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566B1 -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 - Google Patents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566B1
KR101642566B1 KR1020140070617A KR20140070617A KR101642566B1 KR 101642566 B1 KR101642566 B1 KR 101642566B1 KR 1020140070617 A KR1020140070617 A KR 1020140070617A KR 20140070617 A KR20140070617 A KR 20140070617A KR 101642566 B1 KR101642566 B1 KR 1016425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fe
microprocessor
locking
user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706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42730A (ko
Inventor
홍성열
정윤진
홍정우
Original Assignee
홍성열
정윤진
홍정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성열, 정윤진, 홍정우 filed Critical 홍성열
Priority to KR10201400706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566B1/ko
Publication of KR201501427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427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5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5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53/00Operation or control of locks by mechanical transmissions, e.g. from a d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5/00Alarm lo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BLOCKS; ACCESSORIES THEREFOR; HANDCUFFS
    • E05B49/00Electric permutation locks; Circuits therefor ; Mechanical aspects of electronic locks; Mechanical key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G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BANK PROTECTION DEVICES; SAFETY TRANSACTION PARTITIONS
    • E05G1/00Safes or strong-rooms for valuables
    • E05G1/02Details
    • E05G1/04Closure fasten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록킹장치를 각각 개폐하는 다수의 록킹제어장치를 하나의 주제어장치가 관리하고 잠금을 제어하는 일대다 록킹시스템과 그 록킹시스템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록킹시스템은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하나의 주제어장치와, 다수 개폐함의 록킹장치를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록킹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개폐함 번호를 제공받아, 개폐함 번호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생산시 입력된 일련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개방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다수의 록킹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록킹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수신된 개방신호에 포함된 개폐함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를, 자체 저장하고 있는 개폐함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모두 일치하는 경우 록킹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 {One-to-many locking system and the unlock method}
본 발명은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다수의 록킹장치를 각각 개폐하는 다수의 록킹제어장치를 하나의 주제어장치가 관리하고 해제를 제어하는 일대다 록킹시스템과 그 록킹시스템의 잠금을 해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다수의 록킹제어장치를 관리하고 제어하는 주제어장치가 하나인 일대다 록킹 시스템으로는 예를 들어 사물함과 대여금고 등이 있다.
일반적으로, 목욕탕, 헬스장, 수영장, 사우나, 골프 연습장, 학교 등 다수의 사용자가 이용하는 시설들에서는 여러 가지 형태의 사물함(라커)이 운용되고 있다.
사물함들은 시설을 이용하는 다수의 불특정 사용자가 개인적인 물품을 보관하도록 설치되고, 이러한 사물함들에는 물품이 도난당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록킹장치가 설치된다.
이용자가 카운터에서 소정의 입실절차(사용료 지불)를 마치면 관리자가 이용자에게 키를 지급하고, 이용자는 지급받은 키로 배정받은 사물함을 열고 닫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이 흔하게 사용되며, 최근에는 이러한 열쇠자물쇠 시스템이 진보하면서 사물함 또한 전자시스템으로 전환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9828호에는 사용자가 카운터에서 소정의 입실절차(사용료 지불)를 마치면 관리자는 카운터 단말기를 통하여 관리 서버로부터 사용하지 않는 사물함을 검색하고 비어 있는 사물함의 지정과 동시에 자물쇠의 잠금을 해제하여 해당 사물함을 개방한다.
그리고 프린터를 통해 사용자에게 해당 사물함의 식별번호를 발행하여 사용자는 카운터에서 키를 지급받지 않더라도 지정해준 사물함을 사용할 수 있게 되며, 아울러 사물함을 사용하고 있을 때는 자물쇠와 키의 잠금이 해제됨으로 키를 소지할 수 있게 되는 구성을 개시한다.
한편, 가정이나 사무실에서는 각종 기밀서류나 귀중품 및 화폐를 안전하게 보관할 목적으로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갖는 금고가 사용된다.
금고는 수납된 서류나 귀중품 및 화폐가 외부인이나 방화로부터 안전하게 보호될 수 있도록 고강도이면서 열에 강한 금속이나 콘크리트 등 다양한 재질로 제작되며, 사용 목적의 특성상 외부인이 쉽게 들고 도주할 수 없도록 비교적 큰 하중으로 제작된다.
대여금고는 은행이나 증권회사 등의 금융기관에서 금고의 일부를 열쇠와 함께 빌려주는 형태로 유가증권, 귀금속, 중요서류 등을 보관하고, 고객 본인 이외에는 접근할 수 없도록 한다.
대여금고는 외곽 프레임 내부에 일정 크기로 분할된 복수 개의 수납 공간을 가지는 구조로, 대형의 금고비 안에 다수개의 대여금고가 설치되는 이중구조로 제작되며, 각각의 대여금고에 대한 개폐는 열쇠, 다이얼, 비밀번호에서 진일보하여 생체인식 기술의 발전에 따라 모든 사람이 독립된 특징을 갖는 정맥 패턴, 지문 패턴, 홍채 패턴, 각막 패턴, DNA정보, 얼굴 패턴 등을 포함하는 개인별 생체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고객을 식별하고, 그에 따라 도어의 개폐가 제어되도록 하는 장치들이 개발되어 제공되고 있다.
이러한 장치는 통상적으로 대여금고가 설치되는 특정의 공간 혹은 진입부에 하나의 주제어장치가 설치되고, 각각의 대여금고는 상기 주제어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2764호에는 등록된 고객의 생체특성과 현재 사용자의 생체특성을 비교하여 동일인물인지를 판단하여 인증패킷을 생성하는 생체특성인식기와; 상기 생체특성인식기로부터 전송된 인증패킷을 수신 해독하여 해당 금고문의 개방을 위한 전기신호를 송출하는 마이크로컨트롤러와; 상기 마이크로컨트롤러의 전기신호에 따라 동작되면서 금고문을 개폐하는 전자락 및 상기 전자락의 개폐상태와 함께 점등 혹은 소등되는 LED와; 상기 전자락이 부착된 다수의 대여금고를 포함하는 구성을 개시한다.
그런데 이와 같은 일대다 록킹 시스템에서 특히 대여금고인 경우에 주제어장치가 해킹을 당하는 경우, 외부에서 주제어장치를 임의로 조종하여 전자락에 금고문의 개방을 위한 전기신호를 송출함으로써 금고문이 비정상적으로 개방되어 대여금고에 저장된 귀중품을 도난당할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869828호(2008년11월14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512764호(2005년08월30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주제어장치에서 록킹장치의 잠금을 해제하기 위한 전기신호와 함께 주제어장치의 고유번호를 송출하여 록킹제어장치에서 고유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록킹장치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고 귀중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는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사용자가 대여금고의 용무를 마치고 퇴실버튼을 누르는 경우 록킹장치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여 금고비문을 열거나 도어 열림 경고멘트를 출력함으로써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는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록킹시스템은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하나의 주제어장치와, 다수 개폐함의 록킹장치를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록킹제어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개폐함 번호를 제공받아, 개폐함 번호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생산시 입력된 일련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개방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다수의 록킹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록킹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수신된 개방신호에 포함된 개폐함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를, 자체 저장하고 있는 개폐함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모두 일치하는 경우 록킹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록킹시스템의 잠금해제방법은,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하나의 주제어장치와, 다수 개폐함의 록킹장치를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록킹제어장치를 포함하는 일대다 록킹시스템의 잠금해제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b) 상기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개폐함 번호를 확인하여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단계.
(c)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개폐함 번호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생산시 입력된 일련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개방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다수의 록킹제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d) 상기 록킹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수신된 개방신호에 포함된 개폐함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를, 자체 저장하고 있는 개폐함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및
(e) 상기 록킹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개폐함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록킹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록킹시스템의 잠금해제방법은 금고비 외부에 제1생체인식기가 구비되고, 금고비 내부에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하나의 주제어장치와 다수의 대여금고 록킹장치를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록킹제어장치와 제2생체인식기가 구비되는 일대다 록킹시스템의 잠금해제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생체인식기에서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1번 인증하고 금고비문을 개방하는 단계,
(b') 상기 제2생체인식기에서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2번 인증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대여금고 번호를 확인하여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대여금고 번호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생산시 입력된 일련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개방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다수의 록킹제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록킹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수신된 개방신호에 포함된 대여금고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를, 자체 저장하고 있는 대여금고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f') 상기 록킹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여금고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록킹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및
(g')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금고비문이 열리지 않도록 잠그고 금고비 외부에 사용중임을 안내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한 과제의 해결 수단에 의하면, 주제어장치에서 록킹장치의 감금을 해제하기 위한 전기신호와 함께 주제어장치의 고유번호를 송출하여 록킹제어장치에서 고유번호가 일치하는 경우에만 록킹장치의 잠금을 해제함으로써 보안을 강화하고 귀중품의 도난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대여금고의 용무를 마치고 퇴실버튼을 누르는 경우 록킹장치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여 금고비문을 열거나 도어 열림 경고멘트를 출력하여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인증을 거쳐 금고비문을 열고 들어가 대여금고 도어를 개방한 후 다른 사용자가 인증을 거치더라도 금고비문이 열리지 않도록 하여 금고비 내에서 사용자가 불안감을 느끼지 않고 일 처리를 할 수 있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록킹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일대다 록킹시스템의 일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록킹시스템에서의 잠금해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일대다 록킹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록킹시스템에서의 잠금해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번호 및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일대다 록킹 시스템의 개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주제어장치(10)와, 다수의 사물함이나 대여금고에 각각 구비된 록킹장치(30)를 제어하기 위한 록킹제어장치(20)는 예를 들어 지그비(ZigBee)와 같은 무선 통신으로 연결되나, 본 발명이 이 지그비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여기서 주제어장치(10)는 마스터가 되고, 다수의 록킹제어장치(20)는 각각이 슬레이브가 되어 무선 통신한다.
상기 주제어장치(10)는 사물함이 설치되는 공간의 특정 위치 혹은 대여금고가 설치된 장소를 진입하는 출입문(금고비문) 주변에 설치되며, 사물함이나 대여금고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정 정보를 등록 저장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특정 정보는 얼굴, 지문과 같은 생체 정보, 비접촉식(RF) 카드의 IC 칩에 저장된 정보, 비밀번호 등을 포함한다.
주제어장치(10)는 사물함이나 대여금고를 사용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특정 정보를 읽어 기저장된 사용자의 특정 정보와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록킹제어장치(20)에 록킹장치(30)를 해제하기 위한 개방신호를 주제어장치(10)의 고유번호와 함께 무선으로 송신한다.
록킹제어장치(20)는 각 사물함이나 대여금고에 설치되어 주제어장치(10)와의 무선 통신으로 사물함이나 대여금고의 도어(40)를 개폐할 수 있도록 록킹장치(30)를 제어한다.
록킹제어장치(20)는 무선 통신으로 전송되는 주제어장치(10)의 개방신호에 따라 록킹제어장치(20)에 저장된 주제어장치의 고유번호와, 주제어장치(10)에서 개방신호와 함께 보내온 고유번호를 비교하여 일치하는 경우에 록킹장치(30)의 잠금을 해제하고, 실행 결과를 주제어장치(10)에 제공한다.
상기 주제어장치(10)에 있는 마이크로프로세서를 생산할 때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일련번호로 생산되기 때문에 외부로부터의 해킹 위험이 없고, 다른 주제어장치에서 개방신호를 무선 송신하는 경우 해당 록킹제어장치(20)는 고유번호가 일치하지 않기 때문에 록킹장치(30)의 잠금 상태를 유지한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일대다 록킹시스템의 일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예를 들어 사물함인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함인 경우 일대다 록킹시스템이 주제어장치(10), 록킹제어장치(20) 및 록킹장치(30)를 포함하는 것으로, 주제어장치(10)는 관리서버(11), RTC(12), 보안ID(13), 마이크로프로세서(14)), 디지털 입출력부(15), 음성처리부(17), 스피커(18), 무선통신모듈(16) 및 인증수단(19)을 구비하고, 록킹제어장치(20)는 표시부(21), LED(22), 마이크로프로세서(23), 개폐스위치(24), 전자키(25), 개폐센서(26), 무선통신모듈(27)을 구비하며, 록킹장치(30)는 잠금/해제 센서(31), 입출력 인터페이스(32), 모터드라이버(33) 및 도어록(34)을 구비한다.
관리서버(11)는 사물함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특정 정보(ID(번호) 및 이름 포함)를 사물함 번호와 대응되게 등록 저장하고, 인증수단(19)을 통해 사용자가 인증되면 인증된 사용자의 특정 정보를 토대로 관리서버(11)에 저장된 사용자의 사물함 번호를 확인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 제공한다.
상기 인증수단(19)은 예를 들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거나 비접촉식(RF) 카드의 IC 칩에 저장된 정보를 읽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인하여 자체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 IC 칩 정보, 비밀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고, 인증된 사용자의 특정 정보(사용자 ID 및 이름)과 함께 관리서버(11)에 제공한다.
또한, 관리서버(11)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 시각정보를 제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서 RTC(Real Time Clock)(12)의 시각을 조정함으로써 관리서버(11)와 마이크로프로세서(14) 간에 시각을 동기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보안ID(13)는 주제어장치(10)에 구비된 마이크로프로세서(14)의 고유번호를 시각화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사물함 번호 4자리를 주제어장치(10)에서 임의의 숫자 6자로 암호화하여 입력함으로써 1차로 보안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4)의 생산시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2차로 보안한다.
음성처리부(17)는 마이크로프로세서(10)의 제어에 의해 각 상황에 맞도록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18)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음량(볼륨) 조절이 가능하고 USB 또는 SD 메모리를 구비한다.
무선통신모듈(16)을 예를 들어 2.4GHz의 ISM 대역을 사용하는 지그비 모뎀으로 록킹제어장치(20)의 무선통신모듈(27)과 무선 통신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관리서버(11)와 연결되며, 주제어장치(10)의 각 구성부와 각 록킹제어장치(20)를 전반적으로 제어하여 일대다 록킹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입출력부(15)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14)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펌웨어 정보를 수정하거나 입력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록킹제어장치(20)의 표시부(21)는 예를 들어 4 digit FND로 이루어져 사물함 번호를 4자리 숫자로 표시한다.
LED(22)는 사물함 도어의 개폐를 점소등이나 점멸에 의해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어의 개방을 표시하는 적색 LED와 도어의 닫힘을 표시하는 청색 LED로 이루어진다.
개폐스위치(24)는 록킹장치(30)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물함의 도어를 열거나, 열린 상태에서 도어를 닫는 스위치이다.
전자키(25)는 록킹장치(30)의 잠금을 보조적으로 해제하거나 보조적으로 잠그기 위한 수단이다.
개폐센서(26)는 사물함의 도어가 개방 상태인지 닫힘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센서이다.
무선통신모듈(27)은 예를 들어 2.4GHz의 ISM 대역을 사용하는 지그비 모뎀으로 주제어장치(10)의 무선통신모듈(16)과 무선 통신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록킹제어장치(20)의 각 구성부와 해당 록킹장치(30)를 제어하여 사물함의 도어를 개폐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장치(10)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록킹장치(30)의 잠금/해제센서(31)는 록킹장치(30)가 잠금 상태인지 또는 해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32)를 통해 록킹제어장치(20)에 제공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2)는 록킹제어장치(20)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담당한다.
모터드라이버(33)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2)를 통한 록킹제어장치(20)의 제어에 따라 도어록(34)을 구동하여 잠금을 해제한다.
도어록(34)은 실질적으로 사물함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한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록킹시스템에서의 잠금해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등록모드에서 주제어장치(10)에서 사물함 번호를 등록하거나 취소하고, 관리서버(11)에 저장한다.
또한, 인증수단(19)을 이용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거나 비접촉식(RF) 카드의 IC 칩에 저장된 정보를 읽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등의 방식으로 사용자의 특정 정보를 ID(번호) 및 이름 등과 함께 자체 등록하고, 관리서버(11)에 제공하여 사물함 번호와 함께 등록 저장한다(S302).
즉, 인증수단(19)에서는 사용자의 특정 정보(ID 및 이름 포함)만 등록하여 차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관리서버(11)는 인증된 사용자의 특정 정보를 이용해 사물함 번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인증모드에서 인증수단(19)을 이용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거나 비접촉식(RF) 카드의 IC 칩에 저장된 정보를 읽거나, 사용자가 입력한 비밀번호를 확인하는 방식으로 사용자의 특정 정보를 획득하여 자체 등록한 사용자 특정 정보와 비교해서 사용자를 인증한다(S304).
인증수단(19)은 사용자 인증 후 인증된 사용자의 특정 정보를 관리서버(11)에 제공하고, 관리서버(11)는 사용자의 특정 정보를 이용해 사물함 번호를 확인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4)에 제공한다(S306).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개방신호에 사물함 번호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암호화된 6자리 번호와 자신의 고유번호를 실어 무선통신모듈(16)을 통해 록킹제어장치(20)의 무선통신모듈(27)에 전송한다(S308).
록킹제어장치(20)의 마이크프로세서(23)는 무선통신모듈(27)을 통해 수신한 개방신호에 포함된 암호화된 6자리 번호를 풀어 자신의 사물함 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또 개방신호에 포함된 주제어장치(20)의 고유번호를 자체 저장하고 있는 주제어장치의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S310).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사물함 번호와 주제어장치의 고유번호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만 록킹장치(30)의 모터드라이버(33)를 구동하여 도어록(34)의 잠금을 해제하고 청색 LED를 점멸한다(S312).
상기 청색 LED의 점멸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사물함 위치를 눈으로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록킹장치(30)의 잠금/해제 센서(31)를 통해 이를 확인하여 주제어장치(10)에 무선 송신하고, 주제어장치(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스피커(18)를 통해 '고객님의 사물함 도어의 록킹장치가 해제되었습니다. 사물함 도어의 개폐스위치를 눌러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같은 안내멘트를 출력한다.
상기 안내멘트에 따라 사용자가 자신의 사물함 도어에 설치된 개폐스위치(24)를 누르면 사물함 도어가 개방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청색 LED를 소등하면서 적색 LED를 점등한다(S314).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개폐센서(26)를 통해 이를 확인하여 주제어장치(10)에 무선 송신하고, 주제어장치(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스피커(18)를 통해 '고객님의 사물함 도어가 열렸습니다' 같은 안내 멘트를 출력한다.
또한, 해당 사물함 도어의 열림 사실을 주제어장치(10)의 관리서버(11)에 전달하고, 관리서버(11)는 사물함 도어 열림 이벤트로그를 발생한다.
사물함 도어가 열리고 업무를 본 후 사용자가 개폐스위치(24)를 누르면 사물함 도어가 닫히면서 록킹장치(30)의 도어록(34)이 다시 잠기게 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적색 LED를 소등하면서 청색 LED를 점등한다(S316).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3)는 개폐센서(26)를 통해 이를 확인하여 주제어장치(10)에 무선 송신하고, 주제어장치(10)의 마이크로프로세서(14)는 스피커(18)를 통해 '고객님의 사물함 도어가 잠겼습니다. 사물함 도어가 닫혔는지 정확하게 확인하세요' 같은 안내멘트를 출력한다.
또한, 해당 사물함 도어의 닫힘 사실을 주제어장치의 관리서버(11)에 전달하고, 관리서버(11)는 사물함 도어 닫힘 이벤트로그를 발생한다.
이를 통해 관리서버(11)의 로그는 해당 사물함 도어의 개방시간과 닫힘시간이 저장되고 표시된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낸 일대다 록킹시스템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로서, 예를 들어 대여금여인 경우의 구성도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여금고인 경우 일대다 록킹시스템이 주제어장치(10a), 록킹제어장치(20a), 록킹장치(30a) 및 2개의 얼굴인식기(50a,50b)를 포함하는 것으로, 주제어장치(10a)는 관리서버(11a), RTC(12a), 보안ID(13a), 마이크로프로세서(14a), 디지털 입출력부(15a), 음성처리부(17a), 스피커(18a), 무선통신모듈(16a) 및 DC PLC모듈(19a)을 구비하고, 록킹제어장치(20a)는 표시부(21a), LED(22a), 마이크로프로세서(23a), 개폐스위치(24a), 전자키(25a), 개폐센서(26a), 무선통신모듈(27a), NFC 모듈(28a) 및 DC PLC 모듈(29a)을 구비하며, 록킹장치(30a)는 잠금/해제 센서(31a), 입출력 인터페이스(32a), 모터드라이버(33a) 및 도어록(34a)을 구비한다.
여기서 얼굴인식기(50a,50b)는 생체인식기의 한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하나의 얼굴인식기(제1얼굴인식기)(50a)는 금고비 밖에 설치되어 금고비문(60)의 개폐에 이용되고, 다른 하나의 얼굴인식기(제2얼굴인식기)(50a)는 금고비 안에 설치되어 대여금고 도어의 개폐에 이용된다.
제1얼굴인식기(50a)를 이용하여 얻은 사용자의 얼굴정보와 신상정보로 사용자를 등록하되, 사용자를 대여금고 고객과 대여금고 고객이 아닌 경우(청소원이나 대여금고 관리자)로 구분하여 대여금고 고객인 경우에 대여금고를 부여하고 고객이 아닌 경우 대여금고를 부여하지 않는다.
여기서 얼굴정보는 사용자 얼굴의 18가지 패턴의 탬플릿을 추출한 정보이다.
또한, 제1얼굴인식기(50a)는 대여금고 고객인 경우 제2얼굴인식기(50b)에 사용자 특정 정보(얼굴정보와 신상정보)를 전송하여 2번의 등록절차를 거치지 않도록 한다.
제2얼굴인식기(50b)에 등록된 사용자(대여금고 고객) 정보는 이더넷 랜을 통해 관리서버(11a)에 전송된다.
관리서버(11a)는 사용자 정보를 대여금고 번호와 대응되게 등록 저장하고, 제2얼굴인식기(50b)를 통해 사용자가 인증되면 인증된 사용자의 얼굴 정보를 토대로 관리서버에 저장된 사용자의 대여금고 번호를 확인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4a)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정보가 일단 관리서버(11a)에 등록 저장하고 나면 사용자 인증을 거치지 않고는 대여금고 관리자라도 대여금고 도어를 임의로 열 수 없고, 대여금고 번호를 임의로 변경할 수 없으며, 또한, 사용자의 개인정보 및 계약사항 등의 수정, 해지, 사용중지 등을 할 수 없다.
또한, 관리서버(11a)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a)에 시각정보를 제공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4a)에서 RTC(Real Time Clock)(12a)의 시각을 조정함으로써 관리서버(11a)와 마이크로프로세서(14a) 간에 시각을 동기화할 수 있도록 한다.
보안ID(13a)는 주제어장치(10a)에 구비된 마이크로프로세서(14a)의 고유번호를 시각화한 것이다.
즉, 본 발명에서는 예를 들어 대여금고 번호 4자리를 주제어장치(10a)에서 임의의 숫자 6자로 암호화하여 입력함으로써 1차로 보안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4a)의 생산시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를 입력하여 2차로 보안한다.
음성처리부(17a)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a)의 제어에 의해 각 상황에 맞도록 음성신호를 처리하여 스피커(18a)를 통해 출력할 수 있도록 하며, 음량(볼륨) 조절이 가능하고 USB 또는 SD 메모리를 구비한다.
무선통신모듈(16a)은 예를 들어 2.4GHz의 ISM 대역을 사용하는 지그비 모뎀으로 록킹제어장치(20a)의 무선통신모듈(27a)과 무선 통신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14a)는 관리서버(14a) 및 얼굴인식기(50a,50b)와 이더넷 랜을 통해 연결되며, 주제어장치(10a)의 각 구성부와 각 록킹제어장치(20a)를 제어하여 일대다 록킹 시스템을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디지털 입출력부(15a)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a)에 디지털 신호를 입력하거나 마이크로프로세서(14a)로부터의 디지털 신호를 출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펌웨어 정보를 수정하거나 입력하는 경우에 이용된다.
여기에 록킹제어장치(20a)의 DC 전력선통신(PLC)모듈(29a)과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DC PLC모듈(19a)을 더 구비한다.
이 DC PLC모듈(19a)은 특정 단자함 내부의 DC 전력선을 통해서만 통신하므로 신호나 데이터가 단자함 외부로 유출되지 않아 해킹의 위험성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프로세서(14a)는 결국 관리서버(11a) 및 얼굴인식기(50a,50b)와는 이더넷 랜을 통해 연결되고, 록킹제어장치(20a)와는 무선통신모듈(16a)이나 DC PLC모듈(19a)을 통해 연결된다.
록킹제어장치(20a)의 표시부(21a)는 예를 들어 4 digit FND로 이루어져 대여금고 번호를 4자리 숫자로 표시한다.
LED(22a)는 대여금고 도어의 개폐를 점소등이나 점멸에 의해 표시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도어의 개방을 표시하는 적색 LED와, 도어의 닫힘을 표시하는 청색 LED로 이루어진다.
개폐스위치(24a)는 록킹장치(20a)의 잠금이 해제된 상태에서 사물함의 도어를 열거나, 열린 상태에서 도어를 닫는 스위치이다.
개폐센서(26a)는 대여금고의 도어가 개방 상태인지 닫힘 상태인지를 감지한다.
무선통신모듈(27a)은 예를 들어 2.4GHz의 ISM 대역을 사용하는 지그비 모뎀으로, 주제어장치(10a)의 무선통신모듈(16a)과 무선 통신한다.
마이크로프로세서(24a)는 록킹제어장치(20a)의 각 구성부와 해당 록킹장치(30a)를 제어하여 대여금고의 도어를 개폐하고 그 결과를 주제어장치(10a)에 송신할 수 있도록 한다.
여기에 록킹제어장치(10a)의 DC PLC모듈(19a)과 유선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DC PLC모듈(29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록킹장치(30)의 잠금을 보조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해제수단으로 전자키(25a)나 NFC모듈(28a)을 더 구비할 수 있다.
즉, 상기 록킹제어장치(20a)의 마이크로프로세서(23a)는 주제어장치(10a)로부터 수신된 개방신호에 포함된 정보가 일치하는 경우에 록킹장치(30a)의 잠금을 1차로 해제하여 1차 해제 상태를 유지하고, 전자키(25a)나 NFC모듈(28a)을 이용해 최종적으로 록킹장치(30a)의 잠금을 해제하여 대여금고 도어를 개방할 수도 있다.
록킹장치(30a)의 잠금/해제센서(31a)는 록킹장치(30a)가 잠금 상태인지 또는 해제 상태인지를 감지하여 입출력 인터페이스(32a)를 통해 록킹제어장치(20a)에 제공한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2a)는 록킹제어장치(20a)와의 데이터 입출력을 담당한다.
모터드라이버(33a)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2a)를 통한 록킹제어장치(20a)의 제어에 따라 도어록(34a)을 구동하여 잠금을 해제한다.
도어록(34a)은 실질적으로 대여금고 도어를 잠그거나 잠금을 해제한다.
도 5는 도 4에 나타낸 록킹시스템에서의 잠금해제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등록모드에서 주제어장치(10a)에서 대여금고 번호를 등록하거나 취소하고, 이를 관리서버(11a)에 제공한다.
또한, 제1얼굴인식기(50a)를 통해 얻은 사용자(대여금고 고객 및 대여금고 비고객 포함)의 얼굴정보와 신상정보를 자체 등록하고, 대여금고 고객인 경우 제2얼굴인식기(50b)에 전송하여 제2얼굴인식기에 이를 자체 등록할 수 있도록 하며, 이를 관리서버(11a)에 제공하여 대여금고 번호와 함께 등록 저장한다(S502).
즉, 제2얼국인식기(50b)에서는 사용자의 얼굴정보와 신상정보를 등록하여 차후 사용자 인증을 수행하고, 관리서버(11a)는 인증된 사용자 정보를 이용해 대여금고 번호를 마이크로프로세서(14a)에 제공한다.
이와 같이 사용자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인증모드에서 제1얼굴인식기(50a)를 이용해 사용자의 얼굴을 인식하여 얻은 사용자의 얼굴정보를 자체 등록한 사용자 얼굴정보와 비교해서 사용자를 1번 인증한다(S504).
이때 등록된 사용자가 아닌 경우 인증실패라는 메시지를 출력한다.
인증이 성공한 경우에 인증과 동시에 금고비문(60)을 개방하고(S506) 이 사실을 제1얼굴인식기(50a)에서 이더넷 랜을 통해 관리서버(11a)에 제공하여 사용자 입실 이벤트로그를 발생하며, 관리서버(11a)는 마이크로프로세서(14a)에 사용자 입실 정보를 전달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금고비 안으로 입실하고 마이크로프로세서(14a)에서는 사용자가 대여금고 고객인 경우 스피커(18a)를 통해 '제2얼굴인식기에서 사용자 본인 인증을 진행해주세요' 같은 사용자 2차 인증요청 안내멘트를 출력한다.
제2언굴인식기(50b)를 이용해 사용자(대여금고 고객)의 얼굴을 인식하여 얻은 사용자의 얼굴정보를 자체 등록한 사용자 얼굴정보와 비교해서 사용자를 2번 인증한다(S508).
제2얼굴인식기(50b)는 사용자 인증 후 인증된 사용자의 얼굴정보를 이더넷 랜을 통해 관리서버(11a)에 제공하고, 관리서버(11a)는 사용자의 얼굴정보를 이용해 대여금고 번호를 확인하여 마이크로프로세서(14a)에 제공한다(S510).
마이크로프로세서(14a)는 개방신호에, 대여금고 번호에 대응하는 예를 들어 암호화된 6자리 번호와, 자신의 고유번호를 실어 무선통신모듈(16a)(또는 DC PLC모듈(19a))을 통해 록킹제어장치(20a)의 무선통신모듈(27a)(또는 DC PLC모듈(29a)에 전송한다(S512).
록킹제어장치(20a)의 마이크로프로세서(23a)는 무선통신모듈(27a)(또는 DC PLC모듈(29a))을 통해 수신한 개방신호에 포함된 암호화된 6자리 번호를 풀어 자신의 대여금고 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고, 또 개방신호에 포함된 주제어장치의 고유번호가 자체 저장하고 있는 주제어장치의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한다(S514).
마이크로프로세서(23a)는 대여금고 번호와 주제어장치의 고유번호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에 록킹장치(30a)의 모터드라이버(33a)를 구동하여 도어록(34a)의 잠금을 해제하고 청색 LED를 점멸한다(S516).
상기 청색 LED의 점멸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의 대여금고 위치를 눈으로 금방 확인할 수 있다.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3a)는 록킹장치(30a)의 잠금/해제 센서(31a)를 통해 이를 확인하여 주제어장치(10a)에 송신하고, 주제어장치(10a)의 마이크로프로세서(14a)는 스피커(18a)를 통해 '고객님의 대여금고 도어의 록킹장치가 해제되었습니다. 대여금고 도어의 개폐 스위치를 눌러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같은 안내멘트를 출력한다.
상기 잠금장치 해제후 금고비문(60)은 자동으로 잠겨 열리지 않게 되고 금고비 외부에는 LED 등을 이용하여 사용중임을 알린다.
상기 안내멘트에 따라 도어에 설치된 개폐스위치(24a)를 누르면 대여금고 도어가 개방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3a)는 청색 LED를 소등하면서 적색 LED를 점등한다(S518).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3a)는 개폐센서(26a)를 통해 이를 확인하여 주제어장치(10a))에 송신하고, 주제어장치(10a)의 마이크로프로세서(14a)는 스피커(18a)를 통해 '고객님의 대여금고 도어가 열렸습니다' 같은 안내멘트를 출력한다.
또한, 해당 대여금고 도어의 열림 사실을 관리서버(11a)에 제공하고, 관리서버(11a)는 대여금고 도어 열림 이벤트로그를 발생한다.
록킹제어장치(20a)의 마이크로프로세서(23a)는 대여금고 도어가 열린 후 개폐센서(26a)를 통해 대여금고 도어가 닫히는지 감지하여 이를 무선 통신 또는 DC PLC통신으로 주제어장치(10a)에 전송하고, 주제어장치(10a)의 마이크로프로세서(14a)는 대여금고가 열린 후 제한시간(예를 들어 20분)까지 대여금고 도어가 닫히는지 확인하여(S520), 제한시간이 경과한 후까지 대여금고 도어가 닫히지 않는 경우 '다음 사용자를 위하여, 빠른 시간내 업무를 종료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같은 경고멘트를 스피커(18a)를 통해 출력한다(S530).
대여금고 도어가 열리고 업무를 본 후 사용자가 개폐스위치(24a)를 누르면 대여금고 도어가 닫히고 록킹장치(30a)의 도어록(34a)이 다시 잠기게 되고, 마이크로프로세서(23a)는 적색 LED를 소등하면서 청색 LED를 점등한다(S522).
이때 마이크로프로세서(23a)는 개폐센서(26a)를 통해 이를 확인하여 주제어장치(10a)에 무선 또는 유선 송신하고, 주제어장치(10a)의 마이크로프로세서(14a)는 스피커(18a)를 통해 '고객님의 대여금고 도어가 잠겼습니다. 대여금고 도어가 닫혔는지 정확하게 확인하세요' 같은 안내멘트를 출력한다.
또한, 해당 대여금고 도어의 닫힘 사실을 무선 통신 또는 DC PLC통신으로 관리서버(11a)에 제공하고, 관리서버(11a)는 대여금고 도어 닫힘 이벤트로그를 발생한다.
상기 대여금고가 닫힌 후 사용자가 금고비에서 퇴실하기 위해 퇴실버튼(62)을 누른 경우(S523) 주제어장치(10a)의 마이크로프로세서(14a)는 록킹제어장치(20a)의 개폐선서(26a)를 통해 대여금고 도어의 개폐 상태를 확인하여(S524), 도어가 열려있는 경우 '고객님의 대여금고 도어가 열려있습니다. 대여금고 도어를 정확하게 닫은 후 퇴실버튼을 눌러 주시기 바랍니다.' 같은 도어 열림 경고멘트를 스피커(18a)를 통해 출력한다(S540).
즉, 대여금고가 열린 상태에서 퇴실버튼(62)을 누르는 경우 금고비문(60)을 개방하지 않고 도어 열림 경고멘트를 출력하여 사용자로 하여금 대여금고 도어를 완전히 닫을 수 있도록 한다.
대여금고가 완전히 닫힌 상태에서 퇴실버튼(62)을 누른 경우 마이크로프로세서(14a)에서 '안녕히 가십시오' 같은 안내멘트를 스피커(18a)를 통해 출력하고 금고비문(60)을 개방한다(S526).
이때 금고비문(60)에서는 관리서버(11a)에 제공하여 관리서버(11a)에서는 금고비 퇴실 이벤트로그를 발생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대여금고 고객인 경우에는 금고비 입실시간, 대여금고 열림 시간, 대여금고 닫힘 시간, 금고비 퇴실시간이 이벤트로그 현황에 시간대별로 저장되고, 대여금고 고객이 아닌 경우에는 금고비 입실시간과 금고비 퇴실시간이 이벤트로그 현황에 시간대별로 저장된다.
한편, 상기 S514단계에서 개방신호 정보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S516단계에서 록킹장치의 잠금을 1차 해제하여 1차 해제상태를 유지토록 한 후, S518단계에서 전자키(25a)나 NFC모듈(28a)을 이용하여 최종적으로 대여금고 도어를 개방하게 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한 기술 사상을 첨부 도면과 함께 서술하였지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지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모방이 가능함은 명백한 사실이다.
10,10a: 주제어장치 20,20a: 록킹제어장치
30,30a: 록킹장치 40: 도어
50a,50b: 얼굴인식기 60: 금고비문

Claims (10)

  1.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하나의 주제어장치와, 금고비 내부의 대여금고인 다수 개폐함의 록킹장치를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록킹제어장치와, 상기 금고비 외측과 내측에 구비된 제1생체인식기와 제2생체인식기를 포함하되,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사용자 인증을 수행한 후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여 관리서버로부터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개폐함 번호를 제공받아, 개폐함 번호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생산시 입력된 일련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개방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다수의 록킹제어장치에 전송하고,
    상기 록킹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수신된 개방신호에 포함된 개폐함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를, 자체 저장하고 있는 개폐함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여, 모두 일치하는 경우 록킹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며,
    상기 제1생체인식기는 상기 금고비 외측에 설치되어 금고비문의 개폐에 이용되고, 상기 제2생체인식기는 상기 금고비 내측에 설치되어 대여금고 도어의 개폐에 이용되며,
    상기 제1생체인식기에서는 사용자의 얼굴정보와 신상정보로 사용자를 등록하되, 사용자를 대여금고 고객과 대여금고 비고객으로 구분하여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고, 상기 제2생체인식기에서는 상기 제1생체인식기로부터 제공받은 대여금고 고객의 사용자 정보를 등록하며, 상기 제2생체인식기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는 대여금고 번호에 대응되도록 상기 관리서버에 저장되어 사용자 인증시에만 수정되며,
    상기 제2생체인식기에서는 등록된 사용자 정보와, 상기 제1생체인식기에서 인증된 대여금고 고객의 사용자 정보를 비교하여 사용자를 인증하며,
    사용자가 상기 금고비에서 퇴실하기 위해 퇴실 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상기 개폐함의 도어 개폐 상태를 확인하여 대여금고 도어가 개방상태인 경우 금고비문을 개방하지 않고 도어 열림을 경고하고, 대여금고 도어가 닫힘 상태인 경우 금고비문을 개방하며,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는 대여금고 도어가 열린 후 제한시간까지 닫히는지 확인하여 제한시간이 경과한 후까지 대여금고 도어가 닫히지 않는 경우 경고멘트를 출력시키는 일대다 록킹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생체인식기는 사용자 등록시 사용자가 대여금고 고객인 경우 제1생체인식기에 등록된 사용자 정보를 제2생체인식기에 전달하는 일대다 록킹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와 록킹제어장치는 직류 전력선통신을 할 수 있도록 DC PLC모듈을 각각 더 구비하는 일대다 록킹시스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여금고 도어가 열리는 경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 금고비문을 자동으로 잠그고 금고비 외부에 사용중임을 LED로 안내 표시하는 일대다 록킹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제어장치에는 록킹장치의 잠금을 보조적으로 해제하기 위한 해제수단으로 전자키나 NFC모듈을 더 구비하는 일대다 록킹시스템.
  8. 삭제
  9. 금고비 외부에 제1생체인식기가 구비되고, 금고비 내부에 관리서버를 포함하는 하나의 주제어장치와 다수의 대여금고 록킹장치를 각각 제어하는 다수의 록킹제어장치와 제2생체인식기가 구비되는 일대다 록킹시스템의 잠금해제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제1생체인식기에서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1번 인증하고 금고비문을 개방하는 단계,
    (b') 상기 제2생체인식기에서 사용자의 생체 인식을 통해 사용자를 2번 인증하고, 인증이 완료된 사용자 정보를 관리서버에 전송하는 단계,
    (c') 상기 관리서버에서 사용자 정보에 대응하는 대여금고 번호를 확인하여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제공하는 단계,
    (d')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대여금고 번호와 마이크로프로세서 생산시 입력된 일련의 고유번호를 포함하는 개방신호를 무선 통신으로 다수의 록킹제어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e') 상기 록킹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수신된 개방신호에 포함된 대여금고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를, 자체 저장하고 있는 대여금고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와 일치하는지 비교하는 단계,
    (f') 상기 록킹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 대여금고 번호 및 마이크로프로세서 고유번호가 모두 일치하는 경우 록킹장치의 잠금을 해제하는 단계 및
    (g')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금고비문이 열리지 않도록 잠그고 금고비 외부에 사용중임을 안내하는 단계,
    (h')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상기 대여금고 도어가 열린 후 제한시간까지 닫히는지 확인하여 제한시간이 경과한 후까지 상기 대여금고 도어가 닫히지 않는 경우 경고멘트를 출력시키는 단계, 및
    (i') 사용자가 대여금고 업무를 본 후 금고비에서 퇴실하기 위해 퇴실버튼을 누르는 경우 상기 주제어장치의 마이크로프로세서에서 해당 사용자 대여금고의 도어 개폐 상태를 확인하여, 상기 대여금고 도어가 개방 상태인 경우 금고비문을 개방하지 않고 도어 열림 경고멘트를 출력하고, 상기 대여금고 도어가 닫힘 상태인 경우 금고비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일대다 록킹시스템의 잠금해제방법.
  10. 삭제
KR1020140070617A 2014-06-11 2014-06-11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 KR1016425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17A KR101642566B1 (ko) 2014-06-11 2014-06-11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70617A KR101642566B1 (ko) 2014-06-11 2014-06-11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30A KR20150142730A (ko) 2015-12-23
KR101642566B1 true KR101642566B1 (ko) 2016-07-26

Family

ID=55082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70617A KR101642566B1 (ko) 2014-06-11 2014-06-11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56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93982B (zh) * 2022-08-10 2024-04-26 湖北第二师范学院 一种基于互联网支持的数字平台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060A (ja) * 2001-12-28 2003-09-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子キー、電子錠装置、電子鍵システム、鍵管理サーバ
JP2014027920A (ja) * 2012-06-27 2014-02-13 Microchip Japan Inc ペット等の個体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マイクロチッ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2764B1 (ko) 2002-12-27 2005-09-07 주식회사 신진금고 생체인식 기술을 이용한 대여금고
KR100869828B1 (ko) 2007-04-10 2008-11-21 (주)씨엔에스디지텍 대중이용시설 출입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022789B1 (ko) * 2008-09-03 2011-03-17 인우시스템 주식회사 대여금고 관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62060A (ja) * 2001-12-28 2003-09-19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電子キー、電子錠装置、電子鍵システム、鍵管理サーバ
JP2014027920A (ja) * 2012-06-27 2014-02-13 Microchip Japan Inc ペット等の個体の情報管理システム及びマイクロチ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42730A (ko) 2015-12-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50075232A1 (en) Secure smartphone-operated locking device
CN105205888A (zh) 具有密码锁的保全系统
CN108712389A (zh) 一种智能锁系统
KR102261462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 도어락을 이용한 출입문 보안 관리 시스템
JP2010112002A (ja) 認証装置および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
CN110111464A (zh) 一种单按键控制器门禁安全系统
JP5697767B1 (ja) 貴重品保管装置
KR101642566B1 (ko) 일대다 록킹시스템 및 그 잠금해제방법
WO2017122912A1 (ko) 차량용 콘솔박스 로킹시스템
JP2014015774A (ja) 鍵管理装置及び鍵管理システム
JP4669693B2 (ja) 入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入場管理方法
TWI452204B (zh) 多重安全管制保全系統與保全訊息處理方法
WO2014057513A1 (ja) 貴重品保管装置
JP2014105437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JP2008248651A (ja) ロッカー装置
TWM491703U (zh) 具有密碼鎖的保全系統
KR200315859Y1 (ko) 출입통제 관리시스템
JP2011179222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
KR102348441B1 (ko) 지문 인식 기능과 모션 인식 기능을 구비한 디지털 도어록 시스템
JP7323983B2 (ja) オートロック解錠装置
JP2009035866A (ja) 電気錠施解錠システム
KR100515688B1 (ko) 디지털 도어록 제어 방법
WO2014006748A1 (ja) 錠制御システム
KR101505880B1 (ko) 홈 네트워크의 도어 록 제어 시스템
KR20080092546A (ko) 출입자 관리형 전자 도어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