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427649B1 -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427649B1
KR101427649B1 KR1020070106736A KR20070106736A KR101427649B1 KR 101427649 B1 KR101427649 B1 KR 101427649B1 KR 1020070106736 A KR1020070106736 A KR 1020070106736A KR 20070106736 A KR20070106736 A KR 20070106736A KR 101427649 B1 KR101427649 B1 KR 1014276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
image
digital
signal
princip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06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41164A (ko
Inventor
김은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06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27649B1/ko
Priority to US12/283,371 priority patent/US8488039B2/en
Priority to CN200810168599.4A priority patent/CN101420528B/zh
Publication of KR20090041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41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276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2764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 H04N23/633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by using electronic viewfinders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relating to control or operation of the camer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1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different wavelengt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23/84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 H04N23/843Demosaicing, e.g. interpolating colour pixel valu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64Circuits for processing colour sign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mage Processing (AREA)
  • Color Image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산출 및 디스플레이하고,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한다.
Figure R1020070106736
색상 정보 테이블,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 색상 분포도, 색상 변경

Description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Digital image processing appratus and method displaying distribution chart of color}
본 발명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산출 및 디스플레이하고,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는 영상 촬영 시에, 사람의 눈에 보이는 것과 동일하게 보이는 것에 초점을 맞추어 화이트 밸런스를 조정한다든지, 또는 사용자가 지정한 색으로 영상의 색상을 조정하여 원하는 영상을 얻고 있다.
유명한 명화, 유명한 사진 등의 색상은 배색이 잘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보는 사람으로 하여금 조화를 느끼게 해준다. 그러나 일반적으로는 색상에 대한 지식이 없는 사용자가 많고, 또한 색상에 대한 지식이 있다 하더라도, 현재 촬영하려는 라이브뷰 영상 화면이 조화로운 색상 분포를 가지고 있지 않은 경우, 색상 배색이 조화로운 영상을 촬영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산출하여 영상의 일부에 표시하는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인 과제는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색상 분포도 및 그와 관련된 최적화된 색상 분포도를 산출하여 영상의 일부에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촤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는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디지털 색상 신호를 획득하고, 전체 영상에 대한 디지털 색상 신호의 통계적 분포를 나타내는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색상 정보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촬상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의 색상신호와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고, 유사의 원리, 동류의 원리, 명료의 원리, 대비의 원리 또는 질서의 원리에 따르는 색상 배치를 갖는 영상의 색상 분포가 저장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 신호에 대응하는 색상 배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색상 배치정보에 기초하여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색상 분포도 계산부를 포함한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제1 색상 분포도와 상기 제2 색상 분포도를 디스플레이된 영상에 겹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색상 분포도 계산부는 픽셀 단위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색상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색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영상에 대한 디지털 색상신호의 통계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고, 유사의 원리, 동류의 원리, 명료의 원리, 대비의 원리 또는 질서의 원리에 따르는 색상 배치를 갖는 영상의 색상 분포가 저장된 색상배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색상 배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색상 배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색상 분포도에 대응하는 제2 색상 배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 색상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메모리; 상기 메모리의 색상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영상의 색상신호와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메모리의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영상의 색상신호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색상 배치정보를 획득하는 검색부; 상기 획득된 색상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서브 색상신호들의 제1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색상 배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서브 색상신호들의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색상 분포도 계산부; 및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는 색상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색상 분포도 계산부는 픽셀 단위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제1 색상 분포도와 상기 제2 색상 분포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에 겹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색상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디지털 색상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디지털 색상 신호와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영상에 대한 디지털 색상 신호의 통계적 분포를 나타내는 제1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유사의 원리, 동류의 원리, 명료의 원리, 대비의 원리 또는 질서의 원리에 따르는 색상 배치를 갖는 영상의 색상 분포가 저장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 신호에 대응하는 색상 배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색상 배치정보에 기초하여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계산된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디스플레이 영상의 일부분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픽셀 단위로 하여 상기 전체 영상의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은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된 색상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색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영상에 대한 디지털 색상신호의 통계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제1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 유사의 원리, 동류의 원리, 명료의 원리, 대비의 원리 또는 질서의 원리에 따르는 색상 배치를 갖는 영상의 색상 분포가 저장된 색상배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색상 배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색상 배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제2 색상 분포도에 대응하는 제2 색상 배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2 색상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픽셀 단위로 하여 상기 전체 영상의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 분포도가 상기 영상의 임의의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색상 정보 테이블 및 임의의 색상들에 대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색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색상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신호에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색상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서브 색상신호들의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색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신호에 대응되는 제1 색상 배치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제1 색상 배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서브 색상신호들의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디스플레이된 영상의 색상 분포도 및 그와 관련된 최적화된 색상 분포도를 산출하여 영상의 일부에 표시하고,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촤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함으로써, 색상 배색이 조화로운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효과를 창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며, 조리개(미도시)와 연동하여 피사체를 적정하게 노출시켜 CCD에 영상을 기록한다.
셔터-릴리즈 버튼(11)은 촬영자 입력에 의해 제1 및 제2 영상 촬영 신호를 생성한다. 반셔터 신호로써의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이 입력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초점을 잡고 빛의 양을 조절하며, 이때 초점이 맞은 경우 디스플레이부(25)에 녹색 불이 켜지게 된다. 제1 셔터-릴리즈 버튼(11)의 입력으로 초점이 잡히고 빛의 양이 조절되면, 비로소 완전셔터 신호로써의 제2 셔터-릴리즈 버튼(11)을 입력하여 영상을 촬영한다.
전원 버튼(13)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전원을 공급하여 동작시키기 위해 입력된다.
플래시(15)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밝게 해주는 것으로 플래시 모드에는 자동플래시, 강제발광, 발광금지, 적목감소, 슬로우 싱크로 등이 있다.
보조광(17)은 광량이 부족하거나 야간 촬영 시에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자동으로 초점을 빠르고 정확하게 잡을 수 있도록 피사체에 광을 공급한다.
렌즈부(19)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 도로서, 광각-줌 버튼(21w), 망원-줌 버튼(21t), 디스플레이부(23) 및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입력 버튼들(B1~B14)(이하 버튼들(B1~B14)이라 표기함)을 구비한다.
광각-줌 버튼(21w) 또는 망원-줌 버튼(21t)은 입력에 따라 화각이 넓어지거나, 화각이 좁아지는데, 특히,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를 변경시키고자 할 때 입력한다. 광각-줌 버튼(21w)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작아지고, 망원-줌 버튼(21t)이 입력되면, 선택된 노출영역의 크기가 커진다.
버튼들(B1~B14)은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다. 디스플레이부(23)의 가로 열 및 세로 열에 구비된 버튼들(B1~B14)은 터치 센서(도시되지 않음) 또는 접점식 스위치(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어 있다.
즉, 버튼들(B1~B14)에는 터치 센서가 구비되어 가로 열의 버튼들(B1~B7) 또는 세로 열의 버튼들(B8~B14)을 터치한 상태에서 상/하/좌/우로 이동하여 주 메뉴 항목 중 임의의 값(예를 들어, 컬러 또는 밝기)을 선택하거나, 주 메뉴 아이콘에 포함된 하위메뉴 아이콘을 활성화 시킬 수 있다.
또한 버튼틀(B1~B14)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어, 주 메뉴 아이콘 및 하위메뉴 아이콘을 직접 선택하여 해당 기능을 실행시킬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접점식 스위치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약한 터치만을 요구하지만, 접점식 스위치 입력은 터치 센서 입력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한 터치를 요구한다.
도 3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 입력 부(31), 촬상부(33), 영상 처리부(35), 저장부(3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메모리(39-1), 검색부(39-2), 색상 분포도 계산부(39-3) 및 제어부(39-4)를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31)는 정해진 시간 동안 CCD나 필름을 빛에 노출시키기 위해 열리고 닫히는 셔터 릴리즈 버튼(11),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 입력하는 전원 버튼(13),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21w) 및 망원-줌 버튼(21t)과, 문자 입력을 위해 디스플레이부(23) 주변의 가로 및 세로열에 구비된 터치센서 또는 접점식 스위치가 구비된 버튼들 버튼틀(B1~B14)이 있다.
촬상부(33)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은 셔터, 렌즈부, 조리개 및 CCD(Charge Coupled Device) 및 ADC를 포함한다. 셔터는 조리개와 함께 노광하는 빛의 양을 조절하는 기구이다. 렌즈부는 외부 광원으로부터 빛을 받아 영상을 처리한다. 이 때, 조리개는 개폐 정도에 따라 입사되는 빛의 양(광량)을 조절한다. 조리개의 개폐 정도는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에 의해 제어된다.
CCD는 렌즈부를 통하여 입력되는 광량을 축적하고 그 축적된 광량에 따라 렌즈부에서 촬상된 영상을 수직 동기신호에 맞추어 출력한다.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영상 획득은 피사체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켜 주는 CCD에 의해 이루어진다. CCD를 이용하여 컬러 영상을 얻기 위해서는 컬러 필터를 필요로 하며, 대부분 CFA(Color filter array) 라는 필터(미도시)를 채용하고 있다. CFA는 한 픽셀마다 한 가지 컬러를 나타내는 빛만을 통과시키며 규칙적으로 배열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배열 구조에 따라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지고 있다. ADC는 CCD로부터 출력되는 아날로그 영상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디지털 변환된 RAW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가능하도록 신호처리 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온도변화에 만감한 CCD 및 CFA 필터에서 발생하는 암 전류에 의한 블랙레벨(Black level)을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인간 시각의 비선형성에 맞추어 정보를 부호화 하는 감마 보정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감마 보정된 소정 데이터의 RGRG라인 및 GBGB 라인으로 구현된 베이어 패턴을 RGB 라인으로 보간하는 CFA 보간을 수행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보간된 RGB 신호를 YUV 신호로 변환하고, 고 대역 필터에 의해 Y 신호를 필터링 하여 영상을 뚜렷하게 처리하는 에지 보상과, 표준 컬러 좌표계를 이용하여 U, V 신호의 컬러 값을 정정하는 컬러 정정을 수행하며, 이들의 노이즈를 제거한다. 영상 처리부(35)는 노이즈가 제거된 Y, U, V 신호를 압축 및 신호 처리하여 JPEG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된 JPEG 파일은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 되고, 저장부(37)에 저장된다. 이와 같은 영상 처리부(35)의 모든 동작은 디지털 신호 처리부(39)의 제어 하에 동작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영상 처리부(35)에서 CFA 보간된 RGB 신호의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여 라이브뷰 영상의 일부분에 표시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39)는 메모리(39-1), 검색부(39-2), 색상 분포도 계산부(39-3) 및 제어부(39-4)를 포함한다.
메모리(39-1)는 색상 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도 5에는 메모리(39-1) 에 저장된 색상 정보 테이블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색상 정보 테이블에는 계통색 명에 대한 색상 및 해당 색상이 나타내는 R(red), G(green), B(blue) 값이 저장되어 있다.
검색부(39-2)는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RGB 신호와 매칭되는 색상 정보를 메모리(39-1)로부터 검색한다. 특히, 검색부(39-2)는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 단위 RGB 신호에 매칭되는 색상 정보를 메모리(39-1)로부터 검색한다.
색상 분포도 계산부(39-3)는 검색부(39-2)에서 검색된 색상 정보로부터 라이브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이하 서브 색상신호들의 분포도를 계산하여 제어부(39-4)로 출력한다.
제어부(39-4)는 메모리(39-1), 검색부(39-2) 및 색상 분포도 계산부(39-3)의 동작을 제어하며, 특히 색상 분포도 계산부(39-3)로부터 출력되는 메인 및 서브 색상 신호들의 색상 분포도가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도 7a 및 도 7b에는 도 3에 따른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도 7a는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색상 분포도 계산부(39-3)가 라이브뷰 영상에 대해 메인색상 신호 및 서브 색상신호들의 분포도를 계산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의 라이브뷰 영상에서 색상 분포도 계산부(39-3)는 메인색상 신호인 흰색(도 5를 예로 들면, R:255, G:255, B:255)이 60%를 차지하고, 제1 서브 색상신호인 붉은색(도 5를 예로 들면, R:248, G:000, B:064)이 20%를 차지하고, 제2 서브 색상신호인 노란색(도 5를 예로 들면, R:249, G:204, B:088)이 10%를 차지하고, 기타 서브색상신호가 10%를 차지함을 계산한다.
도 7b는 색상 분포도를 수신한 제어부(39-4)가 색상 분포도 계산 결과를 바(bar)(701)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임의 영역에 표시한 것을 보여준다. 이로써, 사용자는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로서,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 입력부(31), 촬상부(33), 영상 처리부(35), 저장부(37) 및 디지털 신호 처리부(49)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49)는 메모리(49-1), 검색부(49-2),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 제어부(49-4) 및 색상 변경부(49-5)를 포함한다. 본 실시 예에서 디스플레이부(23), 사용자 입력부(31), 촬상부(33), 영상 처리부(35), 저장부(37)는 도 3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과 도 4를 비교해보면, 도 3의 경우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반면, 도 4의 경우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 분포도 및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여 주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라이브뷰 영상을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도 4에서 디지털 신호 처리부(49)는 영상 처리부(305)에서 CFA 보간된 RGB 신호의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고, 영상 처리부(35)에서 CFA 보간된 RGB 신호의 최적화된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여 라이브뷰 영상의 일분에 표시하고, 사용자 선택 신호 를 수신하여 라이브뷰 영상을 최적화된 색상 배치를 갖는 라이브뷰 영상으로 변경한다.
이를 위해 디지털 신호 처리부(49)는 메모리(49-1), 검색부(49-2),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 제어부(49-4) 및 색상 변경부(49-5)를 포함한다.
메모리(49-1)는 두 개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1 영역에는 색상 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고, 제2 영역에는 임의의 색상들에 대한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도 5에는 메모리(49-1)의 제1 영역에 저장된 색상 정보 테이블의 일 예가 도시되어 있다. 색상 정보 테이블에는 계통색 명에 대한 색상 및 해당 색상이 나타내는 R(red), G(green), B(blue) 값이 저장되어 있다.
도 6에는 메모리(49-2)의 제2 영역에 저장된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 도시되어 있다.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에는 근접 색상들의 조화를 나타내는 유사의 원리, 공통되는 성질과 속성을 가진 색상들의 조화를 나타내는 동류의 원리, 색상을 배색할 때 배색되는 색상이 정확하게 구분되어야 한다는 명료의 원리, 반대색이나 보색관계에 있는 색상들의 배색을 나타내는 대비의 원리 및 색상을 배색할 때 구체적이고 계획성있게 선택함을 나타내는 질서의 원리 등에 따라 다양한 색상들의 배치정보가 저장되어 있다.
 도 6a는 화가 귀스타브 꾸르베의 [밀을 체질하는 여자들]이란 유화로써, 저채도의 반대 색상을 사용하여 전체적으로 차분하고 무거운 이미지와 안정감을 준다. 이와 같이 도 6a에 도시된 저채도의 반대 색상 배치정보가 최적화된 색상 배 치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 도 6b는 화가 황규백의 [창문]이란 유화로써, 해가 저물어 갈때의 노을 풍경으로 근접색상들의 그라데이션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도 6b에 도시된 근접색상들의 그라데이션 색상 배치정보가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 도 6c는 일반 패션 화보로써, 무채색 사이에 포인트가 되는 유채색을 사용하여 선명한 대비와 역동성을 보여준다. 이와 같이 도 6c에 도시된 무채색 사이의 포인트가 되는 유채색의 색상 배치정보가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 도 6d 또한 일반 패션 화보로써, 파란색 계통의 근접 색상들의 배색으로 안정감을 준다. 이와 같이 도 6d에 도시된 근접색상들의 색상 배치정보가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에 저장되어 있다.
검색부(49-2)는 두 가지 검색 동작을 수행하는데, 첫 번째는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RGB 신호와 매칭되는 색상 정보를 메모리(49-1)의 제1 영역에 저장된 색상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색한다. 두번째는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RGB 신호와 매칭되는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를 메모리(49-1)의 제2 영역에 저장된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색한다. 특히, 검색부(49-2)는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 단위 RGB 신호에 매칭되는 색상 정보 및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를 메모리(49-1)로부터 검색한다.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 또한 두 개의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데, 첫번째는 검색부(49-2)에서 검색된 색상 정보로부터 라이브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이하 서브 색상신호들의 분포도를 계산하여 제어부(49-4)로 출력한다. 두 번째는 검색부(49-2)에서 검색된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로부터 라이브뷰 영상의 메인 색 상신호 및 이하 서브 색상신호들의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를 계산하여 제어부(49-4)로 출력한다.
제어부(49-4)는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로부터 출력되는 메인 및 서브 색상 신호들의 색상 분포도가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49-4)는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로부터 출력되는 메인 및 서브 색상 신호들의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가 디스플레이부(23)에 표시되도록 제어한다. 제어부(49-4)는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 분포도 및 라이브뷰 영상의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를 동시에 디스플레이 하여, 사용자가 이를 보고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 변경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한다.
사용자가 라이브뷰 영상을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하고자 사용자 입력부(31)를 통하여 선택신호를 입력한 경우, 색상 변경부(49-5)는 이를 수신하여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을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한다. 색상 변경부(49-5)는 라이브뷰 영상의 R값, G값, B값을, 최적화된 R값, G값, B값으로 변경하는 색상 변경을 수행한다.
도 7 및 도 8에는 도 4에 따른 영상의 색상 분포도 및 최적화된 색상으로의 변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먼저, 도 7a는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과 함께,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가 라이브뷰 영상에 대해 메인색상 신호 및 서브 색상신호들의 분포도를 계산한 결과가 도시되어 있다. 도 7a의 라이브뷰 영상에서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는 메인색상 신호인 흰색(도 5를 예로 들면, R:255, G:255, B:255)이 60%를 차지하고, 제1 서브 색상신호인 붉은색(도 5를 예로 들면, R:248, G:000, B:064)이 20%를 차지하고, 제2 서브 색상신호인 노란색(도 5를 예로 들면, R:249, G:204, B:088)이 10%를 차지하고, 기타 서브색상신호가 10%를 차지함을 계산한다.
도 7b는 색상 분포도를 수신한 제어부(49-4)가 색상 분포도 계산 결과를 바(bar)(701)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임의 영역에 표시한 것을 보여준다.
도 7c는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를 수신한 제어부(49-4)가 색상 분포도 바(701)와 함께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 바(703)를 함께,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임의의 영역에 표시한 것을 보여준다.
도 8a는 최초에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을 보여주고, 도 8b는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색상 변경부(49-5)에서 라이브뷰 영상을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하고, 제어부(49-4)가 변경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한 것을 보여준다.
이어서, 도 9 및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및 제2 실시 예에 따른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는데, 실시 예에 따라 제어방법의 주 알고리즘은 제어장치 내의 주변 구성 요소들의 도움을 받아 디지털 신호 처리부(39, 49)의 내부에서 수행될 수 있다.
먼저, 도 9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901단계). 사용자가 전원 버튼(13)을 입력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동작하게 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촬영 모드로 전환하면,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면, 검색부(39-2)는 색상 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39-1)로부터 라이브뷰 영상의 RGB 신호와 일치하는 색상 정보를 검색한다(903단계). 메모리(39-1)에 저장되어 있는 색상 정보 테이블에 대한 설명은 도 5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검색부(39-2)는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단위 RGB 신호와 매칭되는 색상 정보를 메모리(39-1)로부터 검색한다.
검색이 완료되면, 색상 분포도 계산부(39-3)는 검색된 결과를 토대로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계산한다(905단계). 색상 분포도 계산부(39-3)는 검색부(39-2)에서 검색된 색상 정보로부터 라이브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이하 서브 색상신호들의 분포도를 계산하여 제어부(39-4)로 출력한다. 도 7a에는 색상 분포도 계산부(39-3)가 계산한 색상 분포도 계산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39-4)는 계산된 색상 분포도를 라이브뷰 영상의 임의의 위치에 디스플레이 한다(907단계). 제어부(39-4)는 색상 분포도 계산 결과를 바(bar)(701)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임의 영역에 표시하며 그 예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색상 분포도를 표 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9의 제1 실시 예와 도 10의 제2 실시 예를 비교해보면, 도 9의 경우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반면, 도 10의 경우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 분포도 및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를 함께 디스플레이 하여 주고, 사용자 선택에 따라 라이브뷰 영상을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할 수 있게 한다.
먼저,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한다(1001단계). 사용자가 전원 버튼(13)을 입력하여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전원이 공급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가 동작하게 되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를 촬영 모드로 전환하면,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 된다.
디스플레이부(23)에 라이브뷰 영상이 디스플레이 되면, 검색부(49-2)는 색상 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49-1)로부터 라이브뷰 영상의 RGB 신호와 일치하는 색상 정보를 검색한다(1003단계). 본 실시 예에서 메모리(49-1)는 두 개의 영역으로 분리되어 있으며, 제1 영역에는 색상 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고, 제2 영역에는 임의의 색상들에 대한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49-1)에 저장되어 있는 색상 정보 테이블 및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에 대한 설명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어 있으므로 생략한다. 검색부(49-2)는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단위 RGB 신호와 매칭되는 색상 정보를 메모리(49-1)의 제1 영역에 저장된 색상 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색한다.
검색이 완료되면,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는 검색된 결과를 토대로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계산한다(1005단계).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는 검색 부(49-2)에서 검색된 색상 정보로부터 라이브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이하 서브 색상신호들의 분포도를 계산하여 제어부(49-4)로 출력한다. 도 7a에는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가 계산한 색상 분포도 계산 결과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49-4)는 계산된 색상 분포도를 라이브뷰 영상의 임의의 위치에 디스플레이 한다(1007단계). 제어부(49-4)는 색상 분포도 계산 결과를 바(bar)(701)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임의 영역에 표시하여 그 예가 도 7b에 도시되어 있다.
이어서, 디스플레이부(23)에 색상 분포도 계산 결과과 디스플레이 된 후, 검색부(49-2)는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이 저장되어 있는 메모리(49-1)로부터 라이브뷰 영상의 RGB 신호와 일치하는 최적화된 색상 정보를 검색한다(1009단계). 검색부(49-2)는 라이브뷰 영상의 픽셀단위 RGB 신호와 매칭되는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를 메모리(49-1)의 제2 영역에 저장된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로부터 검색한다.
검색이 완료되면,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는 검색된 결과를 토대로 라이브뷰 영상의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를 계산한다(1011단계). 색상 분포도 계산부(49-3)는 검색부(49-2)에서 검색된 최적화된 색상 배치 정보로부터 라이브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이하 서브 색상신호들의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를 계산하여 제어부(49-4)로 출력한다.
그리고 나서 제어부(49-4)는 계산된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를 라이브뷰 영상의 임의의 위치에 디스플레이 한다(1013단계). 제어부(49-4)는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 계산 결과를 바(bar)(703) 형태로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임의 영역에 표시하며 그 예가 도 7c에 도시되어 있다. 도 7c는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를 수신한 제어부(49-4)가 색상 분포도 바(701)와 함께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 바(703)를 함께, 디스플레이된 라이브뷰 영상의 임의의 영역에 표시한 것을 보여준다.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 분포도 및 최적화된 색상 배치 분포도를 본 사용자는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을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할 것인지를 판단한다(1015단계).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을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할 경우, 색상 변경부(49-5)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수신하여 라이브뷰 영상의 색상을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한다(1017단계). 색상 변경부(49-5)는 라이브뷰 영상의 R값, G값, B값을, 최적화된 R값, G값, B값으로 변경하는 색상 변경을 수행한다. 도 8b는 사용자 선택에 의하여 색상 변경부(49-5)에서 라이브뷰 영상을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하고, 제어부(49-4)가 변경 결과를 디스플레이부(23)에 디스플레이한 것을 보여준다.
도 1은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앞쪽 및 위쪽 외형을 보여주는 사시도 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뒤쪽 외형을 보여주는 배면도 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구성을 보이는 블록도 이다.
도 5는 도 3 및 도 4의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의 색상 정보 테이블을 보이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4의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의 최적화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3 및 도 4에서 처리된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서 최적화된 색상으로 변경된 영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의 동작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Claims (17)

  1.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디지털 색상 신호를 획득하고, 전체 영상에 대한 디지털 색상 신호의 통계적 분포를 나타내는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색상 정보 테이블이 저장된 메모리;
    상기 촬상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의 색상신호와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상기 메모리로부터 검색하는 검색부; 및
    상기 검색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고,
    유사의 원리, 동류의 원리, 명료의 원리, 대비의 원리 또는 질서의 원리에 따르는 색상 배치를 갖는 영상의 색상 분포가 저장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 신호에 대응하는 색상 배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색상 배치정보에 기초하여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색상 분포도 계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제1 색상 분포도와 상기 제2 색상 분포도를 디스플레이된 영상에 겹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분포도 계산부는
    픽셀 단위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5.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고
    메모리에 저장된 색상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색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영상에 대한 디지털 색상신호의 통계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고,
    유사의 원리, 동류의 원리, 명료의 원리, 대비의 원리 또는 질서의 원리에 따르는 색상 배치를 갖는 영상의 색상 분포가 저장된 색상배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색상 배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색상 배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색상 분포도에 대응하는 제2 색상 배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제2 색상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메모리;
    상기 메모리의 색상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영상의 색상신호와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메모리의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영상의 색상신호와 대응되는 상기 제1 색상 배치정보를 획득하는 검색부;
    상기 획득된 색상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서브 색상신호들의 제1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고, 상기 획득된 제1 색상 배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서브 색상신호들의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색상 분포도 계산부; 및
    선택 신호에 따라, 상기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는 색상 변경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분포도 계산부는
    픽셀 단위로 하여 상기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상기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스플레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수단은
    상기 제1 색상 분포도와 상기 제2 색상 분포도를 상기 디스플레이된 영상에 겹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9. 색상 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으로부터 디지털 색상 신호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디지털 색상 신호와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메모리로부터 검색하고,
    상기 검색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영상에 대한 디지털 색상 신호의 통계적 분포를 나타내는 제1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 및
    유사의 원리, 동류의 원리, 명료의 원리, 대비의 원리 또는 질서의 원리에 따르는 색상 배치를 갖는 영상의 색상 분포가 저장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 신호에 대응하는 색상 배치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색상 배치정보에 기초하여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계산된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디스플레이 영상의 일부분에 표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에서,
    픽셀 단위로 하여 상기 전체 영상의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12.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의 동작 방법으로서,
    촬상 소자를 통하여 입력된 영상을 디지털 영상 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메모리에 저장된 색상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색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색상 정보에 기초하여 전체 영상에 대한 디지털 색상신호의 통계적인 분포를 나타내는 제1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
    유사의 원리, 동류의 원리, 명료의 원리, 대비의 원리 또는 질서의 원리에 따르는 색상 배치를 갖는 영상의 색상 분포가 저장된 색상배치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 신호에 대응하는 제1 색상 배치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된 제1 색상 배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여, 상기 계산된 제2 색상 분포도에 대응하는 제2 색상 배치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제2 색상 배치 정보에 따라 상기 영상의 색상을 변경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방법.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는,
    픽셀 단위로 하여 상기 전체 영상의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색상 분포도가 상기 영상의 임의의 영역에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15.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는
    색상 정보 테이블 및 임의의 색상들에 대한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색상 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신호에 대응되는 색상 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색상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서브 색상신호들의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색상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색상 배치정보 테이블로부터 상기 디지털 색상신호에 대응되는 제1 색상 배치정보를 검색하는 단계; 및
    상기 검색된 제1 색상 배치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영상의 메인 색상신호 및 서브 색상신호들의 제1 및 제2 색상 분포도를 계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방법.
KR1020070106736A 2007-10-23 2007-10-23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4276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36A KR101427649B1 (ko) 2007-10-23 2007-10-23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US12/283,371 US8488039B2 (en) 2007-10-23 2008-09-11 Digital image processing apparatus capable of displaying color distribution chart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CN200810168599.4A CN101420528B (zh) 2007-10-23 2008-10-10 能够显示色彩分布图表的数字图像处理设备及其操作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06736A KR101427649B1 (ko) 2007-10-23 2007-10-23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41164A KR20090041164A (ko) 2009-04-28
KR101427649B1 true KR101427649B1 (ko) 2014-08-07

Family

ID=405631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06736A KR101427649B1 (ko) 2007-10-23 2007-10-23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8488039B2 (ko)
KR (1) KR101427649B1 (ko)
CN (1) CN10142052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609714S1 (en) * 2007-03-22 2010-02-09 Fujifilm Corporation Electronic camera
CN104247410B (zh) * 2012-03-30 2016-08-24 富士通株式会社 彩色图表检测装置和彩色图表检测方法
CN104713576B (zh) * 2015-03-25 2017-11-07 中测高科(北京)测绘工程技术有限责任公司 基于多张相片的相机自标定方法及其装置
CN105516606A (zh) * 2016-01-21 2016-04-20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拍照装置及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4537A (en) * 1992-07-21 1995-05-09 Sony Corporation Col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6647141B1 (en) * 1999-11-18 2003-11-11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of query by color statistics
US20050111017A1 (en) 2002-07-30 2005-05-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and color reproduction method
US20060250668A1 (en) * 2004-01-13 2006-11-09 Olympus Corporation Color chart processing apparatus, color chart processing method, and color chart processing program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3170B2 (ja) 1997-08-25 2006-11-08 富士写真フイルム株式会社 カラーコレクション関数設定方法
EP1906674A4 (en) * 2005-07-13 2011-06-22 Nec Corp METHOD AND DEVICE FOR COLOR CORRECTION
KR100690824B1 (ko) 2005-08-22 2007-03-09 엘지전자 주식회사 유기el을 구비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 표시장치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14537A (en) * 1992-07-21 1995-05-09 Sony Corporation Color image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US6647141B1 (en) * 1999-11-18 2003-11-11 Sony Corporation User interface of query by color statistics
US20050111017A1 (en) 2002-07-30 2005-05-26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and color reproduction method
US20060250668A1 (en) * 2004-01-13 2006-11-09 Olympus Corporation Color chart processing apparatus, color chart processing method, and color chart processing progr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1420528A (zh) 2009-04-29
CN101420528B (zh) 2015-06-03
KR20090041164A (ko) 2009-04-28
US20090102941A1 (en) 2009-04-23
US8488039B2 (en) 2013-07-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2766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영상의 배경흐림 효과 처리장치 및 방법
KR101475684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 영상 개선 장치 및 방법
KR20080101277A (ko) 히스토그램을 디스플레이 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의 동작 방법
KR101427649B1 (ko) 색상 분포도를 표시하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KR20090067915A (ko) 구도 추천에 의한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KR101613617B1 (ko)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00003918A (ko) 사용자 식별이 가능한 디지털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US20090161961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imming
KR20090072505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사용자 선택에 따른 화이트 밸런스조정 장치 및 방법
KR101396355B1 (ko) 연사촬영된 영상들을 슬라이드쇼로 보여주는 디지털 영상처리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411313B1 (ko) Tv를 이용한 멀티 디스플레이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그 동작 방법
KR101396335B1 (ko) 얼굴 인식 장치 및 방법
KR101421939B1 (ko) 얼굴인식 기능을 이용한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방법
JP5217843B2 (ja) 構図選択装置、構図選択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417807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에서 얼굴인식에 따른 포커스조정장치 및 방법
KR101411310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합성 장치 및 방법
KR101417811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얼굴인식을 통한 줌-인 장치 및방법
KR101411326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후보정 처리 장치 및 방법
KR101396338B1 (ko) 지도를 생성할 수 있는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의동작 방법
KR20090089070A (ko) 포토 프레임을 이용하는 디지털 카메라 및 그 제어 방법
KR20090026938A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영상 비교 장치 및 방법
KR10143154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기에서 이미지 출력 장치 및 방법
KR101378334B1 (ko) 영상 트리밍 장치 및 방법
KR101385963B1 (ko) 칼라 보정 기능을 갖는 이미지 처리 장치 및 칼라 보정방법
KR101442607B1 (ko) 색온도 조절 필터를 이용한 영상의 색온도 제어 장치 및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