하부거푸집 하단이 π~2π(rad)범위의 사인곡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거푸집과 상기 제2 하부거푸집은 양측 단부가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조립체.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거푸집과 상기 제2 하부거푸집은 일측 단부는 일체로 이루어지고, 타측 단부는 분리된 상태에서 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조립체.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거푸집에는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는 제1 하부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하부거푸집에는 상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부상판과 조합되어 원을 이루는 제2 하부상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거푸집에는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는 제1 상부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상부거푸집에는 하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상부하판과 조합되어 원을 이루는 제2 상부하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부상판과 상기 제1 상부하판은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2 하부상판과 상기 제2 상부하판은 서로 일치하도록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조립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부거푸집에는 측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는 제1 하부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하부거푸집에는 측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하부측판과 밀착결합되는 제2 하부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상부거푸집에는 측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는 제1 상부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2 상부거푸집에는 측단에서 외측으로 절곡된 형태로 결합되고 상기 제1 상부측판과 밀착결합되는 제2 상부측판이 구비되고,
    상기 제1 하부측판과 상기 제1 상부측판은 서로 일직선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거푸집조립체.
KR1020150052061A 2015-04-13 2015-04-13 거푸집조립체 KR1016433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61A KR101643379B1 (ko) 2015-04-13 2015-04-13 거푸집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52061A KR101643379B1 (ko) 2015-04-13 2015-04-13 거푸집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643379B1 true KR101643379B1 (ko) 2016-07-28

Family

ID=56681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52061A KR101643379B1 (ko) 2015-04-13 2015-04-13 거푸집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337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696061A (zh) * 2017-01-23 2017-05-24 中电建建筑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混凝土异形斜柱铸型的模具及其使用方法
CN111691552A (zh) * 2020-06-29 2020-09-22 海通建设集团有限公司 钢套筒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412182A (zh) * 2022-02-08 2022-04-29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超高大截面劲性斜柱吊挂模板施工方法
US11408187B2 (en) * 2017-01-18 2022-08-09 Create A Castle, LLC Mold systems having a separation tool for molding structures
US20220372775A1 (en) * 2017-01-18 2022-11-24 Create A Castle,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olding structures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81B2 (ja) * 1988-01-25 1995-01-30 鹿島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柱の形成装置
JPH0732337A (ja) * 1993-07-21 1995-02-03 Fujita Corp サイト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工法
KR970009265B1 (ko) * 1994-04-25 1997-06-09 변무원 원통형 구조물용 거푸집 및 그의 제작방법
KR200257289Y1 (ko) * 2001-09-28 2001-12-29 세종기술주식회사 전철주의 기초콘크리트 시공용 거푸집
KR200287962Y1 (ko) 2002-04-08 2002-09-05 주식회사 다산이엔씨 구조물을 위한 거푸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6281B2 (ja) * 1988-01-25 1995-01-30 鹿島建設株式会社 コンクリート柱の形成装置
JPH0732337A (ja) * 1993-07-21 1995-02-03 Fujita Corp サイトプレキャストコンクリート型枠工法
KR970009265B1 (ko) * 1994-04-25 1997-06-09 변무원 원통형 구조물용 거푸집 및 그의 제작방법
KR200257289Y1 (ko) * 2001-09-28 2001-12-29 세종기술주식회사 전철주의 기초콘크리트 시공용 거푸집
KR200287962Y1 (ko) 2002-04-08 2002-09-05 주식회사 다산이엔씨 구조물을 위한 거푸집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08187B2 (en) * 2017-01-18 2022-08-09 Create A Castle, LLC Mold systems having a separation tool for molding structures
US20220372775A1 (en) * 2017-01-18 2022-11-24 Create A Castle,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olding structures
US11959288B2 (en) * 2017-01-18 2024-04-16 Create A Castle, LLC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olding structures
CN106696061A (zh) * 2017-01-23 2017-05-24 中电建建筑集团有限公司 一种用于混凝土异形斜柱铸型的模具及其使用方法
CN111691552A (zh) * 2020-06-29 2020-09-22 海通建设集团有限公司 钢套筒结构及其施工方法
CN111691552B (zh) * 2020-06-29 2021-11-05 海通建设集团有限公司 钢套筒结构及其施工方法
CN114412182A (zh) * 2022-02-08 2022-04-29 中建八局第三建设有限公司 一种超高大截面劲性斜柱吊挂模板施工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43379B1 (ko) 거푸집조립체
KR101544803B1 (ko) 절곡강판 합성보의 기둥 접합구조 및 그 시공방법
JP2016098044A (ja) サイズ調整可能な組立式パレット
KR101758493B1 (ko) 프리캐스트 영구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1300969B1 (ko) 보강재 제작을 위한 구조요소, 기본요소, 홀딩수단,보조수단, 보조수단의 제작방법, 및 보강재의 제작방법
TW201344015A (zh) 鋼筋組合體、鋼筋混凝土構造體、鋼筋及剪斷補強筋
JP2020084759A (ja) 組立式梁型枠
KR102011835B1 (ko) 거푸집 탈착형 철근 선조립 기둥 구조물
JP2012012881A (ja) 建物の耐震構造
KR100889338B1 (ko)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KR101946500B1 (ko) 힌지 결합 콘크리트 충전 강관 기둥
KR200428489Y1 (ko) 조경용 조립식 펜스.
KR102000261B1 (ko) 간격유지 및 강성증대 구조의 스파이더가 적용된 사변형 격자지보
KR101105836B1 (ko) 접합부 종이거푸집 및 이의 src 구조 접합부 시공방법
US11708679B2 (en) CLT structure
KR101557388B1 (ko) 전단보강용 철근조립 유닛
JP4022158B2 (ja) X型交差張弦梁構造体
JP5956893B2 (ja) 柱脚金物及びそれを用いた柱脚構造
KR200486761Y1 (ko) 거푸집 패널 연결을 위한 코너 앵글
JP2020029664A (ja) 鉄筋構造体及びその鉄筋構造体を備えた合成スラブ構造
JP2020029662A (ja) 鉄筋構造体及びその鉄筋構造体を備えた合成スラブ構造
JP2020029663A (ja) 鉄筋構造体及びその鉄筋構造体を備えた合成スラブ構造
JP2019011675A (ja) 複合構造
JP5922736B2 (ja) 木造建築物用連結補強構造
KR102230338B1 (ko)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