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2399B1 - 블러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블러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2399B1
KR101642399B1 KR1020090028132A KR20090028132A KR101642399B1 KR 101642399 B1 KR101642399 B1 KR 101642399B1 KR 1020090028132 A KR1020090028132 A KR 1020090028132A KR 20090028132 A KR20090028132 A KR 20090028132A KR 101642399 B1 KR101642399 B1 KR 1016423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valuation
blurring
values
area
degre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28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09722A (ko
Inventor
송원석
김종선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90028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642399B1/ko
Publication of KR201001097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097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23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23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646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image enhancement, e.g. vertical detail restoration, cross-colour elimination, contour correction, chrominance trapping fil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14Picture signal circuitry for video frequency region
    • H04N5/21Circuitry for suppressing or minimising disturbance, e.g. moiré or hal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9/7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for obtaining special effec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Image Analysis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잡티 또는 주름을 포함하는 얼굴 영상의 블러링(blurring) 처리에 있어서 블러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기준 영역 및 평가 영역을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에 소정 단계의 블러링(blurring)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블러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to evaluate blurring level amount and the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잡티 또는 주름을 포함하는 얼굴 영상의 블러링(blurring) 처리에 있어서 블러링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이미지 센서로 CCD(charge coupled device)나 CMOS(complementary metal-oxide semiconductor)를 사용하고 있다. 이들 센서는 사람의 눈과 차이가 있어서, 작고 희미한 반점이나 기미 등이 매우 강조되어 촬영된다. 또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피사체 피부의 작은 색상 차이도 강조되어 나타나게 되어, 영상 출력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한다.
최근,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이와 같은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영상 촬영 시 특정 모드에서 얼굴의 거친 부분(잡티, 주름 등)을 부드럽게 블러링하는 뷰티 처리 모드를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뷰티 처리 모드가 효과적으로 수행되었는지 여부를 종래에는, 원본 영상과 뷰티 처리 모드가 적용되어 촬영된 영상을 육안으로 비교하여 평가하였기 때문에, 평가 결과가 주관적이라는 문제가 있다. 특히, 이러한 뷰티 처리 모드를 개발하는 개발자의 입장에서, 여러 단계의 블러링 처리에 대한 정량적 평가 데이터를 획득하는 것은 측정의 신뢰성을 높이는 문제이기 때문에, 이와 같은 블러링 처리의 정량적 측정 방법에 대한 요구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 및 그 밖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블러링 처리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기준 영역 및 평가 영역을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에 소정 단계의 블러링(blurring)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평가 영역은 잡티 또는 주름의 변화 정도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평가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원본 얼굴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블러링 단계에 따라 상기 원본 얼굴 영상을 블러링 처리하는 블러링 처리부; 및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역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제어부는, 기준 영역의 R, G, B 값 의 범위에, 상기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평가 대상이 블러링 처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저장부는 원본 얼굴 영상을 포함하는 원본 배경 영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본 배경 영상은 수평 및 수직 해상력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해상력 차트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블러링 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블러링 단계에 따라 상기 원본 얼굴 영상 및 상기 배경 영상을 블러링 처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상력 차트로부터 배경 영상의 블러링 정도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a) 기준 영역 및 평가 영역을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에 소정 단계의 블러링(blurring)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b)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역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의 평가 영역은 잡티 또는 주름의 변화 정도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평가 대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b) 단계는,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에, 상기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평가 대상이 블러링 처리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a)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블러링 단계에 따라, 상기 원본 얼굴 영상을 포함하는 원본 배경 영상을 블러링 처리하고, (c) 배경 영상의 블러링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의하면, 상기 원본 배경 영상은 수평 및 수직 해상력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해상력 차트가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상력 차트로부터 배경 영상의 블러링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역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정량적으로 객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3)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전원 버튼(13)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로서, 광각-줌 버튼(21w), 망원-줌 버튼(21t), 디스플레이부(23) 및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입력 버튼들(B1~B14)(이하 버튼들(B1~B14)이라 표기함)을 구비한다.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2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2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B14)은 터치 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접점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 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틀(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 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 입력부(31), 촬상부(33), 영상 처리부(35), 저장부(3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 릴리즈 버튼(1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21w) 및 망원-줌 버튼(21t)과, 문자 입력을 위해 디스플레이부(23) 주변의 가로 및 세로열에 구비된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버튼들 버튼들(B1~B14)이 있다.
촬상부(3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모터부, 조리개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자동 초점 모드에 있어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제어를 통하여 포커스 렌즈를 제어함에 의하여 포커스 모터가 구동된다. 이에 따라 포커스 렌즈가 맨 앞쪽에서 맨 뒤쪽으로 이동되며, 이 과정에서 화상 신호의 고주파 성분이 가장 많아지는 포커스 렌즈의 위치 예를 들어, 포커스 모터의 구동 스텝 수가 설정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온도변화에 민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3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3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영상 촬영 전에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블러링 단계(level)에 따라 잡티 또는 주름의 변화 정도를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을 블러링 처리하고,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에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평가 영역의 블러링 정도를 판단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저장부(39-1), 블러링 처리부(39-2) 및 제어부(39-3)를 포함한다.
블러링 처리의 일종인 얼굴 뷰티 처리 기능은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촬영된 인물 영상을 저장하기 전에 얼굴 보정 기능을 통하여 자동으로 잡티와 미백 효 과를 주는 기능이다.
저장부(39-1)는 잡티 또는 주름의 변화 정도를 포함하는 평가 영역과, 잡티 또는 주름을 포함하지 않는 영역인 기준 영역을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을 저장한다. 촬영 시에 매번 바뀌는 인물에 대해서 뷰티 처리를 위한 블러링 정도를 판단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기준이 되는 얼굴 영상이 필요하며, 이 얼굴 영상은 얼굴에 임의의 잡티 및 주름을 주어 블러링 효과를 살펴 볼 수 있게 된다.
도 4의 (a)에는 저장부(39-1)에 저장된, 기준 영역(R)과, 잡티 또는 주름을 포함하는 평가 영역(T1, T2)을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F0)을 표시하고 있다. 도 4b에는 잡티가, 도 4c에는 가로 및 세로 주름이 함께 표시된다. 도 4b 및 도 4c의 잡티와 주름은 모두 넘버링 되어 있으며, 숫자가 커질수록 색깔과 크기가 증가하도록 구성된다. 크기는 일정 픽셀 단위로 증가하며, 색깔은 기본적으로 분칠된 색을 기반으로 하여 R(red), G(green), B(blue) 각각의 값을 일정 단위로 감소하는 것으로 조금씩 진하게 하였다. 또한 주름은 가로와 세로에 대한 필터링 효과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분리하였다. 도 4에 도시된 원본 얼굴 영상(F0)은 일 실시 예로서 본 발명은 이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블러링 처리부(39-2)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블러링 레벨(보정 정도)에 따라 원본 얼굴 영상을 블러링 처리한다. 블러링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고주파 차단 필터(마스크)를 이용하는데, 이는 처리 대상의 영상 성분 중 저주파 성분을 유지하고 고주파 성분을 제거하는 필터를 이용하여 블러링 처리된 영상을 획득하는 것이 다. 블러링 필터를 일 예로 설명하자면, 블러링 필터는 평균필터로서, 9개의 픽셀을 평균하여 원본 대비 흐릿하게 보여진다. 윤곽선 부분의 고주파 성분이 차단되어 영상이 부드러워 지기 때문이다.
점은 얼굴의 특징이 되는 고주파 성분이기 때문에, 블러링 필터를 이용하여 이를 지운다고 한다면 얼굴의 모든 특징 즉, 눈, 코, 입 등 역시 사라지게 될 것이다. 그만큼 강력한 필터가 아니고서야 없앨 수 없게 된다. 결국 블러링 처리하여 얼굴을 보정한다는 것은 얼굴의 특징을 제외한 부분을 없애주는 방법이기 때문에 얼굴 색과 유사한 주근깨나 잡티 또는 주름 정도가 되어야 없앨 수 있다. 또한, 얼굴의 잡티를 없애고 잡티가 있던 자리는 원래의 얼굴 색으로 채우는 작업이 필요하다. 사람의 얼굴은 부분마다 색이 조금씩 다르며, 얼굴 배경색으로 인해 잡티나 주름이 제거되는 정도가 달라 보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평가하고자 하는 영상에서 주요 특징을 제거한 나머지 부분에 대해서 동일한 컬러를 맵핑하여 이와 같은 오류를 줄이도록 한다.
제어부(39-3)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블러링 레벨에 따라 블러링 처리부(39-2)의 동작을 제어하며,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역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한다.
도 5의 (a)는 원본 얼굴 영상이 소정 블러링 레벨로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F1)의 기준 영역(R')을 도시하고 있다. 비록 원본 얼굴 영상(F0)은 동일 피부색 으로 분칠되지만, 캡쳐된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F1)은 소정의 화이트 노이즈(white noise)가 추가된다. 따라서,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F1)의 기준 영역(R')의 R, G, B 값은 도 5의 (b)와 같이 소정의 가우시안(gaussian)분포를 가지게 된다. 상기 실시 예의 경우,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F1)의 기준 영역(R')의 R, G, B 값의 범위는 각각 [173, 188], [140, 154], 및 [92, 112]의 픽셀 범위를 이루고 있다.
도 6은 원본 얼굴 영상이 소정 블러링 레벨로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F1)의 평가 영역(T1', T2')의 영상 및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들을 도시하고 있다.
도 6의 (a)는 블러링 처리된 잡티의 변화 정도를 포함하는 평가 영역(T1')의 캡쳐된 영상, 및 세로로 두 번째 줄까지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도시하고 있다. 블러링 처리 전의 원본 얼굴 영상(F0)의 평가 영역의 영상(T1)과, 블러링 처리된 평가 영역의 영상(T1')을 육안으로만 블러링 처리의 정도를 평가하는 것은 개인별로 평가가 다를 수 있기 때문에, 그 평가 결과는 다분히 주관적일 수 있다. 그러나, 상기 R, G, B 데이터에 의하여,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이 모두 기준 영역(R')의 R, G, B 값의 범위인 [173, 188], [140, 154], [92, 112]의 픽셀 범위에 속하는 경우에 블러링 처리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한다면, 상기 데이터의 경우, 제일 첫 번째 줄의 세 번째까지에 해당하는 잡티는 해당 블러링 레벨에서 블러링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므로, 블러링 처리의 결과를 정량적으로 도출할 수 있다.
도 7의 (b)는 블러링 처리된 가로 주름의 변화 정도를 포함하는 평가 영 역(T2'-R)의 캡쳐된 영상 및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R, G, B 데이터에 의하면, 세 번째 가로 주름까지가 기준 영역(R')의 R, G, B 값의 범위인 [173, 188], [140, 154], [92, 112]의 픽셀 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세 개의 주름이 해당 블러링 레벨에서 블러링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즉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도 7의 (c)는 블러링 처리된 세로 주름의 변화 정도를 포함하는 평가 영역(T2'-C)의 캡쳐된 영상 및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도시하고 있다. 상기 R, G, B 데이터에 의하면, 세 번째 세로 주름까지가 기준 영역(R')의 R, G, B 값의 범위인 [173, 188], [140, 154], [92, 112]의 픽셀 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세 개의 주름이 해당 블러링 레벨에서 블러링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 즉 정량적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역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정량적으로 객관적으로 알려줄 수 있다.
도 7은 수평 및 수직 해상력 차트를 구비한 배경 영상에 얼굴 영상이 포함된 해상력 차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블러링 처리에 대한 정량적 평가에 대한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한다.
얼굴 영역만을 블러링 처리하는 경우에는 전술한 실시 예에 따르면, 얼굴 영역의 블러링 처리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그러나, 얼굴과 함께 배경 이 있는 영상을, 배경과 함께 얼굴을 블러링 처리하는 경우, 배경 영상에 대한 블러링 처리의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배경 영상 자체의 블러링 정도에 대한 정량적 평가는, 상기 해상력 차트(P)를 이용하여 수행한다. 즉, 해상력 차트(P)는 수평 해상력 지시자(PH) 및 수직 해상력 지시자(PV)를 구비하며, 상기 수평 및 수직 해상력 지시자(PH , PV) 내부에는 미세한 복수개의 해상력 비교 본(本)(t)을 포함한다. 상기 해상력 비교 본에 대한 해독력에 따라, 얼굴 영상 블러링처리 전과 후의, 상기 배경 영상의 블러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
이하,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동작 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기기 내의 주변 구성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저장부(39-1)에 저장된 원본 얼굴 영상을 불러온다(810단계). 상기 원본 얼굴 영상(F0)은 잡티 또는 주름을 포함하는 평가 영역(T1, T2) 및 이를 포함하지 않는 기준 영역(T1, T2)을 구비한다.
다음으로, 블러링 처리부(39-2)는 상기 원본 얼굴 영상(F0)을, 사용자가 원하는 소정 레벨로 블러링 처리를 수행한다(820단계).
제어부(39-3)는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F1)에 있어서, 잡티 또는 주름을 포함하지 않는 기준 영역(R')에 있어서, 화이트 노이즈의 영향하에 소정 가우시안 분포를 갖는 각 R, G, B 값의 범위를 도출한다(830단계). 또한, 제어부(39-3)는 잡티와 주름을 포함하는 평가 영역(T1', T2')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각 R, G, B 값을 도출한다(840단계).
상기와 같이 측정된 R, G, B 값을 이용하여, 평가 대상의 각 R, G, B 값이 모두 기준 영역(R')의 R, G, B 값의 범위에 속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850단계), 만약, 평가 대상의 각 R, G, B 값이 모두 기준 영역(R')의 R, G, B 값의 범위에 포함되는 경우는 해당 블러링 단계에서의 블러링 처리가 완료된 것으로(860단계), 그렇지 않을 경우에는 해당 블러링 단계에서의 블러링 처리가 완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한다(870단계).
상기 도면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로서 디지털 카메라가 예로써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은 디지털 카메라를 포함하여 캠코드, 카메라 모듈이 장착된 핸드폰, PDA 등 다양한 영상 처리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콤펙트 디지털 카메라뿐만 아니라 일안반사식(Single Lense Reflex: SLR) 카메라에도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기준 영역과, 잡티 또는 주름을 포함하는 평가 영역을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 및 기준 영역의 R, G, B 값에 대한 히스토그램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블러링 처리된 평가 영역의 각 평가 대상에 대한 R, G, B 값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수평 및 수직 해상력 차트를 구비한 배경 영상에 얼굴 영상이 포함된 해상력 차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흐름도이다.

Claims (11)

  1. 기준 영역 및 평가 영역을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에 소정 단계의 블러링(blurring)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 영역은 잡티 또는 주름의 변화 정도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평가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삭제
  3. 삭제
  4. 기준 영역 및 평가 영역을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에 소정 단계의 블러링(blurring) 처리를 수행하고, 상기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상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 수단은,
    상기 원본 얼굴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블러링 단계에 따라 상기 원본 얼굴 영상을 블러링 처리하는 블러링 처리부; 및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역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에, 상기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평가 대상이 블러링 처리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원본 얼굴 영상을 포함하는 원본 배경 영상을 더 포함하고,
    상기 원본 배경 영상은 수평 및 수직 해상력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해상력 차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러링 처리부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블러링 단계에 따라 상기 원본 얼굴 영상 및 상기 배경 영상을 블러링 처리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해상력 차트로부터 배경 영상의 블러링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7. (a) 기준 영역 및 평가 영역을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에 소정 단계의 블러링(blurring)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b)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역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의 평가 영역은 잡티 또는 주름의 변화 정도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평가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8. 삭제
  9. (a) 기준 영역 및 평가 영역을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에 소정 단계의 블러링(blurring)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b)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역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b) 단계는,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에, 상기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이 모두 포함되는 경우, 상기 평가 대상이 블러링 처리되었다고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10. (a) 기준 영역 및 평가 영역을 포함하는 원본 얼굴 영상에 소정 단계의 블러링(blurring)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 및
    (b) 블러링 처리된 얼굴 영역에 있어서, 기준 영역의 R, G, B 값의 범위와, 평가 영역에 포함된 각 평가 대상의 R, G, B 값을 비교하여, 상기 평가 영역의 블러링 처리된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 단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블러링 단계에 따라, 상기 원본 얼굴 영상을 포함하는 원본 배경 영상을 블러링 처리하고,
    (c) 배경 영상의 블러링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배경 영상은 수평 및 수직 해상력 정도를 판단할 수 있는 해상력 차트고, 상기 (c) 단계는 상기 해상력 차트로부터 배경 영상의 블러링 정도를 판단하는 단계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
KR1020090028132A 2009-04-01 2009-04-01 블러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016423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32A KR101642399B1 (ko) 2009-04-01 2009-04-01 블러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28132A KR101642399B1 (ko) 2009-04-01 2009-04-01 블러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722A KR20100109722A (ko) 2010-10-11
KR101642399B1 true KR101642399B1 (ko) 2016-08-10

Family

ID=431306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28132A KR101642399B1 (ko) 2009-04-01 2009-04-01 블러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239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36577B2 (en) * 2019-06-27 2023-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with blur estima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1416A (ja) 2004-10-21 2006-05-11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プリンタ
JP2007306259A (ja) 2006-05-10 2007-11-22 Sony Corp 設定画面表示制御装置、サーバー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印刷装置、撮像装置、表示装置、設定画面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2008060637A (ja) 2006-08-29 2008-03-13 Seiko Epson Corp 色補正プロファイル生成装置、色補正プロファイル生成方法及び色補正プロファイル生成プログラ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6938A (ko) * 2007-09-11 2009-03-16 삼성테크윈 주식회사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21416A (ja) 2004-10-21 2006-05-11 Fuji Photo Film Co Ltd 画像処理方法、装置及びプログラム並びにプリンタ
JP2007306259A (ja) 2006-05-10 2007-11-22 Sony Corp 設定画面表示制御装置、サーバー装置、画像処理システム、印刷装置、撮像装置、表示装置、設定画面表示制御方法、プログラム及びデータ構造
JP2008060637A (ja) 2006-08-29 2008-03-13 Seiko Epson Corp 色補正プロファイル生成装置、色補正プロファイル生成方法及び色補正プロファイル生成プログラ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09722A (ko) 2010-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1535B1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510098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의 배경흐림 효과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436839B1 (ko) 사람 수 체크를 이용한 셀프타이머 촬영 장치 및 방법
US20070237506A1 (en) Image blurring reduction
KR10147568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 영상 개선 장치 및 방법
JP3945115B2 (ja) デジタルカメラ、カメラボディ、撮像レンズおよび記録媒体
KR20090052677A (ko) 포커스 조정 장치 및 방법
KR101642399B1 (ko) 블러링 정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JP6060552B2 (ja)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
KR101427649B1 (ko)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6266877A (zh) 图像处理设备和方法、摄像设备和计算机可读介质
KR101467873B1 (ko) 손떨림 검출에 따른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421939B1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96335B1 (ko) 얼굴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4178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에 따른 포커스조정장치 및 방법
KR20100094201A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142765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 처리속도 조정 장치및 방법
KR10141132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후보정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1781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줌-인 장치 및방법
KR20100055941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 보정 정도를 미리 알려주는 장치 및 방법
KR101436835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광 역광 보정을 수행하기 위한데이터 결정 장치 및 방법
KR101456493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광 역광 보정 장치 및 방법
KR10142765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인물 촬영 장치 및 방법
JP2017143585A (ja) 撮像装置
KR101396338B1 (ko) 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동작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