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641765B1 - 손수레 - Google Patents

손수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641765B1
KR101641765B1 KR1020140030328A KR20140030328A KR101641765B1 KR 101641765 B1 KR101641765 B1 KR 101641765B1 KR 1020140030328 A KR1020140030328 A KR 1020140030328A KR 20140030328 A KR20140030328 A KR 20140030328A KR 101641765 B1 KR101641765 B1 KR 1016417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go
pivoting
holding member
loading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303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136372A (ko
Inventor
윤태욱
윤병운
Original Assignee
윤태욱
윤병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태욱, 윤병운 filed Critical 윤태욱
Publication of KR20140136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1363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417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417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2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parts being adjustable, collapsible, attachable, detachable, or convert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1/0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 B62B1/10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 B62B1/14Hand carts having only one axis carrying one or more transport wheels; Equipment therefor in which the load is intended to be transferred totally to the wheels involving means for grappling or securing in place objects to be carri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andcar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한 쌍의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주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부재; 상기 바퀴의 주행 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에 구비되며,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저면을 지지하는 적재부재;가 제공된다.

Description

손수레{Handcart}
본 발명은 손수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적은 힘으로도 화물을 간편하게 운반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상에서 다층으로 적층한 화물을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신속하게 화물을 자유롭게 운반할 수 있는 손수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손수레는 기동성이 좋고, 인력 이외의 동력을 사용하지 않아 가까운 근거리로 물건을 이동시키는데 사용되는 보편적인 운반장치로써, 화물 창고나 공장 혹은 건설 현장, 농가 등에서 주로 많이 사용된다. 이러한 손수레는 일부 전동력을 사용하는 것도 있으나, 대부분 인력으로 구동하여 화물 또는 농작물을 이송한다.
통상적으로, 손수레는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 및 본체의 일측에 배치되어 화물이 적재되는 적재부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손수레는 바퀴 의 갯수 에 따라 외바퀴 손수레, 2륜 손수레, 3륜 손수레, 4륜 손수레 등으로 구분 될 수 있다.
한편, 4륜 손수레와 같이 바퀴의 갯수가 많은 손수레는 전체적인 균형도가 상대적으로 높아 바닥면에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되어 운반할 수 있지만, 전 체적인 부피 증가로 보관에 따른 장소가 넓고, 넓은 이동로를 확보하여야 하는 단 점이 수반될 뿐만 아니라, 생산비도 증가하는 단점이 있었다.
그 반면에, 손수레의 부피, 이동로, 물류비를 감축 또는 변경하기 위하여 바퀴의 갯수를 줄일 수 있으나, 이는 상대적으로 힘이 가중되거나, 균형도 가 낮아져 안정적인 지지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었다.
그리고, 종래의 손수레는 바퀴가 설치된 본체에 대해 적재부의 위치 가 특정되게 배치됨에 따라 작업자가 화물의 종류에 따라 편안한 적재작업을 용이 하게 구현하지 못하고, 또한 화물이 적재된 상태에서 손수레를 이동시키면 상대적 으로 많은 힘이 요구되어 작업자의 피로도가 누증되고, 미숙련자에게는 운반작업이 매우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포장화물이나 단막한 캔 포장용기가 다단으로 적층된 화물 또는 파 레트에 적층된 화물 중 어느 하나를 손수레에 일시에 적재하는 것은 불가능하여 낫 개로 적재함에 적재함으로서 작업능력이 떨어지고, 많은 힘과 적재시간이 증가 되었다. 이에 따라 제한된 시간에 화물을 이송하기 위해서는 인건비 증가, 작업성 저 하로 적기에 운송이 곤란하고, 화물손상 등의 문제점이 내재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여러 단점과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적재부를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는 구조를 적 용하여 쌍방의 바퀴만으로도 바닥면에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손수레의 이동을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이동할 수 있어 물류비를 절감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또한 파레트에 다단으로 적층된 화물 또는 포장박스에 다단으로 적층된 화물 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소력(小力)으로 적재하여 신속하고 안정되게 이송 함으로써 운반작업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손수레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의하면, 한 쌍의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주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부재; 상기 바퀴의 주행 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에 구비되며,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저면을 지지하는 적재부재;가 제공된다.
상기 적재부재는 "ㄴ"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각 회동부재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구성되어, 그 길이가 조절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회동부재들의 후방측에는 후방 가드펜스(guard fence)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가드펜스의 양단부는 각 회동부재의 후방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정유닛은 적재부의 각 회동부재에 개별적으로 고정된 2개의 고정판과, 이 고정판에 본체의 지주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각 고정판에는 복수의 고정구멍이 형성되고, 본체의 지주에는 고정판의 고정구멍에 대응하는 고정구멍이 형성되며, 회동부재들이 본체의 지주에 대해 회동된 후에 고정판의 고정구멍과 지주의 고정구멍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고정구를 개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본체의 지주들에 대한 회동부재들의 회동된 위치가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각 회동부재들의 전방측에는 전방 가드펜스가 설치되고, 전방 가드펜스의 일단부는 일측의 회동부재에 고정되며, 전방 가드펜스의 타단부는 각 회동부재 중에서 타측의 회동부재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의 크로스부재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고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부재를 본체에 대해 경사지게 조절할 수 있는 간단한 구조를 적용하여 쌍방의 바퀴만으로도 바닥면에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손수레의 이동을 매우 간편하고 손 쉽게 이송할 수 있고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레트에 다단으로 적층된 화물 또는 포장 박스에 다단으로 적층된 화물 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적재하여 소력(小力)으로 신 속하고 안정되게 이송함으로써 운반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부재에 다단의 적재층을 형성하여 화물의 종류, 크기와 특수성을 고려하여 타 분류의 화물을 부가적으로 동시에 운반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본체를 하 향으로 회동시켜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측면도로서, 본체를 상 향으로 회동시켜 화물을 적재 또는 하역하는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2는 상기 제6실시예에서 화물고정부재가 회동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 13은 상기 제6실시예에서 회동부재와 화물고정부재 사이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상기 제6실시예에 화물이 적재된 상태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손수레는 쌍방의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본체(10)와, 본체(10)의 내측에서 회동되게 설치하여 그 회동각을 조절제어하는 적재부(20)를 포함한다.
본체(10)는 쌍방의 바퀴(15)가 개별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쌍방의 지주(11)와, 쌍방의 지주(11)를 가로질러 연결하는 크로스부재(12)를 가진다.
각 지주(1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사각파이프 또는 원형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지고, 각 지주(11)의 하단에는 바퀴(15)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크로스부재(12)는 각 지주(11)들의 상단을 가로질러 연결하도록 크로스부재(12)의 양단부가 각 지주(11)의 상단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된다. 크로스 부재(12)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고리(13)가 연결되고, 이 걸림고리(13)에도 화물이 걸려질 수 있다.
본체(10)에는 2개의 손잡이부재(18)가 연결되어 작업자가 파지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2개의 손잡이부재(18)는 각 지주(11)의 후방에 용접 등을 통해 고정되며, 각 손잡이부재(18)는 각 지주(1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결됨으로써 작업자에 의한 파지 및 손수레의 이동 시에 상대적으로 적은 힘(小力)이 소요되도록 구성된다. 또한, 2개의 손잡이부재(18)들 사이에는 수평보강부재(17a)가 가로 질러 연결되고, 이에 2개의 손잡이부재(18)들 사이의 연결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그리고, 각 손잡이부재(18) 및 이에 대응하는 지주(11)들 사이에는 경사형 보강부재(17b)가 경사지게 연결되고, 이러한 경사형 보강부재(17b)에 의해 2개의 손잡이부재(18)는 본체(10)의 지주(11)에 매우 견고하게 고정된다.
적재부(20)는 본체(10)의 각 지주(11)에 개별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각 회동부재(21)와, 각 회동부재(21)의 하단에서 서로 대칭되게 마련된 2개의 적재부재(24)를 포함한다.
각 회동부재(21)는 본체(10)의 각 지주(11)의 내측에 회동축(22)을 매개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고, 회동축(22)에는 부싱 또는 베어링(22a)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설치되어 그 회동이 매우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부싱 또는 베어링(22a)은 테프론 재질로 구성됨으로써 회동축(22)에 의한 회동부재(21)의 회동 시에 소음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다.
각 회동부재(21)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사각 또는 원형의 파이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2개의 회동부재(21)들의 후방측에는 후방 가드펜스(25, guard fence)가 설치되고, 후방 가드펜스(25)의 양단부는 2개의 회동부재(21)의 후방 일측에 각각 고정됨으로써 적재판(23)에 적재된 화물이 후방으로 떨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후방 가드펜스(25)가 반드시 상기 회동부재에 결합될 필요는 없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 지주(11)에 결합되도록 한 예도 고려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회동부재(21)는 서로 독립적으로 회동하게 되므로, 화물이 비대칭인 경우에 보다 유용하게 대응할 수 있게 된다.
2개의 적재부재(24)는 각 회동부재(21)의 하단에서 서로 대향되게 마련되고, 각 적재부재(24)는 "ㄴ"자형, "ㄷ"자형 단면 등 다양한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재(24)는 회동부재(21)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설치된다. 적재부재(24)는 각 회동부재(21)의 하단에 용접 등을 통해 결합되거나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에,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적재부재(24)를 가로질러 화물(H)의 양측 가장자리가 걸려짐으로써 화물(H)이 적재부 (20)에 적절히 적재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에 의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의 손잡이부재(18)를 하향 또는 상향으로 회동시키면 바퀴(15)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본체(10)의 지주(11)는 전방 또는 후방으로 기울어지고, 이에 회동부재(21)는 수직방향으로 직립한 상태에서 하부로 이동함과 동시에 적재부재(24)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된다.
이런 상태에서 본체(10)를 화물(H) 측으로 이동시킨 후에 한 쌍의 적재부재(24)에 화물(H)의 양측 가장자리를 걸어 줌으로써 한 쌍의 적재부재(24) 사이에 화물(H)을 간편하게 적재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본체(10)의 손잡이부재(18)를 그 반대방향으로 회동시켜 수평상태로 맞추면 회동축(22)이 지렛대의 원리와 같이 작업자는 상대적으로 적은 힘으로도 화물(H)을 운반할 수 있다. 이렇게 화물(H)이 적재된 상태에서 손수레를 하역장소로 이동시킨 후에 본체(10)의 손잡이부재(18)를 하향 또는 상향으로 회동시켜 하역장소의 받침대에 화물(H)을 하역할 수 있다. 특히, 화물의 중량을 지탱하는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바퀴를 지탱하는 지주에 장착되어 있어, 화물의 하중이 작용되는 방향과 상기 지주의 방향이 일치하기 때문에, 화물의 하중에 의해 상기 손잡이에 가해지는 회전 모멘트가 제로가 되므로 사용자는 단지 상기 손잡이부재의 하중만을 감당하면 되므로, 극히 적은 힘으로도 화물을 운반할 수 있게 된다.
한편, 각 회동부재(21)는 복수의 튜브(21a, 21b)들이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인입 내지 인출되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구성됨으로써 그 길이가 개별적으로 조절가능하고, 이를 통해 회동부재(21)는 본체(10)의 지주(11)에 대한 상대적으로 회동각 조절 및 높이 조절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리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회동부재(21)에는 슬롯(21c)이 형성되고, 이 슬롯(21c)에 회동축(22)이 상하 이동가능하게 설치됨에 따라 각 회동부재(21)는 그 높이조절을 보조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각 회동부재(21)에 다수의 슬롯을 설치할 수 있고, 다수의 슬롯에 핀 또는 볼트 등을 사용하여 연결부재를 다수 개 설치하여 다단의 적재층을 형성하여 화물의 종류, 크기와 특수성을 고려하여 타 화물을 부가적으로 동시에 적재하여 자유로운 화물이 송이 가능하여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동부재(21)를 본체(10)의 지주 (11)측에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유닛(40)이 설치될 수도 있고, 이러한 고정유닛 (40)은 자전거의 브레이크와 유사한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고정유닛(40) 은 적어도 어느 한쪽의 손잡이부재(18)에 설치된 고정레버(41)와, 이 고정레버(41)에 연결된 와이어(42)와, 이 와이어(42)에 의해 회동부재(21)를 본체(10)의 지주 (11)에 고정시키는 고정기구(미도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고정레버(41)를 잡으면 회동부재(21)가 본체(10)의 지주(11)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되게 해제되고, 고정레버(41)를 놓으면 회동부재(21)가 본체(10)의 지주(11)에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적재부(20)의 각 회동부재(21)는 그에 인접하는 각 지주에 대 해 그 회동각이 조절된 후에 고정유닛(40)에 의해 고정됨으로써 적재부(20)는 본체 (10)에 안정적으로 그 회동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적재부(20)의 화물 적재가 안정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2 실시예에 따른 회동부재(21)는 체인 형태로 구성되고, 회동부재(21)의 하단에는 고리부(27)가 형성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3 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회동부재(21)들 사이에 크로스부재(28)가 설치되고, 이 크로스부재(28)에는 하나 이상의 걸림고리(28a)가 연결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4 실시예에 따른 고정유닛(30)은 적재부(20)의 각 회동부재(21)에 개별적으로 고정된 2개의 고정판(31)과, 이 고정판(31)에 본체(10)의 지주(11)를 고정하는 복수의 고정구(32)를 포함한다.
각 고정판(31)에는 복수의 고정구멍(31a)이 형성되고, 본체(10)의 지주(11)에는 이에 대응한 고정구멍(11a)이 형성된다. 이에, 회동부재(21)들이 본체(10)의 지주(11)에 대해 일정 각도로 회동된 후에 고정판(31)의 고정구멍(31a)과 지주(11)의 고정구멍(11a)을 서로 일치시킨 상태에서 볼트 또는 다울핀(dowel pin) 등과 같은 고정구(32)를 개별적으로 삽입함으로써 본체(10)의 지주(11)들에 대한 회동부재(21)들의 회동된 위치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재부재(24)의 전방단부에 핑거부(27)가 설치되고, 이 핑거부(27)를 이용하여 화물 적재용 파레트 등을 용이하게 파지할 수도 있다. 이 핑거부(27)를 사용함으로서 파레트, 적층된 포장박스 등을 동시에 적재함으로써 인건비를 절감하고 신속하고 능률적인 작업수행으로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다.
도 9 및 도 10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손수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5실시예에 따르면, 2개의 회동부재(21) 사이에는 적재판(23)이 설치될 수도 있다.
적재판(23)은 원형화물인 경우 노면 불균일로 이동할 경우 화물의 균형성 부족으로 적재판에서 화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적재판에 돌기부(미도시)를 형성하여 화물이 흘러내리는 것을 사전 방지하여 안전사고와 화물을 보호할 수 있다.
적재판(23)은 그 양단부가 2개의 회동부재(21)의 적재부재(24)들 사 이에 안착되게 설치됨으로써 2개의 회동부재(21)들을 가로질러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고, 이에 적재판(23)에 다양한 화물을 안정적으로 적재할 수 있다.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회동부재(21)들의 전방측에 는 체인 또는 와이어 등과 같은 전방 가드펜스(26)가 설치될 수 있다. 전방 가드펜스(26)의 일단부는 일측의 회동부재(21)에 고정되며, 전방 가드펜스(26)의 타단부는 타측의 회동부재(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된다. 이에, 전방 가드펜스(26)는 적재판(23)에의 화물 적재 시에는 개방되고 화물 적재가 완료된 후에 적재된 화물의 전방측으로 고정하도록 폐쇄되는 구조로 구성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6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제6실시예는 기본적으로는 상기 제1실시예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1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부재(21)는 상긱 지주(11)에 대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점은 제1실시예와 동일하다. 다만, 상기 회동부재(21)에는 상기 회동부재의 회동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회동하는 화물고정부재(50)가 추가적으로 구비된다. 상기 화물고정부재(50)의 하단부에는 상기 적재부재(24)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적재부재(51)가 구비된다. 다만, 상기 회동부재(21)에는 별도의 적재부재는 구비되지 않으며, 상기 적재부재(51)의 배면에서 상기 회동부재(21)와 상기 화물고정부재(50)가 힌지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회동부재(21)와 상기 화물고정부재(50)를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한 연결링크(52)가 구비된다. 상기 연결링크는 대략 ??자 형태의 단면을 가지며, 양단부가 각각 상기 회동부재(21) 및 화물고정부재(50)에 힌지 결합된다.
아울러, 상기 회동부재(21)와 상기 화물고정부재(50)의 사이에는 복원력을 가하기 위한 탄성수단으로서의 코일 스프링(53)이 구비된다. 상기 코일 스프링(53)은 외력이 작용하지 않는 경우에 상기 화물고정부재(50)가 상기 회동부재(21)의 외주부와 접하도록 하는 탄성력을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화물고정부재(50)는 일측면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고 있어, 상기 회동부재가 상기 화물고정부재의 내부 공간에 수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부재(21)는 상단에서 하단으로 갈수록 회동부재 간의 간격이 좁아지도록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화물고정부재(50) 역시 상기 회동부재(21)와 동일하게 경사지게 배치되어 있다.
만일, 상기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상기 적재부재(51)를 화물의 배면에 투입하여, 화물을 들어올리면 화물의 자중에 의해서 상기 적재부재(51)가 눌리게 된다. 이로 인해서, 적재부재(51)와 일체로 형성되는 화물고정부재(50)가 상기 회동부재와의 힌지 결합점을 중심으로 서로를 향하여 회동하게 되고, 그 결과 화물의 측면을 가압하게 된다(도 14 참조). 따라서, 적재된 화물은 상기 한 쌍의 화물고정부재에 의해 양측면이 눌려지면서 안정적으로 고정될뿐만 아니라, 도시된 바와 같이 화물이 복수개 적층된 경우에는 한 쌍의 화물고정부재의 가압력으로 인해서 고르게 정렬될 수 있다.
이렇게 고정된 화물을 원하는 장소로 이동시킨 후 상기 손잡이부재를 회동시키면서 화물을 내려놓으면, 상기 코일 스프링의 탄성력으로 인해서 상기 화물고정부재는 도 11에 도시된 상태로 복귀하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별도로 화물을 고정하지 않더라도 이동 중에 화물이 인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으므로, 보다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적재부(20)의 회동부재(21)와 본체(10)의 지주(11)가 서로에 대해 상대적으로 회동 가능하게 설치됨으로써 간단한 구조를 적용하여 보다 적은 힘으로도 손수레의 이동을 매우 간편하고 손쉽게 이송할 수 있고 물류비를 절감할 수 있어 화물의 적재 및 하역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2개의 바퀴만으로도 바닥면에 매우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운반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파레트에 다단으로 적층된 화물 또는 포장 박스에 다단으로 적층된 화물 중 어느 하나를 동시에 적재하여 소력(小力)으로 신 속하고 안정되게 이송함으로써 운반작업의 효율성을 대폭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회동부재에 이단 적재층을 형성하여 화물의 종류, 크기와 특수성을 고려하여 타 분류의 화물을 부가적으로 동시에 운반할 수 있어 작업능률을 향상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본체부 11: 지주
12: 크로스부재 15: 바퀴
20: 적재부 21: 회동부재
22: 회동축 23: 적재판
24: 적재부재 25: 후방 가드펜스
26: 전방 가드펜스 27: 핑거부
30: 고정유닛 31: 고정판
32: 고정구

Claims (9)

  1. 한 쌍의 바퀴가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지주를 포함하는 본체;
    상기 본체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손잡이부재;
    상기 바퀴의 주행 방향을 따라 회동 가능하도록 상기 지주에 고정되는 한 쌍의 회동부재; 및
    상기 회동부재와 함께 회동하며, 운반하고자 하는 대상물의 저면을 지지하는 적재부재;를 포함하고,
    서로를 향하여 회동 가능하게 상기 한 쌍의 회동부재에 각각 구비되며, 일측에 상기 적재부재가 구비되는 화물고정부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고, 상기 화물고정부재는 상기 적재부재에 적재되는 화물의 자중에 의해 회동하면서 상기 화물의 측면을 지지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적재부재는 "ㄴ"자형 단면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회동부재는 길이 방향으로 길게 연장된 구조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3. 청구항 2에 있어서,
    각 회동부재는 텔레스코픽 구조로 구성되어 그 길이가 조절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4. 청구항 1에 있어서,
    각 회동부재들의 후방측에는 후방 가드펜스(guard fence)가 설치되고, 상기 후방 가드펜스의 양단부는 회동부재의 후방 일측에 각각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와 화물고정부재는 화물이 적재되지 않은 상태에서 하측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7. 제6항에 있어서,
    외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화물고정부재를 상기 회동부재 측으로 당기는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가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화물고정부재 사이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부재와 상기 화물고정부재에 양단이 각각 힌지 결합되는 연결링크를 추가적으로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물고정부재는 일측이 개방된 직사각형의 단면을 가지며, 내부에 상기 회동부재가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수레.
KR1020140030328A 2013-05-20 2014-03-14 손수레 KR1016417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566 2013-05-20
KR20130056566 2013-05-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372A KR20140136372A (ko) 2014-11-28
KR101641765B1 true KR101641765B1 (ko) 2016-07-29

Family

ID=524566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30328A KR101641765B1 (ko) 2013-05-20 2014-03-14 손수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641765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751A (ja) 2002-09-19 2004-04-08 Daiyu Kk てこ型ハンドトラック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72271A (ko) * 2002-09-02 2002-09-14 백수곤 계단 승강 기능을 겸한 수레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06751A (ja) 2002-09-19 2004-04-08 Daiyu Kk てこ型ハンドトラッ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36372A (ko) 2014-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592845B2 (en) Staging cart for transporting mattresses
AU2014202489B2 (en) Adaptor Pallet and Method of Transporting a Plurality of Dollies by Means of an Adaptor Pallet
US2514308A (en) Hand truck
GB2512103A (en) Folding trolley
JP2016043885A (ja) 手押し運搬台車
US10086973B2 (en) Pallet and dolly with bail arm
KR101641765B1 (ko) 손수레
JP3213796U (ja) スロープ付荷役作業ステージ
US20120248721A1 (en) Wood Log and Article Wheeled Barrow
JP6042487B2 (ja) 引き寄せハンドル方式のフォルディング構造を有するパレット運搬装置
JP2020045086A (ja) 台車及び荷積荷降方法
JP7008323B2 (ja) 運搬台車
JP2012001300A (ja) フォークリフト用アタッチメント及びこれを用いた荷扱い方法
KR102158423B1 (ko) 물품 운반용 카트
US2645370A (en) Hand truck
JP5366668B2 (ja) 搬送用架台
KR20170003307U (ko) 운반 카트
KR200407564Y1 (ko) 중량물 적재테이블
JP7470605B2 (ja) 運搬台車
JP3167528U (ja) 人力荷物兼パレット移動用台車
JP3172823U (ja) 手押し三輪運搬車
TW201900466A (zh) 具有拉手柄式折疊結構的托板搬運裝置
US20210309273A1 (en) Appliance dolly with packaging interface
JP2019018606A (ja) 運搬用荷車
JP5373211B1 (ja) リフト付2輪運搬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29

Year of fee payment: 4