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338B1 -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 - Google Patents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338B1
KR102230338B1 KR1020200055514A KR20200055514A KR102230338B1 KR 102230338 B1 KR102230338 B1 KR 102230338B1 KR 1020200055514 A KR1020200055514 A KR 1020200055514A KR 20200055514 A KR20200055514 A KR 20200055514A KR 102230338 B1 KR102230338 B1 KR 1022303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rtical
fixing
frame
stiffener
st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55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종석
Original Assignee
이종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석 filed Critical 이종석
Priority to KR1020200055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33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3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3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4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for metallic forming or stiffening elements, e.g. for connecting metallic elements to non-metallic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17/00Connecting or other auxiliary members for forms, falsework structures, or shutterings
    • E04G17/06Tying means; Spacers ; Devices for extracting or inserting wall ties
    • E04G17/065Tying means, the tensional elements of which are threaded to enable their fastening or tension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Forms Removed On Construction Sites Or Auxiliary Member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지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 제2 지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수직보강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접하는 철판, 철판의 4면의 테두리에 결합하는 외곽 프레임 및 복수의 수평보강재 및 복수의 수직보강재를 철판에 고정하는 복수의 보강재 고정기를 포함하고, 수평보강재와 수직보강재는 서로 교차하는, 강재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STEEL FORM AND STEEL FORM STRUCTURE FOR ASSEMBLING ON THE SPOT}
본 발명은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구체적으로는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그 조립과 분해가 용이하여 거푸집 제작 기간 및 제작 비용을 줄이고 재사용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거푸집이 알려져 있다. 거푸집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건축 설계에 따른 형태와 치수로 만들기 위해서 설치하는 가설 구조물이다. 거푸집은 타설되는 유동성 콘크리트를 일정 강도로 양생될 때까지 타설된 콘크리트를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전통적으로 목재 거푸집이 널리 활용되었으나 목재 거푸집의 지지 한계로 인해 강재( 또는 철제)(steel) 거푸집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기존의 강재 거푸집은 공장에서 철판에 프레임과 수평보강재 및 수직보강재를 용접하여 제작한 후 현장으로 운반하여 사용한다.
현장에서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공장에서 미리 제작된 강재 거푸집을 설치하고 이후 콘크리트 타설 작업과 양생후 제작된 강재 거푸집을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분해한다.
이에 따라, 미리 용접 등을 통해 구성된 강재 거푸집은 강재 분해 작업에 따라 재사용되지 못하고 버려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점에 따라 재사용 가능한 거푸집이 알려져 있다.
유로폼은 4*8 또는 3*6의 일정한 규격으로 구성되어 유로폼 간의 결합으로 임의 형상의 거푸집을 구성할 수 있다. 유로폼은 재사용성을 높인 장점이 있으나 제작과 분해에 많은 시간이 요한다.
유로폼의 결합과 지지를 하기 위한 수직보강재와 수평보강재의 제작 및 결합은 여전히 수작업으로 이루어져 거푸집 조립 및 분해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그에 따라 인건비를 포함하는 설치 비용 및 분해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한편, 콘크리트 구조물은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형태를 가지기 위한 구조물이 거푸집 내에 구성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면목틀, 문양거푸집 및/또는 수축줄눈 틀이 구성되는 거푸집 내에 구비하여 콘크리트 구조물이 구성될 필요가 있다. 기존에는 이러한 면목틀, 문양거푸집 및/또는 수축줄눈 틀이 거푸집에 용접, 몰딩 과정을 통해 결합되어 이후 재사용에 한계가 존재한다.
이러한 기존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가 필요하다.
10-1179723(B1), 2012년09월05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한 것으로서, 구조화된 조립체를 통해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 거푸집에 포함되는 철판에 결합 가능한 자석과 미리 구성되는 수직 및 수평 보강재의 자력 결합으로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고 분해 가능한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강재 거푸집에 다양한 외형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면목틀, 문양거푸집 및/또는 수축줄눈 틀 등을 자석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결합하고 분리 가능한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거푸집 조립체는 제1 지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수평보강재, 제2 지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의 수직보강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접하는 철판, 철판의 4면의 테두리에 결합하는 외곽 프레임 및 복수의 수평보강재 및 복수의 수직보강재를 철판에 고정하는 복수의 보강재 고정기를 포함하고, 수평보강재와 수직보강재는 서로 교차한다.
상기한 강재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수직보강재의 양 끝단이 표면에 접하는 외곽 프레임은 복수의 수평보강재를 내부에 수용하고 복수의 프레임고정 자석을 통해 철판의 4면 테두리에 고정된다.
상기한 강재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보강재 고정기 중 제1 유형의 보강재 고정기는 하나 이상의 수직보강재를 철판에 고정하기 위해 철판에 결합되는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 하나 이상의 수직보강재의 표면에 설치되는 수직보강재고정 패널 및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과 수직보강재고정 패널을 결합시키는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볼트를 포함한다.
상기한 강재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복수의 보강재 고정기 중 제2 유형의 제1 보강재 고정기들은 복수의 수평보강재 중 제1 수평보강재의 대응하는 제1 수평 위치상에 설치되고 복수의 보강재 고정기 중 제2 유형의 제2 보강재 고정기들은 제1 수평보강재와 제1 지정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수평보강재 중 제2 수평보강재의 대응하는 제2 수평 위치상에 설치되고, 제1 보강재 고정기 및 제2 보강재 고정기는 철재로 구성된 수평보강재가 사이에 삽입되어 수평보강재가 철판에 고정 가능토록 하는 한쌍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을 포함한다.
상기한 강재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면목 형상을 타설 후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성하기 위해, 외곽 프레임이 결합하는 측면과 반대 측면의 철판에 접하는 면목틀 및 면목틀을 철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면목틀고정 자석을 더 포함하고, 면목틀은 복수의 면목틀고정 자석과 철판 사이에 위치하고 면목 형상의 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패널을 포함한다.
상기한 강재 거푸집 조립체에 있어서, 외곽 프레임이 결합하는 측면과 반대 측면의 철판에 접하고 면목틀 아래에 위치하는 문양거푸집 및 외곽 프레임이 결합하는 측면과 반대 측면의 철판에 접하고 면목틀 아래에 위치하고 지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수축줄눈 틀을 더 포함하고, 문양거푸집은 철판 또는 문양거푸집에 구비되는 복수의 문양거푸집고정 자석을 이용하여 철판에 결합되고, 수축줄눈 틀은 철판 또는 수축줄눈 틀에 구비되는 복수의 수축줄눈고정 자석을 이용하여 철판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거푸집은 상기한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는 구조화된 조립체를 통해 설치와 해체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는 강재 거푸집에 포함되는 철판에 결합 가능한 자석과 미리 구성되는 수직 및 수평 보강재의 자력 결합으로 현장에서 간단하게 조립하고 분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는 강재 거푸집에 다양한 외형 형태를 생성하기 위해 결합되는 면목틀, 문양거푸집 및/또는 수축줄눈 틀 등을 자석을 이용해서 간단하게 결합하고 분리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강재 거푸집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의 일 예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강재 거푸집 조립체의 일 예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강재 거푸집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의 다른 예의 평면도 및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강재 거푸집 조립체의 다른 예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강재 거푸집을 도시한 도면이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명확해 질 것이며, 그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강재 거푸집(10)의 두 가지 예를 도시한다.
도 1 및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강재 거푸집(10)을 살펴보면, 강재 거푸집(10)은 콘크리트 구조물을 일정한 형태나 크기로 만들기 위하여 일시적으로 설치하는 철재(강철)로 된 거푸집이다. 목재 등의 다른 거푸집에 비해, 강재 거푸집(10)은 (강)철의 강도로 인해 거푸집 내의 타설되는 콘크리트를 안전하게 지지하고 설계에 따른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만들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강재 거푸집(10)은 콘크리트 벽체, 콘크리트 기둥 등의 구성을 위해 이용 가능하다. 서로 마주보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를 포함하는 강재 거푸집(10)은 직육면체 형상(예를 들어, 벽체 등)이나 원통형 형상(기둥)을 가지고 해당 형상의 콘크리트 구조물을 제작 가능하다.
강재 거푸집(10)은 서로 마주보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를 복수 개 포함하고 마주보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 사이에 콘트리트가 타설되고 양생과정을 통해 설계된 형상의 콘트리트 구조물을 만들 수 있도록 구성된다.
양생과정을 통한 콘크리트 구조물의 완성 이후에, 강재 거푸집(10)은 콘크리트 구조물로부터 분리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은 강재 거푸집(10)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에 따라 구성되는 강재 거푸집(10)에 포함되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평면도, 단면도 및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강재 거푸집(10)은 서로 마주보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강재 거푸집(10)은 각각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를 포함할 수 있고, 도 1의 예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벽체나 콘크리트 기둥이 구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 벽체의 한 벽면(이하 '외벽'이라 함, 도 1의 (a) 참조)에는 본 발명에 따른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가 설치되고 콘크리트 벽체의 다른 벽면(이하 '내벽'이라 함, 도 1의 (b) 참조)에도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가 설치된다. 외벽의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와 내벽의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서로 마주보고 마주보는 공간상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동일한 벽면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와 인접하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두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도면 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고정 수단(볼트, 철 파이프 등)에 의해, 서로 인접하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서로 고정되고 타설된 콘크리트에 의한 압력을 견딜 수 있다.
도 1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철재(강철) 보강재가 철판(111)에 결합된다. 철판(111)은 콘크리트 벽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 사이의 내측으로 노출되고 다수의 보강재는 내측과 반대되는 외측에 설치된다. 여러 보강재 중 한 유형의 보강재는 수평보강재(121)이고 다른 유형의 보강재는 수직보강재(123)이다.
수평 및 수직보강재(121, 123)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철판(111)에 타설된 콘크리트 하중에 의한 파괴, 휨, 변형 등의 현상을 방지한다. 수평 및 수직보강재(121, 123)는 철판(111)에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격자 형상을 가지고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수평 및 수직보강재(121, 12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1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수평 및 수직보강재(121, 123)를 철판(111)에 고정시키기 위한 보강재 고정기(190)를 가질 수 있다. 도 1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보강재 고정기(190)를 다수 가지고 보강재 고정기(190)를 통해 수직보강재(123)와 나아가 수평보강재(121)가 철판(111)에 고정되고 철판(111)에 지지력을 제공 가능하다.
도 2는 도 1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평면도((a) 참조), 단면도((b) 참조, 구성요소의 분해 단면도) 및 A 부분의 상세 확대도((c) 참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강재 거푸집(10)의 일 예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지지 유닛(110), 보강재 유닛(120), 외곽 프레임(130) 및 보강재 고정기(190)를 포함한다.
지지 유닛(110)은 외벽이나 내벽을 이루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직접 접해 지정된 형태를 가지고 콘크리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유닛(110)은 일정한 크기의 철판(111)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보강재 유닛(120)과의 결합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좌굴, 붕괴 등을 방지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지정된 형태를 가지도록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철판(11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지정된 크기(예를 들어, 가로 5미터, 세로 2.5미터 등)를 가지고 일정한 두께(예를 들어, 3mm ~ 5mm 사이의 두께)를 가진다. 철판(111)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벽체 고정홀(111-1)들을 다수 가진다. 벽체 고정홀(111-1)과 마주보는 다른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대응 벽체 고정홀(111-1)에 벽체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 유닛(110)(의 철판(111))은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에 결합되는 데, 도 2와 도 3의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의 높이에 다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50Cm 높이에 50Cm 간격으로 3개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이 설치되고, 1m 높이에 50Cm 간격으로 3개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이 설치되고, 1.5m 및 2m 높이에 50Cm 간격으로 3개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이 설치될 수 있다.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은 철판(111)에 용접 등을 통해 미리 결합될 수 있다.
외곽 프레임(130)은 지지 유닛(110)의 외곽 테두리에 결합하여 지지 유닛(110)의 형상을 유지하고 지지 유닛(11)을 또한 지지한다. 외곽 프레임(130)은 금속 재질로 구성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철이나 강철 재질로 구성된다. 외곽 프레임(130)은 지지 유닛(110)의 철판(111) 4면의 외곽 테두리에 결합되어 외곽 프레임(130)의 두께만큼 외측으로(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측면과 반대 측면) 돌출(도 2의 (b) 참조)된다.
외곽 프레임(130)은 내부가 관통되거나 내부가 철 재질로 차 있는 사각 파이프 등으로 구성되거나 평철 등을 사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외곽 프레임(130)은 사각 파이프 두께만큼 외측 및 철판(11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지지 유닛(110)의 철판(111)의 형태를 유지하고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외곽 프레임(130)과 지지 유닛(110)의 철판(111)은 다양한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서로를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체결 고리를 철판(111)의 외곽에 구비하여 볼트를 통해 외곽 프레임(130) 및 철판(111)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또한) 외곽 프레임(130) 및 철판(111)은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에 포함 가능한 자석(170)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그 외, 외곽 프레임(130) 및 철판(111)은 용접을 (더) 이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복수의 프레임고정 자석(171)을 포함하여 철판(111) 외곽 4면의 일정한 간격마다 프레임고정 자석(171)을 철판(111)상에 고정시키고 외곽 프레임(130)을 결합하여 외곽 프레임(130)을 철판(111)의 4면 테두리 상에 고정시키고 철판(111)이나 외곽 프레임(130)에 더 구비되는 복수의 볼트 체결 고리를 이용하여 외곽 프레임(130)을 철판(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보강재 유닛(120)은 지지 유닛(110)을 보강한다. 특히, 보강재 유닛(120)은 직사각형 형상의 철판(111)에 인가되는 콘크리트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철판(111)을 보강한다. 보강재 유닛(120)은 다수의 수평보강재(121)와 다수의 수직보강재(123)를 포함하고 각각의 수평보강재(121)는 지정된 간격(예를 들어, 50Cm 등)으로 서로 이격되고 각각의 수직보강재(123)도 또한 지정된 간격(예를 들어, 30Cm, 50Cm 등)으로 서로 이격된다. 수평보강재(121)의 간격과 수직보강재(123)의 간격은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그 간격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수직보강재(123)는 복수의 수직보강재(123)로 구성된(도 1 내지 3에서는 2개) 수직보강재 그룹간에 지정된 간격을 가지고 복수의 수직보강재(123)로 이루어진 수직보강재 그룹 내에도 지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그룹 내의 지정된 간격은 그룹간의 지정된 간격보다 짧게 구성된다.
수평보강재(121)는 수평방향으로 지지 유닛(110)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철재(철이나 강철 등)로 된 사각 파이프일 수 있다. 수직보강재(123)는 수직방향으로 지지 유닛(110)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철재(철이나 강철 등)로 된 사각 파이프일 수 있다.
도 3의 (b)는 복수의 수평보강재(121) 및 복수의 수직보강재(123)를 포함하는 보강재 유닛(120)을 도시하고 있다. 도 3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보강재(121)와 수직보강재(123)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하고 교차하는 부분이 미리 결합되어 있다. 즉, 수직보강재(123) 및 수평보강재(121)의 교차 부분은 용접이나 몰딩 등을 통해 미리 작업되어 있고 복수의 수평보강재(121) 및 복수의 수직보강재(123) 가 일체로 보강재 유닛(120)을 구성한다.
도 2의 (a)는 지지 유닛(110), 보강재 유닛(120) 및 외곽 프레임(130)의 결합에 따라 구성되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2의 (b)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단면도(분해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2의 (c)는 단면의 일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2의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유닛(110)의 철판(111)의 4면 외곽상에(외측으로) 외곽 프레임(130)이 설치되고 외곽 프레임(130)이 설치된 후 보강재 유닛(120)이 보강재 고정기(190)를 이용하여 지지 유닛(1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수평보강재(121)의 두께(높이)는 철판(111)으로부터 외곽 프레임(130)의 표면까지의 높이와 동일하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동일하다는 의미는 적어도 외곽 프레임(130)과 보강재 유닛(120)의 설치후에 외측으로의 수평보강재(121)의 사각 파이프의 높이와 외곽 프레임(130)의 높이가 설정된 오차(예를 들어, +/-10%) 이내임을 의미한다.
또한, 수평보강재(121)의 (수평) 길이는 적어도 철판(111)의 넓이(예를 들어, 5 m)에서 외곽 프레임(130)의 두께(수평방향의 두께) 두 배(양쪽의 두께) 차이보다 동일하거나 작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외곽 프레임(130)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수평한 수평보강재(121)들을 내부에 수용하고 수평보강재(121)의 높이(외측 높이)와 외곽 프레임(130)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오차 범위 이내로 구성된다.
또한, 수직보강재(123)의 (수직) 길이는 철판(111)의 높이(예를 들어, 2.5 m)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철판(111)의 높이에 외곽 프레임(130)의 두께 두 배의 차이보다 크고 철판(111)의 높이(예를 들어, 2.5 m)와 동일하거나 적도록 구성된다.
수평보강재(121) 위에 수직보강재(123)가 용접되고 수직보강재(123)의 양 끝단은 외각 프레임의 표면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평보강재(121)는 외곽 프레임(130) 내의 철판(111)의 수평측 하중 지지를 보강하고 수직보강재(123)는 외곽 프레임(130) 및 수평보강재(121)에 결합하여 철판(111), 외곽 프레임(130) 및 수평보강재(121)에 대해 수직측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보강재 유닛(120)은 비계(18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비계(180)는 강재 거푸집(10)의 조립후 건설 작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기구물이다. 비계(180)는 난간 형태로 구성되어 강재 거푸집(10) 위의 작업장소로 이용가능하고 작업자를 외부 위험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비계(180)는 보강재 유닛(120)에 용접 등을 통해 미리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의 예와 같이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수직보강재(123)(나아가 수평보강재(121))를 철판(111)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보강재 고정기(190)를 포함한다.
보강재 고정기(190)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에 일정한 높이(예를 들어, 50Cm 높이마다)마다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50Cm 수평 간격)을 가지고 다수 설치될 수 있다. 보강재 고정기(190)는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 수직보강재고정 패널(193) 및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볼트(1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은 일정한 간격의 일정한 높이에 수평 방향으로 철판(111)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고 복수의 볼트홀을 가진다.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의 두께(높이)는 수평보강재(121)의 높이(두께)와 동일하여 설치시 수직보강재(123)와 밀착할 수 있다.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의 외측 표면은 수평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그 형상 내에 다수의 볼트홀을 구비하고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은 사각 파이프나 평철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보강재고정 패널(193)은 평철로 구성되고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수직보강재(123) 위(외측 표면)에 설치된다. 작업자 등은 보강재 유닛(120)을 지지 유닛(110)에 설치한 후에 수직보강재고정 패널(193)을 철판(111)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과 대응하고 수직보강재(123) 위의 위치에 고정시키고 수직보강재고정 볼트(195)를 이용하여 수직보강재고정 패널(193)을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에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각각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 및 수직보강재고정 패널(193)은 다수의 수직보강재고정 볼트(195)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수직보강재(123)(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수직보강재 그룹)가 위치한다. 그에 따라, 용접 등으로 미리 결합되어 있는 보강재 유닛(120)은 지지 유닛(110)에 용이하게 결합하고 보강재 유닛(120)에 의해 지지 유닛(110)에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한다.
도 2 및 도 3의 구성에 의해, 용접 등을 통해 미리 구성된 보강재 유닛(120)을 외곽 프레임(130)이 결합된 지지 유닛(110)에 간단하게 고정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고 그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게 한다.
기존 강재 거푸집과는 달리, 지지 유닛(110), 보강재 유닛(120) 및 외곽 프레임(130)은 쉽게 분리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유로폼과는 달리 그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고 조립과 분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4는 강재 거푸집의 다른 일 실시예를 나타내고 도 5 및 도 6은 도 4에 따라 구성되는 강재 거푸집(10)에 포함되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평면도, 단면도 및 주요 구성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미 도 1 내지 도 3의 예를 통해, 강재 거푸집(10)의 주요 구성요소를 상세히 살펴보았으므로,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3과 차이가 나는 부분을 위주로 살펴보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강재 거푸집(10)은 서로 마주보는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를 포함한다. 도 4의 예와 같이, 서로 마주보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 사이에 콘크리트가 타설되어 콘크리트 벽체나 기둥이 구성될 수 있다.
콘크리트 벽체의 한 벽면(이하 '외벽'이라 함, 도 4의 (a) 참조)에는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가 설치되고 콘크리트 벽체의 다른 벽면(이하 '내벽'이라 함, 도 4의 (b) 참조)에도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가 설치된다. 외벽의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와 내벽의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 사이의 공간상에 콘크리트가 타설된다. 동일한 벽면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와 인접하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두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를 서로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도면 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도 4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철재(강철) 보강재가 철판(111)에 결합된다. 철판(111)은 콘크리트 벽면을 형성하도록 마주보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 사이의 내측으로 노출되고 다수의 보강재는 내측과 반대되는 외측에 설치된다. 여러 보강재 중 한 유형의 보강재는 수평보강재(121)이고 다른 유형의 보강재는 수직보강재(123)이다.
수평 및 수직보강재(121, 123)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철판(111)에 타설된 콘크리트 하중에 의한 파괴, 휨, 변형 등의 현상을 방지한다. 수평 및 수직보강재(123)는 철판(111)에 지지력이나 버팀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격자 형상을 가지고 서로 교차하는 다수의 수평 및 수직보강재(121, 123)를 구비할 수 있다.
도 4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수평 및 수직보강재(121, 123)를 철판(11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기(190)를 가질 수 있다. 도 4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보강재 고정기(190)를 다수 가지고 보강재 고정기(190)를 통해 수직보강재(123)와 수평보강재(121)가 철판(111)에 고정되고 철판(111)에 지지력을 제공 가능하다.
도 5는 도 4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평면도((a) 참조), 단면도((b) 참조, 구성요소의 분해 단면도) 및 A 부분의 상세 확대도((c) 참조)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강재 거푸집(10)의 일 예의 주요 구성 요소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지지 유닛(110), 보강재 유닛(120). 외곽 프레임(130) 및 보강재 고정기(190)를 포함한다.
지지 유닛(110)은 외벽이나 내벽을 이루어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직접 접해 지정된 형태를 가지고 콘크리트를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지지 유닛(110)은 일정한 크기의 철판(111)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보강재 유닛(120)과의 결합을 통해 타설되는 콘크리트의 하중에 의한 좌굴, 붕괴 등을 방지하고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지정된 형태를 가지고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철판(111)은 직사각형 형상으로 지정된 크기를 가지고 일정한 두께를 가진다. 철판(111)은 수직 및 수평 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으로 천공된 벽체 고정홀(111-1)들을 다수 가진다. 벽체 고정홀(111-1)과 마주보는 다른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대응 벽체 고정홀(111-1)에 벽체 고정볼트가 삽입되어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 사이의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다.
지지 유닛(110)(의 철판(111))은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에 결합되는 데, 도 5와 도 6의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정한 간격의 높이에 다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이 설치된다. 예를 들어, 50Cm 높이에 50Cm 간격으로 3개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이 설치되고, 1m 높이에 50Cm 간격으로 3개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이 설치되고, 1.5m 및 2m 높이에 50Cm 간격으로 3개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이 설치될 수 있다.
외곽 프레임(130)은 지지 유닛(110)의 외곽 테두리에 결합하여 지지 유닛(110)의 형상을 유지한다. 외곽 프레임(130)은 철이나 강철 재질로 구성된다. 외곽 프레임(130)은 지지 유닛(110)의 철판(111) 4면의 테두리에 결합되어 외곽 프레임(130)의 두께만큼 외측으로(콘크리트가 타설되는 측과 반대측) 돌출(도 5의 (b) 참조)된다.
외곽 프레임(130)은 사각 파이프로 구성되거나 평철 등으로 구성될 수 있고 외곽 프레임(130)의 두께만큼 외측 및 철판(111)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지지 유닛(110)의 철판(111)의 형태를 유지하고 철판(111)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외곽 프레임(130)과 지지 유닛(110)의 철판(111)은 다양한 고정 수단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외곽 프레임(130) 및 철판(111)은 서로 결합시키기 위한 볼트 체결 고리를 철판(111)의 외곽에 다수 구비하여 볼트를 통해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또는(또한) 외곽 프레임(130) 및 철판(111)은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에 포함 가능한 자석(170)을 이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그 외, 외곽 프레임(130) 및 철판(111)은 용접을 더 이용하여 서로 고정될 수 있다.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복수의 프레임고정 자석(171)을 포함하여 철판(111) 외곽 4면의 일정한 간격마다 프레임고정 자석(171)을 철판(111)상에 고정하고 외곽 프레임(130)을 결합하여 외곽 프레임(130)을 철판(111)의 4면 테두리 상에 고정한다. 또한, 철판(111)이나 외곽 프레임(130)에 더 구비되는 복수의 볼트 체결 고리를 더 이용하여 외곽 프레임(130)이 철판(111)에 고정될 수 있다.
보강재 유닛(120)은 지지 유닛(110)을 보강한다. 특히, 보강재 유닛(120)은 직사각형 형상의 철판(111)에 인가되는 콘크리트 하중을 견딜 수 있도록 철판(111)을 보강한다. 보강재 유닛(120)은 다수의 수평보강재(121)와 다수의 수직보강재(123)를 포함하고 각각의 수평보강재(121)는 지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되고 각각의 수직보강재(123)도 또한 지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수평보강재(121)의 간격과 수직보강재(123)의 간격은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그 간격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수직보강재(123)는 복수의 수직보강재(123)로 구성된(도 4 내지 6에서는 2개) 수직보강재 그룹간에 지정된 간격을 가지고 복수의 수직보강재(123)로 이루어진 수직보강재 그룹 내에도 지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다. 그룹 내의 지정된 간격은 그룹간의 지정된 간격보다 짧게 구성된다.
수평보강재(121)는 수평방향으로 지지 유닛(110)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철재(철이나 강철 등)로 된 사각 파이프일 수 있다. 수직보강재(123)는 수직방향으로 지지 유닛(110)을 보강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철재(철이나 강철 등)로 된 사각 파이프일 수 있다.
도 6의 (b)는 복수의 수평보강재(121) 및 복수의 수직보강재(123)를 포함하는 보강재 유닛(120)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수평보강재(121)와 수직보강재(123)는 서로 직각으로 교차한다. 도 4 내지 도 6에 따라 구성되는 보강재 유닛(120)은 도 1 내지 도 3의 예에 따른 보강재 유닛(120)과는 달리 용접 등을 통해 미리 결합되지 않고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현장 조립에 따라 현장에서 구성된다.
도 5의 (a)는 지지 유닛(110), 보강재 유닛(120) 및 외곽 프레임(130)에 결합에 따라 구성되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5의 (b)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단면도(분해 단면도)를 나타내고 도 5의 (c)는 단면의 일부 상세도를 나타낸다.
도 5의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지지 유닛(110)의 철판(111)의 4면 외곽상에(외측으로) 외곽 프레임(130)이 설치되고 외곽 프레임(130)이 설치된 후 보강재 유닛(120)이 보강재 고정기(190)를 이용하여 지지 유닛(110)에 결합된다.
여기서, 수평보강재(121)의 두께(높이)는 철판(111)으로부터 외곽 프레임(130)의 표면까지의 높이와 동일하게 바람직하게 구성된다. 또한, 수평보강재(121)의 (수평) 길이는 적어도 철판(111)의 넓이(예를 들어, 5 m)에서 외곽 프레임(130)의 두께(수평방향의 두께) 두 배(양쪽의 두께) 차이보다 동일하거나 작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외곽 프레임(130)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수평한 수평보강재(121)들은 내부 공간에 수용하고 수평보강재(121)의 높이(외측 높이)와 외곽 프레임(130)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오차 범위 이내로 구성된다.
또한, 수직보강재(123)의 (수직) 길이는 철판(111)의 높이(예를 들어, 2.5 m)와 동일하거나 적어도 철판(111)의 높이에 외곽 프레임(130)의 두께 두 배의 차이보다 크고 철판(111)의 높이(예를 들어, 2.5 m)와 동일하거나 적도록 구성된다.
강재 거푸집(10)의 현장 조립시에 수평보강재(121) 위에 수직보강재(123)가 설치되고 수직보강재(123)의 양 끝단은 외각 프레임의 표면에 접하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수평보강재(121)는 외곽 프레임(130) 내의 철판(111)의 수평측 하중을 지지 보강하고 수직보강재(123)는 외곽 프레임(130) 및 수평보강재(121)에 결합하여 철판(111), 외곽 프레임(130) 및 수평보강재(121)에 대해 수직측 하중을 지지 보강하도록 구성된다. 보강재 유닛(120)은 비계(180)가 더 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비계(180)는 강재 거푸집(10)의 조립후 건설 작업자가 이용할 수 있는 기구물이다.
도 4 내지 도 6의 예와 같이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수직보강재(123) 및 수평보강재(121)를 철판(111)에 고정시키기 위한 다수의 보강재 고정기(190)를 포함한다.
복수의 보강재 고정기(190) 중 한 유형의 보강재 고정기(190)는 수평보강재(121)를 지지 유닛(110)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하 "제1 보강재 고정기"라 함)로서, 제1 보강재 고정기(190)들은 한쌍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197)을 포함할 수 있다. 한쌍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197) 사이에 수평보강재(121)가 삽입될 수 있고 한쌍의 자석(197)과 철재로된 수평보강재(121) 사이의 자력에 의해 수평보강재(121)가 지지 유닛(110)에 고정될 수 있다. 한쌍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197)은 알려져 있는 자력 물질로 구성 가능하다. 한쌍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197)들은 자력에 의해 철판(111)에 결합 및 고정될 수 있다.
하나의 높이(예를 들어, 50Cm)에 일렬로 위치하는 제1 보강재 고정기(190)(한쌍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197))들은 보강재 유닛(120)의 대응하는 수평 높이에 설치되는 수평보강재(121)와 구비된 한쌍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197)에 의한 자력으로 결합하고 다른 높이(예를 들어, 1m, 1.5m, 2m 등)에 일렬로 위치하는 제1 보강재 고정기(190)들은 보강재 유닛(120)의 대응하는 수평 높이에 설치되는 수평보강재(121)와 구비된 한쌍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197)에 의한 자력으로 결합하여 수평보강재(121)가 지지 유닛(110)에 고정된다.
복수의 보강재 고정기(190) 중 다른 유형의 보강재 고정기(190)는 수직보강재(123)를 지지 유닛(110)에 결합하기 위한 구성요소(이하 "제2 보강재 고정기"라 함)로서, 제2 보강재 고정기(190)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에 일정한 높이(예를 들어, 50Cm 높이마다)마다 일정한 간격(예를 들어, 50Cm 수평 간격)을 가지고 다수 설치될 수 있다. 제2 보강재 고정기(190)는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 수직보강재고정 패널(193) 및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볼트(19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은 일정한 간격의 일정한 높이에 수평 방향으로 철판(111)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고 복수의 볼트홀을 가진다.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의 두께(높이)는 수평보강재(121)의 높이(두께)와 동일하여 설치시 수직보강재(123)와 밀착할 수 있다.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의 외측 표면은 수평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그 형상 내에 다수의 볼트홀을 구비하고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은 사각 파이프나 평철 등을 이용하여 구성될 수 있다.
수직보강재고정 패널(193)은 평철로 구성되고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과 동일하거나 더 큰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고 수직보강재(123) 위에 설치된다. 작업자 등은 먼저 제1 보강재 고정기(190)들에 수평보강재(121)들 각각을 고정시키고 이후 수직보강재(123)를 지지 유닛(110)에 위치시킨 이후에 수직보강재고정 패널(193)을 철판(111)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과 대응하고 수직보강재(123) 위의 위치에 위치시키고 수직보강재고정 볼트(195)를 이용하여 수직보강재고정 패널(193)을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에 결합 및 고정시킬 수 있다.
각각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191) 및 수직보강재고정 패널(193)은 다수의 수직보강재고정 볼트(195)에 의해 서로 고정되고 그 사이에 하나 이상의 수직보강재(123)(바람직하게는 복수의 수직보강재 그룹)가 위치한다. 그에 따라, 수평보강재(121)는 제1 보강재 고정기(190)에 의해 철판(111)등에 고정되고 서로 인접하는 수직보강재(123)들은 제2 보강재 고정기(190)에 의해 철판(111) 등에 고정되어 지지 유닛(110)에 추가적인 지지력을 제공한다.
도 5의 (c)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특정 높이의 제1 보강재 고정기(190)의 한 쌍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197)들 사이에 수평보강재(121)가 삽입되어 자력에 의해 수평보강재(121)가 지지 유닛(110)에 고정된다.
도 4 내지 도 6의 구성에 의해, 제1 보강재 고정기(190) 및 제2 보강재 고정기(190)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조립되는 보강재 유닛(120)을 외곽 프레임(130)이 결합된 지지 유닛(110)에 간단하게 고정하여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의한 하중을 견딜 수 있고 그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게 한다.
기존 강재 거푸집과는 달리, 지지 유닛(110), 보강재 유닛(120) 및 외곽 프레임(130)은 쉽게 분리 가능하여 재사용이 가능하고 유로폼과는 달리 그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고 조립과 분리에 요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7은 추가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강재 거푸집(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의 (a)는 강재 거푸집(10)(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수직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7의 (b)는 콘크리트가 타설되는 내측에서 바라보는 정면도를 도시한다. 도 7의 (a) 및 (b)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에 대한 단면도와 정면도를 바람직하게 나타낸다.
도 7에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면목틀(140), 문양거푸집(150) 및 수축줄눈 틀(160)을 더 포함한다. 면목틀(140), 문양거푸집(150) 및 수축줄눈 틀(160)은 외곽 프레임(130) 및 보강재 유닛(120)과 달리 마주보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측면(내측)의 철판(111)에 접하고 고정된다.
면목틀(140)은 콘크리트의 타설 후 구성되는 콘크리트 구조물에 면목 형상을 구성하기 위한 틀(frame)이다. 면목틀(140)은 삼각형 단면을 가져 타설 후 구성되는 면목에 의해 콘크리트 구조물의 모서리 크랙 생성을 방지할 수 있다.
기존의 강재 거푸집은 철재 면목틀(140)을 용접 등을 통해 내부 철판(111)에 결합하여 면목을 형성하였다. 이에 따라 조립상의 소요 시간, 제작 비용, 조립후 재사용이 어려운 점이 발생하였다.
본 발명에 따른, 면목틀(140)은 플라스틱 재질(예를 들어, 폴리에틸렌(PE))을 가지고, 삼각형의 형상의 수직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면목틀(140) 내에는 콘크리트가 타설되지 않아 타설후 면목 형상이 구성 가능하다.
면목틀(140)은 외곽 프레임(130)이 결합하는 측면과 반대 측면의 철판(111)에 접하여 고정되는 데,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에 더 포함되는 다수의 면목틀고정 자석(173)을 이용하여 내측 철판(111)에 고정된다.
면목틀(140)은 면목 형상의 삼각형 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패널(141)을 포함한다. 돌출패널(141)은 내측 철판(111)의 상측으로 돌출되고 그 두께는 면목 형상의 삼각형의 한면의 길이보다 작도록 구성된다. 두께는 예를 들어 1mm, 3mm, 5mm 등일 수 있다. 돌출패널(141)의 높이는 예를 들어, 10Cm, 20Cm 등일 수 있다.
다수의 면목틀고정 자석(173)은 면목틀(140)을 내측 철판(111)에 고정시키고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작업자의 의도에 따라 배치된다. 일정하게 배치되는 면목틀고정 자석(173)들과 철판(111) 사이에는 면목틀(140)의 돌출패널(141)이 위치하고 면목틀고정 자석(173)들과 철판(111) 사이의 자력에 의해 면목틀(140)이 내측 철판(111)에 고정된다. 즉, 작업자는 면목틀(140)을 철판(111) 상에 위치시키고 면목틀(140)의 돌출패널(141)에 면목틀고정 자석(173)들을 부착(자력에 의한 부착)시켜 면목틀(140)을 철판(1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문양거푸집(150)은 콘크리트 벽면의 표면에 문양을 생성하는 거푸집이다. 문양거푸집(150)은 외곽 프레임(130)이 결합하는 측면과 반대 내측 측면의 철판(111)에 접하고 면목틀(140) 아래에 위치하여 면목 형상 아래의 콘크리트 표면에 문양거푸집(150)의 제공 문양을 형성시킬 수 있다.
문양거푸집(150)은 플라스틱 재질(예를 들어, PE)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존의 강재거푸집은 문양거푸집(150)을 용접 등을 통해 결합하여 콘크리트 표면의 문양을 구성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문양거푸집(150)은 자석(170)을 이용하여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철판(111)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복수의 문양거푸집고정 자석(175)을 포함하고 문양거푸집고정 자석(175)은 문양거푸집(150) 내에 구비되거나 내측 철판(111)에 부착될 수 있다. 문양거푸집(150)은 구비된 복수의 문양거푸집고정 자석(175)을 통해 내측 철판(111)에 고정되고 타설과 양생 후 강재 거푸집의 해체시에 용이하게 문양거푸집(150)을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수축줄눈 틀(160)은 콘크리트 구조물의 표면에 수축줄눈을 형성하기 위한 틀이다. 수축줄눈 틀(160)도 외곽 프레임(130)이 결합하는 측면과 반대 측면의 철판(111)에 접하고 면목틀(140) 아래에 위치한다. 다수의 수축줄눈 틀(160)은 작업자 등의 작업에 따라 지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축줄눈 틀(160)은 자석(170)을 이용하여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의 철판(111)에 결합 및 분리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는 복수의 수축줄눈고정 자석(177)을 포함하고 수축줄눈고정 자석(177)은 수축줄눈 틀(160) 내에 구비되거나 내측 철판(111)에 부착될 수 있다. 수축줄눈 틀(160)은 구비된 복수의 수축줄눈고정 자석(177)을 통해 내측 철판(111)에 고정되고 타설과 양생 후 강재 거푸집(10)의 해체시에 용이하게 수축줄눈 틀(160)을 강재 거푸집 조립체(100)로부터 분리 가능하다.
도 1 내지 도 7을 통해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강재 거푸집(10)은 콘크리트 타설 현장에서 그 조립이 극히 용이하고 타설과 양생 완료 후 그 분리가 극히 용이하다. 그에 따라, 강재 거푸집(10)의 조립 및 분리에 소요되는 시간과 경비를 줄이고 재사용이 가능하다. 특히,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강재 거푸집(10)은 다양한 용도의 자석(170)을 이용하여 조립과 분리가 용이하면서 다양한 형태의 강재 거푸집 구성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되는 강재 거푸집(10)은 벽체 등과 같은 직육면체 형상의 거푸집을 구성하거나 교량 등의 기둥과 같이 원통형이나 정육면체 형상의 거푸집으로 구성될 수 있다. 원통형 형상의 강재 거푸집(10)을 구성하기 위해, 지지 유닛(110), 보강재 유닛(120) 등은 반원통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 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10 : 강재 거푸집
100 : 강재 거푸집 조립체
110 : 지지 유닛
111 : 철판
111-1 : 벽체 고정홀
120 : 보강재 유닛
121 : 수평보강재
123 : 수직보강재
130 : 외곽 프레임
140 : 면목틀
141 : 돌출패널
150 : 문양거푸집
160 : 수축줄눈 틀
170 : 자석
171 : 프레임고정 자석
173 : 면목틀고정 자석
175 : 문양거푸집고정 자석
177 : 수축줄눈고정 자석
180 : 비계
190 : 보강재 고정기
191 :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
193 : 수직보강재고정 패널
195 : 수직보강재고정 볼트
197 : 수평보강재고정 자석

Claims (7)

  1.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접하는 철판;
    상기 철판의 제1 높이에 지정된 간격으로 상기 철판에 설치되고 각각 복수의 볼트홀을 가지는 제1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 및 상기 제1 높이보다 높은 제2 높이에 지정된 간격으로 상기 철판에 설치되고 각각 복수의 볼트홀을 가지는 제2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
    상기 제1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보다 높은 위치의 상기 철판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복수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 및 상기 제1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과 상기 제2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 사이의 상기 철판의 위치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복수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
    상기 철판의 4면의 테두리에 복수의 프레임고정 자석으로 결합하는 외곽 프레임;
    상기 제1 복수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 각각의 한 쌍의 자석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철판에 결합하여 상기 철판에 고정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외곽 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제1 수평보강재;
    상기 제2 복수의 수평보강재고정 자석 각각의 한 쌍의 자석 사이에 상기 한 쌍의 자석의 자력에 의해 상기 철판에 결합하여 상기 철판에 고정되고 상기 외곽 프레임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 내에 설치되며 상기 외곽 프레임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를 가지는 제2 수평보강재;
    상기 외곽 프레임, 상기 제1 수평보강재 및 상기 제2 수평보강재 위의 상기 제1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의 하나의 제1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과 상기 제2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의 하나의 제2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의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수직보강재; 및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보강재와 지정된 간격을 가지고 상기 외곽 프레임, 상기 제1 수평보강재 및 상기 제2 수평보강재 위의 상기 제1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제3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과 상기 제2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의 다른 하나의 제4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의 위치에 수직방향으로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수직보강재;
    상기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1 높이의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보강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보강재 위 표면에서 대응하는 제1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의 복수의 볼트홀에 복수의 볼트로 결합하고 평철로 구성되는 제1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패널; 및
    상기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과 동일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제2 높이에서 상기 한 쌍의 제1 수직보강재 및 상기 한 쌍의 제2 수직보강재 위 표면에서 대응하는 제2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의 복수의 볼트홀에 복수의 볼트로 결합하고 평철로 구성되는 제2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패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 및 상기 제2 복수의 수직보강재고정 프레임의 두께는 상기 수평보강재의 두께와 동일한,
    강재 거푸집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면목 형상을 타설 후 콘크리트 구조물에 구성하기 위해, 상기 외곽 프레임이 결합하는 측면과 반대 측면의 상기 철판에 접하는 면목틀; 및
    상기 면목틀을 상기 철판에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면목틀고정 자석;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면목틀은 상기 복수의 면목틀고정 자석과 상기 철판 사이에 위치하고 면목 형상의 틀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는 돌출패널을 포함하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외곽 프레임이 결합하는 측면과 반대 측면의 상기 철판에 접하고 상기 면목틀 아래에 위치하는 문양거푸집; 및
    상기 외곽 프레임이 결합하는 측면과 반대 측면의 상기 철판에 접하고 상기 면목틀 아래에 위치하고 지정된 간격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수축줄눈 틀;을 더 포함하고,
    상기 문양거푸집은 상기 철판 또는 상기 문양거푸집에 구비되는 복수의 문양거푸집고정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철판에 결합되고,
    상기 수축줄눈 틀은 상기 철판 또는 상기 수축줄눈 틀에 구비되는 복수의 수축줄눈고정 자석을 이용하여 상기 철판에 결합되는,
    강재 거푸집 조립체.
  7. 제1항의 복수의 강재 거푸집 조립체;를 포함하는, 강재 거푸집.
KR1020200055514A 2020-05-09 2020-05-09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 KR1022303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14A KR102230338B1 (ko) 2020-05-09 2020-05-09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55514A KR102230338B1 (ko) 2020-05-09 2020-05-09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338B1 true KR102230338B1 (ko) 2021-03-19

Family

ID=752617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55514A KR102230338B1 (ko) 2020-05-09 2020-05-09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338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044B2 (ja) * 1993-09-30 1999-02-10 株式会社大林組 コンクリートの凹凸形成用型枠
JPH1177646A (ja) * 1997-07-11 1999-03-23 Oike:Kk 耐久性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200426155Y1 (ko) * 2006-06-21 2006-09-08 윤석진 토담집의 벽체 건축용 거푸집
KR101179723B1 (ko) 2010-05-31 2012-09-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02296B1 (ko) * 2010-09-01 2012-11-16 박해종 조립식 거푸집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6044B2 (ja) * 1993-09-30 1999-02-10 株式会社大林組 コンクリートの凹凸形成用型枠
JPH1177646A (ja) * 1997-07-11 1999-03-23 Oike:Kk 耐久性型枠およびコンクリート製ユニットの製造方法
KR200426155Y1 (ko) * 2006-06-21 2006-09-08 윤석진 토담집의 벽체 건축용 거푸집
KR101179723B1 (ko) 2010-05-31 2012-09-05 주식회사 포스코건설 거푸집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1202296B1 (ko) * 2010-09-01 2012-11-16 박해종 조립식 거푸집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3670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1030419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1781603B1 (ko) 거푸집 선조립형 보 구조물
KR101758493B1 (ko) 프리캐스트 영구거푸집 및 그 시공방법
KR101432260B1 (ko) 강재노출형 철골철근콘크리트 기둥구조
KR101663132B1 (ko) 자립 기둥구조체
WO2016077943A1 (zh) 建筑支撑单元及应用有该建筑支撑单元的建筑支撑结构
KR101577539B1 (ko) 다이아프램이 구비된 나사산 철근과 분할형 너트를 적용한 철근 선조립 기둥
JP2016098586A (ja) 鉄筋コンクリート柱鉄骨梁接合部材並びにその製作方法、及び建物の構築方法
KR100987762B1 (ko) 수직부재와 수평부재의 결합구조
KR102011835B1 (ko) 거푸집 탈착형 철근 선조립 기둥 구조물
KR101904115B1 (ko) 합성기둥과 보의 접합 시스템
KR102230338B1 (ko) 현장 조립식 일체형 강재 거푸집 및 강재 거푸집 조립체
KR101636473B1 (ko) L형강을 이용한 중심부재가 구비된 개량형 콘크리트 충전 기둥(lfc 5)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427208B1 (ko) 모듈러 거푸집이 구비된 선조립 골조
KR20080001874U (ko) 기둥 거푸집
JP2018159200A (ja) Cfrp製型枠一体型コンクリート柱の構築方法およびcfrp製型枠一体型コンクリート柱
KR101415699B1 (ko) 기둥용 거푸집
KR20230025521A (ko) 트러스거더가 합성된 기둥 거푸집 구조재 및 그 시공방법
KR20070041699A (ko) 거푸집용 조립식 패널
KR101880813B1 (ko) 샌드위치 피씨 패널 구조물 및 이를 이용한 구조물 시공방법
KR101557388B1 (ko) 전단보강용 철근조립 유닛
KR20180026286A (ko) 격자형 프리캐스트 콘크리트 구조물과 그 시공방법
KR101346671B1 (ko) 간격재를 이용한 pc보와 수직부재의 접합부 핀접합 구조
JP5345238B1 (ja) 免震基礎構造物の構築方法および免震基礎構造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